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160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1603A
KR20040071603A KR1020040006235A KR20040006235A KR20040071603A KR 20040071603 A KR20040071603 A KR 20040071603A KR 1020040006235 A KR1020040006235 A KR 1020040006235A KR 20040006235 A KR20040006235 A KR 20040006235A KR 20040071603 A KR20040071603 A KR 20040071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tting
electrical connector
mating connector
circumferent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576B1 (ko
Inventor
미도리까와가즈야
가따요세겐지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276765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007160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1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1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부착된 커넥터끼리를 용이하게 끼워맞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대 커넥터 (30)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 (16) 가 둘레벽 (13) 이 대략 사각통형상인 내벽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둘레벽의 한 쌍의 대향벽에 복수의 단자 (12) 가 배열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 (13) 의 상면은 상기 수용 오목부 (16) 의 개구 가장자리에 인접한 내부영역 (13B) 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 오목부 (16) 의 저부측으로 함몰한 몰입 상면부를 가지며, 둘레방향의 적어도 단자배열영역 외의 일부에 몰입 상면부로의 이행영역이 경사면 (13C)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특히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전기 커넥터로서는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첨부도면의 도 4 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소켓형의 커넥터 (50) 와 여기에 끼워맞춰지는 상대 커넥터 (60) 로 이루어져 있고, 대응하는 회로기판 (P1, P2) 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사용시에는, 통상적으로 양 커넥터 (50, 60) 는 회로기판에 부착된 상태로 끼워맞춰진다.
커넥터 (50) 는 도면에 있어서 폭치수에 비해서 높이치수가 작은 박형을 이루고, 또한 지면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길이치수가 상기 폭치수보다도 큰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고 있다. 하우징 (51) 은 둘레벽 (52) 의 내부에 상대 커넥터 (60) 의 수용을 위해서 수용 공간 (53) 을 형성하고, 그 중앙부에는 상대 커넥터 (60) 와 끼워맞추기 위한 끼워맞춤 볼록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50) 의 단자 (55) 는 그 중간부의 만곡부가 상기 하우징 (51) 의 둘레벽 (52) 을 끼워 지지하도록 상방으로부터 부착되고, 수용 공간 (53) 측의 단부에 접촉부 (56) 그리고 하우징 (51) 밖으로 연장되는 단부에 회로기판 (P1) 과 접속되는 접속부 (57) 를 각각 가지고 있다. 접촉부 (56) 는 상방을 향하는 단부에 만곡부로서 형성되어 탄성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 (50) 는 상대 커넥터 (60) 의 끼워넣음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지면의 양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한 도입벽 (58) 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대 커넥터 (60) 의 도입용으로서 경사면 (59) 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상대 커넥터 (60) 는 상기 커넥터 (50) 의 수용 오목부 (53) 에 수용되는 외형을 이루고, 그 하우징 (61) 의 측면에 단자 (62) 가 부착되어 있다. 이 단자 (62) 는 하우징 (61) 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는 중간부에 접촉부 (63) 를 가지고, 상단에서 외방으로 연장되는 단부에 회로기판 (P2) 에 접속되는 접속부 (64) 를 가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8753호 (도 12)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는 회로기판끼리간의 거리를 작게 하여 전자기기의 박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높이방향 (끼워맞춤방향) 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 즉, 저배화(低背化)가 요구된다.
한편, 양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부착된 상태에서 끼워맞춰지기 때문에, 끼워맞출 때에 회로기판에 의해 시야가 차단되어 끼워맞춤 위치를 확인하기 힘들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 (50) 의 경사부 (59) 는 길수록 끼워맞춤 위치에 대한 도입을 실시하기 쉽다. 그러나, 이 경사부 (59) 를 길게 한다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상기 경사부 (59) 의 형성을 위한 도입벽 (58) 의 높이를 크게 한다는 것이 된다. 결과적으로, 커넥터는 그만큼 높이 방향 치수가 커져 저배화를 실현할 수 없다. 그렇다고 해서, 높이를 크게 하지 않고 경사부를 길게 하면, 그 때문에 경사각도를 완만하게 하는 것이 되어 끼워맞춤 위치에 대한 도입을 실시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시킴과 동시에,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 위치에 대한 도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일방의 커넥터와 상대방인 타방의 커넥터를 끼워맞추기 전의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일방의 커넥터의 부분 평면도.
도 3 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일방의 커넥터와 상대방인 타방의 커넥터를 끼워맞추기 전의 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커넥터를 끼워맞추기 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커넥터 12 : 단자
12A : 탄성 접촉부 13 : 둘레벽
13B : 내부영역 13C : 경사면
14 : 끼워맞춤 볼록부 14A : (돌출) 상면
14B : 평탄부 14C : 경사부
16 : 수용 오목부 18A : 록 걸림부
30 : 상대 커넥터 32A-1 : 클릭 돌기부
상기 목적은, 본원의 제 1 발명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가 둘레벽의 대략 사각통형상인 내벽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둘레벽의 한 쌍의 대향벽에 복수의 단자가 배열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은 상기 수용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인접한 내부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 오목부의 저부측으로 함몰한 몰입 상면부를 가지고, 둘레방향의 적어도 단자배열영역 외의 일부에 몰입 상면부로의 이행영역이 경사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 또한 제 2 발명에 있어서는,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둘레벽의 대략 사각통형상인 내벽면으로 형성된 수용 오목부의 내부에,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둘레벽의 한 쌍의 대향벽에 복수의 단자가 배열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와 대면하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상면이 상기 둘레벽의 상면에 대해서 돌출되는 돌출상면과, 상기 돌출상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는 평탄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상면과 평탄부의 이행영역이 경사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커넥터 끼리의 접속시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부에서 상대 커넥터는 끼워맞춤 위치에 대해서 소정범위 내로 이동된다. 그 후에, 이 소정범위 내에서 상대 커넥터 대응부분은 임의방향으로 시행이동조작을 실시하는 중에 끼워맞춤 위치에 이동된다. 이 시행이동은 상기 소정범위 밖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하게 끼워맞춤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경사부에 의해 한계지어지는 상기 소정범위는 제 1 발명에서는 몰입 상면부에 의해, 제 2 발명에서는 평탄부에 의해 영역이 확대되고 있고, 상대 커넥터는 그 위치의 육안에 의한 확인이 곤란한 상태라도 용이하게 이 확대되어 있는 소정범위 내로 이동된다.
상기 경사부에 의해 정해지는 상기 소정범위는 몰입 상면부 혹은 평탄부에 의해 확대되기 때문에, 경사부 자체를 크게 하지 않아도 즉, 커넥터의 높이를 크게 하지 않아도 충분히 넓은 영역으로서 확보된다. 상기 몰입 상면부를 형성하는 내부영역은 통상적으로, 끼워맞춤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인 면으로서 형성된다.
제 1 그리고 제 2 발명에 있어서, 경사면은 테이퍼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 볼록부는 측면에 상대 커넥터와 록 (lock) 을 위한 록 걸림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끼워맞춘 후의 커넥터끼리의 탈락이 방지된다.
단자의 탄성 접촉부는 수용 오목부의 저부를 향하여 감기도록 만곡된 만곡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시에, 끼워맞춤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방향으로 탄성변위하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탄성 접촉부의 형태에 따르면, 끼워맞출 때 상대 커넥터 단자와의 맞닿는 압력이 크거나 충격적이어도, 접촉부는 끼워맞춤 방향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변위하기 때문에 단자가 버클링될 우려는 작다.
상대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단자는 그 접촉부보다도 끼워맞춤 방향 전방위치에 클릭 돌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의 끼워맞춤 완료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클릭감에 의한 확인이 유효하다.
이하, 첨부도면의 도 1 내지 도 3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 은 일방의 커넥터와 상대방인 타방의 커넥터를 끼워맞추기 전의 단면도이며, 도 2 는 상기 일방의 커넥터에 대한 부분 평면도 (일부파단) 이다.
도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한쪽의 커넥터 (10) 및 다른쪽의 커넥터 (30) 는 전기 절연재를 성형하여 얻어진 박형의 각각의 하우징 (11, 31) 에 복수의 단자 (12, 32) 를 각각 유지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커넥터 (10) 의 하우징 (11) 은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높이에 대해서 폭이 크고, 도 1 의 지면에 직각방향 (도 2 에서는 상하방향) 으로 길게 연장되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 (11) 은 둘레벽 (13) 내의 중앙위치에 끼워맞춤 볼록부 (14) 를 가지고 있고, 둘레벽 (13) 과 끼워맞춤 볼록부 (14) 는 저부 (15) 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둘레벽 (13) 과 끼워맞춤 볼록부 (14) 사이의 공간은, 상대 커넥터인 커넥터 (30) 의 수용을 위한 수용 오목부 (16)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둘레벽 (13) 의 대향벽 (도 1 에서 좌우의 둘레벽 부분) 에는, 도 1 에서 지면에 평행한 면에서 연장되는 슬릿형상의 단자홈 (17) 이 소정 간격을 가지고 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홈 (17) 은 상방으로 개구되어 끼워맞춤 볼록부 (14) 에 대향하는 측에서 깊게, 그리고 그 외측에서는 얕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둘레벽 (13) 의 상면은 도 2 에 나타내는 상하방향 양단 영역의 외부영역 (13A) 과 그 내측의 내부영역 (13B) 을 가지고 있다. 상기 상하방향의 중간영역 (단자배열영역) 에서는 외부영역은 존재하고 있지 않고 내부영역 (13B) 으로만 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 (16) 의 개구 가장자리에 작은 모따기부를 통하여 인접하는 내부영역 (13B) 의 면은 외부영역 (13A) 에 대해서 수용 오목부 (16) 의 저부측으로 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외부영역 (13A) 과 거의 평행한 면으로서 몰입 상면부를 이루고 있다. 외부영역 (13A) 과 내부영역 (13B) 은 경사면 (13C) 을 거쳐 이행하고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 (14) 는 도 1 에서도 명확한 바와 같이, 그 상면 (14A) 은 상기 외부영역 (13A) 의 면 그리고 내부영역 (13B) 의 면과 거의 평행한 면을 이루고 내부영역 (13B) 의 면에 비해서 약간 낮은 위치에 있다. 또한,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 (14) 에는 측면의 하부에 단차형상 오목부 (18) 가 형성되어 있고, 그 단부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걸림을 도모하는 록 걸림부 (18A) 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커넥터 (10) 의 단자 (12) 는 예컨대, 도 1 에서 지면에 평행한 면을 가지는 금속판을 블랭킹 가공하여 만들어지고 있고, 일단부에 접촉부 (12A), 타단부에 접속부 (12B), 그리고 중간부에 S 자형의 만곡부 (12C) 를 가지고 있다.접촉부 (12A) 는 상기 만곡부에 대해서 수용 오목부 (16) 측에 위치하고, 상기 수용 오목부 (16) 의 저부쪽을 향하여 감아들어가도록 하여 만곡되며, 단자홈 (17) 으로부터 수용 오목부 (16) 내로 돌입하여 형성되고 있다. 따라서, 이 접촉부 (12A) 는 상대 커넥터인 다른쪽 커넥터 (30) 가 수용 오목부 (16) 로 진입할 때에, 커넥터 (30) 와 맞닿으면 그 맞닿는 힘에 의해 주로 이 진입 방향과 직각인 횡방향으로 탄성휨을 만든다.
접속부 (12B) 는 L 자형으로 굴곡되어 있고 하우징 (11) 밖으로 돌출하여 상기 하우징 (11) 의 저면과 동일 레벨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S 자형을 이루는 만곡부 (12C) 는 외측의 만곡부분이 상방으로 그리고 내측의 만곡부분이 하방으로 위치하고 있고, 외측의 만곡부분이 하우징의 둘레벽 (13) 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강제로 끼워져 단자의 고정부로서 기능하며, 내측의 만곡부분은 단자홈 (17) 내에 있어서 단자에 가요성을 부여하여 상기 접촉부 (12A) 의 횡방향에서의 탄성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부 (12B) 그리고 만곡부 (12C) 자체는 그 요지로 하고 있지 않고, 그 형태에 제한은 없다.
다음에, 상대 커넥터인 다른쪽의 커넥터 (30) 는 하우징 (31) 이 상기 커넥터 (10) 의 수용 오목부 (16) 에 넣어져 끼워맞춤 볼록부 (14) 와 끼워 맞추어 지는 외형 그리고 끼워맞춤 오목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31) 의 외측면에는 도 1 의 지면에 직각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10) 의 복수의 단자홈 (17) 에 대응하는 각각의 위치에, 지면에 평행한 슬릿형의 단자홈 (34) 이 옆쪽을 향하여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단자홈 (34) 에는 단자 (32) 가 수용되어 있지만, 이 단자 (32) 도 상기 커넥터 (10) 의 단자 (12) 와 마찬가지로 금속판을 블랭킹 가공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단자 (32) 는 접촉부 (32A), 접속부 (32B) 그리고 만곡부 (32C) 를 가지고 있다. 이 단자 (32) 의 경우는, 만곡부 (32C) 가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초래하고, 접촉부 (32A) 의 근방 (끼워맞춤 방향 전방위치) 에 있어서는 단자홈 (34) 으로부터 돌출하는 클릭 돌기부 (32A-1) 를 가지고 있다.
도 1 에서, 하우징 (31) 의 하면 (31A) 은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33) 의 주위에서 평평한 면을 형성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33) 는 상기 커넥터 (10) 의 끼워맞춤 볼록부 (14) 에 끼워맞추는 형상 ·치수로 되어 있다.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 (343) 의 내벽면에는 커넥터 (30) 와 상기 커넥터 (10) 와의 소정 깊이까지 끼워맞출 때에 그 끼워맞춤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커넥터 (10) 의 록 걸림부 (18A) 와 서로 거는 록 폴 (pawl) 부 (3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 (10, 30) 는 다음의 요령으로 사용된다.
① 우선, 두 개의 커넥터 (10, 30) 를 각각 대응하는 회로기판 (도시 생략) 에 부착하고, 그리고 단자 (12, 32) 를 대응 회로부에 접속한다. 이 접속은 단자 (12, 32) 의 접속부 (12B, 32B) 를 각각 회로부로 납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회로기판은 통상 커넥터 (10, 30) 보다도 크게 신장된다.
② 회로기판에 부착된 커넥터 (10, 30) 를 서로 대향시켜 끼워맞춤 가능하다고 생각되는 위치에 이동한다.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일점쇄선을 따라양 커넥터 (10, 30) 를 근접시키면 그대로 끼워맞춰지는 경우도 있지만, 회로기판에 의해 시계가 차단되어 끼워맞춤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도 1 에 있어서 전후좌우로 어긋나게 되어 그대로 근접시키면, 커넥터 (30) 의 하우징 (31) 의 하면 (31A) 이 커넥터 (10) 의 둘레벽 (13) 의 상면 (외부영역 (13A) 이나 내부영역) 에 맞닿는다.
③ 다음에, 커넥터 (30) 의 하우징 (31) 의 하면 (31A) 이 하우징 (10) 의 둘레벽 (13) 의 상면에 슬라이드시키면서 커넥터 (30) 를 전후좌우로 이동조작시키면, 커넥터 (30) 의 하우징 (31) 의 폭은 커넥터 (10) 의 내부영역 (13B : 정확하게는 경사부 (13C) 를 포함한 내부영역 (13B)) 의 범위보다도 작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31) 은 용이하게 상기 내부영역 (13B) 의 범위에 들어간다. 그리고, 일단 들어가면, 상기 내부영역 (13B) 의 범위는 몰입 상면부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는 한, 상기 조작을 실시해도 상기 커넥터 (30) 의 하면 (31A) 은 이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내부영역 (13B) 의 면, 즉 몰입 상면부에 접면하고 있다.
④ 상기 커넥터 (30) 의 하면 (31A) 이 커넥터 (10) 의 내부영역 (13B) 의 몰입 상면부를 슬라이드시키면서 상기 조작을 실시하면, 상기 커넥터 (30) 는 커넥터 (10) 의 수용 오목부 (16) 를 향하여 도입되어 끼워맞춤 위치에 이동된다. 이 시점에서, 커넥터 (30) 의 움직임이 정지하기 때문에, 그 감촉으로 끼워맞춤 위치에 일치한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시에는 하방 (끼워맞춤 방향) 으로도 동시에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 후에 커넥터 (30) 는 끼워맞춤 상태에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추가로 힘을 가하여 상기 커넥터 (30) 를 깊게 수용 오목부 (16) 로 삽입한다.
⑤ 커넥터 (30)가 커넥터 (10) 의 수용 오목부 (16) 로 끼워넣어지기 시작하면, 커넥터 (30) 의 끼워맞춤 오목부 (33) 로 커넥터 (10) 의 끼워맞춤 볼록부 (14) 가 끼워 넣어지는 상태가 되어, 양자는 정규의 끼워맞춤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결정된다. 또한, 끼워맞춤이 진행되면, 커넥터 (30) 의 단자 (32) 의 접촉부 (32A) 와 커넥터 (10) 의 단자 (12) 의 접촉부 (12A) 는 서로 접촉하여 탄성압을 받고, 동시에 끼워맞춤 방향과 직각인 횡방향으로 탄성변위한다. 특히, 접촉부 (12) 는 하방을 향하여 감기도록 만곡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압력은 확실히 횡방향을 향하고, 단자, 즉 접촉부 (12A) 에 인접하는 만곡부 (12C) 의 부분에 버클링을 초래하는 일이 없다.
⑥ 끼워맞춤이 소정위치까지 실시되면, 커넥터 (30) 의 록 폴부 (33A) 가 커넥터 (10) 의 끼워맞춤 볼록부 (14) 의 록 걸림부 (18A) 에 걸려 끼워맞춤이 유지되고, 끼워맞춤 후의 커넥터끼리의 빠짐이 방지된다. 그 직후에 커넥터 (30) 의 단자 (32) 의 클릭 돌기부 (32A-1) 가 커넥터 (10) 의 단자 (12) 의 접촉부 (12A) 의 가장 돌출된 부분을 넘고, 이 시점에서 클릭감을 얻어 끼워맞춤이 소정위치까지 도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 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전 실시형태에서는, 상대 커넥터 (30) 를 끼워맞춤 위치에 가까운 범위로 끌어들이기 위해서, 커넥터의 하우징의 둘레벽 상면에 몰입 상면부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벽이 아니라 중앙에 위치하는 끼워맞춤 볼록부의 상면을 둘레벽에서 돌출시키고, 이 상면의 주위부에 둘레벽 상면과 거의 동일 레벨의 평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3 에 있어서, 커넥터 (10) 의 끼워맞춤 돌기부 (14) 는 그 상면이 둘레벽 (13) 의 상면 (13A-1) 보다도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고 있는 돌출상면 (14A) 과, 상기 돌출상면 (14A) 의 주위부에 있어 상기 상면 (13A-1) 과 거의 동일 높이 레벨의 평탄부 (14B) 를 가지고, 상기 돌출상면 (14A) 과 평탄부 (14B) 는 경사부 (14C) 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 (30) 를 끼워맞출 때에, 도 3 에서의 일점쇄선의 위치관계에 대해서 전후좌우 방향으로 어긋나 있을 때에는, 처음에 커넥터 (30) 의 하우징의 하면 (31A) 이 커넥터 (10) 의 상기 돌출상면 (14A) 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이전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요령으로 상기 커넥터 (30) 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드 이동조작하면, 커넥터 (30) 의 하면 (31A) 은 경사부 (14C) 를 거쳐 커넥터 (10) 의 평탄부 (14B) 에 들어가 끼워맞춤 위치 근방범위에 수용되어 이 범위에서 나오지 않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조작을 계속하면, 커넥터는 서로 끼워맞춤 위치에 이동되고, 조작시에는 하방 (끼워맞춤 방향) 으로도 동일한 힘을 받으므로, 저절로 끼워맞춤 상태가 되기 때문에, 더욱 힘을 가하여 끼워맞춤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몰입 상면부나 평탄부는 둘레방향의 일부에 형성되면 충분하지만 그 범위도 임의이고, 또한 전체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몰입 상면부나 평탄부는 약간의 경사를 가지고 있을 수도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넥터 (10) 의 끼워맞춤 볼록부 (14) 및 커넥터 (30) 의 끼워맞춤 오목부 (33) 는 없어도 된다.
경사부는 테이퍼면의 예를 나타냈지만 만곡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수용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직접 경사부를 연결하여 형성하지 않고, 개구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내부영역으로서 몰입 상면부를 형성하며, 그리고 경사부를 거쳐 외주영역에 이르도록 둘레벽의 상면을 형성하고, 혹은 수용 오목부 내에 형서된 끼워맞춤 볼록부의 상면 주위부에 경사부를 거쳐 상기 몰입부 상면부에 상당하는 평탄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기 때문에, 경사부의 높이를 크게 하지 않아도 경사부로 둘러싸이는 범위를 확장할 수 있고, 그 범위내로 용이하게 상대 커넥터를 도입할 수 있게 된다. 그 후에, 상기 범위내에서 상대 커넥터를 전후좌우 방향에서의 약간의 슬라이드 이동조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상대 커넥터는 용이하게 끼워맞춤 위치에 이동된다. 더구나, 상기 이동조작시에는 슬라이드면과 그 주위영역 사이에 고저차가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는 슬라이드면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8)

  1.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가 둘레벽의 대략 사각통형상인 내벽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둘레벽의 한 쌍의 대향벽에 복수의 단자가 배열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은 상기 수용 오목부의 개구 가장자리에 인접한 내부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수용 오목부의 저부측으로 함몰한 몰입 상면부를 가지며, 둘레방향의 적어도 단자배열영역 외의 일부에 몰입 상면부로의 이행영역이 경사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내부영역은 끼워맞춤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인 면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 오목부의 내부에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는 측면에 상대 커넥터와 록을 위한 록 걸림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둘레벽의 대략 사각통형상인 내벽면으로 형성된 수용 오목부의 내부에,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추는 끼워맞춤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둘레벽의 한 쌍의 대향벽에 복수의 단자가 배열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대 커넥터와 대면하는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상면이 상기 둘레벽의 상면에대해서 돌출되는 돌출상면과, 상기 돌출상면의 주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둘레벽의 상면과 거의 동일한 높이 위치에 있는 평탄부를 가지고, 상기 돌출상면과 평탄부의 이행영역이 경사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끼워맞춤 볼록부는 측면에 상대 커넥터와 록을 위한 록 걸림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경사부는 테이퍼면인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단자의 탄성 접촉부는 수용 오목부의 저부를 향하여 감기도록 만곡된 만곡 돌출부로 형성되고, 상대 커넥터와의 접촉시에 끼워맞춤 방향에 대해서 거의 직각 방향으로 탄성변위하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춰지는 커넥터에 있어서, 단자는 접촉부 근방에서 접촉부보다도 끼워맞춤 방향 전방위치에 클릭 돌기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40006235A 2003-02-06 2004-01-30 전기 커넥터 KR100697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29034 2003-02-06
JP2003029034A JP3949064B2 (ja) 2003-02-06 2003-02-06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1603A true KR20040071603A (ko) 2004-08-12
KR100697576B1 KR100697576B1 (ko) 2007-03-22

Family

ID=3276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6235A KR100697576B1 (ko) 2003-02-06 2004-01-30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18388B2 (ko)
EP (1) EP1453149B1 (ko)
JP (1) JP3949064B2 (ko)
KR (1) KR100697576B1 (ko)
CN (1) CN1294678C (ko)
DE (1) DE602004000777T2 (ko)
TW (1) TWI23912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49B1 (ko) * 2004-09-01 2007-01-17 주식회사 마루스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KR100721042B1 (ko) * 2005-06-07 2007-05-23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667692Y (zh) * 2003-09-11 2004-12-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3887634B2 (ja) * 2004-08-30 2007-02-28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US7144277B2 (en) * 2004-09-09 2006-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guidance face
CN2757356Y (zh) * 2004-12-01 2006-0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TWM284091U (en) * 2005-04-21 2005-12-2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EP1729552A3 (en) * 2005-06-03 2009-01-07 Ngk Spark Plug Co., Lt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ring board
KR20070014950A (ko) * 2005-07-28 2007-02-0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
JP4563915B2 (ja) * 2005-10-21 2010-10-2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207952B2 (ja) * 2005-12-15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059810A (ja) * 2006-08-29 2008-03-13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8146888A (ja) 2006-12-07 2008-06-2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JP4454651B2 (ja) * 2007-07-25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DE102007038221B3 (de) * 2007-08-13 2008-10-16 Erni Electronics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hermaphroditischen Kontaktelementen
JP4471998B2 (ja) * 2007-10-11 2010-06-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72762B2 (ja) * 2008-02-20 2010-06-02 Smk株式会社 接続用ソケット
JP5660756B2 (ja) * 2008-10-14 2015-01-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TWI396340B (zh) * 2009-07-31 201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CN101997212B (zh) * 2009-08-11 2012-10-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1927754U (zh) * 2010-11-16 2011-08-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头连接器及其组合
CN102810778B (zh) * 2011-06-03 2014-09-17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器
JP5638026B2 (ja) * 2012-05-01 2014-12-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JP5751434B2 (ja) *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WO2015017150A1 (en) * 2013-08-01 2015-0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function connector
KR20150084563A (ko) 2014-01-14 2015-07-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614334B2 (en) * 2014-10-31 2017-04-04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CN106025642A (zh) * 2016-07-28 2016-10-12 欧品电子(昆山)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母端连接器及公端连接器
US10170849B2 (en) * 2017-04-07 2019-01-0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slidable latch
JP6971269B2 (ja) * 2017-07-11 2021-11-2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7366653B2 (ja) * 2019-09-06 2023-10-2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6978711B1 (ja) * 2020-09-09 2021-1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樹脂モールドステータ、アウターロータ型モータ、送風装置、空気調和装置
JP2022105811A (ja) * 2021-01-05 2022-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82745T3 (es) * 1987-04-03 1996-04-01 Fina Technology Sistemas cataliticos metalocenos para la polimerizacion de las olefinas presentando un puente de hidrocarburo de silicio.
EP0304079B1 (en) * 1987-08-19 1995-10-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connected to a cable end and having means for reducing a tension acting to the cable and through the cable
US5299939A (en) * 1992-03-05 1994-04-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ring array connector
US5498167A (en) * 1994-04-13 1996-03-12 Molex Incorporated Board to board electrical connectors
JPH09213432A (ja) * 1996-02-05 1997-08-15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US5885092A (en) * 1996-06-21 1999-03-23 Molex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gistration characteristics
US6135781A (en) * 1996-07-17 2000-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US5921787A (en) * 1996-07-17 1999-07-1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1052788A (ja) * 1999-08-05 2001-02-23 Molex Inc Fpcとプリント基板間の電気コネクタ装置
CN2399842Y (zh) * 1999-10-29 2000-10-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02008753A (ja) * 2000-06-16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US6729890B2 (en) * 2000-12-29 2004-05-04 Molex Incorporated Reduced-size board-to-board connector
JP2002367694A (ja) 2001-06-12 2002-12-20 Nec Access Technica Ltd コネクタ
JP2004095889A (ja) * 2002-08-30 2004-03-25 Fasl Japan Ltd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1049B1 (ko) * 2004-09-01 2007-01-17 주식회사 마루스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KR100721042B1 (ko) * 2005-06-07 2007-05-23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53149A1 (en) 2004-09-01
CN1294678C (zh) 2007-01-10
DE602004000777D1 (de) 2006-06-08
DE602004000777T2 (de) 2007-05-16
JP3949064B2 (ja) 2007-07-25
EP1453149B1 (en) 2006-05-03
TW200415826A (en) 2004-08-16
US7118388B2 (en) 2006-10-10
TWI239123B (en) 2005-09-01
JP2004241253A (ja) 2004-08-26
KR100697576B1 (ko) 2007-03-22
CN1521898A (zh) 2004-08-18
US20040157478A1 (en) 2004-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576B1 (ko) 전기 커넥터
JP6385815B2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0942681B1 (ko) 전기 커넥터
US763778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620879B2 (en) Electrical terminal
JP4030954B2 (ja) レセプタクル電気コネクタ
US20090029592A1 (en) Connector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4239001A (ja) ガイド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2002367697A (ja) コンタクトとこれを装着した電気コネクタ
CN103329361A (zh) 触头和带有触头的连接器
KR101255371B1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TWI628881B (zh) Connector device for substrate connection
JP2008146888A (ja) 電気コネクタ
JP2009048922A (ja) ジャック用コネクタ
JP4267641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US2004016671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locking device
JP6814051B2 (ja) コネクタ
JP633536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6720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09289627A (ja) コネクタ
JP5201101B2 (ja) コネクタ
JP202401686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