KR101769399B1 -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 Google Patents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9399B1
KR101769399B1 KR1020170060129A KR20170060129A KR101769399B1 KR 101769399 B1 KR101769399 B1 KR 101769399B1 KR 1020170060129 A KR1020170060129 A KR 1020170060129A KR 20170060129 A KR20170060129 A KR 20170060129A KR 101769399 B1 KR101769399 B1 KR 101769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connector
terminal
connection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6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9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9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83Terminal blocks specially adapted for ground conn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이 개시되는 것으로, 상부에 보호덮개(11)가 구비되고 내부에 연결커넥터부(12)가 구비된 터미널하우징(10)과 상기 연결커넥터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모듈(20)을 포함하는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하우징(10)의 내측 양단에는 경사끼움홈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모듈(20)은, 상기 터미널하우징(10)의 경사끼움홈부(13)에 끼워지는 끼움돌부(21)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커넥터접속구멍(22)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와 상기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단턱진 끼움부(24)를 갖는 모듈하우징(25)과; 상기 모듈하우징(25)의 단턱진 끼움부(24)에 끼워지는 PCB기판(26)과 상기 PCB기판(26)에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PCB기판(26)이 상기 끼움부(24)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에 각각 수용되는 접속단자(30)를 갖는 커넥터접속부(2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terminal block for power source connection}
본 발명은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단자의 견고한 고정 및 지지가 가능하여 커넥터와의 접속시에 접속단자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볼트에 의해 접속단자를 고정하지 않음에 따라 조립성은 물론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단자함이나 각종 기계장치의 제어 보드에는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이 설치되고 있으며, 이러한 터미널 블록은 전선의 접속, 분기 또는 중계를 위한 수단이다.
종래 터미널 블록은 대개 인입 전선 및 부하 측 전선과 접속하는 접속단자들과 이 접속단자들을 지지하는 절연체로 구비되어 있으며, 접속단자와 인입 전선 또는 접속단자와 부하측 전선 접속은 주로 볼트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전선의 접속이 볼트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볼트의 조임 상태가 불량할 경우 접속부분에 열이 발생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있는 바, 이는 전기적 스트레스나 기계적 스트레스로 인해 볼트의 조임이 이완되기 때문이고, 볼트의 조임이 이완되면 접속단자와 인입 전선 사이의 접속부위 또는 접속단자와 부하측 전선 사이의 접속부위에 아크가 발생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터미널블록은 복수개의 전선을 복수개의 단자에 각각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복수개의 전선을 복수개의 단자에 볼트를 이용하여 접속연결하는 작업에 의해 작업성은 물론 조립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198596호인 전선 배선용 터미널블럭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전선을 배선하기 위한 터미널블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블럭의 본체 상에 종횡으로 형성된 격벽과, 상기 종격벽의 상면에 투명한 덮개부재가 끼워져 구비되도록 형성된 결착홈과, 상기 횡격벽의 상면에 명판이 끼워져 구비되도록 형성된 안착홈과, 상기 격벽 사이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그 내부에 고정너트가 삽착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횡격벽을 관통하여 구비되며 수용부에 삽착된 고정너트에 대응한 다수의 삽입공이 형성된 도체의 고정판부재와, 상기 고정판부재가 구비된 일측의 수용부에 전선을 안내하여 고정판부재상에 볼트로서 고정되도록 구비된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가 구비된 반대편측 수용부에 안내부재에 구비된 전선을 분기시키도록 구비되어 고정판부재상에 볼트와 너트로서 고정되는 다수의 분기부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수의 전선을 분기할 수 있으며 구조가 단순하여 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 역시 분기부재가 고정판과 볼트와 너트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볼트에 의해 접속됨에 따른 문제점을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198596호(2000.07.24.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82848호(2005.04.18. 등록)
본 발명은 복수개의 접속단자를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모듈몸체에 끼움결합하는 것에 의해 쉽고 용이하게 접속단자를 접속시킬 수 있어 조립성은 물론 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접속부분에 대한 쇼트나 열에 의해 발생되는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단자와 커넥터접속핀과의 접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은, 상부에 보호덮개가 구비되고 내부에 연결커넥터부가 구비된 터미널하우징과 상기 연결커넥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모듈을 포함하는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하우징의 내측 양단에는 경사끼움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모듈은, 상기 터미널하우징의 경사끼움홈부에 끼워지는 끼움돌부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커넥터접속구멍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단자수용부와 상기 복수개의 단자수용부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단턱진 끼움부를 갖는 모듈하우징과; 상기 모듈하우징의 단턱진 끼움부에 끼워지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에 용접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PCB기판이 상기 끼움부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단자수용부에 각각 수용되는 접속단자를 갖는 커넥터접속부;로 구비되며, 상기 모듈하우징의 커넥터접속구멍에 커넥터접속핀이 인입되어 상기 접속단자에 커넥터접속핀이 접속될 때 접속단자와 커넥터접속핀과의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접속단자에는, 상기 커넥터접속핀 외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제1탄성접지편과 제2탄성접지편 및 제3탄성접지편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접속단자는, PCB기판에 관통되어 PCB기판과 용접에 의해 용착되는 연결편이 돌출되고 상기 단자수용부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편과; 상기 밀착편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 외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이 구비되며 제1밀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면을 갖는 제1탄성접지편과; 상기 제1탄성접지편과 마주보도록 상기 밀착편의 하부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 외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이 구비되며 제2밀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면을 갖는 제2탄성접지편과; 상기 제1탄성접지편과 제2탄성접지편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밀착편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 외면에 밀착되는 제3밀착면이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호형지게 구비되며 제3밀착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면을 갖는 제3탄성접지편과; 상기 밀착편으로부터 수직절곡 연장되어 상기 단자수용부 내면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편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연결편에는, 상기 연결편이 PCB기판을 관통한 후 연결편을 PCB기판에 걸어주는 호형의 걸림면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커넥터접지핀이 인입되어 접지되는 접속단자가 볼트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PCB기판에 용접에 의해 용착된 상태로 PCB기판을 모듈하우징에 끼워주는 동작에 의해 쉽게 조립되기 때문에 접속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에 의해 발생되는 쇼트나 열에 의한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조립성 및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커넥터접속핀이 접속단자에 인입되어 접속될 때 접속단자가 커넥터접속핀에 탄성에 의해 밀착될 수 있어 접속성 향상은 물론 커넥터접속핀과의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의 구성요부인 접속단자를 나타낸 일측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의 구성요부인 접속단자를 나타낸 타측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의 구성요부를 확대한 확대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에 커넥터접속핀이 인입된 상태의 확대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의 접속단자와 커넥터접속핀과의 접속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은, 상부에 보호덮개(11)가 구비되고 내부에 연결커넥터부(12)가 구비된 터미널하우징(10)과 상기 연결커넥터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모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터미널하우징(10)의 내측 양단에는 경사끼움홈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모듈(20)은, 모듈하우징(25)과 커넥터접속부(27)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모듈(20)의 모듈하우징(25)과 커넥터접속부(27)는 서로에 대해 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접속모듈(20)을 구비하는 모듈하우징(25)은, 상기 터미널하우징(10)의 경사끼움홈부(13)에 끼워지는 끼움돌부(21)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커넥터접속구멍(22)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와 상기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단턱진 끼움부(2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커넥터접속부(27)는, 상기 모듈하우징(25)의 단턱진 끼움부(24)에 끼워지는 PCB기판(26)과 상기 PCB기판(26)에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PCB기판(26)이 상기 끼움부(24)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에 각각 수용되는 접속단자(3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 접속모듈(20)은, 모듈하우징(25)의 단자수용부(23)에 접속단자(30)가 수용되기 때문에 커넥터접속핀(P)을 상기 커넥터접속구멍(22)측으로 끼워 인입하면 쉽게 커넥터접속핀(P)이 접속단자(30)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PCB기판(26)에 접속단자(30)가 용접작업에 의해 용착되어 일체로 구비되기 때문에 커넥터접속부(27)를 모듈하우징(25)에 끼워 조립함이 용이하여 작업성은 물론 작업효율성이 크게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접속단자(30)가 PCB기판(26)에 용접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접속부분이 들뜨거나 접촉이 불량하거나 하여 발생되는 전기적인 쇼트나 열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경사끼움홈부(13)는, 상기 터미널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끼움돌부(21)는 상기 모듈하우징(25)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 이에 따라 상기 경사끼움홈부(13)와 상기 끼움돌부(21)는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 끼워진다.
상기 단턱진 끼움부(24)는, 상기 모듈하우징(25)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 상단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접속단자(30)가 상기 단자수용부(23)측으로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PCB기판(26)을 끼움부(24)에 안착하여 끼우면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모듈하우징(25)의 커넥터접속구멍(22)에 커넥터접속핀(P)이 인입되어 상기 접속단자(30)에 커넥터접속핀(P)이 접속될 때 접속단자(30)와 커넥터접속핀(P)과의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접속단자(30)에는, 상기 커넥터접속핀(P) 외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제1탄성접지편(32)과 제2탄성접지편(33) 및 제3탄성접지편(34)이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상기 접속단자(30)는, 연결편(311)이 돌출된 밀착편(31)과 제1탄성접지편(32), 제2탄성접지편(33), 제3탄성접지편(34) 및 지지편(3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커넥터접속핀(P)이 상기 커넥터접속구멍(22)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단자수용부(23)에 수용되는 접속단자(30)의 제1탄성접지편(32)과 제2탄성접지편(33) 및 제3탄성접지편(34) 내측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커넥터접속핀(P)의 외면이 제1탄성접지편(32)과 제2탄성접지편(33) 및 제3탄성접지편(34)에 동시에 밀착되어 접지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밀착편(31)은, PCB기판(26)에 관통되어 PCB기판(26)과 용접에 의해 용착되는 연결편(311)이 돌출되고 상기 단자수용부(23) 내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접지편(32)은, 상기 밀착편(31)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P) 외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321)이 구비되며 제1밀착면(32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P)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P)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면(32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탄성접지편(33)은, 상기 제1탄성접지편(32)과 마주보도록 상기 밀착편(31)의 하부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P) 외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331)이 구비되며 제2밀착면(33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P)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P)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면(33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탄성접지편(34)은, 상기 제1탄성접지편(32)과 제2탄성접지편(33)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밀착편(31)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P) 외면에 밀착되는 제3밀착면(341)이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호형지게 구비되며 제3밀착면(34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P)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P)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면(342)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탄성접지편(32)의 제1밀착면(321)은 상기 제2탄성접지편(33)측으로 꺾임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면(322)은 상기 제2탄성접지편(3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꺾임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탄성접지편(33)의 제2밀착면(331)은 상기 제1탄성접지편(32)측으로 꺾임 구비되고 상기 제2가이드면(332)은 상기 제1탄성접지편(3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꺾임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3탄성접지편(34)의 제3밀착면(341)은 상기 제1탄성접지편(32)과 제2탄성접지편(33)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3가이드면(342)은 상기 제1탄성접지편(32)과 제2탄성접지편(3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절곡된다.
즉, 상기 제1밀착면(321)과 제2밀착면(331) 및 제3밀착면(341)은 서로에 대해 모아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가이드면(322)과 제2가이드면(332) 및 제3가이드면(342)은 서로에 대해 멀어지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접지핀(P)이 상기 커넥터접속구멍(22)측으로 인입되면 상기 제1가이드면(322)과 제2가이드면(332) 및 제3가이드면(342)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가이드면(322)과 제2가이드면(332) 및 제3가이드면(342) 내측으로 인입되기 때문에 상기 제1가이드면(322)과 제2가이드면(332) 및 제3가이드면(342) 내측으로 인입되는 커넥터접지핀(P)이 상기 제1밀착면(321)과 제2밀착면(331) 및 제3밀착면(341)에 닿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커넥터접지핀(P)에 의해 상기 제1밀착면(321)과 제2밀착면(331) 및 제3밀착면(341)이 각각 벌어졌다가, 상기 커넥터접지핀(P)이 접속단자(30)에 완전히 끼워지면 벌어진 상기 제1밀착면(321)과 제2밀착면(331) 및 제3밀착면(341)이 자체 탄성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커넥터접지핀(P)의 외면을 강하게 밀착함에 따라 접속단자(30)와 커넥터접지핀(P)과의 접속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지지편(35)은, 상기 밀착편(31)으로부터 수직절곡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단자수용부(23) 내면에 밀착 지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연결편(311)에는, 상기 연결편(311)이 PCB기판(26)을 관통한 후 연결편(311)을 PCB기판(26)에 걸어주는 호형의 걸림면(312)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PCB기판(26)에 상기 접속단자(30)의 연결편(311)을 관통하면 상기 호형의 걸림면(312)이 PCB기판(26)에 걸리기 때문에 상기 접속단자(30)의 연결편(311)에 대한 용접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터미널하우징 11 : 보호덮개
13 : 경사끼움홈부 20 : 접속모듈
21 : 끼움돌부 22 : 커넥터접속구멍
23 : 단자수용부 24 : 끼움부
25 : 모듈하우징 26 : PCB기판
27 : 커넥터접속부 30 : 접속단자
31 : 밀착편 32 : 제1탄성접지편
33 : 제2탄성접지편 34 : 제3탄성접지편
35 : 지지편 311 : 연결편
312 : 걸림면 321 : 제1밀착면
322 : 제1가이드면 331 : 제2밀착면
332 : 제2가이드면 341 : 제3밀착면
342 : 제3가이드면

Claims (3)

  1. 상부에 보호덮개(11)가 구비되고 내부에 연결커넥터부(12)가 구비된 터미널하우징(10)과 상기 연결커넥터부(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모듈(20)을 포함하는 터미널블록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하우징(10)의 내측 양단에는 경사끼움홈부(13)가 구비되고,
    상기 접속모듈(20)은,
    상기 터미널하우징(10)의 경사끼움홈부(13)에 끼워지는 끼움돌부(21)가 양단에 각각 구비되고 커넥터접속구멍(22)이 각각 관통되는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와 상기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 둘레부를 따라 구비되는 단턱진 끼움부(24)를 갖는 모듈하우징(25)과;
    상기 모듈하우징(25)의 단턱진 끼움부(24)에 끼워지는 PCB기판(26)과 상기 PCB기판(26)에 용접에 의해 용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PCB기판(26)이 상기 끼움부(24)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단자수용부(23)에 각각 수용되는 접속단자(30)를 갖는 커넥터접속부(27);
    로 구비되며,
    상기 모듈하우징(25)의 커넥터접속구멍(22)에 커넥터접속핀(P)이 인입되어 상기 접속단자(30)에 커넥터접속핀(P)이 접속될 때 접속단자(30)와 커넥터접속핀(P)과의 견고한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접속단자(30)에는, 상기 커넥터접속핀(P) 외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제1탄성접지편(32)과 제2탄성접지편(33) 및 제3탄성접지편(34)이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30)는,
    PCB기판(26)에 관통되어 PCB기판(26)과 용접에 의해 용착되는 연결편(311)이 돌출되고 상기 단자수용부(23) 내면에 밀착되는 밀착편(31)과;
    상기 밀착편(31)의 하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P) 외면에 밀착되는 제1밀착면(321)이 구비되며 제1밀착면(32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P)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P)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면(322)을 갖는 제1탄성접지편(32)과;
    상기 제1탄성접지편(32)과 마주보도록 상기 밀착편(31)의 하부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P) 외면에 밀착되는 제2밀착면(331)이 구비되며 제2밀착면(33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P)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P)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면(332)을 갖는 제2탄성접지편(33)과;
    상기 제1탄성접지편(32)과 제2탄성접지편(33)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밀착편(31)의 하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커넥터접지핀(P) 외면에 밀착되는 제3밀착면(341)이 내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호형지게 구비되며 제3밀착면(34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접지핀(P)이 인입될 때 커넥터접지핀(P)을 가이드하는 제3가이드면(342)을 갖는 제3탄성접지편(34)과;
    상기 밀착편(31)으로부터 수직절곡 연장되어 상기 단자수용부(23) 내면에 밀착 지지되는 지지편(35)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편(311)에는,
    상기 연결편(311)이 PCB기판(26)을 관통한 후 연결편(311)을 PCB기판(26)에 걸어주는 호형의 걸림면(312)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KR1020170060129A 2017-05-15 2017-05-15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KR101769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129A KR101769399B1 (ko) 2017-05-15 2017-05-15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129A KR101769399B1 (ko) 2017-05-15 2017-05-15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9399B1 true KR101769399B1 (ko) 2017-08-18

Family

ID=5975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129A KR101769399B1 (ko) 2017-05-15 2017-05-15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9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235B1 (ko) * 2021-02-08 2021-12-13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KR20230124344A (ko) * 2022-02-18 2023-08-25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전 커넥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1883Y1 (ko) 2000-10-20 2001-04-16 인창전자주식회사 씨알티 소켓
JP2002110278A (ja) 2000-10-03 2002-04-1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プレスフィット式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97298A (ja) 2001-12-25 2003-07-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0278A (ja) 2000-10-03 2002-04-12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プレスフィット式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1883Y1 (ko) 2000-10-20 2001-04-16 인창전자주식회사 씨알티 소켓
JP2003197298A (ja) 2001-12-25 2003-07-11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235B1 (ko) * 2021-02-08 2021-12-13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KR20230124344A (ko) * 2022-02-18 2023-08-25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전 커넥터
KR102653138B1 (ko) * 2022-02-18 2024-04-01 삼원액트 주식회사 배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2148B1 (en)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nd sealed an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189110B1 (en) Compact electrical wiring system
US7192316B1 (en) Electrical connecting terminal
US6814617B2 (en) Electronic unit, shield cable connecting structure, connecting method, wires waterproof-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JP5428674B2 (ja) アース接続装置及びこれを含むワイヤハーネス
US7195517B1 (en) Compact electrical wiring system
US10283918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RU2402849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изковольтных электрощитов
KR101769399B1 (ko)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KR101873699B1 (ko) 모형별 겸용 사용구조를 갖는 커넥터 후드
KR20047189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210060819A (ko) 일괄차폐 커넥터
KR101811007B1 (ko) 시공이 편리한 분전반
KR101573066B1 (ko) 배전반 및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장치
JP4062375B2 (ja) 分電盤
KR102024684B1 (ko) 조립성을 높인 전원분배장치
JP2019103317A (ja) アース端子ユニット
JP2020054102A (ja) 分電盤
KR20190126006A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PL180892B1 (pl) Gniazdo przyłączeniowe sieci informatycznej
JPH0963667A (ja) 同軸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4663671B2 (ja) 分電盤
JP3125999U (ja) 配電盤
JP4523086B2 (ja) アース中継端子付住宅用分電盤
KR100735860B1 (ko) 배전반용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