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6006A -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 Google Patents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6006A
KR20190126006A KR1020197030197A KR20197030197A KR20190126006A KR 20190126006 A KR20190126006 A KR 20190126006A KR 1020197030197 A KR1020197030197 A KR 1020197030197A KR 20197030197 A KR20197030197 A KR 20197030197A KR 20190126006 A KR20190126006 A KR 2019012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frame
contact
contacts
housing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090B1 (ko
Inventor
토마스 바이셔
플로리안 쉥크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릭 게엠베하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12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장착 프레임(5)은 플러그-인 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단자 측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PE-접점(1)은 장착 프레임(5) 상에 배열되어 있다. 공지된 PE-접점은 일측으로부터만 접촉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PE-접점(1)은 단자 측 및/또는 플러그-인 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하다.

Description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범주에 따른,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으로부터 출발한다.
이와 같은 접점은, 접점이 삽입된 플러그 커넥터의 접지를 보장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DE 10 2014 109 351 B3호는, 보호 도체 브리지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여준다. 보호 도체 브리지는, 플라스틱 하우징 내에 있는 2개 PE-접점들 간의 연결부로서 이용된다. 이 보호 도체 브리지는, 측면에서 플러그 인서트(plug insert)에 장착될 수 있다.
DE 100 09 749 B4호는 직사각형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접점 고정부를 보여주며, 이러한 공보에는 PE-접점의 접촉을 위한 수단도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보에서, PE-접점은 고유의 챔버 내에 결합되어 있고, 플랜지 개구 및 스프링 요소와 함께 정렬되어 있다.
DE 10 2013 113 976 B4호에는, PE-접점을 위한 접속 영역을 갖는 장착 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장착 프레임의 금속의 실시예에 의해, 금속 하우징 내부에서 접지가 보장되었다.
종래 기술에서의 단점은, 공지된 해결책에서는 PE-접점이 플라스틱 장착 프레임과 함께 적용될 수 없다는 것이다.
독일 특허 및 상표청은, 본 출원에 대한 우선권 출원에서 다음과 같은 종래 기술을 조사하였다:
DE 10 2015 106 416 B3호 및 더 위에서 이미 언급된 DE 10 2014 109 351 B3호.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서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장착 프레임은 하우징 내에 수용 가능하다. 하우징은 플러그-인 측 및 단자 측을 구비하며, 이 경우 장착 프레임은 하나 이상의 플러그 인서트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장착 프레임은 플러그-인 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단자 측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PE-접점이 장착 프레임 상에 배열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PE-접점은 단자 측 및/또는 플러그-인 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장착 프레임은 플러그 커넥터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이용되며, 이 경우 장착 프레임에는 다양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장착된 다음에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내로 삽입되어 이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나사 결합된다. 이 경우, 장착 프레임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또는 분리 중에 발생하는 삽입력 및 견인력을 견딜 수 있기 위하여, 기계적으로 견고해야만 한다. 종래 기술에는, 금속 장착 프레임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장착 프레임이 존재하며, 이 경우 금속 장착 프레임에서는 전체 플러그 커넥터로의 하나의 PE-접점의 전환이 장착 프레임의 금속 재료에 의해서 보장되었다. 아주 빈번하게, 장착 프레임은 소위 무거운 플러그 커넥터와 조합된 상태로 사용된다.
다양한 유형의 플러그 커넥터 모듈들이 더 있다. 전력,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 모듈이 있다. 이 모듈은 보호 권리의 구성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된 모듈의 유형에 대해서는 이후로 상세하게 논의되지도 않을 것이다.
단자 측 및/또는 플러그-인 측으로부터 하우징 내로의 장착 프레임의 삽입 가능성은, 바람직한 방식으로 장착 동안 생산 직원을 위한 편의를 향상시킨다. 따라서, 이로 인해서는, 조립 공정 전에 케이블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 프레임 상에서의 배열 상태 및 PE-접점의 구성에 의해서, 단자 측 및/또는 플러그-인 측으로부터의 접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접촉 가능성은, 전체 조립 공정을 간소화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PE-접점이 2 레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2 레그 형태의 구성이란, PE-접점이 2개의 휘어진 요소들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들 요소들의 휨은 대략 "u"자 형상에 상응한다. 이 경우, 2개의 레그들 사이에 있는 연결 부재는 이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레그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적으로는, 연결 부재가 장착 프레임의 높이를 길이로서 가지므로, 연결 부재는 코너 영역에서 장착 프레임을 둘러쌀 수 있다.
PE-접점의 2개의 요소들은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고, "u"자 형상의 2개의 레그들 내에서 중첩된다. 이와 같은 상황은, 전류 용량을 증가시키고 장착 프레임에 대한 그리고 이로써 하우징에 대한 접촉 형성 면적을 증가시킨다.
1 레그 형태의 구성이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위해서는, 2개의 요소들 대신에 단 하나의 요소만 사용된다. 이 경우, 하나의 요소는 대략 u자 형상으로 휘어져 있다. 이 경우, 2개 레그들 사이에 있는 연결 부재는 이에 일체로 형성된 2개의 레그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적으로는, 연결 부재가 장착 프레임의 높이를 길이로서 가지므로, 연결 부재는 코너 영역에서 장착 프레임을 둘러쌀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PE-접점이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일 부재형의 형태는, 형상 측면에서 볼 때 PE-접점의 2 레그 형태의 실시예에 상응한다. 대안적으로, 단일 부재형의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2개 요소들의 하나의 레그에 하나의 고정 연결부만 존재할 수 있는 한편, 다른 측에서는 레그들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이들 레그들은 중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PE-접점이 장착 프레임 상에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형상 결합식의 실시예에 의해서는, 장착 프레임과 PE-접점 사이의 견고성이 확연하게 증가된다. 형상 결합식의 고정을 위해서는, PE-접점의 2 레그 형태의 실시예가 최상으로 적합한데, 그 이유는 2개의 요소들 각각이 결과적으로 장착 프레임의 코너 에지에 인접하기 때문이다.
특별한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PE-접점이 장착 프레임의 4개의 코너 모두에 장착될 수 있다. PE-접점의 형상 및 2 레그 형태의 구성에 의해서는, PE-접점이 장착 프레임의 각각의 코너에 유연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재차 플러그 커넥터의 배선 중에 편의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PE-접점이 장착 프레임 상의 고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공동부를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공동부를 갖는 구성에 의해서는, 장착 프레임 상에서의 그리고 이로써 하우징 상에서의 PE-접점의 확실한 고정이 보장된다. 공동부는, 하우징 상에 있는 장착 프레임의 나사 또는 조립 수단을 위한 관통 개구로서 이용된다. 대안적인 일 변형예에서, 공동부는 추가의 고정을 위한 나사산을 구비한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PE-접점이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금속, 특히 구리 합금 또는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진다. 구리 합금은 예를 들어 CuSn6, CuSn8 또는 Wieland K57 (CuNi1Co1Si)이다. 금속 재료에 의해서는, 전도성, 단락 전류 부하 용량 및 전류 용량이 확연하게 증가된다. 특히 높은 전류 용량 및 단락 전류 부하 용량은 다양한 테스트에서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특별한 일 실시예에서는, 장착 프레임이 하나 이상의 나선형 슬리브를 구비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나선형 슬리브는 장착 프레임의 하나의 코너에 배열되어 있다. 이상적인 방식으로, 장착 프레임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과의 확실한 전도성 나사 결합을 위해 4개 이상의 나선형 슬리브를 구비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나선형 슬리브가 황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전도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이용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장착 프레임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장착 프레임의 경우에는 PE-접점의 이용이 증가하는데, 그 이유는 금속 장착 프레임 자체가 PE-접점과 하우징 사이에서 전도성 연결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플라스틱 장착 프레임에서는 절연 특성으로 인해 상기와 같은 전도성 연결이 보장되지 않는다. 하지만, 플라스틱 프레임은 더욱 용이하고도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프레임이 선호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PE-접점과 조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이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다. 금속의 실시예에 의해서는, 하우징이 견고한 동시에, 하나 이상의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이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이 접지로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각각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고,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부에서,
도 1은 단일 부재형 PE-접점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대안적인 단일 부재형의, 2 레그형 PE-접점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3은 2 레그형 PE-접점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4는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간소화된 개략적인 도시들을 포함한다. 유사하지만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 않은 요소들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유사한 요소의 다양한 시각들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일 부재형 PE-접점(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 PE-접점은 2개 레그들(2) 중 하나로 서 있는 "u"자의 형상을 갖는다. "u"자의 2개의 레그들은 연결 부재(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PE-접점(1)의 형상은 소위 C-캐리어와 견줄만하다. 이와 같은 설정된 위치에서, PE-접점(1)이 장착 프레임(5) 상에 장착될 수 있다.
레그들(2)은 각각 공동부(4)를 구비한다. 공동부(4)는 둥글게 구현되어 있고, 장착 프레임(5) 상에서의 PE-접점(1)의 조립을 위한 고정 수단용 관통 개구로서 또는 플러그 인서트의 조립을 위한 고정 수단용 관통 개구로서 이용된다.
도 2는, 대안적인 단일 부재형의, 2 레그형 PE-접점(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PE-접점(1)은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어 있다. PE-접점(1)이 전개도에서 면으로서 고려되면, 슬롯은 2개의 레그들(2) 중 하나 및 연결 부재(3)를 2개의 부분으로 분할한다. 그 결과, 분리된 레그(2)에 마주 놓여 있는 하나의 레그(2)에 하나의 연결부만 존재하게 된다. 마주 놓여 있는 단일 부재형 레그(2)는, 단면에 의해서 나타나는 3개의 레그들(2) 간의 연결을 보장해준다.
분리된 레그들(2)은 고유의 공동부(4)를 각각 하나씩 구비한다. 단일 부재형 레그(2)에서, 공동부(4)는, 원형 공동부(4)의 중심과 레그(2)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공동부(4)는 둥글게 구현되어 있고, 장착 프레임(5) 상에서 PE-접점(1)의 조립을 위한 고정 수단용 관통 개구로서 또는 플러그 인서트의 조립을 위한 고정 수단용 관통 개구로서 이용된다.
휨 공정 후, PE-접점(1)은, 슬롯 내에 장착 프레임(5)의 코너 에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부재(3)는 장착 프레임(5)의 측면에 평평하게 접한다. 2개의 분리된 레그들(2)의 공동부들(4)은 휨 공정 후에 정렬되어 서로 겹치도록 놓인다. 마찬가지로, 굽힘 공정 후에 3개 공동부들(4)의 중심들은 하나의 선상에 정렬되어 서로 겹치도록 놓인다.
도 3은, 2 레그형 PE-접점(1)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PE-접점(1)은 2개의 부분들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부분들은 2개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PE-접점(1)이다. 이들 2개의 단일 부재형 PE-접점들(1)이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어 있으므로, 이들 접점들은 형상 측면에서 볼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PE-접점(1)에 상응한다.
서로에 대한 직각 배열에 의해서는, 장착 프레임(5)의 코너 에지를 둘러싸는 슬롯이 나타난다. 이 경우, 연결 부재(3)는 장착 프레임(5)의 측면에 평평하게 접한다. 2개의 PE-접점들(1)의 공동부들(4)은 조립 후에 정렬되어 서로 겹치도록 놓인다. 마찬가지로, 조립 후에는 4개 공동부들(4)의 중심들도 하나의 선상에 정렬되어 서로 겹치도록 놓인다.
장착 프레임(5) 상에서의 조립은, 공동부(4)를 통과해서 안내되는 고정 수단에 의해 도 1 및 도 2와 유사하게 이루어진다.
도 4는, 조립을 위해 준비된 4개의 PE-접점들(1)을 갖는 장착 프레임(5)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4개의 PE-접점들(1)은 각각 직사각형 장착 프레임(5)의 코너 에지들에 배열되어 있다. 이들 PE-접점들은 장착 프레임(5)과 형상 결합식으로 연결되어 있다. PE-접점들(1)은, 각각의 PE-접점(1)의 양측에 배열된 공동부들(4)로 인해 단자 측 및/또는 플러그-인 측으로부터 접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5)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이 장착 프레임은 PE-접점(1)의 고정을 위한 나선형 슬리브를 구비한다. 나선형 슬리브는 황동으로 이루어지고, 각각 암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암나사 내부에 고정 수단이 장착될 수 있다.
1: PE-접점
2: 레그
3: 연결 부재
4: 공동부
5: 장착 프레임

Claims (11)

  1. 하나 이상의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이며, 장착 프레임(5)은 플러그-인 측으로부터 그리고/또는 단자 측으로부터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PE-접점(1)은 장착 프레임(5) 상에 배열되어 있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PE-접점(1)은 단자 측 및/또는 플러그-인 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PE-접점(1)은 2 레그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PE-접점(1)은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PE-접점(1)은 장착 프레임(5) 상에 형상 결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하나의 PE-접점(1)이 장착 프레임(5)의 4개의 코너 모두에 장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PE-접점(1)은 장착 프레임(5)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동부(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PE-접점(1)은 전도성 재료, 예를 들어 금속, 특히 구리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5)은 하나 이상의 나선형 슬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9. 제8항에 있어서, 나선형 슬리브는 황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 프레임(5)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금속, 특히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E-접점(1)을 갖는 장착 프레임(5).
KR1020197030197A 2017-03-21 2018-03-06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KR102249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6036.7A DE102017106036B3 (de) 2017-03-21 2017-03-21 Halterahmen mit PE-Kontakt
DE102017106036.7 2017-03-21
PCT/DE2018/100198 WO2018171831A1 (de) 2017-03-21 2018-03-06 Halterahmen mit pe-kontak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6006A true KR20190126006A (ko) 2019-11-07
KR102249090B1 KR102249090B1 (ko) 2021-05-11

Family

ID=6173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197A KR102249090B1 (ko) 2017-03-21 2018-03-06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93260B2 (ko)
EP (1) EP3602697B1 (ko)
KR (1) KR102249090B1 (ko)
CN (1) CN110447148B (ko)
DE (1) DE102017106036B3 (ko)
PL (1) PL3602697T3 (ko)
RU (1) RU2730239C1 (ko)
WO (1) WO20181718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32147B3 (de) 2020-12-03 2022-04-14 Amphenol Tuchel Industrial GmbH Rechtecksteckverbind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937A (en) * 1983-05-02 1985-03-26 Amp Incorporated Latching-grounding blocks
EP0333386A1 (en) * 1988-03-15 1989-09-20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DE102014109351B3 (de) * 2014-07-04 2015-07-3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Schutzleiterbrück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8868A (en) * 1986-05-14 1987-08-25 Honeywell Information Systems Inc. Grounding gasket for D-shell connector
DE10009749B4 (de) * 2000-03-01 2004-11-04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Kontaktbefestigung
EP2156517A2 (en) * 2007-05-10 2010-02-24 Fci Support for electrical connector
CN201285823Y (zh) * 2008-08-27 2009-08-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1510649B (zh) * 2009-03-26 2010-08-18 西蒙电气(中国)有限公司 新型信息模块
DE102011107768B4 (de) * 2011-07-15 2015-04-09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13108383C5 (de) * 2013-08-05 2023-04-27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Steckverbindermodul
DE202014011449U1 (de) * 2013-12-12 2020-10-26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einen Steckverbinder
DE102013113976B4 (de) * 2013-12-12 2016-10-2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alterahmen für einen Steckverbinder
DE102015106416B3 (de) 2015-04-27 2016-06-02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Modularer Steckverbinder
RU169568U1 (ru) * 2016-11-08 2017-03-2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Каскад" Крепежная рамка для модуль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с защитным корпусо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6937A (en) * 1983-05-02 1985-03-26 Amp Incorporated Latching-grounding blocks
EP0333386A1 (en) * 1988-03-15 1989-09-20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DE102014109351B3 (de) * 2014-07-04 2015-07-30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Schutzleiterbrüc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090B1 (ko) 2021-05-11
EP3602697A1 (de) 2020-02-05
WO2018171831A1 (de) 2018-09-27
DE102017106036B3 (de) 2018-09-13
CN110447148A (zh) 2019-11-12
US10693260B2 (en) 2020-06-23
CN110447148B (zh) 2022-03-18
EP3602697B1 (de) 2021-05-05
US20190386434A1 (en) 2019-12-19
RU2730239C1 (ru) 2020-08-19
PL3602697T3 (pl) 202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3388C2 (ru) Модуль штекер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CN105706305B (zh) 用于异形安装轨的桥接模块
CA2896772C (en) Terminal block with ground strap, spring force terminals, and screw lug terminal
JP5024398B2 (ja) コネクタ
US8272891B2 (en) Connector
US10651578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8512069B2 (en) Flat plug electrical connector
CN109690880A (zh) 屏蔽金属板
US8480423B2 (en) Contact region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mber
JP6174759B2 (ja) 保護導体ブリッジを備えるプラグコネクタ
US8272887B2 (en) Connector
US9099820B2 (en) Electronics module with a side entry connection
US9887479B2 (en) Connector
US6494752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KR102249090B1 (ko) Pe-접점을 갖는 장착 프레임
US9666960B2 (en) Power connector for connecting a conductive wire to a circuit board
US20170005432A1 (en) Peripheral wedge seal member
JP5308563B2 (ja) コネクタ
EP2689505B1 (en) Shield shell and shield shell attachment structure
CN217087067U (zh) 连接器转接装置和连接器组件
KR102338235B1 (ko) 간편 체결구조를 갖는 커넥터
KR101798826B1 (ko) 전등용 커넥터 결합구조
WO2015109280A1 (en) Terminal strip
ITMI990748U1 (it) Morsetto per connettore elettrico
KR20150018191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