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1140A -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1140A
KR20060051140A KR1020050083997A KR20050083997A KR20060051140A KR 20060051140 A KR20060051140 A KR 20060051140A KR 1020050083997 A KR1020050083997 A KR 1020050083997A KR 20050083997 A KR20050083997 A KR 20050083997A KR 20060051140 A KR20060051140 A KR 20060051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housing
cover
connector
ope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데히로 츠쿠모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1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1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01R13/518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for holding or embracing several coupling parts, e.g.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간단하고 확실하게 커버체를 복개 위치로 오게 할 수 있는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접속부 (24) 를 덮기 위한 커버체 (30) 가 커넥터의 일 부재로서 장착되어 있고, 커버체 (30) 는 회로기판 (P) 위의 접속부 (24) 를 노출시키는 대기 위치로부터 그 접속부를 덮는 복개 위치로 이동 가능하며, 가압부재 (13) 와 그 커버체 (30) 는 하우징 (11) 또는 여기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 (36) 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전기커넥터

Description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ELECTRIC CONNECTOR MOUNTED WITH COVER BODY}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커넥터 전체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에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및 도 2 의 커넥터의 커버체를 나타내고, (A) 는 도 1 에서 오른쪽에서 본 정면도, (B) 는 (A) 의 B-B 단면도, (C) 는 (A) 의 C-C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부 주변을 커버체를 떼어낸 상태 (커버체의 회전운동축과 캠축만 단면으로 도시) 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A) 는 지지 금구(金具)가 보이도록 캠축에서 단면, (B) 는 회전운동축에서의 단면 위치로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도 2 에 나타낸 커넥터를 동작순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 는 가압부재의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도중의 상태, (B) 는 열림 위치의 상태, (C) 는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6 은 도 2 에 나타낸 커넥터의 커버체를 그 동작순서에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 는 커버체가, 가압부재가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을 개시하기 전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B), (C) 는 커버체가 복개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도중, (D) 는 복개 위치에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가압부재가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을 개시하기 전의 위치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커넥터를 동작순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A) 는 가압부재가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도중의 상태, (B) 는 열림 위치의 상태, (C) 는 열림 위치에서 닫힘 위치로 되돌아간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9 는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A) 는 가압부재가 열림 상태로 회전운동하기 전 상태에서의 단면도, (B) 는 가압부재가 열림 위치에 이르렀을 때의 하우징 단벽에서의 측면도이며 일부 파단되어 있다.
도 10 은 종래의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를 나타내고, (A) 는 커버체의 단면도, (B) 는 커넥터 본체의 단면도이며 커버체가 부착되었을 때의 상태가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하우징 13:가압부재
20:단자 23A:접촉부
24:접속부 30:커버체
34:캠축 36:지지부재
P:회로기판
본 발명은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커넥터로서, 단자의 접속부가 회로기판의 회로부와 접속되었을 때 이 접속부를 덮음으로써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커버체를 갖는 전기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로는, 첨부된 도면의 도 10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커넥터는, 도 10(A) 의 커넥터 본체 (50) 와 도 10(B) 의 커버체 (60) 를 별체로서 갖고 있다.
커넥터 본체 (50) 는 금속판을 펀칭 가공한 단자 (51) 를 하우징 (52) 내에서 유지하고 있다. 단자 (51) 는 도면에서 지면(紙面)에 평행한 면으로 그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하우징 (52) 은 좌측 상부가 개구되어 우측 반부(半部)에 지면과 평행한 슬릿형상의 홈이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상기 단자 (51) 가 삽입 유지되어 있다.
상기 단자 (51) 는 상부에서 왼쪽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 (53) 과, 하부에서 왼쪽으로 연장되는 탄성이 있는 접촉 아암 (54) 과, 하부에서 오른쪽으로 하우징 밖으로 돌출되는 접속부 (55)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 아암 (53) 의 선단에 가까운 쪽에는 원호형상의 회전운동 지지부 (53A) 가 형성되고, 접촉 아암 (54) 의 선단에는 상방을 향한 돌기형상의 접촉부 (54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접속부 (55) 는 하우징 (52) 이 회로기판 (P) 상에 배치되었을 때 회로기판 (P) 상의 회로부 (도시생략) 에 접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52) 의 좌측 상부의 개구에는 가압부재 (56)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가압부재 (56) 는 축부 (56A) 를 갖고, 그 축부 (56A) 가 상기 단자의 회전운동지지부 (53A) 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안내 지지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 (56) 는, 도시한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축부 (56A) 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고 상방으로 기립(起立)하는 열림 위치까지 회전운동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그 가압부재 (56) 는 그 열림 위치에서 왼쪽으로부터 상기 단자의 접촉부 (54A) 상으로 편평형케이블 (도시생략) 을 선단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그 가압부재 (56) 는, 그 닫힘 위치에서 상기 편평형케이블을 접촉부 (56A) 로 누르는 가압부 (56B) 를 갖고 있다.
한편, 커버체 (60) 는 상기 커넥터 본체 (50) 를 상방에서 덮도록 그 커넥터 본체 (50) 에 씌워 부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커버체 (60) 의 상판부 (61) 에, 상기 가압부재 (56) 가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할 수 있게 하는 절결부 (61A) 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부 상판부 (61) 의 우단측 내면에는 우벽부 (62) 를 휠 수 있게 하는 홈부 (63)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우벽부 (62) 의 하단에는 외방을 향해 휘도록 만곡된 립부 (62A) 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 (50) 가 회로기판 (P) 상에 배치된 후, 단자 (51) 의 접속부 (55) 가 대응회로부와 땜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가압부재 (56) 가 열림 위치로 온 상태에서, 편평형케이블이 삽입되어 가압부재 (56) 를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 조작하여, 가압부 (56B) 에서 편평형케이블을 단자 (51) 의 접 촉부 (54A) 로 눌러 접촉시킨다.
이렇게 한 후, 상기 커버체 (60) 를 커넥터 본체 (50) 에 씌워 부착시켜 상기 접속부 (55) 를 덮는다. 립부 (62A) 는 회로기판과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양자 사이에 먼지 등이 진입하는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접속부 (55) 는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의 도 10 에 나타낸 종래의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에서는 커넥터 본체와 커버체가 별도로 분리되어 준비되며,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접속된 후에 커버체를 커넥터 본체의 위치로 가져와서 이것을 부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체를 별도로 준비하는 것과 커버체를 커넥터에 부착하는 작업이 특별히 필요하다는 것에서, 부품의 준비 단계 그리고 부착 단계에서의 작업이 번잡해진다. 또 커버체의 분실로도 이어진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 커넥터가 갖고 있는 과제를 해결하여, 커버체가 이미 커넥터에 장착되어 있고, 단자가 회로기판에 접속된 후에 있어서의 케이블의 결선(結線) 작업시에 확실하고 간단하게 커버체가 단자의 접속부를 덮는 위치에 배치되는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는,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접촉부와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접속부가 형성된 단자와, 상기 내부공간 내로 삽입된 편평형케 이블을 가압하여 그 편평형케이블을 상기 접촉부에 가압접촉시키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재가 내부공간에 대한 편평형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는 열림 위치와 그 편평형케이블을 가압하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접속부를 덮기 위한 커버체가 커넥터의 일 부재로서 장착되어 있고, 커버체는 회로기판 상의 접속부를 노출시키는 대기 위치로부터 그 접속부를 덮는 복개(覆蓋)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커버체는 상기 하우징 또는 여기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를 소정의 회로기판 상에 배치하고, 단자의 접속부를 땜납 등으로 회로기판의 대응회로부와 접속한 후, 커버체를 복개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접속부를 덮어 이것을 보호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재와 커버체는, 가압부재의 이동과 커버체의 복개 위치로의 이동이 연동하여 이루어지고, 커버체가 복개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가압부재의 이동은 복개 위치의 커버체에 상관없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단자의 접속부를 땜납 등으로 회로기판의 대응회로부와 접속한 후, 편평형케이블의 커넥터에 대한 결선 준비를 위해 가압부재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키면, 이것에 연동하여 커버체를 복개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접속부를 덮어 이것을 보호하게 된다.
편평형케이블의 삽입 후, 그 케이블을 단자의 접촉부와 접속시키기 위해 가압부재를 닫힘 위치로 이동 조작하는데, 그 때 가압부재는 단독으로 이동하며, 커 버체는 상기 복개 위치에 머물러 있다.
상기 가압부재와 커버체는 가압부재가 열림 위치로 이동할 때 연동하기 때문에, 커버체를 조작하여 복개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압부재를 열림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할 수 있고, 그 경우 가압부재를 열림 위치를 향하게 하여 이동시키는 것에 연동하여 커버체가 대기 위치로부터 복개 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체는 대기 위치로부터 복개 위치로, 회전운동 그리고 직진운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체는, 복개 위치에서 하우징 또는 지지부재 사이에서 위치 고정하는 로크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체는 복개 위치로 온 후에는 가압부재가 닫힘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이것에 상관없이 상기 복개 위치에 머물지만, 갑작스런 외력을 받아 약간이라도 벌어져 회로기판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되면 이곳으로 먼지 등이 침입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상기 로크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체는 캠축을 구비하고, 하우징 또는 지지부재가 캠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캠베어링부는 적어도 일부에 가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커버체가 복개 위치로 회전운동할 때 상기 캠축부가 가요부의 최대 가요 위치를 넘어 회전운동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는, 커버체는 복개 위치를 향해 회전운동할 때, 그 과정에서 캠축이 캠베어링부를 탄성적으로 휘게 하여 회전운동하 고, 최대 휨 위치를 넘어 복개 위치로 오기 때문에, 이 복개 위치로부터 역방향에서의 회전운동, 즉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이 캠베어링부에서의 반력에 의해 저지된다. 로크수단의 일종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9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에서 전체의 외관이 사시도로 나타나 있는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 (10) 와 커버체 (30) 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본체 (10) 는 복수의 판형 단자 (20) 의 배열방향에 대략 직육면체의 긴 외형을 갖고 있다. 그 커넥터 본체 (10) 는, 절연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 (11) 에 상기 단자 (20) 가 배열되어 있다. 그 하우징 (11) 은 상기 단자 (20) 의 배열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확대단면을 나타내는 도 2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좌상부가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양단에서의 단벽(端壁) (12) 사이에서 개구부 (11A) 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가압부재 (13) 의 배치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 (11) 의 우측 반부에는, 도 2 에서 지면에 평행한 슬릿형상의 홈 (14) 이 좌우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홈 (14) 의 오른쪽으로부터는 판형인 상기 단자 (20) 가 압입되어 있고, 각 단자 (20) 에 대응하여 도 2 에서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홈 (14) 은 오른쪽으로 개구하며, 왼쪽에서는 상기 개구부 (11A) 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 단자 (20) 는 금속판의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외형이 만들어지며, 도 2 에서 지면에 평행한 평탄면을 갖고 있다. 상기 홈 (14) 으로 들어오는 이 단자 (20) 는 홈 (14) 상하의 안쪽 가장자리에 대하여 압입되는 압입부 (21) 와, 이 압입부 (21) 로부터 상부에서 왼쪽으로 연장되는 지지 아암 (22) 과, 그 지지 아암 (22) 의 베이스부로부터 하방으로 그리고 왼쪽으로 만곡하여 연장되는 접촉 아암 (23) 과, 나아가 상기 압입부 (22) 의 하부에서 오른쪽으로 하우징 (11) 밖으로 돌출되는 크랭크 형상의 접속부 (24) 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 아암 (22) 은 강성이 높고, 그 선단에 가까운 쪽의 아래 가장자리에 원호형상의 오목부로서 형성되는 축지지부 (22A) 를 갖고 있다. 한편, 접촉 아암 (23) 은 탄성을 갖고 있어 휘어지고, 홈 (14) 의 아래 가장자리에서 떠 있는 선단의 위 가장자리에 돌부로서 접촉부 (23A)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 (24) 는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하우징 (11) 바깥 부분의 아래 가장자리가 하우징 (11) 의 저면과 거의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하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우징 (11) 이 회로기판 (P) 상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접속부 (24) 의 아래 가장자리가 그 회로기판의 면에 형성되어 있는 대응회로부와 확실하게 접촉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 (13) 는 하우징 (11) 과 마찬가지로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도 2 에서 좌단측이 하우징의 개구부 (11A) 밖으로 돌출하여 조작부 (13A) 를 형성하고, 우단측에 원통형 축부 (13B) 를 갖고 있다. 그 축부 (13B) 는 상기 단자 (20) 의 축지지부 (22A) 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가압부재 (13) 는, 도 2 에서 지면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며, 같은 방향에서 상기 하우징 (11) 의 개구부 (11A) 의 범위에 미치고 있다. 그 가압부재 (13) 는 도 2 에서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양단부에, 상기 축부 (13) 와 동일 축선 상에 동일한 축부도 갖고 있으며 하우징 (11) 에 따라서도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재 (13) 는 상기 축부 (13B) 둘레로 회전운동 조작되며, 도 2 에 나타낸 가로방향을 향한 닫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 (11) 의 개구부 (11A) 를 크게 개방하도록 시계방향으로 약 90° 회전운동하여 기립된 열림 위치로의 이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축부 (13B) 측의 부분 (13C) 이 절결되어 있다. 이 절결 부분 (13C) 의 가장자리부에서 도 2 에서의 상부 코너부가, 그 가압부재 (13) 가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할 때 후술하는 커버체 (30) 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13D) 를 형성하고, 하부 코너부가,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할 때 후술하는 편평형케이블을 누르는 가압부 (13E) 를 형성하고 있다.
커버체 (30) 는 하우징 (11) 과 동일한 절연재료로 만들어져 있으며,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벽부 (31) 와 한쪽의 측벽부 (32) 에 의해 역 L 자형 단면을 이루어 지면에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 1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단벽 (12) 의 외면에 면하는 단벽 (33) 도 갖고 있다. 이렇게 하여 커버체 (30) 는, 상기 상벽부 (31) 와 한쪽의 측벽부 (32), 그리고 양측의 단벽 (33) 에 의해 도 2 에서 하방 그리고 오른쪽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 양쪽 단벽 (33) 의 하단측 내면에는, 도 3(A)∼(C)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방으로 돌출하여 캠축 (34) 과 회전운동축 (35) 이 동일 축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캠축 (34) 은 도 3(C) 과 같이 기초원(基圓)에 대하여 둘레방향 일부에 서 인접하는 두 개의 직선부 (34A) 에 의해 그 기원에서 돌출되는 모서리부 (34B) 를 갖고, 이 모서리부 (34B) 에서 캠 반경이 최대치를 취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11) 은 그 단벽 (12) 에서 상기 커버체 (30) 의 회전운동축 (35) 과 캠축 (34) 을 지지하게 되어 있다. 도 4 는 커버체 (30) 가 없는 커넥터 본체 (10) 의 한쪽 단벽 (12) 의 주변을 나타내고, 도 4(A) 는 커넥터 본체 (10) 와 커버체 (30) 의 상기 캠축 (34) 만 그 단면에서 양자의 관계를 나타내고, 도 4(B) 는 커버체 (30) 의 상기 회전운동축 (35) 만 그 단면에서 동일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하우징 (11) 에는 금속판을 굴곡 성형하여 만들어진 지지부재 (36) 가 부착되어 있다. 그 지지부재 (36) 는 아암 형상의 캠지지부 (36A) 와 고정부 (36B) 를 갖고, 양자는 그들의 판면이 서로 평행한 상태에서 서로의 하부에서 연결부 (36C)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 (36B) 는 캠지지부 (36A) 보다도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 (36B) 의 선단측은 약간의 테이퍼부가 있어 끝이 가늘어지게 되어 있다. 캠지지부 (36A) 는 두 갈래로 갈라져 상부 아암 (36A1) 과 하부 아암 (36A2) 을 가지며, 양 아암 (36A1, 36A2) 은 경사부를 지난 후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부 아암 (36A1) 은 비교적 폭이 넓고 강성이 있고, 이에 반하여 하부 아암 (36A2) 은 가늘고 잘 휜다. 상부 아암 (36A1) 과 하부 아암 (36A2) 의 간격은 상기 캠축 (34) 의 기원의 지름과 거의 같다.
이렇게 구성되는 지지부재 (36) 는, 그 아암형상의 고정부 (36B) 가 하우징 (11) 에 형성된 대응 홈 (도시생략) 에 화살표 A 방향으로 압입되어 유지되며, 한편 캠지지부 (36A) 는 하우징 (11) 의 단벽 (12) 의 외면에 접면하여 위치하게 된다. 도 4(A) 에서는 상기 대응 홈에 압입된 고정부 (36B) 의 선단이 상기 대응 홈의 개구에까지 이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결부 (36C) 는 하우징 (11) 의 저면 레벨에 위치하며, 회로기판의 더미 패드와 납땜되어 고정 금구로서도 기여한다.
또 하우징 (11) 의 단벽 (12) 의 외면에는 상방에 개구하는 U 자 형상의 오목부 (12B) 가 형성되어 있고, 여기에 커버체 (30) 의 회전운동축 (35) 이 들어가 있다. 상기 지지부재 (36) 는, 도 4(B) 와 같이 상기 커버체 (30) 의 상기 회전운동축 (35) 을 상방으로부터 상기 오목부 (12B) 로 넣은 후 상기 고정부 (36B) 를 하우징 (11) 의 대응 홈으로 압입함으로써 부착된다. 이 부착에 의해, 캠지지부 (36A) 의 상부 아암 (36A1) 과 하부 아암 (36A2) 사이에서 캠축 (34) 을 도 4(A) 과 같이 지지한다. 캠축 (34) 이 도 4(A) 의 상태로 지지된 커버체 (30) 는, 도 1 그리고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에 기립되어 있는 위치에서 커넥터 본체 (10) 에 부착되어 있게 된다.
이하, 이러한 형태의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의 사용요령에 대해 설명한다.
(1) 사용 전에는 커넥터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 (13) 가 닫힘 위치, 그리고 커버체 (30) 가 기립한 대기 위치의 상태에 있다. 이 커넥터의 커버체 (30) 의 상태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 도 6 이고, 도 2 에 대응하는 상태는 도 6(A) 이다. 먼저, 도 2 와 같이 이러한 커넥터를 회로기판 (P)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고, 그 커넥터의 단자 (20) 의 접속부 (24) 를 회로기판 (P) 의 대응회로부에 땜납 등으로 접속한다.
(2) 다음으로, 커넥터에 편평형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 가압부재 (13) 를 열림 위치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커넥터 본체 (10) 의 개구부 (11A) 를 크게 해방한다. 도 5 에서 도 5(A) 와 같이 가압부재 (13) 를 회전운동하기 시작하면, 그 가압부재 (13) 의 가압부 (13D) 가 커버체 (30) 의 측벽부 (32) 를 눌러 그 커버체 (30) 는 그 회전운동축 (35) 둘레에 회전운동하기 시작한다. 이 때, 도 6(A)∼(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체 (30) 는 그 캠축 (34) 의 모서리부 (34B) 에 의해 지지부재 (36) 의 하부 아암 (36A2) 을 하방으로 휨 변형시켜, 상부 아암 (36A1) 과 하부 아암 (36A2) 의 간격을 점차 넓힌다.
(3) 가압부재 (13) 를 더 회전운동시키면, 상기 캠축 (34) 은 상기 상부 아암 (36A1) 과 하부 아암 (36A2) 의 간격을 최대치로 하는 위치 (도 6(C) 의 위치) 를 넘는다. 그 후 가압부재 (13) 의 가압부 (13D) 로 눌려진 커버체 (30) 는, 도 5(B) 그리고 도 6(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2 에서 나타낸 상벽부 (31) 의 우측 단부가 회로기판 (P) 에 맞닿게 된다. 이 시점에서 커버체 (30) 의 측벽부 (32) 의 내면이 커넥터 본체 (10) 의 상면과 근접하고 있으며, 그 커버체 (30) 는 완전히 단자 (20) 의 접속부 (24) 를 덮는 복개 위치로 오게 된다. 이 때, 캠축 (34) 은 지지부재 (36) 의 상부 아암 (36A1) 과 하부 아암 (36A2) 의 간격을 약간 넓히고 있고, 모서리부 (34B) 가 회전운동축 (35) 의 축선에 대하여 상벽부 (31) 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으며, 커버체 (30) 에 대하여 시계 방향의 토크를 발생 시키고 있기 때문에, 그 상벽부 (31) 를 회로기판을 향해 누르게 된다. 또한, 가압부재 (13) 는 열림 위치에 있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의 개구부 (11A) 는 왼쪽으로 크게 벌어져 있어 편평형케이블의 삽입이 가능해져 있다.
(4) 이렇게 한 후, 도 5(C) 와 같이 편평형케이블 (C) 을 상기 개구부 (11A) 에 삽입하고, 다음으로 가압부재 (13) 를 닫힘 위치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이 회전운동시에는, 가압부재 (13) 는 상기 커버체 (30) 에서 이반(離反)될 뿐이며, 따라서 상기 커버체 (30) 는 도 5(C) 와 같이 복개 위치에 멈춘다. 한편, 가압부재 (13) 는 그 가압부 (13E) 에서 편평형케이블 (C) 을 눌러 단자 (20) 의 접촉부 (23A) 로 탄성가압 접촉시킨다. 이렇게 하여 편평형케이블의 삽입 그리고 접속을 위한 가압부재 (13) 의 조작에 의해 커버체 (30) 는 이것과 연동하여 단자의 접속부 (24) 를 보호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체 (30) 를 복개 위치에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커버체와 하우징 사이에 로크수단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4(A) 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면에 경사면 (15A) 을 가진 로크돌기 (15) 를 형성하고 커버체 내면의 대응위치에 걸림단부를 형성해 두면, 커버체의 이 걸림단부는 상기 로크돌기 (15) 의 경사면 (15A)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탄성변형하면서 복개 위치에 이르고, 여기에서의 변형이 해제되고 상기 로크돌기 (15) 의 하면과 걸려 로크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재는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할 때 커버체에 맞닿 고 있을 뿐이고,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하는 도중에 역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면 커버체와는 이간되게 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재는 커버체와 걸어맞춰져 있어서 가압부재의 열림 위치에 이를 때까지는 어느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더라도 가압부재와 커버체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도 7 에 있어서, 가압부재 (13) 는 그 가압부재 (13) 의 가압부 (13D) 가 테이퍼형 홈부로서 형성되며, 커버체 (30) 는 측벽부 (32) 의 하부에 상기 가압부 (13D) 에 끼워맞추는 돌기 (32A) 가 형성되어 있으며, 가압부 (13D) 에 돌기 (32A) 가 끼워맞춰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점을 제외하고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A)∼(B) 과 같이 상기 가압부 (13D) 와 돌기 (32A) 에서 끼워맞춰져 있는 가압부재 (13) 와 커버체 (30) 는 가압부재 (13) 가 열림 위치까지 회전운동하였을 때 일체가 되어 회전운동한다. 이것은 이 회전운동이 가압부재 (13) 와 커버체 (30) 중 어느 쪽에 의해 이루어져도 함께 회전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압부재 (13) 가 열림 위치에 이르렀을 때에는, 커버체 (30) 가 도 4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로크수단으로 복개 위치에 로크되고, 이 로크력이 상기 가압부 (13D) 와 돌기 (32A) 의 끼워맞춤 해제력보다도 크기 때문에, 가압부재 (13) 는 단독으로 닫힘 위치로 회전운동 조작된다 (도 8(C) 참조).
<제 3 실시형태>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가압부재가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함으로써 커 버체도 회전운동하여 복개 위치로 이동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체는 약간의 회전운동은 수반하지만 주로 직진운동한다.
도 9(A) 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 (10) 의 하우징 (11) 에는 그 상면에 로크돌기 (11B) 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반하여, 상기 커넥터 본체 (10) 의 우상측 모서리부를 거의 덮도록 위치하고 있는 역 L 자형 단면인 커버체 (30) 의 측벽부 (32) 에는, 커버체 (30) 가 복개 위치에 왔을 때 상기 로크돌기 (11B) 에 끼워 맞춰지는 로크구멍 (32B) 이 형성되어 있다. 그 커버체 (30) 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지지부재 등의 탄성 지지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 (10) 의 하우징 (11) 의 단벽 (12) 의 외면에는 도 9(B) 와 같이 금속판으로 만들어진 지지부재 (36) 가 부착되어 있고, 이 지지부재 (36) 는 가요 아암부 (36D) 를 지나서 두 개의 상하 아암 (36E, 36F) 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상기 커버체 (30) 의 단벽 (33) 의 내면에는 가로로 긴 단면의 걸어맞춤 돌기 (37)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 돌기 (37) 가 상기 상하 아암 (36E, 36F) 사이에서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그리고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가압부재 (13) 는, 도 9(A) 에 있어서 그 회전운동을 위한 축부 (13) 에 가까운 쪽 부분 (13F) 이 하우징 (11) 의 상벽부와 빗살모양으로 맞물려 있고, 이 상벽부의 영역 안으로 들어간 위치까지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 (13) 를 도 9(A) 의 닫힘 위치에서 도 9(B) 의 열림 위치로 회전운동시키면, 그 가압부재 (13) 는 상기 부분 (13F) 이 하우징 (11) 의 상벽부와 맞물리는 위치까지 이르러 상기 커버체 (30) 를 오른쪽으로 밀어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커버체 (30) 의 로크구멍 (32B) 이 하우징의 로크돌기 (11B) 의 위치까지 이르면, 커버체 (30) 는 탄성지지 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당겨져 상기 로크구멍 (32B) 에 로크돌기 (11B) 가 끼워지고, 도 9(B) 와 같이 커버체 (30) 가 복개 위치로 오게 됨과 함께 그 위치에서 로크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커버체를 당초부터 커넥터 본체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로 커버체를 준비할 필요도 없어 작업이 편해짐과 함께, 부품의 관리상, 특단의 주의가 필요하지도 않다. 그리고 열림 위치에서 편평형케이블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여 삽입 후에 단자에 대해 접촉시키기 위해 그 편평형케이블을 가압하는 닫힘 위치로 이동하는 가압부재가, 회로기판과 접속하는 단자의 접속부를 덮는 커버체와 연동하게 하면, 회로기판에 대한 단자 접속부의 땜납 등으로 접속한 후, 편평형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 가압부재를 열림 위치로 오게 하는 것만으로 상기 커버체는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접속부를 덮게 되어, 작업이 매우 확실하고 또 간단해진다.

Claims (6)

  1.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그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접촉부와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여 상기 회로기판 상에 위치하는 접속부가 형성된 단자와, 상기 내부공간 내로 삽입된 편평형케이블을 가압하여 그 편평형케이블을 상기 접촉부에 가압접촉시키는 가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가압부재가 내부공간에 대한 편평형케이블의 삽입을 허용하는 열림 위치와 그 편평형케이블을 가압하는 닫힘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전기커넥터에 있어서, 접속부를 덮기 위한 커버체가 커넥터의 한 부재로서 장착되어 있고, 커버체는 회로기판 상의 접속부를 노출시키는 대기 위치로부터 그 접속부를 덮는 복개(覆蓋)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커버체는 상기 하우징 또는 여기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압부재와 커버체는, 가압부재의 이동과 커버체의 복개 위치로의 이동이 연동하여 이루어지고, 커버체가 복개 위치로 이동한 후에는 가압부재의 이동은 복개 위치의 커버체에 상관없이 단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압부재는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되어 있고, 가압부재를 열림 위치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에 연동하여 커 버체가 대기 위치로부터 복개 위치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커버체는 대기 위치로부터 복개 위치로, 회전운동 그리고 직진운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과 함께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체는, 복개 위치에서 하우징 또는 지지부재 사이에서 위치 고정하는 로크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커버체는 캠축을 구비하고, 하우징 또는 지지부재가 캠베어링부를 구비하고, 캠베어링부는 적어도 일부에 가요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체의 복개 위치로 회전운동할 때 상기 캠축부가 가요부의 최대 가요 위치를 넘어 회전운동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KR1020050083997A 2004-10-25 2005-09-09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KR20060051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09519A JP4262665B2 (ja) 2004-10-25 2004-10-25 カバー体付き電気コネクタ
JPJP-P-2004-00309519 2004-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140A true KR20060051140A (ko) 2006-05-19

Family

ID=3620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997A KR20060051140A (ko) 2004-10-25 2005-09-09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14385B2 (ko)
JP (1) JP4262665B2 (ko)
KR (1) KR20060051140A (ko)
CN (1) CN100461542C (ko)
TW (1) TWI2885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31471B2 (ja) * 2004-07-30 2008-01-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4717852B2 (ja) * 2007-03-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9266667A (ja) * 2008-04-25 2009-11-12 Omron Corp コネクタ
JP4632322B2 (ja) * 2008-06-18 2011-02-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16635B2 (ja) *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71398B2 (ja) * 2010-01-26 2014-08-13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カバー部材
JP5664847B2 (ja) * 2010-06-17 2015-02-04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JP5530953B2 (ja) * 2011-02-18 2014-06-2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76077B2 (ja) * 2019-11-01 2023-05-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6308A (en) * 1991-10-31 1994-10-1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assembly for a flexible wiring plate
US5470246A (en) * 1994-07-18 1995-11-28 Itt Industries Low profile edge connector
JP3027599U (ja) * 1995-11-24 1996-08-1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929763B2 (ja) * 2001-01-12 2007-06-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JP3936596B2 (ja) * 2002-02-04 2007-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31255A (en) 2006-09-01
US7314385B2 (en) 2008-01-01
US20060087819A1 (en) 2006-04-27
TWI288505B (en) 2007-10-11
JP4262665B2 (ja) 2009-05-13
CN1767275A (zh) 2006-05-03
JP2006120554A (ja) 2006-05-11
CN100461542C (zh) 200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1140A (ko) 커버체 장착 전기커넥터
US6767233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519172B2 (ja) コネクタ
JP4752705B2 (ja) コネクタ
KR101012619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4630340B2 (ja) コネクタ
JP4359568B2 (ja) コネクタ
EP1923959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KR10127433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2151021A (ja) コネクタ
KR101274278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734147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KR100744977B1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TWI466396B (zh) Electrical connectors for circuit boards
JP2007273418A (ja) フラットハーネス用コネクタ
JP3913230B2 (ja) プッシュターミナル
JP5826482B2 (ja) コネクタ
KR100434895B1 (ko) 브러시홀더 어셈블리
JP2009026471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06066327A (ja) 接続ユニット、ケーブル及びコネクタ
JP2005190886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13109831A (ja) 同軸低背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