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3233A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3233A
KR20180053233A KR1020170147198A KR20170147198A KR20180053233A KR 20180053233 A KR20180053233 A KR 20180053233A KR 1020170147198 A KR1020170147198 A KR 1020170147198A KR 20170147198 A KR20170147198 A KR 20170147198A KR 20180053233 A KR20180053233 A KR 20180053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housing
movabl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397B1 (ko
Inventor
요헤이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3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2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one or more pieces being of resili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8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bases or cases for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과제) 단자의 유지를 강고하게 하고 저배화이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콤팩트한 플로팅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그리고 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고정 하우징 (10), 가동 하우징 (20), 단자 (30) 를 갖고, 단자 (30) 는, 가동 하우징 (20) 의 가동측 유지부 (25) 에서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접촉부 (32) 를 포함하는 가동측 피유지부 (35) 와, 고정 하우징 (10) 의 고정측 유지부 (11A) 에서 단자 (30) 의 접속부 근처의 위치에서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고정측 피유지부 (34) 와, 고정측 피유지부와 가동측 피유지부를 연결하고 있고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부 (33) 를 갖고, 탄성부 (33)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가동측 피유지부보다 외측에서 탄성부의 상단을 이루는 굴곡된 정부 (33E) 를 갖고, 정부 (33E) 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가동측 유지부 (35) 의 하방에서 적어도 정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개방된 측방 개방 공간 (24) 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그 전기 커넥터에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 등의 상대 접속체가 그 전기 커넥터에 대해 가동 (可動) 인, 이른바 플로팅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플로팅 커넥터는, 단자의 일단측을 유지하고 그 단자가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됨으로써 그 회로 기판에 대해 고정 위치를 이루는 고정 하우징과, 그 고정 하우징과는 별체로 그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가동으로 상기 상대 접속체와 접촉 접속되는 상기 단자의 타단측을 유지하는 가동 하우징을 가지고 있다. 단자는, 상기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에 의한 피유지부끼리 사이에, 전혀 지지되어 있지 않은 탄성부를 갖고, 그 탄성부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상기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가동이 되어, 이른바 플로팅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플로팅 커넥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서는, 단자는 그 일단측이 고정 하우징 (대좌 (臺座)) 에서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고, 그 고정 하우징의 상방에 위치하는 가동 하우징 (단자 케이스) 에서 타단측이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상기 단자의 일단측은 그 선단이 고정 하우징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어 회로 기판에 땜납 접속되는 접속부를 갖고, 타단측은, 상대 접속체를 수용하는 수용부의 내면에 위치하여 그 상대 접속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촉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접촉부로부터 가동 하우징 외로 연장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는 직상부 (直狀部) 를 갖고, 그 직상부의 하단에서 L 자상으로 굴곡된 부분이 고정 하우징에 의해 유지되어 있고, 상기 가동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 사이의 상기직상부로 탄성부를 형성하고 있다. 그 탄성부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직상으로 연장되어 있어 가동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976454호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단자는 그 일단측에서 고정 하우징과, 타단측에서 가동 하우징과 각각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므로 그 유지 강도가 높아짐과 함께, 단자 유지는 하나의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제조 비용이 저감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단자의 탄성부는, 그 단자와 고정 하우징 그리고 가동 하우징의 양 하우징의 일체 성형을 간단하게 실시하는 형편상 직상부를 이루고 있고, 또 그 결과,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을 최단 거리로 연결하는 길이가 되므로, 그 탄성 변형량은 작다. 즉, 플로팅량이 적어진다. 그렇다고 해서, 탄성 변형량을 크게 하고자 하여 상기 탄성부를 길게 하면, 그만큼 커넥터의 높이 방향의 치수가 커져, 회로 기판으로부터의 높이를 작게 하는 저배화가 요구되고 있는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에는 적절한 대책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를 고정 하우징 그리고 가동 하우징 각각과 일체 성형에 의해 강고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커넥터의 높이 방향 치수를 작게 한 저배화를 확보하면서, 단자의 탄성부에서의 탄성 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과제는, 다음의 제 1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제 2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제 1 발명>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제 1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배열된 복수의 단자의 각각이 일단측에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접속을 위한 접속부와 타단측에 끼워맞춰지는 상대 접촉 부재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고, 그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이 회로 기판에 대해 고정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과 그 고정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를 이루고 그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가동인 가동 하우징을 갖고, 상기 상대 접촉 부재가 가동 하우징에 끼워맞춰진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 1 발명에서는, 상기 단자는, 가동 하우징의 가동측 유지부에서 그 가동 하우징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동측 피유지부와, 고정 하우징의 고정측 유지부에서 단자의 접속부 근처의 위치에서의 그 고정 하우징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고정측 피유지부와, 그 고정측 피유지부와 가동측 피유지부를 연결하고 있고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부를 갖고, 상기 단자의 탄성부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면 내에서 단자의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가동측 피유지부보다 외측에서 그 탄성부의 상단을 이루는 굴곡된 정부 (頂部) 를 갖고, 단자 배열 방향으로 단자 위치에서, 상기 정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가동측 유지부의 하방에서 적어도 정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개방된 측방 개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 1 발명에서는, 단자는, 그 단자의 가동측 피유지부가 가동 하우징에서, 그리고 그 단자의 고정측 피유지부가 고정 하우징에서, 각각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그 가동 하우징 및 그 고정 하우징의 양 하우징에서의 단자의 유지 강도가 크다. 또, 상기 단자의 탄성부는, 정부를 갖도록 굴곡되어 있으므로, 그 탄성부를 상하 방향에서 크게 하지 않고, 탄성 변위 가능한 스프링 길이를 크게 확보할 수 있어, 충분한 플로팅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 1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단자 위치에서, 상하 방향에서 적어도 정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의 탄성부가 정부에서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커넥터 폭 방향에서 금형을 성형 위치를 향해 이동시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단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대향하여 2 열로 배치되어 있고, 고정 하우징은 상기 2 열의 단자를 각각 고정 유지하도록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분리된 별도 부재를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별도 부재를 이루는 2 개의 고정 하우징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금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고정 하우징끼리를 연결 금구로 연결함으로써 고정 하우징 자체의 보강 그리고 회로 기판에 대한 장착시의 고정 하우징의 장착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 탄성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적어도 그 탄성부의 일부가 가동 하우징의 폭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탄성부를 위치시킴으로써, 커넥터 폭 방향에서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제 2 발명>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제 2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은, 제 1 발명에 관련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이다.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 2 발명에서는, 상방으로부터 설치되는 상형과, 커넥터 폭 방향에서 측방으로부터 설치되는 횡형과, 하방으로부터 설치하는 하형을 사용하고, 상형과 횡형으로 가동 하우징을 단자의 가동측 피유지부와 일체 성형하고, 횡형과 하형으로 고정 하우징을 단자의 고정측 피유지부와 일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제 2 발명에 의하면, 상형, 횡형 및 하형의 3 종의 금형을 사용하여, 하나의 공정에서, 가동 하우징을 단자의 가동측 피유지부와 일체 성형함과 함께, 고정 하우징을 단자의 고정측 피유지부와 일체 성형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 제조 공정이 간단해지고, 또, 제조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 있어서, 횡형이, 그 횡형에 형성된 릴리프 홈에 단자의 탄성부를 수용하도록 측방으로부터 성형 위치로 이동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릴리프 홈이 형성된 횡형을 사용함으로써, 일체 성형시에, 탄성부와 횡형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고, 또, 탄성부를 릴리프 홈 내에 수용함으로써 그 탄성부의 위치를 정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가, 금형에 의한 일체 성형 전에 그 단자의 접속부의 선단 위치에서 캐리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일체 성형 후에 상기 선단 위치에서 캐리어로부터 떼어내지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커넥터에 관해서는, 첫 번째로는, 단자를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 각각에서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단자의 유지 강도가 커지고, 두 번째로는, 단자의 탄성부가 굴곡된 정부를 갖는 형태로 하였으므로, 커넥터의 저배화의 요청에 응하면서, 탄성부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량, 즉, 플로팅량을 크게 할 수 있고, 또 세 번째로는, 그 탄성부의 정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개방된 측방 개방 공간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커넥터가 그 폭 방향에서 콤팩트해짐과 함께, 커넥터 폭 방향으로 금형을 설치 그리고 분리할 수 있고, 단자가 상기 굴곡된 탄성부를 가지고 있어도, 일체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 이러한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는, 금형을 상형, 횡형 그리고 하형을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상기 서술한 커넥터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로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외관을 나타내고, 상대 커넥터에 대한 끼워맞춤 방향을 상방을 향하게 한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를 상대 커넥터와 함께 나타내는,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로, (A) 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B) 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일체 성형에 의한 제조의 요령을 설명하기 위해, 그 커넥터와 성형용 금형의 배치 위치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이하, 「커넥터」)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이고, (A) 는 커넥터 끼워맞춤 전, (B) 는 커넥터 끼워맞춤 후이고,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의 제조 요령을 일체 성형을 위한 금구와 함께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 그리고 도 2(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고정 하우징 (10) 과, 가동 하우징 (20) 과, 단자 (30) 를 가지고 있다. 커넥터 (1) 는, 전체적으로 가로로 긴 직방체 외형을 갖고, 그 바닥면에서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상에 배치되고, 단자 (30) 가 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한 방향을 이루는 길이 방향 그리고 이것에 대해 직각인 폭 방향을 이루는 커넥터 폭 방향의 어느 방향에서도 대칭으로 만들어져 있다.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고정 하우징 (10) 은,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가동 하우징 (20) 의 하단부에 대해 양 측방에서, 그 가동 하우징 (20) 으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그 가동 하우징 (20) 과는 별도 부재로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봉상 (角棒狀) 을 이루고 회로 기판의 면 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측의 고정 하우징 (10) 도, 각각 별도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 하우징 (20) 의 양 측방에서, 높이 방향에서 그 가동 하우징 (20) 의 하단부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서로 분리되어 가동 하우징 (20) 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는 각각의 상기 고정 하우징 (10) 은,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 (11) 와, 그 중간부 (11) 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그 중간부 (11) 보다 높게 형성된 피연결부 (12) 와, 그 피연결부 (12) 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단부 (13) 를 가지고 있다. 상기 중간부 (11) 는, 정방형 단면 (斷面) 이고 비교적 가는 각봉상을 이루고, 그 중간부 (11) 는, 후술하는 단자 (30) 의 일단측 (도면에서 하단측) 을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하는 고정측 유지부 (11A) 를 이루고 있다 (도 2(A) 참조). 상기 고정 하우징 (10) 의 양단측의 피연결부 (12) 는, 상면 그리고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단면 (端面) 에서 개구되는 끼워맞춤 홈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끼워맞춤 홈부 (12A) 는, 후술하는 연결 부재 (16) 의 끼워맞춤편 (16B) 이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질 때의 가이드가 되도록 홈 입구 상측 가장자리가 테이퍼부 (12A-1) 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피연결부 (12) 에 대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끼워맞춤 홈부 (12A) 보다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피연결부 (12) 보다 낮고 그리고 육박 (肉薄) 을 이루도록 단상 (段狀) 으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피연결부 (12) 로부터 돌출되는 지지 단부 (13) 를 가지고 있다. 그 지지 단부 (13)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외측의 측면이 연결 부재 (16) 를 지지하는 지지면 (13A) 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연결 부재 (16) 는, 금속 띠를 굴곡시킨 형태를 이루고,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하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부 (16A) 와, 그 중간부 (16A) 의, 양단에서 하방을 향해 평탄한 판면에 대해 직각으로 하방을 향해 굴곡된 레그 형상의 끼워맞춤편 (16B) 을 가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역 U 자상을 이루고 있다. 그 연결 부재 (16) 는, 양단에 형성된 레그 형상의 끼워맞춤편 (16B) 이 상기 고정 하우징 (10) 의 피연결부 (12) 에 형성된 끼워맞춤 홈부 (12A) 에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그 연결 부재 (16) 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상기 2 개의 고정 하우징 (10) 의 양단의 각각의 피연결부 (12) 에 끼워맞춰지도록, 2 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2 개의 고정 하우징 (10) 은 그것들의 양단에서 2 개의 연결 부재 (16) 각각에 의해 연결되고, 그 연결 부재 (16) 와 함께, 가동 하우징 (20) 의 바닥부를 둘러싸도록 사각 프레임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이, 연결 부재 (16) 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고정 하우징 (10) 은, 가동 하우징 (20) 의 양측 위치에서, 강고하게 회로 기판에 고정된다.
이 연결 부재 (16) 를 사용하는 이점으로는, 상기 서술한 2 개의 고정 하우징 (10) 의 회로 기판에 대한 고정의 강화에 더하여,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서의 소형화와 고정 하우징 (10) 의 제조 용이화가 있다. 커넥터의 소형화에 관해서는, 만일, 도시된 2 개의 고정 하우징 (10) 의 양단에 대한 길이 방향 외측에서, 고정 하우징의 일부를 이루는 부분 혹은 다른 부재에 의해 상기 2 개의 고정 하우징을 연결하고자 하면, 상기 길이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 혹은 부재의 분만큼, 커넥터의 대형화가 되어 버린다. 이 점에서, 도시된 연결 부재 (16) 를 사용함으로써 커넥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커넥터의 제조 용이화에 관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만 연장되는 비교적 단순한 형상의 고정 하우징을 준비하기만 하면 되므로 성형을 위한 금형이 간단해진다. 만일, 상기 서술한 연결하는 부분을 고정 하우징과 일체화하여 성형하면 그만큼 금형이 복잡해지고, 혹은 별도 부재로 하면, 그것을 위한 다른 금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 점, 도시된 연결 부재 (16) 를 사용함으로써, 커넥터의 제조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가동 하우징 (20) 은, 고정 하우징 (10) 과 마찬가지로,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져 있고, 상반부를 이루는 끼워맞춤부 (21) 와 하반부를 이루는 지주부 (支柱部) (22) 를 가지고 있다.
상기 끼워맞춤부 (21) 는, 상방으로 개구된 바닥이 있는 각통상 (角筒狀) 을 이루고 있고, 측벽 (21A) 과 단벽 (端壁) (21B) 으로 이루어지는 둘레벽 그리고 바닥벽 (21C) 에 의해, 후술하는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오목 공간을 이루는 수용부 (23) 를 형성하고, 그 수용부 (23) 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21A) 의 내측면과 바닥벽 (21C) 에서 후술하는 단자 (30) 를 유지하고 있음과 함께, 상기 수용부 (23) 에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여, 그 상대 커넥터에 형성된 상대 단자와 상기 단자 (30) 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 수용부 (23) 를 형성하는 끼워맞춤부 (21) 의 바닥벽 (21C) 에는,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에서 상기 길이 방향의 복수 지점에,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부 (21C-1) 가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돌기부 (21C-1) 가 상대 커넥터의 대응부와 끼워맞춰짐으로써,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시에 커넥터 (1) 의 둘레벽 내면, 특히 측벽 (21A) 의 내면과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충돌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가동 하우징 (20) 의 지주부 (22) 는, 도 2(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 방향 중앙 위치에서, 상기 끼워맞춤부 (21) 의 바닥벽 (21C) 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상기 수용부 (23) 의 상기 길이 방향에서의 전체 길이에 걸쳐 미치는 세로 중앙벽부 (22A) 와, 그 세로 중앙벽부 (22A) 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에서 그 세로 중앙벽부 (22A) 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단벽부 (22B) 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가동 하우징 (20) 은, 그 바닥벽 (21C) 의 하방에서 상기 지주부 (22) 의 세로 중앙벽부 (22A) 와 세로 단벽부 (22B) 에 의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수용부 (23) 보다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고정 하우징 (10) 까지의 범위에, 상기 세로 중앙벽부 (22A) 로부터 측방으로 확장되는 측방 개방 공간 (24) 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지주부 (22) 의 세로 단벽부 (22B) 의 하단에는,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세로 단벽부 (22B) 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는 피규제부 (22C) 가 형성되어 있고, 2 개의 고정 하우징 (10) 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 부재 (16) 의 중간부 (16A) 의 하방에 위치하고, 그 피규제부 (22C) 의 상면이 상기 중간부 (16A) 의 하면에 근접하여 대향하고 있고, 가동 하우징 (20) 이 상방으로 허용량 이상으로 이동하려고 하였을 때에 그 피규제부 (22C) 가 상기 중간부 (16A) 에 맞닿아 그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지주부 (22) 는, 수용부 (23) 를 형성하는 끼워맞춤부 (21) 의 바닥벽 (21C) 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회로 기판의 면의 근방까지 연장되어 있지만, 그 회로 기판에 대해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아, 외력을 받았을 때에는, 가동 하우징 (20) 전체가 커넥터 폭 방향, 길이 방향 나아가서는 상하 방향으로 가동이다.
단자 (30) 는, 도 1 그리고 도 2(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체 길이에 걸쳐 대상 (帶狀) 을 이루고 접촉부 (32) 를 제외하고 등폭의 가는 금속 평대상 (平帶狀) 편을 그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시켜 만들어져 있다. 접촉부 (32) 는 다른 부보다 약간 폭이 넓다. 따라서, 판 두께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에서의 치수가 단자 폭이 된다. 커넥터 (1) 를 그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도 2(A)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 (30) 는, 하방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형성된 접속부 (31) 와, 상방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형성된 접촉부 (32) 사이에 횡 S 자상의 탄성부 (33) 를 가지고 있다. 그 단자 (30)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이 쌍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접속부 (31) 는, 회로 기판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그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한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접속부 (31) 에 인접하는 부분에서, 단자 (30) 는 크랭크 형상으로 구부러진 고정측 피유지부 (34) 를 갖고, 그 고정측 피유지부 (34) 가 상기 고정 하우징 (10) 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즉, 고정 하우징 (10) 이 단자의 고정측 피유지부 (34) 에 대해 고정측 유지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 (31) 는 고정 하우징 (10) 의 바닥면에서 돌출되어 그 바닥면을 따라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접촉부 (32) 는, 가동 하우징 (20) 의 바닥벽 (21C) 을 관통하여 그 바닥벽 (21C) 의 상방 부분에서 그 가동 하우징 (20) 의 측벽 (21A) 의 내측면을 따라 직상으로 연장되고, 그 상단 부분이 커넥터 폭 방향으로 외측을 향해 굴곡된 역 U 자상의 상단 굽힘부 (32A) 를 형성하고, 가동 하우징 (20) 의 측벽 (21A) 내에 상단 굽힘부 (32A) 의 선단부가 완전히 매설되어 있고, 그 상단 굽힘부 (32A) 의 다른 부는 상면만이 노출되고, 그리고 측단면 (側端面) 이 상기 측벽 (21A) 내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상단 굽힘부 (32A) 의 상면, 특히 커넥터 폭 방향 내측이 되는 내측 상면은, 상기 가동 하우징 (20) 의 측벽 (21A) 의 상면에 대해 약간 돌출되는 정도로 그 측벽 (21A) 과 거의 동일 레벨 면을 형성하고, 상대 커넥터의 안내 도입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상단 굽힘부 (32A) 로부터 하방을 향하고, 가동 하우징 (20) 의 수용부 (23) 를 형성하는 끼워맞춤부 (21) 의 둘레벽의 일부를 이루는 측벽 (21A) 의 내측 면을 따라 직상으로 연장되는 접촉부 (32) 는, 수용부 (23) 측을 향하는 내면이 상기 측벽 (21A) 의 내측면보다 약간 돌출되어 노출되어 있어 상대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그 접촉부 (32) 는 그 접촉면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 그리고 측단면 (側端面) 의 삼방 (三方) 이 상기 측벽 (21A) 내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단자 (30) 는, 상기 접촉부 (32) 의 직하방 부분이 L 자상으로 굴곡된 가동측 피유지부 (35) 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 하우징 (20) 의 측벽 (21A) 으로부터 바닥벽 (21C) 에 걸치는 부분에서 형성된 가동측 유지부 (25) 에서 상기 가동측 피유지부 (35) 가 가동 하우징 (20) 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그 가동측 피유지부 (35) 의 하면측은, 일체 성형시에 그 하면이 금형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노출되어 있다.
상기 단자 (30) 는, 가동측 피유지부 (35) 보다 하방 부분이 가동 하우징 (20) 의 바닥벽 (21C) 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연장되고, 그 바닥벽 (21C) 과 고정 하우징 (10) 을 연결하고 있는 탄성부 (33) 에 이르고 있다.
상기 탄성부 (33) 는, 횡 S 자상을 이루도록, 커넥터 폭 방향에서 내방에 위치하는 내직상부 (33A), 외방에 위치하는 외직상부 (33B), 그것들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직상부 (33C), 나아가서는, 내직상부 (33A) 와 중간 직상부 (33C) 를 그것들의 하단에서 연결하는 하단 굽힘부 (33D), 그리고, 중간 직상부 (33C) 와 외직상부 (33B) 를 그것들의 상단에서 연결하는 상단 굽힘부 (33E) 를 가지고 있다. 그 상단 굽힘부 (33E) 는 탄성부 (33) 의 정부를 이루고 있다. 도 2(A) 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 (33) 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상단 굽힘부 (33E) 보다 내측 부분이 동일 방향에서 가동 하우징 (20) 의 측벽 (21A) 보다 내방에 위치하고, 즉, 가동 하우징 (20) 의 상기 측방 개방 공간 (24) 내에 거의 수용되어 있다. 그 탄성부 (33) 의 내직상부 (33A) 는, 가동 하우징 (20) 의 지주부 (22) 의 일부를 이루는 세로 중앙벽부 (22A) 를 따라 연장되어 있지만, 그 세로 중앙벽부 (22A) 에 대해 이간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탄성부 (33) 는, 단자 (30) 가 외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측방 개방 공간 (24) 내에서 탄성 변위 (탄성 변형) 가 가능하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 (20) 이 그 수용부 (23) 에서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춰지고, 가동 하우징 (20) 이 고정 하우징 (10) 에 대해, 예를 들어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정규 위치에 대해 어긋남을 발생시켜 위치하면, 상기 탄성부 (33) 의 탄성 변위에 의해 상기 어긋남이 흡수되고, 이른바 플로팅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 하우징 (20) 의 어긋남이, 예를 들어, 도 2(A) 에 있어서 오른쪽 방향인 경우, 우측의 단자 (30) 의 탄성부 (33) 가 좌우 방향에서 압축되도록, 그리고 좌측의 단자 (30) 의 탄성부 (33) 가 동일 방향에서 확대되도록 각각 탄성 변위를 발생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 (1) 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3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3 에서는, 커넥터 (1) 의 단면 (斷面) 이 실선으로, 그리고 하우징의 몰드 성형을 위한 금형 (M) 이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금형 (M) 은, 성형 위치와 성형 위치로의 세트 전의 대기 위치의 양방이 나타나 있고, 대기 위치로부터 성형 위치로의 이동은 이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나 있다.
먼저, 단자 (30) 가 만들어진다. 그 단자 (30) 는, 금속판을 뽑아 캐리어 (도시 생략) 에 의해 복수의 금속 대상편의 일단에서 연결되어 있는 1 차 가공 부재를 만들고, 그 금속 대상편을 굽힘 가공하여 복수의 단자 (30) 가 상기 캐리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의 2 차 가공 부재를 준비한다. 캐리어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 (30) 는, 하우징과의 몰드 일체 성형을 위해서, 금형 (M) 내에 설치된다.
금형 (M) 은, 1 개의 상형 (M1), 1 개의 하형 (M2), 2 개의 횡형 (M3) 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커넥터 (1) 가 좌우 대칭형이므로, 2 개의 횡형 (M3) 은 서로 대칭형을 이루고 있다. 또, 상형 (M1) 자체, 그리고 하형 (M2) 자체도 각각 좌우 대칭형을 이루고 있다.
상형 (M1) 은, 커넥터 (1) 의 가동 하우징 (20) 의 끼워맞춤부 (21) 에 오목 공간으로서 형성된 수용부 (23) 를 이루는 상기 끼워맞춤부 (21) 의 내측 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끼워맞춤부 성형면 (M1-1) 을 가지고 있다. 그 끼워맞춤부 성형면 (M1-1) 은, 끼워맞춤부 (21) 의 측벽 (21A) 의 내측면을 성형하는 측면 (M1-1A) 과 끼워맞춤부 (21) 의 바닥벽 (21C) 의 내면을 성형하는 바닥면 (M1-1B)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측면 (M1-1A) 은, 상기 측벽 (21A) 에서 단자 (30) 의 접촉부 (32) 를 유지하고, 그 접촉부 (32) 의 노출면이 측벽 (21A) 의 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는 정도로, 접촉부 (32) 가 측벽 (21A) 내에 매설 유지되도록 측벽 (21A) 을 성형하는 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상기 측면 (M1-1A) 은, 측벽 (21A) 의 상단의 형상이 둥그스름하도록 R 형상면 (M1-1A-1) 을 가지고 있다.
하형 (M2) 은, 상기 가동 하우징 (20) 의 지주부 (22) 를 성형하기 위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세로면 (M2-1) 과, 고정 하우징 (10) 의 내측면 그리고 하측면을 성형하기 위한 가로면 (M2-2) 을 가지고 있다. 가동 하우징 (20) 의 지주부 (22) 는, 세로 중앙벽부 (22A), 세로 단벽부 (22B) 그리고 피규제부 (22C) 를 가지고 있고, 상기 세로면 (M2-1) 은 이것들을 포함한 지주부 (22) 의 성형에 적합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해를 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3 에서는, 상기 세로면 (M2-1) 은 세로 중앙벽부 (22A) 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나타나 있다. 도 3 에 나타나 있는 상기 세로면 (M2-1) 은, 가는 2 개의 세로 기둥 사이의 세로 내면 (M2-1A) 에서 세로 중앙벽부 (22A) 의 성형의 면을 이루고 있다. 또, 2 개의 세로 기둥의 세로 외면 (M2-1B) 이 단자 (30) 의 내직상부 (33A) 를 내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면을 이루고 있다.
하형 (M2) 의 가로면 (M2-2) 은, 고정 하우징 (10) 의 상면과 동일 높이에서, 커넥터 폭 방향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측상면 (M2-2A) 과, 그 측상면 (M2-2A) 에 대해 단 (段) 을 이루어 묻히고, 그 측상면 (M2-2A) 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하면 (M2-2B) 과, 양방의 고정 하우징 (10) 의 내측에 위치하여, 측상면 (M2-2A) 으로부터 측하면 (M2-2B) 으로 이행하는 세로 방향의 측면 (M2-2C) 을 가지고 있다. 그 측면 (M2-2C) 은 고정 하우징 (10) 의 내측면을 성형하고, 측하면 (M2-2B) 은 고정 하우징 (10) 의 하면을 성형한다. 상기 측면 (M2-2C) 에는 단자 (30) 의 고정측 피유지부 (34) 가 고정 하우징 (10) 의 내측 상부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 대한 릴리프 홈 (M2-2C-1) 이 측방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측상면 (M2-2A) 에는, 측하면 (M2-2B) 보다 높은 범위에서,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세로 중앙벽부 (22A) 근처 부분에, 상기 단자 (30) 의 탄성부 (33) 중 하단 굽힘부 (33D) 와 그 근방을 수용하기 위한 단자 릴리프 홈 (M2-2B-1) 이 상방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측하면 (M2-2B) 은, 고정 하우징 (10) 의 하면을 성형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그 측하면 (M2-2B) 에는, 고정 하우징 (10) 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부 (31) 를 수용하는 릴리프 홈 (M2-2B-2) 이 형성되어 있다.
좌우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횡형 (M3) 은, 가동 하우징 (20) 의 끼워맞춤부 (21) 의 외측 벽면을 형성하기 위한 측상면 (M3-1) 과, 그 하방에 커넥터 폭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위치하여 상기 하형 (M2) 의 세로면 (M2-1) 과 함께 단자 (30) 의 내직상부 (33A) 를 협지하는 측하면 (M3-2) 과, 그 측하면 (M3-2) 의 하방에서 그 측하면 (M3-2) 보다 커넥터 폭 방향 외측에 묻혀 단상을 이루는 단부면 (段部面) (M3-3) 을 가지고 있다. 그 단부면 (M3-3) 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면 (M3-3A) 이 고정 하우징 (10) 의 상면을 성형하고, 그 단부면 (M3-3) 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 (M3-3B) 이 고정 하우징 (10) 의 외측면을 성형한다. 상기 측하면 (M3-2) 에는, 단자 (30) 의 탄성부 (33) 를 수용하는 릴리프 홈 (M3-2-1) 이 형성된다.
상기 금형 (M) 은, 성형 위치로의 세트 전에는, 그 성형 위치에 대해, 상형 (M1) 은 상방으로, 하형 (M2) 은 하방으로, 그리고 횡형 (M3) 은 측방으로 각각 이간된 대기 위치에 있다.
이러한 상형 (M1), 하형 (M2) 그리고 횡형 (M3) 은, 대기 위치로부터 각각 도 3 의 이점 쇄선 화살표로 나타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성형면 이외의 면에서 금형끼리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성형 위치에 설치된다. 성형 위치에서는, 상형 (M1) 과 횡형 (M3) 이 각각의 접합면에서, 그리고 횡형 (M3) 과 하형 (M2) 이 각각의 접합면에서 접면하여, 단자 (30) 를 유지하면서, 가동 하우징 (20) 그리고 고정 하우징 (10) 을 위한 성형 공간을 형성한다. 그 때, 하형 (M2) 은 그 릴리프 홈 (M2-2B-1) 에서 단자의 하단 굽힘부 (33D) 를 그리고 릴리프 홈 (M2-2B-2) 에서 단자 (30) 의 접속부 (31) 를 수용하고, 횡형 (M3) 은 그 릴리프 홈 (M3-2-1) 에서 단자 (30) 의 탄성부 (33) 를 수용한다.
이와 같이 금형 (M) 이 성형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 공간에 용융 수지가 주입되고, 그 고화 후에, 상형 (M1), 하형 (M2) 그리고 횡형 (M3) 을 대기 위치까지 되돌림으로써, 서로 분리된 고정 하우징 (10), 가동 하우징 (20), 그리고 고정 하우징 (10) 과 가동 하우징 (20) 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된 단자 (30) 를 갖는 커넥터 (1) 를 얻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커넥터 (1) 에 대해 끼워맞춤 접속되는 상대 접촉 부재로서의 상대 커넥터 (2) 는, 도 2(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상대 하우징 (50) 과, 그 상대 하우징 (50) 으로 유지된 금속판제의 상대 단자 (60) 를 가지고 있다. 상대 접촉 부재는, 상기 상대 커넥터가 아니어도, 예를 들어, 회로 기판 등의 부재여도 된다.
상대 하우징 (50) 은, 전체적으로 직방체 외형을 이루고, 측벽 (50A) 과 단벽 (50B) 으로 이루어지는 둘레벽과, 바닥벽 (50C) 과, 나아가서는 중앙벽 (50D) 에 의해, 상기 커넥터 (1) 의 가동 하우징 (20) 의 진입을 허용하는 끼워맞춤 오목부 (51) 를 형성하고 있다. 도 2(A) 에서는, 상대 커넥터 (2) 는, 상기 커넥터 (1) 의 상방 위치에 배치되고 그 커넥터 (1) 에 대한 끼워맞춤 직전의 상태로 나타나 있는 관계상, 바닥벽 (50C) 는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51) 는 하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대 하우징 (50) 의 중앙벽 (50D) 은, 커넥터 폭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커넥터 길이 방향 (도 2(A) 에서 지면 (紙面) 에 직각 방향) 으로 연장되어 있고, 측벽 (50A) 과 단벽 (50B) 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벽 내의 공간을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이분하고 있고, 이분된 각 공간이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51)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중앙벽 (50D) 에는, 커넥터 개구측 (도 2(A) 에서 하측) 을 향해, 상기 커넥터 (1) 의 가동 하우징 (20) 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부 (21C-1) 를 수용하는 가이드 돌기부 수용 오목부 (50E)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대 하우징 (50) 에는, 후술하는 판상의 상대 단자 (60) 를 유지 그리고 수용하는 단자 홈 (52) 이 형성되어 있다. 그 단자 홈 (52) 은, 도 2(A) 에서, 역 U 자상을 이루고, 측벽 (50A) 에 형성된 압입 홈 (52A), 중앙벽 (50D) 에 형성된 수용 홈 (52D), 압입 홈 (52A) 과 수용 홈 (52D) 을 연통하도록 바닥벽 (50C) 에 형성된 바닥부 홈 (52C) 을 가지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 단자 (60) 는 금속판의 판면을 그대로 유지하여 그 판면에 직각인 방향, 즉 판 두께 방향으로 타발 (打拔) 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2(A) 에서 상기 판면이 지면에 평행이며, 따라서, 상기 단자 홈 (52) 은,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홈 폭이, 상기 상대 단자 (60) 의 판 두께와 거의 동등하게 되어 있다.
상기 압입 홈 (52A) 은, 슬릿 구멍 형상으로 상기 측벽 (50A) 을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이 되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수용 홈 (52D) 은 중앙벽 (50D) 에, 바닥벽 (50C) 측과 측벽 (50A) 을 향하는 측에서 개구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고, 바닥부 홈 (52C) 은 바닥벽 (50C) 에 대해 슬릿 구멍 형상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입 홈 (52A), 수용 홈 (52D), 바닥부 홈 (52C) 은 연통됨으로써 1 개의 단자 홈 (52) 을 이루고 있다. 이 단자 홈 (52) 은, 적어도 수용 홈 (52D) 과 바닥부 홈 (52C) 에서, 지면에 대해 직각 방향의 홈 폭이 상대 단자 (60) 의 판 두께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어, 상대 단자 (60) 가 수용 홈 (52D) 그리고 바닥부 홈 (52C) 에서 탄성 변위를 허용하고 있다.
상대 단자 (60) 는, 금속판을 그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면서 그 판면에 대해 직각인 판 두께 방향으로 타발함으로써 만들어져 있고, 도 2(A) 에서 지면에 평행한 면에 평탄면을 이루고 있다. 이 상대 단자 (60) 의 형상은, 도 2(A) 에서 역 U 자상 부분과 그 역 U 자상 부분의 상부에서 일방을 향해 상대 하우징 (50) 밖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는 형태를 이루고, 역 U 자상을 이루는 부분은, 상기 단자 홈 (52) 중의 압입 홈 (52A) 에 상방으로부터 압입되는 직상의 고정 아암부 (61), 그 고정 아암부 (61) 의 상단으로부터 중앙벽 (50D) 쪽을 향해 굴곡되어 바닥 벽 (50C) 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바닥부 홈 (52C) 내에 위치하는 연장 아암부 (62), 그 연장 아암부 (62) 로부터 굴곡되어 끼워맞춤 오목부 (51) 의 개구측을 향해 도 2(A) 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용 홈 (52D) 내에 위치하는 접촉 아암부 (63) 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고정 아암부 (61) 와 연장 아암부 (62) 의 이행 위치로부터 상대 하우징 (50) 밖을 향한 돌출부가 접속부 (64) 를 형성하여 커넥터 폭 방향 (도 2(A) 에서 가로 방향) 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아암부 (61) 는 그 가장자리부에 고정용 돌기 (61A) 가 형성되어 있고, 그 고정 아암부 (61) 가 압입 홈 (52A) 에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압입 홈 (52A) 의 내벽면에 파고들어 고정되어, 그 빠짐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접촉 아암부 (63) 는 그 선단에, 끼워맞춤 오목부 (51) 의 내방을 향해 돌출된 접촉부 (63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접촉부 (63A) 는, 이미 서술한 커넥터 (1) 의 단자 (30) 의 접촉부 (32) 에 접촉하기 위한 부위이며, 그 상대 단자 (60) 의 접촉부 (63A) 가 그 판 두께 방향의 절단면에서 상기 대상의 단자 (30) 의 판 두께 방향에 대해 직각인 판면에 대해 접촉한다. 즉, 상기 상대 단자 (60) 의 판 두께 방향과 상기 단자 (30) 의 판 두께 방향은 직각을 이루고 있다.
상기 상대 단자 (60) 의 접촉 아암부 (63) 는 수용 홈 (52D) 내에서 그리고 연장 아암부 (62) 는 바닥부 홈 (52C) 내에서, 그 상대 단자 (60) 의 판 두께 방향 (도 2(A) 에서 지면에 대해 직각 방향) 에서 홈 내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고 있고, 따라서, 상기 접촉 아암부 (63) 와 연장 아암부 (62) 는 단자 홈 (52) 내에서 탄성 변위가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그 상대 단자 (60) 의 접촉부 (63A) 는 커넥터 (1) 의 단자 (30) 의 접촉부 (32) 에 대해, 상기 탄성 변위하에서 접압을 가지고 접촉된다.
이미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 는, 상기 서술한 상대 커넥터 (2) 와 함께,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먼저,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는, 각각의 대응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에 장착된다. 커넥터 (1) 는, 그 단자 (30) 의 접속부 (31) 가 대응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고, 상대 커넥터 (2) 는 그 상대 단자 (60) 의 접속부 (64) 가 다른 대응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넥터 (1) 의 상방 위치에 상대 커넥터 (2) 를 그 끼워맞춤 오목부 (51) 가 하방에 개구되어 있도록 한 끼워맞춤 직전에 가져온다. 이러한 후, 상대 커넥터 (2) 를, 그 상대 커넥터 (2) 가 장착되어 있는 다른 회로 기판과 함께 강하시킨다. 이 상대 커넥터 (2) 의 강하에 의해, 그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맞춤 오목부 (51) 에 상기 커넥터 (1) 의 끼워맞춤부 (21) 가 진입,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는 서로 도 2(B) 에 나타내는 정규 위치에서의 끼워맞춤 상태가 된다. 그 때, 커넥터 (1) 의 가이드 돌기부 (21C-1) 가 상대 커넥터 (2) 의 가이드 돌기부 수용 오목부 (50E) 에 돌입하여,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의 서로의 위치가 정해진다.
이와 같은 커넥터 (1) 와 상대 커넥터 (2) 의 끼워맞춤 상태에서는,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단자 (60) 가 그 접촉부 (63A) 에서 커넥터 (1) 의 단자 (30) 의 접촉부 (32) 와의 사이에서, 접촉 아암부 (63) 의 탄성 변위를 가지고 접압을 발생시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대 커넥터 (2) 는, 커넥터 (1) 에 대한 끼워맞춤 위치가 반드시 정규 위치가 된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상대 커넥터 (2) 가, 커넥터 폭 방향에서 상기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커넥터 (1) 에 끼워맞춰지는 경우도 있다. 상기 상대 커넥터 (2) 는, 회로 기판에 장착되어 있고, 커넥터 (1) 에 대한 시계가 이 회로 기판에 의해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어긋난 위치에서의 끼워맞춤이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어, 도 2(A) 에서 상대 커넥터 (2) 가 정규 위치보다 오른쪽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상대 커넥터 (2) 가 커넥터 (1) 에 끼워맞춤이 개시되면, 상대 커넥터 (2) 는, 그 상대 커넥터 (2) 의 상대 하우징 (50) 이 커넥터 (1) 의 가동 하우징 (20) 을 끼워맞춤 진행 중에 오른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 (20) 은, 단자 (30) 의 탄성부 (33) 의 탄성 변위 (탄성 변형) 에 의해, 고정 하우징 (10) 에 대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탄성부 (33) 가 상기 어긋남을 흡수한다. 그 때, 도 2(A) 에서, 우측의 단자 (30) 가 그 탄성부 (33) 를 커넥터 폭 방향에서 압축하고, 좌측의 단자 (30) 의 탄성부 (33) 를 넓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대 커넥터 (2) 가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끼워맞춤되어도, 그 어긋남량이 허용량 내이면, 상기 탄성부 (33) 의 탄성 변위에 의해, 이것에 대응할 수 있다. 그 때, 탄성부 (33) 가 탄성 변위됨으로써, 단자 (30) 에는, 그 탄성 변위량에 따라 내부 응력을 발생시킨다. 이 내부 응력은, 단자 (30) 의 일단측의 고정측 피유지부 (34) 그리고 타단측의 가동측 피유지부 (35) 및 접촉부 (32) 에도 전달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30) 는 고정 하우징 (10) 그리고 가동 하우징 (20) 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정측 피유지부 (34) 그리고 가동측 피유지부 (35) 및 접촉부 (32) 에서의 유지력은 강고하여, 상기 응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다.
게다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30) 의 탄성부 (33) 는, 그 대부분이 가동 하우징 (20) 의 하방에 형성된 측방 개방 공간 (24) 에 수용되어 있고, 또 가동 하우징 (20) 의 커넥터 폭 방향 범위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커넥터 (1) 는 상기 커넥터 폭 방향에서 콤팩트하게 구성된다.
1 : 커넥터
2 : 상대 접촉 부재 (상대 커넥터)
10 : 고정 하우징
11A : 고정측 유지부
20 : 가동 하우징
24 : 측방 개방 공간
25 : 가동측 유지부
30 : 단자
31 : 접속부
32 : 접촉부
33 : 탄성부
33E : 정부 (상단 굽힘부)
34 : 고정측 피유지부
35 : 가동측 피유지부
M : 금형
M1 : 상형
M2 : 하형
M3 : 횡형

Claims (7)

  1. 배열된 복수의 단자의 각각이 일단측에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접속을 위한 접속부와 타단측에 끼워맞춰지는 상대 접촉 부재의 접촉을 위한 접촉부를 갖고, 그 단자를 유지하는 하우징이 회로 기판에 대해 고정 장착되는 고정 하우징과 그 고정 하우징과는 별도 부재를 이루고 그 고정 하우징에 대해 가동인 가동 하우징을 갖고, 상기 상대 접촉 부재가 가동 하우징에 끼워맞춰지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가동 하우징의 가동측 유지부에서 그 가동 하우징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가동측 피유지부와, 고정 하우징의 고정측 유지부에서 단자의 접속부 근처의 위치에서의 그 고정 하우징과의 일체 성형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고정측 피유지부와, 그 고정측 피유지부와 가동측 피유지부를 연결하고 있고 탄성 변위 가능한 탄성부를 갖고,
    상기 단자의 탄성부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면 내에서 단자의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커넥터 폭 방향에서, 가동측 피유지부보다 외측에서 그 탄성부의 상단을 이루는 굴곡된 정부를 갖고,
    단자 배열 방향으로 단자 위치에서, 상기 정부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상기 가동측 유지부의 하방에서 적어도 정부를 포함하는 범위에 커넥터 폭 방향으로 개방된 측방 개방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단자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대향하여 2 열로 배치되어 있고, 고정 하우징은 상기 2 열의 단자를 각각 고정 유지하도록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 분리된 별도 부재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별도 부재를 이루는 2 개의 고정 하우징은, 커넥터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금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부는, 커넥터 폭 방향에서 적어도 그 탄성부의 일부가 가동 하우징의 폭 방향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기재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방으로부터 설치되는 상형과, 커넥터 폭 방향에서 측방으로부터 설치되는 횡형과, 하방으로부터 설치하는 하형을 사용하고, 상형과 횡형으로 가동 하우징을 단자의 가동측 피유지부와 일체 성형하고, 횡형과 하형으로 고정 하우징을 단자의 고정측 피유지부와 일체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횡형이, 그 횡형에 형성된 릴리프 홈에 단자의 탄성부를 수용하도록 측방으로부터 설치되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단자가, 금형에 의한 일체 성형 전에 그 단자의 접속부의 선단 위치에서 캐리어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일체 성형 후에 상기 선단 위치에서 캐리어로부터 떼어내지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KR1020170147198A 2016-11-11 2017-11-07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22463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20723A JP6727103B2 (ja) 2016-11-11 2016-11-11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16-220723 2016-1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233A true KR20180053233A (ko) 2018-05-21
KR102246397B1 KR102246397B1 (ko) 2021-04-29

Family

ID=62026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198A KR102246397B1 (ko) 2016-11-11 2017-11-07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30187B2 (ko)
JP (1) JP6727103B2 (ko)
KR (1) KR102246397B1 (ko)
CN (1) CN108075268B (ko)
DE (1) DE10201722005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2633B2 (ja) * 2015-12-28 2020-03-11 京セラ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582082B2 (ja) *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023789B2 (ja) * 2018-05-21 2022-0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971850B2 (en) * 2018-10-23 2021-04-06 Iriso Electronics Co., Ltd. Movable connector
JP7207975B2 (ja) * 2018-11-29 2023-01-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47629B2 (ja) * 2019-02-13 2023-03-2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
JP7287841B2 (ja) * 2019-06-19 2023-06-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721559B (zh) * 2019-09-12 2021-03-11 格稜股份有限公司 浮動式連接器
JP7164503B2 (ja) * 2019-09-18 2022-11-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161463B2 (ja) * 2019-10-10 2022-10-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7354886B2 (ja) * 2019-11-13 2023-10-0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装置
DE102019131392A1 (de) * 2019-11-21 2021-05-27 Connaught Electronics Ltd. Innenliegend ausgerichtete Kamera zur Verwendung in einem Fahrzeug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JP6911091B2 (ja) * 2019-11-27 2021-07-2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TWI723724B (zh) * 2020-01-03 2021-04-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高功率型板對板浮動連接器
JP7251905B2 (ja) * 2020-05-01 2023-04-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377781B2 (ja) * 2020-08-25 2023-11-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122812A (zh) * 2020-08-29 2022-03-01 超聚变数字技术有限公司 一种连接器、单板及板级架构
TWI753658B (zh) * 2020-11-16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電源電極結構之浮動連接器
JP7377187B2 (ja) * 2020-12-02 2023-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N113488789B (zh) * 2021-05-31 2022-09-09 上海航天科工电器研究院有限公司 导体结构及电连接模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214A (ja) * 1998-01-16 1999-07-30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62923A (ko) * 1999-11-30 2002-07-31 모루덱꾸 가부시끼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의 인서트 성형방법
KR20050089872A (ko) * 2003-01-07 2005-09-08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JP3976454B2 (ja) 1999-08-19 2007-09-19 株式会社明王化成 アンダカットを含むコネクタ端子列の成形方法
JP2009230944A (ja) * 2008-03-21 2009-10-08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164B2 (ja) * 1991-06-19 2000-03-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US5873742A (en) * 1996-06-18 1999-02-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3228460B2 (ja) * 1996-08-08 2001-1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H10321290A (ja) * 1997-05-15 1998-12-04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表面実装コネクタ
JP3882958B2 (ja) * 1997-06-30 2007-02-2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JP2004063358A (ja) * 2002-07-31 2004-02-26 Hirose Electric Co Ltd フローティング電気コネクタ
JP4411843B2 (ja) * 2003-01-22 2010-02-10 Smk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3905518B2 (ja) * 2004-01-23 2007-04-18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05216526A (ja) * 2004-01-27 2005-08-11 Smk Corp コネクタ
JP2006120448A (ja) * 2004-10-21 2006-05-11 Sony Corp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07018785A (ja) *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4969838B2 (ja) * 2005-11-28 2012-07-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JP2007220542A (ja) * 2006-02-17 2007-08-30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5006618B2 (ja) * 2006-10-25 2012-08-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886624B1 (ko) * 2007-07-23 2009-03-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동형 커넥터
JP5000560B2 (ja) * 2008-03-21 2012-08-1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185731B2 (ja) * 2008-08-27 2013-04-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用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る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11249076A (ja) * 2010-05-25 2011-12-08 Fujitsu Component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5590991B2 (ja) * 2010-06-30 2014-09-1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KR20150051997A (ko) * 2012-09-05 2015-05-13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커넥터
JP5296915B1 (ja) * 2012-11-15 2013-09-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備えたコネクタ
EP2733793B1 (en) * 2012-11-15 2016-06-15 Iriso Electronics Co., Ltd. Electric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JP5499191B1 (ja) * 2013-01-28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91664B1 (ja) * 2013-07-19 2014-05-1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486121B1 (ja) * 2013-07-24 2014-05-0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525920B (zh) * 2013-09-05 2016-03-11 意力速電子工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JP5568677B1 (ja) * 2013-11-13 2014-08-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EP2874238A1 (en) * 2013-11-13 2015-05-20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TWI614947B (zh) * 2013-11-13 2018-02-11 Iriso Electronics Co Ltd 電連接器
JP6553843B2 (ja) * 2014-03-18 2019-07-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297928B2 (ja) * 2014-06-02 2018-03-2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DE112015001539T5 (de) * 2014-06-23 2016-12-22 Iriso Electronics Co., Ltd. Verbindungsstruktur eines Verbinders und Verbinder
JP5849166B1 (ja)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438382B2 (ja) * 2015-12-15 2018-12-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05452B2 (ja) * 2016-03-08 2018-04-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6392B2 (ja) * 2016-05-23 2018-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部材との接続構造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9887484B1 (en) * 2017-02-16 2018-02-06 Amphenol East Asia Electronic Technology (Shen Zhen) Co., Ltd. Two-part floating electric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4214A (ja) * 1998-01-16 1999-07-30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76454B2 (ja) 1999-08-19 2007-09-19 株式会社明王化成 アンダカットを含むコネクタ端子列の成形方法
KR20020062923A (ko) * 1999-11-30 2002-07-31 모루덱꾸 가부시끼가이샤 리셉터클 커넥터의 인서트 성형방법
KR20050089872A (ko) * 2003-01-07 2005-09-08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가동형 커넥터용 컨택트 및 이를 사용한 가동형 커넥터
JP2009230944A (ja) * 2008-03-21 2009-10-08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66853A1 (en) 2018-12-20
JP6727103B2 (ja) 2020-07-22
KR102246397B1 (ko) 2021-04-29
US10230187B2 (en) 2019-03-12
CN108075268B (zh) 2022-03-04
US10483674B2 (en) 2019-11-19
DE102017220054A1 (de) 2018-05-17
JP2018078079A (ja) 2018-05-17
US20180138618A1 (en) 2018-05-17
CN108075268A (zh) 2018-05-25
DE102017220054B4 (de)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3233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EP2922150B1 (en) Connector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852358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260623B1 (ko) 전기 커넥터
US20200295511A1 (en) Connector
JP694100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888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JP2015035352A (ja) コネクタ
KR102186662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2020087837A (ja) コネクタ
JP6686145B2 (ja) コンタクト
JP6412046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652383B1 (ko) 커넥터
KR20180025188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위한 규제 금구
US7112087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2054810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21153070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019033034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33036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体との組立体
JP2016096152A (ja) コネクタ
KR20220077887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2019033035A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