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977B1 -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977B1
KR100744977B1 KR1020020011072A KR20020011072A KR100744977B1 KR 100744977 B1 KR100744977 B1 KR 100744977B1 KR 1020020011072 A KR1020020011072 A KR 1020020011072A KR 20020011072 A KR20020011072 A KR 20020011072A KR 100744977 B1 KR100744977 B1 KR 100744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ortion
flat cable
housing
wall portion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5223A (ko
Inventor
쯔네마쯔가즈히사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893970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74497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75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5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74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 Y10T29/49181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 Y10T29/49185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 Y10T29/49188Assembling terminal to elongated conductor by deforming of terminal with penetrating portion
    • Y10T29/4919Through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194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 Y10T29/49201Assembling elongated conductors, e.g., splicing, etc. with overlapping orie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deform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22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forming array of contacts or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과제) 높이를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플랫 케이블을 단자의 접촉부에 누르기 위한 가압부재 (15) 가, 상기 개구부 (14) 에 플랫 케이블 (C) 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공간을 개방하는 열림위치 및 삽입공간을 닫고 상기 플랫 케이블을 접촉부 (12) 로 누르는 닫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 (1) 은 상측 벽부 (7) 의 일부가 개구부 (14) 와 연통되어 노치부를 이루고, 가압부재 (15) 는 열림위치로 회전운동할 때에 이 노치부에 진입할 수 있어 하우징 내에 지지된 지지부재에 형성된 회전운동 지지부 (11) 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운동 지지부를 이루는 부분의 윗가장자리 (9A) 가 하우징의 상측 벽부 (7) 의 내면보다 바깥측에 위치하고 있다.
플랫 케이블, 전기 커넥터

Description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ELECTRIC CONNECTOR FOR FLAT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도 1 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 는 가압부재가 열림위치, (B) 는 중간위치, (C) 는 닫힘위치에 있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의 조립방법을 나타내고, (A) 내지 (D) 는 하우징에 단자를 삽입하는 모습을 그 진행도 순서대로 나타내며 (A) 가 삽입 개시, (D) 가 삽입 종료, (B), (C) 가 삽입 도중이다.
도 3 은 종래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하우징 2 : 단자
4 : 상측 아암부 5 : 하측 아암부
7 : 상측 벽부 8 : 하측 벽부
9A : 윗가장자리 11 : 회전운동 지지부
12 : 접촉부 14 : 개구부
15 : 가압부재 18a : 회전운동 축선
본 발명은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전기 커넥터는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5828호에 개시되어 있는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지된 커넥터에서는 첨부 도면의 도 3 에서 알 수 있듯이, 플랫 케이블 (플렉서블 기판 : 51) 은 하우징 (52) 의 개구부 (53) 에 면하여 다수 배열된 단자 (54) 의 접촉부 (54A) 상에 배치되도록 이 플랫 케이블의 면 방향 (A) 으로 상기 개구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된다. 도면에서 단자는 지면에 평행한 금속판을 펀칭 가공하여 제조되어 있으며,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되어 있다.
하우징 (52) 의 개구부 (53) 에는 이 개구부를 개폐하는 가압부재 (55) 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 (55) 는 도시된 열림위치에서 상기 삽입공간을 개방하여 플랫 케이블 (51) 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고, 하측으로 회전운동된 닫힘위치에서는 삽입된 플랫 케이블 (51) 을 눌러 단자의 접촉부 (54A) 에 접속한다.
상기 단자 (54) 는 상측 아암부 (57) 과 하측 아암부 (58) 를 가지며, 하우징 (52) 의 상측 벽 (52A) 의 내면에서 지지되는 상측 아암부 (57) 의 선단에 회전운동 지지부 (59) 가, 그리고 상기 하측 아암부 (58) 의 선단에 접촉부 (54A) 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다수의 단자 (54) 의 회전운동 지지부 (59) 의 원호형상 단면에서 상기 가압부재 (55) 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런 종류의 커넥터는 커넥터가 장착된 전자기기의 소형화를 위해서 높이를 낮추는 것, 즉 도 3 에서 높이방향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요청된다.
그러나, 도 3 에서는 하우징의 상측 벽 (52A) 이 회전운동력을 받는 회전운동 지지부 (59) 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이 상측 벽 (52A) 을 너무 얇게 할 수 없다. 또한, 회전운동 지지부 (59) 가 상측 벽 (52A) 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고, 또 하측으로 원호 부분이 돌출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높은 치수로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회전운동 지지부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고 높이를 낮추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는 대략 박스형상의 하우징에 측방에서부터 대응 수용홈에 삽입되어 배열 지지된 복수개의 단자가 접촉부를 하우징의 개구부에 면하는 위치에 가지며, 이 개구부에는 이 개구부에서 삽입되고 상기 접촉부 상에 배치되는 플랫 케이블에 대하여 접촉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회전운동 축선 주위에 회전운동이 가능한 가압부재가 형성되고, 이 가압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플랫 케이블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공간을 개방하는 열림위치 및 삽입공간을 닫고 상기 플랫 케이블을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은 상측 벽부의 일부가 개구부와 연통되어 노치부를 이루고, 가압부재는 열림위치로 회전운동할 때에 이 노치부에 진입할 수 있어 하우징 내에 지지된 지지부재에 형성된 회전운동 지지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회전운동 지지부를 이루는 부분의 윗가장자리가 하우징의 상측 벽부의 내면보다 바깥측에 위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렇게 지지부재의 회전운동 지지부를 갖는 부분의 윗가장자리가 하우징의 상측 벽부의 내면보다 바깥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상측 벽부의 두께의 범위를 유효하게 사용하여 단자는 높이방향으로 치수가 작아진다. 이 때 상기 범위에서 회전운동 지지부 주변이 절삭되는 것도 아니고 회전운동 지지부의 강도 저하는 없다.
본 발명에서, 하우징은 하측 벽부가 커넥터의 장착 대상인 회로 기판 상에 배치 가능하게 아래면의 거의 전체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지지부재는 단자로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단자는 상측 벽부 내면 및 하측 벽부 내면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상측 아암부 및 하측 아암부를 가지며, 상측 아암부에 회전운동 지지부 및 하측 아암부에 접촉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측 아암부 및 하측 아암부는 적어도 하측 아암부가 상측 아암부 방향의 가요성을 갖고 있어 하우징 내로 상기 상측 벽부 내면 및 하측 벽부 내면을 따라 삽입 장착 가능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단자는 하측 아암부의 아래가장자리가 선단으로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 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자를 하우징의 수용홈에 측방에서부터 삽입하는 경우, 삽입 선단측이 되는 상측 아암부와 하측 아암부의 선단끼리간 거리가 작아져 삽입하기 쉬워진다. 이 때 하측 아암부는 상측 아암부보다 가요성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커넥터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재가 단자이고 상측 아암부와 하측 아암부를 갖고 있는 경우, 하측 아암부를 상측 아암부쪽으로 휘게 하면서 상측 아암부를 상측 벽부 내면, 하측 아암부를 하측 벽부 내면을 따라 각각 안내되도록 하여 단자를 수용홈 내에 삽입하고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휨을 해제하여 원형 (原形) 으로 함으로써 커넥터를 얻는다.
또한, 하측 아암부가 선단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있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하측 아암부의 경사부분이 하측 벽부 내면과 평행해지도록 단자를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한 후, 이 경사부분을 하측 벽부 내면에 안내되도록 하여 단자를 수용홈 내에 삽입 개시하고, 그런 후에 상기 하측 아암부의 하측으로의 기울어짐을 해제하여 삽입을 소정 위치까지 계속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 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에서, 대략 박스형상의 하우징 (1) 에 복수개의 단자 (2) 가 지지되고 있다. 단자 (2) 는 금속판의 펀칭 가공 등으로 제조되고, 지면에 평행한 평편한 면을 유지하고 있으며, 복수개의 단자 (2) 가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소정 간 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 단자 (2) 는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부터 하우징 (1) 의 대응하는 지면에 평행하는 슬릿형상의 수용홈 (3) 내에 압입되어 있다.
단자 (2) 는 상측 아암부 (지지 아암부 : 4), 하측 아암부 (5) 및 접속부 (6) 를 가지고 있으며, 상측 아암부 (4) 와 하측 아암부 (5) 는 하우징의 홈 (3) 을 형성하는 상측 벽부 (7) 와 하측 벽부 (8) 의 내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고, 접속부 (6) 는 상기 하측 벽부 (8) 와 반대방향으로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상측 아암부 (4) 는 기초부 영역의 윗가장자리에 걸어멈춤돌기 (4A,4B) 를 가지며, 왼쪽부터 단자 (2) 의 소정위치까지 삽입할 때에 하우징의 상측 벽부 (7) 의 내면으로 들어가 끼워짐으로써 빠짐 방지를 도모한다. 이 상측 아암부 (4) 는 지면 내에서의 휨에 관하여 비교적 강성이 높고, 특히 하측 아암부 (5) 와의 비교에서 강성이 높다. 이 상측 아암부 (4) 의 선단부 (9) 는 높이방향으로 폭이 넓어지고, 그 윗가장자리 (9A) 는 상기 하우징의 상측 벽부 (7) 의 아래면 (내면) 보다 상측 (바깥측) 에 위치하고 있다. 또, 상기 윗가장자리 (9A) 에서 상측 아암부 (4) 로의 이행부는 완만한 경사면에 의한 숄더부 (10) 가 형성되고, 차츰 상측 벽부 (7) 의 아래면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선단부 (9) 의 하부에는 오목 만곡된 홈형상의 회전운동 지지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 지지부 (11) 는 후술하는 가압부재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베어링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이 회전운동 지지부 (11) 의 홈바닥과 윗가장자리 (9A) 의 거리는 윗가장자리 (9A) 가 하우징의 상측 벽부 (7) 의 아래면보다 상측에 있고 상면 근방까지 미치고 있으므로, 충분한 높이방향의 폭을 확보하고 있어 이 주변에서의 강도는 충분한 것으로 되어 있다.
단자 (2) 의 하측 아암부 (5) 는 상측 아암부 (4) 에 비하여 폭 (도면에서의 높이치수 방향) 이 좁게 되어 지면에 평행한 면에서의 가요성을 갖고 있다. 이 하측 아암부 (5) 의 아래가장자리, 특히 선단에 가까운 부분에서는 상측으로 경사진 경사부 (5A) 를 갖고 있다. 그리고, 선단에는 상기 상측 아암부 (4) 의 회전운동 지지부 (11) 측으로 돌출된 접촉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 은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그 판면을 유지하고 있는 상기 단자 (2) 를 왼쪽에서부터 삽입하기 위한 슬릿형상의 수용홈 (3) 이 지면에 평행하게 단자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수용홈 (3) 의 상단 및 하단을 규제하는 하우징 (1) 의 상측 벽부 (7) 및 하측 벽부 (8) 는 상기 단자 (2) 의 삽입위치를 정한다. 하측 아암부 (5) 의 기초부가 하측 벽부 (8) 의 내면에 접하고,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측 아암부 (4) 의 걸어멈춤돌기 (4A,4B) 가 하우징의 상측 벽부 (7) 로 들어가 끼워짐으로써 단자 위치를 확보하는 동시에 빠짐을 방지한다. 또, 상기 하측 벽부 (8) 는 하우징 아래면의 전체영역에 미치고 있어 커넥터가 회로기판 상에 배치될 때 전면적으로 회로기판과 접한다.
상기 하우징 (1) 에는 플랫 케이블 (C) 을 오른쪽에서부터 하우징 (1) 내에 삽입하기 위한 케이블 홈 (13)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홈 (13) 은 플랫 케이블 (C) 의 폭 (지면에 직각인 방향의 치수), 즉 복수개의 단자의 배열 범위의 거리에 거의 동등한 폭으로 양단 벽 사이에서 상기 복수개의 수용홈 (3) 을 관통하도록 연통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상측 벽부 (7) 의 오른쪽부가 노치부로 되어 있고, 상기 케이블 홈 (13) 의 상측이 개구되어 있어 개구부 (14) 를 형성하고 있다. 즉, 이 개구부 (14) 는 좌우방향에서는 오른쪽으로 개방되고 왼쪽은 하우징 (1) 의 상측 벽부 (7) 의 단부까지 및 상하방향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홈 (13) 보다 상측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 의 개구부 (14) 에는 절연재로 제조된 가압부재 (15) 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 (15) 는 도 1(A) 의 열림위치와 도 1(C) 의 닫힘위치 사이를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단자 (2) 의 상기 회전운동 지지부 (14) 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 가압부재 (15) 는 도 1(A) 와 같이 열림위치에서는 상기 상측 벽부의 노치부 영역에 들어가 있다. 상기 가압부재 (15) 는 선단측의 조작부 (16) 및 반대측의 홈부 (17) 를 갖고 있다. 조작부 (16) 는 가압부재 (15) 에 회전운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부분이고, 홈부 (17) 는 단자 (2) 의 선단부 (9) 를 수납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홈부 (17) 는 단자 (2) 에 대응하여 빗살 형상으로 슬릿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홈부 (17) 내에 축부가 (18)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 (18) 가 단자 (2) 의 회전운동 지지부 (11) 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상기 홈부 (17) 는 그 바닥면 (17A) 과 축부 (18) 의 중심 (18A : 회전운동 축선) 사이의 거리가 도 1(A) 의 열림위치에서 상기 홈부 (17) 의 바닥면 (17A) 이 단자 (2) 의 숄더부 (10) 와 강하게 서로 걸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면 (17A) 과 숄더부 (10) 는 가압부재의 열림위치에서 서로 걸어멈춤부를 형성하고, 그 거는 힘에 의해 가압부재 (15) 를 열림위치에 머 물게 둔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다음 요령으로 사용된다.
① 먼저, 커넥터를 회로기판 (도시 생략)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단자 (2) 의 접속부 (6) 를 회로기판의 대응회로부와 땜납 등으로 접속시킨다.
② 그 다음에 가압부재 (15) 를 도 1(A) 에 나타낸 열림위치까지 상측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열림위치에서는 가압부재 (15) 는 서로 걸어멈춤부를 형성하는 이 가압부재 (15) 의 홈 (17) 의 바닥면 (17A) 과 단자 (2) 의 숄더부 (10) 사이의 거는 힘에 의해 닫힘위치로 복귀되는 것이 저지되고 이 열림위치 상태로 유지된다.
③ 가압부재 (15) 가 열림위치에 있으면, 개구부 (14) 는 오른쪽으로 크게 개방된 상태가 확보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 (C) 의 삽입측에서 케이블 홈 (13) 의 입구 (삽입공간) 가 잘 발견된다. 작업자는 플랫 케이블 (C) 을 접속면이 아래면이 되도록 하여 이 케이블 홈 (13) 에 삽입하고, 케이블 선단이 홈 안쪽벽과 맞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④ 소정 위치까지 케이블을 삽입한 후 걸어멈춤력에 대항하여 가압부재 (15) 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시켜 걸어멈춤을 해제하고, 가압부재 (15) 를 도 1(B) 의 위치를 거쳐 도 1(C) 의 닫힘위치로 가져온다. 가압부재 (15) 는 그 가압부 (15A) 로 플랫 케이블 (C) 을 접촉부 (12) 로 강하게 누르면 양쪽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상기 커넥터에서 단자 (2) 는 도 2(A) 내지 도 2(D) 에 나타낸 순서대로 하우징 내에 삽입된다.
(a) 먼저, 도 2(A) 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2) 의 상측 아암부 (4) 와 하측 아암부 (5) 를 양쪽의 선단간 거리를 좁히도록 탄성 휨 변형시키면서 하우징 (1) 의 슬릿 형상의 수용홈 (3) 에 측방 (도면에서는 왼쪽) 에서부터 삽입한다.
(b) 상기 상측 아암부 (4) 와 하측 아암부 (5) 의 거리를 좁힌 상태에서 삽입을 진행시킨다 (도 2(B), 도 2(C) 참조).
(c) 또한, 삽입을 진행시키면, 상측 아암부 (4) 의 선단부 (9) 가 상측 벽부 (7) 의 노치부 (개구부 (14) 의 상부) 영역에 들어가고, 탄성 휨 변형에서 해방되어 단자는 원형으로 소정 삽입 위치에 도달한다 (도 2(D)). 이 때에 단자 (2) 는 기초부측 (도면 중 왼쪽) 에서 하우징 (1) 에 고정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하측 아암부 (5) 가 선단 부근의 아래가장자리에 경사부 (5A) 를 갖고 있으므로, 이 경사부 (5A) 가 하측 벽부 (8) 의 내면을 따르도록 도 2(A) 의 이점쇄선과 같이 단자를 기울어지게 하여 삽입 개시하면 양쪽 아암부 사이의 탄성 휨 변형량이 작아도 삽입이 가능하다. 또, 회전운동 지지부의 형상은 오목 만곡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볼록 만곡 형상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에 따르면,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안내를 하는 지지부재의 회전운동 지지부를 하우징의 노치부 내에서 이 하우징의 상측 벽의 아래면보다 바깥측에 위치시켰으므로, 상측 벽의 두께 범위 내를 회전운동 지지부를 위하여 유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상측 벽 두께의 분량만큼은 높이를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회전운동 지지부 및 그 주변의 강도는 상기 범위를 이용하므로, 회전운동 지지부를 높이방향에서 작은 치수로 할 필요도 없으며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부재는 단자 등으로 하고 금속재로 제조되므로, 하우징 상측 벽과 비교하여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일시적으로 단자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하우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 상기 커넥터의 조립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요성이 상측 아암부보다 하측 아암부가 크므로, 하측 아암부가 탄성 변형되고, 거기에 형성된 접촉부의 접촉이 확실해진다.

Claims (7)

  1. 대략 박스형상의 하우징에 측방에서부터 대응 수용홈에 삽입되어 배열 지지된 복수개의 단자가 접촉부를 하우징의 개구부에 면하는 위치에 가지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개구부에서 삽입되고 상기 접촉부 상에 배치되는 플랫 케이블에 대하여 상기 접촉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회전운동 축선 주위에 회전운동이 가능한 가압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개구부에 상기 플랫 케이블을 삽입 가능하게 하는 삽입공간을 개방하는 열림위치 및 상기 삽입공간을 닫고 상기 플랫 케이블을 상기 접촉부로 누르는 닫힘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측 벽부의 일부가 상기 개구부와 연통되어 노치부를 이루고,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열림위치로 회전운동할 때에 상기 노치부에 진입할 수 있어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된 지지부재에 형성된 회전운동 지지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회전운동 지지부를 이루는 부분의 윗가장자리가 상기 하우징의 상측 벽부의 내면보다 바깥측에 위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측 벽부가 상기 커넥터의 장착 대상인 회로 기판 상에 배치 가능하게 아래면의 거의 전체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단자이고, 상기 상측 벽부의 내면 및 상기 하측 벽부의 내면을 따라 각각 연장되는 상측 아암부 및 하측 아암부를 가지며, 상기 상측 아암부에 상기 회전운동 지지부 및 상기 하측 아암부에 상기 접촉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상측 아암부 및 상기 하측 아암부는 적어도 상기 하측 아암부가 상기 상측 아암부 방향의 가요성을 갖고 있어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상측 벽부의 내면 및 상기 하측 벽부의 내면을 따라 삽입 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하측 아암부의 아래가장자리가 선단으로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아암부는 상기 상측 아암부보다 가요성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6. 제 3 항에 기재된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측 아암부를 상기 상측 아암부쪽으로 휘게 하면서 상측 아암부를 상기 상측 벽부의 내면, 상기 하측 아암부를 상기 하측 벽부의 내면을 따라 각각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단자를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하고,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휨을 해제하여 원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기재된 커넥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측 아암부의 경사부분이 상기 하측 벽부의 내면과 평행해지도록 상기 단자를 하측으로 기울어지게 한 후, 상기 경사부분을 상기 하측 벽부의 내면에 안내되도록 하여 상기 단자를 상기 수용홈 내에 삽입 개시하고, 그런 후에 상기 하측 아암부의 하측으로의 기울어짐을 해제하여 삽입을 소정 위치까지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방법.
KR1020020011072A 2001-03-23 2002-02-28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7449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83962A JP3786400B2 (ja) 2001-03-23 2001-03-23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1-00083962 2001-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5223A KR20020075223A (ko) 2002-10-04
KR100744977B1 true KR100744977B1 (ko) 2007-08-02

Family

ID=18939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072A KR100744977B1 (ko) 2001-03-23 2002-02-28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6602083B2 (ko)
EP (1) EP1244180B1 (ko)
JP (1) JP3786400B2 (ko)
KR (1) KR100744977B1 (ko)
CN (1) CN1208879C (ko)
DE (1) DE60203139T2 (ko)
TW (2) TW56230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94833B1 (en) * 2001-04-25 2002-05-28 Miraco, Inc.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JP3925919B2 (ja) * 2002-11-14 2007-06-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3632106B2 (ja) * 2002-12-13 2005-03-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US6790074B1 (en) * 2003-03-14 2004-09-14 P-Two Industries Inc. Electrical power connector for flexible circuit board
US20060121776A1 (en) * 2004-12-08 2006-06-08 Unicorn Electronics Components Co., Ltd. Electric connector
JP4558562B2 (ja) * 2005-04-11 2010-10-0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42525B2 (ja) 2005-07-07 2010-09-15 山一電機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7804680B2 (en) * 2005-10-27 2010-09-28 Dell Products L.P.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 with a unified keyboard and mouse cable
KR100948463B1 (ko) * 2008-04-21 2010-03-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05776B2 (ja) * 2012-05-18 2016-04-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55364B2 (ja) * 2015-11-19 2020-02-26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
CN116598802B (zh) * 2023-07-19 2023-11-21 天津轻工职业技术学院 一种工业机器人用导线连接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3237A (ja) * 1996-04-09 1997-10-31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1154218A (ja) 1997-07-29 1999-02-26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000006298A (ko) * 1998-06-19 2000-01-25 루이스 에이. 헥트 편평회로용전기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33382B (ko) * 1993-04-02 1994-11-01 Hirose Electric Co Ltd
JP2824747B2 (ja) * 1995-05-18 1998-11-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平型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3029985B2 (ja) 1995-07-14 2000-04-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325602B (en) * 1995-11-09 1998-01-2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JP3005497B2 (ja) * 1997-05-29 2000-01-31 東北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4248672B2 (ja) * 1999-04-30 2009-04-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159178B2 (ja) * 1999-04-30 2008-10-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574891B2 (ja) * 1999-08-17 2004-10-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TW549646U (en) * 2001-05-23 2003-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3237A (ja) * 1996-04-09 1997-10-31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H1154218A (ja) 1997-07-29 1999-02-26 Hirose Electric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000006298A (ko) * 1998-06-19 2000-01-25 루이스 에이. 헥트 편평회로용전기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308128A (en) 2003-12-16
JP2002289284A (ja) 2002-10-04
US6711816B2 (en) 2004-03-30
CN1377104A (zh) 2002-10-30
US20020137384A1 (en) 2002-09-26
TW562309U (en) 2003-11-11
CN1208879C (zh) 2005-06-29
EP1244180A2 (en) 2002-09-25
JP3786400B2 (ja) 2006-06-14
DE60203139T2 (de) 2006-04-13
US6602083B2 (en) 2003-08-05
DE60203139D1 (de) 2005-04-14
US20030217464A1 (en) 2003-11-27
EP1244180A3 (en) 2003-11-19
KR20020075223A (ko) 2002-10-04
EP1244180B1 (en)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030B1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385326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100220657B1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744977B1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948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7713078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307746C (zh) 扁平柔性电缆连接器
KR20080008250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0344050B1 (ko) Pga 패키지용의 낮은 형상 전기 커넥터 및 단자
KR20060051140A (ko)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KR101004474B1 (ko) 커넥터용 접속단자
JP377145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6413110B2 (en) Zero insertion force socket
JP3565171B2 (ja) 電気コネクタ
JP409358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3975468B2 (ja) 電気コネクタ
JP4632604B2 (ja) Fpc用コネクタ
JP2023167241A (ja) Ffc/fpc用コネクタ
JP2001076796A (ja) 端子及び端子の支持構造
JPH08250233A (ja) フレキシブル回路板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708

Effective date: 2009112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