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182B1 - 결합용전기콘택및이를포함하는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결합용전기콘택및이를포함하는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182B1
KR100406182B1 KR1019950049292A KR19950049292A KR100406182B1 KR 100406182 B1 KR100406182 B1 KR 100406182B1 KR 1019950049292 A KR1019950049292 A KR 1019950049292A KR 19950049292 A KR19950049292 A KR 19950049292A KR 100406182 B1 KR100406182 B1 KR 10040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blade
housing
connector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070A (ko
Inventor
리 부쳐 랜돌프
리 코체르 티모시
에드워드 베이쓰 윌리암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356,620 external-priority patent/US5582519A/en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6002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01R12/585Terminals having a press fit or a compliant portion and a shank passing through a hole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는 절연성 하우징(8, 72)에 배치된 다수의 콘택을 각각 가지는 결합용 블레이드 및 리셉터클 커넥터(4, 6)를 구비한다. 블레이드 커넥터(4)는 콘택 블레이드(70)를 가진 전력 또는 신호 블레이드 콘택과 콘택 블레이드(42)를 가진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을 포함한다. 그라운드 콘택 블레이드(42)의 전방엣지(66)로부터 결합방향으로 태브(64)가 돌출한다. 각각의 리셉터클 콘택(96)은 접촉면(110, 120)을 가진 콘택 스프링(108, 114)을 갖는다. 리셉터클 콘택(96)중 하나는 그라운드 콘택이고 다른 리셉터클 콘택은 전력 또는 신호 콘택이다. 커넥터(4, 6)가 결합될 때, 태브(64)가 먼저 그라운드 리셉터클 콘택(96)에 맞물려서 커넥터 어셈블리(2)의 그라운드 회로를 만든다. 콘택 블레이드(42, 70)의 전방엣지(66, 71)는 각각의 리셉터클 콘택(96)의 접촉면(110, 120) 사이를 거의 동시에 통과하며, 태브(64)가 그라운드 리셉터클 콘택(96)의 콘택 스프링(108, 114) 사이에 형성된 개구(124)에 수용된다.

Description

그라운드 접속장치{MAKE-FIRST-BREAK-LAST GROUND CONNECTION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우선-제조-최종-분해(make-first-break-last) 방식의 그라운드 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목적을 위한 한 쌍의 결합용 그라운드 콘택,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및 전기 블레이드(blade) 콘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 통로내에 콘택을 단단히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를 가진 콘택 및 자체-분극(self-polarizing) 특성을 가진 콘택에 관한 것이다.
결합용 전기 커넥터를 구비하며 전력 또는 신호회로 및 그라운드회로를 가진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커넥터등이 결합될 때 그라운드회로가 전력 또는 신호회로 보다 먼저 만들어지고 커넥터들이 결합상태에서 분리될 때 전혀 또는 신호회로가 그라운드회로 보다 먼저 분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합중국 특허 제 5,116,230 호에서는 핀 헤더의 그라운드 핀을 헤더의 신호 핀 보다 길게 만들어서 신호핀이 결합용 커넥터의 신호 콘택에 맞닿기 이전에 그라운드핀이 그 커넥터의 그라운드 콘택에 맞닿게 함으로써 우선제조-최종분해 특성을 제공하고 있다. 프랑스 특허 제 1,374,648 호는 콘택 블레이드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 콘택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리셉터클 콘택은 후방 베이스를 구비하며, 베이스로부터 전방으로는 블레이드의 대향면에 맞닿도록 휘어진 접촉(콘택)면을 가진 제1 및 제2 콘택 스프링이 뻗쳐져 있다. 제1 콘택 스프링은 캔틸레버 암(cantilever arm)의 형태이며, 제2 콘택 스프링은 제1 콘택 스프링의 양 측에 베이스로부터 뻗쳐지는 한 쌍의 스프링 암을 구비한다. 제2 콘택 스프링의 스프링 암은 그 단부에서 스트랩(strap)에 의해 연결된다. 제2 콘택 스프링의 접촉면은 스프링 암 위에 형성되며 제2 콘택 스프링의 스프링 암에 의해 형성된 슬롯에 의해 분할된다. 슬롯은 그 길이에 걸쳐서 콘택 블레이드보다는 사실상 좁은 것이다,
전자산업 분야에서는 모(母) 기판(mother board) 등에 자(子)카드(daughter card)를 접속시키기 위해 직각형 전기 커넥터들이 종종 사용된다. 어떤 경우에, 자카드 커넥터가 기판의 엣지를 따라 장착되어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부가 기판의 바깥쪽으로 또한 부분적으로 기판의 아래로 뻗쳐진다. 이러한 배치는 자카드의 양 측면에 부품들이 부가되는 경우에 종종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호접속장치에서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 또는 모듈은 전력 및/또는 신호회로 및 그라운드(접지)회로를 수반할 수 있다. 특히, 전력 및 그라운드회로에는 금속 스트립으로부터 스탬프되는 편평한 블레이드형 콘택이 수반될 수 있다.
커넥터의 제조 및 조립을 촉진시키기 위해, 커넥터에서 사용되는 전력 및 신호 콘택은 기판의 관통구멍에 눌려서 끼워져서 접속부를 납땜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없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력 콘택 커넥터 또는 모듈은 다수의 전류선로를 결합 인터페이스에 또 회로기판의 트레이스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할 때, 커넥터와 기판은 커넥터가 장착되기 이전에 기판에 적절하게 위치시켜 주는 분극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극장치에는 예들들어 커넥터 하우징의 바닥에 비대칭 포스트를 성형시키거나, 커넥터 하우징의 선택된 위치에 하나 이상의 특정한 콘택을 삽입하거나 또는 하우징에 배치되는 별도의 금속 또는 플라스틱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라운드 및 전력 또는 신호 콘택을 가진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우선제조-최종분해 그라운드 접속장치를 위한 전기적 그라운드 콘택을 경제적으로 제조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한 쌍의 결합용 전기 그라운드 콘택은 제1 절연성 하우징에 보유케하기 위한 후방 블레이드 지지체와, 블레이드 지지체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콘택 블레이드와, 콘택 블레이드의 전방엣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콘택 블레이드 보다 사실상 좁은 태브를 가진 블레이드 콘택을 구비한다. 그라운드 콘택의 쌍은 제2 절연성 하우징에 보유케하기 위한 후방 베이스와, 베이스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 콘택 스프링을 가진 리셉터클 콘택을 더 구비한다. 제1 콘택 스프링은 제1 횡단 접촉면을 갖고, 제2 콘택 스프링은 태브 보다 사실상 넓은 횡단 접촉면을 갖는다. 콘택 스프링의 접촉면은접촉력을 먼저 태브에 인가한 다음 그라운드 콘택이 결합됨에 따라 콘택 블레이드에 인가해 준다. 콘택 블레이드가 리셉터클 콘택과 완전히 결합되게 하기 위해, 제2 콘택 스프링은 태브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개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블레이드 콘택의 콘택 블레이드는, 그라운드 콘택이 우선제조-최종분해 커넥터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경우, 어셈블리의 전력 또는 신호 콘택 블레이드 보다 길 필요가 없으며, 동일한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태브가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의 콘택 블레이드 보다 사실상 좁으므로,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의 제조시 금속이 절약될 수 있다. 동시에, 전력 또는 신호 블레이드콘택의 콘택 블레이드가 그라운드 블레이드콘택의 그라운드 콘택 블레이드와 동일한 유효길이를 갖는 경우, 모든 콘택 블레이드는 최대의 전류부하를 처리하도록 거의 동시에 그 리셉터클에 맞물릴 수 있다.
리셉터클 콘택의 제1 콘택 스프링의 접촉면이 제2 콘택 스프링의 접촉면 보다 사실상 좁은 경우, 제조시 제1 콘택 스프링은 제2 콘택 스프링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로부터 경제적으로 잘라내어질 수 있으며, 동시에 제1 콘택 스프링의 양 측면에 하나씩 있는 한 쌍의 스프링 암에 의해 리셉터클 콘택의 베이스로부터 지지되는 넓고 연속적인 접촉면을 가진 제2 콘택 스프링을 남기고, 태브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후방 개구를 제공한다. 제조시 물품관리의 편리성등을 고려하여 커넥터 어셈블리의 모든 콘택은, 그라운드 블레이드콘택의 콘택 블레이드에 태브가 제공되는 반면 나머지 콘택 블레이드에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동일한 것이 편리하다. 대안적으로, 다른 콘택 블레이드중 하나에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의 태브 보다 길이가 짧은 태브가 제공될 수 있어서, 우선제조, 2순위 제조, 최종제조 장치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그라운드 리셉터클 콘택과 결합하기 위한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과, 각각의 전류전달 리셉터클 콘택과 결합하기 위한 소위 전력 또는 신호콘택인 전류전달 블레이드 콘택을 갖는 결합용 전기 커넥터를 구비한다.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은 콘택 블레이드가 그라운드 리셉터클 콘택과 맞물리기 이전에 그라운드 리셉터클 콘택과 맞물리기 위한 콘택 블레이드 보다 좁은 돌출 태브를 가진 콘택 블레이드클 갖는다. 각각의 전류전달 블레이드 콘택은, 콘택 블레이드가 리셉터클 콘택과 결합될 때에 태브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진 그라운드 리셉터클 콘택과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의 콘택 블레이드가 맞물림에 따라 각각의 전류전달 리셉터클 콘택과 맞물리기 위한 콘택 블레이드를 갖는다. 따라서 커넥터 어셈블리는 최대의 전류부하를 처리할 수 있다.
리셉터클 콘택의 콘택 스프링에 의해 콘택 블레이드에 인가되는 법선방향 접촉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콘택 블레이드에는 콘택 블레이드의 전방엣지 쪽으로 뻗쳐지고 그 후방에서 종지되는 길다랗고 평행한 융기된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융기된 영역은 콘택 블레이드가 삽입됨에 따라 결합용 리셉터클 콘택의 대향하는 접촉면과 맞닿도록 콘택 블레이드의 평면에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한다.
상기한 특성에 의하여, 블레이드 콘택이 만들어지는 금속재료의 두께는 작업시 형성 및 도금 공정의 요건에 따라 정해지는 리셉터클 콘택의 접촉면 사이의 최소 갭에 의하여 결정될 필요가 없다. 또한 길다랗고 융기된 영역은 접촉면 상에 존재할 수 있는 오염물이나 금속산화물을 닦아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직각형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커넥터는 상보형 커넥터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결합면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조립면과, 회로기판 또는 상보형 전기제품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에 적합한 제3 면을 가진 하우징을 구비하며; 콘택-수용 통로에 배치되며, 결합면에 노출되어 상보형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맞닿는 제1 접속부와, 하우징의 제3 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쳐지고 전기제품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한 제2 접속부를 가진 전기 콘택을 구비한다. 하우징의 조립면은 결합면과 반대쪽에 있고, 제3 면은 결합면과 직각을 이룬다. 콘택-수용 통로는 제3 면과 조립면으로 개방된 콘택-수용 슬롯을 더 포함한다.
콘택의 제2 접속부는 제1 접속부와 직각을 이룬다. 콘택은 또한 제2 접속부의 반대쪽 먼 곳에 있고 협동가능한 하우징 부분과 연관되어 있는 보유부를 포함한다. 협동가능한 하우징 부분은 제3 면과 반대쪽에 있으며, 조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결합면 쪽으로 뻗쳐지는 채널을 형성한다. 채널은 콘택이 하우징의 조립면에 수용될 때 콘택 보유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콘택 보유부는 채널의 전방부에서 수용가능한 바브(barb)를 그 선단부에 포함하며, 바르는 콘택이 하우징에 완전히 조립된 후에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도록 간섭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되어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콘택 보유부는 바깥쪽으로 뻗쳐지는 랜스(lance) 또는대안적으로 융기부를 더 포함하며, 이것이 하우징 채널의 협동부분에 수용되어 통로의 대향하는 측벽에 대하여 콘택을 안정시켜 줌으로써 하우징에서 콘택이 안정되도록 해준다. 대안적으로, 콘택의 보디가 중간 콘택보디의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랜스와 동일한 방향으로 뻗쳐지는 융기부를 포함한다. 융기부는 콘택보디가 콘택-수용 통로에서 통로의 결합면 단부 근처의 측벽에 대항하여 위치하게 해준다. 콘택-수용 통로의 측벽에 대항하여 콘택을 단단히 유지시켜 줌으로써 결합면에서 콘택의 제1 접속부가 확실하게 정렬된다. 또한, 보디에서 융기부를 이용하면 통로의 폭이 콘택의 두께 보다 크게되어 제1 접속부가 통로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그 위에 덮혀진 도금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판의 관통구멍으로 눌려져 끼워질 수 있어서 터미날 리드를 납땜할 필요가 없는 전력 또는 그라운드 콘택을 제공함으로써 커넥터의 제조 및 조립이 쉬워지는 장점을 갖는다.
전력 콘택은 편평한 재료로부터 스탬프되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의 콘택 및 커넥터는 또한 결합 인터페이스 및 회로기판 트레이스에 다수의 콘택선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결합용 블레이드가 회로기판위에 걸쳐지게 하는 한편 콘택을 하우징에 고정적으로 위치시켜 준다.
본 발명은 또한 자체-분극형 전기 콘택에 관한 것이다. 전기 콘택은 대향 단부에 제1 및 제2 접속부를 가지는 보디부를 포함하며, 콘택의 제1 및 제2 접속부중 하나를 구비하는 보디부의 공통단부로부터 뻗쳐지는 적어도 3개의 레그를 포함한다. 적어도 3개의 레그중 첫번째 것은 제2 레그로부터 선정된 제1 거리 만큼 떨어져있고 제2 레그는 제3 레그로부터 선정된 제2 거리 만큼 떨어져있으며,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 다른 것이다. 적어도 3개의 레그는 분극된 장치에서 회로기판의 각각의 관통구멍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분극된 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이 배치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은 자체-분극 콘택이나 다른 다양한 콘택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커넥터 어셈블리는 기판상에 정확히 정렬시키기 위한 다른 분극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자체-분극형 전기 콘택은 다수의 콘택테일(contact tail)을 가진 전력 및 그라운드 콘택과 함께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콘택은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커넥터를 위한 다른 분극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겠다.
제 1 도 내지 8 도를 보면, 전력 모듈(2) 형태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블레이드 커넥터(4)와 리셉터클 커넥터(6)를 구비한다. 블레이드 커넥터(4)는 보디(10)를 가진 하우징(8)을 구비하며 보디(10)와 결합면(14)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덮개(12)를 구비한다. 제 7 도 및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디(10)는 중앙 콘택수용 동공(16)을 형성한다. 보디(10)는 제 1 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두 개의 외부 콘택수용 동공(17)을 가지며, 동공(17)은 동공(16)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동공(16, 17)은 동일한 것이므로, 여기서는 동공(16)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동공(16)은 후방 콘택수용 개방측(18)과, 거기에 인접한 측방향 개방측(20)을 갖는다. 보디(10)는 개방측(20) 반대쪽의 단부벽(22)과 측면(20)에 인접한 대향 측벽(24)을 갖는다. 동공(16)은 대향하는 측벽(25)을 갖는데, 하나만이 도시되었다(제 7 도 및 8 도). 이들은 보디(10)의 전방 기본벽(27)으로부터 후방으로 동공(16)과 콘택보유 리브(26)로 돌출한다. 제 7 도 및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덮개(12)는 (제 7 도 및 8 도에서 볼 수 있듯이)오른쪽으로 돌출하여 동공(16)의 개방측(20)을 지나서 보디(10)와 협동하여 리세스(29)를 형성한다. 각각의 동공(16, 17)은 전방으로 덮개(12)의 내부동공(28)으로 개방되어 있다. 덮개(12)는 대향 측벽(30)과 대향 측벽(32)을 가지며, 이들은 그 전방단부에 가이드 챔퍼(chamfer)(34, 36)를 각각 갖는다.
제 5 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사실상 단일평면의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38)은 중앙 동공(16)에 고정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블레이드 콘택(38)은 후방 블레이드 지지플레이트(40)와 전이 네크(44)에 의해 블레이드(40)에 연결된 전방돌출 콘택 블레이드(42)를 구비한다. 플레이트(40)는 직선의 배면엣지(46)를 가지며, 그로부터 직각으로 측방엣지(48)가 뻗쳐진다. 플레이트(40)의 측방엣지(50)로부터 엣지(48)의 반대쪽으로 유연성 콘택테일(52)이 뻗쳐진다. 플레이트(40)는 엣지(48) 근처에 래칭걸쇠(latching tongue)(54)를 가지며, 전이 네크(44)는 걸쇠(54)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유 보스(56)를 갖는다. 플레이트(40)의 전방엣지(6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보유 러그(58)는 전이 네크(44)와 마주하는 보유 바브(62)를 갖는다. 콘택 블레이드(42)는 블레이드(42)의 전방엣지(6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태브(64)를 갖는다. 태브(64)의 너비는 블레이드(42) 전체 너비의 약 3분의 1 이다. 제 7 도 및 8 도에서 알 수 있듯이,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38)은 동공(16)의 개방측(18)을 통해 삽입되고 태브(64)는 보스(56)가 근처의 측벽(25)에 대해 눌려지도록 안내되며, 래칭걸쇠(54)가 측벽(25)의 숄더(비도시)와 맞물리고 바브(62)가 보유 리브(26)에 물려지며, 블레이드 콘택(38)은 동공(16)에 고정되고 콘택테일(52)이 동공(16)의 개방측(20)으로부터 리세스(29)로 돌출하며 콘택 블레이드(42)가 덮개(12)의 동공(28)으로 전방쪽으로 돌출한다. 커넥터(4)는 한 쌍의 전력 블레이드 콘택(68)을 더 구비하며, 이중 하나가 제 6 도에 도시되어 있다. 콘택(38)의 대응하는 부분과 동일한 콘택(68)의 부분에는 콘택(38)에서와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져있다. 콘택(68)의 콘택 블레이드(70)는 태브(64)가 없이 직선의 전방엣지(71)를 갖는다는 점에서 각각의 콘택(68)은 콘택(38)과 상이하다. 각각의 전력 블레이드 콘택(68)은 그라운드 블레이드 콘택(38)이 그 동공(16)에 보유되고 방향설정된 것과 동일한 방법 및 방향으로 각각의 동공(17)에 보유된다. 그러므로, 콘택 블레이드(70)는 덮개(12)의 동공(28)으로 전방쪽으로 돌출하며 각각의 콘택(68)의 콘택테일(52)은 그라운드 콘택(38)의 콘택테일과 평행한 관계로 하우징 보디(10)로부터 돌출한다.
전술한 바와같이 콘택(38, 68)이 하우징(8)에 배치되면, 커넥터(4)가 제1 회로기판(CB1)의 엣지에 장착되는데, 여기서 기판(CB1)은 리세스(29)에 위치하고 그라운드 콘택(38)의 콘택테일(52)이 기판(CB1)의 도금된 구멍을 통해 뻗쳐지며, 유연한 부분, 솔더(땜납) 또는 공지된 다른 수단을 통하여 그라운드 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력 콘택(68)의 콘택테일(52)은 기판(CB1)의 도금된 관통구멍을 통해 뻗쳐지고 전력 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리셉터클 커넥터(6)는 커넥터(4)의 덮개(12)에 결합하여 수용되는 절연성 하우징(72)을 구비한다. 하우징(72)은 결합면(74)과, 그 반대쪽의 콘택 수용면(76)과, 대향하는 측벽(78)과, 대향하는 단부벽(80)을 갖는다. 하우징(72)에는 중앙 콘택수용 동공(82)과 그 양측면에 측방향 콘택수용 동공(84)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동공(82, 84)은 그 전방단부에서 결합면(74)의 콘택 블레이드 안내슬롯(86) 쪽으로 개방되며, 그 후방단부에서 콘택수용면(76) 쪽으로 개방된다. 중앙 동공(82)은 간막이(88)에 의해 동공(84)과 분리된다. 제 7 도 및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의 단부벽(80)은 면(74, 76) 사이에서 뻗쳐지는 수직슬롯(98)과, 면(76) 근처의 챔퍼형 외부엣지 (100)를 갖는다.
각각의 동공(82, 84)에는 제 5 도 및 6 도에 잘 도시된 동일한 리셉터클 콘택(96)이 있다. 각각의 콘택(96)은 후방의 길다란 베이스(102)를 구비하며 그 각각의 단부에는 보유 보스(104)를 갖는다. 베이스(102)의 배면엣지에는 콘택(38, 68)의 콘택테일(52)과 동일한 유연성 콘택테일(106)이 달려있다. 베이스(102)의 전방엣지에는 전방으로 뻗쳐지는 스프링 암(112) 위쪽으로 안쪽으로 휘어진 완만한 경사의 횡단 접촉면(110)을 가진 콘택 스프링(108)이 서있다. 접촉면(110)은 태브(64)와 사실상 같은 너비를 갖는 것이다. 다른 콘택 스프링(114)은 콘택 스프링(108)의 양 측면에서 베이스(102)의 전방 엣지로부터 각각 뻗쳐지는 한 쌍의 스프링 암(116)을 구비하며, 이들은 접촉면(110)의 약간 전방으로 떨어져있는 안쪽으로 휘어진 완만한 경사의 횡단 접촉면(120)을 가지는 스트랩(118)에 의해 그 전방단부에서 결합한다. 접촉면(120)은 콘택 블레이드(42)와 사실상 같은 너비를 갖는 것이다. 각각의 스프링 암(116)은 베이스(102) 근처에 구부러진 부분(122)을 가져서 암(116)을 콘택 스프링(108)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옵셋(offset)하며, 콘택 스프링(108 및 114) 사이에서 베이스(102) 근처에 개구(124)가 제공된다. 콘택 스프링(108, 114)은 전방방향으로 약간 모여진다. 각각의 콘택(96)은 콘택 수용면(76)을 통해 하우징(72)의 동공으로 삽입되며, 베이스(102)의 단말부는 슬롯(98)의 배면 단말부에 수용되고 보스(104)는 슬롯 벽에 맞물려진다. 콘택(96)은 그 동공의 위치에 일시적으로 보유되는 한편, 콘택테일(106)은 제2 회로기판(CB2)의 도금된 관통구멍으로 삽입되어 각각의 도선(비도시)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동공(82)에 있는 리셉터클 콘택의 콘택테일은 기판(CB2) 상의 그라운드 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반면, 동공(84)에 있는 콘택(92)의 콘택테일은 기판(CB2)의 각각의 전력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제 제 1 도 내지 4 도 및 제 7 도, 8 도를 참조하여 커넥터(4 및 6)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겠다. 제 1 도 및 7 도에 도시된 커넥터(4, 6)의 위치에서, 각각의 블레이드(42, 70)는 각각의 리셉터클 콘택(96)의 접촉면(110, 120)과 정렬된다. 커넥터(4)가 제 2 도의 위치로 전진하면, 각 블레이드(70)의 전방엣지(71)는 각각의 동공(84)의 안내슬롯(86)으로 들어가며, 블레이드(42)의 전방엣지(66)는 동공(82)의 안내슬롯(86)으로 들어간다. 그런데, 블레이드(62)의 엣지(66)로부터전방으로 돌출하는 태브(64)는 하우징(72)의 중앙 동공(82)에 있는 그라운드 리셉터클 콘택(96)의 두 접촉면(110, 120) 사이에 맞물린다. 그러므로 전력 모듈(2)의 그라운드 회로가 전력회로에 앞서 만들어지며, 이 때에 블레이드(70)는 전력 콘택(96)으로 부터 떨어져있다. 커넥터(4)가 제 3 도의 위치로 전진하면, 각각의 블레이드(42, 70)가 각각의 콘택(96)의 접촉면(110, 120) 사이를 통과하고, 모듈(2)의 전력회로가 만들어진다. 태브(64)는 동공(82)에 있는 그라운드 콘택(96)의 스프링 암(112, 116) 사이에 놓여진다. 제 4 도 및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커넥터(4)가 커넥터(6)와 완전히 결합되는 위치로 전진하여 커넥터(4)의 결합면(14)이 하우징(72)의 결합면(74)과 맞물리면, 블레이드(42, 70)의 전방엣지(66, 71)는 콘택(96)의 구부러진 부분(122) 근처에 놓여지고, 커넥터(6)의 하우징(72)은 덮개(12)의 동공(28)에 완전히 수용된다. 커넥터(4)가 제 3 도의 위치에서 제 4 도의 위치로 전진하면, 태브(64)는 동공(82)에 있는 콘택(96)의 콘택 스프링(108, 114) 사이의 개구(124)를 통과하여 콘택(96)의 베이스(102) 근처에 놓여진다. 커넥터(4, 6)가 결합상태에서 떨어지면, 커넥터(4)는 제 4 로, 3 도, 2 도, 1 도의 위치로 각각 빠져나온다. 제 2 도의 위치에서, 블레이드(42)는 블레이드(70)가 동공(84)의 콘택(96)으로부터 빠져나온 후 태브(64)를 통하여 동공(82)에 있는 콘택(96)의 접촉면(110, 120) 사이로 들어간다. 그러므로, 모듈(2)의 그라운드 회로는 모듈의 전력회로가 분해된 후에도 그대로 유지된다. 콘택 블레이드가 그 리셉터클 콘택에서 떨어지면 거의 동시에 전력 모듈은 충분한 전류부하를 갖지않게 된다.
블레이드가 접촉면(110, 120) 사이에 삽입될 때, 콘택(96)의 스프링암(112,116)은 제 2 도 및 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력적으로 떨어져 캐밍된다. 그런데, 접촉면(110, 120)이 결합방향으로 서로 옵셋되므로 블레이드 삽입력이 감소된다. 블레이드(70)는 돌출하는 태브를 갖지 않으므로, 동공(84)에 있는 콘택은 동공(82)의 콘택(96)과 동일할 필요가 없고 예를들면 튤립형의 통상적인 콘택으로 될 수 있다. 그러나, 제조에 있어 물품관리등의 편리성 때문에 모든 리셉터클 콘택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4, 6)는 전술한 것과 다르게 다수의 전력 및 그라운드 콘택을 갖고 다른 배열을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전력모듈 이외의 것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들어 전류전달 콘택은 전력 콘택이 아닌 신호 콘택일 수 있다.
콘택(38, 68, 96)은 점진적인 다이 스탬핑 및 형성 공정을 통하여 시트 금속으로부터 스탬프되며, 적어도 그 접촉면은 콘택의 사용분야에 따라 예를들어 금 또는 주석으로 도금된다. 리셉터클 콘택(96)의 경우에, 콘택 스프링(108, 114)은 형성 및 도금 공정의 요건에 따른 최소의 갭 만큼은 떨어져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블레이드와 리셉터클 콘택 사이에 충분한 작용력이 가해지는 경우 블레이드는 상기한 갭에 맞는 최대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그러나, 금속을 경제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블레이드 콘택이 스탬프되어질 금속의 두께는 상기한 최대 두께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경제성을 만족시키는 블레이드 콘택(38)의 다른 실시예에 관해 제 9 도 내지 1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여기서 전술한 콘택(38)의 대응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그 대응부분과 동일한 참조번호가 붙여졌다. 제 9 도 내지 14 도에도시된 블레이드 콘택(38')은 리셉터클 콘택(96)의 접촉면(110, 120) 사이를 통과하는 블레이드(42') 부분에 블레이드(42')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정도로 뻗쳐지고 블레이드(42')의 측방향으로 균일하게 떨어져있는 길다란 측방향으로 정렬된 융기된 영역(140, 142)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블레이드 콘택(38)과는 상이하다. 각각의 융기된 영역은 콘택 블레이드(42')의 전방엣지(66)로부터 후방에 있다. 융기된 영역(140, 144)은 영역(140, 144) 사이에 위치한 융기된 영역(142)과 반대쪽으로 블레이드(42')의 평면에서 돌출한다. 제 9 도 및 12 도는 태브(64)가 콘택 스프링(108, 114) 사이에 삽입되기 전의 리셉터클 콘택(96)을 도시하는 것으로, 접촉면(110, 120)이 상기한 최소의 갭을 이루고있다. 제 10 도 및 13 도는 태브(64)가 접촉면(110, 120)사이에 삽입된 것을 도시하며, 콘택 스프링(108, 114)은 탄력적으로 편향되어 태브(64)와 접촉면(110, 114) 사이에 적절한 법선방향 접촉력을 발생시킨다. 제 11 도 및 1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블레이드(42')가 리셉터클(96)에 삽입될 때, 융기된 영역(140, 142, 144)은 접촉면(110, 120)과 맞닿아 콘택 스프링(108, 114)의 탄력성 편향력을 더 크게하므로 태브(64')와 접촉면(110, 120) 사이에는 사실상 더 큰 법선방향 접촉력이 제공된다. 블레이드(38')의 삽입시, 융기된 영역(140, 144)은 스트랩의 단부 근처에서 접촉면(120)을 닦아주며 융기된 영역(142)은 접촉면(110)을 닦아준다. 융기된 영역(140, 142, 144)은 결합 방향으로 충분히 길다랗게 되어있어서 접촉면(110, 120)으로부터 오염물 또는 금속 산화물을 제거하도록 접촉면을 효과적으로 닦아준다. 블레이드 콘택(68)의 콘택 블레이드(70)에도 유사한 융기된 영역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레이드콘택(38')은 그 지지 플레이트(40)에 래칭걸쇠(54) 대신 보유 리브(146)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블레이드 콘택(38)과 다르다.
제 15 도는 자(予)기판(CB3)에 장착된 블레이드 커넥터(4)와 신호 리셉터클(5)의 배치 및 모(母)기판(CB4)에 장착된 리셉터클 커넥터(6) 및 헤더(7)의 상보적인 배치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또한 자기판(CB3) 상의 각각의 커넥터(4, 5)가 모기판(CB4) 상의 상보형 커넥터(6, 7)와 결합될 때 모듈을 정렬시켜 주는 안내 모듈(90, 92)이 도시되어 있다. 제 15 도는 또한 리셉터클(5)의 하우징(9)을 지나서 뻗쳐지는 블레이드 커넥터(4)의 하우징(8)과, 헤더(7)의 하우징(73) 보다 작은 커넥터(6)의 하우징(72)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8)의 선단엣지는 베벨형으로 만들어져서 각각의 커넥터가 결합될 때 하우징(73)의 모서리(75)에 하우징(8)이 걸리는 일을 최소화시켜 준다.
전술한 실시예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수정될 수 있다. 예를들어 각각의 커넥터에는 블레이드 콘택과 리셉터클 콘택이 모두 제공될 수 있다.
제 16 도 내지 23 도를 참고로 하여, 블레이드 커넥터(4)의 하우징(8)의 각각의 채널(16)내에 콘택(38)을 안정화시키는 장치들을 설명하겠다. 하우징(8)은 제 23 도에 도시된 커넥터(6)와 같은 상보형 전기 커넥터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결합면(14)과,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38)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조립면(15)과, 제 23 도에 도시된 회로기판(90)과 같은 상보형 전기제품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는데 적합한 제3 면(23)을 갖는다. 조립면(15)은 결합면(14)과 반대쪽에 있고 제3 면(23)은 결합면(14)에 직각으로 되어있다. 하우징(8)은 조립면(15)에서결합면(14)으로 뻗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수용통로(16)를 포함한다. 통로(16)는 제 2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3 면(23)과 조립면(15)으로 개방된 콘택-수용 슬룻(20)을 더 갖는다.
전기 콘택(38)은, 제 16 도, 18 도, 19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결합면(14)에 노출되어 상보형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맞물리기 위한 제1 접속부(42)와, 제1 접속부(42)와 직각을 이루고 전기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에 적합한 제2 접속부(52)와, 중간 보디부(35)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1 접속부(42)는 블레이드이고 제2 접속부(52)는 회로기판의 각각의 관통구멍에 늘려져 끼워질 수 있는 다수의 유연성 테일이다. 콘택테일의 유연성부분은 에이엠피 인코포레이티드(AMP Incorporated)로부터 입수가능한 ACTION PIN 설계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제 위치로 눌려져 끼워질 수 있다. 원한다면, 다른 방식의 눌려져 끼워지는 설계 또는 유연성 테일 설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솔더 테일도 사용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중간 보디부(35)는 콘택-수용 통로(16)내의 통로(16)의 결합면 단부 근처의 측벽(37)에 대하여 콘택(38)을 위치시켜주는 융기부(56)를 포함한다. 콘택-수용 통로(16)의 측벽(37)에 대해 콘택(38)을 확고하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결합면(14)에서 콘택(38)의 제1 접속부(42)의 정렬이 이루어진다. 또한, 보디부(35) 상의 융기부(56)를 이용하면 통로(16)의 너비가 콘택(38)의 두께 보다 크게 될 수 있어서 커넥터 조립시 제1 콘택부(42)가 통로(16)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도금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커넥터(38)는, 제2 접속부로부터 멀리 반대쪽에 있고 콘택(38)이 조립면(15)을 거쳐 통로(16)에 조립될 때 협동가능한 하우징부분(33)과 연관되어 있는 보유부 또는 암(53)을 더 포함한다. 협동가능한 하우징부분(33)은 제3 면(23)의 반대쪽에 있으며, 콘택-수용 통로(16)의 대응하는 하나와 통하는 각각의 콘택-보유 채널(16a)을 포함한다. 콘택보유 채널(16a)은 조립면(15)으로부터 결합면(14)을 향해 전방으로 하우징(8)에 뻗쳐진다. 각각의 보유채널(16a)는 콘택(38)의 두께에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너비를 가지며 채널(16a)은 콘택(38)의 보유부(53)를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다. 제 1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의 보유채널(16a)은 그 후방 단부(40)에 조립면(15)으로부터 결합면(14)쪽으로 또한 콘택-수용 통로(16)의 인접 측벽(37)으로 뻗쳐지는 짧은 콘택위치설정 채널(21)을 더 포함한다. 채널(21)은 이하 상술되는 바와같이 콘택(38)의 협동부분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콘택(38)의 콘택 보유부(53)는 그 선단부(58)에서 하우징 채널(16a)의 전방 단부(16b)에 수용가능한 바브(62)를 가지며, 바브(62)는 콘택(38)이 하우징(8)에 조립될 때 전방 채널단부(16b)와 간섭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이다. 바브(62)는 콘택(38)이 콘택-수용 통로(16)에 완전히 조립(어셈블)된 후에 콘택(38)이 후방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해준다. 제 16 도 및 1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택(38)이 콘택-수용 통로(16)에 삽입될 때, 하우징(8)의 후방부 보다 넓은 블레이드(42)로써 도시된 제1 접속부는 슬롯(20)을 통과하여 전방 하우징부 또는 덮개(12)로 들어간다. 실시예에서 4개의 유연성 콘택부 또는 테일로 도시된 제2 접속부(52)는 콘택이 하우징내로 이동함에 따라 각각의 슬롯(20)에 수용된다. 보유부(53)는 콘택 정지면(60)이 하우징(8)내의 하우징 정지면(31)과 맞닿을 때까지 채널(16a)로 들어간다. 완전히 삽입되면, 보유부(53)의 선단부(58)는 전방 채널부(16b)에 배치되고 융기부(56)가 콘택보디(35)를 측벽(37)에 대하여서 유지시킨다. 제 16 도 및 17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유 바브(62)가 슬롯부분(16b)의 내부영역에 맞물려서 콘택(38)을 콘택-수용부(16)에 고정시키고 콘택(38)이 하우징(8)으로부터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준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콘택(38)의 보유부(53)는 바깥쪽으로 향한 랜스(lance)(54)를 더 포함하며, 랜스는 융기부(56)와 동일한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쳐지며 콘택-위치설정 채널부(21)에 수용된다. 콘택-위치설정 채널(21)은 제 20 도 내지 2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콘택(38)의 바깥쪽으로 뻗쳐지는 랜스(54)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다. 랜스(21)와 융기부(56)는 콘택(38)의 평면이 통로(16)의 내부벽(37)에 단단히 보유되게 하여, 콘택(38)을 통로(16)내에 단단히 위치시키고 콘택(38)이 통로(16)에서 측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므로써, 제 23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 접속부(42)를 상보형 커넥터(6)의 상보형 콘택(96)과 결합하도록 정렬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제 20 도에 도시된 것처럼, 콘택(38)은 각각의 콘택-수용 통로(16)에 보유되고 위치하고, 제2 접속부(52)를 가진 보유부(53)에 의해 콘택-보유 채널(16a)에 사실상 "매달려"지며, 다수의 콘택테일은 슬롯(20)을 통해 하우징(8)의 바깥쪽으로 뻗쳐진다.
제 20 도는 3개의 콘택(38)을 수용하는 커넥터의 조립면을 보여주는데, 하나의 콘택-수용 통로(16)에는 하나의 콘택(38)이 배치되어 있다. 제 21 도 및 22 도는 채널(16a)과, 콘택-위치설정 채널(21)을 도시하며, 채널(16a)에 있는 콘택-보유부(58) 및 콘택-위치 설정 채널(21)에 있는 랜스(54)의 위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는 하우징(8)에서 콘택(38)의 위치를 안정화하도록 콘택-수용 통로(16)의 측벽(37)에 대해 힘이 가해지는 콘택(38)이 더 도시되어 있다.
제 23 도는 커넥터(4)와 하우징(8)에 고정된 하나의 콘택(38)을 보여주는 단면도인데, 여기에는 제2 접속부(52)의 4개의 콘택테일이 회로기판(90)의 각각의 관통구멍(92)에 맞물려져 있다. 제 23 도에서 알 수 있듯이, 하우징(8)의 전방부는 결합용 커넥터(6)를 수용하기 위한 덮개(12)를 형성하며, 덮개(12)의 한 부분은 회로기판(90)을 지나서 아래로 뻗쳐진다. 결합용 커넥터(6)는 다수의 콘택테일을 거쳐서 회로기판(250)에 장착된다.
제 2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의 대안적인 실시예(438)를 도시한 것으로, 여기서 제2 접속부(452)는 하우징(8)에 조립시 콘택-수용 슬롯(20)으로 수용되는 튜브형 부재이다. 콘택(438)은 콘택보디(35) 상의 융기부(56)와, 보유부 상의 바브(462) 및 바깥쪽으로 향한 융기부(454)를 포함하며, 이들은 각각 융기부(56), 바브(62), 랜스(54)와 같은 방법으로 하우징 통로(16) 및 채널(16a)에 수용되며,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콘택(438)의 제1 접속부(442)를 안정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전력, 그라운드 또는 신호를 처리할 때 사용하기에 적합한 타입의 리셉터클 콘택(9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겠다. 자체-분극장치가 다른 구성의 콘택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 5 도, 6 도, 25 도의 전기 콘택(96)은 대향 단부에 제1 및 제2 접속부(106, 115)를 가진 보디부(102)를 포함한다. 보디부(102)는 대향하는제1 및 제2 주표면(101, 103)과 엣지(105a, 105b, 105c, 105d)를 갖는다. 제1 접속부(106)는 보디부(102)의 엣지(105a)로부터 뻗쳐지는 다수의 콘택레그(132, 134, 136, 138)를 포함한다. 이러한 어레이의 콘택레그중 제1 레그(132)는 제2 레그(134)로부터 제1 선정거리(d1)만큼 떨어져있다. 제2 레그(134)는 제3 레그(136)로부터 제2 선정거리(d2) 만큼 떨어져있고, 제3 레그와 제4 레그(136, 138)는 제3 거리(d3) 만큼 떨어져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와 다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거리(d2)는 (d3)와 동일한데, 콘택레그가 모두 균일하게 떨어져있지 않고 콘택레그와 평행한 축에 대해 비대칭적인 경우에는 그럴 필요가 없다. 제1, 제2, 제3, 제4 레그(132, 134, 136, 138)는 회로기판(150) 상의 대응하는 제1, 제2, 제3, 제4 관통구멍(152, 154, 156, 158)에 각각 수용되기에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설명목적상, 제2 접속부는 제 7 도 및 8 도에 도시된 블레이드 콘택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스프링 암(116, 112)의 배열로 도시되어 있다. 제2 접속부가 상기한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콘택은 원하는 스프링 특성을 가진 인청동이나 다른 적절한 재질의 금속의 편평한 스트립으로부터 스탬프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실상 편평한 부재인 콘택(96)은 회로기판에서 상이한 패턴을 위한 상이한 분극배열을 제공하도록 하우징 배열에 있어 쉽게 반전될 수 있다.
제 26 도 및 27 도는 결합면(74)과, 장착면(76)과, 전기 콘택(96)을 수용하는 콘택수용동공(83)을 가진 하우징(72)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6)를 도시한다. 상기 도면은 콘택(96)이 분극된 두 방향으로 있는 각각의 회로기판(150, 250)에 장착된 커넥터 어셈블리(6)를 보여준다. 제 26 도는 어셈블리가 기판(150)에 장착된 제1 방향의 전기 콘택(96)을 도시한 것으로, 제1 터미날 레그(132)는 관통구멍(152)에 배치되고, 제2, 제3, 제4 콘택 레그(134, 136, 138)은 각각 관통구멍(154, 156, 158)에 배치되어 있다. 제 27 도에서, 도시된 콘택 터미날(96)은 회로기판(250)으로 향해있으며, 제1 터미날 레그(132)는 관통구멍(252)에 배치되고, 제2, 제3, 제4 터미날 레그(134, 136, 138)는 각각 관통구멍(254, 256, 258)에 배치된다.
제 28 도는 회로기판(150)으로부터 분리된 전력 리셉터클 커넥터(6)를 도시한다. 커넥터(6)는 각각의 동공(83)에 배치된 두 개의 콘택(96)과 하우징(72)으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콘택(96)을 가지며 이들은 회로기판(150)의 각각의 관통구멍에 정렬된다. 상기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세 개의 콘택(96), 특히 세 개의 동일한 콘택의 각각의 제1 레그(132)는 특유한 방식으로 커넥터(6)를 방향설정시켜 커넥터가 회로기판상에 적절하게 위치하게 해준다.
제 29 도는 하나의 콘택(96)과 다수의 신호콘택(370)을 가진 커넥터 어셈블리의 대안적 실시예(6')를 도시한다. 리셉터클 커넥터(6')는 결합면(274)과, 장착면(276)과, 터미날(96)을 수용하는 동공(283)과, 각각의 콘택(370)을 수용하는 다수의 동공(383)을 가진 하우징(172)을 포함한다. 회로기판(350)은 분극된 방향으로 콘택(96)의 각각의 콘택 레그(132, 134, 136, 138)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구멍(352, 354, 356, 358)의 컬럼과, 핀 터미날(370)의 어레이를 수용하기 위한 신호 관통구멍(372)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제 30 도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콘택의 대안적인 실시예(296)를 도시한다. 이 콘택은 제1 및 제2 접속부(206, 215)를 가진 보디(202)를 포함하며, 세 개의 레그(232, 234, 236)가 보디(202)의 공통엣지(205a)로부터 뻗쳐져있다. 제1 레그(232)는 제2 레그(234)로부터 거리(d1') 만큼 떨어져있고 제2 레그는 제3 레그(236)로부터 거리(d2') 만큼 떨어져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콘택 터미날은 자체-분극 특성을 갖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분극장치가 필요없다.
제 1 도는 블레이드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는 전력모듈 형태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 정면도로써, 블레이드 커넥터는 그 콘택 블레이드가 드러나도록 부분적으로 생략되어 도시되고 리셉터클 커넥터는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2 도 내지 4 도는 블레이드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결합시키는 각각의 단계를 보여주며 블레이드 커넥터는 분해된 형태로 도시된 제 1 도와 유사한 도면.
제 5 도는 커넥터의 결합용 그라운드 콘택의 분해 사시도.
제 6 도는 커넥터의 결합용 전력 콘택의 분해 사시도.
제 7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전력 모듈을 직각으로 자른 단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써, 결합된 상태의 커넥터를 보여주며 제 7 도 보다 스케일을 크게하여 도시한 도면.
제 9 도 내지 11 도는 결합용 그라운드 콘택의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써, 그라운드 콘택의 각각의 결합단계를 보여주는 도면.
제 12 도 내지 14 도는 각각 제 9 도 내지 11 도에 도시된 콘택의 단부도.
제 15 도는 모기판에 장착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모듈과 신호모듈의 배열 및 대응하는 상보적인 자기판 상의 전력 및 신호모듈의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
제 16 도는 하우징의 콘택-수용 통로에 배치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택을 가진 커넥터의 단면도.
제 17 도는 보유장치 부분을 보여주는 제 16 도의 확대분해도.
제 18 도는 콘택이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제 16 도와 유사한 도면.
제 19 도는 제 16 도의 콘택의 사시도.
제 20 도는 제 16 도 커넥터의 조립면의 평면도.
제 21 도는 제 16 도의 선 6-6을 따른 단면도.
제 22 도는 제 21 도의 분해도.
제 23 도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상보형 커넥터와 결합되어 있는 결합된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
제 2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택의 대안적 실시예의 사시도.
제 25 도는 회로기판에서 분리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택의 사시도.
제 26 도는 제 25 도의 콘택이 배치되어 있고 회로기판에 가능한 한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
제 27 도는 전기 콘택이 제2의 분극된 방향으로 있는 제 26 도와 유사한 도면.
제 28 도는 제 25 도의 다수의 콘택이 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
제 29 도는 제 25 도의 콘택 하나와 다수의 다른 콘택을 가진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
제 30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콘택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4 : 블레이드 커넥터 6 : 리셉터클 커넥터
8, 72 : 하우징 38, 68 : 블레이드 콘택
42, 70 : 콘택 블레이드 96 : 리셉터클 콘택
108, 114 : 콘택 스프링

Claims (10)

  1. 블레이드 콘택과 리셉터클 콘택을 포함하는 한 쌍의 결합용 전기 콘택으로서,
    상기 블레이드 콘택은 제 1 절연성 하우징에 보유케하기 위한 후방 블레이드 지지체, 상기 블레이드 지지체로부터 전방엣지까지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1 너비를 가진 콘택 블레이드, 및 콘택 블레이드의 상기 전방엣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상기 제1 너비보다 사실상 작은 제2 너비의 태브를 구비하며;
    상기 리셉터클 콘택은 제2 절연성 하우징에 보유케하기 위한 후방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제1 및 제2 콘택 스피링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콘택 스프링은 제1 횡단 접촉면을 갖고 상기 제2 콘택 스프링은 상기 제1 너비보다 사실상 넓은 너비의 제2 횡단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접촉면은 먼저 태브에 접촉력을 인가해주고 콘택들이 결합됨에 따라 콘택 블레이드에 접촉력을 인가해주며, 상기 제2 콘택 스프링은 태브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전기 콘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콘택 스프링의 접촉면의 너비는 태브의 너비와 사실상 동일하며, 제2 콘택 스프링의 접촉면의 너비는 콘택 블레이드의 너비와 사실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전기 콘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태브는 콘택 블레이드의 전방엣지로부터 중앙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전기 콘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콘택 스프링은 제1 콘택 스프링의 대향 측면에서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는 한 쌍의 스프링 암,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링 암을 연결시키는 스트랩을 구비하며, 상기 스트랩은 제1 콘택 스프링 쪽으로 휘어져 연속적인 제2 접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전기 콘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블레이드에는 리셉터클 콘택의 콘택 스프링의 접촉면에 맞닿도록 콘택 블레이드의 길이방향으로 뻗쳐지고 콘택 블레이드의 양 평면에서 돌출하는 융기된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용 전기 콘택.
  6.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반대쪽에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전기 콘택을 수용하기 위한 조립면과, 상기 결합면과 직각으로 있으며 상보형 전기제품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한 제3 면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조립면으로부터 상기 결합면으로 뻗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콘택-수용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통로중 연관된 하나에 배치되는 전기 콘택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콘택은 상기 결합면에서 노출된 제1 접속부와, 상기 제1 접속부와 직각으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상기 제3 면으로부터 뻗쳐져서 상기 전기제품과 전기적 접속을 이루기 위한 제2 접속부를 갖는 직각형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수용 통로는 상기 제3 면과 상기 조립면으로 개방된 콘택-수용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은 상기 제2 접속부의 반대쪽 먼 곳에 있고 협동가능한 하우징 부분과 연관되어 있는 보유부를 포함하며;
    상기 협동가능한 하우징 부분은 상기 제3 면과 반대쪽에 있으며, 상기 조립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상기 결합면 쪽으로 뻗쳐지고 상기 슬롯과 통해있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은 상기 콘택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조립면에 수용될 때 상기 보유부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이며;
    상기 콘택 보유부는 상기 채널의 전방단부에서 수용가능한 바브를 그 선단부에 포함하며, 상기 바브는 상기 콘택이 상기 하우징에 완전히 조립된 후에 상기 콘택이 후방으로 움직이는 것을 막아주도록 간섭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크기로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은 두께를 가지며, 상기 콘택-수용 통로는 상기 콘택의 두께 보다 큰 너비를 가지며, 상기 콘택은 상기 제1 접속부를 상기 결합면에서 정렬시켜 보유케하도록 간섭적으로 끼워지는 상태로 상기 콘택-수용 통로의 전방단부에서 수용되는 바깥쪽으로 향한 돌출부를 갖는 중간 보디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6 항 또는 7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의 상기 콘택 보유부는 표면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한 랜스를 포함하며, 상기 랜스는 상기 하우징의 콘택-위치설정 채널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1 및 제2 접속부를 대향 단부에 가지는 보디부와; 상기 보디부의 공통단부로부터 뻗쳐지는 적어도 3개의 레그를 포함하는 전기 콘택에서, 상기 레그는 상기 콘택의 상기 제1 및 제2 접속부중 하나를 구비하며, 상기 콘택은
    상기 적어도 3개의 레그중 제1 레그가 제2 레그로부터 선정된 제1 거리 만큼 떨어져 있고, 제2 레그는 제3 레그로부터 선정된 제2 거리 만큼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거리와 상기 제2 거리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적어도 3개의 레그는 분극된 배열로 회로기판의 각각의 관통구멍에 수용되기에 적합하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택.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콘택.
KR1019950049292A 1994-12-15 1995-12-13 결합용전기콘택및이를포함하는전기커넥터 KR1004061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56,620 US5582519A (en) 1994-12-15 1994-12-15 Make-first-break-last ground connections
US08/356,620 1994-12-15
US41217795A 1995-03-28 1995-03-28
US41204495A 1995-03-28 1995-03-28
US08/412,044 1995-03-28
US08/412,177 1995-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70A KR960027070A (ko) 1996-07-22
KR100406182B1 true KR100406182B1 (ko) 2004-03-18

Family

ID=27408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292A KR100406182B1 (ko) 1994-12-15 1995-12-13 결합용전기콘택및이를포함하는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717468B1 (ko)
JP (1) JP3647951B2 (ko)
KR (1) KR100406182B1 (ko)
DE (1) DE6952513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0321A (en) * 1997-02-07 1999-11-09 Teradyne, Inc. High spe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DE19726856C1 (de) * 1997-06-24 1998-10-08 Siemens Ag Flachstecker für elektrische Steckverbindungen
KR100496165B1 (ko) * 1997-09-04 2005-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션트콘넥터지그
DE60005956T2 (de) * 1999-06-29 2004-08-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aint Paul Verbinder fuer stromversorgung mit fuehrungsanordnung
JP2002063960A (ja) * 2000-08-16 2002-02-28 Taiko Denki Co Ltd 大電流接続端子と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US6709298B2 (en) * 2001-04-06 2004-03-23 Litton Systems, Inc. Insulator coring and contact configuration to prevent pin stubbing in the throat of tuning fork socket connector contacts
US6890214B2 (en) * 2002-08-21 2005-05-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sequenced contacts from single lead frame
DE102005010704B4 (de) * 2005-03-09 2011-05-12 Erni Electronics Gmbh Federbuchse für Miniatur-Steckverbinder
JP4814730B2 (ja) * 2006-08-30 2011-11-16 株式会社マックエイト プリント基板間の接続具
JP4960324B2 (ja) * 2008-09-24 2012-06-27 ケル株式会社 嵌合型コネクタ
JP5586192B2 (ja) * 2009-09-03 2014-09-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ターミナル
US20110059652A1 (en) * 2009-09-10 2011-03-10 Amphenol Corporation Multi-pathway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DE102010006483A1 (de) * 2010-02-02 2011-08-04 Wilo Se, 44263 Anschlusselement mit Messerkontakt und Pressfit-Kontakt
CN102157825B (zh) * 2011-01-13 2013-03-20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电源孔接触件及其接触片以及电连接器
DE102011016299A1 (de) * 2011-04-07 2012-10-11 Yamaichi Electronics Deutschland Gmbh Testkontaktor für eine Leiterplatte, Verwendung und Verfahren zum Prüfen
JP5466679B2 (ja) * 2011-09-13 2014-04-09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の電子回路装置
JP2014147311A (ja) * 2013-01-31 2014-08-21 Makita Corp 操作棹を有する作業機
US11177599B2 (en) * 2019-01-28 2021-11-16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Power connector for a bus bar
JP6990203B2 (ja) * 2019-03-07 2022-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端子及び該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JP7321878B2 (ja) * 2019-10-15 2023-08-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821A (en) * 1978-05-15 1979-11-27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US4384754A (en) * 1980-11-17 1983-05-24 Amp Incorporated Multi-plane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374648A (fr) * 1963-10-31 1964-10-09 Pirelli élément de contrat électrique
US5169324A (en) * 1986-11-18 1992-12-08 Lemke Timothy A Plug terminator having a grounding member
US5104329A (en) * 1990-09-21 1992-04-14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116230A (en) * 1991-04-09 1992-05-26 Molex Incorporated Coaxial cable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5821A (en) * 1978-05-15 1979-11-27 Teradyne, Inc. Electrical connector
US4384754A (en) * 1980-11-17 1983-05-24 Amp Incorporated Multi-plane conn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5138T2 (de) 2002-08-22
EP0717468A3 (en) 1998-01-28
JP3647951B2 (ja) 2005-05-18
DE69525138D1 (de) 2002-03-14
JPH08255658A (ja) 1996-10-01
EP0717468B1 (en) 2002-01-23
KR960027070A (ko) 1996-07-22
EP0717468A2 (en)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182B1 (ko) 결합용전기콘택및이를포함하는전기커넥터
US5582519A (en) Make-first-break-last ground connections
US5383792A (en) Insertable latch means for use in an electrical connector
KR0127309Y1 (ko) 래치 클립이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커넥터
EP1026784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257948A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66739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bilized contact
US511223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retention means
US6296496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to a printed circuit board
KR970004159B1 (ko) 표면 장착 전기 접속기
US5080611A (en) Boardlock for common-hole double-sided mounting
US621024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JP2835563B2 (ja) プリント回路板用のエッジコネクタ
US707767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board hold down
EP0347097A1 (e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4023879A (en) Adjust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replaceable contact sub-assembly and variable strain relief
US6270379B1 (en) Connector with securely retained contacts
US7473115B2 (en) Memory card connector with improved switch structure
JPH0613117A (ja) 電気コネクタ
US5603620A (en) Integrated printed circuit connector and ground clip assembly
KR0152521B1 (ko) 전기 커넥터 시스템
US803386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board lock having elastic portion abutting against optical drive disk
JP2869027B2 (ja) 接続ピンのアラインメント装置及びこれと電気コネクタとの組み合わせ
EP0856922B1 (en) Board straddl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20030082938A1 (en) Circuit 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ta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