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657B1 -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657B1
KR100220657B1 KR1019960029954A KR19960029954A KR100220657B1 KR 100220657 B1 KR100220657 B1 KR 100220657B1 KR 1019960029954 A KR1019960029954 A KR 1019960029954A KR 19960029954 A KR19960029954 A KR 19960029954A KR 100220657 B1 KR100220657 B1 KR 100220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contactor
flexible substrate
contac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105A (ko
Inventor
루이찌 다까야스
Original Assignee
사까이 히데끼
히로세덴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31487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9894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111128A external-priority patent/JP3064232B2/ja
Application filed by 사까이 히데끼, 히로세덴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까이 히데끼
Publication of KR970031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가압부재를 회전운동하여 플렉시블 기판을 접촉자에 가압할 때, 가압부재가 벗어나지 않는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한다.
또, 소형화를 도모한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가압부재(6)의 회전운동시에, 가압부재(6)의 가압부가 플렉시블 기판(F)을 받이부(1B)와 탄성 접촉부의 3A의 사이에서 상면측에서 가아하여, 접촉자(2)의 회전운동안내부(4)와 가압부재(6)의 회전운동 피안내부(8)가 가압부재(6)의 회전운동개시후, 적어도 가압부(7)의 플렉시블 기판(F)에 맞닿은 후에 플렉시블 기판(F)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걸림하여 맞추는 걸림부(4B,8A)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은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종류의 커넥터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 7-142130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공지의 커넥터는 첨부 도면의 제11도 내지 제13도와 같이 구성이 되어있다. 측방 및 이에 인접한 상방의 부분이 연이어 통하여 개구된 하우징(51)의 그 개구부에, 복수의 접촉자(52)의 탄성 접촉부(52A)가 배열이 되어있다.
상기 하우징(51)은, 접촉자(52)의 배열방향의 양단의 유지부(53)에 원통면을 갖는 회전운동지지부(도시하지 않음)를 갖추고 있으며, 그 회전운동 지지부에서 덮개형상의 가압부재(54)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있다(제11도 참조). 그 가압부재(54)는 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상기회전운동 지지부의 원통면에 끼워 맞추어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접촉자(52)에 근접한 소정위치와 그 소정위치에서 이반한 개방위치와의 사이을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접촉자(52)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제12도(제11도의 XⅡ-XⅡ 단면)에도 볼 수 있는바와 같이, 상기 회전운동 지지부의 회전운동축선상에 중심이 위치하는 원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회전운동안내부(52B)를 가지고 있어, 이러한 접촉자(52)가 하우징(51)의 홈(51A)내에 복수배열되므로써 상기 회전운동안내부(52B)는 빗살니 형상의 긴 원통면을 상기 양단의 회전운동 지지부의 사이에 형성한다. 이것에 접합되도록, 가압부재(54)에는 오목상의 원통면의 일부를 이룬 피안내부(54A)가 형성되어서, 그 가압부재(54)는 양단의 상기 회전운동지지부에 지지되어서 회전운동할때에, 상기 피안내부(54A)에도 회전운동안내를 받도록 되어있다.
상기 가압부재(54)가 상기 소정위치에 향해 닿도록 회전운동할때에, 상기 하우징(51)의 개구부에 삽입이 되어서 상기 접촉자(52) 위에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F)을 그 접촉자(52)의 탄성접촉부(52A)에 대하여 가압하는 각상의 가압부(54B)를 가지고 있다.
한편 하우징(51)는 제12도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 기판(F)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탄성 접촉부(52A)의 위치보다도 안쪽부에, 플렉시블 기판(F)의 선단부를 가압부재(54)측에 근접 시키도록 상방에 들어 올리는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받이부(51B)를 가지며, 가압부재(54)를 소정위치까지 회전운동시킬때에 상기 받이부(51B)와 접촉자(52)의 탄성접촉부(52A)가 플렉시블 기판(F)의 하면측에서 두 개의 지점을 형성하여 상기 가압부재(54)의 가압부(54B)가 그 두지점간에서 플렉시블 기판(F)을 상면측에서 가압하도록 되어있다.
이리하여, 사용함에 있어서는, 우선 가압부재(54)를 제12도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개방위치까지도 들어올리도록 회전운동하여 개구부를 널리 개구하여, 여기서 플렉시블 기판(F)을 그의 접속부가 하면으로 되도록 삽입한다. 이 시점에서, 플렉시블 기판(F)은 하면에서, 삽입 방향으로 접촉자(52)의 탄성접촉부(52A) 및 받이부(51B)의 두 개의 지점에 의해 지지된다.
다음에 상기 가압부재(54)를 회전운동하여 제13도에 도시한 소정위치에 가져오면, 상기 가압부재(54)의 가압부(54B)는 상기 2개의 지점(접촉자(52)의 탄성 접촉부(52A) 및 받이부(52B))의 사이에서 플렉시블 기판(F)을 상면에서 가압한다. 이리하여, 플렉시블 기판(F)의 접속부는 소정의 접속압으로서 접촉자(52)의 탄성 접촉부(52A)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이 된다.
이와같이, 제11도 내지 제13도의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가압부재(54)는 플렉시블 기판(F)의 접촉자(52)와의 접촉을 위해 회전운동 조작을 받으면, 양단부에서 하우징(51)의 회전운동 지지부에 의하여 회전운동이 지지되는 동시에, 중간부에서는 회전운동 피안내부(54A)가 접촉자(52)의 회전운동안내부(52B)에 의해 회전운동 안내되어, 원활한 회전운동이 행하여진다.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압부재(54)가 회전운동하여 가압부(54B)가 플렉시블 기판(F)에 맞닿으면, 그 가압부재(54)는, 동도면에 있어서, 가압부(54B)를 지점으로 한 지레의 상태에서 회전운동 조작력에 의한 반시계 방향으로 모멘트력을 받는다. 따라서 회전운동 피안내부(54A)는 하우징(51)의 바깥쪽(동도면에서 왼쪽)으로 이동하려고 하여, 접촉자(52)의 회전운동 안내부(52B)가 이것을 저지하고 있다.
그러나, 플렉시블 기판(F)이 예정하고 있는 것보다도 두꺼운 경우에는, 회전운동조작력이 스스로 커지므로, 상기 회전운동 피안내부(54A)가 바깥쪽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힘도 이에따라 크게된다. 그 회전운동 피안내부(54A))는 그리 깊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힘이크면 회전운동 피안내부(54A)는 회전운동안내부(52B)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접촉자(52)의 수가 많을때에는, 가압부재(54)는 길게되어, 예컨대 양단부에서 하우징(51)의 회전운동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어서도, 그의 사이에서 휘어지기 쉽고 그 결과, 벗어날 가능성이 커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접촉자의 수가 많은것에 있어서도, 가압부재가 벗어나지 않는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소형화를 도모한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제1도는 가압부재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의 본 발명 커넥터의 제1실시 형태의 단면도.
제2도는 가압부재가 회전운동도중인 경우의 제1도의 커넥터.
제3도는 가압부재가 소정위치에 온 경우의 제1도의 커넥터.
제4도는 가압부재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의 본 발명 커넥터의 제2의 실시형태의 단면도.
제5도는 가압부재가 소정위치까지 회전운동한 경우의 제4도의 커넥터.
제6도는 제4도의 커넥터로, 접촉자와 회전운동안내부와 가압부재의 회전운동피안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피안내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피안내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접촉자의 회전운동 안내부와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피안내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0도는 접촉자의 회전운동 안내부와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안내부의 또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커넥터의 부분 파단사시도.
제12도는 가압부재가 회전운동도중인 경우의 제11도의 XⅡ-XⅡ의 단면도.
제13도는 가압부재가 소정의 회전운동위치에 온 경우의 제11도의 커넥터.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하우징 1B : 받이부
2,12 : 접촉자 3A,13A : 탄성 접촉부
4,14 : 회전운동안내부 4B,8A : 걸림부
6,16 : 가압부재 7 : 가압부
8,18 : 회전운동 피안내부 F : 플렉시블 기판
23 : 수용부 25,26A : 축부
27 : 구멍부 28 : 핀체
(Ⅰ) 상기 제1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구성이 된 제1의 발명에 의해 달성이 된다.
하우징에는, 측방 및 이것에 인접한 상방의 부분이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그 개구부에는 탄성 접촉부가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가 심어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유지된 부재는 상기 접촉자의 배열방향의 양단부에 원통면을 갖는 회전운동 지지부를 갖추고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덮개형상의 가압부재가 배열설치되어있어, 상기 접촉자와 근접한 소정위치와 그 소정위치에서 이반한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회전운동지지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접촉자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원형의 일부를 이룬 회전운동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소정위치에 도달하도록 회전운동할때에, 측방에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접촉자상에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을 접촉자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접촉부의 회전운동 안내부에 의해 회전운동 안내되는 회전운동 피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부는 플렉시블 기판을 상기 받이부와 탄성 접촉부의 사이에서 상면측에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자의 회전운동안내부와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피안내부는,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개시후, 적어도 가압부의 플렉시블 기판에 맞닿은후에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서로 걸림하여 맞도록 걸림부를 갖추고 있다.
이와같은 제1의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재의 회전운동시에 가압부가 플렉시블 기판에 맞닿아서, 가압부재가 그 가압부를 지점으로하여 회전 조작력에 의거한 모멘트력을 받아서 회전운동 안내부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나, 그 회전운동 피안내부는 회전운동 안내부와 서로의 걸림부에서 동방향에 꽉 걸림이되어 맞추워져 있어 휘어지는 일이 없으며 또 벗어날 가능성은 극히 낮게된다.
제1의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접촉자의 탄성 접촉부는,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적어도 둘이상의 위치에 분포하여 배열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함으로서, 가압부는 플렉시블 기판을 통하여 복수의 접촉자의 탄성 접촉부에서 반력을 두 번에 걸쳐서 받는 것이 되어 반력자체가 적게되어 다소 조작시간은 길게되나, 가압부재에 가하는 회전운동조작력은 작아진다.
이것은, 상기한 회전운동 피안내부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힘, 즉 회전운동 안내부에 자용하는 힘이 작게되어, 가압부재를 휘어지게 하려는 경향을 낮추므로,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회전운동 안내부에서 벗어날 가능성도 더욱 낮아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이 상기 플렉시블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접촉자의 탄성 접촉부의 위치보다도 안쪽부에, 그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부를 받아서 그 플렉시블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가압부재에 근접시키는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수용부를 가지며, 그 수용부가 접촉자의 탄성접촉부가 플렉시블 기판의 하면측에서 이간된 위치에서 지점을 형성하도록 구성을 하면,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된 플렉시블 기판의 접촉자와의 접촉이 안정 또는 확실하게 된다.
(Ⅱ) 상기 제2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 제2의 발명에 의해 달성된다.
하우징은, 측방 및 이에 인접한 상방의 부분으로 연이어 통하여 개구부가 형성되어, 그 개구부에는 탄성 접촉부가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가 심어설치 되어있다.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유지된 부재는 상기 접촉자의 배열방향의 양단부에 원통면을 갖는 회전운동 지지부를 갖추고 있다. 상기 개구부에는 덮개형상의 가압부재가 배열 설치되어있어, 상기 접촉자와 근접한 소정위치와 그 소정위치에서 이반한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왕복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회전운동 지지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접촉자는 금속판 등의 대략 판형상의 도전체에 의해 만들어져 있어, 판두께 방향에 축선을 갖는 원통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형성되는 회전운동 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소정위치로 향해 회전운동할 때에, 측방에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서 상기 접촉자상에 배치된 플렉시블 기판을 접촉징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접촉부의 회전운동안내부에 의해 회전운동 안내되는 회전운동 피안내부를 가지고 있다.
제2의 발명에서는 상기 접촉자 및 가압부재는 다음의 (A) 또는 (B)의 구성을 이룸으로서 상기 목적이 달성된다.
(A) 접촉자는 일부가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하여 회전운동안내부를 형성하며 가압부재에는 상기 접촉자의 회전운동 안내부를 받아넣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에 상기 회전운동 안내부와 회전운동 접면하는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다.
(B) 접촉자에는 균일한 두께의 판재로, 뚫어 설치된 구멍부에 의하여 회전운동 안내부가 형성되고, 가압부재에는 그 접촉자의 회전운동안내부를 포함한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그 수용부의 일부의 면에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가압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거나 떼어내기 자유롭게 부착된 축부로서 설치되어, 그 축부가 상기 회전운동안내부로서의 구멍부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상기 (A)의 구성에 있어서는 회전운동 안내부가 접촉자의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이 되어있음으로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벗어나지 않도록 걸어 맞추도록 형성ㆍ치수가 결정이되나, 그것에 의해 높이 치수가 증대하지는 않는다. 또 상기 회전운동안내부는, 인접하는 접촉자와의 사이의 공간에 충분히 수납되기 때문에 복수의 접촉자의 배열피치 치수를 증대하지 않는다.
또 상기(B)의 구성에서는, 축체에 의해 확실하게 가압부재의 벗어남을 방지하고, 접촉자는 균일한 두께의 판재이므로, 커넥터는 높이 치수가 증대하지 않는 것은 물론, 배열피치 치수가 증대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의 제1도 내지 제10도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도시하는 이미 공지된 기술의 커넥터를 도시한 제11도의 XⅡ-XⅡ단면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며, 가압부재의 열린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가압부재가 회전운동도중인 경우의 도면, 그리고 제3도는 가압부재가 소정위치까지 회전운동한 경우의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부호1은, 절연재료로 이룬 하우징이며, 좌반분이 윗쪽으로 향하여 개구하여 있다. 그 하우징(1)은 제11도의 공지의 커넥터와 동일하게 그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개구부의 양단 위치에 상방으로 뻗어나는 플랜지상에 유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유지부의 안측의 끝면에 원통면 또는 그 일부를 가진 축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이 되어있다. 또, 상기 하우징(1)은, 제11도의 경우와 동일하게, 양끝의 유지부간에 상기 길이 방향의 복수위치에 등피치로 접촉자를 수용 유지하는 유지홈이 형성이 되어있다.
상기 각 접촉자(2)는 판형상 금속재를 펀칭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나자상을 이룬 접촉핑거 일부(3)와 아암상부의 선단에 설치된 대략 반원형을 이룬 회전운동안내부(4)와, 양부(3,4)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5)를 가지고 있다. 연결부(5)의 바른 쪽에는 하우징(1)밖으로 돌출하여, 그 하주징(1)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의 높이 레벨에 위치하는 접촉부(5A)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하우징(1)의 바닥면이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된 때에, 그 접촉부(5A)가 회로기판의 소정의 회로부에 접촉하여 후의 땜납결선에 갖추도록 되어있다. 상기 접촉핑거 일부(3)의 선단에는 돌기상으로 탄성접촉부(3A)가 형성이되어 상기회전운동 안내부(4)와 거의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판형상의 접촉자(2)는 지면에 직각한 방향으로 겹쳐서 빗살니 형상으로 복수 배치되어 있으나, 본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접촉자(2)가 하나 마다에 그의 탄성접촉부(3A)의 위치를 좌우에 어긋나게 한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운동안내부(4)의 중심(4A)과 상기 하우징(1)의 축지부의 중심과는 동일직선(지면에 직각한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접촉자(2)는 하우징(1)의 후부(제1도에서 우측부)에서의 하우징의 유지홈에 압입이 되어, 소정 위치까지 압입이 될 때의 크릭상의 돌기(5B)에서 그의 위치가 유지된다.
상기 하우징(1)의 유지홈에는, 상기 접촉자(2)가 압입이 된때에, 접촉핑거 일부보다도 약간 윗쪽위치에 발이면을 갖는 받이부(11B)를 가지며, 그 받이부(113)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부를 받아 멈추어 이것을 윗쪽으로 들어 올리도록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1)의 개구부에는,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뻗는 덮개형상의 가압부재(6)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 가압부재(6)는 가압부(7)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그 가압부재(6)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된 축부(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축부는 상기 하우징(10의 반원상의 상기 축지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가압부재(6)에는 가압부(7)와 서로마주보는 측에, 상기 축부가 하우징(1)의 축지부에 수납될 때, 일련의 접촉자(2)의 회전운동 안내부(4)와 걸어 맞춤하는 원호부를 가진 회전운동 피안내부(8)가 형성이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일련의 접촉자(2)가 상기 하우징(1)의 유지홈에 삽입이 되면, 회전운동안내부(14)는 빗살니 형상으로 배열이 된 축상을 이루고,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6)의 회전운동 피안내부(8)가 회전운동 안내된다. 그 결과, 가압부재(6)의 회전운동때의 지지력은 금속제의 상기 회전운동안내부(4)에 의해 지지되어 그의 강도가 극히 높게된다.
이러한 본예의 커넥터에 있어서 큰 특징은 접촉자(2)의 반원상 선단을 이룬 회전운동 안내부(4)가 하방으로 크게 뻗어있어 회전운동중심(4A)이 돌출한 위치에 있어 측변에 걸림부(4b)를 형성하여, 이것에 대하여 가압부재(6)의 회전운동 피안내부(8)도 상기 회전운동중심(4A)에 대응하는 위치보다도 앞쪽으로 뻗어서 걸림부(8A)를 형성한다.
그 결과, 가압부재(6)가 회전운동하여 가압부(7)가 플렉시블 기판에 맞닿을 때에는, 상기 회전운동안내부(4)와 회전운동 피안내부(8)와의 그들의 걸림부(43)와 걸림부(8A)가 플렉시블 시판의 삽입 방향으로 서로 걸림하여 맞추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6)의 기압부(7)는 인접하는 2개의 직선이 교차하는 각부로서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선이 교차하도록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가압부(7)는 각부로 되어있지 않아도 둥근모양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랙시블 기판은 다음의 요령으로 결선이 된다.
① 우선,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압부재(7)를 상방에 향하여 회전운동하여 개방위치에 가져오게 하여, 하우징(1)의 개구부를 크게 개방하여, 여기서부터 플랙시블 기판(F)을 그의 결선부가 하면으로 되도록하여, 상기 가압부재(6)와 접촉자(2)의 접촉부(3A)와의 사이의 삽입 공간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삽입공간은 플랙시블 기판(F)의 두께에 대하여 충분히 큰 것으로 되어 있으며, 그 플랙시블 기판(F)은 용이하게 상기 삽입공간에 깊숙이 파고들어가, 그 선단부는 하우징(1)의 받이부(113)에 보다 약간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지지된다.
② 그런 연후에, 제2도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압부재(6)를 하방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러면, 그 가압부재(6)의 가압부(7)가 플랙시블 기판(F)에 맞닿으므로, 접촉자(2)의 탄성 접촉부(3A)와 하우징(1)의 받이부(11B)에서 지지되어 있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F)을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플랙시블 기판(F)은 비교적 크게 휘어서 탄성변형이 생겨 맞닿은 압력으로서 접촉부(3A)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가압부(7)의 플랙시블 기판(F)에의 가압력은 당연한 일이며, 그 가압부(7)가 회전운동안내부(4)의 중심(4A)과 이것에 가까운쪽의 탄성접촉부(3A)를 맺는 선상에 도달한 때에 최대치를 취한다. 가압부재(6)는, 가압부(7)가 플랙시블 기판(F)와 맞닿음을 이것을 가압함으로 그 가압부(7)를 중심으로하여 회전운동 할려고하여 회전운동도 작력(모멘트)P에 응한 힘으로 회전운동 피안내부(8)가 회전운동 안내부(4)를 왼쪽으로 밀어서 그회전운동 피안내부(8)는 스스로 왼쪽으로 이동하여 즉 탄성변형하여 회전운동안내부(4)에서 벗어나려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예에서는 회전운동안내부(4)와 회전운동 피안내부(8)는 각각의 걸림부(4B,8A)에서 상기 방향으로 서로 걸림하여 맞추고 있기 때문에, 가압부재(6)는 탄성 변형하여 휘어지거나 혹은 회전운동안내부(4)에서 벗어나는 일은 없다. 또한 본예에서는 접촉자(2)의 탄성접촉부(3A)는 전투의 2위치에 서로 어긋나게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압력도 점차로 증대하도록 되어 최대치가 그리크지는 않았다. 다시 말하면 이 가압력을 생기게 하는 회전운동조작력, 따라서 회전운동 피안내부(8)가 회전운동안내부(4)를 미는힘도 크게 되지 않는다.
③ 더욱이, 상기 가압부재(6)의 회전운동을 속행하면, 상기 가압부(7)는 상기 가압력을 감하면서 하우징(1)의 안쪽 영역으로 진입하여, 상기 가압부재(6)은 제3도에 도시된 소정의 회전운동위치에 가져오게 된다. 또한 상기가압력은 그의 최대치에 비해 감하는 것의 플랙시블 기판(F)과 접촉자(2)의 탄성 접촉부(3A)와의 접속을 유지하는데는 충분한 것으로 되어있다.
④ 이리하여, 플랙시블 기판(F)과 접촉자(2)가 접속된 후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F)에 외력으로서 인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가압부(7)를 원위치(개방위치에 향하여 회전운동시키려고 하여도, 그 가압부재(6)의 상기 가압부(7)는 최대가압력의 위치보다도 크게 안쪽으로 위치하여 있음으로, 플랙시블 기판(F)에서의 반력이 가압부재(6)에 닿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생겨, 가압부재(6)는 용이하게는 열리지 않는다. 이리하여, 상기 최대 압력에 충분히 버티는 외력을 가압부재(6)에 가하지 않는한, 결선상태는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가압부재의 회전운동지지를 위한 회전운동 안내부가 접촉자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별체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말할것도 없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의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표시하여, 이미 기술의 공지의 커넥터를 도시한 제11도의 XⅡ-XⅡ 단면도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단면도로서 가압부재가 열린상태에 있을 경우의 도면, 제5도는 가압부재가 상기의 열린상태의 위치에서 소정위치까지 회전운동한 경우의 도면이다.
제4도에 있어서, 부호(11)는 절연재료로 이룬 하우징이며, 좌반분의 상방으로 향하여 개구하여 있다. 그 하우징(11)은 제11도의 공지의 커넥터와 동일하게, 그의 길이방향(제4도의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상기 개구부의 양단위치에 상방으로 뻗어나온 플랜지상의 유지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유지부의 안속촉의 단면에 원통면 또는 그의 일부를 갖는 촉지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있다. 또 상기 하우징(11)에는, 제11도의 경우와, 동일하게, 양단의 유지부간에 상기길이 방향의 복수위치에 동피치로 접촉자를 수용 유지하는 유지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접촉자(12)는 도전체, 예컨대 판형상 금속재를 펀칭한후에 일부를 벤딩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U자상을 이룬 접촉 핑거일부(13)와, 아암상부의 선단에 설치된 회전운동 안내부(14)와, 양부(13,14)를 하기 기술의 접속부(15A)와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15)를 가지고 있다. 그 도전체는 금속판의 뿐만아니라, 표면에 금속가공을 시행하거나 혹은 도전재를 함유 시킴으로써 도전성을 갖게한 것도 사용이 가능하다. 회전운동안내부(14)에 대하여는 후에 상세히 기술한다. 연결부(15)의 우방에는, 하우징 밖으로 돌출하여, 그 하우징(11)의 바닥면과 대략 돌출하여, 그 하우징(11)의 바닥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 레벨에 유치하는 접속부(15A)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11)의 바닥면이 회로기판(도시하지 않음)상에 배치된 때에, 그 접속부(15A)가 회로기판의 소정의 회로부에 접촉하여 후의 땜납결선에 갖추도록 되어있다. 상기 접촉핑거일부(13)의 선단에는 돌기상으로 탄성접촉부(13A)가 형성이 되어 상기 회전운동안내부(14)와 거의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판형상의 접촉자(12)는 지면에 직각한 방향으로 겹쳐서 빗살니 형상으로 복수 배열이 되어 있으나, 본 예에서는 바람직한 형태로서, 접촉자(12)가 하나 마다에 그의 탄성 접촉부(13A)의 위치를 좌우에 어긋나게 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접촉부(15A)도 교호로 하우징(11)의 왼쪽 및 바른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운동안내부(14)의 중심(14A)과 상기 하우징(11)의 축지부의 중심과는 동일직선 (지면에 직각한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접촉자(12)는 교호로 하우징의 후(제4도에서 바른쪽부) 및 앞쪽부에서 하우징의 유지홈에 압입이 되어, 소정 위치까지 압입된때에, 클릭상의 돌기(15B)에서 그의 위치가 유지된다.
상기 하우징(11)의 유지홈에는, 상기 접촉자(12)가 압입된때에, 접촉핑거 일부보다도 약간 상방 위치에 발이면을 갖는 받이부(11B)를 가지며 그 받이부(11B)에서 플렉시블 기판의 선단부를 받아 멈추어서 이것을 위쪽으로 들어 올리도록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11)의 개구부에는,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길게 뻗는 덮개형상의 가압부재(16)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 가압부재(16)는 가압부(17)를 가지며, 길이방향의 양단부에는, 그 가압부재(16)와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는 축부(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그 축부는 상기 하우징(11)의 반원상의 상기 축지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가압부재(16)에는 가압부(17)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의 측에, 상기 축부가 하우징(11)의 축지부에 수납이 된때에, 일련의 접촉자(12)의 회전운동안내부(14)와 걸어 맞춤하는 원토부를 가진 회전운동 피안내부(8)가 형성이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일련의 접촉자(12)가 상기 하우징(11)의 유지홈에 삽입되면, 회전운동안내부(14)는 빗살니 형상으로 배열이 된 축상을 이루고,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16)의 회전운동 피안내부(18)가 회전운동 안내된다. 그 결과, 가압부재(16)의 회전운동때에 지지력은 금속제의 상기 회전운동안내부(14)에 의해 지지되어 그의 강도가 극히 높게된다. 상기 회전운동 피안내부(18)에 대하여는, 앞서 나온 회전운동안내부(14)와 동시에 후에 기술을 한다.
상기 접촉자(12)의 회전운동안내부(14)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금속판을 펀칭하여 본을 뜬 접촉자(12)의 일부를 U자상으로 벤딩하여 그의 하단면을 반원형으로 함으로써 회전운동 안내면(14B)은, 종래의 접촉자의 치수보다도 높이 방향으로 크게함이 없이, 인접하는 접촉자와의 사이에 공간에 수납하는 범위내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함으로써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압부재(6)의 회전운동 피안내부(18)에는, 제6도와 같이, 접촉자의 배열 피치와 일치하는 피치로 간막이벽(21)이 설치되어 있다. 그 간막이벽(21)은 세로벽부(21A)와 가로벽부(21B)로 L자상을 이루고, 인접하는 간막이벽(21)의 가로벽부(21B) 끼리 사이에, 접촉자(12)의 삽입을 위한 홈부(22)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세로벽부(21A) 끼리 사이에 상기 회전운동 안내부(14)를 받아 넣기 위한 수용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23)의 바닥면 안쪽부로부터 상기 가로벽부(21B)의 하부내면에 걸쳐서 원통면의 일부를 이룬 곡면이 회전운동 피 안내면(23A)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피 안내면(23A)의 곡율반경은 상기 회전운동 안내면(14B)의 곡율 반경과 같든가 약간 큰 정도의 것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플랙시블 기판은 다음의 요령으로 결선이 된다.
① 우선,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압부재(17)를 윗쪽에 향하여 회전운동하여 개방위치에 가져오게하여, 하우징(11)의 개구부를 크게 개방하여, 여기서부터 플랙시블 기판(F)을 그의 결선부가 하면으로 되도록 하여, 상기 가압부재(16)와 접촉자(12)의 접촉부(13A)와의 사이의 삽입 공간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삽입공간은 플랙시블 기판(F)의 두께에 대하여 충분히 큰 것으로 되어 있으며, 그 플랙시블 기판(F)은 용이하게 상기 삽입공간에 들어가, 그의 선단부는 하우징(11)의 받이부(11B)에 의해 약간 들어올려진 위치에서 지지된다.
② 그런 연후에, 제4도의 2점 쇄선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압부재(16)를 하방으로 회전운동하여 제5도의 위치까지 가져온다. 그러면, 그 가압부재(16)의 가압부(17)가 플랙시블 기판(F)에 맞닿음으로서, 접촉자(12)의 탄성 접촉부(13A)와 하우징(11)의 받이부(11B)에서 지지되어 있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F)을, 하방으로 가압한다. 그 결과, 플랙시블 기판(F)은 비교적 크게 휘어진 탄성변형이 생겨, 맞닿은 압력으로서 접촉부(13A)와 접촉하도록 된다. 상기 가압부(17)의 플랙시블 기판(F)에의 가압력은 당연한 일이나며, 그 가압부(17)가 회전운동안내부(14)의 중심(14A)과 이것에 가까운 쪽의 탄성접촉부(13A)를 이는 선상에 도달할때에 최대치를 취한다. 가압부재(16)는, 가압부(17)가 플랙시블 기판(F)와 맞닿으면 이것을 가압함으로, 그 가압부(17)를 중심으로하여 회전운동하려고하여 회전운동조작력(모멘트)P에 따른 힘으로 회전운동 피안내부(18)가 회전운동 안내부(17)를 좌방으로 밀어서, 그 회전운동 피안내부(18)는 스스로 왼쪽으로 이동, 즉 탄성변형하여 회전운동안내부(14)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경향을 표시한다. 그러나, 본 예에서는 가압부재(16)의 회전운동 피안내부(18)는 그의 가로벽부(21B)가 회전운동안내부(14)의 배면에 걸림이 되도록 되기 때문에, 가압부재(16)는 탄성 변형하여 튀어지거나 혹은 회전운동안내부(14)에서 벗어나는 일도 없다.
③ 이리하여, 플랙시블 기판(F)과 접촉자(12)가 접속된 후는, 상기 플랙시블 기판(F)에 외력으로서 인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가압부(17)를 원위치(개방위치)에 향하여 회전운동 시키려고 하여도, 플랙시블 기판(F)에서의 반력이 가압부재(16)가 닫히는 방향으로 모멘트가 생겨, 가압부재(16)는 용이하게는 열리지 않는다. 이리하여, 상기 최대 가압력에 충분히 버티는 외력을 가압부재(16)에 가하지 않는한, 결선 상태는 확보된다.
상기 제2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은 변형예가 실시 가능하다.
상기 회전운동안내부(14)는 제4도 및 제5도와 같이 벤딩하여도, 형성이 가능하다.
또 상기 회전운동안내부는, 판재의 벤딩에 의하지 않아도 형성이 가능하며, 예컨대 제8도와 같이 판재의 단주상의 축부(25)로서 형성할 수 있다. 그 축부(25)는 판재를 부분적으로 형에의해 프레스가공 성형하거나 혹은 원형 판자를 접착하여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제8도의 형태와는 반대로, 제9도와 같이 가압부재(16)의 측에 축부(26A)를 회전운동 피안내부로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회전운동 피안내부는 제5도 그리고 제7도의 경우와 다르며 가로벽부를 가지지 않고 세로벽부(26) 만으로 좋다. 그리고 각 세로벽부(26)에 상기측부(26A)를 일체로 형성하면 좋다. 그때 접촉자(12)는 균일하게 평탄한 것이 좋고, 회전운동 피안내부는 단순한 구멍부(27)로서 형성이 된다.
상기 축부는 가압부재(16)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지 않아도 제10도와 같이 별체로 형성할 수가 있다. 제10도에 있어서는 축체는 핀체(28)로서 설치되어, 복수의 접촉자(12)에 구멍부(27)에 관통이 된다. 그 경우, 가압부재(16)의 세로벽부(29)에는 그 핀체(28)가 끼워 맞춤하는 구멍(30)이 뚫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제1의 발명에 의하면, 가압부재를 회전운동하여 가압부가 플랙시블 기판에 맞닿을때에, 접촉자의 수가 많고 가압부재가 긴것으로서도,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회전운동 안내부에 의해 걸림이 됨으로, 가압부재가 탄성 변형하여 휘어짐으로서 회전운동 안내부에서 벗어나지 않고, 커넥터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또 접촉자의 탄성 접촉부를 플랙시블 기판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에 분포하여 배치하면, 플랙시블 기판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에서의 회전운동조작력의 최대치가 낮게 억제됨으로, 상기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회전운동안내부를 미는힘도 적게되어 가압부재의 벗어나는 현상의 가능성은 더욱 낮게되어, 강도도 낮은 것으로 충분한 것이된다.
또 제2의 발명에 의하면, 접촉자가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하여 회전운동안내부를 가지고 있도록 함으로써, 접촉자의 높이를 증대시키지 않고, 상기 회전운동 안내부를 소정의 접촉자 배열 위치사이에 수납함으로써 그 배열의 방향에서의 치수도 크게하지 않고, 확실하게 가압부재를 벗어나지 않도록 회전운동 안내 할 수 있다. 또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피안내부를 축부에서 형성한다면 접촉자는 균일하고 평탄한 현상이 되므로, 피치를 더욱 작게할 수 있으며, 접촉자의 높이를 증대함이 없이 가압부재의 벗어남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측방 및 이에 인접한 상방의 부분으로 연이어 통하여 개구된 하우징의 그 개구부에 탄성 접촉부가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를 가지며,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유지된 부재는 상기 접촉자의 배열방향의 단부에 원통면 또는 그의 일부를 갖는 회전운동 지지부를 갖추고, 상기 접촉자에 근접한 소정위치와 그 소정위치로부터 이반한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덮개형상의 가압부재가 상기 회전운동지지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접촉자는 금속판을 펀칭 성형함으로서 만들어진 원형의 일부를 이룬 회전운동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소정위치로 향하여 회전운동할때에, 측방에서 상기 개구부에 삽입이 되어서 상기 접촉자상에 배치된 플랙시블 기판을 접촉자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접촉부의 회전운동 안내부에 의해 회전운동 안내되는 회전운동 피안내부를 가지고 있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가압부재를 소정위치까지 회전운동시에, 상기 가압부재의 가압부재가 플랙시블 기판을 상기 받이부와 탄성 접촉부의 사이에서 상면측에서 가압하도록 되어있고, 접촉자의 회전운동 안내부와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가압부재의 회전운동 개시후, 적어도 가압부의 플랙시블 기판에 맞닿은 후에 플랙시블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서로 걸림하여 맞추는 걸림부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상기 플랙시블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상기 접촉자의 탄성 접촉부의 위치보다도 안쪽부에, 상기 플랙시블 기판의 선단부를 받아서 그 플랙시블 기판의 두께 방향에서 가압부재측에 근접시키는 상태에서 지지하기 위한 받이부를 가지며, 그 받이부와 접촉자의 탄성 접촉부가 플랙시블 기판의 하면측에서의 이간한 위치에서 지점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자의 탄성 접촉부는, 플랙시블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적어도 둘이상의 위치에 분포하여 배열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측방 및 이에 인접한 상방의 부분으로 연이어 통하여 개구된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에 탄성 접촉부가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를 가지며,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유지된 부재는 상기 접촉자의 배열방향의 단부에 원통면 또는 그의 일부를 갖는 회전운동지지부를 갖추고, 상기 접촉자에 근접한 소정위치와 그 소정위치로부터 이반한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덮개형상의 가압부재가 상기 회전운동지지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며, 접촉자는 대략 판형상의 도전체에 의해 만들어져서 판두께 방향으로 축선을 갖는 원통면의 적어도 일부FH 형성되는 회전운동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소정위치로 향해 회전운동할 때에, 측방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에 삽입이 되어서, 상기 접촉자상에 배치된 플랙시블 기판을 접촉자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접촉WK의 회전운동 안내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안내되는 회전운동 피안내부를 가지고 있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자는 일부가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하여 회전운동안내부를 형성하고, 가압부재에는 상기 접촉자의 회전운동 안내부를 받아넣는 수용부가 형성이 되어, 그 수용부에 상기 회전운동 안내부와 회전운동 접면하는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운동 안내부는 접촉자의 일부가 되돌려짐으로써 형성되어 원통면부의 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회전운동 안내부는 접촉자의 일부에서 판두께 방향으로 돌출한 단원주형상의 축부이며 원통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7. 측방 및 이에 인접한 상방의 부분이 연이어 통하여 개구된 하우징의 그 개구부에 탄성 접촉부가 배열된 복수의 접촉자를 가지며, 하우징 또는 그 하우징에 유지된 부재가 상기 접촉자의 배열방향의 단부에 원통면 또는 그의 일부를 갖는 회전운동지지부를 갖추고, 상기 접촉자에 근접한 소정위치와 그 소정위치로부터 이반한 개방위치와의 사이를 덮개형상의 가압부재가 상기 회전운동지지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접촉자는 대략 판형상의 도전체에 의해 만들어져서 판두께 방향으로 축선을 갖는 원통면의 적어도 일부에서 형성되는 회전운동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소정위치로 향하여 회전운동할때에, 측방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에 삽입이 되어서 상기 접촉자상에 배치된 플랙시블 기판을 접촉자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접촉자의 회전운동안내부에 의해 회전운동이 안내되는 회전운동 피안내부를 가지고 있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자는 균일한 두께의 판재이고, 뚫어 설치된 구멍부에 의하여 회전운동 안내부가 형성되고, 가압부재는 그 접촉자의 회전운동 안내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고, 그 수용부의 일부의 면에 회전운동 피안내부가 가압부재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떼어내기 자유롭게 부착된 축부로서 설치되고, 상기 축부가 상기 회전운동안내부로서의 구멍부에 끼워 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축부는 접촉자에 대응하여 각 수용부에 각각 별개로 설치되어 단원주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축부는 복수의 접촉자의 구멍부에 관통하는 공통의 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랙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9960029954A 1995-11-09 1996-07-24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220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14878 1995-11-09
JP07314878A JP3098944B2 (ja) 1995-11-09 1995-11-09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8111128A JP3064232B2 (ja) 1996-04-09 1996-04-09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96-111128 1996-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105A KR970031105A (ko) 1997-06-26
KR100220657B1 true KR100220657B1 (ko) 1999-09-15

Family

ID=2645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954A KR100220657B1 (ko) 1995-11-09 1996-07-24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5785549A (ko)
EP (3) EP1043806B1 (ko)
KR (1) KR100220657B1 (ko)
DE (3) DE69632085T2 (ko)
TW (1) TW32560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57B1 (ko) * 2008-11-11 2011-07-15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평형도체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7305B1 (en) * 1996-05-14 2002-09-10 Miraco, Inc. Circuit to printed circuit board stored energy connector
JP3005497B2 (ja) * 1997-05-29 2000-01-31 東北日本電気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356265B2 (ja) * 1997-07-29 2002-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DE19733983A1 (de) * 1997-08-06 1999-02-11 Bosch Gmbh Robert Elektrischer Verbinder
JP3075707B2 (ja) * 1997-12-24 2000-08-1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00021478A (ja) * 1998-06-19 2000-01-21 Molex Inc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430398B2 (ja) * 1998-07-31 2003-07-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450458U (en) * 1999-01-29 2001-08-11 Delta Electronics Inc Connector
JP3320378B2 (ja) * 1999-03-24 2002-09-03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159178B2 (ja) * 1999-04-30 2008-10-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6332801B1 (en) * 1999-09-01 2001-12-25 Hirose Electric Co., Ltd. Insulation replacement electrical connector
JP3964583B2 (ja) * 1999-10-26 2007-08-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6203345B1 (en) * 1999-11-09 2001-03-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lexible circuit connector
JP2001176588A (ja) * 1999-12-17 2001-06-29 Fci Japan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1210406A (ja) * 2000-01-25 2001-08-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コネクタ装置
TW458432U (en) * 2000-01-28 2001-10-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TW443641U (en) * 2000-02-02 2001-06-23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754869B2 (ja) * 2000-04-17 2006-03-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446136B2 (ja) 2000-06-05 2003-09-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6379177B1 (en) * 2000-11-03 2002-04-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with reliable latching mechanism
JP3472559B2 (ja) * 2001-02-22 2003-12-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2252049A (ja) * 2001-02-22 2002-09-06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
JP3741619B2 (ja) 2001-03-23 2006-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3786400B2 (ja) 2001-03-23 2006-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07878B2 (ja) * 2001-04-25 2005-01-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789362B2 (ja) * 2001-07-25 2011-10-12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基板保持装置
JP3666445B2 (ja)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936596B2 (ja) * 2002-02-04 2007-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US7336139B2 (en) * 2002-03-18 2008-02-26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Flexible interconnect cable with grounded coplanar waveguide
US8847696B2 (en) * 2002-03-18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interconnect cable having signal trace pairs and ground layer pairs disposed on opposite sides of a flexible dielectric
JP3732157B2 (ja) * 2002-06-14 2006-01-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853262B2 (ja) * 2002-07-01 2006-12-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DE10249683B4 (de) * 2002-10-25 2006-10-05 Küster Automotive Door Systems GmbH Kontaktklemme zur elektr. Kontaktierung eines Gegenkontaktes, insb. für den Einsatz bei elektrischen Kraftfahrzeugkomponenten, wie bspw. Fensterhebersystemen o. dgl.
JP3619822B2 (ja) * 2002-11-26 2005-02-16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3884721B2 (ja) * 2003-04-03 2007-02-2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582631U (en) * 2003-06-27 2004-04-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20060021764A1 (en) * 2004-07-29 2006-02-02 Oshkosh Truck Corporation Piercing tool
JP4498948B2 (ja) * 2005-02-24 2010-07-07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US7658630B2 (en) * 2005-04-18 2010-0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US7121874B1 (en) 2005-09-26 2006-10-17 Myoungsoo Jeon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edge connector
US7097482B1 (en) * 2005-10-06 2006-08-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ivot portion
JP2007227302A (ja) * 2006-02-27 2007-09-06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1467309B (zh) * 2006-05-31 2013-11-06 创新塑科技有限公司 用于存储装置的压缩式连接器模块和包括其的测试载具
SG152103A1 (en) * 2007-11-07 2009-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nnector
SG152104A1 (en) * 2007-11-07 2009-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nnector
CN102055093A (zh) * 2009-11-07 2011-05-11 昆山玉鼎精密模具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JP4931261B2 (ja) * 2010-02-03 2012-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20140051291A1 (en) * 2010-07-19 2014-02-20 Fci Connectors Singapore Pte Ltd Fpc shielded connector
US7931492B1 (en) * 2010-07-29 2011-04-26 Taiwan Suncagey Industrial Co., Ltd. Structure of conductive terminal of electrical connector
JP5285118B2 (ja) * 2011-05-13 201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DE102011122111A1 (de) 2011-12-22 2013-06-27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Verbinder
DE102011122941B3 (de) 2011-12-22 2019-10-1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r Verbinder und Verwendung des elektrischen Verbinders
JP5621999B2 (ja) * 2012-03-09 2014-11-12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6021058B2 (ja) * 2012-08-27 2016-11-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3872490B (zh) * 2012-12-12 2017-10-03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USD757375S1 (en) * 2014-07-21 2016-05-24 Steve Salais Dog leash handle
USD811382S1 (en) * 2015-12-29 2018-02-27 Lenovo (Beijing) Co., Ltd. Multi-mode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4728A (en) * 1980-05-07 1982-06-15 Amp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clip assembly
US4367006A (en) * 1980-12-10 1983-01-04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flat cable
US4718859A (en) * 1987-03-16 1988-01-12 Molex Incorporate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4778403A (en) * 1987-07-15 1988-10-18 Elco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MY104734A (en) * 1988-05-05 1994-05-31 Whitaker Corp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DE3822980A1 (de) * 1988-07-07 1990-01-11 Lumberg Karl Gmbh & Co Verbinder zum anschluss flacher elektrischer leiter
JPH0635415Y2 (ja) * 1989-10-06 1994-09-14 コネクタ
DE4141376C2 (de) * 1991-12-14 1993-12-02 Hirschmann Richard Gmbh Co Foliensteckverbinder
JP2692055B2 (ja) * 1993-11-18 1997-12-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814447B2 (ja) * 1994-02-03 1998-10-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TW233382B (ko) * 1993-04-02 1994-11-01 Hirose Electric Co Lt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057B1 (ko) * 2008-11-11 2011-07-15 가부시키 가이샤 타케우치 기쥬쯔 켄큐쇼 평형도체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32085D1 (de) 2004-05-06
EP0773608A3 (en) 1998-05-13
EP1043806B1 (en) 2004-03-31
EP1058350B1 (en) 2004-03-31
EP1043806A3 (en) 2001-03-14
US5904586A (en) 1999-05-18
DE69632088D1 (de) 2004-05-06
EP0773608B1 (en) 2002-09-18
EP1043806A2 (en) 2000-10-11
EP0773608A2 (en) 1997-05-14
US5785549A (en) 1998-07-28
EP1058350A2 (en) 2000-12-06
DE69623724T2 (de) 2003-01-30
DE69632085T2 (de) 2005-03-03
EP1058350A3 (en) 2001-06-27
DE69632088T2 (de) 2005-03-10
KR970031105A (ko) 1997-06-26
TW325602B (en) 1998-01-21
DE69623724D1 (de) 200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657B1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6893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 cable
JP3124505U (ja) Fpc用電気コネクタ
US5580272A (en) Flexible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6431897B1 (en) Connector having a rotary actuator engaged with a contact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sheet-like object connected to the connector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783081B2 (ja) 電気コネクタ
KR100318297B1 (ko) 플렉시블기판용전기커넥터
US20070254534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904367B2 (ja) 雌端子
KR100744977B1 (ko) 플랫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JP3143222U (ja) 改良されたデュアルビームコンタクトを備えたコネクタ
JP2692055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098944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3064232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353921B2 (ja) 接続構造体、ハウジング付接続構造体、及び、端子
KR101175170B1 (ko) 소켓 콘택트
JP4093583B2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21077512A (ja) 接続構造体、ハウジング付接続構造体、及び、端子
JP2004335201A (ja) 電気コネクタ
KR20050044269A (ko) 소켓 커넥터
KR200177716Y1 (ko)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552215B2 (ja) コネクタ
JP2011165674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