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2521B1 - 전기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2521B1
KR0152521B1 KR1019890014816A KR890014816A KR0152521B1 KR 0152521 B1 KR0152521 B1 KR 0152521B1 KR 1019890014816 A KR1019890014816 A KR 1019890014816A KR 890014816 A KR890014816 A KR 890014816A KR 0152521 B1 KR0152521 B1 KR 0152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ntact
contacts
signal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7134A (ko
Inventor
리 피더 제임스
마이클 서체스키 매튜
Original Assignee
제이 엘.사이칙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엘.사이칙,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이 엘.사이칙
Publication of KR90000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2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2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30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5Printed circuits including an angle between each other
    • H01R12/737Printed circuits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사시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상기 시스템의 제1커넥터의 하우징의 도시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제1커넥터의 전도성 접촉자를 도시한 사시도.
제4a도 및 제4b도는 제1커넥터를 도시한 도시도.
제5a도 내지 제5d도는 상기 시스템의 제2커넥터의 하우징의 도시도.
제6a도 내지 제6c도는 제2커넥터의 전도성 접촉자의 사시도.
제7a도 및 제7b는 제2커넥터의 단면도.
제8a도 및 제8b도는 결합된 제1 및 제2커넥터의 단면도.
제9a도 내지 제9d도는 제1커넥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여러가지 도면.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제1커넥터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여러 가지 도면.
제11a도 및 제11b도는 제2커넥터용 전도성 접촉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2a도 내지 제12d도는 제2커넥터용 전도성 접촉자의 또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13a도 및 제13b도는 제2커넥터용 신호 접촉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제14도는 제1커넥터와 결합된 제2커넥터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15도는 전도성 접촉자의 또다른 변형예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의 분해 시시도.
제17도 및 제18도는 제16도의 선 17-17과 선 18-18을 따라 취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촉 수용 공동부의 단면도.
제19도는 접지 접촉의 사시도.
제20도는 신호 리셉터클 접촉자의 사시도.
제21도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적절한 공동부에 위치한 접지 접촉자를 도시한 제17도의 단면도.
제22도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적절한 공동부에 위치한 신호 리셉터클 접촉자를 도시한 제18도의 단면도.
제23도는 양 커넥터의 결합 신호 접촉자를 보여주는 결합 헤더(header)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
제24도는 양 커넥터의 결합 접지 접촉자를 보여주는 결합 헤더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커넥터 시스템 12 : 제1커넥터
14 : 제2커넥터 20, 70, 180 : 하우징
28, 30, 32, 72, 74, 76, 192, 232, 234 :접촉자
24, 26 : 측벽 38 : 콜럼
40 : 로우 42, 44, 46, 94, 186, 188 : 통로
58, 62 : 블레이드 핀 100 : 슬롯
118, 142, 214, 396 : 플레이트 124 : 캔딜레버 빔
126, 128, 148, 150 : 핑거 170, 216, 218, 220, 222: 리드
174, 208, 242, 254 : 스트랩 168 : 리셉터클
본 발명은 배면판, 도우터(daughter) 카드 및 다른 유사한 기판상에 고주파 신호 회로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시키도록 사용된 형태의, 신호 인테그리티(integrity)를 가진 고밀도, 고주파 커넥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전자학의 고속 기술에 있어서, 고주파 커넥터가 배면판과 인쇄회로카드 즉, 도우터 카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어져 왔다. 이러한 커넥터는 고주파 신호 인테그리티를 제공하여 외부 소스(source)로부터의 간섭을 극소화시키기 위해서, 예르들어 스트립라인(striplile) 형태의 신호핀 사이에 차폐 또는 접지판이 필요하다. 이러한 하나의 장치는, 터미널 접지 유닛트가 절연부재가 장착된 배면판에 부착되어 이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핀 터미널을 수용하기 위한 로우(row) 및 콜럽(column)구성의 틈을 갖는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미국 특허 제4,632,476호에 기술되어 있다. 더나아가, 채널 바닥의 슬롯을 통해 채널로 연장되고 배면판(backplaine)에 부착된 U형 피메일(femail) 접촉자에 종결된 차폐 부재(shield member)를 수용하기 위한 틈의 콜럼 사이의 절연부재에 채널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장치는 고주파 신호를 운반하는 핀 터미널의 인접 콜럼 사이에 차폐 또는 접지면을 제공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571,014호에는, 회로판과 배면판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회로판으로 사용되는 고주파 모듈러 커넥터(modular commector)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는 각각 한쌍의 직사각형 형상의 회로판 부재를 갖는 모듀울(module)을 포함한다. 상기 부재는 슬롯에 의해 분리된 여러개의 평행한 핑거(finger)를 갖고, 피메일 접촉자가 배열된 통로를 포함한다. 각 모듀울에서의 각각의 부재는 차폐 부재 및 유전체 스페이서(spacer)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구성의 전도성 차폐부재는 인접 모듀울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차폐부재가 인접 모듀울을 차폐 하는 동안, 주름진 전도성 부재는 여러개의 핑거의 통로에 배열된 인접 피메일 접촉자를 차폐하도록 핑거 사이의 슬롯에 위치된다. 차폐부재와 주름진 부재는 접지 통로를 완성하도록 접지 회로에 연결되어 있다.
접지 관련 접촉자가 신호 운반 접촉자의 인접 콜럼 사이에 차폐를 제공하는 고밀도, 고주파의 2개 부분의 커넥터에 접지 관련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더나아가, 필요한 접지 관련 접촉자와 연결된 힘을 전달하는 접촉자를 제공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2개 부분의 고밀도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신호 접촉자의 콜럼 사이에 접지 접촉자를 구비 하는데, 하나의 커넥터의 접지 접촉자는 외면으로 돌출된 블레이드(blade)를 갖고 다른 커넥터의 결합된 접지 접촉자는 갠딜레버 빔을 갖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는 결합된 신호 접촉자의 콜럼 사이에 차폐를 제공하고, 캔딜레버 빔은 두 개의 커넥터와 결합된 회로 카드와 배면판 사이의 접지 회로를 완성하도록 블레이드를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마더판(mother board)판 또는 배면판상에 장착된 핀 헤더(pin header)라 불리우는 제1커넥터를 포함한다.
더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핀 헤더와 결합되어 핀 헤더에 밀어넣어진 리셉터클이라 불리우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그 위에는 통상 도우터 카드로 명명된 인쇄 회로판이 장착되어 있다. 커넥터는 카드 및 배면판상의 회로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전도성 접촉자를 갖는다.
여기에서 기술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은 해리스버그의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에 의해 제조되어 상품화된 고밀도의 상호 연결 시스템에 기초하고 있다, 두 개 부분으로된 커넥터는 신호 접촉자의 두 개 이상의 콜럼을 갖고, HDI의 동일 생산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 시스템(10)은 배면판(16)에 장착된 제1커넥터(12)와, 이에 인접한 도우터 카드(18)를 가진 제2커넥터(14)를 포함한다.
커넥터(12)는 베이스(22)와 측벽(24, 26)을 갖는 유전체 하우징(20)을 포함한다. 단부벽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파워 접촉자(28), 접지 접촉자(30) 및 신호 접촉자(32)를 포함한다.
제2a, 2b, 2c, 2d도에 하우징(20)의 구조를 보다 자세하게 도시하였다. 측벽(24, 26)은 마루부(34) 및 공동부(36)와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콜럼(38) 및 로우(40) 구성의 통로(42, 44, 46)는 마루부(34) 및 하부 표면(48)으로 개방되어 베이스(22)를 통해 연장된 하우징(20)에 제공되어 있다. 통로(42)는 측벽(24)에 인접 하고, 통로(44)는 측벽(26)에 인접하고, 통로(46)는 그들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콜럼(38)은 하나의 통로(42), 다른 하나의 통로(44)와 4개의 다른 통로(46)를 포함한다. 통로(42, 44, 46)의 내부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으며, 접촉자(28, 30, 32)를 보유하도록 사용된 보유 수단의 형태에 의존하며 본 기술 분야의 기술자에 공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이러한 상세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각각 인접 콜럼(38) 사이에 내부로 구부러지고 공동부(36)의 중심을 향해서 연장된 채널(42A, 44A)은 통로(42, 44)와 합체되어 있다. 제2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채널(42A, 44A)은 베이스(22)로 연장되지만 관통해서 연장 되지는 않는다.
하우징(22)은 양호하게는 고온 열가소성 같은 가소성 물질을 사용하여 성형된다.
제3a, 3b, 3c도에 도시된 접촉자(28, 30, 32)는 통상 컴프리언트부(50; compliant section)와 리드(52; lead)를 포함한다. 파워 및 접지 접촉자(28, 30)는 각각 리테이링 부(54), L형 스트랩(56)과 블레이드(58)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 각 접촉자(28, 30)상의 스트랩(56)은 서로에 대해 대향 방향으로 구부러져 있고, 컴플리언트부(50)와 리드(52)와 리테이닝부(54)에 대한 블레이드(58)를 옵세트시키도록 작용한다. 통상, 접지 접촉자(28)상의 블레이드(58)는 파워 접촉자(30)상의 블레이드(58)보다 길다.
신호 접촉자(32)는 리테이닝부(60)와 핀(62)을 포함한다.
접촉자(28, 30,32)는 양호하게는, 스탬프되어 인청동인 물질로 형성되어 있다.
제4a, 4b도는 제1커넥터(12)를 형성하도록 하우징(20)의 접촉자(28, 30, 32)의 위치 설정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파워 접촉자(28)는 채널(44A)에 수용되는 스트랩(56)을 갖는 측벽(26)에 인접한 통로(44)에 위치되어 있다.
접지 접촉자(30)는 채널(42A)에 수용되는 스트랩(56)을 갖는 측벽(24)에 인접한 통로(42)에 위치되어 있다.
신호 접촉자(30)는 공동부(36) 안으로 돌출된 핀(62)을 갖는 통로(46)에 위치되어 있다.
모든 접촉자(28, 30, 32)의 컴플리언트부(50)와 리드(52)는 하우징 하면(48)으로부터 외향 연장되며, 상기 컴플리언트부(50)는 배면판(16)의 도금된 관통구(16a, 16b, 16c)에 마찰끼워 맞춤되어 있고, 배면판(62)을 지나 돌출된 리드(52)는 와이어 랩핑을 위해 제공된다.
제2커넥터(14)는 유전체 하우징(70), 파워 접촉자(72), 접지 저(74)와 신호 접촉자(76)를 포함한다. 제5a도 내지 제5d도에는 하우징(70)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 되어 있다.
하우징(70)은 대향 측부(80, 82), 단부(84), 정면부(86)와 배면부(88)를 갖는 직사각형 블록(78)이다. 제5c도 및 제5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측부(80)는 대향측부(82)에 대해 보다 짧은 간격으로 정면부(86)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레지(ledge)를 갖는다.
하우징(70)에 제공된 통로(94)의 콜럼(90) 및 로우(92)(제5b도 참조)는 정면부(86)상에서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더나아가, 하우징(70)에 제공된 슬롯(100)의 콜럼(96) 및 로우(98)(제5b도 참조)는 정면부(86)상에서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4개 통로(94)의 콜럼은 하우징(70)의 길이를 따라 2개의 슬롯(100)의 콜럼과 교호된다.
각 통로(94)는 횡벽(104)에 의해 슬롯(100)으로부터, 내벽(102)에 의해 다른 통로(94)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빔 스프리더(106; beam spreader)는 각 횡벽(104)으로부터 각 통로(94)로 돌출되어 있다. 통로(94)의 개구부(108)는 양호하게는 깔때기 형상이다. 벽(102)의 자유단부(110)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 같이 일측부상에서 경사 연장되어 측부(80) 쪽으로 향하게 일측부상에서 경사져 있다.
각 로우(92)의 슬롯(100)은 벽(112)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더나아가, 코형상부(114)는 각 측부(80, 82)의 내면 (116)으로부터 각 슬롯(100)으로 돌출되고, 후방으로 직면한 레지부(117)는 측부(82)의 내면(116)상에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70)은 양호하게는 고온 열가소성 물질로 성형되어 있다.
제2커넥터(14)와 결합된 접촉자(72, 74, 76)가 각각 제6a, 6b, 6c도에 도시되었다. 이 접촉자들은 스탬프되어, 베릴륨 구리(beryllium copper)로 형성되어 있다.
파워 접촉자(72)(제6a도 참조)는 각 측부상에 캔딜레버 빔(124)과 핑거(126, 128)를 구비하도록 슬롯 형성된 정면부(120)의 전방단부를 갖는 평면 플레이트(118)를 포함한다. 빔(124)은 자유단부에서 볼록한 접촉면(130)을 포함하며, 부착 포인트에 인접한 플레이트(118)의 평면으로부터 일방향으로 구부러져 있다. 대향방향으로 구부러져 있음으로 빔은 플레이트(118)의 평면을 가로지르고, 블록 접촉면(130)이 플레이트(118)의 다른 측부상에 위치된다. 노치(132, 134)는 플레이트(118)의 측부 모서리(136)에 직면하여 외부로 구비되고, 노치(132)는 핑거(128)의 자유단부 부근에 위치된다. 탭(138; tab)은 정면부와 배면부(120, 122)사이에서 각각 접합되어 모서리(136)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배면부(122)는 동일 평면에 있지만 정면부(120)에 약 45˚정도으 각도로 형성되어 있다. 직각으로 옵세트 되오록, 플레이트(118)의 평면으로 구부러진 리드(140)는 배면부(122)의 코너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접지 접촉자(74)(제6b도 참조)는 전방 자유단부(144)가 각 측부상의 핑거(148, 150)에 의해 브래킷된 캔틸레버 빔(146)을 형성하도록 슬롯 형성되어 있는 평면 플레이트(142)를 포함한다. 빔(146)은 자유단부에서 블록 접촉면(152)을 포함하고, 접촉자(72)상의 빔(124)과 같이 플레이트(142)는 일표면으로부터 다른 표면으로 가로질르도록 구부러져 있다. 노치(154)는 핑거(148)의 자유단부 부근의 플레이트(142)의 외부로 직면한 측부 모서리(156)에 제공되어 있다. 더 후방으로, 리드(158)가 플레이트(142)의 배면 모서리(166)으 코너에서 대향된 측부 모서리(164)에 의해 플레이트(142)의 평면으로부터 교체되어진 후 모서리(156)로부터 외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모서리(166)는 측부 모서리(156, 164)에 대한 일정 각도를 갖고 있다.
카드(18)의 구멍 패턴 즉, 파워 및 접지 구멍(18a, 18b)이 각각 신호 구멍(18c)(제1도 참조)과 일치하기 때문에, 리드(140, 158)의 옵세팅이 필요하다.
신호 접촉자(76)(제6c도 참조)는 일단부에 리셉터클(168), 반대 단부에 리드(170), 리셉터클(168) 뒤에 리테이닝부(172)를 가지며 리드(170)를 리테이닝부(172)에 연결시키고 이들 사이로 연장하는 스트랩(174)을 포함한다. 리셉터클(168)은 대향된 탄성 빔(176)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리테이닝부(172)는 외부로 경사 연장된 탄성 레그(178)를 포함한다. 스트랩(174)은 리셉터클(168)에 대한 90˚ 각도로 리드(170)를 위치시키도록 두 개의 이격된 위치에서 45˚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제7a, 7b도에는 제2커넥터(14)를 형성하도록 하우징(70)의 접촉자(72, 74, 76)의 위치 설정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파워 접촉자(72)(제7a도 참조)는 배면부(88)로부터 측부(82)에 인접한 슬롯(100)으로 삽입된다. 캔틸레버 빔(124)은 정면부(86)에 인접하고, 리드(140)는 측부(80)와 동일한 측부상에서 하우징(70)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레지(117)와 결합하는 태브(138; tab)와 노치(132)에 들어가는 코형상부(114)에 의해 유지된다.
접지 접촉자(74)(제7a도 참조)는 배면부(88)로부터 측부(80)에 인접한 슬롯(100)안으로 삽입된다. 갠틸레버 빔(146)은 정면부(86)에 인접하고, 리드(158)는 접촉자(72)상의 리드(140)와 측부(80) 사이에서 하우징(70)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있다. 노치(154)에 들어가는 코형상부(114)와 벽(112)의 단부에 결합된 태브(162)에 의해 유지된다.
신호 접촉자(76)(제7b 참조)는 개구부(108)에 인접한 리셉터클(168)을 갖는 배면부(88)로부터 통로(94) 안으로 삽입된다. 리드(170)는 측부(80)와 같은 동일 측부상에서 하우징(70)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된다. 통로(94)와 리테이닝부(172) 사이에 죔쇠끼워맞춤에 의해 유지된다. 스트랩(174)은 측부(80)에 인접한 통로(94)에 위치된 접촉자(76)를 제외하면 벽(102)의 경사진 단부(110)에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스트랩(174)은 일단 90˚로 구부러져 측부(80)의 자유단부상에 위치된다.
리드(140, 158, 170)는 각각 카드(18)의 구멍(18a, 18b, 18c)에 삽입되고 납땜에 의해 보유 유지되어 있다.
제8a, 8b도에는 서로 결합되는 커넥터(12,14)가 도시되어 있다. 커넥터(14)가 커넥터(12)의 공동부(36)에 위치됨으로서 접촉자(72, 74, 76)는 각각 커넥터(12)의 접촉자(28, 30,32)와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특히, 제8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워 및 접지 접촉자(72,74) 상의 캔틸레버 빔(124, 146)은 각각 파워 및 접지 접촉자(28, 30)상의 블레이드(58)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술된 캔틸레버 빔(124, 146)의 탄성적인 변형은 블레이드(58)에 대한 필요한 정상의 힘을 제공한다.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2)의 신호 접촉자(32)상의 핀(62)은 커넥터(14)의 신호 접촉자(76)상의 리셉터클(168)에 들어간다.
제9a도 내지 제9d도에는 개조된 제1커넥터(12)가 도시되었다. 개조된 제1커넥터(182)의 하우징(180)은 각각 파워 통로(186) 및 접지 통로(188)를 갖는 분리된 콜럼(184)을 포함한다. 콜럼(184)은 각각 4개의 신호 통로(46)의 콜럼(190)과 교체된다. 채널(186a, 188a)은 각 통로(186, 188)로부터 서로를 향해 내부로 일직선으로 연장된다.
하우징(180)에 사용되는 파워 접촉자(192)와 접지 접촉자(194)가 제9b도에 도시되어 있다. 각 접촉자(192, 194)는 컴플리언트부(50), 리드(52), 리테이닝부(54)와 블레이드(58)를 포함하며, 블레이드는 일직선 스트랩(196)에 의해 컴플리언트부, 리드와 리테이닝부로부터 옵세트 되어 있다.
제9c도는 통로(46)의 신호 접촉자(32)의 콜럼(190)을 갖는 커넥터(182)를 도시하고, 제9d도는 하나의 파워 및 접지 접촉자(192,194)의 콜럼(184)을 갖는 커넥터(182)를 도시한 것이다. 리테이닝부(54)는 각 통로(186, 188)에 위치 되고, 스트랩(196)은 각 채널(186a, 188a)에 위치되어 있다. 이들 도면은 커넥터(32) 상의 핀(62)이 제1커넥터(12)와 같이 각 접촉자(192, 194)상에서 블레이드(58)와 동일한 관계로 있는 것으로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 (12,182)는 상호 변경 가능한데, 다시말해서 각각은 개조없이 제2커넥터(14)로 사용될 수 있다.
제10a, 10b, 10c도는 개조된 제1커넥터(18)와 접촉자(192,194)를 도시한 것이다. 제1커넥터(200)의 하우징(198)에서 채널(186A, 188A)은 제 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 통로(186, 188)를 상호 연결하고 공동부(36)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된 신호 채널(202)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되고 내부로 연속되어 있다. 접촉자(192, 194)는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유닛트로 개조 형성되었고 참조번호 204로 표시하였다. 이중점선(206)이 단부 중간의 스트랩(208)의 폭을 가로질러 제공됨으로서 접촉자(204)는 점선(206)을 따라 절단된 스트랩(208)에 의해 접촉자(192, 194)로 분리된다.
제10c도는 제1커넥터(200)를 형성하도록 하우징 (198)의 채널(202)의 스트랩(208)과 각 통로(186,188)에 위치된 접촉자(204)를 도시한 것이다.
접촉자(204)는 사용자로 하여금 접촉자를 모든 파워 및 접지용으로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는 접촉자를 전술된 접촉자(192, 194)로 분리하는 것을 허용한다.
접촉자(204)와 같이, 접촉자(72,74)는 제11a, 11b, 11c도에 도시된 단일 접촉자(2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중점선(212)은 사용자로 하여금 접촉자를 분리하도록 절단된 접촉자(210)의 선택을 허용하는 플레이트(214)상에 제공되어 있다.
접촉자(210)는 다른 개조된 대향 접촉자(72, 74)를 포함한다. 리드(216, 218)는 플레이트(214)와 같은 평면상에서 외향 돌출되어 있다. 이는 카드(18)(제1도 참조)의 구멍(18a, 18b)에 결합되도록 옵세트된 리드(140, 158)와 대조된다.
리드(216, 218)의 사용은 구멍(18a, 18b)이 단일 구멍(18c)에 대해 엇갈리게 형성되는 것을 필요로 한다. 리드(216, 218)는 옵세트된 플레이트(214)로 형성될 수 있다.
제11b도는 제2커넥터(14)에 위치된 접촉자(210)를 보여주고 있다. 제2커넥터(14)의 접촉자(210)의 사용은 제1커넥터(12, 182, 200)나 제3 커넥터의 개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제12a, 12b도는 접촉자(210)에 대해 전술된 바와 같이, 즉 리드(220,222)가 각 접촉자(228, 230)의 플레이트(224, 226)와 동일 평면상에 있는 경우와 같이 개조된 접촉자(72,74)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리드(220, 222)의 사용은 카드(18)상의 구멍의 배열에 대한 개조를 필요로 한다. 리드(220, 222)는 리드(54, 140)와 동일하다.
제13a도와 제13b도는 각각 제2커넥터(14)에 사용될 수 있는 신호 접촉자(232, 234)를 도시한 것이다.
접촉자(232)는 일단부에 리셉터클(236), 다른 단부에 리드(238)를 가지며, 리테이닝부(240)와 스트랩(242) 그리고, 이들 사이의 캐리어 스트랩(244)을 포함한다.
접촉자(232)는 스탬프되어 평면 스톡(stock)으로 형성되고 리셉터클(236)의 빔(246)을 제외하고는 평면 형상으로 존재한다. 빔(246)은 접촉자(232)의 잔유부의 평면 외부로 주름져있고 자유단부(250)에 인접한 볼록 표면(248)에 집중된다. 이 방식에서의 접촉자(232)를 형성하는 하나의 장점은 볼록 표면(248)이 주금지기 전에 정확히 도금될 수 있다는 것이다.
리테이닝부(240)는 하우징(70)에서 접촉자(232)를 보유 하도록 통로(46)를 형성하는 벽으로 파고들어간 바브(252; barb)를 포함한다.
접촉자(232)가 하우징(70)에 위치됨으로써, 리드(238)와 스트랩(242)의 폭은 제14도의 접촉자(234)에 대해 도시된 것과 같은 제2커넥터(14)의 세로축에 법선을 이룬다. 이것은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자(76)상에 위치되는 리드(170)와 스트랩(174)과는 반대이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접촉자(232)는 하우징(70)에 하중이 걸리기 전에 캐리어 스트랩(244)으로부터 절단된다.
제13b도에 도시된 접촉자는 접촉자(76)(제6c 참조)의 리테이닝부(172)와 리셉터클(168)을 보유한다. 스트랩(254) 및 리드(256)가 스탬프된 위치에서 보유 됨으로써, 제1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은 하우징축에 법선이된다.
접촉자(232, 234)의 하나의 장점은 스트랩(242, 254)을 구부릴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즉 양호한 형상이 최초 스탬핑 작용시에 얻어질 수 있다.
제14도에 도시되고 , 제8B도에 도시된 하우징(70)과 비교된 바와 같이, 제2커넥터(260)의 하우징(258)은 각 접촉자(232, 234)의 스트랩(242, 254)을 받아들이도록 개조되었다. 상기 개조는 측부(262, 264), 벽(266)의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하우징(258)의 폭으로 감소 시키고, 콜럼(90)과 콜럼(96) 사이의 벽을 생략하는 것을 포함한다. 관련 포인트를 제공하는 제1커넥터(12)에서, 전술된 모든 성분 즉, 측부(262, 264)와 벽(266)은 대응 되는 측부(80, 82)와 벽(102)보다 더나아가, 자유단부(268)는 경사진 것보다는 오히려 둥글게 되어 있다.
제15도는 또다른 개조된 접촉자(72, 210,228)를 도시한 것이다. 접촉자(270)는 모서리(274)에 부착된 것 같이 보이고 플레이트(276)에 법선으로 구부러져 있는 귀부(272)를 포함한다. 하우징(258)에 위치된 접촉자(270)에서, 귀부(272)는 인접 콜럼에서 각 접촉자(232, 234)의 한쌍의 인전 스트랩(234, 254) 사이에 연장됨으로써 두 개의 인접 스트랩을 격리시킨다. 귀부(272)는 다른 한쌍이 스트랩(234, 254)을 격리시키도록 모서리(274)뿐만 아니라 반대 모서리(278)(도시되지 않음) 상에도 위치된다.
시스템(10)을 포함하는 구성 성분의 여러 가지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양호한 제1커넥터는 접촉자(204)와 결합된 커넥터(200)이다. 사용자가 접촉자(204)를 접지 스트랩(208)에 적용시킴으로써 공동부(36)의 폭을 가로질러 연속적인 차폐를 제공하게 된다. 둘째로, 전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접촉자(204)를 일체로 유지시키거나 두 개로 분리하는 선택을 갖는다.
하우징(180, 198)은 접촉자(204)를 사용할 수 있는 것과는 별개로, 신호 통로(46)에 관계된 통로(186, 188)를 엇갈리게 하고, 구부러진 채널(42a, 44a)에 대향된 것 같이 일직선 채널(186a, 188a, 202)을 성형시 쉽게하는 관점에서 볼 때 양호하다. 이점에서, 접촉자(192, 194, 204)는 접촉자(28,30)보다 쉽게 스탬프 형성된다.
제2커넥터(258)(제14도 참조)는 전술된 임의의 특징을 위한 접촉자(210) 및 성혀에 있어서 유리하다. 리드(216, 218, 220, 222)는 각 플레이트(214, 224, 226)으 평면밖으로 구부러질 필요가 없기 때문에 양호하다.
신호 접촉자(232)는 접촉자(76, 234)보다 다소 양호하였다.
제1커넥터(12)와 제2커넥터(14)에 있어서, 접촉자(28, 30, 72, 74)는 파워 또는 접지로써 명명되었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실제사용은 배면 패널(panel)과 회로 카드 디자인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명명된 것은 보다 긴 블레이드(58)를 접지 접촉자(30)에서 양호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이지만, 단지 사용만을 위한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성분 구조는 배면판 및 회로카드상에 회로 패드(도시되지 않음)에 납땜된 표면에 겹합된 리드(52, 140, 158, 170, 216, 220, 22, 238, 256)와 캔딜레버 빔(124, 146)대신에 접촉하는 한쌍의 빔과 한쌍의 빔 리셉터클(168, 236)을 위한 박스 리셉터클과 리드(52)등을 포함한다. 유전체 하우징(20, 70, 180, 198)의 표면으로부터 외면으로 연장된 것은 여기에 다르게 도시되지 않았다.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된 여러 가지 커넥터 실시예에서, 접촉자(28, 30, 72, 74)와 그 개조된 접촉자는 커넥터(12, 14)의 세로축에 교차되어 놓여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세로축에 평행하게 놓인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콜럼 사이보다는 오히려 신호 접촉자(32,76)의 인접 로우 사이에 놓인 접촉자(28,30, 72,74)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된 다른 개조된 것은, 개조된 것과 각 접촉자(72, 74)의 플레이트(118, 142)에 관련된다. 플레이트(118, 142)는 평평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들 플레이트는 양호하게는 인접 콜럼(38, 90)의 인접 신호 접촉자(32, 76) 사이와 플레이트로부터 외면으로 수직하게 돌출된 수직 리브등을 형성된다.
제16도는 전술된 제1커넥터(12)와, 절연체 하우징(336), 신호 접촉자(338)와 접지 접촉자(340)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314)를 포함하는전기 커넥터 시스템(300)을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36)은 커넥터(12)의 공동부(36)에 결합된 부분(342)을 포함한다. 도금된 관통구멍(346)을 갖는 기판(344)이 커넥터(314) 위에 있는 것이 도시되었다. 기판(344)은 커넥터(314)상에 장착되고, 신호 접촉자 리드(348)와 접지 접촉자 리드(350)는 적절한 구멍(346)에 수용된다.
신호 접촉자(338)를 수용하는 하우징(336)의 통로(352)가 제17도에 도시되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콜럼은 하우징(336)의 측벽(354) 사이에서 연장된 4개의 통로(352)를 포함하고, 즉, 콜럼은 하우징(336)의 폭을 가로질러 연장되는것 같이 여기에서 형성되고 로우는 하우징(336)의 단부에서 단부로 세로로 연장된 것 같이 형성된다. 이들 형성은 산업상의 용도와 일치한다.
각 통로(352)는 하우징(336)의 정면부(358)상에서 깔때기 형상의 개구부(356)를 포함한다. 더나아가, 통로(352)는 참조번호 364로 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36)의 배면부(362)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접지 접촉자(340)를 수용하는 하우징(336)의 슬롯(366)이 제18도에 도시되었다. 하나의 콜럼에 두 개의 슬롯(366)이 있고 이들은 횡벽(368)에 의해 신호 통로(352)의 인접 콜럼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다. 각 슬롯(366)은 각각 참조 번호 370, 372로 표시된 것 같이, 정면부(358)와 배면부(362) 상에서 개방되어 있다. 내부로 돌출된 코형부(374)는 슬롯(366)의 외벽(376)에 제공된다. 더나아가, 벽(376)은 참조 번호 378로 표시된 것 같이, 후방의 측부(54)를 향해 외부로 경사져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하우징(322, 366)은 고온 열가소서의 적절한 가소성 물질로 성형된다.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접촉자(338)는 한쌍의 빔 리셉터클(382), 리테이닝부(384) 및 전술된 리드(348)를 포함한다. 외부로 직면하고 있는 견부(386)를 포함하는 리드(348)는 커넥팅 스트랩(388)에 부착되고, 스트랩(388)으로부터 옵세트되고, 상기 옵세트는 참조번호 390으로 표시하였다.
제20도에 도시된 접지 접촉자(340)는 비교적 얇은 플레이트(396)로 절단된 슬롯(394)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캔딜레버 빔(392)을 포함한다. 슬롯(394)은 각 측부상에 탄성적인 레그(340a)를 제한한다. 노치(398)는 정단부(402)에 인접한 플레이트(396)의 측부(400)에 제공된다. 측부(400)의 후방측부(404)는 전술된 리드(350)에서 종결 되는 측면으로 비스듬히 경사져 있다. 제20도에 도시된 2개의 접촉자(340)는 주변에서 선회된 것과 동일하다.
제21도는 통로(352)에 위치된 신호 접촉자(338)를 도시하고 제22도는 제2커넥터(314)를 형성하도록 슬롯(366)에 있는 접지 접촉자(340)를 도시한 것이다.
리테이닝부(384)는 개구부(356)로 개방된 리셉터클(380)을 갖는 통로(352)에서 접촉자(338)를 마찰적으로 유지시킨다. 리드(348)는 배면 개구부(364)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36)의 중간벽(406)의 각 측부 상에서 한쌍의 통로(352)의 접촉자(338)는 반대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리드(348)는 옵세트(390) 때문에 리셉터클(382)과 동일한 중심선에 놓인다. 접촉자(338)는 견부(360) 부근이나 견부에 접촉되는 리셉터클(382)의 자유 단부를 갖는 배면 개구부(364)로부터 통로(352)로 하중을 받는다.
접지 접촉자(340)는 노치(398)에 수용된 내부로 돌출된 코형상부(374) 때문에 뽑아지지 않게 슬롯(366)에 보유된다. 경사진 측부(404)는 접촉자(340)의 전방 운동을 방해하도록 벽(376)의 경사진 벽부(378)에 놓여 있다. 접촉자(340)는 배면 개구부(372)로부터 슬롯(366)으로 하중을 받고, 플레이트(340)으 레그(340a)는 사입시 코형사부(374)를 지나도록 탄성적으로 캠 작용을 한다. 리드(350)는 신호 리드(348)의 콜럼의 각 측부상에서 배면부(362)로부터 외면으로 연장된다.
제23도는 커넥터(12, 314)를 도시한 것인데, 상기 커넥터는 각각 평행한 기판(16, 344)상에 장착되고, 함께 결합됨으로써 양 기판(16, 344)상의 신호 회로(도시되지 않음)는 결합된 신호 접촉자(32, 338)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2)에서 접촉자(32)의 포스트(62)는 커넥터(314)에서 접촉자(338)의 한쌍의 빔 리셉터클(382)에 수용된다.
제24도는 제23도와 유사한 도면이지만, 평행한 기판(16, 344)상에 접지 회로(도시되지 않음)를 상호 연결시키도록 결합된 파워 접촉자(28)와 접지 접촉자(30, 340)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접촉자(28, 30, 340) 사이의 접촉은 블레이드(58)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캔딜레버 빔(392)에 의해 이루어진다.
접지 기준면으로 사용된 접촉자(340)가 위에서 참조되었다. 그렇지만, 원한다면, 하나이사의 접촉자(340)는 힘을 전달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 결과로 파워 접촉자(28)상의 블레이드(58)가 접지 접촉자(30)상의 블레이드(58) 보다 짧음으로써 접지 회로는 파워 회로전에 상호 연결된다.
제2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부 블레이드(58)는 접촉자(28, 30)의 이중 목적을 도시하도록 우측부상의 블레이드(58)에대해 보다 짧다.
분별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농도, 고주파 커넥터 시스템은 결합 가능한 제1 및 제2커넥터를 포함하는 고농도 커넥터 시스템에서 향상된 신호 인테그리티를 제공하고, 제1커넥터는 배면판상에 장착되고 회로 카드는 제2커넥터에 장착되어 있다. 각 커넥터는 고주파 신호를 운반하는 접촉자의 콜럼과 콜럼 구조를 포함하고, 신호 정수배를 유지하도록 접지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접촉자의 콜럼을 교체 할 수 있다. 하나의 커넥터의 접지 접촉자는 외면으로 연당된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다른 커넥터의 접지 접촉자는 신호 운반 접촉자의 인접 콜럼 사이에 블랭킷(blanket)차폐를 제공하도록 협력하는 실제 폭의 플레이트의 슬롯에 블레이드 결합된 캔딜레버 빔을 포함한다.

Claims (10)

  1. 각각 결합가능한 신호 접촉자(32, 76)의 콜럼을 갖는 결합 가능한 제1 및 제2커넥터(12, 14)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2)는 신호 접촉자(32)상의 핀(62)의 콜럼 사이에 위치된 블레이드(58; blade)를 갖는 다른 접촉자(28,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14)는 제1 및 제2커넥터(12, 14)가 결합될 때 블레이드(58)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캔딜레버 빔(124. 146; Cantilever beam)을 갖는 다른 접촉자(72, 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접촉자(72,74)가 플레이트(118, 142)의 일부인 캔딜레버 빔(124, 146)을 갖는 플레이트(118, 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접촉자(72,74)가 플레이트(118, 142)가 제2커넥터(14)의 신호 접촉자(76)의 인접 콜럼 사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2)의 다른 접촉자(28,30)가 블레이드(58)로부터 세로로 옵세트된 리드(52; lea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52)가 신호 접촉자(32)의 콜럼으로부터 외향으로 제1커넥터(12)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2)의 핀(62)의 인접 콜럼 사이에 위치된 한쌍의 블레이드(58)와, 제2커넥터(14)의 신호 접촉자(76)의 인접 콜럼 사이에 위치된 한쌍의 플레이트(118, 142)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 한쌍의 플레이트(118, 142)는 각각 절단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2)의 핀(62)의 인접 콜럼 사이에 위치된 한쌍의 블레이드(58)가 제공되며, 상기 블레이드(58)는 스트랩(56; strap)에 의해 각 리드(52)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2)의 각 쌍의 블레이드(58)의 스트랩(56)은 절단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10. 각각 결합 가능한 신호 접촉자(32, 338)의 콜럼을 갖는 결합가능한 제1 및 제2커넥터(12, 314)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10)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12)는 신호 접촉자(32)상의 핀(62)의 콜럼 사이에 위치된 블레이드(58)를 갖는 다른 접촉자(28, 30)를 포함하고, 제2커넥터(314)는 제1 및 제2커넥터(12, 314)가 결합될 때 블레이드(58)를 전기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캔딜레버 빔(392)을 갖는 다른 접촉자(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시스템.
KR1019890014816A 1988-10-17 1989-10-16 전기 커넥터 시스템 KR0152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842488A 1988-10-17 1988-10-17
US258,424 1988-10-17
US36792989A 1989-06-19 1989-06-19
US367,929 1989-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134A KR900007134A (ko) 1990-05-09
KR0152521B1 true KR0152521B1 (ko) 1998-10-15

Family

ID=26946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816A KR0152521B1 (ko) 1988-10-17 1989-10-16 전기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365179B1 (ko)
JP (1) JP2704179B2 (ko)
KR (1) KR0152521B1 (ko)
CN (1) CN1026838C (ko)
BR (1) BR8905245A (ko)
CA (1) CA1319739C (ko)
DE (1) DE68918547T2 (ko)
ES (1) ES2060786T3 (ko)
PT (1) PT920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1453A (en) * 1990-06-08 1992-08-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055069A (en) * 1990-06-08 1991-10-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151036A (en) * 1990-06-08 1992-09-2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AU7736691A (en) * 1990-06-08 1991-12-12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261829A (en) * 1990-06-08 1993-11-16 Fusselman David F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228864A (en) * 1990-06-08 1993-07-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259772A (en) * 1990-06-08 1993-11-0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nectors with ground structure
US5403206A (en) * 1993-04-05 1995-04-04 Teradyne, Inc.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FR2707046A1 (ko) * 1993-04-05 1994-12-30 Teradyne Inc
EP0645856B1 (de) * 1993-09-24 1997-11-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ntaktelemente-Gruppen für Steckverbinder
JPH07122335A (ja) * 1993-10-20 1995-05-1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高速伝送用コネクタ
JPH07326430A (ja) * 1994-05-31 1995-12-12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コンタクト
DE4446098C2 (de) * 1994-12-22 1998-11-26 Siemens Ag Elektrischer Verbinder mit Abschirmung
US5584709A (en) * 1995-01-30 1996-12-17 Molex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JP2896868B2 (ja) * 1995-05-23 1999-05-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JP3685908B2 (ja) * 1997-05-30 2005-08-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EP0905825B1 (de) * 1997-09-30 2007-01-24 Tyco Electronics Logistics AG Elektrischer Verbinder
JP2000067956A (ja) 1998-08-24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プラグ、ジャック、及びコネクタ装置
JP3491064B2 (ja) 2000-10-20 2004-01-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580Y2 (ko) * 1972-04-18 1977-01-31
DE3362607D1 (en) * 1982-09-07 1986-04-24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terminating flat shielded electrical cable
US4571014A (en) * 1984-05-02 1986-02-18 At&T Bell Laboratories High frequency modular connector
CA1244531A (en) * 1985-08-05 1988-11-08 Amir-Akbar Sadigh-Behzadi High density, controlled impedance connector
US4975084A (en) 1988-10-17 1990-12-04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18547T2 (de) 1995-05-11
JPH02256184A (ja) 1990-10-16
CN1042030A (zh) 1990-05-09
BR8905245A (pt) 1990-05-15
KR900007134A (ko) 1990-05-09
JP2704179B2 (ja) 1998-01-26
ES2060786T3 (es) 1994-12-01
CA1319739C (en) 1993-06-29
EP0365179B1 (en) 1994-09-28
EP0365179A1 (en) 1990-04-25
PT92009A (pt) 1990-04-30
PT92009B (pt) 1996-05-31
DE68918547D1 (de) 1994-11-03
CN1026838C (zh) 1994-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5084A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KR0152521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US710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member
US6899566B2 (en) Connector assembly interface for L-shaped ground shields and differential contact pairs
US6347962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multi-contact ground shields
US4846727A (en) Reference conductor for improving signal integrity in electrical connectors
US6551140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ifferential pair terminals with equal length
US5161987A (en) Connector with one piece ground bus
US4869677A (en) Backplane connector
US4655518A (en) Backplane connector
KR970002444B1 (ko) 고속 보호된 캐비티 백플레인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4975066A (en) Coaxial contact element
US6250935B1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173629Y1 (ko) 편의식 모서리 카드 커넥터
KR100343082B1 (ko) 카드 에지 커넥터
US6592407B2 (en) High-speed card edge connector
JPH0629060A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
JPH11224742A (ja) モジュラコネクタ
US11316307B2 (en) Connector
JPH03233879A (ja) 端子アセンブリ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GB2163305A (en) Backplane connector
JPH03156870A (ja) ケーブル組立体用モジュール
KR100406182B1 (ko) 결합용전기콘택및이를포함하는전기커넥터
US5842885A (en) Biased edge card shielded connector
KR0139000B1 (ko) 전기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