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8191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8191A
KR20150018191A KR1020130094815A KR20130094815A KR20150018191A KR 20150018191 A KR20150018191 A KR 20150018191A KR 1020130094815 A KR1020130094815 A KR 1020130094815A KR 20130094815 A KR20130094815 A KR 20130094815A KR 20150018191 A KR20150018191 A KR 20150018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ocket
plug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4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대
Original Assignee
최영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대 filed Critical 최영대
Priority to KR1020130094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8191A/ko
Publication of KR20150018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1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2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locat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 양측에 소켓 커넥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방호벽을 형성하되 몰딩을 통해 위치 고정된 단자 몰딩부의 높이에 비해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단자 몰딩부의 보호를 통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면 길이방향 양측에 소켓 하우징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일정높이 형성되어지되 단자 몰딩부와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로 이루어져 삽입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감싸는 방호벽; 단자 몰딩부의 전후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면 전후에 방호벽과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플러그 하우징의 방호벽에 비해서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손으로 쉽게 분리하는 틈새인 공간부를 형성하는 보강벽; 소켓 하우징의 하부측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상에 방호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지되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방호벽 상단면과 밀착되는 단턱; 소켓 하우징의 전후면 하부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방호벽과 보강벽이 이루는 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방호벽의 내측면과 보강벽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수밀턱; 상기 소켓 커넥터의 수밀턱 사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홈;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분리시 수밀턱의 접속단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토록 상기 단자 접속홈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접속홈 개방부; 및 소켓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 각각의 하부면 상에 두 개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시 회로기판에 형성된 위치고정홈에 삽입 결합을 통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돌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접속단자 파손 방지구조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길이방향 양측에 몰딩을 통해 위치 고정된 단자 몰딩부의 높이에 비해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단자 몰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에서 전선이나, 회로 및 기기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접속용구로서, 여기서의 커넥터는 소형 회로기판의 신호 및 전원의 연결에 사용되는 커넥터이다.
이와같은 커넥터는, 서로 맞물려 결합되면서 전원 및 신호를 연결하는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로 이루어진다.
한편, 근래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은 점차 소형화되고 슬림화되어 감에 따라 그 기능은 복잡하고 다양화되어 가는 관계로 다수의 접속단자가 구성된 소형 커넥터가 이용되고 있다.
도 1 은 종래 소형 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일 실시 예의 커넥터(10)는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정되는 소켓 커넥터(20)와 소켓 커넥터(20) 상에 삽입 결합되어 전기적인 접속을 통해 전원 및 신호를 연결하는 플러그 커넥터(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커넥터(10)의 구성에서, 소켓 커넥터(20)는 플러그 커넥터(30)와의 삽입 접속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소켓 커넥터(20)베이스를 이루는 일정크기의 소켓 하우징(22), 상기 소켓 하우징(22)의 상부면 상에 격막(24a)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홈(24) 및 단자 접속홈(24) 각각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소켓핀(26)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소켓 커넥터(20)의 구성에서 소켓핀(26)은 단자 접속홈(24) 각각의 내측면 양측에 구성되는 접속단(26a)과, 상기 접속단(26a)의 하단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소켓 하우징(22)의 하부면 외측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단(26b)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접속단(26a)과 고정단(26b)으로 이루어진 소켓핀(26)은 몰딩 결합을 통해 소켓 하우징(22)에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의 기술에 따른 커넥터(30)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30)는 소켓하우징(22)에 대응하영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32), 소켓 커넥터(20)의 단자 접속홈(24)에 대응하여 플러그 하우징(32)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단자 몰딩부(34) 및 단자 몰딩부(34)에 의해 몰딩 고정되어지되 양측으로 양측단이 노출 구성되어 소켓 커넥터(20)의 소켓핀(2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핀(3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플러그 커넥터(30)의 플러그핀(36)은, 단자 몰딩부(34)에 의해 소켓 터넥터(20)의 단자 접속홈(24)에 삽입되어 소켓핀(26)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36a)과 접속단(36a)의 하단으로부터 플러그 하우징(32)의 하부면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납땜 등에 의해 회로기판에 연결 고정되는 고정단(36b)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는, 전체적인 폭이 1cm 이하의 매우 작은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단자 몰딩부의 강도가 매우 약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단자 몰딩부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단자 몰딩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는,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면에 습기 및 이물질이 유입되어 합선이 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문제도 있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로 이루어진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고정할 납땜하는 과정에서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유동되어 납땜불량이 발생하게 되며, 상기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시 상기 소켓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소켓 커넥터를 손으로 쉽게 분리할 수 없게 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다른 한편, 도 2는 종래 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로서, 상기 도 1의 커넥터(10)가 가지고 있는 단자 몰딩부(34)의 취약성에 의한 파손, 접촉면의 습기 및 이물질의 유입에 의한 접촉물량과 문제점 및 납땜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플러그 커넥터(30)의 단자 몰딩부(34) 상부면으로 단자 몰딩부(34)와 이격되어 돌출 되어지되 소켓 하우징(22)이 삽입 되는 보호벽(38)이 형성된 구조의 플러그 커넥터(30)에 관한 기술이다. 이때, 보호벽(38)은 소켓 하우징(22)의 외측 둘레를 감싸도록 일체로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도 2에 따른 커넥터(10)는 소켓 하우징(22)의 외측 모서리에 보호벽(38)의 상부 끝단과 맞닿는 단턱부(28)가 형성되는 한편, 소켓 하우징(22) 및 플러그 하우징(32)의 하부면 각각에 회로기판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22a, 32a)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시키는 경우 소켓핀 및 플러그핀 각각의 고정단은 수평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고정단이 절곡이나 찌그러짐 등의 이유로 훼손된 경우 회로기판측 접속단자와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접촉불량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보호벽이 소켓 커넥터의 소켓 하우징 외측 전둘레를 감싸도록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결합된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분리하는 경우 소켓 커넥터의 일측을 들어올리게 되면 취약한 단자 몰딩부나 보호벽의 파손 및 소켓 하우징의 단턱부 손상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도 2에 따른 종래의 커넥터는 취약한 단자 몰딩부나 보호벽의 파손 및 소켓 하우징의 단턱부 손상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소켓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직선방향으로만 분리할 수밖에 없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로부터 소켓 커넥터를 손으로 쉽게 분리할 수 없게 되는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최근에는, 전기접속기용 암ㅇ수 커넥터가 소켓 몰드와 플러그 몰드 및 각각의 몰드에 배열 고정되어 두 암ㅇ수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단자로 이루어져 암ㅇ수 커넥터의 결합에 의해 상호 관계하는 양측 커넥터의 접속단자가 전기적 으로 접속하는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8156호에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역시 전기접속기용 암ㅇ수 커넥터가 상호 밀착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상기 암ㅇ수 커넥터를 손으로 쉽게 분리할 수 없게 됨은 물론, 이를 억지로 분리시 접속단자의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0618156호(공고일 : 2016년 8월 23일)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 양측에 소켓 커넥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방호벽을 형성하되 몰딩을 통해 위치 고정된 단자 몰딩부의 높이에 비해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단자 몰딩부의 보호를 통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 양측에만 소켓 커넥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방호벽을 형성하되 전후단의 보강벽에는 틈새인 공간부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된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시 소켓 커넥터를 잡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부에 손가락을 넣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각각의 접속단자를 구성하되 접속단으로부터 하우징의 하부면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되는 고정단의 끝단을 하향으로 일정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시 고정단의 탄성력에 의해 회로기판의 접속단과 접촉이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촉불량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소켓 커넥터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수밀턱 사이에 형성된 단자 접속홈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접속홈 개방부가 마련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수밀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토록 하는데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절연재로 형성된 소켓 하우징과 소켓 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 접속홈 및 단자 접속홈의 내측에 구성되어 하단이 소켓 하우징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켓핀으로 구성된 소켓 커넥터; 및 절연재로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과 소켓 하우징의 상부면으로 단자 접속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단자 몰딩부 및 단자 몰딩부에 의해 몰딩 고정되어 소켓핀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되 하단이 플러그 하우징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플러그핀으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면 길이방향 양측에 소켓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하우징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일정높이 형성되어지되 단자 몰딩부와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로 이루어져 삽입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감싸는 방호벽; 단자 몰딩부의 전후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면 전후에 방호벽과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플러그 하우징의 방호벽에 비해서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손으로 쉽게 분리하는 틈새인 공간부를 형성하는 보강벽, 소켓 하우징의 하부측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상에 방호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지되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방호벽 상단면과 밀착되는 단턱; 소켓 하우징의 전후면 하부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방호벽과 보강벽이 이루는 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방호벽의 내측면과 보강벽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수밀턱; 상기 소켓 커넥터의 수밀턱 사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홈,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분리시 수밀턱의 접속단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토록 상기 단자 접속홈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접속홈 개방부 및 소켓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 각각의 하부면 상에 두 개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시 회로기판에 형성된 위치고정홈에 삽입 결합을 통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소켓 커넥터의 단자 접속홈은 소켓 하우징의 상부면 중심의 격막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두 개로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 몰딩부는 소켓 커넥터의 단자 접속홈에 대응하여 두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소켓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핀은 단자 접속홈 각각의 내측면 양측에 내측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몰딩 고정되어 플러그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 및 접속단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소켓 하우징의 하부면을 통해 외측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되는 고정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켓핀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은 접속단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핀은 단자 몰딩부에 의해 양측단이 노출되도록 몰딩 고정되어 소켓 커넥터의 소켓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 및 접속단의 하단으로부터 플러그 하우징의 하부면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납땜에 의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되는 고정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플러그핀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은 접속단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 양측에 소켓 커넥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방호벽을 형성하되 몰딩을 통해 위치 고정된 단자 몰딩부의 높이에 비해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하여 방호벽을 통해 단자 몰딩부의 보호하여 단자 몰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방향 양측에만 소켓 커넥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방호벽을 형성하되 전후단의 보강벽에는 틈새인 공간부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된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시 소켓 커넥터를 잡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공간부에 손가락을 넣어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각각의 접속단자를 구성하되 접속단으로부터 하우징의 하부면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되는 고정단의 끝단을 하향으로 일정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여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시 고정단의 탄성력에 의해 회로기판의 접속단과 접촉이 긴밀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접촉불량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소켓 커넥터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분리시 상기 소켓 하우징의 수밀턱 사이에 형성된 단자 접속홈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접속홈 개방부가 마련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수밀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하여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 은 도 4 의 "A-A"선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 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결합하여 보인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소켓 커넥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7 은 도 4 의 "A-A"선 단면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 역시 절연재로 형성된 소켓 하우징(210)과 소켓 하우징(210)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 접속홈(220) 및 단자 접속홈(220)의 내측에 구성되어 하단이 소켓 하우징(210)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켓핀(230)으로 구성된 소켓 커넥터(200)와 절연재로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310)과 소켓 하우징(210)의 상부면으로 단자 접속홈(220)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단자 몰딩부(320) 및 단자 몰딩부(320)에 의해 몰딩 고정되어 소켓핀(230)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되 하단이 플러그 하우징(310)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플러그핀(330)으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300)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플러그 하우징(310)의 상부면 길이방향 양측에 소켓 하우징(21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일정높이 형성되어지되 단자 몰딩부(320)와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로 이루어져 삽입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210)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감싸는 방호벽(340), 단자 몰딩부(320)의 전후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러그 하우징(310)의 상부면 전후에 방호벽(340)과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플러그 하우징(310)의 방호벽(340)에 비해서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310)을 손으로 쉽게 분리하는 틈새인 공간부(S)를 형성하는 보강벽(350), 소켓 하우징(210)의 하부측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상에 방호벽(34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지되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결합시 방호벽(340) 상단면과 밀착되는 단턱(240), 소켓 하우징(210)의 전후면 하부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방호벽(340)과 보강벽(350)이 이루는 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결합시 방호벽(340)의 내측면과 보강벽(350)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수밀턱(250), 상기 소켓 커넥터(200)의 수밀턱(250) 사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홈(220), 상기 소켓 하우징(210)에서 플러그 하우징(310)의 분리시 수밀턱(250)의 접속단(232)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토록 상기 단자 접속홈(220)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접속홈 개방부(221) 및 소켓 하우징(210)과 플러그 하우징(310) 각각의 하부면 상에 두 개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를 회로기판(400)에 전기적으로 결합시 회로기판(400)에 형성된 위치고정홈(410)에 삽입 결합을 통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돌기(260, 36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플러그 커넥터(300)의 플러그 하우징(310) 상에 방호벽(340)과 보강벽(350)의 형성을 통해 단자 몰딩부(320)를 보호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커넥터(300)에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라 하더라도 방호벽(340)과 보강벽(350)에 의해 단자 몰딩부(320)가 보호되므로 단자 몰딩부(3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호벽(350)과 보강벽(360)의 형성을 통해 플러그 커넥터(300) 전체의 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플러그 커넥터(300) 상에 방호벽(350)과 보강벽(360)을 형성하고, 또한 소켓 커넥터(200) 상에 단턱(240)과 수밀턱(250)을 형성함으로써,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결합시 단턱(240)과 수밀턱(250)의 단면이 방호벽(350)과 보강벽(360)의 단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된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사이로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합선이나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하부면 각각에 소켓 커넥터(200)의 소켓 하우징(210) 하부면과 플러그 커넥터(300)의 플러그 하우징(310) 하부면 각각에 회로기판(40)의 적소에 형성된 두 개 이상의 위치결정홈(410)에 대응하는 위치결정돌기(260, 360))를 형성함으로써 소켓 커넥터(200)의 소켓핀(230)과 플러그 커넥터(300)의 플러그핀(330)을 회로기판(400)의 접속단자(420)에 납땜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시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를 회로기판(400)에 위치를 고정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소켓 커넥터(200)의 소켓핀(230)과 플러그 커넥터(300)의 플러그핀(330)을 회로기판(400)의 접속단자(420)에 납땜시 납땜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소켓 커넥터(200)의 구성에서 단자 접속홈(220)은 도 5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0)의 상부면 중심의 격막(222)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두 개로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300)의 단자 몰딩부(320)는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의 단자 접속홈(220)에 대응하여 두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소켓 커넥터(200)를 구성하는 소켓핀(230)은 단자 접속홈(220) 각각의 내측면 양측에 내측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몰딩 고정되어 플러그핀(3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232) 및 접속단(232)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소켓 하우징(210)의 하부면을 통해 외측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회로기판(400)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되는 고정단(23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소켓핀(230)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234)은 접속단(232)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진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300)를 구성하는 플러그핀(330)은 단자 몰딩부(320)에 의해 양측단이 노출되도록 몰딩 고정되어 소켓 커넥터(200)의 소켓핀(23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332) 및 접속단(332)의 하단으로부터 플러그 하우징(310)의 하부면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납땜에 의해 회로기판(400)에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되는 고정단(334)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플러그핀(330)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334)은 접속단(332)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핀(230)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234)과 플러그핀(330)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334)을 접속단(232, 332)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를 회로기판(400)에 전기적으로 고정하는 경우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을 구성하는 소켓핀(230)과 플러그핀(330) 각각의 고정단(234, 334)이 회로기판(400)의 접속단자(420)에 탄력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접촉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소켓핀(230)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234)과 플러그핀(330)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334)을 접속단(232, 332)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소켓핀(230)과 플러그핀(330) 각각의 고정단(234, 334) 끝단부터 회로기판(400)의 접속단자(420)에 접촉하면서 점차적으로 전체와 접촉되는 구조이기 때문 접촉이 매우 양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300)를 구성하는 방호벽(340)은 플러크 커넥터(3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플러그 하우징(310)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 단자 몰딩부(32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방호벽(340)은 도 3, 도 4,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300)를 구성하는 플러그 하우징(310)의 상부면 길이방향 양측에 소켓 커넥터(200)를 구성하는 소켓 하우징(31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일정높이 형성되어지되 단자 몰딩부(320)와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로 이루어져 플러그 커넥터(300)에 삽입 결합되는 소켓 하우징(210)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감싸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하우징(310)의 상부면 길이방향 양측에 소켓 하우징(310)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일정높이 형성되는 방호벽(340)은 단자 몰딩부(320)에 비해 높거나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다. 또한, 방호벽(340)은 단자 몰딩부(320)와는 일정거리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어진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보강벽(350)은 방호벽(340)의 연결을 통해 방호벽(340)과 플러그 커넥터(300) 전체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강벽(350)은 도 3, 도 4,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몰딩부(320)의 전후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러그 커넥터(300)를 구성하는 플러그 하우징(310)의 상부면 전후에 방호벽(340)과 일체로 보강벽(350)이 형성되어지되 플러그 하우징(310)의 방호벽(340)에 비해서는 낮은 높이로 보강벽(350)이 형성되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자 몰딩부(320)의 전후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플러그 하우징(310)의 상부면 전후에 방호벽(340)과 일체로 형성된 보강벽(350)은 방호벽(340)에 비해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양측의 방호벽(340)과는 단차를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형성된 보강벽(350) 상단과 방호벽(340) 전후단 사이가 이루는 공간은 후술하는 소켓 커넥터(200)의 수밀턱(250)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 사이로 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하우징(310)의 방호벽(340)에 비해서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보강벽(350)에 의해 공간부(S)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하우징(310)을 손으로 쉽게 분리할 경우, 상기 공간부(S)에 손가락을 넣어 플러그 하우징(310)을 손쉽게 분리하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턱(240)은 플러그 커넥터(300)와 소켓 커넥터(200)의 결합시 플러그 커넥터(300)의 방호벽(340) 상단에 밀착되어 플러그 커넥터(300)의 방호벽(340) 상단과 소켓 커넥터(200) 양측 하단과의 사이를 수밀하는 것으로, 이러한 단턱(240)은 도 3, 도 4, 도 5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0)의 하부측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상에 방호벽(34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지되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결합시 방호벽(340) 상단면과 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0)의 하부측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상에 방호벽(340)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는 단턱(240)은 방호벽(340)의 두께와 길이에 대응하는 두께 및 길이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결합시 방호벽(340) 상단면과 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수밀은 물론, 소켓 커넥터(200)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겸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밀턱(250)은 플러그 커넥터(300)의 방호벽(340)과 보강벽(350)이 이루는 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소켓 커넥터(200)의 전후단에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전후단 사이를 수밀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수밀턱(250)은 도 3, 도 4, 도 5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0)의 전후면 하부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방호벽(340)과 보강벽(350)이 이루는 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결합시 방호벽(340)의 내측면과 보강벽(350)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0)의 전후면 하부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형성되는 수밀턱(250)은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결합시 방호벽(340)의 내측면과 보강벽(350)의 상단면에 밀착되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전후단으로 습기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소켓 커넥터(200)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소켓 커넥터(200)에서 플러그 커넥터(300)의 분리시 상기 소켓 하우징(210)의 수밀턱(250) 사이에 형성된 단자 접속홈(220)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접속홈 개방부(221)가 마련되어, 플러그 하우징(310)의 분리시 단자 몰딩부(320)가 상기 접속홈 개방부(221)를 통하여 좌우로 쉽게 움직이면서 플러그 하우징(310)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하며, 이에따라 상기 소켓 하우징(210)의 수밀턱(2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232)이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토록 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위치결정돌기(260, 360)는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를 회로기판(400)에 고정시 그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위치결정돌기(260, 360)는 도 3 내지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0)과 플러그 하우징(310) 각각의 하부면 상에 두 개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를 회로기판(400)에 전기적으로 결합시 회로기판(400)에 형성된 위치고정홈(410)에 삽입 결합을 통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결정돌기(260, 360)는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소켓핀(230)과 플러그핀(330)을 회로기판(400)의 접속단자(420)에 납땜을 통해 전기적으로 고정시키는 경우 회로기판(400)에 형성된 위치고정홈(410)에 삽입 결합을 통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켓핀(230)과 플러그핀(330)을 회로기판(400)의 접속단자(420)에 정위치시킬 수가 있어 납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방호벽(340), 보강벽(350), 단턱(240) 및 수밀턱(250)의 형성을 통해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의 강성을 보강함은 물론, 단자 몰딩부(320)의 보호 뿐만 아니라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 사이로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소켓핀(230)과 플러그핀(330)의 고정단(234, 334)을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소켓핀(230)과 플러그핀(330) 각각의 고정단(234, 334)과 회로기판(400)의 접속단자(420)를 전기적으로 결합시 보다 확실하게 접속시킬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 각각의 하부면에 위치결정돌기(260, 360)를 형성함으로써 소켓 커넥터(200)와 플러그 커넥터(300)를 회로기판(400)에 전기적으로 고정시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100. 커넥터 200. 소켓 커넥터
210. 소켓 하우징 220. 단자 접속홈
222. 격막 230. 소켓핀
232. 접속단 234. 고정단
240. 단턱 250. 수밀턱
260. 위치고정돌기 300. 플러그 커넥터
310. 플러그 하우징 320. 단자 몰딩부
330. 플러그핀 332. 접속단
334. 고정단 340. 방호벽
350. 보강벽 360. 위치고정돌기
400. 회로기판 410. 위치결정홈
420. 접속단자

Claims (6)

  1. 절연재로 형성된 소켓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된 단자 접속홈 및 상기 단자 접속홈의 내측에 구성되어 하단이 상기 소켓 하우징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켓핀으로 구성된 소켓 커넥터; 및 절연재로 형성된 플러그 하우징과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면으로 상기 단자 접속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단자 몰딩부 및 상기 단자 몰딩부에 의해 몰딩 고정되어 상기 소켓핀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되 하단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하부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플러그핀으로 구성된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면 길이방향 양측에 상기 소켓 하우징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일정높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단자 몰딩부와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소켓 하우징의 길이방향 양측면을 감싸는 방호벽;
    상기 단자 몰딩부의 전후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상부면 전후에 상기 방호벽과 일체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단자 몰딩부에 비해서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을 손으로 쉽게 분리하는 틈새인 공간부를 형성하는 보강벽;
    상기 소켓 하우징의 하부측 길이방향 양측 테두리 상에 상기 방호벽의 두께에 대응하는 두께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방호벽 상단면과 밀착되는 단턱;
    상기 소켓 하우징의 전후면 하부로부터 상부로 일정길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방호벽과 보강벽이 이루는 공간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상기 방호벽의 내측면과 보강벽의 상단면에 밀착되는 수밀턱;
    상기 소켓 커넥터의 수밀턱 사이에 형성되는 단자 접속홈;
    상기 소켓 하우징에서 플러그 하우징의 분리시 수밀턱의 접속단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토록 상기 단자 접속홈의 양측 단부가 개방되는 접속홈 개방부; 및
    상기 소켓 하우징과 플러그 하우징 각각의 하부면 상에 두 개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결합시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위치고정홈에 삽입 결합을 통해 상기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돌기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서, 상기 소켓 커넥터의 단자 접속홈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상부면 중심의 격막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두 개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 몰딩부는 상기 소켓 커넥터의 단자 접속홈에 대응하여 두 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기 소켓핀은 상기 단자 접속홈 각각의 내측면 양측에 내측단 일부가 노출되도록 몰딩 고정되어 상기 플러그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 및
    상기 접속단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소켓 하우징의 하부면을 통해 외측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되는 고정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핀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은 상기 접속단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구성하는 상기 플러그핀은 상기 단자 몰딩부에 의해 양측단이 노출되도록 몰딩 고정되어 상기 소켓 커넥터의 소켓핀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 및
    상기 접속단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하부면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납땜에 의해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 고정되는 고정단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핀의 하부를 구성하는 고정단은 상기 접속단 각각의 하단으로부터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30094815A 2013-08-09 2013-08-09 커넥터 KR20150018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815A KR20150018191A (ko) 2013-08-09 2013-08-09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4815A KR20150018191A (ko) 2013-08-09 2013-08-09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191A true KR20150018191A (ko) 2015-02-23

Family

ID=53046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4815A KR20150018191A (ko) 2013-08-09 2013-08-09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81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1290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975538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TWI506879B (zh) 電連接器
JP4943404B2 (ja) 電気コネクタ
TWI578629B (zh) 插頭連接器及與之對接的插座連接器
TWI509910B (zh) 連接器
CN104505642B (zh) 插头电连接器
US9077124B2 (en) Card edge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140113497A1 (en) Waterproof connector
US892636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detect function
TWI578644B (zh) 插座連接器及與之對接的插頭連接器
TWM500384U (zh) 電連接器組合
TWI623164B (zh) 電連接器及其料帶結構
CN204118348U (zh) 连接器组合件
TWI608674B (zh) 信號轉接裝置及轉接器總成
US7955129B2 (en) Camera socket having fold-back contact terminals arranged in high density
TWI626804B (zh) 轉接器總成及轉接器
CN108988613B (zh) 电源转换器及其电连接器模块
US9887495B2 (en) Power connector
CN205882239U (zh) 插头连接器、插座连接器与连接器组件
KR20150018191A (ko) 커넥터
US916632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guard
KR20160142520A (ko)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JP4218852B2 (ja) 回路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