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219B1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219B1
KR100619219B1 KR1020050018689A KR20050018689A KR100619219B1 KR 100619219 B1 KR100619219 B1 KR 100619219B1 KR 1020050018689 A KR1020050018689 A KR 1020050018689A KR 20050018689 A KR20050018689 A KR 20050018689A KR 100619219 B1 KR100619219 B1 KR 10061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connector
terminal block
main body
block main
control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상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티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티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티에이
Priority to KR1020050018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설비의 컨트롤박스 내에 설치되어지는 단자대 본체와 배전 커넥터간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됨과 동시에 배전 커넥터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21)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단자대 본체(10)측과의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25)이 노출 구성되어진 상태에서 단자대 본체(10)와의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전 커넥터(20)에 있어서, 상기 배전 커넥터(20)는 케이블 접속부(21)가 양측으로 분리 구성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사이에는 단자대 본체(10)측의 체결홀(16)과 결합이 가능한 체결스크류(26)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기판(28)의 길이(D)는 하부기판의 길이(d)보다 길게 구비함으로서 양측단으로 돌출되어진 형태의 걸림턱부(28a)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커넥터, 콘트롤박스, 설비, 제어, 배전

Description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DISTRIBUTE WIRE CONNECTOR FOR CONTROL BOX}
도 1은 본 발명 배전 커넥터의 단자대 본체 분리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배전 커넥터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대 본체 15 : 접점부
16 : 스크류홀 20 : 배전 커넥터
21 : 케이블 접속부 22 : 착탈구
23 : 전원접속부 24 : 엘이디 발광부
25 : 도통핀 26 : 체결스크류
28 : 상부기판 28a: 걸림턱
29 : 하부기판 30 : 배선케이블
본 발명은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트롤박스 내에서 배전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커넥터의 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트롤패널 및 트랜스 등 설비용 부재를 수납하도록 하는 컨트롤박스는 산업용 자동화설비의 시설물 제어를 책임지는 심장부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그 특성상 각 설비의 제어라인인 다수의 배선 케이블이 외부로 부터 연결되어지게 된다.
한편, 이러한 배선 케이블의 연결을 위해서는 케이블과 단자대 본체간의 접속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전 커넥터 부재가 사용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커넥터는 상,하 기판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상부측에 배선 케이블이 접속되어진 상태에서 각각의 배선단자를 이루고 있는 단자대 본체에 삽입됨으로서 접속 설치되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배전 커넥터의 경우 배면측에 돌출 설치되어져 있는 다수의 도통핀이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에 압입에 의해 끼워져 삽입된 압입력에 의해 체결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배전 커넥터를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 우 손잡이를 이룰만한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어져 있기 않기 때문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컨트롤박스 내에 설치되는 배전 커넥터의 단자대 본체와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전 커넥터의 일측에 손잡이용 돌출부를 구비시킴으로서 설치 및 교체작업시의 작업 신뢰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배선케이블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단자대 본체측과의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이 노출 구성되어진 상태에서 단자대 본체와의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배전 커넥터는 케이블 접속부가 양측으로 분리 구성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사이에는 단자대 본체측의 체결홀과 결합이 가능한 체결스크류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기판의 길이는 하부기판의 길이보다 길게 구비함으로서 양측단으로 돌출되어진 형태의 걸림턱부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를 통해 이룰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배전 커넥터가 단자대 본체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외관 사시도, 정면도 그리고 평면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결합상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 커넥터 구조를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 커넥터(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상부기판(28) 면에는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21)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2개소에 구성되었으며, 각 케이블 접속부(21)에는 배선케이블(30)의 착탈을 위한 착탈구(22)가 양측에 구비되었다.
특히, 상부기판(28)은 그 길이(D)를 하부기판(29)의 길이(d)에 비해 길게 제작함으로서 상,하기판간의 결합시 상부기판(28)의 양측단으로 돌출되어진 형태의 걸림턱부(28a)가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케이블 접속부(21) 사이의 기판 중앙부에는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을 관통하는 체결스크류(26)가 설치되었으며, 체결스크류(26)의 하부 소정구간에는 나사부(26a)가 형성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부기판(28)상에는 상기 체결스크류(26)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전원단자의 접속을 위한 전원접속부(23)와, 전원접속부(23)의 접속에 따른 전원 인가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는 2개소의 엘이디(LED)발광부(24)가 각각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하부기판(29)의 저면에는 단자대 본체(10)측의 접점부(15)와 결합시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25)이 2열을 이루어 돌출 구성되어져 있음을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20)의 단자대 본체(10) 결합작업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배전 커넥터(20)를 단자대 본체(10)에 결합시키기 전에 먼저 양측의 게이블 접속부(21)에 각각 동일 크기의 배선케이블(30)을 접속시키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접속은 착탈구(2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쌍을 이루고 있는 착탈구(22)가 벌어진 상태에서 배선케이블(30)을 해당 케이블 접속부(21)에 삽입시키게 되면 미도시된 작동구가 내부에서 눌려지면서 착탈구(22)가 조여져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선케이블(30)의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반대로 접속되어져 있는 배선케이블(3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착탈구(22)를 수동으로 벌려주게 되면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의 배전 커넥터(20)를 도 1에서와 같이 단자대 본체(10)의 개구측에 삽입시킨 후 눌러주게 되면 하부기판(29)의 배면에 돌출되어져 있는 다수의 도통핀(15)이 각각 접점부(15)에 삽입되어지면서 전기적 도통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호 대응위치에 구성되어져 있는 체결스크류(26)를 정방향으로 회전 시켜 단자대 본체(10)의 체결홀(16)에 체결시킴으로서 배전 커넥터(2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컨트롤박스에 외부충격이 가해지거나 부품 점검중 작업자가 실수로 배전 커넥터(20)를 접촉하더라도 단자대 본체(10)로 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짐으로서 전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배전 커넥터(2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별도의 전원단자(미도시)를 상부기판(28)상에 설치되어져 있는 전원접속부(23)에 접속시키게 되면, 인가전원에 의해 엘이디(LED)발광부(24)가 특정 색상의 빛으로 발광되어지면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된다.
한편, 부품의 점검 또는 교체를 위해 배전 커넥터(20)를 단자대 본체(10)로 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스크류(26)를 역방향으로 돌려주어 나사부(26a)에 의한 체결홀(16)과의 결합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배전 커넥터(20)를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체결스크류(26)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되어진 상태에서도 도통핀(25)과 접점부(15) 상호간의 일정 체결력이 작용하여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부기판(28)의 양측에 돌출 구비되어져 있는 걸림턱부(28a)를 잡고 들어올려주면 배전 커넥터(20)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비교예로서, 종래에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동일한 길이를 이루고 있었 기 때문에 배전 커넥터를 단자대 본체로 부터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걸림부가 구비되어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따라서 상,하부 기판을 양측에서 눌러서 가압한 상태에서 강제로 들어올려야 했기 때문에 배전 커넥터의 외형적인 변형 내지는 크랙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상부기판(28)의 걸림턱부(28a)가 단자대 본체(10)의 양측으로 돌출 구비된 상태를 이루게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해당 걸림턱부(28a)를 이용해 상부로 당겨주는 힘만 살짝 가하게 되면 배전 커넥터(20)의 이탈에 따른 종래 문제가 해결되어질 수 있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배전 커넥터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부기판의 양측으로 기판이 단순히 동일한 폭 및 두께로 연장되어 걸림턱부를 형성하고 있으나, 이러한 걸림턱부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는, 상부기판의 걸림턱부 연장구조를 통해 제어설비의 컨트롤박스 내에 설치 되어지는 단자대 본체와의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배전 커넥터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배전 커넥터에서의 전원 인가상태가 엘이디를 통해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될 수 있게되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21)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단자대 본체(10)측과의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25)이 노출 구성되어진 상태에서 단자대 본체(10)와의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전 커넥터(20)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28)상의 케이블 접속부(21)가 양측으로 분리 구성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사이에는 단자대 본체(10)측의 체결홀(16)과 결합이 가능한 체결스크류(26)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기판(28)의 길이(D)는 하부기판의 길이(d)보다 길게 구비함으로서 양측단으로 돌출되어진 형태의 걸림턱부(28a)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28) 상에는 체결스크류(26)를 중심으로 일측에는 전원단자의 접속을 위한 전원접속부(23)를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에는 전원접속시 발광이 이루어지는 엘이디 발광부(24)가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스크류(26)는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을 관통하여 나사부(26a)가 하향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20050018689A 2005-03-07 2005-03-07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0619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689A KR100619219B1 (ko) 2005-03-07 2005-03-07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689A KR100619219B1 (ko) 2005-03-07 2005-03-07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026U Division KR200385068Y1 (ko) 2005-03-07 2005-03-07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219B1 true KR100619219B1 (ko) 2006-09-06

Family

ID=37625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689A KR100619219B1 (ko) 2005-03-07 2005-03-07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2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966B1 (ko) 2006-11-24 2008-01-04 주식회사 이티에이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커넥터
KR101803419B1 (ko) 2017-07-13 2017-12-01 장성현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1841110B1 (ko) * 2017-08-17 2018-05-04 손성민 배전반 컨트롤 박스
KR101912051B1 (ko) 2017-11-24 2018-10-25 장성현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2632599B1 (ko) 2023-08-14 2024-02-01 (주) 우영종합전기 산업 장비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62187A (ja) * 1994-10-05 1996-06-21 Sega Enterp Ltd コネクタと基板との接続構造並びこれに使用されるコネクタ
KR0170030B1 (ko) * 1994-01-12 1999-03-30 루이스 에이. 헥트 필터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H11121102A (ja) * 1997-10-09 1999-04-30 Nitsuko Corp 屋外電気機器における外部接続ケーブルの接続方法 および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030B1 (ko) * 1994-01-12 1999-03-30 루이스 에이. 헥트 필터식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H08162187A (ja) * 1994-10-05 1996-06-21 Sega Enterp Ltd コネクタと基板との接続構造並びこれに使用されるコネクタ
JPH11121102A (ja) * 1997-10-09 1999-04-30 Nitsuko Corp 屋外電気機器における外部接続ケーブルの接続方法 および接続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1966B1 (ko) 2006-11-24 2008-01-04 주식회사 이티에이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커넥터
KR101803419B1 (ko) 2017-07-13 2017-12-01 장성현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1841110B1 (ko) * 2017-08-17 2018-05-04 손성민 배전반 컨트롤 박스
KR101912051B1 (ko) 2017-11-24 2018-10-25 장성현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2632599B1 (ko) 2023-08-14 2024-02-01 (주) 우영종합전기 산업 장비 제어를 위한 콘트롤박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2638B1 (ko) 공간 효율성이 우수하게 회로 기판 사이에 연결가능한 커넥터
KR100619219B1 (ko)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1690332B1 (ko) Led 소켓 조립체
US9054453B2 (en) Connector
US20210231296A1 (en) Light fixture and method of mounting light fixture
US20140134888A1 (en) Field-replaceable printed circuit board cable assembly and method of use
KR20130071538A (ko) 슬라이드 타입 커넥터
WO2018103628A1 (zh) 一种光源模组及灯具
KR200385068Y1 (ko)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KR102221360B1 (ko) 커넥터 결속형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JP5789772B2 (ja) 照明器具
KR100791966B1 (ko)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커넥터
US8337217B2 (en) Socket for surface mount module
IT201800003800A1 (it) Distributore di energia elettrica fra connettori
KR102653138B1 (ko) 배전 커넥터
JP5333745B2 (ja) 電気機器
KR101025934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소켓 베이스 램프조립체
CN216624776U (zh) 指示灯模块和用电器
KR20100119393A (ko) 전기 커넥터
KR100267236B1 (ko) 컨넥터
CN213065816U (zh) 一种吸顶灯安装结构与一种吸顶灯
JP7215006B2 (ja) 端子着脱装置
JP2013069473A (ja) 照明器具
KR101912051B1 (ko)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CN221126289U (zh) 一种led电路板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