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5371B1 -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5371B1 KR101255371B1 KR1020060072586A KR20060072586A KR101255371B1 KR 101255371 B1 KR101255371 B1 KR 101255371B1 KR 1020060072586 A KR1020060072586 A KR 1020060072586A KR 20060072586 A KR20060072586 A KR 20060072586A KR 101255371 B1 KR101255371 B1 KR 1012553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nnector
- corners
- fitting
- longitudinal dir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 1 커넥터 (20) 가 대략 직사각 상자형으로 돌출하는 환상 볼록부 (31) 와, 이 환상 볼록부 (31) 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감합 오목부 (32) 를 가지며, 감합 오목부 (32) 의 긴쪽 방향에 따른 내측면에 제 1 컨택트 (50) 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1 하우징 (30) 을 갖는다. 제 2 커넥터 (60) 는 상기 환상 볼록부 (31) 가 삽입되는 대략 직사각 상자형으로 움푹 패인 환상 오목부 (71) 와, 이 환상 오목부 (71) 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 (72) 를 가지며, 감합 볼록부 (72) 의 긴쪽 방향의 외측면에 상기 제 2 컨택트 (90) 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2 하우징 (70) 을 갖는다. 이 제 1 하우징 (30) 의 환상 볼록부 (31) 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 제 2 하우징 (70) 의 환상 오목부 (71) 로 들어가는 리브 (40) 를 돌설하는 것과 함께, 리브 (40) 의 옆에 감합 볼록부 (72) 에 대응하는 가이드홈 (46) 이 설치된다. 이 제 2 하우징 (70) 의 환상 오목부 (71) 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 상기 리브 (40) 가 끼워지는 통로 구멍 (80) 이 설치된다.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며, (a) 는 평면도, (b) 는 정면도, (c) 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X-X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의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를 나타내고 있으며, (a) 는 평면도, (b) 는 정면도, c) 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X-X 단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Y-Y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Z-Z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도 3 의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 은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도 3 의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되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도 1 의 리셉터클 커넥터와 도 3 의 플러그 커넥터를 역감합시킨 때의 감합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의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며, (a) 는 평면도, (b) 는 정면도, (c) 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각각 서로 상이한 기판에 설치되어, 이들 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2 개의 커넥터, 이른바 보드·투·보드 커넥터를 갖춘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판형 프린트 배선 기판 (이하, PCB 라고도 한다) 끼리를 서로 접속 (이른바 보드·투·보드 접속) 하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서로 상이한 기판에 설치되며, 서로 감합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갖추고 있고, 이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감합시킴으로써 PCB 끼리가 접속된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각각 복수의 컨택트와, 이것들 컨택트가 소정 피치로 배열된 하우징을 갖추고 있다. 통상, 리셉터클 커넥터의 하우징에 배열된 컨택트는 스프링성을 가지고 있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감합되면 각각의 하우징에 배열된 컨택트끼리는 이 스프링성에 의해 소정 압력으로 접촉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보드·투·보드 커넥터 중에는, 예를 들어 연결 볼록부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연결 오목부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의 연결 볼록부를 리셉터클 커넥터의 연결 오목부로 감합시킴으로써, 각각의 커넥터의 컨택트 (접점) 끼리가 접속되어 보드·투·보드 접속이 달성되도록 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근래, 각종 전기 기기 (퍼스널 컴퓨터,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전자 기기) 의 소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상기와 같은 보드·투·보드 커넥터의 소형화 및 박형화가 요망되고 있다. 그렇지만, 상기와 같은 타입의 보드·투·보드 커넥터를 박형화하기 위해서는 연결 볼록부의 높이를 낮게 하고, 연결 오목부의 깊이를 얕게 해야 한다. 1 쌍의 배선 기판 표면에 각각 장착된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를 보드·투·보드 접속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1 쌍의 커넥터를 서로 맞닿도록 위치 맞춤을 해야 하기 때문에, 연결 볼록부의 높이를 낮게 하고, 연결 오목부의 깊이를 얕게 했을 경우에는, 연결 오목부와 연결 볼록부의 대응 부분이 작아져서, 위치 맞춤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일본 특개 2004-273277 호 공보에는, 한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끼리를 위치 맞춤하는 경우, 특히 긴쪽 방향의 위치 맞춤이 용이할 수 있도록 각 커넥터의 짧은쪽 방향의 폭이 어느 정도 맞도록 하고 긴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킴으로써, 플러그 커넥터 (5) 의 단부 돌출편을 리셉터클 커넥터 (3) 의 돌출부의 내측면 (규제면) 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한 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을 가지는 커넥터 끼리를 위치 맞춤하는 경우, 짧은쪽 방향의 위치 맞춤을 행할 때는 긴쪽 방향에 따라 비교적 긴 대응 부분에 대해서 위치 맞춤을 행할 수 있어서, 위치 맞춤이 비교적 용이하다. 그렇지만, 긴쪽 방향에 따른 위치 맞춤을 행할 때 긴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키기 때문에, 짧은쪽 방향에 따른 위치 맞춤이 변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관련 배경의 관점에서 수행된 것으로, 위치 맞춤을 확실히 할 수 있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 1 발명은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 및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각각 배열되고,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대략 직사각 상자형으로 돌출하는 환상 볼록부와, 이 환상 볼록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감합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감합 오목부의 긴쪽 방향의 내측면에 상기 제 1 컨택트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1 하우징을 갖추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환상 볼록부가 삽입되는 대략 직사각 상자형으로 패인 환상 오목부와, 이 환상 오목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감합 볼록부의 긴쪽 방향의 외측면에 상기 제 2 컨택트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2 하우징을 갖추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환상 볼록부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환상 오목부에 들어가는 리브를 돌설시킴과 함께, 상기 리브의 옆에 상기 감합 볼록부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의 환상 오목부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통로 구멍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하우징의 리브를 제 2 하우징의 환상 오목부에 넣 고 제 1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제 2 하우징의 감합 볼록부에 끼우면, 양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제 1 하우징을 제 2 하우징에 향해 비스듬하게 눌러 대응하도록 해 긴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1 하우징의 환상 볼록부가 제 2 하우징의 환상 오목부에 끼워지는 위치에 멈추고, 제 2 하우징의 통로 구멍에 끼워져,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긴쪽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두 개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사이에 둔 반대측 환상 볼록부에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역감합시에 상기 리브가 대응하는 접수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이 역감합인 경우, 제 1 하우징의 리브가 제 2 하우징의 접수면에 대응하고, 제 1 하우징이 제 2 하우징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기울어, 역감합인 것을 곧바로 알 수 있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네 개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사이에 둔 한 쌍의 리브는 긴쪽 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길이가 다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하우징의 비대칭 리브를 보면, 제 2 하우징에 대한 감합 방향을 올바르게 판별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제 1 ~ 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리브의 선단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하우징의 리브를 제 2 하우징의 환상 오목부에 넣 기 쉽게 되는 것과 함께, 제 2 하우징의 통로 구멍에 대한 감합도 하기 쉬워진다.
제 5 발명은, 제 1 ~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의 긴쪽 방향의 양단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긴쪽 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베이스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감합시 상태가 안정한 것이 된다.
제 6 의 발명은,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 및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각각 배열되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2 커넥터를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
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컨택트가 적어도 일렬로 배설되는 측벽을 가지는 제 1 하우징을 갖추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측벽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벽을 가지며, 상기 벽의 적어도 한쪽 긴쪽 방향으로 상기 제 2 컨택트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2 하우징을 갖추고; 상기 제 1 하우징의 측벽의 긴쪽 방향 양단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홈에 들어가는 리브를 돌설시킴과 함께, 상기 리브의 옆에 상기 벽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하우징의 홈의 긴쪽 방향 양단에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통로 구멍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하우징의 리브를 제 2 하우징의 홈에 넣고, 제 1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제 2 하우징의 벽에 대응하게 하면, 양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 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제 1 하우징을 제 2 하우징에 향해 비스듬하게 눌러 대응하도록 하여 긴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1 하우징의 리브가 제 2 하우징의 통로 구멍에 끼워지는 위치가 되고,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과의 긴쪽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한쪽 방향으로 직사각 형상을 갖는 커넥터 끼리를 위치 맞춤하는 경우, 짧은쪽 방향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긴쪽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변위시켜도 짧은쪽 방향에 따른 위치 맞춤이 변하지 않고, 긴쪽 방향의 위치 맞춤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및 그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확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부터 도 5 까지를 참조해 본 발명의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 1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 가운데 리셉터클 커넥터 (20)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1 커넥터의 일례) 를 나타내며, 도 3 내지 도 6 은 기판용 전기 커넥터 가운데 플러그 커넥터 (60)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 2 커넥터의 일례) 를 나타내며, 도 7 은 이것들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 플러그 커넥터 (60) 가 감합한 상태의 기판용 전기 커넥터 (10) (이하 단지, 전기 커넥터 (10) 라고 함) 의 단면 을 나타낸다.
이 보드·투·보드 커넥터인 전기 커넥터 (1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오목부로서의 감합 오목부 (32) 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 감합 오목부 (32) 에 대응하는 형상의 연결 볼록부로서의 감합 볼록부 (72) 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60) 를 갖추고 있다. 각 커넥터 (20, 60) 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볼때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있고, 각각 배선 기판 (12, 14) 의 설치면 위에 납땜 부착에 의해 설치되어서 이용된다. 감합 오목부 (32) 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 감합 볼록부 (72) 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 (60) 를 감합하면, 기판 (12, 14) 은 서로 직교하는 상태로 접속된다.
도 1 에서, 리셉터클커넥터 (20) 는 하우징 (30) 과 컨택트 (50) (본 발명에 말하는 제 1 컨택트의 일례) 를 갖춘다. 하우징 (30) 은 대략 직사각 상자형으로 돌출하는 환상 볼록부 (31) 와, 이 환상 볼록부 (31) 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감합 오목부 (32) 와, 환상 볼록부 (31) 의 긴쪽 방향의 양단에 일체로 설치된 베이스 (33) 를 갖춘다. 이 베이스 (33) 에는 기판 (12) 고정용 파트에 납땜 부착되는 고정용 금속구 (36) 가 갖춰져 있다.
하우징 (30) 의 환상 볼록부 (31) 는 해당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긴쪽 방향에 따라서 직사각 상자형으로 늘어나 있고, 긴쪽 방향의 측벽 (37) 과 짧은쪽 방향의 측벽 (38) 을 갖추어서 이루어진다.
이 환상 볼록부 (31) 의 네 개의 모서리 중 한쪽의 긴쪽 방향 측벽 (37) 의 양단에 위치하는 2 개의 모서리 (양측의 짧은쪽 방향 측벽 (38) 의 4 개의 말단 가 운데 한쪽 긴쪽 방향 측벽 (37) 에 대응하는 2 개의 말단) 에, 리브 (40) 가 돌설되어 있다. 이 리브 (40) 는 후술하는 통로 구멍 (80) 에 감입하기 쉽도록, 재두 4 각 추 형상의 선단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리브 (40) 의 강도가 있는 크기를 확보하기 위해, 짧은쪽 방향 측벽 (38) 의 약 절반이 긴쪽 방향으로 두께를 늘려 형성되어 있다.
또, 짧은쪽 방향 측벽 (38) 가운데, 상기 리브 (40) 에 인접하는 위치에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홈 (45) 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 (45) 은 감합 오목부 (32) 의 짧은쪽 방향의 폭과 대략 같은 폭 (w1) 을 가지고 있다. 즉, 가이드홈 (45) 의 폭 (w1) 은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 (60) 의 감합 볼록부 (72) 의 선단이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할 수 있는 폭이 되어 있다. 또, 가이드홈 (45) 의 깊이 (h1) 는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 (60) 의 감합 볼록부 (72) 의 선단이 빗나가지 않는 정도의 깊이이며, 인접하는 리브 (40) 가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 (60) 의 환상 오목부 (71) 에 들어갔을 때에 환상 오목부 (71) 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 깊이로 되어 있다. 덧붙여 가이드부로서 가이드홈 (45)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h = 0 이 된 가이드면에서 만나도 된다. 이 가이드면의 경우, 환상 오목부 (71) 에 리브 (40) 가 들어가고 가이드면이 감합 볼록부 (72) 의 선단에 대응함으로써, 리브 (40) 가 들어가는 정도가 제한되고, 감합 오목부 (1) 에 들어간 리브 (40) 에서 짧은쪽 방향이 가이드된다.
전술한 환상 볼록부 (31) 의 내측 부분을 구성하는 감합 오목부 (32) 의 긴쪽 방향에 따른 내측면, 즉 긴쪽 방향 측벽 (37) 의 내측면에는 각각 플러그 커넥 터 (60) 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 (예를 들어, 20~160 개씩) 의 컨택트 (50) 가 감입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복수의 컨택트 (50) 는 긴쪽 방향에 따라서 등간격 (예를 들어, 0.3 mm 피치 정도) 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컨택트 (50) 는, 예를 들어 금속판의 펀칭 가공에 의해서 제작된 것이다. 도 2 와 같이, 각 컨택트 (50) 는 긴쪽 방향 측벽 (37) 의 슬릿 (371) 에 감입되어 고정되는 기부 (51) 와, 이 기부 (51) 의 단부로부터 선단에 향해서 늘어나 있으며, 감합 볼록부 (32) 에 향해 산절(山折) 형상으로 굴곡한 형상이고, 그 선단이 플러그 커넥터 (5) 에 대한 접점을 구성하는 접점부 (52) 와, 기부 (51) 로부터 짧은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며, 해당 컨택트 (50) 를 배선 기판 (12) 의 설치면 위에 랜드로 납땜 부착하기 위한 리드부 (53) 를 가지고 있다. 이 접점부 (52) 는 기부 (51) 에 대해서 외팔보 (cantilever) 형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접점부 (52) 의 선단 (521) 은 하우징 (40) 의 긴쪽 방향 측벽 (37) 에 형성된 계지구멍 (371) 의 말단에 계지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 오목부 (32) 에 임하는 긴쪽 방향 측벽 (37) 의 양 내면측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컨택트 (50) 는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컨택트 (50) 의 기부 (41) 를 하우징 (30) 의 긴쪽 방향 측벽 (37) 내측에 형성된 슬릿 (371) 에 대해서 기판의 설치측으로부터 압입하면, 기부 (51) 가 하우징 (30) 의 측면에 따른 상태가 되어, 리드부 (53) 가 하우징 (30) 의 바닥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해당 리셉터클 커넥터 (20) 를 배선 기판 (12) 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우징 (30) 의 저면으로부터 돌출한 리드부 (53) 와 배선 기판 (12) 의 설치면 위 랜드와의 당접부에 납땜 부착을 행함으로써, 해당 당접부의 주위가 납땜 피렛트로 덮이고, 리셉터클 커넥터 (20) 가 배선 기판 (12) 에 대해서 고정된다.
한편, 도 3 에서, 플러그 커넥터 (60) 는 하우징 (70) 과 컨택트 (90) (본 발명에 말하는 제 2 컨택트의 일례) 를 갖춘다. 하우징 (70) 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함몰하는 환상 오목부 (71) 와, 이 환상 오목부 (71) 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 (72) 를 갖춘다.
하우징 (70) 의 환상 오목부 (71) 는 에지부 (73) 와, 이 에지부 (73) 의 주위에 직사각 형상으로 입설되는 측벽 (74) 과, 에지부 (73) 의 중앙에 입설되는 중앙벽이기도 한 감합 볼록부 (72) 를 갖춘다. 측벽 (74) 은 긴쪽 방향 측벽 (75) 과 짧은쪽 방향 측벽 (76) 으로 이루어진다. 긴쪽 방향 측벽 (75) 의 한쪽에는 기판 (14) 고정용 파트에 납땜 부착된 고정용 금속구 (79) 가 갖춰져 있다.
이 환상 오목부 (71) 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한쪽 긴쪽 방향 측벽 (75) 의 양단에 위치하는 2 개의 모서리 (양측의 짧은쪽 방향 측벽 (76) 의 4 개의 말단 가운데, 한쪽 긴쪽 방향 측벽 (75) 에 대응하는 2 개의 말단) 에 통로 구멍 (80) 이 설치되어 있다. 이 통로 구멍 (80) 은 전술한 리브 (40) 가 감입하기 쉽도록, 재두 4 각 추 구멍 모양의 앞이 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또, 통로 구멍 (80) 이 설치되며 두 개의 모서리에 대향하는 두 개의 모서리에는, 짧은쪽 방향 측벽 (76) 의 두께를 긴쪽 방향 안쪽으로 늘리고, 그 위에 접수면 (85)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수면 (85)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짧은쪽 방향에서 보면 통로 구멍 (80) 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접수와는 반대의 테이 퍼 (각도α) 로 된 얕은 경사면 (851) 과, 대응한 면 (852) 을 갖춘다. 이 경사면 (851) 은 역감합시 리브 (40) 의 선단을 얻어 넣기 위한 것이다. 대응한 면 (852) 은 역감합시 리브 (40) 의 말단이 닿아 멈추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감합 볼록부 (중앙벽) (72) 의 긴쪽 방향의 양 외측면에는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하기 위한 복수 (예를 들어, 20~120 개씩) 의 컨택트 (90) 가 환상 오목부 (71) 의 안쪽으로 임하고 있다. 복수의 컨택트 (90) 는 감합 볼록부 (72) 에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감합 오목부 (32) 가 감합했을 때에, 해당 감합 오목부 (32) 로부터 바깥쪽에 임하는 복수의 컨택트 (50) 와 1 대 1 로 대향하도록, 긴쪽 방향에 따라서 등간격 (예를 들어, 0.3 mm 피치 정도) 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컨택트 (90) 는, 예를 들어 금속판의 펀칭 가공에 의해서 제작된 것이다. 도 4 와 같이, 각 컨택트 (90) 는 하우징 (70) 의 에지부 (73) 를 짧은쪽 방향으로 늘어나는 기부 (91) 와, 이 기부 (91) 로부터 감합 볼록부 (72) 에 따라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선단이 리셉터클 커넥터 (20) 에 대한 접점을 구성하는 접점부 (92) 와, 기부 (91) 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며, 해당 컨택트 (90) 를 배선 기판 (14) 의 설치면 위 랜드에 납땜 부착하기 위한 리드부 (93) 와, 기부 (91) 로부터 돌출하며, 해당 컨택트 (90) 를 하우징 (70) 에 대해서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 (94) 를 가지고 있다. 2 열의 콘택트 (90) 가운데 한쪽은 하우징 (70) 의 에지부 (73) 의 옆으로부터 압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 (70) 에 설치된 슬릿 (701) 에 압입된다. 2 열의 컨택트 (90) 가운데 다른쪽은 하우징 (70) 의 중앙벽 (72) 의 옆으로부터 압 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 (70) 에 설치된 슬릿 (702) 에 압입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감합 볼록부 (72) 의 양 외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컨택트 (90) 는 하우징 (70) 의 에지부 (73) 측으로부터 압입하기 적절한 것과, 하우징 (70) 의 감합 볼록부 (72) 측으로부터 압입하기 적절한 것의 2 종류가 있고, 이 2 종류의 컨택트 (90) 가 각각 하우징 (70) 의 한쪽 측벽에서 기판 (14) 에 고정된다. 해당 플러그 커넥터 (60) 를 배선 기판 (14) 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하우징 (70) 의 한쪽 측벽 (75) 으로부터 돌출한 리드부 (93) 와 배선 기판 (14) 의 설치면 위 랜드의 당접부에 납땜 부착을 행함으로써, 해당 당접부의 주위가 납땜 피렛트로 덮이고, 플러그 커넥터 (60) 가 배선 기판 (14) 에 대해서 고정된다.
도 8 은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 플러그 커넥터 (60) 를 감합시키는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보드·투·보드 커넥터인 전기 커넥터 (10) 를 접속시키는 경우, 작업자는, 예를 들어 한쪽 손에 리셉터클 커넥터 (20) 가 장착된 배선 기판 (12) 을 가지며, 다른쪽 손에 플러그 커넥터 (60) 가 장착된 배선 기판 (14) 를 가지고, 각 배선 기판 (12, 14) 의 설치면을 서로 교차시킨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표면 (배선 기판 (12) 과 반대쪽 표면) 에 대해 플러그 커넥터 (60) 의 표면 (배선 기판 (14) 과 직교하는 표면) 을 피팅되도록 위치 맞춤을 행한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환상 볼록부 (31) 의 한쪽 긴쪽 방향 측벽 (37) 의 양단측에 돌출하는 리브 (40) 에 의해서, 리셉터클 커넥터 (20) 는 긴쪽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비대칭 형상이 되어 있다 (도 1 참조). 이 때문에, 시각 적으로도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방향성 판단이 하기 쉬워진다.
또, 플러그 커넥터 (70) 의 환상 오목부의 한쪽 측벽의 양단측에 설치된 통로 구멍 (80) 과, 플러그 커넥터 (70) 의 환상 오목부의 한쪽 측벽의 양단측에 설치된 접수면 (85) 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 (70) 는 긴쪽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비대칭 형상이 되어 있다 (도 3 참조). 그 때문에, 리브 (40) 가 돌출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만큼은 아니지만, 시각적으로도 플러그 커넥터 (70) 의 방향성 판단이 하기 쉬워진다.
이 리셉터클 커넥터 (20) 를 플러그 커넥터 (60) 에 대해서 위치 맞춤하는 경우에는, 우선 플러그 커넥터 (60) 의 환상 오목부측에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환상 볼록부측을 향해 맞춘다. 이 때,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 플러그 커넥터 (60) 의 긴쪽 방향의 위치 맞춤을 하지 않은 채로도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한쪽 리브 (40) 를 플러그 커넥터 (60) 의 환상 오목부 (71) 에 넣는다 (도 8(a) 참조). 그러면, 리셉터클 커넥터 (20) 가이드홈 (45) 이 플러그 커넥터 (60) 의 감합 볼록부 (중앙벽) (72) 에 감입되고, 또 리브 (40) 가 환상 오목부 (71) 에 들어감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짧은쪽 방향과 플러그 커넥터 (60) 의 짧은쪽 방향이 벗어나지 않도록 안내된다 (도 8(b) 참조). 이 상태로, 리셉터클 커넥터 (20) 를 긴쪽 방향에 향해 비스듬하게 누르면,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가이드홈 (45) 이 플러그 커넥터 (60) 의 감합 볼록부 (중앙벽) (72) 에 따라서, 긴쪽 방향 내측에 향해 이동을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리브 (40) 가 플러그 커넥터 (60) 의 짧은쪽 방향 측벽의 내면에 대응하면,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리브 (40) 가 플러그 커넥터 (60) 의 통로 구멍 (80) 에 끼워지는 위치가 되며,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감합 오목부 (32) 가 플러그 커넥터 (60) 의 감합 볼록부 (72) 에 감합하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양 커넥터가 비스듬하게 된 채로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말단과 플러그 커넥터 (60) 의 말단이 부분적으로 감합하는 상태가 된다 (도 8(c) 참조).
양 커넥터 (60) 의 말단이 일부 감합한 상태로, 이 모서리를 지점으로 하도록 해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다른 말단측을 누르면,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 플러그 커넥터 (60) 는 완전한 감합 상태가 된다 (도 8(d) 참조).
이와 같이 해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리브 (40) 를 플러그 커넥터 (60) 의 환상 오목부 (71) 에 넣고,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가이드홈 (45) 이 플러그 커넥터 (60) 의 감합 볼록부 (중앙벽) (72) 를 안내한다. 그러면, 리셉터클 커넥터 (20) 와 플러그 커넥터 (60) 는 짧은쪽 방향으로 위치가 결정된다. 이 짧은쪽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리셉터클 커넥터 (20) 를 플러그 커넥터 (60) 의 말단과 긴쪽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말단까지 이동시켜 밀어넣으면, 대부분 자동적으로 감합을 완료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감합된 상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베이스 (33) 위에 플러그 커넥터 (60) 의 측벽이 실리도록 하고, 양 커넥터 (20, 60) 에 무리한 힘이 미치는 일 없이 감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양 커넥터 (20, 60) 가 소형의 것이며 위치 맞춤이 곤란한 경우에도, 긴쪽 방향 및 짧은쪽 방향의 양쪽 모두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어서, 양 커넥터 (20, 60) 의 리브 (40) 와 통로 구멍 (80) 이 맞지 않는 것 같은 방향성을 잘못된 역감합시 상태를 도 9 에 의해 설명한다.
이 역감합시에도,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리브 (40) 는 플러그 커넥터 (60) 의 환상 오목부 (71) 에 들어가,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가이드홈 (45) 이 플러그 커넥터 (60) 의 감합 볼록부 (중앙벽) (72) 에 안내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도 8(b) 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20) 를 플러그 커넥터 (60) 의 긴쪽 방향으로 미끄러트릴 수 있다.
다만,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리브 (40) 가 플러그 커넥터 (60) 의 말단에 오면, 플러그 커넥터 (60) 의 접수면 (85) 에 올라앉아 멈춘다. 이 상태로 리셉터클 커넥터 (20) 를 플러그 커넥터 (60) 를 향해서 밀어넣으면, 리브 (40) 의 선단이 접수면 (85) 에 올라앉은 곳을 지점으로 해서 리셉터클 커넥터 (20) 가 짧은쪽 방향으로 기우는 도 9 의 상태가 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감합 하지 못하고 기우는 것으로부터, 역감합인 것을 깨닫는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 (20) 를 플러그 커넥터 (60) 에 대해서 역감합 상태로 향해 맞추었다고 해도, 감합시킬 수 없고 정상시와는 다른 움직임에 의해 역감합을 즉시 눈치채, 올바른 방향으로 고칠 수 있다.
도 10 를 참조해 본 발명의 기판용 전기 커넥터의 제 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의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환상 볼록부 (31) 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한쪽 긴쪽 방향 측벽 (37) 의 양단에 위치하는 2 개의 모서리 (양측의 짧은쪽 방향 측벽 (38) 의 4 개의 말단 가운데, 한쪽 긴쪽 방향 측벽 (37) 에 대응하는 2 개의 말단) 에 리브 (40) 가 돌설되어 있다.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환상 볼록부 (31) 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한쪽 긴쪽 방향 측벽 (37) 의 양단에 위치하는 2 개의 모서리 (양측의 짧은쪽 방향 측벽 (38) 의 4 개의 말단 가운데, 다른쪽 긴쪽 방향 측벽 (37) 에 대응하는 2 개의 말단) 에 리브 (41) 가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리브 (41) 의 길이는 리브 (40) 의 길이보다 짧아져 있다. 즉, 하우징 (30) 에 설치된 네 개의 모서리의 리브 (40, 41) 는 긴쪽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비대칭이 되도록 그 길이가 다르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리브 (41) 는 후술하는 통로 구멍에 감입하기 쉽게, 재두 4 각추 형상의 앞이 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리브 (41) 의 강도 있는 크기를 확보하기 위해, 긴쪽 방향 측벽 (37) 측에 두께를 늘려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리브 (40) 에 대해서 중심선을 사이에 두고 리브 (41) 가 설치됨으로써, 가이드홈 (45) 의 외관상 깊이가 깊어져 있다. 또,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홈 (40) 은 깊이 (h1) 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h1 = 0 이어도 된다.
덧붙여 제 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3 에서 하우징 (70) 의 환상 오목부 (71) 의 환상 오목부 (71) 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한쪽 긴쪽 방향 측벽 (75) 의 양단에 위치하는 2 개의 모서리 (양측의 짧은쪽 방향 측벽 (76) 의 4 개의 말단 가운데, 한쪽 긴쪽 방향 측벽 (75) 에 대응하는 2 개의 말단) 에, 리브 (40) 에 대응하는 통로 구멍 (80) 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통로 구멍 (80) 이 설치되어 두 개의 모서리에 대향하는 2 개의 모서리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접수면 (85) 에 대신해 리브 (41) 에 대응하는 통로 구멍 (81) 이 형성 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환상 볼록부 (31) 의 한쪽 긴쪽 방향 측벽 (37) 의 양단측에 돌출하는 리브 (40, 41) 의 길이가 다른 형상에 의해서, 리셉터클 커넥터 (20) 는 긴쪽 방향의 중심선에 대해서 비대칭 형상이 되어 있다 (도 10 참조). 그 때문에, 시각적으로도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방향성 판단이 한층 하기 쉬워진다.
또, 리브 (40, 41) 가 플러그 커넥터의 환상 오목부의 양측의 홈에 들어가게 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감합 볼록부 (중앙벽) 는 대한 가이드홈 (46) 의 안내가 한층 확실해진다. 그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 (20) 를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긴쪽 방향에 향해 비스듬하게 누르면,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가이드홈 (45) 이 플러그 커넥터 (60) 의 감합 볼록부 (중앙벽) (72) 에 따라서 긴쪽 방향 내측에 향해 부드럽게 이동한다.
또, 역감합시에는 리셉터클 커넥터 (20) 의 리브 (40, 41) 에 대응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통로 구멍의 깊이가 맞지 않아, 리셉터클 커넥터 (20) 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해서 도중에 감합이 멈추는 반감합 상태가 되기 때문에, 반감합인 것을 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연히 본 명세서를 읽는 한편 이해함으로써 변형 예 및 응용예가 명확해진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에 관련되는 변형예 및 응용예 및 그 균등물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해 실시해도 된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가 하나의 측벽을 가지는 것이고, 플러그 커넥터가 이 측벽이 삽입되는 하나의 홈을 형성하는 경우여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커넥터가 상기 제 1 컨택트가 적어도 일렬로 배설되는 측벽을 가지는 제 1 하우징을 갖춘다. 이 측벽이 감합 볼록부가 된다. 제 2 커넥터가, 상기 측벽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벽을 가지며, 상기 벽의 적어도 한쪽 긴쪽 방향으로 상기 제 2 컨택트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2 하우징을 갖춘다. 한 쌍의 벽의 긴쪽 방향에 따른 말단에도 말단벽이 설치되며, 이들 벽에 둘러싸인 홈은 감합 오목부가 된다. 상기 제 1 하우징의 측벽의 긴쪽 방향 양단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홈에 들어가는 리브를 돌설시킴과 함께, 상기 리브의 짧은쪽 방향의 옆에 상기 벽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하우징의 홈의 긴쪽 방향 양단에,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통로 구멍이 설치된다. 상기 제 2 하우징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끼워지는 감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 제 1 하우징의 리브를 제 2 하우징의 홈에 넣고, 제 1 하우징의 가이드부를 제 2 하우징의 벽에 대응하게 하면, 양하우징의 짧은쪽 방향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상태로, 제 1 하우징을 제 2 하우징에 향해 비스듬하게 눌러 대응하도록 하여 긴쪽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1 하우징의 리브가 제 2 하우징의 통로 구멍에 끼워지는 위치가 되어 멈추어,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의 긴쪽 방향의 위치가 결정된다. 더욱 밀어넣으면, 제 1 하우징의 감합 볼록부와 제 2 하우징의 감합 오목부의 감합에 의해 정규 감합이 된다.
또, 제 1 실시 형태 및 제 2 실시 형태에서, 기판 (12, 14) 이 직교할 방향으로 배설되는 것이었지만, 양 기판이 평행하게 배설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의 기판에 대한 베이스를 감합 볼록부의 반대측에 설치하고, 콘택트를 리셉터클 커넥터와 같게 중심선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설하는 것으로 변경하면 된다.
본 발명은 각각 서로 상이한 기판에 설치되며, 이것들 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2 개의 커넥터, 이른바 보드·투·보드 커넥터를 갖춘 기판용 전기 커넥터 에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7)
-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 및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각각 배열되고,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갖추며,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상기 제 1 커넥터가 직사각 상자형으로 돌출하는 환상 볼록부와, 이 환상 볼록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감합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감합 오목부의 긴쪽 방향의 내측면에 상기 제 1 컨택트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1 하우징을 갖추며,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환상 볼록부가 삽입되는 직사각 상자형으로 패인 환상 오목부와, 이 환상 오목부에 둘러싸여 형성되는 감합 볼록부를 가지며, 상기 감합 볼록부의 긴쪽 방향의 외측면에 상기 제 2 컨택트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2 하우징을 갖추고,상기 제 1 하우징의 상기 환상 볼록부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상기 환상 오목부에 들어가는 리브를 돌설시킴과 함께, 상기 리브의 옆에 상기 감합 볼록부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며,상기 제 2 하우징의 환상 오목부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적어도 두 개의 모서리에,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통로 구멍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상기 리브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환상 볼록부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한쪽의 긴쪽 방향 측벽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에 돌설되며,상기 통로 구멍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환상 오목부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한쪽의 긴쪽 방향 측벽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에 설치되고,상기 제 2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 측벽 상이고, 상기 통로 구멍이 설치된 두 개의 모서리에 대향하는 두 개의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역감합시에 상기 리브가 대응하는 접수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리브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네 개의 모서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사이에 둔 한 쌍의 리브는 긴쪽 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비대칭이 되도록 길이가 다른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리브의 선단이 테이퍼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하우징의 긴쪽 방향의 양단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긴쪽 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베이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하우징의 긴쪽 방향의 양단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긴쪽 방향 양단에 대응하는 베이스부가 형성되어 있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서로 접촉하는 복수의 제 1 컨택트 및 복수의 제 2 컨택트가 각각 배열되며,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에 각각 설치되는 제 1 커넥터 및 제 2 커넥터를 갖추고,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를 서로 감합시킴으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기판을 서로 접속하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상기 제 1 커넥터는 상기 제 1 컨택트가 배설되는 측벽을 가지는 제 1 하우징을 갖추며,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측벽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벽을 가지며, 상기 벽의 적어도 한쪽 긴쪽 방향으로 상기 제 2 컨택트가 정렬형으로 배열되는 제 2 하우징을 갖추고,상기 제 1 하우징의 측벽의 긴쪽 방향 양단에 상기 제 2 하우징의 홈에 들어가는 리브를 돌설시킴과 함께, 상기 리브의 옆에 상기 벽에 대응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며,상기 제 2 하우징의 홈의 긴쪽 방향 양단에 상기 리브가 끼워지는 통로 구멍이 설치되어 이루어지고,상기 리브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환상 볼록부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한쪽의 긴쪽 방향 측벽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에 돌설되며,상기 통로 구멍은, 상기 제 2 하우징의 환상 오목부의 네 개의 모서리 가운데, 한쪽의 긴쪽 방향 측벽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모서리에 설치되고,상기 제 2 하우징의 짧은쪽 방향 측벽 상이고, 상기 통로 구멍이 설치된 두 개의 모서리에 대향하는 두 개의 모서리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역감합시에 상기 리브가 대응하는 접수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용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26188 | 2005-08-04 | ||
JP2005226188A JP4723308B2 (ja) | 2005-08-04 | 2005-08-04 | 電気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6978A KR20070016978A (ko) | 2007-02-08 |
KR101255371B1 true KR101255371B1 (ko) | 2013-06-24 |
Family
ID=37700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2586A KR101255371B1 (ko) | 2005-08-04 | 2006-08-01 | 기판용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4723308B2 (ko) |
KR (1) | KR101255371B1 (ko) |
CN (1) | CN100536237C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180705B2 (ja) | 2008-07-02 | 2013-04-10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4678887B2 (ja) * | 2009-01-22 | 2011-04-27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JP5342299B2 (ja) * | 2009-03-30 | 2013-11-13 |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DE102009029434B4 (de) * | 2009-09-14 | 2011-07-07 |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96472 | Adapter zur Aufnahme elektrischer Installationsgeräte und zur Befestigung auf einem Stromschienensystem |
DE202010015046U1 (de) * | 2010-11-05 | 2011-02-17 | Erni Electronics Gmbh | Stecker |
JP5680005B2 (ja) * | 2012-02-24 | 2015-03-04 | 株式会社東芝 | コネクタの嵌合状態を検査する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並びにコネクタを有する電気機器の組立方法 |
CN113540899B (zh) * | 2020-04-15 | 2023-09-08 | 岱炜科技股份有限公司 | 电连接器 |
CN113839141B (zh) * | 2021-09-23 | 2023-11-28 | 紫光展讯通信(惠州)有限公司 | 测试用电池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152U (ja) * | 1992-06-22 | 1994-01-21 | 日本バーンデイ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4273270A (ja) * | 2003-03-07 | 2004-09-30 | Jst Mfg Co Ltd | 電気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102789A (ja) * | 1988-10-11 | 1990-04-16 | Toosui Kk | 用水のオゾン処理装置 |
JPH02102789U (ko) * | 1989-02-01 | 1990-08-15 | ||
JPH0388289A (ja) * | 1989-08-31 | 1991-04-12 | Fujitsu Ltd |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
JPH0454173A (ja) * | 1990-06-20 | 1992-02-21 | Mitsubishi Kasei Corp | 光学活性なn―インダニルチアゾールカルボン酸アミド誘導体および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農園芸用殺菌剤 |
JPH0741109Y2 (ja) * | 1990-09-17 | 1995-09-2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構造 |
JP2003123901A (ja) * | 2001-10-19 | 2003-04-25 | Hirose Electric Co Ltd | 電気コネクタ |
JP4133464B2 (ja) * | 2003-03-07 | 2008-08-13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2006210206A (ja) * | 2005-01-31 | 2006-08-10 | Kyocera Elco Corp |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
-
2005
- 2005-08-04 JP JP2005226188A patent/JP4723308B2/ja active Active
-
2006
- 2006-08-01 KR KR1020060072586A patent/KR10125537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6-08-03 CN CNB2006101092275A patent/CN100536237C/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152U (ja) * | 1992-06-22 | 1994-01-21 | 日本バーンデイ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04273270A (ja) * | 2003-03-07 | 2004-09-30 | Jst Mfg Co Ltd | 電気コネク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0536237C (zh) | 2009-09-02 |
JP2007042468A (ja) | 2007-02-15 |
JP4723308B2 (ja) | 2011-07-13 |
KR20070016978A (ko) | 2007-02-08 |
CN1909292A (zh) | 2007-0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5371B1 (ko) | 기판용 전기 커넥터 | |
US9728873B2 (en) | Connector mountable on a circuit board and connectable with a mating connector having a housing and rows of contacts with fixed portions extending into an opening of a housing | |
KR100895565B1 (ko) | 커넥터 | |
US8308492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 |
US7329154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arranged with narrow pitch | |
US20170170588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0721042B1 (ko) |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 |
KR100697576B1 (ko) | 전기 커넥터 | |
EP3151341A1 (en) | Connector | |
JP5751434B2 (ja) |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 |
US8342875B2 (en) | Board-to-board connector having a sidewall portion with a sloped guide surface with cut out | |
US8465328B2 (en) | Connector assembly and male-side connector | |
EP3660985A1 (en) | Connector | |
WO2005096456A1 (ja) | コネクタ | |
US9356407B2 (en) |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ing a first portion having a contact point with a second portion | |
KR20060005401A (ko) | 커넥터 | |
JP2010272320A (ja) | コネクタ装置 | |
JP5232204B2 (ja) | 電気コネクタとキャップとを有する組立体、電気コネクタ用のキャップ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実装方法 | |
JP6784580B2 (ja) |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 |
JP6517655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TWI628881B (zh) | Connector device for substrate connection | |
US11050174B2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 |
KR102535074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 |
JP7251180B2 (ja) | コネクタ装置 | |
KR100721040B1 (ko) |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