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2285B1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2285B1
KR101032285B1 KR1020080050240A KR20080050240A KR101032285B1 KR 101032285 B1 KR101032285 B1 KR 101032285B1 KR 1020080050240 A KR1020080050240 A KR 1020080050240A KR 20080050240 A KR20080050240 A KR 20080050240A KR 101032285 B1 KR101032285 B1 KR 10103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able arm
housing
closed position
fixe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9616A (ko
Inventor
시로 스나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09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9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가 가로 방향 외력을 받아도 쉽게 변형이나 이동하지 않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단자 (10) 가 연결부 (13) 로 연결된 고정 아암부 (11) 와 가동 아암부 (12) 를 갖고, 고정 아암부 (11) 는 하우징 (30) 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가동 아암부 (12) 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압압부 (12A) 를 그리고 타단측에 피압부 (12B) 를 갖고, 조작부 (40A) 에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한 가압 부재 (40) 의 이동시에 가압 부재의 캠부 (42) 가 가동 아암부 (12) 의 피압부 (12B) 를 눌러 변위시키고, 피압부 (12B) 의 변위에 의해 가동 아암부 (12) 가 연결부 (1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변위하여 압압부 (12A) 를 변위시키고, 압압부에서 평형 도체 (F) 에 압압력을 인가하고, 단자 (10) 의 고정 아암부 (11) 혹은 하우징 (30) 은 평형 도체 (F) 의 길이 방향에서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 (40) 가 연결부 (13)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 (11F-1) 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 금속판의 평탄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단자를 제작하고, 그 평탄면끼리를 평행으로 하도록 복수의 단자를 배열하고, 이 평탄면내에서 단자의 압압부를 변위시켜 평형 도체를 그 단자의 접촉부에 압접시키는 단자를 갖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커넥터로서, 특허 문헌 1 에서는, 도 4 의 (A) 에 보여지듯이, 하우징 (51) 에는 2 종의 단자 (52, 53) 가 배열되어 있지만, 가압 부재와의 걸어맞춤의 원리는 동일하므로, 일방의 단자 (52) 에 대하여 설명하면, 단자 (52) 는 고정 아암부 (55) 와 가동 아암부 (54) 와 2 개의 아암부를 거의 평행 상태에서 중간부에서 연결부 (56) 에 의해 연결하여, 일 부재로서 형성하고 있다. 상방에 위치하는 가동 아암부 (54) 는 일단에 평형 도체 (F) 를 누르는 압압부 (54A) 를 갖고, 타단에 가압 부재 (60) 의 캠부 (61) 에 의해 압력을 받는 피압부 (54B) 를 갖고 있다. 이 가압 부재 (60) 는 복수의 단자 배열 범위에 이르고 있고, 단자 배열 방향 (지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 에서의 양단에 축부 (도시 생략) 를 갖고, 이 축부가 하우징 (51) 에 의해 회전 운동이 자유롭 게 지지되어 있고, 그 축부 주위에 회전 운동 조작을 받아 상기 캠부 (61) 가 단자 (52) 의 피압부 (54B) 를 누르도록 되어 있다. 그 캠부 (61) 는 단자 (52) 의 가동 아암부 (54) 의 피압부 (54B) 와 고정 아암부 (55) 의 안내부 (55B) 사이에서 회전 운동 안내된다. 피압부 (54B) 는 가동 아암부 (54) 의 가장자리부 그리고 안내부 (55B) 는 고정 아암부 (55) 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양방의 가장자리부 모두 각각의 아암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거의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가압 부재 (60) 가 도 4 의 (A) 의 개방 위치로부터 도 4 의 (B) 의 폐쇄 위치까지 회전 운동되면, 피압부 (54B) 가 캠부 (61) 로부터 힘을 받아 변위하고 가동 아암부 (54) 는 연결부 (56)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변위하여, 압압부 (54A) 가 평형 도체 (F) 를 누르는 방향으로 변위시켜 평형 도체 (F) 와 고정 아암부 (55) 의 접촉부 (55A) 가 접압을 갖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178958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가압 부재 (6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돌출되는 축부에서만, 그 회전 운동 중심이 정위치가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양 축부 사이의 단자 배열 범위에서는, 가압 부재 (60) 의 캠부 (61) 는 단자 (52) 의 가동 아암부 (54) 와 고정 아암부 (55)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을 뿐, 이들 아암부의 길이 방향이 되는 가로 방향으로는 아무런 지지 혹은 규제를 받고 있지 않다.
이 종류의 커넥터는 단자가 평탄한 것으로서 제작되어 있는 관계상, 단자끼리간의 피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단자가 형성되고, 그 결과, 가압 부재 (60) 로서는, 단자 배열 방향의 폭 치수가 커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가압 부재 (60) 가 폐쇄 위치에 있어 커넥터 내부 방향을 향하는 가로 방향 성분을 갖는 외력을 부주의하게 받았을 경우, 예를 들어, 가압 부재 (60) 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조작을 할 때에, 필요 이상으로 내부 방향으로의 힘을 가한 경우 등에는, 가압 부재 (60) 는 양 축부간에서 휘어 상기 가로 방향으로 변위되기 쉽다. 이 변위는 캠부의 회전 중심의 가로 방향 이동을 초래하여 단자를 변형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태를 감안하여,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서 가로 방향의 외력을 받아도, 캠부의 회전 운동 중심이 이동하지 않고, 정규의 위치에 있어 단자를 손상시키지 않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제작되고 그 평탄면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판두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단자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병설된 아암상의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를 갖고, 그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 부재로서 형성되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압압부를 그리고 타단측에 피압부를 갖고, 조작부에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한 이동 조작을 받는 가압 부재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그 가압 부재의 캠부가 소정량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아암부의 피압부를 눌러 단자의 평면을 포함한 면내에서 변위시키고, 이 피압부의 변위에 의해 가동 아암부가 상기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변위하여 압압부를 변위시키고, 그 압압부에서 평형 도체에 압압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의 고정 아암부 혹은 하우징은,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자와의 대응 위치에서, 평형 도체의 길이 방향에서,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가 연결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단자의 배열 범위에서, 단자의 고정 아암부, 혹은 하우징에 형성된 규제부에 의해,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가 단자의 연결부측, 즉 하우징의 내방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규제를 받고 있으므 로, 가압 부재가 상기 내방을 향한 외력을 받아도, 가압 부재는 그 방향에서의 변형도 이동도 하지 않는다. 상기 규제부는 전체 수의 단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형성될 필요는 없고, 단자 배열 방향에 분포하는 일부의 단자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충분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의 조작부와 캠부 사이의 홈부내에 돌입된 돌기부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돌기부는 단자에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하우징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부를 단자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이 돌기부는 고정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방의 돌출 가장자리가 규제부로서 홈부의 조작부측 내부 가장자리와 대치하고 그리고 타방의 돌출 가장자리가 캠부에 대한 안내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의 고정 아암부 혹은 하우징에, 폐쇄 위치의 가압 부재가 연결부로의, 즉 커넥터 내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형성하였으므로, 커넥터 내방을 향한 가로 방향 외력이 부주의하게 가압 부재에 작용해도, 가압 부재는 정규 위치를 유지하여, 단자를 손상시키는 일이 없다.
이하, 첨부 도면의 도 1 내지 도 3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나는 형태의 커넥터는, 금속판을 가공하여 지면에 평행한 평탄면을 갖는 단자가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갖고 복수 배열되어 있다. 단자는 2 종의 단자 (10, 20) 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은 적어도 1 종의 단자 (10) 에 구비되어 있으면 충분하므로, 다른 종류의 단자 (20)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상기 1 종의 단자 (10) 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 의 (A) 는 후술하는 가압 부재의 개방 위치에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이것에 대하여, 도 1 의 (B) 는 가압 부재의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동일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양 도면은 일방의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도로서 나타나 있다.
단면이 사각형을 이루고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30) 은 절연 재료를 성형하여 제작되어 있고, 상기 2 종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각각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단자 (20) 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므로, 이것에 대응하는 수용 홈에 대한 설명도 생략하고, 단자 (10) 를 위한 수용 홈 (31) 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한다.
단자 (10) 를 수용하는 수용 홈 (31) 은 그 단자 (10) 의 판두께에 알맞은 내폭 (지면에 대하여 직각 방향의 내폭) 으로,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이루고, 도 1 의 (A) 에 있어서, 좌우로 관통하여 하우징 (30) 에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홈 (31) 은 하우징 (30) 의 우부에 있어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로부터 상방을 향한 영역에서, 단자 (10) 를 위한 수용 홈 (31) 과 단자 (20) 를 위한 수용 홈 (도시 생략) 모두가 연통되어 있고, 상방으로 개구되는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32) 을 형성하고, 하우징 (30) 의 좌반부에서는 상하 방향 중간부에 서, 상기의 모든 수용 홈이 연통되어 있고, 좌방으로 개구되는 평형 도체 삽입 공간 (33) 을 형성하고 있다. 그 결과, 하우징 (30) 내에서는, 수용 홈 (31) 은 하우징의 하벽 (34) 그리고 좌반부에 위치하는 상벽 (35) 의 각각의 내면을 따른 부분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상벽 (35) 은 좌단이 그 상벽 (35) 에 있어서의 수용 홈 (31) 의 하부 가장자리 위치까지 수하(垂下)되어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하는 상측 후단벽 (35A) 을 갖고, 수용 홈 (31) 의 후단 위치를 정하고 있다. 여기서, 평형 도체 (F) 의 상기 삽입 공간 (33) 으로의 도입 방향, 도면에 있어서 우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좌방향을 후방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벽 (34) 은 좌단이 그 하벽 (34) 에 있어서의 수용 홈 (31) 의 상부 가장자리 위치까지 수하된 역 L 자 형상을 이루고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속하는 하측 후단벽 (34A) 을 갖고, 수용 홈 (31) 의 후단 위치를 정함과 함께, 그 내면에 후술하는 단자 (10) 의 고정 아암부가 압입되어 그 단자 (10) 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 홈 (34B) 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벽 (34) 은 전단 (도면에서 우단) 이 약간의 테이퍼를 가진 고정단벽 (34C) 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수용 홈 (31) 에는 후술하는 단자 (10) 가 우방에서 좌방을 향하여 삽입되지만, 다른 종류의 단자 (20) 에 대하여 형성되는 수용 홈에 대해서는, 단자 (20) 가 좌방에서 우방을 향하여 삽입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고정 홈 그리고 고정단벽은 좌우의 위치 관계가 반대로 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자 (1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의 평탄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형상지워져 있으며, 도시와 같이, 대략 가로 H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자 (10) 는 하방에 위치하는 고정 아암부 (11) 와, 그 상방에 위치하고, 그 고정 아암부 (11) 에 거의 평행한 가동 아암부 (12) 와, 고정 아암부 (11) 와 가동 아암부 (12) 를 이들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 (13) 와, 연결부 (13) 보다 후방 (좌방) 위치에서 상기 고정 아암부 (11) 로부터 분지하여 고정 아암부 (11) 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요 접촉 아암부 (14) 를 갖고, 상기 고정 아암부 (11), 가동 아암부 (12), 연결부 (13) 그리고 가요 접촉 아암부 (14) 는 일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요 접촉 아암부 (14) 는 고정 아암부 (11) 의 후단보다 전위치로서, 하측 후단벽 (34A) 근처까지만 연장되어 있다.
상기 고정 아암부 (11) 는 상기 연결부 (13) 보다 후방 (좌방) 부분에서, 하부 가장자리가 하우징 하벽 (34) 의 내면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후단에서의 걸림 돌기 (11A) 가 하우징 (30) 의 고정 홈 (34B) 의 내벽에 파고들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 아암부 (11) 는 상기 연결부 (13) 보다 전방 (우방) 부분에, 후술하는 가압 부재의 캠부를 위한 캠 지지 안내부 (11B) 와, 하우징 (30) 밖으로 돌출되는 접속부 (11C) 와, 하우징 (30) 하벽 (34) 의 고정단벽 (34C) 에 고정되는 고정 홈 (11D) 을 갖고 있다.
상기 캠 지지 안내부 (11B) 는 상기 고정 아암부 (11) 의 융기부 (11E) 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탄한 지지부 (11B-1) 와 오목 만곡된 안내부 (11B-2) 를 갖고 있다. 이 캠 지지 안내부 (11B) 의 우방에는 인접하여 상방을 향하는 돌기부 (11F)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 (11F) 의 좌부 가장자리가 상기 안내부 (11B-2) 의 일부를 형성하고, 우부 가장자리가 규제부 (11F-1)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 (11C) 는 하우징 (30) 밖으로 돌출되고, 그 하부 가장자리가 하우징 하벽 (34) 의 저면보다 약간 하방에 위치하고, 커넥터가 회로 기판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접속부 (11C) 의 하부 가장자리가 확실하게 회로 기판의 회로부에 접면하여 납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접속부 (11C) 의 좌부 가장자리는 홈 형상을 이루어 상기 고정 홈 (11D) 을 형성하고 있다. 이 고정 홈 (11D) 은 단자의 하우징으로의 삽입시에, 상기 하우징 (30) 의 하벽 (34) 에 형성된 고정단벽 (34C) 에 끼워맞춰져 그 위치가 고정된다.
가요 접촉 아암부 (14) 는 연결부 (13) 에 대하여 후방 위치에서, 고정 아암부 (11) 로부터 분지되어 이 고정 아암부 (11) 에 대하여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접촉부 (14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가요 접촉 아암부 (14) 의 대부분은 하벽 (34) 에 있어서의 수용 홈 (31) 내에 수용되어 있지만, 상기 접촉부 (14A) 는 홈 밖에 있어, 평형 도체 삽입 공간 (33) 에 돌입하여 위치하고 있다.
상기 일방의 단자 (10) 의 가동 아암부 (12) 는 상기 연결부 (13) 에 의해 상기 고정 아암부 (11) 와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 (13) 의 위치에 대하여 좌우로 연장되어 있다. 그 가동 아암부 (12) 의 좌단은 상기 가요 접촉 아암부 (14) 의 접촉부 (14A) 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그 좌단에 이 접촉부 (14A) 에 대향하여 돌출되는 압압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 아암부 (12) 의 우단 근방에는 상기 고정 아암부 (11) 의 안내부 (11B-2) 에 대향한 위치의 가장자리가 오목 만곡부를 이루고, 그 오목 만곡부가 피압부 (12B) 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단자 (10) 는 상기 하우징 (30) 의 수용 홈 (31) 에 하우징 (30) 의 전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삽입된다. 고정 아암부 (11) 는 하우징 (30) 하벽 (34) 의 수용 홈 (31) 에 그리고 가동 아암부 (12) 는 상벽 (35) 의 수용 홈 (31) 에 수용된다. 고정 아암부 (11) 는 상기 수용 홈 (31) 의 홈 저면에 접하고, 그 고정 아암부 (11) 의 걸림 돌기 (11A) 가 하우징 (30) 의 고정 홈 (34B) 에 파고들어, 그 고정 홈 (34B) 으로부터의 반력에 의해 그 고정 아암부 (11) 의 하부 가장자리가 하우징 (30) 하벽 (34) 의 홈 저면에 강하게 눌려,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접속부 (11C) 에 형성된 고정 홈 (11D) 이 하우징 하벽 (34) 의 우단의 고정단벽 (34C) 에 끼움 장착되어 이것에 의해서도 고정 아암부 (11) 는 확실히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 가동 아암부 (12) 는, 그 상부 가장자리와 하우징 (30) 상벽 (35) 의 하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가동 아암부 (12) 는 상기 연결부 (13) 보다 우방의 부분이 하우징 (30) 의 상벽 (35) 이 존재하지 않는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32) 에 돌입되어 있다.
가압 부재 (40) 는 수지 등의 절연재를 성형하여 제작되어 있고, 도 1 의 (A) 에서 하우징 (30) 의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32) 내에서 밖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지면에 직각 방향 즉 단자의 배열 방향으로는, 단자 (10, 20) 의 배열 범위를 커버하는 폭을 갖고 있다. 그 가압 부재 (40) 는 대략 하우징 (30) 내에 위치하는 하반부에, 상기 배열 방향에서 단자 (10) 에 대응한 위치에, 단자 (10) 의 가동 아암부 (12) 의 관통을 허용하는, 지면에 평행한 슬릿 형상의 홈부 (41)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반부는 하우징 (30) 밖에 있고 조작부 (40A) 를 형성하고 있다. 각 홈 (41) 은 그 가압 부재 (40) 의 단부 위치 (도 1 의 (A) 에서 하단 위치) 에, 각 홈부 (41) 의 대향 내벽면 (상기 배열 방향에서 서로 면하는 내벽면) 끼리를 연결하고 있는 캠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캠부 (42) 는 가압 부재 (40) 가 도 1 의 (A) 에 보여지는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이들 단면이 가로 방향으로 긴 장원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동일 도면에 있어서, 캠부의 좌단에서 우단까지의 거리가 캠 지지 안내부 (11B) 와 피압부 (12B) 의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다. 그 캠부 (42) 는, 도 1 의 (A) 에서 우측 반원부의 중심 (43) 에 지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연장되는 공통된 회전 운동 축선을 갖고 있다. 가압 부재 (40) 는 상기 중심 (43) 주위에, 도 1 의 (A) 의 개방 위치로부터 도 1 의 (B) 의 폐쇄 위치로 회전 운동 조작된다. 상기 단자 (10) 의 돌기부 (11F) 는 이 가압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왔을 때에, 상기 홈 (41) 내에 돌입되고, 돌기부 (11F) 의 우부 가장자리인 규제부 (11F-1) 는 가압 부재 (40) 의 상기 홈 (41) 의 홈 저부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단자 (10) 의 피압부 (12B) 는 가압 부재 (40) 의 도 1 의 (B) 에 나타내는 폐쇄 위치까지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캠부 (42) 로부터 압력을 받아, 그 캠 변위량에 따라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지만, 이 피압부 (12B) 의 탄성 변위는 가동 아 암부 (12) 가 연결부 (1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우는 변위를 발생시킴으로써, 압압부 (12A) 에 하방으로의 탄성 변위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1) 먼저, 도 1 의 (A) 에서 보여지듯이, 하우징 (30) 내 좌부에 형성되어 있는 평형 도체 삽입 공간 (33) 에 평형 도체 (F) 의 단부인 접속 회로부를 전방에 삽입한다. 그 때, 그 접속 회로의 면은 양 단자 (10) 의 접촉부 (14A) 에 면하도록 하면측에 위치시킨다.
(2) 평형 도체를 소정 위치까지, 구체적으로는 선단이 하우징의 맞닿음부에 맞닿는 깊이까지 삽입한 후에, 가압 부재 (40) 를 도 1 의 (B) 의 폐쇄 위치를 항햐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킨다. 가압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오면, 캠부 (42) 는 그 중심 (43) 주위에 회전하여 세로로 긴 자세를 취한다. 캠부 (42) 는 단자 (10) 의 피압부 (12B) 를 눌러 상방으로 변위시킨다. 가압 부재 (40) 가 도 1 의 (B) 의 폐쇄 위치에 오면, 가압 부재 (40) 의 조작부 (40A) 와 캠부 (42) 사이의 홈부 (41) 로 단자 (10) 의 고정 아암부 (11) 의 돌기부 (11F) 가 진입하고, 그 돌기부 (11F) 의 우부 가장자리인 규제부 (11F-1) 가 상기 홈부 (41) 의 저부와 근접 대면하는 위치에 온다.
(3) 단자 (10) 의 피압부 (12B) 의 변위에 의해, 단자 (10) 의 가동 아암부 (12) 는 연결부 (1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기울게 되고, 그 결과, 압압부 (12A) 는 하방으로 탄성 변위된다. 이렇게 하여, 단자 (10) 의 압압부 (12A) 는 평형 도체 (F) 를 상기 단자 (10) 의 접촉부 (14A) 에 대하여 소정의 접 압을 갖고 접촉시킨다. 또한, 단자 (20) 도 가압 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그 압압부에서 평형 도체를 눌러, 접촉부에 접압을 갖고 접촉시킨다.
(4) 이와 같이 하여, 가압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고, 평형 도체 (F) 와 단자 (10)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압 부재 (40) 가 가로 방향에서 후방, 즉 하우징 내방을 향하는 힘을 받아도, 가압 부재 (40) 는 그 홈부 (41) 의 저부가 상기 규제부 (11F-1) 와 맞닿아, 거의 이동하지 않고, 가압 부재의 변형이나 벗어남은 방지된다.
본 발명은, 도 1 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규제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의 홈부에 돌입되는 돌기부로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도 2 와 같이, 가압 부재 (40) 의 조작부 (40A) 를 가압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단자 (10) 의 융기부 (11E) 의 측방을 따른 위치까지 수하되는 형태로 해도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융기부 (11E) 의 우부 가장자리가 규제부 (11F-1) 로서 상기 조작부 (40A) 의 좌면 (홈부의 바닥에 대응하는 위치의 면) 과 대면하게 된다.
다음으로, 규제부는 단자에 형성하지 않더라도, 하우징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 에 나타나는 예에서는, 단자 (20) 는 도 1 에 나타난 단자 (10) 와는 반대 방향으로부터 하우징에 삽입되는 형식으로 제작되어 있고, 도 1 의 예에서 단자 (10) 끼리간에 배치된 다른 종류의 단자 (20) 인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단자 (20) 는 단자 (10) 와는 반대 방향으로부터, 대응 수용 홈 (31') 에 삽입되는 관계상, 고정 아암부 (21) 는 단자 (10) 의 고정 아암부 (11) 와 좌우 반대 로 형성되어 있다. 즉, 고정 아암부 (21) 의 전단부 (우단부) 에 걸림 돌기부 (21A) 가 형성되고, 후단부 (좌단부) 에 접속부 (21C) 가 형성되고 그리고 고정 홈 (21D) 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하우징 (30) 은 하벽 (34) 의 후단에 상기 단자 (20) 의 고정 홈 (21D) 이 끼워지는 고정단벽 (34C') 을 갖고, 고정 아암부 (21) 의 걸림 돌기부 (21A) 가 압입되어 걸리는 하측 전단벽 (34A') 을 가압 부재 회전 운동 공간 (32) 의 하방 위치에 갖고 있다. 이 하측 전단벽 (34A') 의 상면에는 지지부 (36A') 와 안내부 (36B') 로 이루어지는 캠 지지 안내부 (36')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캠 지지 안내부 (36B') 의 일부를 형성하는 돌기부 (36C') 가 상기 가압 부재 (40) 의 홈부 (41') 에 돌입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 (36C') 의 우부 가장자리가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 (40) 의 상기 홈부 (41') 의 저부에 근접 대면하여 규제부 (36C'-1) 를 형성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자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도로서, (A) 는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 (B) 는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커넥터의 단면도로서, (A) 는 가압 부재가 개방 위치, (B) 는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자
20 단자
11 고정 아암부
21 고정 아암부
11B-2 안내부
30 하우징
11F 돌기부
36C' 돌기부
11F-1 규제부
36C'-1 규제부
12 가동 아암부
40 가압 부재
12A 압압부
40A 조작부
12B 피압부
41 홈부
13 연결부
42 캠부

Claims (3)

  1. 금속판의 평탄면을 유지하여 제작되고 그 평탄면끼리가 평행이 되도록 판두께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전기 접촉을 하는 단자가 서로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병설된 아암상의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를 갖고, 그 고정 아암부와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중간부에서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일 부재로서 형성되고, 상기 고정 아암부는 하우징에 의해 고정 유지되고, 가동 아암부는 길이 방향 일단측에 압압부를 그리고 타단측에 피압부를 갖고, 조작부에서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를 향한 이동 조작을 받는 가압 부재의 소정 방향으로의 이동시에 그 가압 부재의 캠부가 소정량의 이동에 의해 상기 가동 아암부의 피압부를 눌러 단자의 평면을 포함한 면내에서 변위시키고, 이 피압부의 변위에 의해 가동 아암부가 상기 연결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레 형상으로 각변위하여 압압부를 변위시키고, 그 압압부에서 평형 도체에 압압력을 인가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 중 적어도 일부의 단자의 고정 아암부 혹은 하우징은 각각의 단자에 대응하여, 평형 도체의 길이 방향에서,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가 연결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가압 부재가 폐쇄 위치에서는 단자의 피압부가 상방으로 탄성 변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규제부는 폐쇄 위치에 있어서의 가압 부재의 조작부와 캠부 사이의 홈부내에 돌입된 돌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돌기부는 고정 아암부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방의 돌출 가장자리가 규제부로서 홈부의 조작부측 내부 가장자리와 대치하고 그리고 타방의 돌출 가장자리가 캠부에 대한 안내부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080050240A 2007-06-12 2008-05-29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032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54690A JP4330084B2 (ja) 2007-06-12 2007-06-12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JP-P-2007-00154690 2007-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16A KR20080109616A (ko) 2008-12-17
KR101032285B1 true KR101032285B1 (ko) 2011-05-06

Family

ID=3972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240A KR101032285B1 (ko) 2007-06-12 2008-05-29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4499B2 (ko)
EP (1) EP2003739A2 (ko)
JP (1) JP4330084B2 (ko)
KR (1) KR101032285B1 (ko)
CN (1) CN101325291B (ko)
TW (1) TW20084972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3497B2 (ja) * 2008-10-01 2013-11-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
JP4817466B2 (ja) 2009-01-22 2011-1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372224B1 (ja) * 2009-06-01 2009-11-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92518B2 (ja) * 2009-07-27 2011-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58040B2 (ja) * 2009-07-29 2014-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JP4996705B2 (ja) * 2010-02-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80438B2 (ja) * 2010-02-26 2012-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93788B2 (ja) * 2010-03-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108053B2 (ja) * 2010-04-30 2012-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121884B2 (ja) * 2010-05-31 2013-0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630365B2 (ja) * 2011-04-13 2014-11-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CN102324638A (zh) * 2011-05-23 2012-01-18 深圳市金盟友机电科技有限公司 Fpc电子连接器导电金属端子
US8535089B2 (en) 2011-07-25 2013-09-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US8430685B2 (en) * 2011-07-25 2013-04-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18634B2 (ja) * 2012-06-05 2016-05-1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JP5872510B2 (ja) * 2013-08-08 2016-03-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6208008B2 (ja) * 2013-12-27 2017-10-0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771983B2 (ja) * 2016-08-01 2020-10-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7809A1 (en) * 2005-09-30 2007-04-05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type cab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3766B2 (ja) 2002-11-27 2008-04-09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37982B2 (ja)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7154690A (ja) 2005-12-01 2007-06-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7227302A (ja) * 2006-02-27 2007-09-06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576349B2 (ja) * 2006-03-24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7809A1 (en) * 2005-09-30 2007-04-05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a flat-type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9616A (ko) 2008-12-17
CN101325291A (zh) 2008-12-17
US20080311780A1 (en) 2008-12-18
CN101325291B (zh) 2012-02-08
JP2008310964A (ja) 2008-12-25
TW200849727A (en) 2008-12-16
US7604499B2 (en) 2009-10-20
TWI373885B (ko) 2012-10-01
JP4330084B2 (ja) 2009-09-09
EP2003739A2 (en) 2008-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228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7530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735503B2 (en) Connector for receiving and electrically connecting with a cable
KR100973948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018615B1 (ko) 평형(平型)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0977424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07658591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4795179B2 (ja) コネクタ
KR101208447B1 (ko) 접속단자
JP697562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9899755B2 (en) Connector and connection structure
JP2019186062A (ja) コネクタ
US9160101B2 (en) Electric connector
KR101331303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18147788A (ja) コネクタ
JP2013257960A (ja) コネクタ
JP7107708B2 (ja) コネクタ
JP2013098025A (ja) コネクタ
JP2018022567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624191B2 (ja) コネクタ
US10128599B2 (en) Connector
JP6339541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211799B1 (ko) 로크 기구 장착 전기 커넥터
JP2016076318A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