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7887A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7887A
KR20220077887A KR1020210169629A KR20210169629A KR20220077887A KR 20220077887 A KR20220077887 A KR 20220077887A KR 1020210169629 A KR1020210169629 A KR 1020210169629A KR 20210169629 A KR20210169629 A KR 20210169629A KR 20220077887 A KR20220077887 A KR 20220077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mating connector
mating
inclination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헤이 기타가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77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8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상대 커넥터가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대 커넥터의 경사를 소정각보다 크게 되는 것을 저지하여 하우징의 손상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이와 상대 커넥터와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은,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단자 배열벽(21A)의 범위 내에, 커넥터 삽발 방향 Z에서 상대 커넥터의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를 정하는 삽발 방향 규제부(21C)를 갖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벽의 범위 외에서,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에 있는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삽발 방향 Z에서 상대 커넥터의 대응 부분과 간격을 갖는 경사 규제부(12A)를 갖고, 상대 커넥터의 발출 시에,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의 일단측 부분이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타단측 부분보다도 크게 솟아올라 상대 커넥터가 경사졌을 때, 상대 커넥터의 타단측 부분이 경사 규제부에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맞닿아 상대 커넥터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를 규제한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당해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발(揷拔)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발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형식의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의 제1 커넥터에 상대 커넥터로서의 제2 커넥터가 접속된다. 제1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납땜 실장되는 접속부 및 제2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단자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고 당해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단자를 배열 보유 지지하는(holding)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이 단자의 접촉부를 배열 보유 지지하는 섬 형상의 단자 배열벽(특허문헌 1에서는 「섬 형상부」)을 갖고 있다.
제1 커넥터의 하우징은, 섬 형상의 단자 배열벽의 주위에 제1 둘레벽부를 갖고, 이 제1 둘레벽부와 단자 배열벽의 사이에 환 형상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환 형상 공간에는, 제2 커넥터의 통 형상의 제2 둘레벽부가 하방으로 향하여 진입한다. 단자 배열벽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면의 하반분에, 하방을 향하여 단자 배열 방향에서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오목부를 갖고 있다. 당해 오목부는, 제2 커넥터의 발출 시에, 제2 커넥터의 제2 둘레벽부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일단측이 타단측보다도 상방(제2 커넥터의 발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즉, 제2 커넥터의 제2 둘레벽부에 있어서의 타단측의 단벽(端壁) 부분의 하부가, 제2 커넥터가 전술과 같이 경사졌을 때, 상기 오목부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2 커넥터의 제2 둘레벽부의 타단측에 있어서의 단벽의 하단은 상기 환 형상 공간의 저면에 맞닿아 있고, 전술의 경사 시의 지점으로서 작용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9-192576호
커넥터는, 통상,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소형화의 요청을 받고 있는 경우가 많고, 특허문헌 1에 있어서도, 제1 커넥터의 제1 둘레벽부 및 제2 커넥터의 제2 둘레벽부에 있어서의 단벽이 얇게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제2 커넥터가, 그의 발출 시에, 제1 커넥터의 단자 배열벽에 경사져 형성된 오목부에 맞닿을 때까지 경사졌을 때에는, 제2 커넥터의 단벽의 하부의 내면에 제1 커넥터의 단자 배열벽의 단면(상기 오목부의 내벽면)으로부터 큰 힘을 커넥터 길이 방향(단자 배열 방향), 즉 단벽의 두께 방향으로 받게 된다. 또한, 제2 커넥터의 경사각이 최대가 되기 전에 제1 커넥터의 제1 둘레벽부의 단벽의 내면이 제2 커넥터의 단벽의 외면으로부터 큰 힘을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받는 경우도 있다. 이들 커넥터 길이 방향의 힘은 얇은 단벽에 대하여 굽힘 응력을 발생하고, 그 결과, 단벽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상대 커넥터가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면서, 상대 커넥터의 경사가 소정각보다 커지는 것을 저지하여 하우징의 손상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이와 상대 커넥터를 갖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의 과제는, 다음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이와 상대 커넥터를 갖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해결된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당해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발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납땜 실장되는 접속부 및 상대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단자를 배열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단자의 접촉부를 배열 보유 지지하는 단자 배열벽을 갖는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벽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가 맞닿아 당해 상대 커넥터의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를 정하는 삽발방향 규제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 혹은 당해 하우징에 부착된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벽의 범위 외에서,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에 있는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당해 상대 커넥터의 대응 부분과 간격을 갖고 위치하는 경사 규제부를 갖고, 상기 경사 규제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양단측의 각각에 위치하는 일단측 경사 규제부와 타단측 경사 규제부를 갖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발출 시에,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의 일단측 부분이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타단측 부분보다도 크고 상기 일단측 경사 규제부로부터 솟아오르도록 상대 커넥터가 경사졌을 때, 당해 상대 커넥터의 타단측 부분이 상기 타단측 경사 규제부에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맞닿아 상대 커넥터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가 정규 위치 그리고 정규 자세로 끼워 맞춤되었을 때에는, 상대 커넥터는, 회로 기판에 대하여 경사지는 일 없이 직각 방향으로 끼워 맞춤되어 있고, 상기 삽발 방향 규제부에 대하여 상대 커넥터가 맞닿은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회로 기판 전기 커넥터의 단자 배열 방향의 양단에 위치하는 경사 규제부, 즉, 일단측 경사 규제부 및 타단측 경사 규제부와 상대 커넥터의 대응 부분의 사이에는,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간격이 형성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의 발출 시에는, 이 상대 커넥터를 회로 기판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인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제로는, 상대 커넥터를, 상기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일단측 부분이 타단측 부분보다도 솟아오르도록 경사시키면서 인상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조작이 발출을 용이하게 한다.
전술과 같이 상대 커넥터를 경사시키고 나서 인상하여 발출할 때, 본 발명에서는, 상대 커넥터는, 이 상대 커넥터의 대응 부분과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경사 규제부의 사이의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의 간격에 의해 경사가 허용되고, 그의 최대 경사량은, 상대 커넥터가 경사 규제부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즉, 상대 커넥터의 발출 시에,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의 일단측 부분이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타단측 부분보다도 크고 상기 일단측 경사 규제부로부터 솟아오르도록 상대 커넥터가 경사졌을 때, 당해 상대 커넥터의 타단측 부분이 상기 타단측 경사 규제부에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맞닿아 상대 커넥터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가 규제된다.
이러한 경사 규제부에 대한 상대 커넥터의 맞닿음력이 발생하는 방향은 커넥터 삽발 방향이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춤하는 하우징의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는, 통상,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두께에 비해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두께의 쪽이 크기 때문에 강도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의 맞닿음력에 의한 하우징의 경사 규제부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가령,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단자 배열 방향의 단부에 동방향에서 대향하는 부분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경사진 상대 커넥터의 단부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단부에 대하여 단자 배열 방향에서 맞닿기 전에, 상기 경사 규제부에 의해 상대 커넥터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가 저지되도록, 단자 배열 방향에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단부와 상대 커넥터의 단부의 사이에 간극을 설정해 둠으로써, 이들 단부끼리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맞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상기 단자 배열벽과, 이들 양단부의 각각을 연결하는 단벽을 갖고, 2개의 상기 단자 배열벽과 2개의 상기 단벽으로 둘레벽을 형성하고, 당해 둘레벽 내에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단벽의 내벽면은 2개의 단벽간 거리가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의 쪽으로 향하여 증대하는 경사면을 이루고, 당해 경사면에서 상대 커넥터가 상기 경사 규제부에 맞닿을 때까지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로 기판용 커넥터의 하우징이 단벽을 갖고 있어도, 단벽의 내벽면에는, 2개의 단벽간 거리가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의 쪽으로 향하여 증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가 경사 규제부에 맞닿을 때까지 당해 상대 커넥터의 경사를 상기 경사면에서 허용할 수 있다. 따라서, 회로 기판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단벽을 형성하는 것은, 상대 커넥터의 경사에 대하여 하등 지장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 규제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보다도 외측에까지 이르러 위치하고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대 커넥터가 경사졌을 때,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기 경사 규제부의 범위 내에, 상대 커넥터의 일단측 부분 및 타단측 부분이 각각 위치하기 쉬워져, 상대 커넥터의 경사가 커졌을 때, 상기 경사 규제부에 의해 상대 커넥터의 경사를 양호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사 규제부는,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부재로서의 금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경사 규제부를 금구에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의 일반적인 재료인 수지에 경사 규제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경사 규제부의 강도가 높아져, 상대 커넥터의 경사를 더욱 양호하게 규제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전술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와, 이에 끼워 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를 갖고, 상대 커넥터는,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상기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경사 규제부와 대향하는 경사 피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를 경사시키고 나서 인상하여 발출할 때, 상대 커넥터는, 이 상대 커넥터와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경사 규제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의 간격에 의해 경사가 허용되고, 그 최대 경사량은, 상대 커넥터가 경사 규제부에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즉, 경사 규제부에 대한 상대 커넥터의 맞닿음력이 발생하는 방향은 커넥터 삽발 방향이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와 끼워 맞춤하는 하우징의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는, 통상,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두께에 비하여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두께의 쪽이 크기 때문에 강도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의 맞닿음력에 의한 하우징의 경사 규제부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로서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끼워 맞춤 전에 있어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Y-Z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단자 위치에서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 중의 각각 1조(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B)는, 도 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한쪽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에 대해서, 상대 커넥터가 경사 자세로 발출되어 있는 도중에 있어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X-Z면에서의 단면도이고, (A)는 상대 커넥터가 정규 위치에서의 끼워 맞춤 상태, (B)는 상대 커넥터가 경사 자세로 발출되고 있는 도중에 있어서의, 도 4에 상당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Ⅰ)와 상대 커넥터(Ⅱ)의 끼워 맞춤 전에 있어서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Ⅰ)와 상대 커넥터(Ⅱ)를 나타내는 단자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커넥터(Ⅰ) 및 상대 커넥터(Ⅱ)의 Y-Z면에서의 단면도이고, 복수의 단자 중의 각각 1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한쪽의 연결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커넥터(Ⅰ) 및 상대 커넥터(Ⅱ)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고, 회로 기판의 면끼리가 서로 평행을 이룬 상태에서 끼워 맞춤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Ⅰ)는, 암(雌)형 단자(후술의 단자(30))를 갖는, 소위 리셉터클 커넥터로서 구성되어 있고, 커넥터(Ⅱ)는, 수(雄)형 단자(후술의 상대 단자(60))를 갖는, 소위 플러그 커넥터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방향성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한 단자 배열 방향을 X(한쪽을 X1, 다른 한쪽을 X2),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이고 단자 배열 방향 X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을 Y(한쪽을 Y1, 다른 한쪽을 Y2), X와 Y의 양쪽에 대하여 직각인 상하 방향을 Z(상방을 Z1, 하방을 Z2)로서 설정하고 있다.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부착되는 커넥터(Ⅰ)에는, 상하 방향 Z를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Ⅱ)가 상방 Z1로부터, 즉 하방 Z2로 향하여 끼워 맞춤 접속된다.
이하, 커넥터(Ⅰ), 상대 커넥터(Ⅱ)의 순으로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그리고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Ⅰ)는, 수지 등의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후술의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과, 금속제의 단자(30)와, 금속제의 연결 부재(40)를 갖고 있다. 커넥터(Ⅰ)는, 전체적으로 단자 배열 방향 X를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갖고,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되고, 단자(30) 및 연결 부재(40)가 각각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납땜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Ⅰ)는 단자 배열 방향 X 및 커넥터 폭방향 Y의 어느 방향에 있어서도 대칭으로 만들어져 있다.
하우징은, 단자(30) 및 연결 부재(40)를 통하여 회로 기판에 고정되는 2개의 고정 하우징(10)과,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하우징(20)을 갖고 있다.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20)은, 서로 별도 부재로서 만들어져 있다. 고정 하우징(10)은, 가동 하우징(20)에 대하여,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양측, 즉 Y1측 및 Y2측에 1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들 고정 하우징(10)은, 서로 별도 부재를 이루고, 각각 커넥터 폭방향 Y에서 가동 하우징(20)으로부터 이간하여 위치하고, 단자 배열 방향 X로 연장되어 있다.
각각의 고정 하우징(10)은,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단자(30)의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비교적 가는 봉 형상의 중간부(11)와,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중간부(11)의 양측에 위치하여 중간부(11)보다도 상하 방향 Z에서 높게 형성된 피연결부(12)를 갖고 있다. 즉, 각각의 피연결부(12)는,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고정 하우징(10)의 단부를 이루고, 그의 상면이 중간부(11)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중간부(11)는,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 X에 대하여 직각인 단면이 대략 크랭크 형상을 이루고, 커넥터 폭방향 Y에서 내방에 위치하여 상방 Z1을 향하여 돌출한 상부(11A)와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외방에 위치하여 하방 Z2를 향하여 돌출한 하부(11B)가 연결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중간부(11)의 상부(11A)와 하부(11B)는, 단자(30)의 일단측 부분(도면에서 하단측 부분)을 이루는 후술의 고정측 연결부(34)를 일체 몰드 성형(인서트 성형)에 의해 보유 지지하는 고정측 보유 지지부를 이루고 있다.
피연결부(12)는,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치수에 비해 상하 방향 Z에서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피연결부(12)의 상부는, 상대 커넥터(Ⅱ)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를 규제하기 위한 경사 규제부(12A)를 형성한다. 경사 규제부(12A)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의 발출 시에서, 커넥터 폭방향 Y로 연장되는 Y축선 둘레에서의 회전을 수반하여 상대 커넥터(Ⅱ)가 경사질 때, 경사 규제부(12A)의 평탄한 상면에서 상대 커넥터(Ⅱ)에 맞닿음으로써, 상대 커넥터(Ⅱ)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도 4 및 도 5(B) 참조). 피연결부(12) 나아가서는 경사 규제부(12A)는, 정규의 끼워 맞춤 위치에서의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도 5(A) 참조)에서,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상대 커넥터(Ⅱ)의 단벽(50B)의 외단면(단자 배열 방향 X에 대하여 직각인 면)보다도 외측에 이르러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X1측에 위치하는 경사 규제부(12A)를 「일단측 경사 규제부(12A)」, X2측에 위치하는 경사 규제부(12A)를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라고 한다.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경사 규제부(12A)」라고 총칭한다.
가동 하우징(20)은, 도 1 및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반부를 이루는 끼워 맞춤부(21)와 하반부를 이루는 지주부(22)를 갖고 있다.
끼워 맞춤부(21)는,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방 Z1으로 개구한 바닥이 있는 각통 형상부를 이루고 있고, 단자 배열 방향 X로 연장되는 2개의 단자 배열벽으로서의 측벽(21A)과, 커넥터 폭방향 Y로 연장되어 2개의 측벽(21A)의 양단부의 각각을 연결하는 2개의 단벽(21B)과, 2개의 측벽(21A) 및 2개의 단벽(21B)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벽의 하부를 폐색하는 저벽(21C)(도 2 참조)을 갖고 있다. 끼워 맞춤부(21)는,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측벽(21A) 및 저벽(21C)에서 단자(30)를 보유 지지하고 있다. 상기 둘레벽 및 저벽(21C)에 의해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하는 공간은, 상대 커넥터(Ⅱ)에 있어서의 대응부로서의 후술의 중앙벽(50D)을 상방 Z1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23)을 이루고 있다.
단벽(21B)은,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의 내면이 상방 Z1을 향하여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양쪽의 단벽(21B)의 내면끼리간의 거리(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거리)가 상방을 향함에 따라서 증대하는 바와 같은 경사면(21B-1)을 형성하고 있다. 단벽(21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가 고정 하우징(10)의 경사 규제부(12A)에 맞닿을 때까지 경사지는 것을 경사면(21B-1)에서 허용한다.
저벽(21C)은,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측벽(21A)과 동(同) 범위에 걸쳐 위치하고 있고, 상면이 평탄면을 이루고 있다. 저벽(21C)은, 커넥터 끼워 맞춤 시에서, 상하 방향 Z에서 상대 커넥터(Ⅱ)가 상방 Z1로부터 맞닿아 상대 커넥터(Ⅱ)의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를 정하는 삽발 방향 규제부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대 커넥터(Ⅱ)가 상하 방향 Z에 대하여 기우는 일 없이 커넥터(Ⅰ)에 끼워 맞춤되고, 상대 커넥터(Ⅱ)의 후술의 중앙벽(50D)이 수용 공간(23)으로 상방으로부터 끼워 넣어졌을 때, 저벽(21C)의 상면에 중앙벽(50D)의 하단면이 접면하여 맞닿음으로써, 상대 커넥터(Ⅱ)의 끼워 맞춤 최대 깊이가 정해지게 된다.
지주부(22)는, 저벽(21C)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Z2로 연장되는 세로 중앙벽부(22A) 및 세로 단벽부(22B)와, 세로 단벽부(22B)의 하단부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외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가동 피규제부(22C)를 갖고 있다. 지주부(22)는, 세로 중앙벽부(22A) 및 세로 단벽부(22B)의 하단은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면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당해 회로 기판에 대해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외력을 받았을 때에는, 단자(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20) 전체가 단자 배열 방향 X, 커넥터 폭방향 Y 및 상하 방향 Z에 가동으로 되어 있다.
세로 중앙벽부(22A)는,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저벽(21C)의 중앙 위치에서, 당해 저벽(21C)의 하면으로부터 하방 Z2로 연장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수용 공간(23)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세로 단벽부(22B)는,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끼워 맞춤부(21)의 단벽(21B)과 동 위치, 환언하면, 동 방향 X에서의 세로 중앙벽부(22A)의 양단 위치에서 세로 중앙벽부(22A)와 일체로 형성되고, 커넥터 폭방향 Y에서 단벽(21B)과 동(同)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가동 피규제부(22C)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세로 단벽부(22B)의 하단부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외방으로 연출(延出)되어 있고, 도 1 및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연결 부재(40)의 중간 가교부(41)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가동 피규제부(22C)는, 그의 상면이 중간 가교부(41)의 하면에 대하여 접면한 상태로 대향하고 있다(도 5(A) 참조). 이 결과, 상방 Z1로 향한 가동 하우징(20)의 이동은, 중간 가교부(41)에 대하여 가동 피규제부(22C)가 하방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규제되어 있다. 또한, 가동 피규제부(22C)는, 중간 가교부(41)에 대하여 상하 방향 Z에서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그 경우, 가동 하우징(20)이 상방 Z1을 향한 이동은, 상기 간격의 치수만큼 허용되게 된다.
저벽(21C), 세로 중앙벽부(22A) 및 세로 단벽부(22B)로 둘러싸인 공간은,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방 Z2 및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외방으로 향하여 개방되고, 단자(30)의 후술의 내직상부(33A) 및 중간 직상부(33C)를 수용하는 측방 개방 공간(24)을 형성하고 있다.
단자(30)는, 도 2 및 도 3(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 평띠형상편을 그의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서의 띠폭을 단자폭으로 하고 있다. 이 단자(30)는, 도 3(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술의 접촉부(32)의 단자폭이 타부의 단자폭보다도 약간 넓게 되어 있고, 당해 타부는 그의 전체 길이에 걸쳐 단자폭이 거의 등폭(等幅)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Ⅰ)를 단자 배열 방향 X로 보았을 때, 단자(30)는, 하방 Z2측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형성된 접속부(31)와, 상방 Z1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형성된 접촉부(32)와, 접속부(31)와 접촉부(32)의 사이에서 대략 횡S자 형상으로 연장되는 탄성부(33)와, 접속부(31)와 탄성부(33)를 연결하는 고정측 연결부(34)와, 접촉부(32)와 탄성부(33)를 연결하는 가동측 연결부(35)를 갖고 있다(도 3(A)도 참조). 단자(30)는, 커넥터 폭방향 Y에서 대칭을 이루도록 쌍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이 쌍이 단자 배열 방향 X에 복수 배열되어 있다.
접속부(31)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10)의 중간부(11)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당해 저면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접속부(31)는, 커넥터(Ⅰ)가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된다. 고정측 연결부(34)는, 접속부(31)의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내단으로부터 상방 Z1측에서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고, 고정 하우징(10)의 중간부(11)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고정측 연결부(34)의 일부의 하면은,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으로 지지되기 위해 드러나 있다.
접촉부(32)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가동 하우징(20)의 측벽(21A)의 내측면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그의 상단측 부분이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외측을 향하여 굴곡된 역U자 형상의 상단곡부(32A)를 형성하고 있다. 상단곡부(32A)는, 그의 선단부가 측벽(21A) 내에 완전하게 매설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 이외의 타부는 상면만이 드러난 상태에서 측벽(21A) 내에 매설되어 있다. 상단곡부(32A)의 상면, 특히 커넥터 폭방향 Y에서 내측이 되는 내측 상면은, 측벽(21A)의 상면에 대하여 약간 돌출되는 정도로 측벽(21A)과 거의 동일 레벨의 면을 형성하여, 상대 커넥터(Ⅱ)의 안내 도입면을 이루고 있다.
접촉부(32)의 직상 부분, 즉 측벽(21A)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은, 수용 공간(23)측을 향하는 내면만이 드러난 상태에서 측벽(21A) 내에 매설되어 있다. 상기 직상 부분의 내면은, 측벽(21A)의 내측면보다도 약간 돌출하여 드러나 있어 상대 커넥터(Ⅱ)의 상대 단자(60)와 접촉하는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다.
가동측 연결부(35)는, 접촉부(3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 Z2측에서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연장되어 있고, 가동 하우징(20)의 저벽(21C)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가동측 연결부(35)의 일부의 하면은, 일체 몰드 성형 시에 금형으로 지지되기 위해 드러나 있다.
탄성부(33)는,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 X로 봐서 대략 횡S자 형상을 이루도록 굴곡된 형상을 이루고 있고, 고정측 연결부(34)의 상단과 가동측 연결부(35)의 하단을 연결하고 있다. 탄성부(33)는, 커넥터 폭방향 Y에서 내측에 위치하는 내직상부(33A)와, 외측에 위치하는 외직상부(33B)와, 그들의 중간에 위치하는 중간 직상부(33C)와, 내직상부(33A)와 중간 직상부(33C)를 그들의 하단에서 연결하는 하단곡부(33D)와, 중간 직상부(33C)와 외직상부(33B)를 그들의 상단에서 연결하는 상단곡부(33E)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탄성부(33)는, 단자(30)가 외력을 받았을 때에, 단자 배열 방향 X, 커넥터 폭방향 Y 및 상하 방향 Z에서 탄성부(33) 전체로서의 탄성 변위(탄성 변형)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20)이, 상대 커넥터(Ⅱ)와 끼워 맞춤했을 때에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예를 들면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정규의 끼워 맞춤 위치에 대하여 어긋남을 일으켜 위치하면,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탄성부(33)의 탄성 변위에 의해 상기 어긋남이 흡수되어, 소위 플로팅이 이루어진다. 이 때, 가동 하우징(20)의 어긋남이, 예를 들면, 커넥터 폭방향 Y에서 Y1측인 경우, Y1측에 위치하는 단자(30)의 탄성부(33)가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압축되도록 탄성 변위하고, Y2측에 위치하는 단자(30)의 탄성부(33)가 동방향 Y에서 확대되도록 각각 탄성 변위를 일으킨다.
연결 부재(40)는, 도 3(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금속 띠 형상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 3(B)에 나타나 있는 것은, 커넥터(Ⅰ)에 형성되어 있는 2개의 연결 부재(40) 중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X1측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40)이다. X2측에 위치하는 연결 부재(40)는, 도 3(B)에 나타나는 연결 부재(40)에 대하여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대칭인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40)는,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가동 하우징(20)의 하부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고, 회로 기판의 면에 평행이고 커넥터 폭방향 Y로 연장되는 중간 가교부(41)와, 중간 가교부(41)의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양단에서 굴곡되어 하방 Z2를 향하여 연장되는 다리 형상을 이루는 피보유 지지부(42)와, 피보유 지지부(42)의 하단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피고정부(43)를 갖고 있다.
중간 가교부(41)는, 그의 판두께 방향이 상하 방향 Z로 되는 바와 같은 자세로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폭방향 Y에서 2개의 고정 하우징(10)의 피연결부(12)끼리의 사이에 걸치는 범위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중간 가교부(41)는, 가동 하우징(20)의 가동 피규제부(22C)의 바로 위에서 가동 피규제부(22C)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맞닿음 가능하게 위치하고 있고, 가동 피규제부(22C) 나아가서는 가동 하우징(20)의 상방 Z1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피보유 지지부(42)는, 고정 하우징(10)의 피연결부(12) 내에서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매설 보유 지지되어 있다. 피고정부(43)는, 고정 하우징(10)의 피연결부(12)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당해 저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피고정부(43)는, 커넥터(Ⅰ)가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납땜 접속에 의해 고정된다.
연결 부재(40)가 2개의 고정 하우징(10)의 피연결부(12)에 보유 지지됨으로써, 이들의 고정 하우징(10)끼리가 연결 부재(40)에 의해 연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Ⅰ)를 상하 방향 Z에서 보았을 때에, 고정 하우징(10)과 연결 부재(40)가 서로 어울려, 가동 하우징(20)의 하부를 둘러싸는 바와 같은 4각 프레임 형상을 이룬다. 이 연결 부재(40)를 이용하여, 분리하여 위치하는 2개의 고정 하우징(10)을 연결하는 이점으로서는, 2개의 고정 하우징(10)의 회로 기판으로의 고정의 강화에 더하여, 커넥터(Ⅰ)의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소형화와 고정 하우징(10)의 제조 용이화를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의 중간 가교부(41)가 가동 하우징(20)의 상방 Z1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로서 기능할 때, 연결 부재(40)가 금속제인 것으로 인해, 강도가 높고 규제의 능력이 커지는 것도 이점으로서 들 수 있다.
상대 커넥터(Ⅱ)는,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지 등의 전기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 상대 하우징(50)과, 상대 하우징(50)에 의해 보유 지지된 금속판제의 상대 단자(60)를 갖고 있다. 도 1에서는, 상대 커넥터(Ⅱ)는 하방 Z2를 향하여 커넥터(Ⅰ)로 끼워 맞춤 접속될 때의 자세로 나타나 있고,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는 저면측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Ⅱ)의 끼워 맞춤측은, 하방 Z2를 향하고 있기 때문에, 도 1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상대 하우징(50)은,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단자 배열 방향 X를 길이 방향으로 하는 직방체 외형을 이루고 있다. 상대 하우징(50)은, 단자 배열 방향 X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50A)과, 커넥터 폭방향 Y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50A)의 양단부의 각각을 연결하는 2개의 단벽(50B)과, 2개의 측벽(50A) 및 2개의 단벽(50B)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벽의 도 1에서의 상부를 폐색하는 저벽(50C)과, 상기 둘레벽 내에서 저벽(50C)으로부터 하방 Z2로 연장되는 중앙벽(50D)(도 2 및 도 5(A), (B) 참조)을 갖고 있다. 중앙벽(50D)은, 커넥터 폭방향 Y의 중앙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 X로 연장되는 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둘레벽, 저벽(50C) 및 중앙벽(50D)에 의해 둘러싸인 도 1에서의 하방 Z2로 개구하는 환 형상 공간은, 커넥터(Ⅰ)의 끼워 맞춤부(21)의 둘레벽을 하방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상대측 수용 공간(51)을 이루고 있다(도 2 및 도 5(A), (B) 참조).
단벽(50B)은,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치수에 비하여 상하 방향 Z에서의 치수가 크게 되어 있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벽(50B)의 하단부는, 측벽(50A)의 하단보다도 하방 Z2로 돌출되어 있고, 경사 피규제부(50B-1)를 형성하고 있다(도 5(A), (B)도 참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경사 피규제부(50B-1)는, 커넥터 발출 시에, 상대 커넥터(Ⅱ)가 상하 방향 Z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 즉, 커넥터 폭방향 Y의 축선 둘레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졌을 때, 커넥터(Ⅰ)의 경사 규제부(12A)의 상면에 상방 Z1로부터 맞닿고, 소정각보다 큰 경사의 규제를 받도록 되어 있다(도 4, 도 5(B)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X1측에 위치하는 경사 피규제부(50B-1)를 「일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 X2측에 위치하는 경사 피규제부(50B-1)를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라고 한다.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간단히 「경사 피규제부(50B-1)」라고 총칭한다.
중앙벽(50D)의 하단부는 삽발 방향 피규제부(50D-1)를 형성하고 있다. 삽발 방향 피규제부(50D-1)는,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가 상하 방향 Z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일 없이 하방 Z2로 향하여 커넥터(Ⅰ)와의 정규의 끼워 맞춤 위치까지 오게 되었을 때에, 커넥터(Ⅰ)의 삽발 방향 규제부로서의 저벽(21C)에 맞닿는다. 그 결과, 삽발 방향 피규제부(50D-1)의 하면이 저벽(21C)의 상면에 접면하여, 상대 커넥터(Ⅱ)의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가 정해진다.
상대 하우징(50)은, 커넥터(Ⅰ)와의 정규의 끼워 맞춤 위치(도 5(A) 참조)에 있을 때, 이미 서술한 커넥터(Ⅰ)의 하우징에 대하여, 단자 배열 방향 X 및 상하 방향 Z에서, 다음의 (1) 내지 (3)과 같은 치수 관계를 갖고 있다.
(1) 상대 커넥터(Ⅱ)의 상대 하우징(50)은,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양측의 단벽(50B)의 외면끼리간 거리 L2가, 커넥터(Ⅰ)의 고정 하우징(10)의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양단에 있어서의 피연결부(12)의 외단끼리간 거리 L1보다도 작고, 상대 하우징(50)의 단벽(50B)은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피연결부(12)의 범위에 있다. 즉,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단벽(50B)의 하단부를 이루는 경사 피규제부(50B-1)가, 피연결부(12)의 상부를 이루는 경사 규제부(12A)의 범위에 있다.
(2) 상대 커넥터(Ⅱ)의 상대 하우징(50)에 있어서의 단벽(50B)은,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중앙벽(50D)의 삽발 방향 피규제부(50D-1)보다도 하방 Z2로 거리 h1만큼 돌출되어 있다. 환언하면, 삽발 방향 피규제부(50D-1)가 단벽(50B)의 하단보다도 상방 Z1로 거리 h1만큼 내려 앉아 있다. 또한, 단벽(50B)의 경사 피규제부(50B-1)가, 상하 방향 Z에서 커넥터(Ⅰ)의 고정 하우징(10)의 피연결부(12)의 경사 규제부(12A)와의 사이에 간격 h2를 형성하고 있다.
(3) 상대 커넥터(Ⅱ)의 상대 하우징(50)에 있어서의 상대측 수용 공간(51)의 저면(도 5(A)에서 상면)은, 상하 방향 Z에서 커넥터(Ⅰ)의 가동 하우징(20)의 단 벽(21B)과의 사이에 간격 h3을 형성하고 있다.
상대 하우징(50)에는,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상대 단자(60)를 수용하는 단자홈(52)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대 단자(60)는, 금속판의 판면을 판두께 방향으로 펀칭하여 만들어져 있고, 판면이 도 2의 지면(YZ면)에 평행이 되는 자세로 단자홈(52)에 수용된다.
단자홈(52)은,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외수용홈(52A)과, 압입홈(52B)과, 내수용홈(52C)을 갖고 있다. 외수용홈(52A)은, 상하 방향 Z에서 측벽(50A)의 중간 위치로부터 저벽(50C)의 저면(도 2에서의 상면)에 걸치는 범위에서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내측 및 상방 Z1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압입홈(52B)은, 도 2에서의 외수용홈(52A)보다도 하방 Z2에서, 측벽(50A)을 상하 방향 Z로 관통하는 구멍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내수용홈(52C)은, 상하 방향 Z에서 중앙벽(50D)의 하단 근처의 위치로부터 저벽(50C)의 저면(도 2에서의 상면)에 걸치는 범위에서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외측 및 상방 Z1로 개방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자홈(52)은, 도 2의 지면에 직각인 방향(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홈 폭이, 상대 단자(60)의 판두께에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상대 단자(60)는, 이미 서술과 같이, 금속판을 그의 평탄한 판면을 유지하면서 판두께 방향(판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펀칭함으로써 만들어져 있다(도 3을 참조). 상대 단자(60)는,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 Z로 연장되는 직상의 고정 팔부(61)와, 상하 방향 Z에서의 고정 팔부(61)의 중간 위치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내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연출 팔부(62)와, 연출 팔부(62)로부터 굴곡되어 하방 Z2로 연장되는 접촉 팔부(63)와, 고정 팔부(61)의 상단부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외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64)를 갖고 있다.
고정 팔부(61)는,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반부가 외수용홈(52A) 내에 수용되어 있음과 함께, 하반부가 압입홈(52B) 내에서 압입에 의해 보유 지지되어 있다. 고정 팔부(61)의 하반부에는, 그의 측연(側緣)에 압입 돌기(6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반부가 압입홈(52B)으로 상방에서 소정 위치까지 압입되었을 때에, 압입 돌기(61A)가 압입홈(52B)의 내벽면에 파고들어감으로써 고정되고, 그 결과, 상대 단자(60)의 빠짐이 방지되어 있다.
접촉 팔부(63)는, 후술의 접촉부(63A)를 제외하고 내수용홈(52C) 내에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팔부(63)는, 그의 판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 X)에서 내수용홈(52C)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위치하고 있고, 커넥터 폭방향 Y에서의 탄성 변위가 허용되어 있다. 접촉 팔부(63)의 하단부에는,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여 상대측 수용 공간(51) 내에 위치하는 접촉부(63A)가 형성되어 있다. 접촉부(63A)는, 이미 서술한 커넥터(Ⅰ)의 단자(30)의 접촉부(32)에 접촉하기 위한 부위이고, 접촉 팔부(63)의 탄성 변위 상태 하에서, 접촉부(63A)의 돌출 정면(頂面)(판두께면)에서 접촉부(32)의 판면에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접속부(64)는, 커넥터(Ⅱ)가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2에서의 상연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된다.
이미 서술한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Ⅰ)는, 전술의 상대 커넥터(Ⅱ)와 함께,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우선, 커넥터(Ⅰ)와 상대 커넥터(Ⅱ)는, 각각에 대응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에 실장된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Ⅰ)는, 단자(30)의 접속부(31)가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됨과 함께, 연결 부재(40)의 피고정부(43)가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납땜 고정됨으로써 실장된다. 한편, 상대 커넥터(Ⅱ)는, 상대 단자(60)의 접속부(64)가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됨으로써 실장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를, 상대측 수용 공간(51)(도 2 참조)이 하방 Z2로 개구한 자세로 커넥터(Ⅰ)의 상방에 위치시키고, 끼워 맞춤 직전의 상태로 한다. 그러한 후, 상대 커넥터(Ⅱ)를, 상하 방향 Z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일 없이 강하시킨다. 이 상대 커넥터(Ⅱ)의 강하에 의해, 상대 커넥터(Ⅱ)의 중앙벽(50D)이 커넥터(Ⅰ)의 끼워 맞춤부(21)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23) 내로 상방으로부터 진입함과 함께, 상대 커넥터(Ⅱ)의 상대측 수용 공간(51)으로 커넥터(Ⅰ)의 끼워 맞춤부(21)가 하방으로부터 진입하여, 커넥터(Ⅰ)와 상대 커넥터(Ⅱ)는 서로 도 5(A)에 나타내는 정규의 끼워 맞춤 위치(정규 끼워 맞춤 위치)에 오게 되어 끼워 맞춤 상태가 된다.
이 정규 끼워 맞춤 위치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Ⅱ)의 중앙벽(50D)의 하단부, 즉 삽발 방향 피규제부(50D-1)의 하면이, 커넥터(Ⅰ)의 끼워 맞춤부(21)의 삽발 방향 규제부, 즉 저벽(21C)의 상면에 맞닿음으로써, 상대 커넥터(Ⅱ)가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에 정해져 있다(도 5(A) 참조). 이러한 정규 끼워 맞춤 위치에서는,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와 커넥터(Ⅰ)는, 상대 커넥터(Ⅱ)의 삽발 방향 피규제부(50D-1)와 커넥터(Ⅰ)의 삽발 방향 규제부로서의 저벽(21C)이 상하 방향 Z에서 맞닿을 뿐이고, 다른 부위는 맞닿아 있지 않다. 또한, 이 때,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의 저벽(50C)과 커넥터(Ⅰ)의 단벽(21B)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 Z에서 간격 h3이 형성되어 있고, 상대 커넥터(Ⅱ)의 단벽(50B)의 경사 피규제부(50B-1)와 커넥터(Ⅰ)의 경사 규제부(12A)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 Z에서 간격 h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Ⅰ)와 상대 커넥터(Ⅱ)는 정규 끼워 맞춤 위치에서, 상대 커넥터(Ⅰ)의 상대 단자(60)의 접촉부(63A)가, 접촉 팔부(63)의 탄성 변위 상태 하에서, 커넥터(Ⅰ)의 단자(30)의 접촉부(32)에 접압(接壓)을 갖고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대 커넥터(Ⅱ)는, 커넥터(Ⅰ)에 대하여, 반드시 정규 끼워 맞춤 위치에 오게 된다고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대 커넥터(Ⅱ)가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정규 위치보다 Y1측(도 2에서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커넥터(Ⅰ)로의 끼워 맞춤이 개시되면, 커넥터(Ⅰ)의 가동 하우징(20)은, 상대 하우징(50)으로부터 Y1측으로 향한 힘을 받아, 단자(30)의 탄성부(33)의 탄성 변위(탄성 변형)에 의해, 고정 하우징(10)에 대하여 Y1측으로 이동한다. 즉, 탄성부(33)의 탄성 변위에 의해 어긋남이 흡수된다. 그 때, 도 2(A)에서, Y1측의 단자(30)의 탄성부(33)는 커넥터 폭방향 Y에서 압축하도록 탄성 변위하고, Y2측의 단자(30)의 탄성부(33)는 커넥터 폭방향 Y에서 확대되도록 탄성 변위한다. 이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가 정규 위치로부터 어긋난 위치에서 끼워 맞춤되어도, 그 어긋남의 양이 허용량 내이면, 탄성부(33)의 탄성 변위에 의해 대응할 수 있다.
커넥터(Ⅰ)에 끼워 맞춤하고 있는 상대 커넥터(Ⅱ)를 커넥터(Ⅰ)로부터 발출 할 때에는, 상대 커넥터(Ⅱ)를 상하 방향 Z에 대하여 경사시키는 일 없이, 똑바로 상방 Z1로 인상함으로써 발출할 수 있지만, 상대 커넥터(Ⅱ)가 상하 방향 Z에 대하여 경사시켜 발출되는 경우도 있다. 이 때, 도 4 및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를 커넥터 폭방향 Y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로 경사시키는 경우가 많다. 도 4 및 도 5(B)에는,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상대 커넥터(Ⅱ)의 일단측 부분(X1측 부분)이 타단측 부분(X2측 부분)보다 크게 솟아오른 상태가 나타나 있다.
종래, 이와 같이 경사를 수반하여 상대 커넥터를 커넥터로부터 발출하고자 하면,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타단측에서, 커넥터의 단벽과 상대 커넥터의 단벽의 사이에,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맞닿음력이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통상,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커넥터의 소경화의 요청으로부터 동방향에서 단벽이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그러한 경우, 단벽이 상기 맞닿음력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A)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가 정규 끼워 맞춤 위치에서 커넥터(Ⅰ)에 끼워 맞춤하고 있을 때, 상대 커넥터(Ⅱ)는 상하 방향 Z에 대하여 경사져 있지 않고,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상대 커넥터(Ⅱ)의 중앙벽(50D)의 단면(50D-2)과 커넥터(Ⅰ)의 단벽(21B)의 경사면(21B-1)의 사이에는 간격 a가 형성되어 있다. 상대 커넥터(Ⅱ)를 발출할 때,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일단측(X1측)에서 상대 커넥터(Ⅱ)의 일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가 커넥터(Ⅰ)의 일단측 경사 규제부(12A)로부터 솟아오르도록 상대 커넥터(Ⅱ)가 경사졌을 때,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대 커넥터(Ⅱ)의 경사는 간격 a에 의해 허용된다.
상대 커넥터(Ⅱ)는, 소정각으로 경사진 자세가 되었을 때에,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타단측(X2측)에서, 단벽(50B)의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에서, 커넥터(Ⅰ) 상하 방향의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에 상방으로부터 맞닿고, 상기 소정각보다 큰 경사각을 가진 경사가 규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가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에 맞닿음과 동시에, 도 5(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타단측(X2측)에서, 상대 커넥터(Ⅱ)의 중앙벽(50D)의 단면(50D-2)이 커넥터(Ⅰ)의 단벽(21B)의 경사면(21B-1)에 접면하여 맞닿는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앙벽(50D)의 단면(50D-2)과 단벽(21B)의 경사면(21B-1)의 맞닿음에 의해서도, 상대 커넥터(Ⅱ)의 경사가 규제된다. 상대 커넥터(Ⅱ)는,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가 커넥터(Ⅰ)의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에 맞닿은 상태에 있어서, 일단측(X1측)에서 커넥터(Ⅰ)로부터 발출되어 있고, 그러한 후, 상방 Z1로 똑바로 솟아오름으로써 용이하게 발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정각보다 큰 각도에서의 상대 커넥터(Ⅱ)의 경사는,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가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에 상방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규제된다. 따라서,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와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의 맞닿음력은 상하 방향 Z에서 발생한다. 커넥터(Ⅰ)에 있어서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가 형성되어 있는 피연결부(12) 및 커넥터(Ⅱ)에 있어서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가 형성되어 있는 단벽(50B)은, 각각, 단자 배열 방향 X에서의 치수에 비하여 상하 방향 Z에서의 치수가 크고, 강도가 높게 되어 있다. 따라서,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 및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는, 상하 방향 Z에서 발생하는 상기 맞닿음력에 대하여 충분히 대항할 수 있고, 이 결과, 상기 맞닿음력에 의한 하우징의 손상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A), (B)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커넥터(Ⅰ)의 경사 규제부(12A)는,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상대 커넥터(Ⅱ)의 단벽(50B)보다도 외측에까지 이르러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Ⅱ)가 경사졌을 때, 단자 배열 방향 X에서 타단측 경사 규제부(12A)의 범위 내에 상대 커넥터(Ⅱ)의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가 위치하기 쉬워져, 타단측 경사 피규제부(50B-1)에 의해 상대 커넥터(Ⅱ)의 경사를 양호하게 규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규제부(12A)는 고정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대신하여, 경사 규제부는 가동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 하우징(10) 및 가동 하우징(20)에 의해 단자(30)를 보유 지지하고, 고정 하우징(10)에 경사 규제부(12A)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대신하여,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과, 경사 규제부를 갖는 하우징을 부재로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그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하우징은, 예를 들면,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고정 하우징 및 가동 하우징에 더하여, 경사 규제부가 형성된 별개로 독립된 부재로서의 하우징 부재를 갖게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Ⅰ)의 하우징은 고정 하우징(10)과 가동 하우징(20)으로 분리된, 소위 플로팅 가능한 형식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1개의 하우징에 의한 형식이라도 좋다. 또한, 하우징의 단자 배열벽은, 본 실시 형태에서 나타난 하우징의 측벽이 아니어도, 둘레벽 내에 위치하는 중앙 기립벽, 혹은, 둘레벽에 둘러싸여 있지 않은 기립벽이라도 좋고, 나아가서는, 단자 배열벽의 수는, 단수, 복수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규제부(12A)는 커넥터(Ⅰ)의 고정 하우징(10)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에 대신하여, 경사 규제부는 하우징에 부착된 다른 부재, 예를 들면, 금구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는, 커넥터(Ⅰ)가, 고정 하우징, 가동 하우징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1개의 하우징의 형식으로 했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경사 규제부를 금구에 형성하는 경우, 하우징의 일반적인 재료인 수지에 경사 규제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경사 규제부의 강도가 높아져, 상대 커넥터의 경사를 더욱 양호하게 규제할 수 있다. 이는, 커넥터의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은 형식일 때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인 커넥터(Ⅰ)에 삽발 방향 규제부 및 경사 규제부를 형성하고, 플러그 커넥터인 상대 커넥터(Ⅱ)에 삽발 방향 피규제부 및 경사 피규제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각 부가 형성되는 커넥터의 형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삽발 방향 규제부 및 경사 규제부를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하고, 삽발 방향 피규제부 및 경사 피규제부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형성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대 커넥터(Ⅱ)의 발출 시에, 단자 배열 방향 X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Ⅱ)의 X1측의 단부가 솟아오르도록 경사지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상대 커넥터(Ⅱ)의 X2측의 단부가 솟아오르도록 경사지는 경우에는, X2측이 일단측, X1측이 타단측이 되고, 상대 커넥터(Ⅱ)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는 본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규제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Ⅰ)의 단벽(21B)의 경사면(21B-1)은, 경사 자세로 된 상대 커넥터(Ⅱ)의 경사 피규제부(50B-1)가 커넥터(Ⅰ)의 경사 규제부(12A)에 맞닿는 것과 동시에, 상대 커넥터(Ⅱ)의 중앙벽(50D)의 단면(50D-2)이 경사면(21B-1)에 맞닿는(접면) 바와 같은 경사 각도(상하 방향 Z에 대한 경사 각도)를 갖고 형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경사면의 각도는, 더욱 큰 경사 각도를 갖고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큰 경사 각도로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상대 커넥터의 경사 피규제부가 커넥터의 경사 규제부에 맞닿은 상태에 있을 때, 상대 커넥터의 중앙벽의 단면은 커넥터의 단벽의 경사면에 맞닿아(접면) 있지 않고, 상기 단면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단자 배열 방향에서 간극이 형성된 상태가 된다. 즉, 이 경우, 상대 커넥터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는, 커넥터의 경사 규제부만에 의해 규제되고,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는 규제되지 않는다.
10 : 고정 하우징(하우징)
12A : 경사 규제부
20 : 가동 하우징
21A : 측벽(단자 배열벽)
21B : 단벽
21B-1 : 경사면
21C : 저벽(삽발 방향 규제부)
23 : 수용 공간
30 : 단자
Ⅰ : 커넥터(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Ⅱ : 상대 커넥터
X : 단자 배열 방향
Y : 커넥터 폭방향
Z : 상하 방향(커넥터 삽발 방향)

Claims (5)

  1. 회로 기판에 부착되어 당해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발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납땜 실장되는 접속부 및 상대 커넥터에 접속되는 접촉부가 형성된 단자와, 상기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평행한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단자를 배열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단자의 접촉부를 배열 보유 지지하는 단자 배열벽을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벽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가 맞닿아 당해 상대 커넥터의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를 정하는 삽발 방향 규제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 혹은 당해 하우징에 부착된 부재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벽의 범위 외에서, 끼워 맞춤 최대 깊이 위치에 있는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당해 상대 커넥터의 대응 부분과 간격을 갖고 위치하는 경사 규제부를 갖고,
    상기 경사 규제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양단측의 각각에 위치하는 일단측 경사 규제부와 타단측 경사 규제부를 갖고,
    상기 상대 커넥터의 발출 시에, 단자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상대 커넥터의 일단측 부분이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타단측 부분보다도 크고 상기 일단측 경사 규제부로부터 솟아오르도록 상대 커넥터가 경사졌을 때, 당해 상대 커넥터의 타단측 부분이 상기 타단측 경사 규제부에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맞닿아 상대 커넥터의 소정각보다 큰 경사를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서로 평행한 2개의 상기 단자 배열벽과, 이들의 양단부의 각각을 연결하는 단벽(端壁)을 갖고, 2개의 상기 단자 배열벽과 2개의 상기 단벽으로 둘레벽을 형성하고, 당해 둘레벽 내에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고, 단벽의 내벽면은 2개의 단벽간 거리가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의 쪽으로 향하여 증대하는 경사면을 이루고, 당해 경사면에서 상대 커넥터가 상기 경사 규제부에 맞닿을 때까지 경사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규제부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상대 커넥터보다도 외측에까지 이르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규제부는,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부재로서의 금구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와, 이에 끼워 맞춤 접속되는 상대 커넥터를 갖고, 상대 커넥터는,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상기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경사 규제부와 대향하는 경사 피규제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169629A 2020-12-02 2021-12-01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220077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200524 2020-12-02
JP2020200524A JP7377187B2 (ja) 2020-12-02 2020-12-02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887A true KR20220077887A (ko) 2022-06-09

Family

ID=8175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629A KR20220077887A (ko) 2020-12-02 2021-12-01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43193B2 (ko)
JP (1) JP7377187B2 (ko)
KR (1) KR20220077887A (ko)
CN (1) CN1145976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820479B (zh) * 2021-09-07 2023-11-01 明泰科技股份有限公司 浮動電連接器及電路連接構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2576A (ja) 2018-04-27 2019-10-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8808B2 (ja) 2001-05-28 2003-12-1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875211B2 (ja) 2003-04-25 2007-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体
JP3105467U (ja) 2004-05-26 2004-10-28 禾昌興業股▲ふん▼有限公司 ボードコネクタモジュール
JP5590991B2 (ja) * 2010-06-30 2014-09-1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99191B1 (ja) * 2013-01-28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2874238A1 (en) * 2013-11-13 2015-05-20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6553843B2 (ja) * 2014-03-18 2019-07-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49166B1 (ja)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662633B2 (ja) * 2015-12-28 2020-03-11 京セラ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16911B1 (ja) * 2016-11-24 2018-04-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608361B2 (en) * 2017-05-19 2020-03-3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6941001B2 (ja) * 2017-08-09 2021-09-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199761B1 (en) * 2017-11-22 2019-02-05 Greenconn Corp. Signal transmission assembly and floating connector
JP2019192527A (ja) * 2018-04-26 2019-10-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197995B2 (ja) * 2018-04-26 2022-12-2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92576A (ja) 2018-04-27 2019-10-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43193B2 (en) 2023-12-12
JP2022088211A (ja) 2022-06-14
JP7377187B2 (ja) 2023-11-09
CN114597691A (zh) 2022-06-07
US20220173536A1 (en)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39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6591251B2 (ja) コネクタ
KR101567356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JP4665674B2 (ja) コネクタ
US6908345B2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KR101450401B1 (ko) 전기 커넥터
JP5369125B2 (ja) 電気コネクタ
JP7207975B2 (ja) コネクタ
CN111164840A (zh) 连接器
JP4030954B2 (ja) レセプタクル電気コネクタ
US10505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 supports
KR10141888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6909148B2 (ja) 回路基板用l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10164365B2 (en) Female terminal and connector including female terminal
EP2180553A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KR20040071603A (ko) 전기 커넥터
JP2012156090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KR102157636B1 (ko) 커넥터
US20150056871A1 (en) Terminal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180025187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220077887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477495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JP2008146888A (ja) 電気コネクタ
CN112018535A (zh) 电连接器组装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