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042B1 -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042B1
KR100721042B1 KR1020060006310A KR20060006310A KR100721042B1 KR 100721042 B1 KR100721042 B1 KR 100721042B1 KR 1020060006310 A KR1020060006310 A KR 1020060006310A KR 20060006310 A KR20060006310 A KR 20060006310A KR 100721042 B1 KR100721042 B1 KR 10072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lug
receptacle
guide
plu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7733A (ko
Inventor
히로히사 다카노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끼워맞춤시의 커다란 어긋남을 흡수하여, 커넥터의 자동조립 등에 있어서도 정확한 위치에서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한개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및 삽입홈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한개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삽입홈은 리셉터클 본체의 중앙에 설치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 아일랜드부와 아일랜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벽부와의 사이에 오목설치되며, 아일랜드부 윗면의 4개의 모서리각은 아일랜드부 윗면으로부터 아랫쪽으로 향해감에 따라 벽부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잘려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에 연결된다.
커넥터, 플러그, 리셉터클, 컨택트

Description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그 평면도이며, 도 1의 (c)는 도 1의 (b)에서의 IC-IC선에 따른 종단면도로서, 유입(誘入)오목부 및 수납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그 평면도이며, 도 2의 (c)는 그 측면도이고, 도 2의 (d)는 도 2의 (b)에서의 IID-IID선에 따른 종단면도로서, 안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와 마주보게 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짧은 길이 방향 대략 중앙을 통과하는 긴 길이 방향의 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의 (b)는 그 사시도, 도 4의 (c)는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 안내부가 유입부로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5 의 (b)는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각도 θ만큼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거리 L만큼 평행하게 어긋나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의 (b)는 그 평면도, 도 7의 (c)는 도 7의 (b)의 VIIC-VIIC선에 따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그 평면도, 도 8의 (c)는 도 8의 (b)의 VIIIC-VIIIC선에 따른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의 (b)는 그 평면도, 도 9의 (c)는 도 9의 (b)의 IXC-IXC선에 따른 확대 종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10: 리셉터클 커넥터 20: 리셉터클 본체
21: 삽입홈 26,28: 유입오목부
30: 리셉터클 컨택트 35,37: 수납부
40: 아일랜드부 42: 외벽
42b: 유입경사면 43: 외벽
43b: 유입경사면 50: 플러그 커넥터
60: 플러그 본체 70: 플러그 컨택트
91,93: 안내부 110: 리셉터클 커넥터
115,116: 벽부 120: 리셉터클 본체
121: 삽입홈 140: 아일랜드부
145a,145b: 경사면 147a,147b: 경사면
146,148: 외측면 155a,155b: 벽부 안내경사면
157a,157b: 벽부 안내경사면 251b,252b,253b: 유입경사면
271b,272b,273b: 유입경사면 310: 리셉터클 커넥터
315,316: 벽부 320: 리셉터클 본체
321: 삽입홈 340: 아일랜드부
345a,345b: 경사면 347a,347b: 경사면
346,348: 외측면 350: 플러그 커넥터
355a,355b: 벽부 안내경사면 357a,357b: 벽부 안내경사면
360: 플러그 본체 370: 플러그 컨택트
911b,912b,913b,914b: 안내경사면
931b,932b,933b,934b: 안내경사면
본 발명은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 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된 삽입홈으로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함으로써 양자를 도통시키는 커넥터는, 이것을 탑재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밖의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저배화(低背化)나 실장 기판위에서의 점유면적의 저감 즉,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하지만, 소형화됨에 따라, 커넥터를 끼워맞출 때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져, 수동으로 위치를 맞추기가 어려워지는 동시에, 저배화에 따라 한 쪽의 커넥터를 끼워넣는 경사면을 작게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끼워맞춤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경사면을 크게 넓혀 끼워맞춤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1-273949호 공보).
또한, 휴대단말기의 보급과 판매 경쟁의 격화에 따라, 생산수량의 증가나 비용절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하나의 대응책으로서 조립 공정의 자동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커넥터 조립의 자동화에 있어서는 특히,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공정의 자동화(이하, 끼워맞춤을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하는 것을 자동 끼워맞춤이라고 한다)가 끼워맞춤 전의 위치맞춤 정밀도라는 측면에서 어렵다. 구체적으로, 커넥터의 조립은 FPC 등의 기판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를 다른 기판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 위에 임시로 배치하고, 그 후 조립기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이면측을 압착함으로써 끼워맞추는 공정이 일반적인데, 조립을 자동화하면, 이 임시배치에서부터 압착 끼워맞춤에 이르는 동안의 위치맞춤 정밀도를 높이기가 어렵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 터에 끼워맞추기 전의 위치 어긋남 즉, 끼워맞춤 어긋남이 큰 상태에서도 정확한 위치에서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전기 커넥터는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끼워맞출 때 발생하는 커다란 위치 어긋남에 대응하기가 어렵다. 특히, 끼워맞춤시의 기판간 높이가 2mm이하이면 더욱 대응하기 어려웠다. 또한, 커넥터의 평면형상은 대략 직사각형인 경우가 많은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삽입홈은 커넥터의 긴 길이방향 및/또는 짧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회전 어긋남이 일어나기 쉬워 끼워맞춤 작업의 효율 저하로 이어졌다. 이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끼워맞춤 어긋남을 흡수할 수 없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자동 끼워맞춤을 하면, 컨택트의 비틀림이나 그 밖의 손상, 및 커넥터 본체부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끼워맞춤 어긋남을 흡수하였다고 해도 커넥터를 똑바로 마주보게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비스듬하게 끼워지기 쉬우며, 끼워맞춤력이 증가하거나 불규칙하고, 또한 클릭감을 얻기 어려워진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및 삽입홈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 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삽입홈은 리셉터클 본체의 중앙에 설치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 아일랜드부와 아일랜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벽부와의 사이에 오목설치되며, 아일랜드부 윗면의 4개의 모서리각은 아일랜드부 윗면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해감에 따라 벽부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잘라내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측으로 돌출한 적어도 2개의 안내부를 구비하고, 안내부는 각각 플러그 본체로부터 돌출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안내경사면을 적어도 2개 가지며, 리셉터클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 안내부를 그 내부로 각각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유입오목부를 구비하고, 유입오목부는 각각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 안내경사면을 각각 안내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유입경사면을 구비하면 좋다.
상기 유입경사면은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벽부는 그 윗면을 향해감에 따라, 마주보는 벽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벽부 안내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일랜드부의 경사면과 외측면이 맞닿는 능선은 직선형 또는 원호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및 삽입홈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플러그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측으로 돌출한 적어도 2개의 안내부를 구비하고, 안내부는 각각 플러그 본체로부터 돌출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안내경사면을 적어도 2개 가지며, 리셉터클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 안내부를 그 내부로 각각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유입오목부를 구비하고, 유입오목부는 각각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 안내경사면을 각각 안내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유입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잇다.
상기 삽입홈은 리셉터클 본체의 중앙에 설치된 아일랜드부와 아일랜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벽부와의 사이에 오목설치되며, 유입경사면은 아일랜드부의 외측면 및 이 외측면과 마주보는 벽부의 내벽면에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 아일랜드부 외측면의 유입경사면은, 아일랜드부 윗면의 4개의 모서리각을 아일랜드부의 윗면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해감에 따라 벽부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잘라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부에 대한 아일랜드부 윗면의 높이는, 벽부 윗면의 높이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 직교단면을 점대칭 형상 또는 비원 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는 평면형상의 선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 선단면의 최소폭은 리셉터클 컨택트의 배치간격보다 크거나, 또는/및 리셉터클 본체의 삽입홈의 간격보다 크면 좋다.
상기 안내부는 플러그 본체의 마주보는 양단면 위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부는 플러그 본체의 마주보는 양단면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따라 유입오목부와 연결되어 오목설치되며, 안내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면 좋다.
상기 수납부는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 본체는 2개의 안내부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본체는 2개의 안내부와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유입오목부를 구비하며, 한 쪽 안내부의 가장 안쪽 위치로부터 다른 쪽 안내부의 가장 바깥쪽 위치까지의 거리는, 한 쪽 유입오목부의 가장 안쪽 위치로부터 다른 쪽 유입오목부의 가장 바깥쪽 위치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상술한 것 중에서 어느 한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도 1)와 플러그 커넥터(50)(도 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50) 중 하나를 LCD(액정 디스플레이)(표시장치) 유니트나 CCD(전하결합소자)(촬상소자) 유니트 측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이들 유니트와 도통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측에 배치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50)를 결합함으로써 유니트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휴대단말기(예를 들어, 휴대전화, 휴대가능한 컴퓨터를 포함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에서의 접속이나, 휴대단말기와 외부기기와의 접속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는 LCD 유니트 외에, 표시장치로서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니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니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디스플레이 유니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CCD 유니트 외에, 촬상소자로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유니트에도,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를 적용할 수 있다.
(1) 리셉터클 커넥터(10)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리셉터클 본체(20)와, 이 리셉터클 본체(20)에 형성된 삽입홈(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30)를 구비한다.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리셉터클 본체(20)는, 그 중앙에 형성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아일랜드부(40)와, 이 아일랜드부(4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벽부(24)와, 아일랜드부(40)와 벽부(24) 사이에 오목설치되며 플러그 커넥터(50)가 삽입되는 삽입홈(21)을 구비한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출 때 플러그 커넥터(50)가 설치되는 쪽(도 1의 (a)에서 윗쪽)을 상측,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설치되는 쪽(도 1의 (a)에서 아랫쪽)을 하측이라고 칭한다.
리셉터클 본체(20)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나일론 9T,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이 리셉터클 본체(20)의 벽부(24) 중,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한 쪽 끝 벽부(22)의 내벽 대략 중앙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도 1의 (a)에서 상하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사다리꼴로 오목설치된 유입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사다리꼴 형상은 아일랜드부(40)의 길이방향 끝부분 중 벽부(22)측의 외벽(42)과 마주보는 개구부분을 밑바닥으로 한 것으로, 벽부(22)의 내벽을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바깥측으로 오목설치함으로써, 윗면에 상당하는 유입면(251), 및 이 유입면(251)의 양끝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빗변에 상당하는 유입면(252,2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아일랜드부(40)의 중앙에는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끼워맞춤 오목부(41)가 오목설치되어 있다.
한편,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다른 쪽 끝 벽부(23)의 내벽에는, 유입부(27)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부(27)는 유입부(25)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사다리꼴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은 유입부(25)와 같다. 이 사다리꼴 형상은 아일랜드부(40)의 길이방향 끝부 분 중 벽부(23)측의 외벽(43)과 마주보는 개구부분을 밑바닥으로 한 것이며, 벽부(23)의 내벽을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바깥측으로 오목설치함으로써, 윗면에 상당하는 유입면(271) 및 유입면(271)의 양끝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빗변에 상당하는 유입면(272,27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유입면(251,271)을 리셉터클 본체(20)의 폭방향으로 늘리면,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평면에 대하여 회전하여 어긋난 상태로 끼워맞추려는 경우, 회전 어긋남(θ 어긋남)을 쉽게 교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유입부(25)와 외벽(42)에 의해 유입오목부(26)가 구성되며, 유입부(27)와 외벽(43)에 의해 유입오목부(28)가 구성된다.
유입면(271,272,273)은 도 1의 (b) 및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50)를 끼웠다 뺐다하는 방향(상기 도면에서 상하방향)에 따라 설치된 입설면(271a,272a,273a)의 각각의 상부를,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도 1에서의 아랫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게 한 유입경사면(271b,272b,273b)(도 1의 (b))으로 한 것이다.
외벽(43)은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설치된 입설면(43a)의 상부를,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유입부(27)와 가까워지도록 한 유입경사면(43b)으로 한 것이다.
여기서, 입설면(271a)과 유입경사면(271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위치(B-1)는, 입설면(43a)과 유입경사면(43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위치(A-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입설면(271a,272a,273a,43a)은 이들의 아랫쪽에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부(37)에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수납부(37)는 입설면(271a,272a,273a)의 하부에 연결된 경사면(37a)과, 입설면(43a)의 하부에 연결된 경사면(37b)과, 이들에 연결된 바닥면(37c)으로 이루어진다. 경사면(37a) 및 경사면(37b)은 입설면(271a,272a, 273a) 및 입설면(43a)으로부터 각각,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입설면(271a)과 경사면(37a)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위치는, 입설면(43a)과 경사면(37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위치와 같은 위치(C-1)로 되어 있다.
유입면(251,252,253)은 유입면(271,272,273)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서,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설치된 입설면(251a,252a,253a)의 각각의 상부를,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한 유입경사면(251b,252b,253b)(도 1의 (b))으로 되어 있다.
외벽(42)은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설치된 입설면(42a)의 상부를,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유입부(25)와 가까워지도록 한 유입경사면(42b)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입설면(251a)과 유입경사면(251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위치(B-1)는, 입설면(42a)과 유입경사면(42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위치(A-1)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입설면(251a,252a,253a,42a)은 그들의 아랫쪽에 오목하게 설치된 수납부(35) 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수납부(35)는 입설면(251a,252a,253a)의 하부에 연결된 경사면(35a)과, 입설면(42a)의 하부에 연결된 경사면(35b)과, 이들에 연결된 바닥면(35c)으로 이루어진다. 경사면(35a) 및 경사면(35b)은 입설면(251a,252a,253a) 및 입설면(42a)으로부터 각각,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입설면(251a)과 경사면(35a)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위치는, 입설면(42a)과 경사면(35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위치와 같은 위치(C-1)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a), 도 1의 (b),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251b~253b) 중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사면(251b)과 벽부(22) 윗면과의 경계선으로부터, 경사면(43b)과 아일랜드부(40) 윗면(40a)과의 경계선까지의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에서의 거리는 D-1으로 되어 있다. 이 거리(D-1)는 경사면(271b~273b) 중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경사면(271b)과 벽부(22) 윗면과의 경계선으로부터, 유입경사면(42b)과 아일랜드부(40) 윗면(40a)과의 경계선까지의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에서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30)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띠모양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기재(예를 들어, 인청동) 위에 하지도금(예를 들어, 니켈 도금)을 실시한 후, 마무리 도금(예를 들어, 금 도금)을 실시한 후에 소정의 형상으로 꺾어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리셉터클 컨택트(30)의 판 두께는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고려 하여, 스프링 설계나 가공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커넥터의 피치가 0.3~0.5mm인 경우에는, 0.05~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리셉터클 컨택트(30)는 삽입홈(21)을 끼우도록 리셉터클 본체(20)에 눌려들어가 배치되며, 삽입홈(2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단자부(34)가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땜납 고정되어 리셉터클 커넥터가 완성된다. 한편, 리셉터클 컨택트(30)는 벽부(24)의 길이방향 벽부(29)에만 수용되어 있어도 좋고, 이에 함께 아일랜드부(40)에 수용되어도 좋다.
(2) 플러그 커넥터(50)
도 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50)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인서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플러그 본체(60)와, 각각 띠모양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 벽부에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리셉터클 컨택트(30)와 대응하여 동일한 피치로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70)를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6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그 중앙에 설치한 볼록부(61)와, 이 볼록부(61)의 외측면에 따라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벽부(62)와, 볼록부(61)와 벽부(62) 사이에 오목하게 설치된 오목부(63)를 구비한다. 볼록부(61)는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어질 때, 끼워맞춤 오목부(41)에 끼워맞추어진다.
플러그 본체(60)는 예를 들어, 나일론 9T(상표명),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컨택트(70)와 함께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이 플러그 본체(60)의 벽부(62) 중, 플러그 본체(60)의 길이 방향 한 쪽 끝의 벽부(64)에는, 플러그 컨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었을 때 유입부(25)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부(91)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다른 쪽 끝의 벽부(65)에는,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었을 때 유입부(27)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부(93)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91,93)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50)를 끼웠다 뺐다하는 방향(도 2의 (a)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모양으로 되어 있다. 안내부(91,93)는 선단부분이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안내부(91)는 평면형상이 대략 사다리꼴인 선단부분의 선단면(910)과, 이 선단면(910)의 사다리꼴 형상의 윗면, 2개의 사변, 밑바닥에 각각 연결 접속된 안내면(911,912,913,914)을 구비한다. 이들 중, 안내면(911,912,913)은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설면(911a,912a,913a)과, 이들 입설면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도 2의 (a), 도 2의 (d)의 윗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안내경사면(911b,912b,913b)을 각각 가진다. 안내면(914)은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설면(914a)과, 이 입설면(914a)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안내경사면(911b)과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안내경사면(914b)으로 이루어진다. 선단면(910)의 최소폭은 삽입홈(21)의 폭, 리셉터클 컨택트(30)의 배치간격, 및 리셉터클 컨택트(30)에서 플러그 컨택트(70)가 삽입되는 간격보다 크게 되어 있다.
여기서, 입설면(911a)과 안내경사면(911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위치(B-2)는, 입설면(914a)과 안내경사면(914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위치(A-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93)는 안내부(9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며, 평면형상이 대략 사다리꼴인 선단부분의 선단면(930)과, 이 선단면(930)의 사다리꼴 형상의 윗면, 2개의 사변, 밑바닥에 각각 연결 접속된 안내면(931,932,933,934)을 구비한다. 이들 중, 안내면(931,932,933)은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설면(931a,932a,933a)과, 이들 입설면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안내경사면(931b,932b,933b)을 각각 가진다. 안내면(934)은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입설면(934a)과, 이 입설면(934a)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안내경사면(931b)과 서로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안내경사면(934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입설면(931a)과 안내경사면(931b)의 경계가 되는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위치(B-2)는, 입설면(934a)과 안내경사면(934b)의 경계가 되는 능선의 위치(A-2)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위치 A-1보다 위치 B-1을 높게 하고, 위치 A-2보다 위치 B-2를 높게 함으로써, 끼워맞춤시에는 먼저 플러그의 외형(바깥쪽)을 기준으로 한 유입에서 시작되어, 이어서 아일랜드부를 기준으로 한 유입이 이루어져, 끼워맞춤 거동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위치 B-1에서 위치 B-2까지의 거리가, 위치 A-1에서 위치 A-2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끼워맞춤 후에도 플러그 본체(60)의 외형을 이와 마주보는 리셉터클 본체(20)측의 넓은 평면으로 받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외란 등(낙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이탈하기 어려워지고, 특히 안내부(91,93) 및 유입오목부(26,28)에 설치한 경사면이,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50)가 이탈하는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a), 도 2의 (b),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면(931~934) 중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안내면(934)의 경사면(934b)과 선단면(930)과의 경계선으로부터, 안내면(911~914) 중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안내면(911)의 안내경사면(911b)과 선단면(910)의 경계선까지의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에서의 거리는 D-2로 되어 있다. 이 거리 D-2는 안내면(911~914) 중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안쪽에 위치하는 안내면(914)의 안내경사면(914b)과 선단면(910)의 경계선으로부터, 안내면(931~934) 중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안내면(931)의 안내경사면(931b)과 선단면(930)의 경계선까지의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에서의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거리 D-2는 거리 D-1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셉터클 본체(20) 및 플러그 본체(60)를 구성함으로써, 상황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끼워맞춤이나 기계에 의한 끼워맞춤시에도, 유입오목부(26)에 의한 안내부(91)의 유입과 유입오목부(28)에 의한 안내부(93)의 유입을 균형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본체(20)에 대하여 플러그 본체(60)가 똑바로 마주본 상태에서 끼워맞춤을 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70)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띠모양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기재(예를 들어, 인청동) 위에 하지도금(예를 들어, 니켈 도금)을 실시한 후, 마무리 도금(예를 들어, 금 도금)을 실시한 후에 소정의 형상으로 꺾어져 이루어지는 것이다. 플러그 컨택트(70)의 판 두께는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고려하여, 스프링 설계나 가공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커넥터의 피치가 0.3~0.5mm인 경우, 0.05~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플러그 컨택트(70)는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마주보는 벽부(66,67)를 관통하도록 플러그 본체(60)에 눌려들어가 배치되며, 길이방향 벽부(66,67)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러그측 단자부(74)가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땜납 고정되어, 플러그 커넥터가 완성된다.
플러그 커넥터(50)의 리셉터클 커넥터(10)로의 끼워맞춤은, 먼저 리셉터클 본체(10) 위에 플러그 커넥터(50)를 임시로 두고, 안내부(91)의 선단면(910), 안내면(911~914)이 유입오목부(26)로, 안내부(93)의 선단면(930), 안내면(931~934)이 유입오목부(28)로 각각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개시된다.
임시배치시에 이미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똑바로 마주보고 있는 이상적인 끼워맞춤에서는, 먼저, 안내부(91,93)가 유입오목부(26,28)의 공간안으로 각각 들어가는 동시에, 플러그 컨택트(70)와 리셉터클 컨택트(30)가 서로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측으로 누르면, 플러그 컨택트(70)가 삽입되어감으로써, 리셉터클 컨택트(30)가 열리도록 변위 를 시작한다. 또한 압착하여 플러그 커넥터(50)가 소정의 끼워맞춤 위치에 도달하면, 플러그 컨택트(70)가 리셉터클 컨택트(30)에 형성된 볼록부(도시하지 않음)를 타고 넘음으로써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플러그 컨택트(70)와 리셉터클 컨택트(30)가 서로 접촉압력을 얻은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부터 다시 압착하면, 미리 설정한 마진분만큼 이동한 후에, 예를 들어 플러그 컨택트(70)의 선단이 삽입홈(21)의 바닥면과 맞닿아, 이동이 규제되어 끼워맞춤이 완료된다. 이 때, 선단면(910) 및 안내면(911~914)은 수납부(35) 내에, 선단면(930) 및 안내면(931~934)은 수납부(37) 내에 각각 삽입되어 있다(도 4, 도 5 참조).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로의 끼워맞춤 종료시, 능선위치 A-1과 A-2 사이에서는, 입설면(42a) 또는 입설면(43a)과 입설면(914a) 또는 입설면(934a)이 각각 마주보며, 능선위치 B-1과 B-2 사이에서는, 입설면(251a) 또는 입설면(271a)과 입설면(911a) 또는 입설면(931a)이 각각 마주보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끼워맞춤 도중의 θ 어긋남을 쉽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치(A1,A2,B1,B2)의 관계, 및 이들을 규정하는 유입부(25), 유입부(27), 외벽(42,43), 안내부(91,93)의 형상은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하에서의 끼워맞춤이나 기계에 의한 자동 끼워맞춤시에 있어서, 임시배치로부터 끼워맞춤 종료까지의 거동은,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상대위치 관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아래의 3가지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i) θ 어긋남의 경우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배치시에 평면에서 보아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50)가 어느 각도 θ 만큼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다(θ 어긋남). 이와 같은 경우라도 적어도 유입오목부(26)의 경사면(251b~253b) 중 어느 하나, 및 유입경사면(42b)과, 안내부(91)의 안내면(911~914) 중 어느 2개 이상이 맞닿고, 및/또는 적어도 유입오목부(28)의 경사면(271b~273b) 중 어느 하나, 및 경사면(43b)과, 안내부(93)의 안내면(931~934) 중 어느 2개 이상이 맞닿아 있다. 그 때문에, 임시배치시에 각도 θ만큼 어긋나있었다고 해도, 리셉터클 커넥터(10) 내에 플러그 커넥터(50)를 삽입해감에 따라 안내부(91,93)가 유입오목부(26,28)에 각각 안내되어 각도 어긋남이 시정되고, 정확한 방향에서 끼워맞춤을 종료할 수 있다.
(ii) 평행 어긋남의 경우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시배치시에 평면에서 보아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50)가 어느 거리(L)만큼 평행하게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다(평행 어긋남). 이와 같은 경우에도, 적어도 유입오목부(26)의 유입면(251~253) 중 어느 하나, 또는 유입경사면(42b)과, 안내부(91)의 안내면(911~914) 중 어느 하나가 맞닿고, 및/또는 유입오목부(28)의 유입면(271~273) 중 어느 하나, 또는 경사면(43b)과, 안내부(93)의 안내면(931~934) 중 어느 하나가 맞닿아 있다. 그 때문에, 거리 L 만큼 평행하게 어긋나 있다고 하더라도, 리셉터클 커넥터(10) 안으로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에 있어서, 안내부(91)의 유입오목부(26) 안으로의 안내량과, 안내부(93)의 유입오목부(28) 안으로의 안내량을 거의 균등하게 하 여, 정확한 방향에서 끼워맞춤을 끝낼 수 있다.
(iii) 복합 어긋남의 경우
또한, 상술한 θ 어긋남 및 평행 어긋남이 복합하여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적어도 유입오목부(26)의 경사면(251b~253b) 및 유입경사면(42b)과, 안내부(91)의 안내면(911~914)의 어느 2쌍 이상이 맞닿고, 및/또는 적어도 유입오목부(28)의 경사면(271b~273b) 및 경사면(43b)과, 안내부(93)의 안내면(931~934)의 어느 2쌍 이상이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상기 θ 어긋남 및 평행 어긋남에서 얻어지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안내부(91) 및 안내부(93)에 각각 복수의 안내경사면이 설치되고, 또한 유입오목부(26) 및 유입오목부(28)에 안내경사면과 마주보는 복수의 유입경사면이 각각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끼워맞춤 어긋남이 있었다고 해도, 플러그 컨택트(70)와 리셉터클 컨택트(30)가 맞닿기 전에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똑바로 마주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안내부만 유입오목부로 삽입될 우려가 없기 때문에, 삽입되지 않은 안내부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가 손상될 우려가 적다.
또한, 수납부(35) 안에 선단면(910), 안내면(911~914)을, 수납부(37) 안에 선단면(930), 안내면(931~934)을 각각 수납하였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안내부(91,93)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끼워맞춤 어긋남을 수정하기 위한 유입 칫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시에 리셉터클 커넥터(10) 안으로, 플러그 커넥터(50)가 끼워 져 들어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삽입홈(21)의 내벽에 유입부를 형성한 것에 의해, 실장면적을 결정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형을 늘리지 않고,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 즉 끼워맞춤후의 외형상을 굴곡이 적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입오목부는 벽부(22)측 및 벽부(23)측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된다면 몇 개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안내부는 벽부(64) 및 벽부(65)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된다면 몇 개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끼워맞춤 어긋남이 있어도 안내부를 끌어들일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방향에 따라 끼워맞춤 가능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유입오목부를 설정하여도 좋다. 즉, 어느 방향에서는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출 수 있지만, 끼워맞춤방향 직교평면위에서 플러그 커넥터(50)를 180°회전시킨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출 수 없도록, 유입오목부의 유무, 위치, 형상을 설정하여도 좋다.
유입부(25), 유입부(27), 안내부(91,93)의 단면형상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이면, 사다리꼴 형상 외에, 사각, 삼각 그 밖의 다각형상, 반원형, 비점대칭형상, 비원형상으로 할 수 있다.
수납부(35,37)는 리셉터클 본체(20) 바닥부(20a)를 관통한 관통구멍으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보다 긴 안내부를 수납할 수 있게 되기 때 문에,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보다 심각한 끼워맞춤 어긋남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바닥부(20a)에 아랫쪽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맞춤을 위한 보스부를 설치하고, 이 보스부 안까지 수납부를 오목설치하여도 좋다. 이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안내부(91) 및 안내부(93)의 높이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안내부(91,93)의 안내경사면(911b~914b, 931b~934b)을 늘릴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끼워맞춤 어긋남을 수정하기 위한 유입칫수를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장 기판에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위치결정하는 보스부에 대응하는 구멍과, 실장기판과 안내부(91,93)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을 각각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실장기판의 구멍을 공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기판 배선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고밀도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35,37)를 보스부 안에 오목하게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으로 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바닥부(20a)에 외부로 통하는 관통구멍이 없기 때문에, 리셉터클 본체(20)의 강도 유지 및 실장시 역류할 때의 플럭스나 가스의 침입방지가 가능하다. 더욱이, 실질적으로 안내부(91,93)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의 총 높이를, 끼워맞춤시의 기판간 높이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유입오목부(26) 및 유입오목부(28)를 리셉터클 커넥터(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설치하고, 이들에 대응하는 안내부(91,93)를 플러그 커넥터(50)의 길이방향 양측에 하나씩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안내부 (91,93)가 커짐에 따라 안내부(91)와 안내부(93)의 거리가 짧아지거나, 대응하는 유입오목부(26,28)가 복수개 형성되는 것에 따른 리셉터클 본체(20)의 강도 저하, 또는 커넥터 조립기의 생산성 저하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안내부(91,93)나 유입오목부(26,28)의 갯수, 위치 및 형상은, 커넥터에 요구되는 끼워맞춤 어긋남의 허용량, 끼워맞춤시의 기판간 높이, 금구의 유무, 보스부 형성의 유무, 생산성 등의 설계적 제약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한다.
또한, 끼워맞춤 어긋남의 허용량은 안내부(91,93)의 선단면(910,930) 및 안내면(911~914), 안내면(931~934)의 형상에 따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서는 아일랜드부(140)에 경사면(145a,145b,147a,147b)이 형성되며, 리셉터클 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115,116)에 벽부 안내경사면(155a,155b,157a,157b)이 형성되어 있는 점이 실시예 1과 다르다. 플러그 커넥터로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을 사용한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며, 동일한 부재에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1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리셉터클 본체(120)와, 이 리셉터클 본체(120)에 설치된 삽입홈(1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30)를 구비한다.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가지는 리셉터클 본체(120)는 그 중앙에 설치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아일랜드부(140)와, 이 아일랜드부(140)의 바깥쪽을 따르도록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벽부 (124)와, 아일랜드부(140)와 벽부(124) 사이에 오목하게 설치되며, 플러그 커넥터(50)가 삽입되는 삽입홈(121)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본체(120)의 벽부(124) 중, 리셉터클 본체(120)의 길이방향 일단의 벽부(122) 내벽의 대략 중앙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도 1의 (a)에서의 상하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입부(1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리셉터클 본체(120)의 길이방향 타단 벽부(123)의 내벽에는 유입부(127)가 설치되어 있다. 유입부(127)는 유입부(225)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는 점은 유입부(225)와 마찬가지이다.
아일랜드부(240)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유입경사면(42b,43b) 대신에, 그 윗면(240a)의 4개의 모서리각이 윗면(140a)으로부터 아랫쪽으로 향해감에 따라(리셉터클 커넥터(110)의 바닥면을 향해감에 따라), 벽부(224)의 마주보는 부분에 가까워지는 경사면(145a,145b,147a,147b)을 이루도록 각각 절제되어 있다. 유입부(125)와 마주보는 경사면(145a,145b)은 아일랜드부(140)의 상하방향(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146)에, 유입부(127)와 마주보는 경사면(147a,147b)은 아일랜드부(14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148)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145a,145b)과 외측면(146)이 맞닿는 능선, 및 경사면(147a,147b)과 외측면(148)이 맞닿는 능선은 각각 직선형이다. 또한, 아일랜드부(140)의 중앙에는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끼워맞춤 오목부(141)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 오목부(141)에는 플러그 커넥터(50)가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끼워맞추어질 때, 끼워맞춤 볼록부(61)가 끼워져 들어간다.
유입부(125), 경사면(145a,145b), 및 외측면(146)에 의해 유입오목부(126)가 구성되며, 유입부(127), 경사면(147a,147b), 및 외측면(148)에 의해 유입오목부(128)가 구성된다.
벽부(124) 중, 리셉터클 본체(120)의 길이방향(도 7의 (b)에서의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벽부(215)에는, 그 양단부에 벽부 안내경사면(155a,157a)이 설치되어 있다. 벽부 안내경사면(155a,157a)은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215)의 내면에 연결 설치되며, 벽부(115)의 윗면으로 향해감에 따라, 마주보는 벽부(116)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벽부(224) 중, 벽부(115)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벽부(216)에는, 그 양단부에 벽부 안내경사면(155b,157b)이 설치되어 있다. 벽부 안내경사면(155b,157b)은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116)의 내면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벽부(116)의 윗면을 향해감에 따라, 마주보는 벽부(115)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리셉터클 본체(220)에 설치된 아일랜드부(140) 윗면(140a)의 네 모서리를 경사면(145a,145b,147a,147b)으로 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 얻어지는 효과와 더불어, 플러그 커넥터(50) 벽부(64,65)의 내면이나 안내경사면(914b,934b)이 경사면(145a,145b,147a,147b)과 맞닿아, 플러그 커넥터(50)를 안내함으로써, 회전 어긋남을 교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10)를 똑바로 마주보게 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끼워맞춤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벽부 안내경사면(155a,157a,155b,157b)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커 넥터(50)의 벽부(62)의 윗면이나 안내면(91,93)이 벽부 안내경사면(155a,157a,155b,157b)과 맞닿음으로써, 위치 어긋남을 보다 교정하기 쉬워진다.
즉, 플러그 커넥터(50)의 내측과 외측 양쪽으로부터 위치 어긋남을 교정할 수 있어, 매우 뛰어난 위치 어긋남 교정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외측면(146,148)을 남기고 경사면(145a,145b,147a,147b)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210)가 맞물렸을 때, 플러그 커넥터(50)의 입설면(914a,934a)이 외측면(146,148)에 각각 맞닿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210)의 길이방향에서의 플러그 커넥터(50)의 위치결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경사면(145a,145b)과 외측면(146)이 맞닿는 능선, 및 경사면(147a,147b)과 외측면(148)이 맞닿는 능선이, 각각 직선형이라고 하였으나, 원호형으로 할 수도 있다.
한편, 그 밖의 작용, 효과, 변형예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실시예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310)는 상술한 리셉터클 커넥터(20) 및 리셉터클 커넥터(110)와 마찬가지로, 리셉터클 본체(320)와, 이 리셉터클 본체(320)에 설치된 삽입홈(3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330)를 구비한다.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본체(320)는 그 중앙에 설 치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아일랜드부(340)와, 이 아일랜드부(34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대략 직사각형의 벽부(324)와, 아일랜드부(340)와 벽부(324) 사이에 오목하게 설치되며, 플러그 커넥터(350)가 삽입되는 삽입홈(321)을 구비한다.
리셉터클 본체(320)의 벽부(324) 중, 리셉터클 본체(320)의 길이방향 양단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벽부(332) 및 벽부(323)의 내벽에는, 윗면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해감에 따라 마주보는 벽부측으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벽면(322a,323a)에 연결되어 설치된 유입면(325,327)이 설치되어 있다.
아일랜드부(340)에 있어서는, 그 윗면(340a)의 네 모서리각이 윗면(340a)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해감에 따라(리셉터클 커넥터(310)의 바닥면을 향해감에 따라), 벽부(324)의 마주보는 부분에 가까워지는 경사면(345a,345b), 경사면(347a,347b)을 이루도록 각각 절제되어 있다. 유입면(325)과 마주보는 경사면(345a,345b)은 아일랜드부(34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346)에, 유입면(327)과 마주보는 경사면(347a,347b)은 아일랜드부(340)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면(348)에, 각각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다. 경사면(345a,345b)과 외측면(346)이 맞닿는 능선, 및 경사면(347a,347b)과 외측면(348)이 맞닿는 능선은 각각 직선형이다. 또한, 아일랜드부(340)의 중앙에는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끼워맞춤 오목부(341)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유입면(325), 경사면(345a,345b), 및 외측면(346)에 의해 유입오목부(326)가 구성되며, 유입부(327), 경사면(347a,347b), 및 외측면(348)에 의해 유입오목부(328)가 구성된다.
벽부(324) 중, 리셉터클 본체(320)의 길이방향(도 8의 (b)에서의 좌우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벽부(315)에는, 그 양단부에 벽부 안내경사면(355a,357a)이 설치되어 있다. 벽부 안내경사면(355a,357a)은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15)의 내면에 연결 설치되며, 벽부(315)의 윗면을 향해감에 따라 마주보는 벽부(316)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벽부(324) 중, 벽부(315)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벽부(316)에는, 그 양단부에 벽부 안내경사면(355b,357b)이 설치되어 있다. 벽부 안내경사면(355b,357b)은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16)의 내면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벽부(316)의 윗면을 향해감에 따라 마주보는 벽부(315)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350)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인서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플러그 본체(360)와, 각각 띠모양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본체(360)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에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310)에서의 리셉터클 컨택트(330)와 대응하여 같은 피치로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370)를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36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외형을 구비하고 있으며,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오목부(363)를 감싸도록 끼워맞춤 벽부(362)가 배치되어 있다. 끼워맞춤 벽부(362)는 플러그 커넥터(350)와 리셉터클 커넥터(310)가 끼워맞추어질 때 삽입홈(321)에 끼워져 들어간다. 플러그 본체(360)는 예를 들어, 나일론 9T(상표),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컨택트(70)와 함께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오목부(363)의 중앙에는, 플러그 커넥터(350)가 리셉터클 커네터(310)에 끼워맞추어질 때 끼워맞춤 오목부(341)에 끼워들어가는 끼워맞춤 볼록부(361)가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비하여 단순한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이면서 저배화를 실현하고, 또한 끼워맞춤 어긋남을 흡수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개량의 목적 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본체에 안내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리셉터클 본체에 유입오목부 및 수납부를 설치함으로써,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수동 또는 자동 끼워맞춤시의 커다란 끼워맞춤 어긋남을 흡수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본체의 아일랜드부 윗면의 네 모서리를 경사면으로 하였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를 끼워넣기 쉬워지는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의 벽부 내면(내면과 아랫면의 능선)이 경사면과 맞닿음으로써 회전 어긋남을 교정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똑바로 마주보게 하기 쉬워져, 끼워맞춤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플러그 본체에 안내부를, 리셉터클 본체에 유입오목부, 수납부, 및 경사면을 설치함으로써, 높은 정밀도로 효율적으로 끼워맞춤 어긋남을 흡수하여, 올바른 위치에서 끼워맞출 수 있다.
또한, 플러그 본체와 리셉터클 본체에 어떠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였다고 해도,안내경사면과 유입경사면이 서로 맞닿도록, 플러그 본체에 적어도 2개 설치된 안내부를, 이 안내부들과 대응하게 리셉터클 본체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유입오목부가 안내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내부가 하나만 유입오목부에 삽입되거나, 이 안내부를 중심으로 하여 플러그 커넥터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끼워맞춤중에 한 쪽 안내부만 맞닿는 비스듬한 끼워맞춤이 발생하기 어려워,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그 평면내에서 서로 평행하게 또는 서로 회전하여 어긋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쌍방의 커넥터가 손상될 우려가 작은 (소정의) 안정된 끼워맞춤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편차가 적은 안정된 끼워맞춤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명확한 클릭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하게 끼워맞추어진 것을 확실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의 커넥터 끼워맞춤시에, 수동 끼워맞춤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끼워맞춤 완료를 인식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 끼워맞춤의 경우에는 불완전 끼워맞춤을 판단하는데 유익하게 작용한다.
또한, 안내부의 선단을 평면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 선단과의 접촉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에 손상을 주거나, 안내부가 유입오목부 이외의 위치에 끼워맞추어질 우려를 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끼워맞춤에 의한 압착시나 수동 끼워맞춤시 등에는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끼워맞춤 위치를 찾는 조작, 즉 리셉터클 커넥터 위에서 플러그 커넥터를 미끄러뜨리는 조작을 하는 경우가 있 는데, 이 조작중에도 안내부의 선단을 평면형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 선단으로 리셉터클 본체를 긁어 손상을 주거나, 안내부가 정규 끼워맞춤 위치가 아닌 부위에 끼어들어가는 일이 없다. 또한, 안내부의 선단 자체의 깨짐이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평면형상의 최소폭을 리셉터클 본체의 삽입홈의 폭이나 리셉터클 컨택트의 배치간격보다 크게 하였기 때문에, 나란히 설치된 리셉터클 컨택트 사이, 또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틈에, 안내부가 끼워져들어가는 일이 없어, 리셉터클 컨택트가 변형될 우려가 적어진다.

Claims (21)

  1.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삽입홈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삽입홈은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중앙에 설치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구비한 아일랜드부와 상기 아일랜드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된 벽부와의 사이에 오목설치되며,
    상기 아일랜드부 윗면의 4개의 모서리각은 상기 아일랜드부의 윗면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해감에 따라 상기 벽부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잘라내져,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외측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측으로 돌출한 적어도 2개의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는 각각 상기 플러그 본체로부터 돌출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안내경사면을 적어도 2개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했 을 때, 상기 안내부를 그 내부로 각각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유입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오목부는 각각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 상기 안내경사면을 각각 안내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유입경사면을 구비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경사면은 상기 경사면을 포함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는 그 윗면으로 향해감에 따라 마주보는 벽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된 벽부 안내경사면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부의 경사면과 상기 외측면이 맞닿는 능선은 직선형인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일랜드부의 경사면과 상기 외측면이 맞닿는 능선은 원호형인 커넥터.
  7. 삭제
  8. 삭제
  9.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삽입홈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측으로 돌출한 적어도 2개의 안내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는 각각 상기 플러그 본체로부터 돌출함에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안내경사면을 적어도 2개 가지며,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할 때 상기 안내부를 그 내부로 각각 안내하는 적어도 2개의 유입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입오목부는 각각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했을 때, 상기 안내경사면을 각각 안내하도록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유입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아일랜드부 외측면의 유입경사면은 상기 아일랜드부 윗면의 4개의 모서리각을 상기 아일랜드부 윗면으로부터 아랫쪽을 향해감에 따라 상기 벽부에 가까워지는 경사면을 이루도록 잘라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외측면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제 1 항 내지 제 3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60006310A 2005-06-07 2006-01-20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KR100721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67109 2005-06-07
JPJP-P-2005-00167109 2005-06-07
JPJP-P-2005-00274159 2005-09-21
JP2005274159A JP2007018993A (ja) 2005-06-07 2005-09-21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733A KR20060127733A (ko) 2006-12-13
KR100721042B1 true KR100721042B1 (ko) 2007-05-23

Family

ID=3695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310A KR100721042B1 (ko) 2005-06-07 2006-01-20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264484B2 (ko)
EP (1) EP1732171A3 (ko)
JP (1) JP2007018993A (ko)
KR (1) KR1007210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950A (ko) * 2005-07-28 2007-02-01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88249B2 (ja) 2008-06-25 2012-12-05 ソニー株式会社 雌コネクタ構造、バッテリ、及びアダプタ
JP5180705B2 (ja) 2008-07-02 2013-04-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197294B2 (ja) * 2008-10-14 2013-05-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660756B2 (ja) * 2008-10-14 2015-01-2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0205475A (ja) * 2009-03-02 2010-09-16 Alps Electric Co Ltd コネクタ
JP5557518B2 (ja) * 2009-12-18 2014-07-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
WO2012033913A2 (en) * 2010-09-08 2012-03-15 Molex Incorporated Circuit board-circuit board connector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8894433B2 (en) * 2012-05-24 2014-11-2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nhanced blind mating features
US8979551B2 (en) 2012-11-29 2015-03-17 Samtec, Inc.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O2014132284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5751434B2 (ja) *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WO2015017150A1 (en) * 2013-08-01 2015-0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ultifunction connector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2015230790A (ja) * 2014-06-04 2015-12-21 株式会社Ihi レセプタクル
JP6269558B2 (ja) * 2014-06-05 2018-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5390876B (zh) * 2015-11-19 2018-02-09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具防呆与抗耗损结构的连接器模组
JP6399063B2 (ja)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6775245B2 (ja) * 2016-11-09 2020-10-2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82464B2 (ja) * 2019-05-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1660699S (ja) * 2019-10-30 2020-06-01 コネクタ
JP1660700S (ja) * 2019-10-30 2020-06-01 コネクタ
JP1667252S (ja) * 2020-01-21 2020-08-31 コネクタ
JP1667254S (ja) * 2020-02-14 2020-08-31 コネクタ
JP2021197299A (ja) * 2020-06-16 2021-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液状物質の侵入を防止する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組立体を用いた電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72A (ko) * 2000-06-16 2002-04-04 이마이 기요스케 커넥터
KR20040071603A (ko) * 2003-02-06 2004-08-1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7484Y2 (ja) * 1992-11-09 1998-04-02 デュポン アジアパシ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コネクタ装置
US5545051A (en) * 1995-06-28 1996-08-13 The Whitaker Corporation Board to board matable assembly
JP3617220B2 (ja) * 1996-11-26 2005-02-02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US6729890B2 (en) * 2000-12-29 2004-05-04 Molex Incorporated Reduced-size board-to-board connector
JP4116503B2 (ja) * 2002-11-01 2008-07-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基板対基板型コネクタ
TW573841U (en) * 2003-03-19 2004-0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793506B1 (en) *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875677B2 (ja) * 2003-09-26 2007-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72A (ko) * 2000-06-16 2002-04-04 이마이 기요스케 커넥터
KR20040071603A (ko) * 2003-02-06 2004-08-1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2171A2 (en) 2006-12-13
US7264484B2 (en) 2007-09-04
KR20060127733A (ko) 2006-12-13
US20060276060A1 (en) 2006-12-07
EP1732171A3 (en) 2007-08-01
JP2007018993A (ja)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042B1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CN107069265B (zh) 带引导零件的电连接器
US6699048B2 (en) High density connector
US71791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s
JP5197294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10601195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ensuring terminal positioning effect
KR100636333B1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JP5751434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JP4851510B2 (ja) 電気コネクタ
CN109921248B (zh) 电连接器
US11929576B2 (en) Board en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255371B1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6517655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20030171040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ccurately secured contacts
KR20070014950A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
KR101452626B1 (ko) 회로기판 수직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US726159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profile
US2007001012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6027027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11050174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CN109616792B (zh) 电连接装置及芯片模块连接装置
KR100721040B1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US20140363991A1 (en) Ultra low-profile connectors
KR100721041B1 (ko) 커넥터, 커넥터의 끼워맞춤 방법, 및 휴대단말기
CN111082244A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