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051B1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Google Patents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2051B1 KR101912051B1 KR1020170158261A KR20170158261A KR101912051B1 KR 101912051 B1 KR101912051 B1 KR 101912051B1 KR 1020170158261 A KR1020170158261 A KR 1020170158261A KR 20170158261 A KR20170158261 A KR 20170158261A KR 101912051 B1 KR101912051 B1 KR 1019120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plate
- plate
- bumper
- control box
- distribution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1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crew or screw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21)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단자대 본체(10)측과의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25)이 구성된 상태에서 단자대 본체(10)와의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전 커넥터(20)에 있어서, 기 상부기판(28)상의 케이블 접속부(21)가 양측으로 분리 구성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사이에는 단자대 본체(10)측의 체결홀(16)과 결합이 가능한 체결스크류(26)가 구비되며, 기 단자대 본체(10)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181)이 구비되며, 상기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범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범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범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범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넥터의 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파손을 방지할 수다.
따라서, 넥터의 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파손을 방지할 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컨트롤박스는 산업용 자동화설비의 시설물 제어를 특성상 각 설비의 제어라인인 다수의 배선 케이블이 외부로부터 연결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배선 케이블의 연결을 위해서는 케이블과 단자대 본체간의 접속 및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배전 커넥터 부재가 사용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커넥터는 상,하 기판의 결합체로 이루어져 있어 상부측에 배선 케이블이 접속되어진 상태에서 각각의 배선단자를 이루고 있는 단자대 본체에 삽입됨으로서 접속 설치되어지게 된다. 종래 배전 커넥터의 경우 배면측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도통핀이 단자대 본체의 접점부에 압입에 의해 끼워져 삽입된 압입력에 의해 체결되어지게 되는데, 이때 별도의 결합부재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배전 커넥터를 단자대 본체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손잡이를 이룰만한 별도의 부재가 구비 되어 있기 않기 때문에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전 커넥터가 단자대 상에서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충격으로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전 커넥터 취급상의 작업 편의성과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21)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단자대 본체(10)측과의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25)이 구성되어진 상태에서 단자대 본체(10)와의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전 커넥터(20)에 있어서, 기 상부기판(28)상의 케이블 접속부(21)가 양측으로 분리 구성된 상태에서 상호간의 사이에는 단자대 본체(10)측의 체결홀(16)과 결합이 가능한 체결스크류(26)가 구비되며, 상기 단자대 본체(10)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181)이 구비되며, 상기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18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범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범퍼유닛(1811)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범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범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에 의하면 넥터의 결합구조 변경을 통해 결합 또는 분리작업이 보다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내적 또는 외적 요인에 의한 물리적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전 커넥터의 단자대 본체 분리시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배전 커넥터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 커넥터의 단자대 본체 분리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범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배전 커넥터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결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 커넥터의 단자대 본체 분리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범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배전 커넥터가 단자대 본체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외관 사시도, 정면도 그리고 평면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 결합상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 커넥터 구조를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 커넥터(20)는 플레이트 형태의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는데, 그중 상부기판(28) 면에는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21)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2개소에 구성되었으며, 각 케이블 접속부(21)에는 배선케이블(30)의 착탈을 위한 착탈구(22)가 양측에 구비되었다.
특히, 상부기판(28)은 그 길이(D)를 하부기판(29)의 길이(d)에 비해 길게 제작함으로서 상,하기판간의 결합시 상부기판(28)의 양측단으로 돌출되어진 형태의 걸림턱부(28a)가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케이블 접속부(21) 사이의 기판 중앙부에는 상부기판(28)과 하부기판(29)을 관통하는 체결스크류(26)가 설치되었으며, 체결스크류(26)의 하부 소정구간에는 나사부(26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기판(28)상에는 상기 체결스크류(26)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는 전원단자의 접속을 위한 전원접속부(23)와, 전원접속부(23)의 접속에 따른 전원 인가시 발광이 이루어지게 되는 2개소의 엘이디(LED)발광부(24)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한편, 하부기판(29)의 저면에는 단자대 본체(10)측의 접점부(15)와 결합시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25)이 2열을 이루어 돌출 구성되어 있음을 도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 배전 커넥터(20)의 단자대 본체(10) 결합작업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배전 커넥터(20)를 단자대 본체(10)에 결합시키기 전에 먼저 양측의 게이블 접속부(21)에 각각 동일 크기의 배선케이블(30)을 접속시키게 되는데, 이때 케이블 접속은 착탈구(2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쌍을 이루고 있는 착탈구(22)가 벌어진 상태에서 배선케이블(30)을 해당 케이블 접속부(21)에 삽입시키게 되면 미도시된 작동구가 내부에서 눌려지면서 착탈구(22)가 조여져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배선케이블(30)의 안정적인 접속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반대로 접속되어 있는 배선케이블(30)을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착탈구(22)를 수동으로 벌려주게 되면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된다. 이와같이 배선케이블(30)의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의 배전 커넥터(20)를 도 1에서와 같이 단자대 본체(10)의 개구측에 삽입시킨 후 눌러주게 되면 하부기판(29)의 배면에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도통핀(15)이 각각 접점부(15)에 삽입되면서 전기적 도통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호 대응위치에 구성되어 있는 체결스크류(26)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단자대 본체(10)의 체결홀(16)에 체결시킴으로서 배전 커넥터(2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된다. 따라서, 컨트롤박스에 외부충격이 가해지거나 부품 점검중 작업자가 실수로 배전 커넥터(20)를 접촉하더라도 단자대 본체(1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어짐으로서 전기적인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배전 커넥터(2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별도의 전원단자(미도시)를 상부기판(28)상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접속부(23)에 접속시키게 되면, 인가전원에 의해 엘이디(LED)발광부(24)가 특정 색상의 빛으로 발광되어지면서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부품의 점검 또는 교체를 위해 배전 커넥터(20)를 단자대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체결스크류(26)를 역방향으로 돌려주어 나사부(26a)에 의한 체결홀(16)과의 결합력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배전 커넥터(20)를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체결스크류(26)에 의한 고정력이 해제된 상태에서도 도통핀(25)과 접점부(15) 상호간의 일정 체결력이 작용하여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상부기판(28)의 양측에 돌출 구비되어 있는 걸림턱부(28a)를 잡고 들어올려주면 배전 커넥터(20)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즉 비교예로서, 종래에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이 동일한 길이를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배전 커넥터를 단자대 본체로부터 이탈시키고자 하는 경우 별도의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따라서 상,하부 기판을 양측에서 눌러서 가압한 상태에서 강제로 들어올려야 했기 때문에 배전 커넥터의 외형적인 변형 내지는 크랙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는 상부기판(28)의 걸림턱부(28a)가 단자대 본체(10)의 양측으로 돌출 구비된 상태를 이루게 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해당 걸림턱부(28a)를 이용해 상부로 당겨주는 힘만 살짝 가하게 되면 배전 커넥터(20)의 이탈에 따른 종래 문제가 해결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전 커넥터의 단자대 본체 분리시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의 일실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범퍼모듈(181)은 상기 단자대 본체(10)의 저면부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범퍼모듈(181)은 상기 단자대 본체(10)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바디부(B)의 저면부에 접하는 범퍼유닛(18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범퍼유닛(1811)은 상기 테이블(10)의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1811c, 1811d)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은 내부에 탄성충진재(1811e)가 충진되되,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충진되며,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소정의 범퍼공간(H1)이 복수 형성되며, 상기 각 범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범퍼공간(H1)은 상기 내부보강판의 너비 이상의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T2)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T2)와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가 상기 범퍼공간(H1)을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는 상호 형합적인 요철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유닛(1812)과 상기 바디부(B)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리프팅수단(LU)이 구비되는데, 상기 범퍼유닛(1811)은 상기 하부유닛(1812) 상에서 일정 범위 내로 유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된다. 상기 범퍼유닛(1811)은, 상기 하부유닛(1812)의 각 모서리부 상에 위치되는 제1모드와, 상기 각모서리부로부터 상기 하부유닛(1812)의 가상의 중심점을 향하여 동시적 또는 비동시적으로 유동되는 제2모드로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프팅수단(LU)을 통하여 상기 하부유닛(1812)과 상기 바디부(B)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범퍼유닛(1811)을 상기 제1모드 또는 상기 제2모드로 동작시킨다. 상기 리프팅수단(LU)은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범퍼유닛(1811) 사이에 구비되는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1모드 상태에서 상기 범퍼유닛(1811)의 저면에 구비되며 상기 제2모드 상태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리프팅을 수행하는 제2리프팅수단(LU2)과, 상기 제1모드를 기준으로 상기 범퍼유닛(1811) 사이에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보다 작은 직경으로 구비되는 제3리프팅수단(LU3)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1차적으로 상기 제1리프팅수단(LU1)과 상기 제3리프팅수단(LU3)을 1차적으로 구동시키며, 2차적으로 상기 범퍼유닛(1811)을 제1모드로 동작시키며, 3차적으로 상기 제2리프팅 수단을 구동시킨다.
도 9는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프레임(101)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b1)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 및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과 마주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1)에 대한 범퍼을 위한 범퍼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범퍼구(1811i)는 탄성수단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도 10는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최상단보강판, 복수의 중단 보강체, 최하단보강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은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접촉되는 최상단상판(1811f1)과, 상기 최상단 상판과 탄성체(E2)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상단하판(1811f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상단하판(1811f2)의 저면에는 하면돌기(T1)가 형성된다. 상기 중단 보강판(1811h)은 상기 범퍼공간(H1)을 사이에 두고 상기 최상단 하판(1811f)과 대향하는 중단상판(1811h1)과, 상기 중단상판(1811h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중단하판(1811h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단상판(1811h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상기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기 범퍼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단하판(1811h2)과 대향하는 최하단상판(1811g1)과, 상기 최하단상판(1811g1)과 탄성체를 매개로 결속되는 최하단하판(1811g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최하단상판(1811g1)의 상면에는 상면돌기(T2)가 형성된다.
도 11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범퍼유닛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UT)가 형성된다.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하방돌출부(DT)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방돌출부(U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고정판(1811a1)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상방돌출부(UT) 및 상기 제1고정판(1811a1)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5)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상기 하방돌출부(DT)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4고정판(1811b2)과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상기 하방돌출부(DT)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E6)으로 결속되어 탄성복원력이 부여된다. 한편 상기 범퍼유닛(1811)은 전체적인 형상이 직육면체 또는 정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즉, 상기 상부고정판(1811a),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상기 탄성하우징(1811c)은 직육면체 또는 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탄성하우징(1811c)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상방과 하방으로 보다 원활한고 안정적인 범퍼 기능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범퍼구(1811i) 역시 상기 탄성하우징(1811c)와 함께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보다 용이한 범퍼 작용이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보강판(1811h) 역시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탄성충진체(1811e) 상에서 상기 범퍼공간(H1)을 경유한채 상호 상방과 하방 간에 범퍼되어 접촉한다. 이때 상기 최상단보강판(1811f), 최하단보강판(1811g), 중단 보강판(1811h)은 상기 상면돌기(T2)와 상기 하면돌기(T1)를 통해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여 추가적으로 충격에 의한 유동을 방지시키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범퍼유닛(1811)은 충격이 가해지기 전과 충격이 가해진 후를 비교 했을 때, 충격이 가해진 후의 형상은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하게 가압된 형상을 뛰게 되는 것이다.
도 12는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범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바디부(B)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범퍼모듈(181)이 구비되며, 상기 범퍼모듈(181)은 바닥부와 접하는 하부유닛(1812)과, 상기 하부유닛(1812)의 상방에서 상기 바디부(B)의 저면부와 접하는 범퍼유닛(1811)을 포함하며, 상기 범퍼유닛(1811)은, 상기 바디부(B)의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1811b)과,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고정판(1811b)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범퍼공간(H1)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범퍼공간(H1)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1811a)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1811f)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1811b)과 마주하는 최하단보강판(1811g)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1811h)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 상기 중단 보강판(1811h)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가 상기 범퍼공간(H1)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부고정판(1811a)은 상기 바디부(B) 저면과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1811a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상단 보강판(1811f)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1811a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고정판(1811b)은 상기 하부유닛(1812)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1811b1)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1811g)과 마주접하는 제4고정판(1811b2)을 포함한다. 상기 제2고정판(1811a2)은 상기 제1고정판(1811a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은 상기 제3고정판(1811b1)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 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범퍼공간(H1)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TH)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공간(H1)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C1)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C1)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TH)를 통해 상기 각 범퍼공간(H1)으로 유입된다. 상기 범퍼공간(H1) 상에는 상기 캡슐(C1) 또는 상기 캡슐(C1)로부터 유출된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1 히팅수단(HT1)이 구비되며, 상기 연통로(TH) 상에는 경유되는 상기 내용물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지그재그 형태의 상기 외측면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통기공(AH)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충진재(1811e)는 중앙부에 소정의 중공영역(H2)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영역(H2) 상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인출수단(40)에 대한 범퍼 기능을 위한 범퍼구(1811i)가 구비된다. 상기 범퍼구(1811i)는 탄성수단(E)을 매개로 상호 결속되는 상판(1811i1)과 하판(1811i2)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판(1811a)과 상기 하부 고정판(1811b)에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2 캡슐(C2)이 내장되며, 상기 탄성수단(E)의 양측에서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 이웃하도록 종방향을 따라 한 쌍의 종보강체(LP)가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내용물이 유출되는 제3 캡슐(C3)이 내장된다. 상기 상판(1811i1)과 상기 하판(1811i2)에는 상기 제2 캡슐(C2)을 히팅하기 위한 제2 히팅수단(HT2)이 구비되며 상기 종보강체(LP)의 외측에는 상기 제3 캡슐(C3)을 히팅하기 위한 제3 히팅수단(HT3)이 구비된다. 상기 종보강체(LP)는 상기 종보강체(LP)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캡슐(C3)의 내용물이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여 토출되도록 상기 탄성수단을 향하는 면의 길이방향 상에 복수의 토출구(DC)가 형성된다. 상기 캡슐(C1), 상기 제2 캡슐(C2) 및 상기 제3 캡슐(C3)의 각 내용물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및 폴리스티렌(polystyrene)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도 13은 도 6에 따른 구성들 중 범퍼모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여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설명하면,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범퍼모듈(BM)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형 범퍼모듈(BM)은 상기 제2고정판(1811a2)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SH)와, 상기 용기부(SH)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한한다. 상기 파쇄물은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일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2 파쇄물(BM2)과, 상기 용기부(SH) 상에서 상기 제1 파쇄물(BM1)의 타측 종방향을 따라 복수 구비되는 제3 파쇄물(BM3)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파쇄물(BM1) 내지 상기 제3 파쇄물(BM3)은, 외측면 상에 요철형태의 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호 간에 형합되어 마주 접한다. 상기 제1 파쇄물(BM1)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1-1 파쇄물(BM1-1)이 내장되며, 상기 제2 파쇄물(BM2)는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2-1 파쇄물(BM2-1)이 내장되고, 상기 제3 파쇄물(BM3)은 내부에 상이한 강도의 제3-1 파쇄물(BM3-1)이 각각 내장되며, 상기 제1 파쇄물(BM1)과 상기 제1-1 파쇄물(BM1-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며, 상기 제2 파쇄물(BM2)와 상기 제2-1 파쇄물(BM2-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지고, 상기 제3 파쇄물 (BM3)과 상기 제3-1 파쇄물(BM3-1)은 상호간에 상이한 경도를 가진다.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2 파쇄물(BM2)의 외측과 상기 용기부(SH)를 향하는 상기 제3파쇄물(BM3)의 외측에는 각각 소정의 충진물(PM)이 충진되며, 상기 충진물(PM)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SH)와 대응되는 상기 제2고정판(1811a2)의 제1영역과 상기 제4고정판(1811b2)의 제2영역 상에는 각각 상기 파쇄물을 파쇄하기 위한 파쇄수단(AM)이 구비된다. 상기 파쇄수단(AM)은 발열을 위한 제5 히팅수단이 내장된다. 상기 제2고정판(1811a2) 및 상기 제4고정판(1811b2) 상에서 각각 상방과 하방간의 유동되어 상기 파쇄물을 가압하기 위한 제1 유동모드 및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하여 상기 파쇄물을 그라인딩하기 위한 제2 유동모드로 동작 된다. 한편, 상기 탄성하우징(1811c, 1811d)과 상기 용기부(SH) 사이에는 소정의 히팅수단(PH)이 구비된다. 상기 히팅수단(PH)는 제어부를 통한 외부의 제어 하에 선택적으로 동작되어 상기 용기부(SH)를 가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단자대 본체 15 : 접점부
16 : 스크류홀 20 : 배전 커넥터
21 : 케이블 접속부 22 : 착탈구
16 : 스크류홀 20 : 배전 커넥터
21 : 케이블 접속부 22 : 착탈구
Claims (1)
-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의 결합체로 이루어지되, 상부에는 배선케이블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케이블 접속부를 구성하고, 하부에는 단자대 본체측과의 전기적 도통을 위한 다수의 도통핀이 구성된 상태에서 단자대 본체와의 착탈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대 본체의 저면부 상에는 소정의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가 구비되며, 상기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는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하부유닛과, 상기 하부유닛의 상방에서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범퍼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범퍼유닛은 상기 저면부와 접하는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접하는 하부고정판과, 상기 상부고정판과 상기 하부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외측면부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하우징은 내부에 탄성충진재가 충진되고, 상기 탄성충진재는 종방향을 따라 복수의 범퍼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각 범퍼공간들 사이에는 내부 보강판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상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상단 보강판은 하부면에 소정형상의 하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 보강판들 중 상기 하부고정판과 마주하는 최하단 보강판은 상부면에 소정형상의 상면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상기 최하단 보강판 사이에 위치되는 중단 보강판들은 각각 상부면과 하부면에 상면돌기와 하면돌기가 형성되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로서,
상기 최상단 보강판, 상기 중단 보강판 및 상기 최하단 보강판 각각은,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는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하면돌기가 상기 범퍼공간를 경유하여 상호 접촉되며, 상기 상면돌기와 상기 하면돌기는 상호 대응되는 요철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고정판은 상기 저면부에 마주 접하는 상방의 제1고정판과, 수평방향 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고정판의 하부에 결속되며, 상기 최상단 보강판과 마주 접하는 제2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고정판은,
상기 하부유닛과 마주 접하는 하방의 제3고정판과, 수평방향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3고정판의 상부에 결속되며, 상기 탄성하우징, 상기 최하단 보강판과 마주 접하는 제4고정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고정판은 상기 제1고정판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고정판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에는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상방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4고정판은 상기 제3고정판의 면적을 초과하도록 적어도 양쪽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고정판의 양쪽 외측의 각 단부는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범퍼공간들은 상호간의 연통을 위한 하나 이상의 연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범퍼공간에는 소정의 내용물이 충진되는 캡슐이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기반하여 상기 캡슐이 파손되면 상기 내용물이 유출되고, 유출된 상기 내용물은 상기 연통로를 통해 상기 각 범퍼공간으로 유입되며,
상기 제2고정판과 상기 제4고정판 사이에는 외부의 충격에 기반하여 파쇄되는 소정의 파쇄형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이 구비되며, 상기 파쇄형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는 상기 제2고정판과 상기 제4고정판 사이에 구비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 내부에 구비되어 파쇄되는 파쇄물를 포함하는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8261A KR101912051B1 (ko) | 2017-11-24 | 2017-11-24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58261A KR101912051B1 (ko) | 2017-11-24 | 2017-11-24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88843A Division KR101803419B1 (ko) | 2017-07-13 | 2017-07-13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12051B1 true KR101912051B1 (ko) | 2018-10-25 |
Family
ID=64131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58261A KR101912051B1 (ko) | 2017-11-24 | 2017-11-24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2051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9219B1 (ko) | 2005-03-07 | 2006-09-06 | 주식회사 이티에이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KR100725875B1 (ko) | 2005-03-02 | 2007-06-12 | (주)엠피기술산업 |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
-
2017
- 2017-11-24 KR KR1020170158261A patent/KR1019120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5875B1 (ko) | 2005-03-02 | 2007-06-12 | (주)엠피기술산업 | 구조물용 면진 베어링장치 |
KR100619219B1 (ko) | 2005-03-07 | 2006-09-06 | 주식회사 이티에이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55713B2 (en) | Electrical-machine housing and power converter | |
US10553845B2 (en) | Battery module | |
US20110256740A1 (en) | Connector that enables connection between circuit boards with excellent space efficiency | |
US9462702B2 (en) | Power distribution box | |
JP7051297B2 (ja) | 電子機器及び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 | |
KR101723037B1 (ko) | 이차전지팩의 이차전지 연결장치 | |
KR20100129844A (ko) | Led 블록 조명장치 | |
KR101744511B1 (ko) | 터미널블록을 위한 인디케이터 장치 | |
KR20160011734A (ko) | 연성 인쇄회로 케이블 및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 | |
JP2016115442A (ja) | 組電池 | |
CN107645832A (zh) | 一种高可靠性pcb续接结构 | |
KR101912051B1 (ko)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
KR101803419B1 (ko)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
KR100619219B1 (ko) | 자동화설비 제어용 컨트롤박스 배전 커넥터 | |
JP5725983B2 (ja) | 照明器具 | |
KR101909406B1 (ko) | 플러그 커넥터용 벽 부싱 | |
US9515652B2 (en) | Relay module device | |
CN104956149B (zh) | 发光机构 | |
CN102332661B (zh) | 用于在电路板上保持模块的对准销 | |
KR101934720B1 (ko) | 모듈형 정션박스 | |
KR102219634B1 (ko) | 연결보드 키트 | |
JP2005260018A (ja) | 電子装置 | |
KR101443660B1 (ko)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접속불량 검출장치 | |
JP6752735B2 (ja) | 接続モジュール | |
KR101513280B1 (ko) |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 점핑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