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138B1 - 배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138B1
KR102653138B1 KR1020220021531A KR20220021531A KR102653138B1 KR 102653138 B1 KR102653138 B1 KR 102653138B1 KR 1020220021531 A KR1020220021531 A KR 1020220021531A KR 20220021531 A KR20220021531 A KR 20220021531A KR 102653138 B1 KR102653138 B1 KR 102653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using
height
connection pin
distribution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4344A (ko
Inventor
배광호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1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138B1/ko
Publication of KR20230124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4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모듈은,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제1면에 위치하는 케이블 접속부; 및 상기 회로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핀부를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를 통해 배전커넥터와 단자대 본체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에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배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 커넥터{A DISTRIBUTE WIRE CONNECTOR}
본 발명은 배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박스 내에 설치되는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에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배전 커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트롤패널 및 트랜스 등 설비용 부재를 수납하도록 하는 컨트롤박스는 산업용 자동화설비의 시설물 제어를 책임지는 심장부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그 특성상 각 설비의 제어라인인 다수의 배선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연결되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배선 케이블의 연결을 위해서는 케이블과 단자대 본체간의 접속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전 커넥터 부재가 사용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커넥터는 상,하 기판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상부측에 배선 케이블이 접속되어진 상태에서 각각의 배선단자를 이루고 있는 단자대 본체에 삽입됨으로서 접속 설치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배전 커넥터의 경우 배면측에 돌출 설치되어져 있는 다수의 도통핀이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에 압입에 의해 끼워져 삽입된 압입력에 의해 체결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배전 커넥터를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를 이룰만한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어져 있기 않기 때문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5068호에는 다음과 같은 종래의 컨트롤박스용 배전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의 컨트롤박스용 배전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은 종래의 배전 커넥터가 단자대 본체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배전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이때, 도 1 내지 도 4는 각각,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5068호의 도 1, 도 2, 도 3 및 도 5와 동일하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컨트롤박스용 배전 커넥터(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상부기판(28)면에는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21)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2개소에 구성되었으며, 각 케이블 접속부(21)에는 배선케이블(30)의 착탈을 위한 착탈구(22)가 양측에 구비되었다.
이때, 상기 상부기판(28)은 그 길이(D)를 하부기판(29)의 길이(d)에 비해 길게 제작함으로서 상,하기판간의 결합시 상부기판(28)의 양측단으로 돌출되어진 형태의 걸림턱부(28a)가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케이블 접속부(21) 사이의 기판 중앙부에는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을 관통하는 체결스크류(26)가 설치되었으며, 체결스크류(26)의 하부 소정구간에는 나사부(26a)가 형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기판(28)상에는 상기 체결스크류(26)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전원단자의 접속을 위한 전원접속부(23)와, 전원접속부(23)의 접속에 따른 전원 인가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는 2개소의 엘이디(LED)발광부(24)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하부기판(29)의 저면에는 단자대 본체(10)측의 접점부(15)와 결합시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25)이 2열을 이루어 돌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종래의 배전 커넥터(20)의, 단자대 본체(10) 결합작업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상기 배전 커넥터(20)를 단자대 본체(10)에 결합시키기 전에 먼저 양측의 게이블 접속부(21)에 각각 동일크기의 배선케이블(30)을 접속시키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접속은 착탈구(2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쌍을 이루고 있는 착탈구(22)가 벌어진 상태에서 배선케이블(30)을 해당 케이블 접속부(21)에 삽입시키게 되면 미도시된 작동구가 내부에서 눌려지면서 착탈구(22)가 조여져,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선케이블(30)의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반대로 접속되어져 있는 배선케이블(3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착탈구(22)를 수동으로 벌려주게 되면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의 배전 커넥터(20)를 도 1에서와 같이 단자대 본체(10)의 개구측에 삽입시킨 후 눌러주게 되면, 하부기판(29)의 배면에 돌출되어져 있는 다수의 도통핀(25)이 각각 접점부(15)에 삽입되어지면서 전기적 도통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호 대응위치에 구성되어져 있는 체결스크류(2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단자대 본체(10)의 체결홀(16)에 체결시킴으로서 배전 커넥터(2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컨트롤박스에 외부충격이 가해지거나 부품 점검중 작업자가 실수로 배전 커넥터(20)를 접촉하더라도 단자대 본체(10)로 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짐으로서 전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배전 커넥터(2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별도의 전원단자(미도시)를 상부기판(28)상에 설치되어져 있는 전원접속부(23)에 접속시키게 되면, 인가전원에 의해 엘이디(LED)발광부(24)가 특정 색상의 빛으로 발광되어지면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부품의 점검 또는 교체를 위해 배전 커넥터(20)를 단자대 본체(10)로 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스크류(26)를 역방향으로 돌려주어 나사부(26a)에 의한 체결홀(16)과의 결합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배전 커넥터(20)를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체결스크류(26)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진 상태에서도 도통핀(25)과 접점부(15) 상호간의 일정 체결력이 작용하여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부기판(28)의 양측에 돌출 구비되어져 있는 걸림턱부(28a)를 잡고 들어올려주면 배전커넥터(20)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배전 커넥터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와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전 커넥터의 일측에 손잡이용 돌출부를 구비시킴으로서 설치 및 교체작업시의 작업 신뢰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배전 커넥터의 경우, 체결스크류를 통해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여전히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결합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배전 커넥터를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8506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컨트롤박스 내에 설치되는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에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배전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모듈은,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제1면에 위치하는 케이블 접속부; 및 상기 회로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핀부를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1-1체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1-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체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체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가이드라인;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제1가이드라인과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1가이드라인과 상기 제2가이드라인의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핀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되는 체결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도통핀부를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ㄷ"자 구조에 해당하며,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1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제2폭을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2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3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3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상기 제3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통핀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도통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도통플레이트; 및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와 상기 제2도통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고,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가 삽입되는 접점부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5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5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도통플레이트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6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6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부는,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착탈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부플레이트부;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제7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으로 제7폭을 갖으며, 상기 제7폭의 크기보다,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가 마주보면서 배치되는 간격의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하우징은, 하부플레이트부;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배면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면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 상기 배면플레이트,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상부방향으로 제8-1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1-1구획판;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상부방향으로 제8-2높이를 갖고, 상기 타측은 상기 제1-1구획판과 접촉하며,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2구획판;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상부방향으로 제8-3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2-1구획판;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상부방향으로 제8-4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2-1구획판과 접촉하며,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2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1구획판, 상기 복수개의 제1-2구획판, 상기 제2-1구획판 및 상기 복수개의 제2-2구획판의 배치에 의해,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하부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와 각각 대응되어 연통되는 복수개의 도통핀부 삽입부를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를 통해 배전커넥터와 단자대 본체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에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배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접속핀부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배전 커넥터가 단자대 본체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종래의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배전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와 회로기판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하우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하우징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 본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100)는, 하우징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모듈(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전 커넥터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는, 배전 커넥터의 길이방향(도 5의 X 방향); 상기 배전 커넥터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배전 커넥터의 폭방향(도 5의 Y 방향); 및 상기 배전 커넥터의 길이방향과 상기 배전 커넥터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배전 커넥터의 높이방향(도 5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배전 커넥터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배전 커넥터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을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는, 하우징부의 길이방향(도 5의 X 방향);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하우징부의 폭방향(도 5의 Y 방향); 및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하우징부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하우징부의 높이방향(도 5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하우징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00)는 하부하우징(230); 및 상기 하부하우징(230)에 착탈되는 상부하우징(240)을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기판모듈(300)의 케이블 접속부의 일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제1개구영역으로 돌출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1-1체결부(210); 및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1-2체결부(2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체결부(210)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11)을 포함하며,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후술하는 단자대 본체의 제2-1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2체결부(220)는,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가이드라인(221);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제1가이드라인(221)과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가이드라인(222); 및 상기 제1가이드라인(221)과 상기 제2가이드라인(222)의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홈(223)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홈에 후술하는 단자대 본체부의 제2-2체결부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하우징(230)은, 상기 제1-2체결부(220)의 일정 영역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하우징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의 폭방향을 기준축으로하여 힌지운동하는 파지부(250)를 더 포함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25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250)을 상부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100)는, 하우징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모듈(3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판모듈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은, 기판모듈의 길이방향(도 11의 X 방향); 상기 기판모듈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기판모듈의 폭방향(도 11의 Y 방향); 및 상기 기판모듈의 길이방향과 상기 기판모듈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기판모듈의 높이방향(도 11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기판모듈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기판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300)은, 회로기판(310); 상기 회로기판(310)의 제1면, 예를 들면, 상면에 위치하는 케이블 접속부(320); 및 상기 회로기판(310)의 제2면, 예를 들면,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접속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핀부(3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300)은, 상기 회로기판(310)의 제1면, 예를 들면, 상면에 위치하되, 상기 케이블 접속부(320)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전원 접속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전원접속부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 접속부(320)는, 복수개의 핀(321); 및 상기 케이블 접속부(320)의 길이방향 양측에 위치하는 착탈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블 접속부(320)에는 배선케이블(도 4의 22)이 체결되어,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배선케이블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착탈구(322)가 벌어진 상태에서 상기 배선케이블(미도시)을 상기 케이블 접속부(320)에 삽입시키게 되면, 미도시된 작동구가 내부에서 눌려지면서 상기 착탈구(322)가 조여져, 상기 케이블 접속부(320)에 상기 배선케이블(도 4의 22)이 체결되며, 또한, 이와는 반대로, 체결되어져 있는 상기 배선케이블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착탈구(322)를 수동으로 벌려주게 되면,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상기 배선케이블이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착탈구를 통한 배선케이블의 체결 및 분리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접속핀부(330)에는 후술하는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와 체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복수개의 접속핀부가 상기 단자대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계에서 자명한 사항에 해당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판모듈에서는 후술하는 접속핀부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먼저, 상기 접속핀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는, 접속핀부의 길이방향(도 15의 X 방향);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접속핀부의 폭방향(도 15의 Y 방향); 및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과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접속핀부의 높이방향(도 15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접속핀부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핀부의 방향은 상기 기판모듈, 보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의 방향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과 동일하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330)는, 본체부(331); 상기 본체부의 제1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되는 체결핀(332); 및 상기 본체부의 제2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도통핀부(33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331)는,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ㄷ"자 구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1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331a);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제2폭을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2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플레이트(331a)의 일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331b); 및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3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3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플레이트(331b)의 타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331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331c)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핀부에 상기 본체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후술하는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제1높이, 상기 제2플레이으트의 제2높이 및 상기 제3플레이트의 제3높이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후술하는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플레이트(331a)는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제1두께를 갖고, 상기 제2플레이트(331b)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2두께를 갖으며, 상기 제3플레이트(331c)는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제3두께를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다만, 이들 제1플레이트 내지 제3플레이트의 두께는 필요에 의해 적정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플레이트 내지 상기 제3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은, 각각의 제1플레이트 내지 제3플레이트의 측면을 기준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플레이트의 일측 측면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 측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3플레이트의 일측 측면은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측 측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타측 측면과 상기 제3플레이트의 타측 측면은 오픈(별도로 연속되는 플레이트가 없음)되어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31)는,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ㄷ"자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330)는, 상기 본체부의 제1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되는 체결핀(332)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핀(332)는 상술한 회로기판에 삽입 및 체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체결핀(332)은 상기 제1플레이트(331a)의 상부 또는 상기 제3플레이트(331c)의 상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핀(332)은,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4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4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4길이는 상기 제1길이 또는 상기 제2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4높이는 상기 회로기판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4높이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제4두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제4두께는 상술한 제1두께 또는 제2두께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4두께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체결핀(332)이 상기 제1플레이트(331a)의 상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은 배선패턴(회로패턴)을 포함하며, 이러한 배선패턴을 통해, 상술한 케이블 접속부(320)와 복수개의 접속핀부,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핀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는 경우, 상술한 배선패턴을 구획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나, 이러한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는 무작정 확대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이로 인하여, 상술한 케이블 접속부(320)와 복수개의 접속핀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회로기판에 배선패턴을 구획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의 경우,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커지는 것은 어느 정도 감수할 수 있으나, 상기 배전 커넥터가 체결되는 단자대 본체의 크기 상,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은 제한이 된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에서는, 이하에서 설명되어지는 도통핀부의 배치방향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330)는, 상기 본체부의 제2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도통핀부(333)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통핀부(333)는, 상기 제1플레이트(331a)의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도통플레이트(333a); 상기 제3플레이트(331c)의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도통플레이트(333b);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와 상기 제2도통플레이트(333b)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고,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가 삽입되는 접점부 삽입부(333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5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5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도통플레이트(333b)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6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6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상기 제2통플레이트(333b)의 길이는, 상기 제5길이 및 상기 제6길이는 각각, 상기 제1길이 또는 상기 제2길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제5길이 및 상기 제6길이가 각각, 상기 제1길이 또는 상기 제2길이보다 작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상기 제2통플레이트(333b)는 판스프링의 작용을 통해, 접점부 삽입부(333c)에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점부 삽입부(333c)에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가 삽입되기 위하여,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상기 제2통플레이트(333b)는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는 제1절곡부(334a)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도통플레이트(333b)는 제2절곡부(334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상기 제2통플레이트(333b)가 각각,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다함은,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상기 제2통플레이트(333b)의 영역 중, 상기 제1절곡부(334a)와 상기 제2절곡부(334b)의 영역의 간격이 가장 짧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절곡부(334a)는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2절곡부(334a)도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절곡되되,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상기 제2통플레이트(333b)의 영역 중, 상기 제1절곡부(334a)와 상기 제2절곡부(334b)의 영역의 간격이 가장 짧게 절곡되는 것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는,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제5두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b)는,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제6두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러한 제5두께 및 제6두께는 상술한 제1두께 또는 제2두께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5두께 및 상기 제6두께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와 회로기판의 배치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핀부는, 본체부(331); 상기 본체부의 제1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되는 체결핀(332); 및 상기 본체부의 제2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도통핀부(33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핀(332)는 상기 회로기판(310)의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접속핀부가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은, 회로기판의 길이방향(도 11의 X 방향);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회로기판의 폭방향(도 11의 Y 방향); 및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과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회로기판의 높이방향(도 11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회로기판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331)는, 제1플레이트(331a); 제2플레이트(331b); 및 제3플레이트(331c)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제1플레이트(331a); 상기 제2플레이트(331b); 및 상기 제3플레이트(331c)의 각각의 상면이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과 접촉함에 의하여, 상기 본체부가 상기 체결핀을 기준으로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333a)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5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5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도통플레이트(333b)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6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6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편, 상기 접속핀부의 방향은 상기 기판모듈, 보다 구체적으로 회로기판의 방향과 동일하게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은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과 동일하고,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과 동일하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접점부 삽입부(333c)에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가 삽입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제2도통플레이트(333b)의 구조에 의하여, 후술하는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의 형태가 상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조로, 상기 접점부 삽입부(333c)에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가 삽입되게 된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의 경우,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커지는 것은 어느 정도 감수할 수 있으나, 상기 배전 커넥터가 체결되는 단자대 본체의 크기 상,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은 제한이 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의 형태가 상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제2도통플레이트(333b)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부(200)는 하부하우징(230); 및 상기 하부하우징(230)에 착탈되는 상부하우징(240)을 포함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하우징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하우징(240)은 상부플레이트부(241);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압플레이트(242a);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242a)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제1가압플레이트(242a)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가압플레이트(242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242a)는,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길이방향 일측의 최가장자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내측영역에 배치하며,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242b)는,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길이방향 타측의 최가장자리영역으로부터,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폭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하여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내측영역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를 달리 정의하자면,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는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제7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으로 제7폭을 갖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상기 제7폭의 크기보다,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242a) 및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242b)가 마주보면서 배치되는 간격의 크기가 작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은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개구영역(24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판모듈(300)의 상기 케이블 접속부의 일부가 상기 상부하우징의 제1개구영역(243)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242a)는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242a)의 외면에 위치하되, 상기 상부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체결돌기부(24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242b)는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242b)의 외면에 위치하되, 상기 상부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체결돌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하우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하우징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하우징(230)은, 하부플레이트부(231);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플레이트(232a);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222a)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전면플레이트(232a)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배면플레이트(232b);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32a)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232b)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면플레이트(232c);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32a)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232b)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232c)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232c)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측면플레이트(232d);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232a), 상기 배면플레이트(232b),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232c),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232d)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23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면플레이트(232a)는 상기 전면플레이트(232a)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1체결돌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1체결홈부(236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면플레이트(232b)는 상기 배면플레이트(232b)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하부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체결돌기부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제2체결홈부(236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230)은, 상기 내부공간(233)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상부방향으로 제8-1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232c)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232d)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1-1구획판(234a); 상기 내부공간(233)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상부방향으로 제8-2높이를 갖고, 상기 타측은 상기 제1-1구획판(234a)과 접촉하며,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32a)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2구획판(234b); 상기 내부공간(233)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상부방향으로 제8-3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232c)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232d)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폭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2-1구획판(235a); 및 상기 내부공간(233)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상부방향으로 제8-4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2-1구획판(235a)과 접촉하며,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232b)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2구획판(235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구획판, 상기 복수개의 제1-2구획판, 상기 제2-1구획판 및 상기 복수개의 제2-2구획판의 배치에 의해, 상술한 복수개의 접속핀부가 삽입되는 복수개의 접속핀부 본체부 삽입부(이하, "본체부 삽입부"라 함)(234c, 235c)가 구획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234c, 235c)가 각각 20개씩 2열로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1구획판, 상기 복수개의 제1-2구획판, 상기 제2-1구획판 및 상기 복수개의 제2-2구획판은 각각 상면을 포함하며, 이때, 상술한 회로기판의 하면이, 상기 제1-1구획판, 상기 제1-2구획판, 상기 제2-1구획판 및 상기 제1-2구획판의 각각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내부영역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1구획판, 상기 복수개의 제1-2구획판, 상기 제2-1구획판 및 상기 복수개의 제2-2구획판은 각각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를 기준으로 각각 제8-1높이, 제8-2높이, 제8-3높이 및 제8-4높이를 갖는데, 상기 제8-1높이 내지 상기 제8-4높이에 의해, 상술한 접속핀부의 본체부가 배치되는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제1-1구획판, 상기 제1-2구획판, 상기 제2-1구획판 및 상기 제1-2구획판의 각각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내부영역에 안착되면, 상기 복수개의 접속핀부의 각각의 복수개의 본체부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234c, 235c)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접속핀부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이, 상기 제1-1구획판, 상기 제1-2구획판, 상기 제2-1구획판 및 상기 제1-2구획판의 각각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내부영역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242a) 및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242b)가 상기 내부공간(233)에 삽입되어, 각각 상기 전면플레이트(232a) 및 상기 배면플레이트(232b)와 접촉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체결홈부(236a)에 상기 제1체결돌기부가 체결되고, 또한, 상기 제2체결홈부(236b)에 상기 제2체결돌기부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길이방향 일측의 최가장자리영역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부(241)의 길이방향 타측의 최가장자리영역은, 상기 전면플레이트(232a) 및 상기 배면플레이트(232b)의 각각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하부하우징에 상기 상부하우징이 체결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242a) 및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242b)의 하면은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과 접촉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상면이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242a) 및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242b)의 하면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회로기판의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하우징(23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부(231)의 하부방향으로 배치되고,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와 각각 대응되어 연통되는 도통핀부 삽입부(237a, 237b)를 포함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접속핀부의 각각의 복수개의 본체부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접속핀부의 각각의 복수개의 도통핀부는, 각각 상기 복수개의 도통핀부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되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가 각각 20개씩 2열로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도통핀부 삽입부가 각각 20개씩 2열로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접속핀부의 각각의 복수개의 도통핀부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도통핀부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대 본체의 복수개의 접점부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도통핀부 삽입부의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각각의 복수개의 도통핀부와 상기 단자대 본체의 각각의 복수개의 접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단자대 본체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연결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 및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 본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7 및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먼저, 상기 단자대 본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 본체는, 단자대 본체의 길이방향(도 25의 X 방향); 상기 단자대 본체의 길이방향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단자대 본체의 폭방향(도 25의 Y 방향); 및 상기 단자대 본체의 길이방향과 상기 단자대 본체의 폭방향으로부터 수직평면 상에 위치하는 단자대 본체의 높이방향(도 25의 Z 방향)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단자대 본체가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단자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자대 본체는, 단자대 본체 하우징(410); 상기 단자대 본체 하우징(410)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커넥터 안착부(420); 상기 단자대 본체 하우징(4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2-1체결부(430); 및 상기 단자대 본체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2-2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1체결부(430)는, 상기 단자대 본체 하우징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단자대 본체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배전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회전축 삽입홀(431)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2체결부(440)는, 상기 단자대 본체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되, 상기 커넥터 안착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배전 커넥터의 상기 하우징부의 상기 체결홈에 체결되는 체결돌기(441)를 포함한다.
이때,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 커넥터가 상기 커넥터 안착부(42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1체결부(430)와 상기 제1-1체결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2-2체결부(440)와 상기 1-2체결부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배전 커넥터와 상기 단자대 본체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전 커넥터와 상기 단자대 본체가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배전 커넥터의 상기 회전축을 상기 회전축 삽입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배전 커넥터를 회전운동하여, 상기 제2-2체결부가 상기 제1-2체결부와 체결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하부하우징(230)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폭방향을 기준축으로하여 힌지운동하는 파지부(250)를 더 포함하며, 이때, 사용자는 상기 파지부(25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250)을 상부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즉, 상기 파지부(250)을 상부 방향으로 당김에 의하여,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기 배전 커넥터를 회전운동하여, 상기 제2-2체결부가 상기 제1-2체결부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회전축을 상기 회전축 삽입홀로부터 분리함에 의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단자대 본체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4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접점부(450)를 포함하며,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에 체결하는 경우, 상기 복수개의 접속핀부의 각각의 복수개의 도통핀부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도통핀부 삽입부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자대 본체의 복수개의 접점부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도통핀부 삽입부의 하부방향에서 상부방향으로 삽입됨으로써, 각각의 복수개의 도통핀부와 상기 단자대 본체의 각각의 복수개의 접점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단자대 본체와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450)는, 상기 단자대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제9길이를 갖고, 상기 단자대 본체의 높이방향으로 제9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접점부(450)의 단자대 본체의 폭방향의 제9폭은, 상술한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제2도통플레이트(333b)의 이격 간격인, 도통핀부 삽입부의 간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의 경우,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커지는 것은 어느 정도 감수할 수 있으나, 상기 배전 커넥터가 체결되는 단자대 본체의 크기 상,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은 제한이 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의 형태가 상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도통플레이트(333a) 및 제2도통플레이트(333b)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배전 커넥터의 경우, 체결스크류를 통해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여전히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결합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배전 커넥터를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배전 커넥터(100)는, 하우징부(200); 및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모듈(300)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부를 통해 배전커넥터와 단자대 본체를 결합시키기 때문에, 상기 배전 커넥터와 단자대 본체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에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배전 커넥터를 상기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배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접속핀부의 구조에 의하여, 상기 회로기판의 영역의 크기가 상기 회로기판의 폭방향으로 커지는 것의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배전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내부에 안착되는 기판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모듈은, 회로기판; 상기 회로기판의 제1면에 위치하는 케이블 접속부; 및 상기 회로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속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핀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제1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상부로 연장되는 체결핀; 및 상기 본체부의 제2일정 영역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높이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도통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폭방향 단면을 기준으로 "ㄷ"자 구조에 해당하며,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1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1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접속핀부의 폭방향으로 제2폭을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2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일측이 상기 제1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3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3높이를 갖으며,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플레이트의 타측으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도통핀부는, 상기 제1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도통플레이트; 상기 제3플레이트의 하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와 일정 간격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도통플레이트; 및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와 상기 제2도통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고,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가 삽입되는 접점부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의 형태는, 상기 회로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로기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1-1체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1-2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체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하우징부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체결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제1가이드라인;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제1가이드라인과 일정 간격이격하여 배치되는 제2가이드라인; 및 상기 제1가이드라인과 상기 제2가이드라인의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홈을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핀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 또는 상기 제3플레이트의 상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통플레이트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5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5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제2도통플레이트는, 상기 접속핀부의 길이방향으로 제6길이를 갖고, 상기 접속핀부의 높이방향으로 제6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는 배전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하부하우징; 및 상기 하부하우징에 착탈되는 상부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부플레이트부;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가압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으로 제7길이를 갖고,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으로 제7폭을 갖으며, 상기 제7폭의 크기보다, 상기 제1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제2가압플레이트가 마주보면서 배치되는 간격의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하부플레이트부;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배면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일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일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측면플레이트;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하우징의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일정 간격이격되며,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측면플레이트; 및 상기 전면플레이트, 상기 배면플레이트,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상부방향으로 제8-1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 일측에 위치하는 제1-1구획판;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상부방향으로 제8-2높이를 갖고, 상기 타측은 상기 제1-1구획판과 접촉하며, 일측은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2구획판;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상부방향으로 제8-3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1측면플레이트와 접촉하고, 타측은 상기 제2측면플레이트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 타측에 위치하는 제2-1구획판; 및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상부방향으로 제8-4높이를 갖고, 상기 일측은 상기 제2-1구획판과 접촉하며, 타측은 상기 배면플레이트와 접촉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2구획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1-1구획판, 상기 복수개의 제1-2구획판, 상기 제2-1구획판 및 상기 복수개의 제2-2구획판의 배치에 의해,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가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플레이트부의 하부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본체부 삽입부와 각각 대응되어 연통되는 복수개의 도통핀부 삽입부를 포함하는 배전 커넥터.
KR1020220021531A 2022-02-18 2022-02-18 배전 커넥터 KR102653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531A KR102653138B1 (ko) 2022-02-18 2022-02-18 배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531A KR102653138B1 (ko) 2022-02-18 2022-02-18 배전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44A KR20230124344A (ko) 2023-08-25
KR102653138B1 true KR102653138B1 (ko) 2024-04-01

Family

ID=87847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531A KR102653138B1 (ko) 2022-02-18 2022-02-18 배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1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966B1 (ko) 2006-11-24 2008-01-04 주식회사 이티에이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커넥터
KR101769399B1 (ko) * 2017-05-15 2017-08-18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068Y1 (ko) 2005-03-07 2005-05-24 주식회사 이티에이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0979266B1 (ko) * 2008-12-24 2010-08-31 주식회사 이티에이 점퍼선의 결합구조를 갖는 피엘씨 시스템의 입출력 모듈용 프론트 콘넥터
JP6717420B1 (ja) * 2019-11-14 2020-07-01 富士電機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用のベースボード及び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966B1 (ko) 2006-11-24 2008-01-04 주식회사 이티에이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커넥터
KR101769399B1 (ko) * 2017-05-15 2017-08-18 주식회사 피엔케이솔루션 전원접속용 터미널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4344A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6159B2 (en) Connector that enables connection between circuit boards with excellent space efficiency
CN100541949C (zh) 用于连接太阳电池板的连接盒
KR101351359B1 (ko) 천장 매립형 라인 타입 조명장치
EP2333398B1 (en) LED socket assembly
EP0306218B1 (en) Flexible bussing system for distributing power
CN107534230A (zh) 用于电路板模块的接线板框架
US5772452A (en) Connector for a circuit board
US20140233227A1 (en) Holder element for holding at least one flat surface-light lamp, set of a plurality of lampholders and a plurality of elongate holding bodies and luminaire
US9160086B2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US11497134B2 (en) Cable management rack and cable management apparatus for a server cabinet
KR102653138B1 (ko) 배전 커넥터
KR100619219B1 (ko)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US5385488A (en) Patch panel
JP4829755B2 (ja) 発光モジュール配列表示装置及び発光モジュールの取付部材
KR100791966B1 (ko)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커넥터
US8337217B2 (en) Socket for surface mount module
CN217209248U (zh) 拼接照明装置
JP5459195B2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CN102332661B (zh) 用于在电路板上保持模块的对准销
KR200453994Y1 (ko) 바타입 엘이디 조명수단의 전원 결속장치
KR20100063852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소켓 베이스 램프조립체
KR20120063153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KR200385068Y1 (ko)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CN221043337U (zh) 电路板用的线缆固定件
TWI759831B (zh) 用於共面發光二極體條的印刷電路板互連方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