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309Y1 - 래치 클립이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래치 클립이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커넥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309Y1
KR0127309Y1 KR2019940018192U KR19940018192U KR0127309Y1 KR 0127309 Y1 KR0127309 Y1 KR 0127309Y1 KR 2019940018192 U KR2019940018192 U KR 2019940018192U KR 19940018192 U KR19940018192 U KR 19940018192U KR 0127309 Y1 KR0127309 Y1 KR 01273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actuator
housing
mounting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865U (ko
Inventor
아끼라 아소
제이. 레오나드 러셀
엠. 사이멜 조오지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9500048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3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3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원에 개시된 전기 커넥터(10)은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에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는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긴 입구(14)를 구비하는 유전성 하우징(12)를 포함한다. 단자(18)은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적절한 도전체를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회로망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20)은 편평한 가요성 회로가 단자 수단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입구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긴 설부(22)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래치/장착 클립(24, 24', 44, 44', 50, 50', 60, 60')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보형으로 상호 맞물리는 래치 수단(36, 38)이 상기 클립의 제1 부분(26)과 액츄에이터 사이에 마련되어 액츄에이터를 하우징 상의 삽입 위치에 유지시킨다. 상의 클립의 제2 부분(28, 40, 40', 46, 46', 52, 52', 62, 62')은 인쇄 회로 기판과의 작동 결합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래치 클립이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커넥터
제1도는 본 고안의 개념을 구체화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의 2-2선에 따라 취한 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와 유사하지만, 편평한 가요성 회로가 커넥터 안에 삽입되어 있고 액츄에이터가 그 폐쇄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커넥터의 래치/장착 클립의 한가지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다른 형태의 래치/장착 클립을 구체화 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5도는 직각으로 표면 장착되도록 변형시킨 도 다른 형태의 래치/장착 클립을 구체화 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래치/장착 클립과 유사하지만 분극 포스트를 포함하고 있는 래치/장착 클립의 사시도.
제7도는 장착 펙을 구비하는 또 다른 형태의 래치/장착 클립을 구체화 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래치/장착 클립과 유사하지만 직각 장착 펙을 갖춘 래치/장착 클립의 사시도.
제9도는 분극 펙을 구비하는 또 다른 형태의 래치/장착 클립을 구체화 한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제10도는 제8도의 래치/장착 클립과 유사하지만 직각 분극 펙을 갖춘 래치/장착 클립의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전기 커넥터의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커넥터 12 : 유전성 하우징
14 : 입구 18 : 단자
20 : 액츄에이터 34 : 미늘
24, 24', 44, 44', 50, 50', 60, 60' : 래치/장착 클립
36 : 래치 보스 40 : 설부
42 : 슬롯 52, 52' : 장착 펙
54, 54' : 후크부 70 : 가요성 회로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편평한 가요성 회로 구성 부재를 인쇄 회로 기판에 상호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래치/장착 클립을 포함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이나 혹은 가요성 인쇄 회로(이하에서는 일반적으로 편평한 가요성 회로라 함)에 대한 삽입력이 영이 되게 하며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인쇄 기판에 상호 연결하는 여러 가지 전기 커넥터가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통상적으로 성형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되며 내부에 단자가 장착된 유전성 하우징과 상기 단자에 대해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안으로 삽입 가능한 가동형 액츄에이터를 이용한다.
지금까지 상기 커넥터의 유전성 하우징과 액츄에이터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삽입 위치 안에 유지시키기 위한 상보형으로 상호 맞물리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였다. 상기 커넥터가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과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분할 장착, 분극 또는 기타 구성 부재는 통상 상기 하우징 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표면 장착하기 위해 별도의 금속제 리터에너 또는 장착의 못이 상기 하우징에 추가된다. 장착 못은 일반적으로 상기 커넥터를 상기 기판에 고정시키기위해 상기 기판 상의 모형 납땜 패드에 납땜하기 위한 편평하거나 또는 평면인 부분을 갖는다. 상기 하우징에는 별도의 장착 펙과 별도의 분극 포스트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구성 부재를 사용하는데 따른 문제점들 중 하나는 상기 커넥터의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는 점이다.
장착 펙 및 또는 분극 포스트는 상기 액츄에이터용의 래치 수단과 유사하게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성 부재들은 아주 작고, 특히 고온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취약하다.
본 고안은 하우징에 장착된 특이한 래치/장착 클립을 포함하며 액츄에이터를 하우징에 걸리게 하고 또 상기 하우징을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고정하기 위한 가요성 장착 및/또는 분극 수단을 제공하는 이중 기능을 하는 상기한 특성을 가진 전기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편평한 가용성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커넥터 하우징 상에 특이한 래치/장착 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 커넥터는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긴 입구를 구비하는 유정성 하우징을 포함한다. 단자 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에 장착되어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적절한 도전체를 상기 인쇄회로 기판 상의 회로망과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액츄에이터는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가 상기 단자 수단과 맞물려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입구 안으로 삽입되는 긴 설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은, 액츄에이터가 하우징 상의 삽입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클립의 제1 부분과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상보형으로 서로 맞물리는 래치 수단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래치/장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립의 제2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과 작동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적어도 제1 부분은 가요성이고, 이에 따라 상기 상보형으로 상호 맞물리는 래치 수단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이동에 응하여 상기 액츄에이터를 그 삽입 위치에 자동으로 걸리게 하는 스냅-래치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래치/장착 클립은 금속으로 제조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상보형으로 상호 맞물리는 래치 수단은 상기 클립의 제1 부분을 지나 스냅 결합되고 액츄에이터가 완전히 삽입 위치에 있음을 소리로 알려주는 상기 액츄에이터상의 캠형 래치 보스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고안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인쇄 회로 기판과 작동결합시키기 위한 래치/장착 클립의 제2 부분을 설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부분은 대체로 평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 패드를 납땜하기 위한 장착 못을 제공한다. 상기 장착 못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체로 수직이거나 또는 대체로 평행을 이룬다. 분극 펙은 또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대체로 평면인 제2 부분 외부에 형성되어 인쇄 회로 기판의 적절한 분극구멍 안으로 삽입되기에 적합하다. 반면에,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제2 부분 전체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체로 수직이거나 또는 대체로 평행으로 돌출되는 분극 펙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제2 부분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적절한 장착구멍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보드로크(boardlock) 또는 장착 펙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펙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체로 수직이거나 또는 대체로 평행인 방향으로 또는 대체로 직각인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목적과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의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상세히 기재된다. 본고안은 그 목적 및 이점과 함께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하면 아주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우선 제1도를 상세히 참고하면, 본 고안인 인쇄 회로 기판에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상호 결합시키기 위하여 도면 부호 10으로 나타낸 전기 커넥터로 구체화 된다.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도면이 복잡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제1도에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된 종류의 커넥터들은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10)는 플라스틱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 유정성 하우징(12)을 포함한다. 상기 유전성 하우징은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단부가 삽입되는 긴 입구(14)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이 하우징의 양측 또는 양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귀(16)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접촉시키기 위하여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 접촉 아암(18b, 제2a도)을 구비하는 기부(18a)를 포함하는 다수의 구멍 관통 단자(18, 제2a도)를 장착한다. 제2 아암(18c)은 개부(18a)로부터 접촉아암(18b)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게 상기 접촉 아암(18b)으로부터 이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아암(18c)은 상기 단자(18)를 하우징(12) 안에 고정하기 위한 미늘(bard)(18d)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아암(18c)은 액츄에이터(20)를 상기 하우징(12) 안으로 삽입하는 중에 액츄에이터(20)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납땜 미부(tail portion)(18e)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적절한 구멍 안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기판 상의 적절한 회로망에 그리고/또는 상기 구멍 안에 납땜되도록 상기 아암(18b, 18c)으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열되어 연장된다. 표면을 공지된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의 구멍 안에 삽입시키기 보다는 인쇄 회로 기판 상의 회로망에 표면 장착시키기 위하여 단자의 미부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기 위하여 표면 장착 미부(18')를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액츄에이터(20)에는 하우징(12)의 입구(14) 안으로 삽입되는 긴 설부(22)가 마련된다. 상기 액츄에이터의 설부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상기 하우징 내에서 단자 수단과 맞물리도록 유지한다.
제2a도는 편평한 가요성 회로가 삽입되기 전인 개방 위치에 있는 커넥터(10)의 단면도이다. 제2b도는 상기와 동일한 단면도이지만 편평한 가요성 회로(70)가 상기 하우징(12)의 입구(14 )안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20)가 폐쇄 위치 또는 작동 위치에 있는 점이 다르다.
본 고안은 커넥터 하우징(12) 안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래치/장착 클립(24)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의 양호한 실시예에서는 2개의 래치/장착 클립(24)이 상기 하우징의 양 단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래치/장착클립(24) 각각은 상기 액츄에이터를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클립의 제1 부분(26)과 액츄에이터(20)사이에 상보형으로 서로 맞물리는 래치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클립은 상기 인쇄회로 기판과 작동 결합하도록 구성된 제2 부분(28)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도와 관련하여 제3도를 참고하면, 각각의 래치/장착 클립(24)은 기부 부분의 양 단부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제1 및 제2 부분(26, 28)을 구비하는 기부 부분(30)을 포함한다. 래치/장착 클립은 하우징(12)의 귀(16)내의 리셉터클 수단(32,제1도)에 화살표 A방향으로 삽입된다. 제3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 부분(30)은 하우징의 플라스틱 재료 안으로 눌려 들어가서 상기 클립을 상기 하우징 안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외향으로 돌출하는 미늘(34)을 구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래치/장착 클립(24)의 제1 부분(26)은 상기 액츄에이터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부분과 액츄에이터(20) 사이에 상보형으로 서로 맞물리는 래치 수단을 포함한다. 제1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0)에는 그 양 단부에 모서리를 낸 캠형 래치보스(36)와 돌출부(37)가 마련되어서, 상기 커넥터가 상기 하우징 안에 화살표 b 방향(제1도)으로 삽입되어 조립될 때에 클립의 제1 부분(26)과 맞물리게 되는 절결홈(38)을 한정한다. 상기 액츄에이터(20)가 그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래치 보스는 상기 액츄에이터가 완전히 삽입 위치에 이를 때까지 상기 클립의 제1 부분(26)에 대해 외향인 화살표 방향 c로 캠식으로 작동하고, 반면에 상기 제1 부분은 래치 결합하는 보스(36)에 대해 내향으로 다시 스냅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래치/장착 클립은 판금재로부터 압인 가공되어 성형되고, 상기 클립의 제1 부분이 스냅 작동을 하면 상기 액츄에이터가 완전히 삽입되었음을 지시하는 청각 신호를 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래치/장착 클립(24)의 제2 부분(28)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과 작동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형상에 있어서, 제2 부분(28)은 커넥터(10)를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못을 제공하도록 대체로 편평하거나 또는 평면이다. 즉,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평면인 제2 부분은 상기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모형 납땜 패드에 납땜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특히 하우징과 단자수단)가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제4도는 제1도 및 제3도와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것과 아주 유사한 래치/장착 클립(24')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0)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제1도 및 제3도의 상기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 제4도의 동일 구성 부재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가 부여된다.
특히, 제4도의 래치/장착 클립(24') 각각은 상기 커넥터용의 장착 못을 제공하는 제2 부분(28) 내에 U자형 슬롯(42)이 형성된 일체로 된 외팔보형 설부(40)를 구비한다. 상기 설부(40)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 내의 적절한 분극 구멍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분극 펙으로 사용된다. 일례로, 제4도에서 우측의 래치/장착 클립(24')의 설부(40)는 상기 클립의 제2 부분(28)의 평면 밖으로 굽혀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좌측 클립(24')의 설부(40)는 이 클립의 제2 부분(28)과 동일 평면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우측 클립의 설부(40)는 분극 포스트로 사용된다.
제5도는, 제1도 및 제4도의 클립(24, 24') 각각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동일 목적을 위하여 장착 못을 한정하는 평면 부분(46)을 갖춘 래치/장착클립(44)을 구비하는 직각인 표면 장착 형상의 커넥터(10)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5도에 도시된 래치/장착 클립(44)의 평면 부분(46)은 액츄에이터(20)의 삽입방향(제1도에서 화살표 B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또한 래치/장착 클립자체의 삽입 방향(제1도에서 화살표 A)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커넥터 하우징(12)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하부 프로파일 내의 상기 구조의 측면에 놓일 때 적합하다. 즉, 상기 기판 자체는 래치/장착 클립 및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다. 또한 상기 단자 구조는 제2a도 및 제2b도와 유사하기는 하지만 약간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 차이는 본 고안의 작동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아니다.
래치/장착 클립(44)의 평면 부분(46)은 액츄에이터(20)의 작동 방향 b(제1도)에 평행한 방향으로 비교적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평면 부분은 커넥터의 후방으로부터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향하여 연장되어 커넥터의 중량 중심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이 결과, 커넥터는, 전방으로 기울어져서 표면 장착 미부가 그 결합된 접촉 패드 밖으로 돌출되게 되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냉간 납땜 결합부를 야기하는 일이 없이, 납땜하기 전에 평면 부분(46) 상에 견고하게 놓인다.
제6도는 분극 펙(40')이 대체로 평행한 장착 못 부분(46') 밖으로 압인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5도의 클립(44)과 아주 유사하고 제4도의 래치/장착 클립(24') 과 관련하여 앞에서 설명한 분극 펙(40)과 구조 및 기능이 유사한 래치/장착 클립(44')을 도시하고 있다.
제7도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적절한 장착 구멍 안에 두 갈래로 분기된 장착 펙(52) 형상의 제2 부분을 구비하는 한 쌍의 래치/장착 클립(50)을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0)를 도시하는 것이다. 분기된 장착 펙 각각은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하여 인쇄 회로 기판의 양쪽 면 뒤에 스냅식으로 맞물리게 하기 위한 후크 부분(54)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자면, 래치/장착 클립 각각의 양 단부는 액츄에이터(20)를 래치식으로 맞물리게 하기 위한 절결부(38)를 구비하는 제1 부분(26)을 포함한다.
제8도는 제7도의 클립(50)과 아주 유사하지만 커넥터를 액츄에이터(20)의 삽입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하기 위하여 분기 장착펙(52')이 직각으로 연장되는 래치/장착 클립(50')을 도시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장착 펙(52')은 인쇄 회로 기판의 양면을 스냅식으로 맞물리게 하기 위한 후크부분(54')을 구비한다.
제9도는 전기 커넥터(1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는 인쇄 회로 기판의 적절한 분극 구멍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분극 포스트 또는 펙을 한정하는 제2 부분(62)을 구비하는 하나의 래치/장착 클립(6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자면, 다른 모든 래치/장착 클립과 마찬가지로 클립(60)은 액츄에이터(20)와의 스냅-래치 맞물림을 위한 제1 부분(26)을 구비한다. 분극은 래치/장착 클립의 기능들 중 한 기능으로서 요구되므로 제9도의 전기 커넥터의 다른 클립(24)은 분극 포스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끝으로, 제10도는 래치/장착 클립(60)이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분극 포스트 또는 펙(62')을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9도의 래치/장착 클립(60)과 유사한 다른 형태의 래치/장착 클립(60')을 도시하고 있다. 분극 포스트(62')은 삽입 방향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의 분극 구멍 안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래치/장착 클립(24: 제1도 및 제3도, 24': 제4도, 44: 제5도, 44': 제6도, 50: 제7도, 50': 제8도, 60:제9도, 60':제10도)은 모두가유사한 제1 부분(26)과, 액츄에이터(20)상의 캠평 래치 보스(36)와 결합되어 상기 클립의 제1 부분과 액츄에이터 사이에서 상보형으로 상호 맞물리는 래치 수단을 마련하여 액츄에이터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는 상기 액츄에이터를 커넥터 하우징(12) 안에 유지시키는 절결부(38)를 구비한다. 상기 모든 클립은 또한 인쇄 회로 기판과 작동 결합되는 추가적인 기능을 실행한다. 래치/장착 클립(24: 제1도 및 제3도, 24': 제4도, 44: 제5도, 44': 제6도)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모형 납땜 패드에 납땜하기 위한 대체로 평면인 장착 못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가 상기 기판에 고정된다. 래치/장착 클립(50: 제7도, 50': 제8도)은 모두는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에 견고하게 장착하기 위한 장착 펙을 제공한다. 래치/장착 클립(60:제9도, 60': 제10도)은 커넥터를 인쇄 회로 기판과 분극시키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다기능 래치/장착 클립을 제공함으로써, 공통적이거나 또는 만능인 커넥터 하우징(12) 및 액츄에이터(20)가 폭 넓게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아주 다양한 전기 커넥터용으로서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된다. 커넥터에 대해 필요한 수정은 래치/장착 클립의 형상을 변경시키는 것과 단자의 납땜 미부 형상을 변경시키는 것 뿐이다. 만능 하우징 및 액츄에이터를 성형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막대한 절약이 이루어진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이 별도의 탄성 래치 기구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 하우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료 보다 온도 및 습도에 덜 민감한 덜 탄성적인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본 명세서에 설명한 본 고안의 전기 커넥터에는 기본적으로 제1 하우징부(하우징(12))와 제2 하우징부(하우징(20)로 한정된 2개 부분의 유전성 하우징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부들을 상호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인쇄 회로 기판과의 작동 결합을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래치/장착 클립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공나은 본 고안의 정신 또는 중심되는 특징을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예 및 실시예들은 모두가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에 제시된 세부 사항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3)

  1.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수용하기 위한 긴 입구를 구비하는 유전성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편평한 가요성 회로의 도전체를 인쇄 회로 기판상의 회로망에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단자 수단과, 편평한 가요성 회로가 단자 수단에 맞물린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입구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긴 설부를 구비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편평한 가요성 회로를 인쇄 회로 기판에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액츄에이터를 하우징 상의 삽입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립의 제1부분과 액츄에이터 사이의 상보형으로 상호 맞물리는 래치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의 제2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과의 작동 결합이 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독립된 래치/장착 클립이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적어도 제1 부분은 가요성이고, 이에 따라 상기 상보형의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은 액츄에이터의 이동에 따라서 액츄에이터를 그 삽입 위치에 자동으로 래치시키는 스냅-래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은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상보형의 상호 결합 래치 수단은 클립의 제1 부분을 지나서 스냅 결합되면 액츄에이터의 완전한 삽입 위치를 청각적으로 지시하는 액츄에이터 상의 캠형 래치 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상기 제2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의 분극 구멍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분극 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상기 제2 부분은 인쇄 회로기판의 장착 구멍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장착 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펙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펙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이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기 래치/장착클립의 제2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장착 패드에 납땜하기 위하여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평면인 제2 부분은 상기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평면인 제2 부분 밖에 형성되며 인쇄 회로 기판의 분극 구멍 안으로 삽입하기 위한 분극 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평면인 제2 부분은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장착 클립의 평면인 제2 부분 밖에 형성되며 인쇄 회로 기판의 분극 구멍 안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분극 펙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 위에 각각의 래치/장착 클립을 장착하기 위한 리셉터클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클립이 액츄에이터의 삽입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의 삽입 방향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2019940018192U 1993-07-23 1994-07-22 래치 클립이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커넥터 KR012730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097,347 1993-07-23
US08/097,347 US5354214A (en) 1993-07-23 1993-07-23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mounting latch cli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865U KR950004865U (ko) 1995-02-18
KR0127309Y1 true KR0127309Y1 (ko) 1998-10-15

Family

ID=2226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192U KR0127309Y1 (ko) 1993-07-23 1994-07-22 래치 클립이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54214A (ko)
EP (1) EP0635909B1 (ko)
JP (1) JP3006993U (ko)
KR (1) KR0127309Y1 (ko)
DE (1) DE69405493T2 (ko)
MY (1) MY131598A (ko)
SG (1) SG430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845A (en) * 1994-09-12 1998-10-06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for flat cable
US5525072A (en) * 1995-01-10 1996-06-11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interconnecting a flat cable to a circuit board
US5688143A (en) * 1995-09-26 1997-11-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US5882223A (en) * 1996-02-21 1999-03-16 Japan Aviation D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hich is adapted to connect a flat connection object having a signal pattern and a shield pattern opposite to each other
DE29613694U1 (de) * 1996-08-08 1997-12-18 Itt Cannon Gmbh Steckverbinder
JP3424150B2 (ja) * 1996-12-27 2003-07-0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6595796B1 (en) 1997-03-31 2003-07-22 The Whitaker Corporation Flexible film circuit connector
US6183291B1 (en) * 1997-05-23 2001-02-0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071141A (en) * 1998-05-14 2000-06-06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latches
US6015310A (en) * 1997-12-12 2000-01-18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ircuitry
US5924891A (en) * 1997-12-15 1999-07-20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for flat circuitry
US5928029A (en) * 1998-05-29 1999-07-27 Thomas & Betts Corporation Multi-pin connector for flat cable
US6089896A (en) * 1998-12-04 2000-07-1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Connector holdown
JP4248672B2 (ja) * 1999-04-30 2009-04-0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4226737B2 (ja) * 1999-08-03 2009-02-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DE19937541A1 (de) * 1999-08-09 2001-02-15 Delphi Tech Inc Anschlußkupplung für einen elektrischen Verbinder
SG97837A1 (en) 2000-01-25 2003-08-20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molded plastic housing
TW461630U (en) * 2000-09-01 2001-10-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2124329A (ja) * 2000-10-13 2002-04-2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基板実装型コネクタ
US6276958B1 (en) * 2000-12-04 2001-08-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with a reliably anchored slider
JP2004235136A (ja) * 2002-12-06 2004-08-19 Yazaki Corp コネクタ
JP2004213917A (ja) * 2002-12-27 2004-07-29 Jst Mfg Co Ltd Fpc用コネクタ
US20040224555A1 (en) * 2003-05-08 2004-11-1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flatwire connector
KR100513837B1 (ko) * 2003-08-27 2005-09-09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피팅네일
TWM249292U (en) * 2003-10-31 2004-11-01 P Two Ind Inc Soft circuit board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detaching of movable cap
JP4440122B2 (ja) * 2005-01-07 2010-03-2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フレキシブル配線部材用コネクタ
US7413469B2 (en) * 2005-10-11 2008-08-1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TWM299368U (en) * 2006-01-20 2006-10-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5600523B2 (ja) * 2010-08-27 2014-10-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DE102011084341B4 (de) * 2011-10-12 2017-07-06 Bühler Motor GmbH Stellantrieb
TW201347314A (zh) * 2012-05-08 2013-11-16 Actherm Inc 電氣連接器及具有試片的電氣連接器
US9608367B2 (en) * 2012-12-11 2017-03-2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providing one or more socket contacts for contacting an inserted flexible, planar connector; a method
JP6084107B2 (ja) * 2013-04-26 2017-02-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86356B2 (ja) 2016-10-31 2020-11-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10608359B2 (en) * 2016-12-16 2020-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flat cable and electronic circuit board
DE102018000207A1 (de) * 2018-01-12 2019-07-18 Kostal Kontakt Systeme Gmbh Steckverbinderanordnu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5500A (en) * 1978-11-08 1980-11-25 Trw Inc. Circuit connector
JPS61131382A (ja) * 1984-11-29 1986-06-19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
US4640562A (en) * 1984-12-19 1987-02-03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ing means for printed circuit board
US4695108A (en) * 1986-08-04 1987-09-22 Hosiden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4778403A (en) * 1987-07-15 1988-10-18 Elco Corporatio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JPH0438470Y2 (ko) * 1987-12-08 1992-09-09
GB8810581D0 (en) * 1988-05-05 1988-06-08 Amp Hollan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wire to board applications
US5021002A (en) * 1989-12-20 1991-06-04 Burndy Corporation Snap-lock electrical connector with quick release
US5094624A (en) * 1990-12-18 1992-03-10 Molex Incorporated Metal latch for SIMM socket
US5151049A (en) * 1991-07-11 1992-09-29 Itt Corporation Connector latching arrangement
GB9123104D0 (en) * 1991-10-31 1991-12-18 Amp Holland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 to circuit board application
US5213534A (en) * 1992-07-31 1993-05-2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5909A1 (en) 1995-01-25
SG43040A1 (en) 1997-10-17
DE69405493T2 (de) 1998-04-02
DE69405493D1 (de) 1997-10-16
JP3006993U (ja) 1995-01-31
US5354214A (en) 1994-10-11
EP0635909B1 (en) 1997-09-10
MY131598A (en) 2007-08-30
KR950004865U (ko) 1995-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7309Y1 (ko) 래치 클립이 장착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 커넥터
US5297966A (en) Mounting bracke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970004159B1 (ko) 표면 장착 전기 접속기
KR970000291Y1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950003111Y1 (ko) 플랫 전기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US5257948A (en)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KR970002440B1 (ko) 하우징과 접촉부 사이에 과응력 방지 수단을 갖는 전기 커넥터
US6837740B2 (en) Flat circuit connector
US7628660B2 (en) Battery connector having a bracket
KR100406182B1 (ko) 결합용전기콘택및이를포함하는전기커넥터
KR940003122A (ko) 편평한 가요성 전선용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0204373B1 (ko) 편평 케이블을 회로 기판에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전기커넥터 조립체
US6272021B1 (en) Circuit device
KR930009173A (ko) 전기 소켓
KR970001945B1 (ko) 칩 연결 접촉부를 가진 표면 장착 접속기
US2005012419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improved retainer
KR930015189A (ko) 프로그래머블 입출력 전기 커넥터
KR960004806B1 (ko) 전기 접속기
US6466452B2 (en) Socket
KR950004987B1 (ko) 전기 커넥터
US6074230A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s
US5601438A (en) Independent socket for use with stacked memory card connector assembly
JPS62254378A (ja) 回路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
US7029319B2 (en) Flat circuit connector
US20070105436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tal strengthen mem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