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629Y1 -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629Y1
KR200173629Y1 KR2019970026760U KR19970026760U KR200173629Y1 KR 200173629 Y1 KR200173629 Y1 KR 200173629Y1 KR 2019970026760 U KR2019970026760 U KR 2019970026760U KR 19970026760 U KR19970026760 U KR 19970026760U KR 200173629 Y1 KR200173629 Y1 KR 200173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lot
contac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1622U (ko
Inventor
엘. 브런커 데이비드
에이. 하와쓰 프랭크
이. 레그니어 켄트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riority to KR2019970026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62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16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6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6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3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ed with pivoting of printed circuits or like after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모서리 커넥터에는 결합 모서리 및 이 모서리에 인접한 다수의 접촉 패드들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이 제공된다. 이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의 결합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슬롯을 갖는 가늘고 긴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다수의 스프링 접촉 소자들은 1개 이상의 슬롯 측면을 따라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이 스프링 접촉 소자들은 각 접촉 패드들을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접촉시키기 위해 슬롯 내에서 연장되는 스프링 접촉부들을 포함한다. 슬롯의 한 측면에서 하우징 상의 표면은 1개 이상의 스프링 접촉 소자들의 스프링 접촉부가 슬롯 내에서 연장되는 범위 이상까지 기준면을 정한다. 편의식 스프링이 인쇄 회로 기판을 표면에 대해 편의시킴으로써 1개 이상의 스프링 접촉 소자의 스프링 접촉부를 정해진 크기만큼 편향시킨다.

Description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BIASED EDGE CARD CONNECTOR}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 회로 기판용의 고속 모서리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고속 전자 장비에 있어서, 상호 접속 경로 내의 모든 부품은 신호 전송 특성상 최적화될 필요가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시스템의 성능이 손상되거나 떨어진다. 이러한 신호 전송 특성은 상승 시간의 저하 또는 시스템 대역폭, 혼신, 임피던스 제어 및 전달 지연 등을 포함한다. 이상적으로는, 전기 커넥터의 특성은 상호 접속 시스템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상적인 커넥터는 "투명성"이 있다. 다시 말하면, 시스템은 커넥터가 마치 상호 접속의 일부분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기능한다.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비실용적이거나 불가능하지만, 가급적 시스템에 영향을 거의 끼치지 않는 전기 커넥터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된다.
이상적인 커넥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관심사 중에 하나는 인덕턴스(inductance)이다. 이것은 특히 고속 전자 장비, 즉 고주파 전송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용도에 사용되는 가장 대중적인 형태의 전기 커넥터는 "모서리 카드" 커넥터라 불리운다. 즉, 모서리 커넥터는 정합 모서리와 이 모서리에 인접한 다수의 접점 패드를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모서리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정합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긴 슬롯을 한정하는 연장된 하우징을 포함한다. 다수의 단자들은 접점 패드들을 인쇄 회로 기판의 정합 모서리에 인접하여 결합시키기 위해 슬롯의 한 측면 또는 양측면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종종, 단자들은 기판 상의 접점 패드에 대해 편의된 결합용의 스프링 접점 소자의 몇몇 형태 또는 또 다른 형태를 갖고, 이 스프링 접점 소자들은 캔틸레버식 스프링 아암의 하나의 형태 또는 또 다른 형태로 된다.
상기 특성의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다른 방법으로 비교되는 기하학적인 전기 접점부가 주어지고, 스프링 접점 아암 또는 접촉 비임을 더 길게 하면, 단자의 인덕턴스가 커지게 되고, 점증적으로는 전기 커넥터 자체가 더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접촉 비임은 가능한 짧을 수록 좋다. 그러나, 접촉 비임을 짧게 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발생된다. 예를 들면, 다양한 스프링 접촉 비임에 있어서 일정한 접촉 압력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운데, 특히 비임이 상대적으로 짧을 때에 더욱 어렵다. 이 외에도, 접촉 비임이 짧으면 인쇄 회로 기판의 폭의 변화를 보정하기가 어렵다. 실제로, 스프링 접점부는 접점부가 작은 크기로 변위될 때에도 영구 변형될 수 있다. 접점부들은 상대적으로 넓은 인쇄 회로 기판이 커넥터 내에 삽입된 후에 영구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접점부들의 영구적인 변형으로 인해 이후에 상대적으로 좁은 기판이 커넥터 내에 삽입될 때에 커넥터가 쓸모없게 된다. 접촉 비임이 인쇄 회로 기판의 모서리 상의 접점 패드와 효과적으로 전기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기 접속이 비신뢰적이거나 비효과적이기 때문에 커넥터를 유용하게 사용하지 못한다.
본 고안은 스프링 접점 소자의 편향 작용이 조절됨으로써 매우 짧은 스프링 접촉 비임의 설계가 가능한 특징을 갖는 모서리 카드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앞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을 지향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정합 모서리 및 이 모서리에 인접한 다수의 접점 패드들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을 위한 신규하고 개량된 모서리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서리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의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기판-수용 슬롯을 갖는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스프링 접점 소자들은 1개 이상의 슬롯 측면을 따라 하우징 내에 장착된다. 스프링 접점 소자들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각각의 접점 패드와 접촉하기 위해 슬롯 내로 연장되는 스프링 접점부들을 포함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념을 실시하는 긴 모서리 커넥터의, 일부분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수직 단면도.
제2도는 편의 수단이 짧은 접점 소자와 일체화된 다른 실시예의, 제1도와 유사한 수직 단면도.
제3도는 편의 수단이 별개의 스프링 비임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4도는 편의 수단이 하우징과 일체화된 또 다른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5도는 편의 수단이 별도의 캠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6도는 스프링 접점 부재의 기준면을 한정하는 리브 표면의 특징부를 도시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의 부분 평면도.
제7도는 단자들이 직각 커넥터로서 적용되도록 구성된, 제1도와 유사한 또 다른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회전을 수반하고 인쇄 회로 기판용 래치 구조를 갖는 다른 형태의 커넥터의 순서도.
제11도는 커넥터가 하우징과 별개인 보조 편의 스프링을 채용한, 제10도와 유사한 도면.
제12도는 커넥터용의 성형 힌지 및 래치 부재를 합체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13도는 긴 접점 소자 및 일체형 편의 수단을 부분 단면으로 도시하는, 제1도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모서리 커넥터
22, 90 : 하우징
24, 92 : 슬롯
30, 94 : 인쇄 회로 기판
44, 74 : 미늘
46, 108 : 접촉 발
48, 50, 100, 102 : 스프링 접점 소자
52, 104 : 모서리
56, 68 : 스프링 아암
58, 70 : 스프링 소자
66 : 편의 스프링
78 : 스프링 핑거
84 : 리브
86, 96 : 격리 애자
110, 120 : 래치
116, 118 : 힌지
본 고안에서 하우징은 슬롯의 한 측면에서 기준면을 한정하는 표면 수단을 포함하며 스프링 접점 소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점 소자의 스프링 접점부는 기준면을 지나 슬롯 안으로 연장한다. 편의 수단은 표면 수단에 대해 인쇄 회로 기판을 편의시키기 위해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접점 소자의 스프링 접점부를 소정 크기 만큼 편향시킨다.
상기 특징의 모서리 커넥터의 위와 같은 구조적 조합으로 인해 접점 소자의 강성 기부로부터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각각의 접점 패드와의 접촉점까지의 스프링 접점 아암 또는 비임의 길이는 약 0.229 cm(0.09 inch) 정도로 작을 수 있음을 알았다. 이 스프링 접점 아암은 슬롯 수단 내로 돌출될 수 있는데, 기준면을 한정하는 표면 수단을 지나 약 0.013 cm(0.005 inch)까지 돌출된다. 이 짧은 스프링 접점 아암 또는 비임은 접점 비임에 대해 매우 작은 인덕턴스를 발생시킨다.
여러가지 실시예의 편의 수단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한 실시예에 있어서, 편의 수단은 하나의 스프링 접점 소자의 제2의 단일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편의 수단은 하나의 스프링 접점 소자 이외의 스프링 접점 소자의 스프링 접점부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편의 수단은 플라스틱 하우징의 단일 성형 부분과 같은 하우징의 일체형 부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편의 수단은 스프링 접점 소자들과 별개로 하우징 상에 장착된 스프링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편의 수단은, 기준면과 대향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에 대한 캠 작용을 위해 슬롯 수단 내에 배치 가능하고 하우징과는 별개인 캠 부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또한, 기준면을 한정하는 표면 수단이 다수의 돌출부에 의해 제공되며, 상기 돌출부들과 인쇄 회로 기판 사이에 라인 접점부가 형성된다는 특징을 고려한다. 돌출부는 스프링 접점 소자들 사이에 배치된 하우징의 리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라인 접점부는 기준면을 한정하고, 편의 수단과 대향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측면을 지지한다. 접점 패드는 삽입 중에 리브에 평행하게 이동하지만 리브 위로 이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접점 패드와 플라스틱 하우징 사이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접촉 표면의 중합체 오염이 제거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첨부한 도면 중 우선 제1도 및 제1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결합 모서리 및 이 결합 모서리에 인접한 다수의 접점 패드를 가진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하기 위한 모서리 커넥터(20)로 실시된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는 커넥터의 접촉 영역 내로 인쇄 회로 기판의 모서리를 삽입시키기 위한 슬롯 형태의 리셉터클 수단을 구비하는 통상 "모서리 카드" 커넥터라 불린다. 이러한 형태의 커넥터는 본 고안의 출원인에게 양도되고 미합중국 특허 제4,575,172호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업계에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들은 긴 형태를 가지고 절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긴 카드 수용 슬롯의 한 측면 또는 양 측면을 따라 이격된 스프링 접점 소자의 열을 구비한다. 스프링 접속 소자는 슬롯 내로 삽입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정합 모서리를 따라 이격된 접점 패드와 결합한다.
모서리 커넥터(20)은 인쇄 회로 기판의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하여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기판 수용 슬롯 수단(24)를 가지는 유전체 하우징(22)을 포함한다. 하우징(22)에는 제2 인쇄 회로 기판(30)의 표면(28)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격리 애자(standoffs)(26)가 부속되어 있다. 종종 인쇄 회로 기판(30)은 마더 보드(mother board)라 하고 슬롯 수단(24)에 삽입되는 인쇄 회로 기판은 도터 보드(daughter board)라 불리운다.
또한 하우징(22)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이한 교호 형상을 가진 단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슬롯 수단의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횡방향 공동(32)을 포함한다. 특히, 각각의 공동(32)는 슬롯 수단(24)의 한 측면(제1도 상의 좌측면) 상에 공동부(32a)를 가지고 슬롯 수단의 대향 측면(제1도 상의 우측면) 상에 공동부(32b)를 가진다. 공동(32)들은 연장된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격벽 또는 칸막이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다. 상기 격벽 또는 칸막이는 공동부(32a)를 분리하는 격벽부(34a), 및 공동부(32b)를 분리하는 격벽부(34b)를 포함한다. 격벽부(34a)는 단자(38 및 40)의 상부를 보호하고 단자에 삽입되는 모서리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동부(32a) 상으로 오버행되는 부분(35)가 형성되도록 성형된다.
하우징(22)는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목적을 위하여 공동(32) 외부에 공동과 횡방향으로 정렬된 다수의 구멍(36)을 포함한다. 각각의 구멍(36)은 하우징(22)의 바닥을 향하여 개방된 하부 입구(36a)를 포함한다. 전체 하우징은 플라스틱 등의 유전체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단자들은 하우징의 종방향으로 이격하고 횡방향으로 정렬된 다수의 공동(32) 및 구멍(36)에 대응하도록 하우징(22) 내에 장착된다. 단자를 상세히 설명하기 이전에, 슬롯 수단(24)내로 삽입되는 인쇄 회로 기판은 종종 슬롯 수단 내로 삽입되는 인쇄 회로 기판 모서리 즉, 정합 모서리를 따라 평행한 두 열을 이루는 다수의 접점 패드를 가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 열의 접점 패드는 기판의 모서리에 가깝게 위치하고, 다른 열의 접점 패드는 그 열의 내측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단자는 접점 소자가 인쇄 회로 기판의 정합 모서리를 따라 그 열 상의 접점 패드와 교대로 결합하기 위하여 하우징(22)의 길이 방향으로 교대되도록 하우징 상에 위치한다.
특히, 일반적으로 참조번호(38) 및 (40)으로 표시된 단자가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교대되는 배열로 하우징(22) 내에 장착된다. 환언하면, 단자(38)은 인접 단자(40)과 교대되도록 배치된다. 양 단자(38 및 40)의 형상은 각각 기부(42), 기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미늘부(barb portion; 44) 및 기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접촉 발(contact feet; 46)을 가지는 점에서 유사하다. 단자들은 하우징(22)의 바닥으로부터 구멍(36)의 입구(36a)를 통하여 미늘부(44)를 삽입하여 미늘과 각 구멍의 측벽 사이에 죔쇠 끼워맞춤(interference fit)를 일으켜 하우징에 장착된다. 원하는 경우, 미늘(44)의 모서리가 톱니 모양으로 성형될 수 있다. 접촉 발(46)은 인쇄 회로 기판(모기판; 30)의 상부 표면 상의 회로 트레이스와 결합한다. 단자(38)은 그 기부(42)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캔틸레버식 스프링 접점 소자(48)을 가지고, 단자(40)은 그 기부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캔틸레버식 스프링 접점 소자(50)을 가진다. 원하는 경우에, 접촉 발(46)은 주지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의 구멍 내로 돌출하는 납땜 꼬리로 대체될 수 있다.
제1도로부터 단자(38)의 스프링 접점 소자(48)은 단자(40)의 스프링 접점 소자(50) 보다 짧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스프링 접점 소자(48)은 "짧은" 소자로, 스프링 접점 소자(50)은 "긴" 소자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는 슬롯 수단(24)내로 돌출하여 슬롯 수단 내로 삽입되는 인쇄 회로 기판(도터 보드)의 정합 모서리를 따른 접점 패드와 결합하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하우징(22)에는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이 돌출되어 나오는 표면 수단이 슬롯 수단(24)의 측면을 따라 제공되는데, 이 표면은 스프링 접점 소자의 일부가 슬롯 수단 내로 연장되어 들어가는 기준면을 정한다. 또한 하우징에는 인쇄 회로 기판을 표면 수단에 편의시켜서 스프링 접점 소자를 예정된 일정한 크기만큼 편향시키기 위한 편의 수단이 제공된다.
특히, 제1도를 참조하면, 공동부(32a) 사이의 격벽부(34a)는 하우징(22)의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슬롯 수단(24)의 한 측면(도면 상의 좌측면)을 정하는 모서리(52)를 가진다. 이러한 모서리들은 결합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의 일부가 돌출되어 나오는 기준면을 정한다. 따라서, 도터 보드가 기준면에 대하여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편의되면, 기준면은 기판의 더 이상의 운동을 방지하고 스프링 접점 소자의 더 이상의 편향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또는 정지 수단을 제공한다. 기판이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과 결합하면, 스프링 접점 소자는 화살표 "B" 방향으로 편향된다. 일단 기판이 격벽부(34a)의 모서리(52)에 의하여 정해지는 기준면과 결합하면, 스프링 접점 소자는 더 이상 편향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스프링 접점 소자의 편향은 스프링 접점 소자(48)의 경우 화살표 "C" 및 스프링 접점 소자(50)의 경우 화살표 "D"로 표시된 바와 같이 예정되어 있으며 일정하다.
이상과 같은 개념 하에,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의 변화 등의 문제가 회피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환언하면, 기판의 두께에 상관없이, 기판이 화살표 "A"의 방향으로 기준면(52)에 대하여 편의되면, 스프링 접점 소자는 단지 도시된 예정된 크기만큼만 편향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접점 소자의 길이가 기판 두께의 변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길 필요가 없다. 또한, 스프링 접점 소자를 일정하게 편향시킴에 따라, 접점 소자는 기판의 접점 패드에 일정한 접촉 압력을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이는 기존의 모서리 커넥터가 지속적으로 가지고 있던 숙제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 접점 소자의 편향의 정확한 크기를 알 수 있음에 따라,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의 기부(42)로부터 접촉점(48a 및 50a)까지의 길이가 각각 가능한한 짧게 만들어질 수 있다. 사실상, 화살표 "E"로 표시된 짧은 스프링 접점 소자(48)의 기부(42)로부터 접점부(48a)까지의 길이가 0.226 cm(0.089 inch)로 설계되었다. 이 길이는 0.127 cm(0.050 inch)에서 0.343 cm(0.135 inch)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짧은 스프링 접점 소자가 슬롯 수단(24)로 돌출되는 거리 [즉, 기준면(52)로부터 화살표 "C"로 표시된 거리]는 약 0.013 cm(0.005 inch)이며 약 0.005 cm(0.002 inch) 내지 0.025(0.010 inch)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편의 수단은 도터 보드을 기준면(52)에 대하여 편의시키고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하우징(22)에 제공된다.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단자(40)는 해당 공동(32)를 가로질러 횡으로 연장하는 기부(54), 공동부(32b) 내에서 상향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56) 및 기준면(52)에 대향하는 슬롯 수단의 측면으로부터 슬롯 수단(24) 내로 외향으로 돌출하는 스프링 소자(58)을 가진다. 스프링 소자(58)은 스프링 접점 소자들 보다 훨씬 커서 한 쌍의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의 반작용 편향력 보다 큰 편향력을 가지도록 제작되었다. 따라서, 도터 보드이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슬롯 수단(24) 내로 삽입될 때에, 스프링 아암(56)의 말단 모서리로부터 만곡되어 회귀하는 스프링 소자(58)은 기판을 기준면(52)에 대하여 화살표 "A"의 방향으로 편의시키고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을 화살표 "C" 및 "D"로 표시된 예정된 크기만큼 편향시킨다.
제2도는 편의 수단의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는데, 제1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부품에 대응하는 제2도 상의 구성 부품에는 제1도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졌다. 특히, 제2도의 실시예에서, 단자(38')는 또한 기부(42), 미늘부(44) 및 짧은 스프링 접점 소자(48)을 포함한다. 그러나, "짧은" 단자는 연장된 기부(60)를 가지며, 스프링 접점 소자(48)에 대향한 제2 스프링부(64)를 형성하기 위하여 스프링 아암(62)이 기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후방 및 하방으로 절곡된다. 한편, 편의 수단은 단자(40)의 스프링 아암(56) 및 스프링 소자(58)에 관련하여 상술한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편의 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 경우 편의 수단에는 도시된 하나의 단자(38)과 같은 단자에 대향하는 슬롯 수단(24)의 한 측면 상에 하우징(22') 내에 장착되는, 일반적으로 참조 부호(66)으로 표시되는, 분리된 스프링 소자가 제공된다. 편의 스프링(66)은 또한 하나의 선택된 공동(32b) 내로 상향으로 돌출하고, 하향으로 만곡하여 슬롯 수단 내로 돌출하는 스프링 소자(70)을 가지는 스프링 아암(68)을 포함한다. 스프링 소자는 하우징의 구멍(76) 내로 상향으로 돌출하는 미늘(74)를 가지는 기부(72)를 포함한다. 이 편의 스프링도 역시 도터 보드을 기준면(52)에 대하여 편의시키고, 도시된 하나의 스프링 접점 소자(48)과 같은 단자의 스프링 접점 소자들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제공된다.
제4도는 일체의 스프링 핑거(78)이 하우징(22")와 함께 일체로서 성형되는 형태의 편의 수단을 도시한다. 스프링 핑거(78)은 슬롯 수단(24) 내로 돌출하고, 일체의 스프링 핑거의 말단 모서리(78a)는 단자(38)의 스프링 접점 소자(48)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도터 보드를 기준면(52)에 대하여 화살표 "G"의 방향으로 편의시킨다.
제5도는 캠 부재(80)가 하우징 수단과 별개로 형성되어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슬롯 수단(24') 내로 삽입되는 편의 수단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캠 부재는 단자(38)의 스프링 접점 부재(48)을 편향시키기 위하여 도터 보드을 기준면(52)에 대하여 화살표 "I"의 방향으로 편의시키기 위하여 하우징(22")의 캠 표면(82)와 결합하는 캠 표면(80a)를 가진다.
제6도는 도터 보드과 라인 접촉을 이루기 위하여 커넥터의 기준면을 정하는 수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를 다시 참조하면, 스프링 소자(58)은 슬롯 수단(24)의 한 측면으로부터 슬롯 수단 내로 돌출하고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은 슬롯 수단의 대향 측면으로부터 슬롯 수단 내로 돌출함을 알 수 있다. 리브(84)는 스프링 접점 소자(48 및 50)가 형성된 단자들 사이에서 하우징(22)과 일체로 형성된다. 리브들의 내부 모서리는 인쇄 회로 기판과 결합하는 접선 방향의 라인 접점부(84a)를 제공하기 위하여 둥글게 만들어져 있다. 리브들의 모서리들을 통과하도록 그려진 가상 평면은 인쇄 회로 기판이 대항하여 편의되는 기준면을 한정한다. 기준면과 인쇄 회로 기판 간의 라인 접촉을 제공함에 의하여 하우징의 플라스틱 재료와 접촉하는 기판의 표면적, 특히 접점 패드의 접촉면이 최소화되어 기판 상의 접점 패드의 중합체 오염이 최소화 된다.
제7도는 본 고안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구성 부품에 대응하는 구성 부품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가 주어졌다. 이 도면은 마더 보드(30)과 수직인 형상을 가지도록 커넥터가 90˚ 회전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짧은" 단자(38')의 접촉 발(46')는 제1도에서 하우징의 측면으로 도시된 하우징(22)의 밑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온다. 격리 애자(86)은 인쇄 회로 기판의 상부 표면(28)과 결합하기 위하여 하우징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한다. 한편, 커넥터는 도터 보드이 화살표 "J"의 방향으로 슬롯 수단(24) 내로 삽입될 때에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8도 내지 제10도는 도터 보드(94)의 정합 모서리(94a)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 수단(92)이 형성된 하우징(90)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88)로 실시된 본 고안을 도시한다. 하우징(90)은 격리 애자(96)의 수단에 의하여 마더 보드 상에 장착된다. 짧은 단자 및 긴 단자가 교번하여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하나의 짧은 단자(98)가 도면 상에 완전히 도시되어 있다. 단자들에는 교번하는 단자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부(106)의 모서리(104)들에 의하여 정해지는 기준면을 벗어나 슬롯 수단(92) 내로 돌출하는 스프링 접점 소자(100 및 102)가 형성된다. 단자들은 마더 보드 상의 회로 트레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접촉 발(108)을 가진다.
커넥터(88; 제8도 내지 제10도)의 사용에 있어, 도터 보드(94)의 정합 모서리(94a)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수단(92) 내로 삽입된다. 슬롯 수단이 하나의 받침점으로 작용하여 기판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K"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기판은 그 측면 모서리가 하우징과 일체로 커넥터의 대향 모서리에 마련된 래치(110)에 걸릴 때까지 회전한다. 이렇게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은 도터 보드을 기준면(104)에 대하여 편의시켜 스프링 접점 소자(100 및 102)가 예정된 일정한 정도로 편향되게 한다. 또한 슬롯 수단(92)를 정하는 하우징의 캔틸레버식 격벽부(112)는 약간 편향하여 편의 압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1도는 도터 보드이 완전히 래치된 상태의 제10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11도의 실시예에서, 스프링 접점 소자(100 및 102)를 편향시키기 위하여 화살표 "C"의 방향으로 도터 보드에 대하여 편의 압력을 작용하도록 격벽부(112)를 감싸는 U자형 보조 스프링 부재(114)가 사용된다.
최종적으로, 제12도는 제8도 내지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커넥터의 형상과 유사한 커넥터(88')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따라서, 제8도 내지 제11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부품과 유사한 제12도의 구성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 이 실시예에서, 도터 보드(94)는 기준면(104) 상에 놓인다. 별도의 힌지 부재 또는 커버(116)이 움직이는 일체형 힌지(118)에 의하여 하우징(90)에 힌지 연결된다. 힌지 부재(116)의 말단 모서리에는 고리가 달린 래치(120)이 형성된다. 힌지 부재는 도터 보드(94)에 대하여 화살표 "M"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기판을 기준면(104)에 대하여 편의시키고 스프링 접점 소자(100 및 102)를 편향시킨다. 래치(120)은 하우징(90) 상의 상보적 래치 표면(도시되지 않음)과 결합하여 힌지 부재(116)을 그 작동 위치에 고정시킨다. 기판을 기준면에 대하여 편의시키는 커버 대신에 편의를 위하여 제2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원리 및 중심적 특징으로 벗어나지 아니하고, 본 고안은 기타 특정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세부적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의 스프링 접점 소자의 길이를 짧게 하여 인덕턴스를 낮추고 여러 두께의 도터 보드에 대해 일정한 접촉 압력을 인가하도록 편의 수단을 갖춘 커넥터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4)

  1. 정합 모서리 및 이 모서리에 인접한 다수의 접점 패드들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정합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슬롯 수단을 갖는 긴 유전체 하우징, 상기 슬롯 수단의 1개 이상의 측면을 따라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한 측면 상의 각각의 상기 접점 패드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슬롯 수단 내로 연장되는 제1 스프링 접점부들을 갖는 다수의 스프링 접점 소자들, 스프링 접점 소자의 제1 스프링 접점부가 슬롯 수단 내로 연장하면서 지나게 되는 기준면을 슬롯 수단의 한 측면에서 한정하는 하우징 상의 표면 수단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표면 수단에 대해 편의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 접점 소자들의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를 소정 크기만큼 편향시키는 편의 수단을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모서리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편의 수단은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한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 상에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한 측면을 상기 기준면과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들에 대항하여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슬롯 수단 내로 연장되는 제2 스프링 접점부이고,
    상기 스프링 접점 소자 각각은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 및 제2 스프링 접점부를 포함하는 단일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 및 제2 스프링 접점부 각각은 기부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커넥터는 제3 접점 아암을 갖는 제2 스프링 접점 소자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상기 슬롯 수단 내에서 작동 배치될 때 상기 접점 소자의 기부로부터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의 각각의 상기 접점 패드와의 접촉점까지의 상기 제3 접점 아암의 길이는 0.229 cm(0.09 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점 소자들의 상기 제3 접점부는 상기 기준면을 0.013 cm(0.005 inch) 지나 상기 슬롯 수단 안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들은 기판 수용 상태에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상기 슬롯 수단으로부터 제거된 때 상기 표면 수단을 지나 상기 슬롯 수단 내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가 기판 수용 상태일 때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하도록 된 상기 제2 스프링 접점부의 일부와 기준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보다 짧게되어, 상기 슬롯 수단 내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직접 삽입하는 것은 상기 제1 접점부를 상기 슬롯 수단 외측으로 편향시키고 상기 제2 접점부도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제1 길이의 캔틸레버식 접촉 비임들을 갖는 제1 스프링 접점 소자들,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캔틸레버식 접촉 비임들을 갖는 제2 스프링 접점 소자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7. 정합 모서리 및 이 모서리에 인접한 다수의 접점 패드들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정합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슬롯을 갖는 긴 유전체 하우징, 상기 슬롯의 1개 이상의 측면을 따라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한 측면 상의 접점 패드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는 제1 스프링 접점부를 각각 갖는 다수의 스프링 접점 소자들, 스프링 접점 소자의 제1 스프링 접점부가 슬롯 내로 연장하면서 지나게 되는 기준면을 슬롯의 한 측면에서 한정하는 하우징 상의 표면 수단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표면 수단에 대해 편의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 접점 소자들의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를 소정 크기만큼 편향시키는 편의 수단을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모서리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편의 수단은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한 측면의 대향 측면 상에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하고 상기 기판의 상기 한 측면을 상기 기준면 및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들에 대항하여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슬롯 내에서 연장되는 상기 하우징의 탄성부이고,
    상기 편의 수단과 상기 하우징은 단일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들은 기판 수용 상태에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이 상기 슬롯으로부터 제거된 때 상기 표면 수단을 지나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고, 상기 커넥터가 기판 수용 상태일 때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하도록 된 상기 탄성 하우징부와 기준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보다 짧게되어, 상기 슬롯 내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직접 삽입하는 것은 상기 제1 접점부를 상기 슬롯 외측으로 편향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탄성부도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제1 길이의 캔틸레버식 접촉 비임들을 갖는 제1 스프링 접점 소자들,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캔틸레버식 접촉 비임들을 갖는 제2 스프링 접점 소자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접점 소자의 상기 스프링 접점부는 기부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11. 정합 모서리 및 이 모서리에 인접한 다수의 접점 패드들을 갖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정합 모서리를 수용하기 위한 기판 수용 슬롯을 갖는 긴 유전체 하우징, 상기 슬롯의 1개 이상의 측면을 따라 하우징 내에 장착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한 측면 상의 접점 패드와 접촉하기 위해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는 제1 스프링 접점부를 각각 갖는 다수의 스프링 접점 소자들, 스프링 접점 소자의 제1 스프링 접점부가 슬롯 내로 연장하면서 지나게 되는 기준면을 슬롯의 한 측면에서 한정하는 하우징 상의 표면 수단 및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상기 표면 수단에 대해 편의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 접점 소자들의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를 소정 크기만큼 편향시키는 편의 수단을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모서리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편의 수단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상기 한 측면을 상기 기준면 및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들에 대항하여 편의시키기 위해 상기 기판의 상기 한 측면의 대향 측면 상에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하도록 일부분이 상기 슬롯 내로 연장되게 상기 하우징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프링 접점 소자와는 별개인 적어도 하나의 탄성 편향 부재이며, 상기 커넥터가 기판 수용 상태일 때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접촉하도록 된 상기 탄성 편향 부재의 상기 부분과 상기 기준면과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두께보다 짧게되어, 상기 슬롯 내에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을 직접 삽입하는 것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탄성 편향 부재를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에 상기 기판을 삽입하는 것은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들을 상기 슬롯 외측으로 편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제1 길이의 캔틸레버식 접촉 비임들을 갖는 제1 스프링 접점 소자들,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의 캔틸레버식 접촉 비임들을 갖는 제2 스프링 접점 소자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프링 접점부 및 제2 스프링 접점부 각각은 기부로부터 돌출하는 스프링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서리 커넥터.
KR2019970026760U 1992-03-16 1997-09-26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KR200173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760U KR200173629Y1 (ko) 1992-03-16 1997-09-26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52,441 1992-03-16
US07/852,441 US5203725A (en) 1992-03-16 1992-03-16 Biased edge card connector
KR1019930003869A KR930020772A (ko) 1992-03-16 1993-03-15 바이어스된 에지 카드 커넥터
KR2019970026760U KR200173629Y1 (ko) 1992-03-16 1997-09-26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869A Division KR930020772A (ko) 1992-03-16 1993-03-15 바이어스된 에지 카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622U KR19990011622U (ko) 1999-03-25
KR200173629Y1 true KR200173629Y1 (ko) 2000-03-02

Family

ID=253133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869A KR930020772A (ko) 1992-03-16 1993-03-15 바이어스된 에지 카드 커넥터
KR2019970026760U KR200173629Y1 (ko) 1992-03-16 1997-09-26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3869A KR930020772A (ko) 1992-03-16 1993-03-15 바이어스된 에지 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203725A (ko)
EP (1) EP0561288B1 (ko)
JP (1) JP2835563B2 (ko)
KR (2) KR930020772A (ko)
DE (1) DE69311169T2 (ko)
ES (1) ES2103993T3 (ko)
MY (1) MY108994A (ko)
SG (1) SG44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3501B2 (ja) * 1995-11-20 2001-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プリント回路板用のエッジコネクタ
WO1993018559A1 (en) * 1992-03-06 1993-09-16 Augat Inc. Edge card interconnection system
US5713764A (en) * 1992-03-16 1998-02-03 Molex Incorporated Impedance and inductance control in electrical connectors
US5503564A (en) * 1992-10-30 1996-04-02 The Whitaker Corporatio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jector unit for connecting IC card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5310360A (en) * 1993-05-18 1994-05-10 Molex Incorporated Circuit board mounted modular phone jack
US5338230A (en) * 1993-06-29 1994-08-16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822852B2 (ja) * 1993-06-30 1998-11-11 住友電装株式会社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5827075A (en) * 1993-09-08 1998-10-27 The Whitaker Corporation Assembly of an electrical connector and ejector unit for connecting IC cards to printed circuit boards
US5460537A (en) * 1993-12-10 1995-10-24 Burndy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stabilizer for a card edge connector
JP2587452Y2 (ja) * 1993-12-14 1998-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低挿抜力電気コネクタ
US5425651A (en) * 1994-03-04 1995-06-20 The Whitaker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providing non-simultaneous electrical connections
US5514002A (en) * 1994-04-28 1996-05-0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ontacts therein
US5573408A (en) * 1994-06-30 1996-11-12 The Whitaker Corporation Micropitch card edge connector
US5472349A (en) * 1994-10-31 1995-12-05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board edge connector
JPH08185937A (ja) * 1994-12-28 1996-07-16 Molex Inc プリント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5620342A (en) * 1995-06-12 1997-04-15 The Whitaker Corporation Socket having low insertion force contact system
US5725389A (en) 1995-11-09 1998-03-10 Molex Incorporated Edge card connector
US5860825A (en) * 1995-12-20 1999-01-19 Berg Technology, Inc. Socket for printed circuit board
JP3309713B2 (ja) * 1996-06-10 2002-07-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基板
US5791925A (en) * 1996-06-28 1998-08-11 Berg Technology, Inc. Card edge connector
JP3424150B2 (ja) * 1996-12-27 2003-07-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076782B2 (ja) * 1997-12-01 2000-08-14 山一電機株式会社 Icソケット
US6036506A (en) * 1998-03-18 2000-03-14 The Whitaker Corporation Right angle electrical connector
JP3682826B2 (ja) * 1998-04-24 2005-08-1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D418479S (en) * 1998-07-14 2000-01-04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D425865S (en) * 1998-07-14 2000-05-3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3565086B2 (ja) * 1999-04-16 2004-09-15 富士通株式会社 プローブカード及び半導体装置の試験方法
US6394823B1 (en) 2000-05-26 2002-05-2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with terminals having increased capacitance
TW523199U (en) * 2000-12-21 2003-03-0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onic card connector
US20070078014A1 (en) * 2005-06-07 2007-04-05 Nye Stephen F Playground equipment
JP5517287B2 (ja) 2009-09-17 2014-06-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方法
US10811794B2 (en) * 2018-01-11 2020-10-20 Te Connectivity Corporation Card edge connecto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7838A (en) * 1971-11-17 1973-06-05 Itt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3740699A (en) * 1971-12-02 1973-06-19 Gte Sylvania Inc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GB1363352A (en) * 1972-10-06 1974-08-14 Plessey Co Ltd Electrical edge connectors
GB1458706A (en) * 1974-05-14 1976-12-15 Decca Ltd Mounting assembly for planar circuit board
US4370012A (en) * 1980-11-20 1983-01-25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or substrate
US4370017A (en) * 1980-11-20 1983-01-25 Amp Incorporated Complanate contact terminal
DE3203531C2 (de) * 1982-02-03 1985-01-17 Dipl.-Ing. Robert Heidenreich Inh. Frank Heidenreich Elektrische Anlagen und Geräte, 7471 Straßberg Steckgehäuse für Leiterplatten
US4477138A (en) * 1982-03-31 1984-10-16 Amp Incorporated Card biasing device for card edge connectors
US4585288A (en) * 1983-12-14 1986-04-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tilinearally latchable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DE3575819D1 (de) * 1984-04-06 1990-03-08 Molex Inc Elektrischer stecker mit geringer notwendiger einsteckkraft und mit beanspruchungsueberwachten kontakten.
US4737120A (en) * 1986-11-12 1988-04-12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insertion force and overstress protection
JPH0436067Y2 (ko) * 1987-07-09 1992-08-26
DE3744541A1 (de) * 1987-12-30 1989-07-13 Karl Lotter Verbindungssystem zur loesbaren verbindung von insbesondere zwei leiterplatten, sowie leiterplatte hierfuer
US4826446A (en) * 1988-05-04 1989-05-02 Burndy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pins and assemblies
JPH0254184U (ko) * 1988-10-12 1990-04-19
JPH073582Y2 (ja) * 1989-01-18 1995-01-30 接触端子及び低挿入力コネクタ
JPH0531829Y2 (ko) * 1989-03-09 1993-08-16
US4946403A (en) * 1989-08-24 1990-08-07 Amp Incorporated Low insertion force circuit panel socket
US5051099A (en) * 1990-01-10 1991-09-24 Amp Incorporated High speed card edge connector
US5024609A (en) * 1990-04-04 1991-06-18 Burndy Corporation High-density bi-level card edge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0772A (ko) 1993-10-20
US5203725A (en) 1993-04-20
MY108994A (en) 1996-11-30
DE69311169T2 (de) 1998-01-08
KR19990011622U (ko) 1999-03-25
EP0561288A1 (en) 1993-09-22
SG44612A1 (en) 1997-12-19
ES2103993T3 (es) 1997-10-01
JPH0660947A (ja) 1994-03-04
EP0561288B1 (en) 1997-06-04
JP2835563B2 (ja) 1998-12-14
DE69311169D1 (de) 199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3629Y1 (ko)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US6254435B1 (en) Edge card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KR970000291Y1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0531061B1 (ko) 증가된 정전 용량을 가지는 터미널을 구비한 커넥터
US5259793A (en) Edge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KR950007429B1 (ko) 카드 연부 콘넥터 어셈블리
US5162002A (en) Card edge connector assembly
US4687267A (en)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KR0141904B1 (ko) 모듈형 폰 잭을 장착한 회로 기판
US20060264074A1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US6183273B1 (en) Stacked electrical card connector assembly
US5259795A (en) Edge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KR0152521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JPH11514131A (ja) 応力を分離したはんだテール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KR950702752A (ko) 배면 납작형 카드 커넥터(Flat Back Card Connector)
JPH07211377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するコンタクト
US507680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20030166347A1 (en) Low-profile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5842885A (en) Biased edge card shielded connector
KR960001306Y1 (ko) 저삽입력 접속기 및 그 접속기용 전기접점
US6802732B1 (en) Card edge connector
KR20060012302A (ko) 서로 다른 크기의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커넥터
US6345992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mounting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including a terminal tail aligner
US2023014762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metallic shell with unitary grounding member
JP3106352B2 (ja) エッジ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