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424B1 -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424B1
KR100977424B1 KR1020070019460A KR20070019460A KR100977424B1 KR 100977424 B1 KR100977424 B1 KR 100977424B1 KR 1020070019460 A KR1020070019460 A KR 1020070019460A KR 20070019460 A KR20070019460 A KR 20070019460A KR 100977424 B1 KR100977424 B1 KR 100977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balanced circuit
arm body
terminal
sh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9087A (ko
Inventor
요시노리 다카시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4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5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 H01R12/67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 insulation penetra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뜻하지 않은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한 채로 그 금속판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단자 (10) 가, 상기 판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하우징 (1) 에 의해 복수 유지되고, 그 단자 (10) 는 거의 평행한 2 개의 아암체 (11, 12) 의 대향 가장자리에 돌기부 (11A, 12A) 가 형성되고, 2 개의 아암체의 돌기부끼리 간의 거리를, 단자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좁힘으로써, 상기 돌기부끼리 간에 평형 회로 기판 (F) 를 협지하여 그 평형 회로 기판과 단자 (10) 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 (12A) 가 첨예부를 형성하고 있다.

Description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ELECTRIC CONNECTOR FOR PARALLEL CIRCUIT BOARD}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가압 부재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도 2 는 도 1 의 단자에 형성된 첨예부를 갖는 돌기부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 가압 부재가 닫힘 위치로 가져와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단자의 첨예부에 대하여,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 는 단자의 첨예부에 대하여,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종래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하우징
10 단자
11, 12 아암체 (11 : 상아암체, 12 : 하아암체)
11A, 12A 돌기부
12A-1 전가장자리
12A-2 후가장자리
F 평형 회로 기판
특허 문헌 1 : 특허 제3047862호
본 발명은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평형 회로 기판으로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 (FPC), 플랫 케이블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평형 회로 기판을 접속 대상 부재, 예를 들어, 다른 회로 기판에 접속시키는 전기 커넥터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는, 첨부 도면의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50) 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단자 (60) 가, 금속판의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펀칭 등의 가공에 의해 형상지어져 있고, 평행한 2 개의 아암체 (61, 62) 를 가지고, 이들은 중간 위치에서 연결부 (63) 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 형성되어 있다. 2 개의 아암체 (61, 62) 는, 일단측에서 서로 대향하는 둥그스름한 돌기 형상의 접촉부 (64, 65) 를 가지고, 타단측에서는, 일방의 아암체 (62) 는, 하우징 외로 돌출하여 접속 대상 부재인 상기 다른 회로 기판과 접속되는 접속부 (66) 를 가지고 있고, 타방의 아암체 (61) 는 회전 운동 부재 (70) 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에 탄성 휨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회전 운동 부재 (70) 는 그 원호 형상 돌기부 (71) 에서 상기 아암체 (62) 에 의해 회전 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되고, 도시하는 A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아암체 (61) 의 우측 자유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듯이 그 아암체 (61) 에 맞닿는 압접부 (72) 를 가지고 있다.
이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서는, 상기 2 개의 아암체 (61, 62) 각각의 접촉부 (64, 65) 간에 평형 회로 기판 (F) 를 삽입한 후에, 상기 회전 운동 부재 (70) 를 도시하는 A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킴으로써, 상기 아암체 (61) 의 우측 자유단을 상방으로 들어올리듯이 탄성 휨 변형시킨다. 우측 자유단이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면, 아암체 (61) 는 중간부의 연결부 (63) 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렛대 형상으로 변위되고, 좌측의 접촉부 (64) 는 하방으로 눌려 내려진다. 이렇게 하여, 접촉부 (64, 65) 간에서 평형 회로 기판 (F) 은 협압 (挾壓) 유지됨과 함께, 예를 들어,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부 (F1) 가 상기 단자 (60) 를 거쳐, 다른 회로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기 기술한 특허 문헌 1 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2 개의 아암체 (61, 62) 의 접촉부 (64, 65) 는, 아암체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의 그 선두부는 둥그스름하므로, 평형 회로 기판 (F) 의 양면을 잘 손상시키기 않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 접촉부 (64, 65) 가 크고 둥그스름하기 때문에, 평형 회로 기판 (F) 에 뜻하지 않은 발출력이 작용하면, 용이하게 빠져 버리는 경우가 있다.
평형 회로 기판은, 도 6 과 같이, 일방의 면 (도면에서 상방의 면) 에는 회로부 (F1) 가 형성되어 있지만, 타방의 면에는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성을 좋게 하기 위해, 폴리이미드 등으로 형성된 보강 필름 (보강판) 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면은 상처를 받아도 아무런 지장이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평형 회로 기판의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을 이용하여, 확실하게 그 평형 회로 기판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과 관련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한 채로 그 금속판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단자가 상기 판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하우징에 의해 복수 유지되고, 그 단자는 거의 평행한 2 개의 아암체의 대향 가장자리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2 개의 아암체의 돌기부끼리 간의 거리를, 단자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좁힘으로써, 상기 돌기부끼리 간에서 평형 회로 기판을 협지시켜 그 평형 회로 기판과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이러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적어도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가 첨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평형 회로 기판면에 대하여, 보강 필름 (보강판) 이 형성된 그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혹은 영역에서, 상기 단자의 첨예부 가 예리하게 찔러 평형 회로 기판의 빠짐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평형 회로 기판은, 많은 경우, 일방의 면에 회로부가 형성되고, 타방의 면에는 회로부가 형성되지 않고 보강 필름 (보강판) 면이 그대로 드러나 있다. 혹은, 일방의 면에 회로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그 주위에 회로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의 첨예부가 이러한 회로부가 없는 면 혹은 영역에서 평형 회로 기판의 보강 필름 (보강판) 면에 맞물려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확실하게 평형 회로 기판의 빠짐이 방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예부는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전가장자리와 후가장자리로 구성되고, 후가장자리측에서의 평형 회로 기판의 면과 상기 전가장자리 사이의 각이 예각을 이루도록 하면, 평형 회로 기판에 발출 방향의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첨예부는 평형 회로 기판의 면에 대한 맞물려 들어감을 더욱 크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가 둥그스름하고, 타방의 아암체의 돌기부가 첨예부를 형성하고, 상기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를 회로부와 접촉시키는 접촉부로 하고, 타방의 아암체의 돌기부를 회로부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서 맞물려 들어가도록 하면 된다. 양자가 협동하여 접촉압과 맞물려 들어가는 힘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든 단자의 돌기부가 첨예부를 이루고 있을 필요는 없고, 복수의 단자는,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가 첨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것이 혼재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2 개의 아암체의 돌기부는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2 개의 아암체의 돌기부 사이의 평형 회로 기판에 대한 힘은, 직접적으로 협동하여, 평형 회로 기판의 휨에 의한 반발이 없고, 접촉력이나 맞물려들어가는 힘이 확실하게 얻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첨예부는 하나의 돌기부에,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복수 형성되어 있도록 함으로써, 평형 회로 기판의 발출 방지가 더욱 확실해진다. 또, 하나의 첨예부 당의 응력을 낮게 억제하므로, 그 첨예부의 손상 정도도 저하된다. 나아가서는, 첨예부가 형성되어 있는 아암체에 대해서, 다른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와의 상기 삽입 방향에서의 위치 관계에 다소 차이가 있어도, 상기 첨예부는 상기 다른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와 유효하게 협동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의 도 1 내지 도 5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1) 은, 도시하는 단면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루고, 추가로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전체적으로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체를 이루고 있다. 한편, 이 하우징 (1) 에 의해 유지되고 있는 단자 (10) 는, 예를 들어, 금속판의 펀칭 가공에 의해 얻어진다.
상기 하우징 (1) 은, 도 1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벽 (2) 과 하벽 (3) 을 가지고, 이 상벽 (2) 과 하벽 (3) 이 지면의 바로 앞측과 건너측에서 측벽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좌우는 개구되어 있다. 좌측에서는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을 위한 제 1 개구 (4), 우측이 단자 (10) 의 삽입 그리고 가압 부재 (20) 의 가동 (可動) 영역을 이루는 제 2 개구 (5) 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제 2 개구 (5) 는 상벽 (2) 의 우단측에서 상방으로도 개구되어 있다.
상기 상벽 (2) 의 하면측과, 좌우 방향으로 이 상벽 (2) 에 대응하는 하벽 (3) 의 상면측에는, 대향하여 빗살 형상으로 홈부를 갖는 단자 유지벽 (2A, 3A) 이 각각 상벽 (2) 과 하벽 (3)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 유지벽 (2A, 3A) 의 좌단측은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고 있다. 상기 단자 유지벽 (2A, 3A) 에는 서로 대향하여 개구되는 홈부 (2B, 3B) 가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하에 위치하는 각 홈부 (2B, 3B) 는 양자에 의해 하나의 단자 (10) 를 유지한다.
하우징 (1) 의 좌우 그리고 상하의 거의 중앙에는 도 (島) 형상의 걸림벽 (6)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하벽 (3) 우단부는 외벽이 테이퍼 형상을 갖는 단 형상으로서, 박육부 (3C) 를 형성하고 있다.
이어서, 단자 (10) 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예를 들어, 펀칭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그 형상은 대략 가로 H 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거의 평행한 상아암체 (11) 와 하아암체 (12) 그리고 이들을 중간부에서 연결하는 연결부 (13) 를 가지고 있다.
상아암체 (11) 와 하아암체 (12) 는, 연결부 (13) 보다 좌방의 부분이 하우징 (1) 의 상벽 (2) 과 하벽 (3) 에 각각 형성된 홈부 (2B, 3B) 에 수용되어 있고, 좌단으로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 돌기부 (11A, 12A) 가 상기 홈부 (2B, 3B) 보다 돌출되어 있다. 상측의 돌기부 (11A) 가 정상부에서 둥그스름한데에 대해, 하측의 돌기부 (12A) 는 작살 형상으로 날카로운 첨예부를 형성하고 있다. 이 첨예부의 에지는, 도 2 에서도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의 판두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있다. 또, 상기 하아암체 (12) 에는, 상기 돌기부 (12A) 와 연결부 (13) 사이에 있고, 그 연결부 (13) 근처의 위치에, 걸기 돌기부 (12B)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기 돌기부 (12B) 는, 단자 (10) 가 하우징 (1) 에 삽입되었을 때, 하아암체 (12) 가 하벽 (3) 과 걸림벽 (6) 을 통하여 압입되어, 그 걸림벽 (6) 에 맞물려 들어가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연결부 (12) 보다 우방에서는, 상아암체 (11) 는 제 2 개구 (5) 의 가장자리부 가까이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우단 근방의 하가장자리에 원호 형상의 오목부를 이루는 오목 만곡부 (11B)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 만곡부 (11B) 는, 후술하는 하아암체 (12) 의 원호부 (12G) 와 협동하여, 닫힘 위치 그리고 그 근방 위치에서의 가압 부재 (20) 를 회전 운동 지지한다.
하아암체 (12) 는, 접속부 (12C) 와 돌출부 (12D) 에 의해, 상기 상아암체 (11) 의 오목 만곡부 (11B) 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더욱 좌방에 가까운 위치 범위에서, 오목 형상의 회전 운동 지지부 (12E)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운동 지지부 (12E) 는, 우단부가 상기 상아암체 (11) 의 오목 만곡부 (11B) 의 원호와 거의 동일한 반경의 원호를 가진 오목부로서 원호부 (12G) 형성되고, 좌단부가 약간 둥그스름하고, 중간부가 직선으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 운동 지지부 (12E) 의 좌우 길이는, 그 회전 운동 지지부 (12E) 와 상아암체 (11) 의 오목 만곡부 (11B) 와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 (12C) 는 하우징 (1)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또, 하방에는, 하우징 (1) 하벽 (3) 의 하면 레벨까지 연장되어 있고, 좌가장자리에는 장착 홈 (12F)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 홈 (12F) 은, 단자 (10) 의 하우징 (1) 에 대한 삽입 장착시에, 하우징 (1) 하벽 (3) 의 박육부 (3C) 가 압입된다.
가압 부재 (20) 는, 본원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 (1) 과 동일하게,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지렛대 형상을 이루고, 도면에서 지면의 직각 방향에서 적어도 단자 (10) 의 배열 범위에 걸쳐서 연장되고 있다. 그 가압부재 (20) 는, 도 1 에서, 하반부에, 단자 (10) 의 배열 위치에, 그 단자 (10) 를 받아들이는 홈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각 홈부 (21) 는 좌우로 관통하고 있고, 또, 각 홈부 (21) 에는 대향되는 홈 내측면끼리를 연결하듯이 도 형상의 회전 운동 피지지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그 회전 운동 피지지부 (22) 는, 도 1 의 상태에서, 세로로 긴 타원형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단자 (10) 의 하아암체 (12) 에 형성된 회전 운동 지지부 (12E) 내로 수용되어 있다. 특히, 회전 운동 피지지부 (22) 의 우단측에서 반원을 이루는 부분은 상기 회전 운동 지지부 (12E) 우단부의 원호부 (12G) 와, 거의 동일한 곡률 반경을 이루고 있어, 그 중심 C 주위에서 상기 가압 부재 (20) 를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가압 부재 (20) 의 상반부는, 도 1 에서, 하우징 (1) 밖으로 상방으로 돌출하여 조작부 (23) 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에 의해 접속되는 평형 기판 (F) 은, 도 3 과 같이,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가요성을 가지는 기판 (F1) 에 금속층으로 형성된 회로부 (F2) 를 가지고, 나아가서는, 커넥터에 삽입되는 첨단 부분 (도 3 에서 우단 부분) 의 하면에 절연재의 보강판 (보강 필름 ; F3) 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는, 다음의 요령으로 조립되고, 그리고 사용된다.
(1) 우선, 복수의 단자 (10) 를, 하우징 (1) 의 제 2 개구 (5) 로부터 그 하우징 (1) 에 삽입하고, 상아암체 (11) 를 홈부 (2B), 하아암체 (12B) 를 홈부 (3B) 에 수용되게 한다. 하아암부 (12) 는, 압입될 때에, 도 1 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걸기 돌기부 (12B) 가 하우징 (1) 의 걸림벽 (6) 에 맞물려 들어가, 빠짐이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 과 같이, 가압 부재 (20) 를 단자 (10) 에 조립한다. 이 조립은, 가압 부재 (20) 의 도 형상 회전 운동 피지지부 (22) 가 대응되는 각 단자 (10) 의 상아암체 (11) 와 하아암체 (12) 의 우부끼리 사이에 넣듯이 하여 행한다. 이 조립시에는, 상기 회전 운동 피지지부 (22) 는, 단자의 회전 운동 지지부 (12E) 에 수용된다.
(2) 다음으로, 이러한 커넥터를, 상기 가압 부재 (20) 의 조립 후 혹은 전에,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장착한다. 이 때, 단자 (10) 의 접속부 (12C) 가 그 하가장자리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된다.
(3) 그렇게 한 후, 가압 부재 (20) 를 도 1 에서 보여지는 수직한 열림 위치 상태 그대로 하고, 도 3 과 같은 평형 회로 기판 (F) 을 하우징의 제 1 개구 (4) 에 삽입한다. 소정 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평형 회로 기판 (F) 은, 상면의 회로부 (F2) 가 단자 (10) 의 상아암체 (11) 에 형성된 접촉부로서의 돌기부 (11A) 와, 하면측 보강판 (F3) 이 단자 (10) 의 하아암체 (12) 에 형성된 첨예부를 갖는 돌기부 (12A) 와 각각 가볍게 접촉하게 된다.
(4) 마지막으로, 도 3 에 나타내는 닫힘 위치까지, 상기 가압 부재 (20) 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 조작하여 수평으로 한다. 이 닫힘 위치에 이르면, 가압 부재 (20) 의 회전 운동 피지지부 (22) 는 세로 길이가 된다. 이 세로 길이의 회전 운동 피지지부 (22) 의 세로 방향 치수는, 도 1 에 있어서의 오목 만곡부 (11B), 회전 운동 지지부 (12E) 간의 간격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단자 (10) 의 상아암체 (11) 는 우단의 오목 만곡부 (11B) 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듯이 탄성 휨 변형한다. 이로써, 연결부 (13) 보다 좌방에서는, 상아암체 (11) 는,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휨 변형한다. 따라서, 돌기부 (11A) 에 의해 평형 회로 기판 (F) 은 강하게 돌기부 (12A) 에 가압된다. 돌기부 (12A) 는 첨예부를 이루고 있으므로, 이 돌기부 (12A) 는 평형 회로 기판 (F) 의 보강판 (F3) 에 맞물려 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하여, 평형 회로 기판 (F) 은, 상기 접촉부로서의 돌기부 (11A) 와 강하게 탄성 가압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속됨과 함께, 뜻하지 않은 발출력에 대해서 저항하여 빠짐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도시한 도 1 내지 도 2 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도 3 에 나타내는 형태에서는, 하아암체 (12) 에 첨예부로 형성되는 돌기부 (12A) 의 전가장자리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 가 평형 회로 기판에 대하여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었지만,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가장자리 (12A-1) 와 후가장자리 (12A-2) 측에서의 평형 회로 기판 (F) 의 면과의 이루는 각 α 를 예각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평형 회로 기판 (F) 이 뜻하지 않게 발출력을 받았을 때에는, 이것에 대항하는 항력이 더욱 강해진다.
추가로는, 첨예부는,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으로, 도 5 와 같이 복수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항력이 복수의 첨예부에 분산되므로, 평형 회로 기판의 상처도 작고, 또, 첨예부에서의 부하가 작아져 손상 가능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첨예부는 펀칭 가공 등에 있어서 전가장자리와 후단을 별도 공정으로 성형함으로써, 매우 예리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단자 전체가 첨예부를 가질 필요는 없다. 필요한 항력을 얻기에 충분한 수의 단자만큼 첨예부를 갖는 단자를 채용하고, 그 밖에는 통상의 둥그스름한 돌기부를 갖는 단자로 해도 된다.
또, 상아암체와 하아암체의 양쪽 모두에 첨예부를 갖는 단자를 이용할 수도 있다. 평형 회로 기판의 회로부는, 전체 면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회로부가 존재하지 않는 부위에 상기 첨예부가 오도록 그 첨예부를 가지는 단자의 위치를 선정하면, 상기와 같이, 상아암체와 하아암체 양쪽 모두에 첨예부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아암체의 돌기부와 하아암체의 돌기부는,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서 대향하듯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돌기부끼리 간에서 평형 회로 기판의 휨에 의한 반발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강력한 협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평형 회로 기판의 대부분이 일방의 면에만 회로부를 가지고, 타방의 면은 사용되지 않고, 보강 필름 (보강판) 이 있고, 그리고, 상기 일방의 면에 회로 기판이 형성되어 있어도, 그 주위에 회로부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있으므로, 이들 면 그리고 영역에서는, 상처를 받아도 지장이 없다는 것에 주목하여, 이들 면 혹은 영역에 접하는 돌기부에 첨예부를 형성하고, 이 첨예부가 상기 평형 회로 기판의 드러난 수지면에 맞물려 들어가기 쉽게 했으므로, 확실하게 평형 회로 기판의 빠짐이 방지된다.

Claims (6)

  1. 금속판의 판면을 유지한 채로 그 금속판을 가공하여 얻어지는 단자가, 상기 판면에 직각인 방향에서 간격을 두어 하우징에 의해 복수 유지되고, 그 단자는 평행한 2 개의 아암체의 대향 가장자리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2 개의 아암체의 돌기부끼리 간의 거리를, 단자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탄성적으로 좁힘으로써, 상기 돌기부끼리 간에서 평형 회로 기판을 협지하여 그 평형 회로 기판과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가 첨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첨예부는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하는 전가장자리와 후가장자리로 형성되고, 후가장자리측에서의 평형 회로 기판의 면과 상기 전가장자리 사이의 각이 예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가 둥그렇게 되어 있고, 타방의 아암체의 돌기부가 첨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는, 일방의 아암체의 돌기부가 첨예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과 형성하고 있지 않는 것이 혼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2 개의 아암체의 돌기부는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첨예부는 하나의 돌기부에, 평형 회로 기판의 삽입 방향에서, 상이한 위치에 복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070019460A 2006-02-27 2007-02-27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9774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50081A JP2007227302A (ja) 2006-02-27 2006-02-27 平型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JP-P-2006-00050081 2006-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087A KR20070089087A (ko) 2007-08-30
KR100977424B1 true KR100977424B1 (ko) 2010-08-24

Family

ID=3806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460A KR100977424B1 (ko) 2006-02-27 2007-02-27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45495B2 (ko)
EP (1) EP1826876A2 (ko)
JP (1) JP2007227302A (ko)
KR (1) KR100977424B1 (ko)
CN (1) CN101030681B (ko)
TW (1) TW2007465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79260A (zh) * 2003-10-16 2006-12-13 莫列斯公司 扁平电路连接器
JP4330084B2 (ja) * 2007-06-12 2009-09-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992707B2 (ja) * 2007-12-28 2012-08-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223332B2 (ja) * 2007-12-28 2013-06-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
KR100951935B1 (ko) * 2008-03-12 2010-04-09 주식회사 신화콘텍 더블 모멘텀 구조를 갖는 단자
US7527511B1 (en) * 2008-05-09 2009-05-05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5320950B2 (ja) * 2008-10-01 2013-10-2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343497B2 (ja) * 2008-10-01 2013-11-13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組み込んだコネクタ
JP5526522B2 (ja) 2008-10-01 2014-06-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用接続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20110151709A1 (en) * 2009-12-23 2011-06-23 Ho Kim Cable, cable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JP2011171034A (ja) * 2010-02-17 2011-09-01 D D K Ltd コネクタ
JP5482499B2 (ja) * 2010-06-21 2014-05-07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631080B2 (ja) * 2010-07-02 2014-11-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62762B2 (ja) * 2011-04-12 2013-12-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8672698B2 (en) * 2011-07-22 2014-03-18 Hosiden Corporation Card connector
JP5862387B2 (ja) * 2012-03-15 2016-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92929B2 (ja) * 2012-06-11 2014-01-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792506B (zh) * 2016-03-25 2018-11-27 上海摩软通讯技术有限公司 Fpc、fpc连接器和fpc连接装置
CN109411971B (zh) * 2018-11-13 2020-08-11 敦谱电子有限公司 一种可转接fpc的转接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549A (en) * 1995-11-09 1998-07-28 Hirose Electric Co., Ltd. Flexible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40019A (ko) * 1999-10-06 2001-05-15 나가토시 다쯔미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US20060178039A1 (en) 2005-02-05 2006-08-10 Chen Ying C Method for connecting a therminal to a connector and structure of th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8069Y2 (ja) * 1983-05-17 1985-08-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617153U (ja) * 1992-07-31 1994-03-0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H06325837A (ja) * 1993-05-10 1994-11-25 Kel Corp フレキシブルケーブルコネクタ
JPH1022009A (ja) * 1996-07-05 1998-01-23 Amp Japan Ltd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3047862B2 (ja) * 1997-07-08 2000-06-05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2184539A (ja) * 2000-12-14 2002-06-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
JP3619822B2 (ja) * 2002-11-26 2005-02-16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2004235136A (ja) * 2002-12-06 2004-08-19 Yazaki Corp コネクタ
JP4280621B2 (ja) * 2003-12-19 2009-06-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08001B2 (ja) * 2004-11-18 2011-06-22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147498B1 (en) * 2005-10-07 2006-12-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549A (en) * 1995-11-09 1998-07-28 Hirose Electric Co., Ltd. Flexible board electrical connector
KR20010040019A (ko) * 1999-10-06 2001-05-15 나가토시 다쯔미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US20060178039A1 (en) 2005-02-05 2006-08-10 Chen Ying C Method for connecting a therminal to a connector and structure of th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26876A2 (en) 2007-08-29
TWI350032B (ko) 2011-10-01
US20070202736A1 (en) 2007-08-30
KR20070089087A (ko) 2007-08-30
CN101030681A (zh) 2007-09-05
TW200746550A (en) 2007-12-16
JP2007227302A (ja) 2007-09-06
US7445495B2 (en) 2008-11-04
CN101030681B (zh)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424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9876285B2 (en)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terminal
US10063006B2 (en) Wire mount electrical connector
US7238032B2 (en) Connector arrangement between a flat flex cable and a component
JP4795179B2 (ja) コネクタ
KR101032285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US9509094B2 (en) Board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opening on bottom wall
US955340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train relief for an electrical cable
US20140370734A1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
JP2011134582A (ja) 平型ケーブル用コネクタ、その製造方法及びロック機構
JP5392929B2 (ja) コネクタ
US10770821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AU2005239068A1 (en) Pin for the soldering-free electric connection to a printed circuit board, a pressing-in tool, in addition to a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soldering-free electric connection
JPH0677178U (ja) ラッチ付き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204164B1 (ko) 커넥터
JP4558562B2 (ja) コネクタ
JP2007287420A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3812937B2 (ja) コネクタ
JP6214977B2 (ja) コネクタ
JP5624191B2 (ja) コネクタ
JP5595087B2 (ja) 平板状導電接続部材用コネクタ
JP2010044898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EP1439611A1 (en) Connector for a ribbon cable
KR960001311Y1 (ko) 저삽입력 접속기
JP5630532B1 (ja) 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