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1311Y1 - 저삽입력 접속기 - Google Patents

저삽입력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1311Y1
KR960001311Y1 KR2019950028954U KR19950028954U KR960001311Y1 KR 960001311 Y1 KR960001311 Y1 KR 960001311Y1 KR 2019950028954 U KR2019950028954 U KR 2019950028954U KR 19950028954 U KR19950028954 U KR 19950028954U KR 960001311 Y1 KR960001311 Y1 KR 9600013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connecto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9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제이 플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900412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582Y2/ja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제임즈 제이 플린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to KR20199500289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13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13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3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삽입력 접속기
제 1 도는 종래 접속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제 2 도는 또 다른 종래 접속기의 개략적인 횡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삽입력 접속기의 사시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접속기에 삽입된 인쇄회로기판이 최종 수직위치로 회전하기 전후의 상태를 제 3 도의 선A-A'를 따라 각각 취한 횡단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삽입력 접속기의 사시도.
제 7 도는 삽입된 인쇄회로판이 최종 수평위치로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제 6 도의 선B-B'를 따라 취한 횡단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 공동
3 : 홈 4 : 탄성 래치
5 : 인쇄회로기판 6 : 접촉자
61 : 제1접촉수단 62 : 제2접촉수단
63 : 핀부 64 : 스프링부
65 : 융기부
본 고안은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 접속되는 저삽입력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쇄회로기판용 저삽입력 전기 접속기의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4,575,172호 (1986년 3월 11일)와 미합중국 특허 제4,737,120호 (1988년 4월 12일)에 개시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575,172호에 기술된 접속기의 단면도 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미합중국 특허 제4,737,120호에 기술된 접속기의 단면도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두 접속기는 인쇄회로기판(15)이 접속기에 삽입되고 적소에서 수직으로 유지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종래 접속기는 접촉부가 상호 옵셋되어 있는 한 쌍의 곡면 스프링 부재(16)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부재는 동일한 짧은 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 회로기판이 접속기에 삽입될 때 적절한 가요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의 가요성을 충분히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프링 부재의 두께를 매우 얇게 하여야 한다. 그러나, 스프링 부재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스프링 부재는 필요한 만큼의 기계적 강도를 가질 수 없다.
제 2 도에 도시된 종래 접속기는 제 1 도에 도시된 짧은 스프링 부재보다 길고 구불구불한 스프링 부재(16)를 사용한다. 그러나, 스프링의 접촉부와 피봇지점 사시의 간격이 하우징(11)의 높이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스프링 부재(16)역시 적절한 스프링 편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된 종래 접속기에 있어서, 피봇 지점이 접촉부에 인접하고 있으므로 스프링 작용은 비교적 크다. 피복지점이 접촉부에 인접할수록 스프링 작용은 증가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을 접속기에 삽입시키기 위해서는 더 큰 힘이 필요하다. 이에 의하면, 접속기에 인쇄회로기판을 삽입할때마다 기판의 표면 마모가 증가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접속기는 충분히 안정한 접촉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프링부가 크게 편향되어 더욱 안정한 접촉력을 제공하는 접촉자를 갖는 저삽입력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절연재로 제조되며 종방향으로 신장된 공동을 갖는 신장된 하우징 ; 상기 신장된 공동의 길이를 따라 예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자 ; 그리고 상기 신장된 하우징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공동위에서 그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래치를 포함하며, 각 상기 접촉자 각각은 인쇄회로기판 가장자리의 한 표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갖는 제 1 접촉수단, 인쇄회로기판 가장자리의 다른 표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갖는 제 2 접촉수단, 및 상기 제 1 및 제 2 접촉 수단을 지지하는 핀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 2 접촉수단은, 제 2 접촉부와 핀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부를 또한 구비하여, 상기 스프링부는 핀부에 연결된 기부, 상기 기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부로부터 연장하며 제 2 접촉부에서 종결하는 자유단부를 갖는 U자형 부분을 구비하는 저삽입력 접속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접속기에 있어서, 제 2 접촉부는 스프링부를 거쳐 핀부에 의해 지지된다. 수직부와 U자형 부분을 구비하는 스프링부는 종래 접속기의 스프링부에 비해 매우 긴 길이를 갖는다.
사용시,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는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는 개별 접촉자에 삽입되고, 회로기판 가장자리의 한 표면은 접촉자의 제 1 접촉부에 의해 안내되거나 지지된다. 그 다음, 회로기판은 접촉자의 제 2 접촉부 쪽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제 2 접촉부는 U자형 부분의 탄성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스프링부의 U자형 부분의 탄성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스프링부의 U자형 부분의 기단부를 향하여 인쇄회로기판 가장자리의 반대표면에 의해 밀린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과 접촉자 사이에 안정된 접촉력이 생긴다. 이때, 제 2 접촉부는 U자형 부분의 존재에 기인하여 적절한 가요성을 가지게 된다. 더욱이, 스프링부의 U자형 부분의 기단부는 U자형 부분의 기단부를 향한 제 2 접촉부의 탄성 변형시에 정지구로서 작용한다. 인쇄회로기판은 최종 접촉위치로 편향되면 하우징의 공동위에서 래치에 의해 보유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기판의 제표면과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갖는 제 1 접촉수단; 상기 기판의 제 2 표면과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갖는 제 2 접촉수단 ; 상기 제 1 접촉수단과 제 2 접촉수단이 만나는 장소에서 하방으로 연장하는 핀부 ; 및 상기 제 2 접촉수단의 일부로써, 상기 제 1 접촉수단과 제 2 접촉수단이 만나는 장소와 상기 제 2 접촉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핀부에 연결된 기부, 상기 기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부로부터 연장하는 그 다른 단부가 상기 제 2 접촉부에서 종결하는 U자형 부분을 구비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저삽입력 접속기용 전기접촉자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접속기내에서 작은 치수에도 불구하고 적절히 휘도록 특수하게 구성된 접촉자를 갖는 저삽입력 접속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인쇄회로기판은 U자형 부분의 탄성 스프링 작용으로 인해 작은 힘으로 접속기에 삽입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에 도시된 저삽입력 접속기는 절연재로 제조된 신장된 하우징(1)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은 커넥터에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공동(2)을 갖는다. 접촉자를 파지하도록 공동(2)의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홈(3)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접촉자는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회로기판 물체의 삽입 가장잘기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촉된다. 한 쌍의 탄성 래치(4)가 공동위에서 그 사이에 간격을 두고 서로 반대쪽으로 배치되도록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4 도는 홈(3)안에 배치된 접촉자(6) 중 하나의 접촉자에 인쇄회로기판(5)이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각각의 접촉자(6)는 인쇄회로기판(5)의 삽입 가장자리의 한쪽면과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61a)를 갖는 제 1 접촉 수단(61)을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접촉자(6)는 인쇄회로기판의 삽입 가장자리의 다른쪽면과 접촉하기 위한 제 2 접촉부(62a)를 갖는 제 2 접촉수단(62)을 구비한다. 제 1 접촉수단과 제 2 접촉수단이 만나는 곳에는 핀부(63)가 배치되어 있다. 이 핀부는 제 1 및 제 2 접촉수단을 지지하고, 다른 기판(10) 또는 다른 형태의 접속기에 연결되도록 핀 접촉자 또는 단자의 형태로 아래로 연장한다. 제 2 접촉수단(62)은 제 2 접촉부(62a)와 핀부(63)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부(64), 및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서 연장하는 내부 U자형 부분(64c) 으로 구성된다. U자형 부분의 자유단부는 제 2 접촉부(62a)에서 종결한다.
제 1 접촉수단(61)의 수평부(61b)는 스프링부(64)의 기부(64a)에 연결되어 핀부(63)와 만난다. 수평부(61a, 64a)가 만나는 지점의 인접부에는 핀부(63)에 대향하는 융기부(65)가 있다. 융기부는 인쇄 회로기판(5)의 가장자리가 삽입 및 회전중에 맞대어 지지되는 표면을 제공한다.
인쇄회로 기판(5)은 제 1 접촉부(61a)의 내부면이 안내면 작용을 하면서 접촉자(6) 안으로 삽입되어, 그 기판이 최종 접촉위치에 도달할때까지 제2 접촉부(62a) 쪽으로 회전된다.
제 5 도는 삽입된 인쇄 회로기판(5)의 최종 수직 접촉위치를 도시한다. "최종 접촉위치"라고 하는 용어는 인쇄회로 기판(5)이 탄성 래치(4)에 의해 파지되는 지점까지 회전하여 융기부(65)에 놓이는, 인쇄회로 기판(5)의 최종위치를 의미한다. 인쇄회로 기판(5)이 회전하면, 제 2 접촉부(62a)를 가압하여, 스프링부(64)의 U자형 부분(64c)의 스프링 작용을 통해 제 2 접촉부가 탄성적으로 변형하여 접촉력을 발생시키므로써, 제 2 접촉부(62a)의 뒷부분이 U자형 부분의 다른 기단부(64)와 당접한다. U자형 부분(64c)의 기단부(64d)는 정지구로서 작용하므로, 그 접촉자 자체에 과도한 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므로, 임의의 다른 정지구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인쇄회로기판(5)이 제 2 접촉수단(62)에 대하여 회전하면, 인쇄회로 기판이 탄성 래치에 의해 파지되는 최종 접촉위치에 도달할 때 까지 탄성 래치(4)는 바깥으로 편향된다.
종래 접속기에서는, 접촉자가 가늘게 만들어져서, 스프링이 작은힘으로도 더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종래 접속기는 불충분한 기계강도에 기인한 문제점에 직면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 문제점은 제 2 접촉수단(62)의 스프링부(64)의 깊은 U자형 부분(64c)을 제공하여 접촉부(62a)에서 먼 지점에 접촉자의 피봇부를 위치시키므로써 해결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촉자는 작은 크기에도 불구하고 작은 스프링력으로 멀리 편향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인쇄회로 기판의 삽입 가장자리에 대한 마모와, 인쇄회로 기판은 접촉자에 삽입하는데 필요한 삽입력을 최소화 시킨다. 더욱이, 본 고안의 접속기와 접촉자는 스프링의 적절한 편향으 허용하면서 회로기판과의 보다 안정된 접촉을 제공한다.
제 6 도 및 제 7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회로 기판(5)은 그 최종 접촉위치로 거의 수평위치를 취할때까지 회전된다. 제4 도 및 제 5 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술된 회로 기판의 최종 접촉위치는 거의 수직하다. 그외에는, 제 7 도의 접촉자(6)는 제 4 도 및 제 5도의 접촉자 특히 제 2 접촉수단 및 U자형 스프링 부분에 대해서 거의 유사하다.

Claims (3)

  1. 종방향으로 신장된 공동을 가지면 절연재로 제조된 신장된 하우징 ; 상기 신장된 공동의 길이를 따라 예정된 간격으로 배치되어 인쇄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와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자 ; 및 상기 신장된 하우징의 양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공동 위에서 그 사이에 간격을 형성하는 한 쌍의 래치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자 각각은 인쇄회로기판의 가장자리의 한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제 1 접촉부를 갖는 제 1 접촉수단, 상기 인쇄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의 다른 표면과 접촉하기 위한 제 2 접촉부를 갖는 제 2 접촉수단, 및 상기 제 1 접촉수단과 제 2 접촉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접촉수단은 제 2 접촉부와 핀부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부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부는 핀부에 연결된 기부, 상기 기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상부로부터 연장하며 자유단부가 상기 제 2 접촉부에서 종결하는 U자형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래치는 인쇄회로 기판의 가장자리가 상기 접촉자의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사이의 신장된 공동안으로 삽입되어 상기 래치에 의해 최종접촉위치에 걸려서 고정될 때 까지 회전하면, 인쇄회로 기판의 양측과 결합하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최종 접촉위치에서 상기 접속기에 대해 거의 수직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접속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최종 접촉위치에서 상기 접속기에 대해 거의 수평하게 배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삽입력 접속기.
KR2019950028954U 1989-01-18 1995-10-16 저삽입력 접속기 KR9600013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954U KR960001311Y1 (ko) 1989-01-18 1995-10-16 저삽입력 접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9004128U JPH073582Y2 (ja) 1989-01-18 1989-01-18 接触端子及び低挿入力コネクタ
JP89-4128 1989-01-18
KR2019900000615U KR960001306Y1 (ko) 1989-01-18 1990-01-17 저삽입력 접속기 및 그 접속기용 전기접점
KR2019950028954U KR960001311Y1 (ko) 1989-01-18 1995-10-16 저삽입력 접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615U Division KR960001306Y1 (ko) 1989-01-18 1990-01-17 저삽입력 접속기 및 그 접속기용 전기접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311Y1 true KR960001311Y1 (ko) 1996-02-12

Family

ID=2633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954U KR960001311Y1 (ko) 1989-01-18 1995-10-16 저삽입력 접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13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3629Y1 (ko)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US4891023A (en) Circuit card edge connector and terminal therefor
KR100977424B1 (ko) 평형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541140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KR950000798B1 (ko) 가요성 인쇄 회로용 전기 접속기
KR960001306Y1 (ko) 저삽입력 접속기 및 그 접속기용 전기접점
US4705338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EP0158413A2 (en)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with stress controlled contacts
US5316496A (en) Connector for flat cables
EP0060882B1 (en) Electrical connector
US4519660A (en) Electrical connectors with quasi-terminal pins
US3990761A (en) Zero force connector assembly
US6004156A (en)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KR960027076A (ko) 전기커넥터
US5597320A (en) Zero insertion force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KR960001311Y1 (ko) 저삽입력 접속기
JP2561222Y2 (ja) 遊動型コネクタ
US7121861B2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4410231A (en) Integrated circuit mounting socket
US3800268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transistor outline semiconductor device
US4715826A (en) Circuit board connector
EP0307521B1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KR870002674A (ko) 전기접속기
JP3018526U (ja) プリント回路板用の電気コネクタ
KR950006025B1 (ko) 무삽입력 코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