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84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844B1
KR101302844B1 KR1020120014199A KR20120014199A KR101302844B1 KR 101302844 B1 KR101302844 B1 KR 101302844B1 KR 1020120014199 A KR1020120014199 A KR 1020120014199A KR 20120014199 A KR20120014199 A KR 20120014199A KR 101302844 B1 KR101302844 B1 KR 101302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ressing member
upper arm
cam
cont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2872A (ko
Inventor
히로유키 요코오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592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ons to contact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83Linear camming means or pivoting lever for connectors for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 H01R13/62988Lever acting directly on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e.g. recess provided to this purposeon the surface or edge of the flexible or rigid printed circuit boards, flat or ribbon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에 의해 접속 대상물을 2 종류의 컨택트에 압접시키는 커넥터이다. 컨택트의 각각은 상완부와 하완부를 갖고, 하우징에 유지된다. 가압 부재는, 상완부에 걸어 맞춘 회전 운동 가능한 캠을 갖는다. 하완부는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갖는다. 2 종류 중 일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캠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회전 운동 안내 단부를 갖는다.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가압 부재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스토퍼 단부를 갖고, 가압 부재는 스토퍼 단부에 대향한 걸림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발명은,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접속 대상물의 접속을 얻는 타입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액정 텔레비전의 내부에는, FPC 나 FFC 로 불리는 평형 도체가 다용되고 있다. 이 평형 도체와 같은 접속 대상물의 접속에는,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종류의 커넥터는 일본 특허 제 4390821호 (특허문헌 1) 에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라고 제목을 붙여 개시되어 있다.
도 12, 도 13A, 및 도 13B 를 사용하여,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3B 에 나타내는 커넥터는, 절연성의 하우징 (1) 과, 하우징 (1) 에 유지된 서로 이간되는 제 1 및 제 2 단자 (2, 3) 와, 제 1 및 제 2 단자 (2, 3) 에 평형 도체 (F) 를 압접시키기 위한 가압 부재 (4) 를 포함하고 있다. 가압 부재 (4) 는 제 1 및 제 2 단자 (2, 3) 에 대응한 홈부 (4a, 4b) 를 갖고, 이들 홈부 (4a, 4b) 에 축부 (4c, 4d)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축부 (4c) 는 제 1 단자 (2)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a) 에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타방의 축부 (4d) 는, 제 2 단자 (3) 의 2 개의 규제 안내부 (3a) 사이에 배치된다. 이렇게 하여, 가압 부재 (4) 는 축부 (4c, 4d) 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 조작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시에,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서 평형 도체 (F) 를 하우징 (1) 의 개구부 (1a) 에 삽입하여, 제 1 및 제 2 단자 (2, 3) 의 접촉부 (2b, 3b) 에 대응하도록 위치 결정한다. 그런 후에, 가압 부재 (4) 를 조작하여 가압 부재가 닫힌 상태를 얻음으로써, 평형 도체 (F) 를 접촉부 (2b, 3b) 에 압접시킨다.
또, 가압 부재 (4) 를 반대 방향으로 조작하여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를 얻으면, 평형 도체 (F) 를 하우징 (1) 의 개구부 (1a) 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2 내지 도 13B 의 커넥터에 있어서, 평형 도체 (F) 를 하우징 (1) 의 개구부 (1a) 에 삽입하고 있지 않은 접속 대상물 미장착시에, 가압 부재를 열린 상태로 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에 있을 때, 가압 부재 (4) 에 부하가 걸리면, 가압 부재 (4) 가 빠지는 경우가 있다. 또, 접속 대상물 미장착시에, 가압 부재를 닫힌 상태로 하는 경우도 있다. 이 상태에 있을 때에도, 가압 부재 (4) 에 부하가 걸리면, 동일하게 가압 부재 (4) 가 빠지는 경우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 검사시 등과 같이 접속 대상물 미장착시에 가압 부재 (4) 를 조작하는 소위 공 (空) 조작을 실시할 때, 가압 부재 (4) 의 중앙 부근이 활형으로 휘고, 축부 (4c) 가 제 1 단자 (2) 로부터 이탈되어, 가압 부재 (4) 가 빠질 우려가 있다.
가압 부재 (4) 가 빠지기 쉬운 원인은, 제 1 단자 (2) 의 회전 운동 지지부 (2a) 에 의해서만 가압 부재 (4) 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2 단자 (3) 가 가압 부재 (4) 의 빠짐 방지에 조금도 기여하고 있지 않는 것에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폐 조작되는 가압 부재의 빠짐 방지 효과를 높인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2 종류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컨택트에 압접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은 상완부와 하완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캠과 걸림부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의 하완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일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상기 캠의 1 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캠을 받아들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상기 걸림부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제 1 및 제 2 컨택트, 및 접속 대상물을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동인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의 각각은, 상기 접속 대상물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완부 및 하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컨택트의 상완부에 걸어 맞춘 회전 운동 가능한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의 각각의 하완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택트의 상완부의 단부 (端部) 에, 상기 캠을 받아들인 오목부를 갖는 U 자상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완부의 단부에, 상기 오목부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로 상기 가압 부재의 이탈을 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얻어진다.
추가로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2 종류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컨택트에 압접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은 상완부와 하완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상완부에 걸어 맞춘 회전 운동 가능한 캠을 갖고, 상기 하완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일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상기 캠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U 자상 단부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상기 가압 부재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T 자상 단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T 자상 단부에 대향한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가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의 정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A 부 확대도 ;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에 포함된 홀드 다운의 사시도 ;
도 4 는, 도 1 의 커넥터의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의 배면측으로부터의 사시도 ;
도 5 는, 도 1 의 커넥터에 포함된 가압 부재의 사시도 ;
도 6A 는, 도 5 의 가압 부재의 일부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
도 6B 는, 도 5 의 가압 부재의 타부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
도 7A 는, 도 1 의 커넥터의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의 일부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
도 7B 는, 도 1 의 커넥터의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의 타부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
도 7C 는, 도 1 의 커넥터의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가압 부재가 휜 상태를 나타내는, 도 7B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8A 는, 도 1 의 커넥터의 가압 부재를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를 향하여 약간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7A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8B 는, 도 8A 상태에 있어서의 도 7B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9A 는, 도 1 의 커넥터의 가압 부재를 도 8A 상태에서 더욱 닫힌 상태를 향하여 약간 조작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7A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9B 는, 도 9A 상태에 있어서의 도 7B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10A 는, 도 1 의 커넥터의 가압 부재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의 도 7A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10B 는, 도 10A 상태에 있어서의 도 7B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10C 는, 도 1 의 커넥터의 가압 부재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가압 부재가 휜 상태를 나타내는, 도 10B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11A 는, 도 1 의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0A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11B 는, 도 1 의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접속한 상태에 있어서의 도 10B 와 동일한 횡단면도 ;
도 12 는,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4390821호)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의 사시도 ;
도 13A 는, 도 12 의 커넥터의 일부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 및
도 13B 는, 도 12 의 커넥터 타부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
먼저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커넥터의 전체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한 커넥터 (10) 는 예를 들어 프린트 기판 (도시 생략) 등에 면실장되는 데에 적합한 것으로, 제 1 방향 (A1) 으로 가늘고 길게 신장된 형상을 갖는 하우징 (11) 을 포함하고 있다. 하우징 (11) 은, 절연성의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것이다. 하우징 (11) 의 제 1 방향 (A1) 에 있어서의 양단의 각각에는 금속제의 홀드 다운 (12) 이 구비되어 있다. 홀드 다운 (12) 은, 실장 대상이 되는 프린트 기판 등에 납땜되는 납땜부 (12a) 를 갖고 있다.
하우징 (11) 에는, 도전성의 단자인 다수의 컨택트가 제 1 방향 (A1) 으로 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배치 형성되고 또한 고정 유지되어 있다. 이들 콘택트는, 2 종의 컨택트, 즉, 제 1 컨택트 (13) 와 제 2 컨택트 (14) 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컨택트 (13) 2 개와 제 2 컨택트 1 개를 제 1 방향 (A1) 으로 교대로 나열된 배열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 배열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도시한 커넥터 (10) 는, 후문에서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추가로 제 1 컨택트 (13) 와 제 2 컨택트 (14) 를 이용하여 개폐 조작 가능하게 구비된 액츄에이터라고도 불리는 경우가 있는 가압 부재 (15) 를 포함하고 있다. 가압 부재 (15) 는 하우징 (11) 을 따라 제 1 방향 (A1) 으로 직선적으로 신장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 는 가압 부재 (15) 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와 함께 도 6A 및 도 6B 도 참조하여, 가압 부재 (15) 에 대해 설명한다.
가압 부재 (15) 는 나일론계 플라스틱 등의 가요 재료로 만들어진 가늘고 긴 판상인 것으로, 따라서 제 1 방향 (A1) 에 대해 약간 휠 수 있다. 특히, 가압 부재 (15) 가 판두께 방향으로 휘기 쉬운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 가압 부재 (15) 는 판폭 방향으로도 다소의 휨을 허용하는 것이다.
가압 부재 (15) 는 제 1 컨택트 (13) 와 제 2 컨택트 (14) 에 1 대 1 로 대응한 제 1 홈부 (15a) (도 6A) 와 제 2 홈부 (15b) (도 6B) 를 갖고 있다. 즉, 도 6A 는 제 1 홈부 (15a) 의 부분에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B 는 제 2 홈부 (15b) 의 부분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가압 부재 (15) 는, 제 1 홈부 (15a) 에 형성한 축부가 되는 캠 (15c) 과, 제 2 홈부 (15b) 에 형성한 걸림부 (15d) 를 갖고 있다.
캠 (15c) 은, 거의 단면 타원형을 따른 단면 형상을 갖고, 제 1 홈부 (15a) 의 중간에 배치되고 또한 제 1 홈부 (15a) 를 규정하는 대향 벽면에 양단을 일체 형성하고 있다. 걸림부 (15d) 는, 제 2 홈부 (15b) 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제 2 홈부 (15b) 를 규정하는 대향 벽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 (15c) 및 걸림부 (15d) 의 형상 및 치수는, 후술하는 커넥터의 작동 설명에 의해 밝혀진다.
도 7A 및 도 7B 도 참조하여, 커넥터 (10) 의 전체 구조의 설명을 계속한다. 도 7A 및 도 7B 는 접속 대상물이 미장착이고 또한 가압 부재 (15) 의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하우징 (11) 은,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기 위한, 제 1 방향 (A1) 에 직교하는 제 2 방향 (A2) 에서 전단 (도면에서는 좌단) 의 삽입구 (11a), 및 삽입구 (11a) 에 이어지는 배치 영역 (11b) 을 갖고 있다. 다음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은, 그 단부가 삽입구 (11a) 를 통하여 배치 영역 (11b) 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압 부재 (15) 를 조작하여 닫힌 상태로 함으로써, 커넥터 (10) 에 접속된다.
제 1 컨택트 (13) 는, 도 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 에 고정된 고정부 (13a) 와, 고정부 (13a) 로부터 제 2 방향 (A2) 에서 전방 (도면에서는 좌방) 으로 신장되어 배치 영역 (11b) 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상완부 (13b) 및 하완부 (13c) 를 갖고 있다. 상완부 (13b) 및 하완부 (13c) 의 전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제 1 컨택트 (13) 의 상완부 (13b) 의 단부, 즉, 자유단의 근방 부분에는, 가압 부재 (15) 의 캠 (15c) 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회전 운동 안내 단부 (이하 「U 자상 단부」라고 한다) (16) 가 형성되어 있다. U 자상 단부 (16) 는 캠 (15c) 을 회전 운동 가능하게 받아들인, 제 1 및 제 2 방향 (A1, A2) 에 직교하는 제 3 방향 (A3) 에서 하방향의 오목부 (16a) 를 갖고 있다.
제 1 컨택트 (13) 의 하완부 (13c) 의 단부, 즉, 자유단의 근방 부분에는,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 접촉을 얻기 위한 접촉부 (13d) 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 (13d) 는, 오목부 (16a) 에 거의 대향하는 위치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여 약간 돌출된 형상을 갖고 있다.
제 2 컨택트 (14) 는,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1) 에 고정된 고정부 (14a) 와, 고정부 (14a) 로부터 제 2 방향 (A2) 에서 전방 (도면에서는 좌방) 으로 신장되어 배치 영역 (11b) 의 상하 양측에 위치하는 상완부 (14b) 및 하완부 (14c) 를 갖고 있다. 상완부 (14b) 및 하완부 (14c) 의 전단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제 2 컨택트 (14) 의 상완부 (14b) 의 단부, 즉, 자유단의 근방 부분에는, 가압 부재 (15) 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스토퍼 단부 (이하 「T 자상 단부」라고 한다) (17) 가 형성되어 있다. T 자상 단부 (17) 는 걸림부 (15d) 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직선부 (17a) 와, 직선부 (17a) 로부터 오목부 (16a) 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 즉, 제 3 방향 (A3) 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17b) 를 갖고 있다. 또한, T 자상 단부 (17) 는 도 1 및 도 4 에 나타내는 제 1 방향 (A1) 에 있어서 U 자상 단부 (16) 로부터 위치가 어긋나 있다.
도 7A 및 도 7B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 (15) 의 걸림부 (15d) 가 제 2 컨택트 (14) 의 직선부 (17a) 의 돌기 (17b) 로부터 본 일측, 구체적으로는, 고정부 (14a) 측에서 직선부 (17a) 에 맞닿아 있다. 이렇게 하여, 가압 부재 (15) 는 제 2 컨택트 (14) 에 의해 열린 방향으로의 작동이 걸린다.
지금, 도 7A 및 도 7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이 미장착이고 또한 가압 부재 (15) 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가압 부재 (15) 에 제 2 방향 (A2) 에서 전방으로의 외력이 작용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가압 부재 (15) 는 가요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제 1 방향 (A1) (도 1 참조) 에 있어서의 중간부가 활형으로 휘면서, 제 2 방향 (A2) 에 있어서의 전방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U 자상 단부 (16) 의 오목부 (16a) 의 측면을 규정하는 벽부 (16b) 에 캠 (15c) 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더하여, 도 7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15) 의 걸림부 (15d) 가 T 자상 단부 (17) 의 돌기 (17b) 에 걸어 맞춰지게 되므로, 가압 부재 (15) 가 제 1 및 제 2 컨택트 (13, 14) 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 (16a) 의 측면을 규정하는 벽부 (16b) 와 돌기 (17b) 양방에 의해, 캠 (15c) 이 제 1 컨택트 (13)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 7A 및 도 7B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도, 가압 부재 (15) 의 이탈이 보다 확실하게 저지된다.
가압 부재 (15) 를 도 8A 및 도 8B 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도면 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면, 가압 부재 (15) 의 걸림부 (15d) 가 제 2 컨택트 (14) 의 상완부 (14b) 로부터 이간된다. 가압 부재 (15) 를 도 9A 및 도 9B 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도면 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회전 운동시키면, 가압 부재 (15) 의 걸림부 (15d) 가 제 2 컨택트 (14) 의 돌기 (17b) 의 상방을 통과한다.
가압 부재 (15) 를 도 10A 및 도 10B 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도면 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다시 회전 운동시키면, 가압 부재 (15) 의 걸림부 (15d) 가 제 2 컨택트 (14) 의 돌기 (17b) 의 반대측, 즉, 상완부 (14b) 의 자유단측에서 직선부 (17a) 에 맞닿는다. 따라서, 가압 부재 (15) 는 제 2 컨택트 (14) 에 의해 닫힌 방향으로의 작동이 걸린다.
지금, 도 10A 및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 대상물이 미장착이고 또한 가압 부재 (15) 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가압 부재 (15) 에 제 2 방향 (A2) 에서 후방으로의 외력이 작용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가압 부재 (15) 는 가요 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제 1 방향 (A1) (도 1 참조) 에 있어서의 중간부가 활형으로 휘면서, 제 2 방향 (A2) 에 있어서의 후방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U 자상 단부 (16) 의 오목부 (16a) 의 측면을 규정하는 벽부 (16c) 에 캠 (15c) 이 걸어 맞춰지는 것에 더하여 도 10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15) 의 걸림부 (15d) 가 T 자상 단부 (17) 의 돌기 (17b) 에 걸어 맞춰지게 되므로, 가압 부재 (15) 가 제 1 및 제 2 컨택트 (13, 14) 로부터 이탈되는 것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 (16a) 의 측면을 규정하는 벽부 (16c) 와 돌기 (17b) 양방에 의해, 캠 (15c) 이 제 1 컨택트 (13) 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도 10A 및 도 10B 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을 때에 가압 부재 (15) 의 이탈이 보다 확실하게 저지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10) 는 2 종류의 컨택트로 가압 부재 (15) 를 협지함과 함께, 가압 부재 (15) 에 부하가 걸렸을 때에, 가압 부재 (15) 가 활형으로 휘어 컨택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 미삽입시에 있어서 가압 부재 (15) 의 조작에 의한 컨택트로부터의 가압 부재 (15) 의 빠짐이나 가압 부재 (15) 에 부하를 걸었을 때의 컨택트로부터의 가압 부재 (15) 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커넥터 검사시 등에 가압 부재 (15) 를 접속 대상물의 미장착 상태에서 개폐하는 소위 공조작을 실시해도, 가압 부재 (15) 의 이탈이 생길 우려는 적다.
도 11A 및 도 11B 에, 커넥터 (10) 에 FPC 나 FFC 로 불리는 평형 도체로 이루어지는 접속 대상물 (18) 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 가압 부재 (15) 는 닫힌 상태에 있다.
도 1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15) 의 캠 (15c) 이 제 1 컨택트 (13) 의 상완부 (13b) 를 들어 올림에 수반하여, 그 반력에 의해 가압 부재 (15) 가 접속 대상물 (18) 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접속 대상물 (18) 의 하면의 제 1 접점부 (18a) 가 제 1 컨택트 (13) 의 접촉부 (13d) 에 압접된다.
또한 도 11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 부재 (15) 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접속 대상물 (18) 의 하면의 제 2 접점부 (18b) 는 제 2 컨택트 (14) 의 접촉부 (14d) 에도 압접된다. 이렇게 하여, 접속 대상물 (18) 은 제 1 및 제 2 컨택트 (13, 14) 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는, 가압 부재 (15) 의 걸림부 (15d) 는 제 2 컨택트 (14) 의 상완부 (14b) 로부터 이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또, 상기 실시형태의 일부 또는 전부는 이하의 부기와 같이 기재될 수도 있지만, 이들 부기는 본 발명의 범위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다.
(부기 1)
2 종류의 컨택트 (13, 14) 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11) 과,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컨택트에 압접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 (15) 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은 상완부 (13b, 14b) 와 하완부 (13c, 14c) 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캠 (15c) 과 걸림부 (15d) 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의 하완부 (13c, 14c) 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13d, 14d) 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일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 (13b) 는 상기 캠의 1 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캠을 받아들인 오목부 (16a) 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 (14b) 는, 상기 걸림부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돌기 (17b)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기 2)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 양방이 상기 가압 부재를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3)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직선부 (17a) 를 갖고, 상기 돌기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직선부와 상기 돌기 양방에서, 상기 캠이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4)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및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작용했을 때,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기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컨택트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5)
상기 접속 대상물이 미장착인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직선부의 상기 돌기로부터 본 일측 부분에 의해 열린 방향의 작동이 걸리고,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직선부의 상기 돌기로부터 본 타측 부분에 의해 닫힌 방향의 작동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6)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및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직선부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의 개폐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 또는 5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7)
절연성의 하우징 (11),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제 1 및 제 2 컨택트 (13, 14), 및 접속 대상물 (18) 을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동인 가압 부재 (15)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의 각각은, 상기 접속 대상물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 (11b) 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완부 (13b, 14b) 및 하완부 (13c, 14c)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컨택트의 상완부 (13b) 에 걸어 맞춘 회전 운동 가능한 캠 (15c)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의 각각의 하완부 (13c, 14c) 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13d, 14d)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택트의 상완부 (13b) 의 단부에, 상기 캠을 받아들인 오목부 (16a) 를 갖는 U 자상 단부 (16) 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완부 (14b) 의 단부에, 상기 오목부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17b) 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로 상기 가압 부재의 이탈을 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기 8)
상기 가압 부재는, 추가로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완부 (14b) 의 단부에 대향한 걸림부 (15d)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완부 (14b) 의 단부에, 추가로 직선부 (17a) 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와 상기 직선부로 T 자상 단부 (17) 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추가로 상기 T 자상 단부에 대향한 걸림부 (15d) 를 포함하는, 부기 7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9)
2 종류의 컨택트 (13, 14) 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 (11) 과, 접속 대상물 (18) 을 상기 컨택트에 압접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 (15) 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은 상완부 (13b, 14b) 와 하완부 (13c, 14c) 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캠 (15c) 을 갖고,
상기 하완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 (13d, 14d) 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일방의 종류의 컨택트 (13) 의 상완부 (13b) 는, 상기 캠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U 자상 단부 (16) 을 갖고,
상기 2 종류 중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 (14) 의 상완부 (14b) 는, 상기 가압 부재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T 자상 단부 (17) 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T 자상 단부에 대향한 걸림부 (15d)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부기 10)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U 자상 단부와 상기 T 자상 단부의 양방이 상기 캠의 이탈 방향의 작동을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9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11)
상기 U 자상 단부는, 상기 캠을 받아들인 오목부 (16a) 를 갖고, 상기 T 자상 단부는, 상기 캠에 대해 상기 U 자상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직선부 (17a) 와, 상기 직선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 (17b) 를 갖고, 상기 오목부의 측면을 규정하는 벽부 (16b, 16c) 와 상기 돌기 양방에서, 상기 캠이 상기 컨택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0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12)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작용했을 때, 상기 돌기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컨택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13)
상기 접속 대상물이 미장착인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직선부의 상기 돌기로부터 본 일측 부분에 의해 열린 방향의 작동이 걸리고,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직선부의 상기 돌기로부터 본 타측 부분에 의해 닫힌 방향의 작동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에 기재된 커넥터.
(부기 14)
상기 가압 부재는, 추가로 상기 T 자상 단부에 대향한 걸림부 (15d) 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및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직선부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의 개폐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 또는 13 에 기재된 커넥터.

Claims (14)

  1. 2 종류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컨택트에 압접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은 상완부와 하완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캠과 걸림부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의 하완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일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상기 캠의 1 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기 캠을 받아들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상기 걸림부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돌기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 양방이 상기 가압 부재를 걸리게 하고,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직선부를 갖고, 상기 돌기는, 상기 직선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직선부와 상기 돌기 양방에서, 상기 캠이 상기 오목부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및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작용했을 때,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기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컨택트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이 미장착인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직선부의 상기 돌기로부터 본 일측 부분에 의해 열린 방향의 작동이 걸리고,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직선부의 상기 돌기로부터 본 타측 부분에 의해 닫힌 방향의 작동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및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직선부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의 개폐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절연성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유지된 제 1 및 제 2 컨택트, 및 접속 대상물을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에 접촉시키기 위한 가동인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의 각각은, 상기 접속 대상물을 배치하기 위한 배치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완부 및 하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제 1 컨택트의 상완부에 걸어 맞춘 회전 운동 가능한 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컨택트의 각각의 하완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택트의 상완부의 단부 (端部) 에, 상기 캠을 받아들인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완부의 단부에, 상기 오목부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와 상기 돌기로 상기 가압 부재의 이탈을 저지하고,
    상기 가압 부재는, 추가로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완부의 단부에 대향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택트의 상완부의 단부에, 추가로 직선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압 부재에, 추가로 상기 돌기 및 상기 직선부에 대향한 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삭제
  9. 2 종류의 컨택트와, 상기 컨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과, 접속 대상물을 상기 컨택트에 압접시키기 위한 개폐 가능한 가압 부재를 갖고,
    상기 컨택트의 각각은 상완부와 하완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캠을 갖고,
    상기 하완부는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일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상기 캠의 회전 운동을 안내하는 U 자상 단부를 갖고,
    상기 2 종류 중 타방의 종류의 컨택트의 상완부는, 상기 가압 부재의 스토퍼로서 작용하는 T 자상 단부를 갖고,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T 자상 단부에 대향한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작용했을 때에, 상기 U 자상 단부와 상기 T 자상 단부 양방이 상기 캠의 이탈 방향의 작동을 걸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U 자상 단부는, 상기 캠을 받아들인 오목부를 갖고, 상기 T 자상 단부는, 상기 캠에 대해 상기 U 자상 단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로부터 상기 오목부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를 갖고, 상기 오목부의 측면을 규정하는 벽부와 상기 돌기 양방에서, 상기 캠이 상기 컨택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 있어서 외력이 상기 가압 부재에 작용했을 때, 상기 돌기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컨택트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대상물이 미장착인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직선부의 상기 돌기로부터 본 일측 부분에 의해 열린 방향의 작동이 걸리고,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직선부의 상기 돌기로부터 본 타측 부분에 의해 닫힌 방향의 작동이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1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및 닫힌 상태에 있을 때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가 상기 직선부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가압 부재의 개폐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20014199A 2011-04-28 2012-02-13 커넥터 KR1013028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00771A JP5801094B2 (ja) 2011-04-28 2011-04-28 コネクタ
JPJP-P-2011-100771 2011-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2872A KR20120122872A (ko) 2012-11-07
KR101302844B1 true KR101302844B1 (ko) 2013-09-02

Family

ID=47055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199A KR101302844B1 (ko) 2011-04-28 2012-02-13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01094B2 (ko)
KR (1) KR101302844B1 (ko)
CN (1) CN102761029B (ko)
TW (1) TWI53353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506B1 (ko) * 2012-02-27 2013-01-15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회로케이블용 커넥터
JP6336941B2 (ja) 2015-04-01 2018-06-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486477B2 (ja) * 2015-08-26 2019-03-2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8097979A (ja) * 2016-12-09 2018-06-21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976230B2 (ja)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22122144A (ja) * 2021-02-09 2022-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123213B1 (ja) * 2021-04-21 202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基板実装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906A (ko) * 2005-09-20 2007-03-2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안정적으로 동작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29929C1 (en) * 1989-09-08 1990-11-15 Stocko Metallwarenfabriken Henkels Und Sohn Gmbh & Co, 5600 Wuppertal, De Electrical plug-and-socket connector for flexible flat band cable - has two mutually parallel springy arms of fork springs having spacing corresp. to that of electrical conductors
US5370552A (en) * 1992-09-16 1994-12-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or
JP3295808B2 (ja) * 1999-10-06 2002-06-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2329536A (ja) * 2001-04-27 2002-11-15 Kyocera Elco Corp Fpc/ffc用コネクタ
JP2006100057A (ja) * 2004-09-29 2006-04-13 Hosiden Corp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TWM295357U (en) * 2005-11-28 2006-08-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958190B2 (ja) * 2009-10-08 2012-06-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906A (ko) * 2005-09-20 2007-03-23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안정적으로 동작가능한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34646A (ja) 2012-11-29
CN102761029B (zh) 2014-11-05
JP5801094B2 (ja) 2015-10-28
CN102761029A (zh) 2012-10-31
TW201244291A (en) 2012-11-01
KR20120122872A (ko) 2012-11-07
TWI533535B (zh)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2844B1 (ko) 커넥터
JP4484218B2 (ja) コネクタ
JP3925919B2 (ja)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US7604499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KR100957666B1 (ko) 케이블 커넥터
WO2011074513A1 (ja) コネクタ
WO2006126359A1 (ja) コネクタ
JP2018097979A (ja) コネクタ装置
JP2002198112A (ja) 電気コネクタ
TW201008052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US9112306B2 (en) Connector
US7950952B2 (en)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TW200402174A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TW201223019A (en) 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2010027520A (ja) コネクタ装置
JP4109978B2 (ja) Fpc用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8235183A (ja) 電気コネクタ
JP2008123802A (ja) 電気コネクタ
JP5993755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570714B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398914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8210695A (ja) コネクタ
JP2011034864A (ja) コネクタ
JP2010044898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