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333B1 -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333B1
KR100636333B1 KR1020050023252A KR20050023252A KR100636333B1 KR 100636333 B1 KR100636333 B1 KR 100636333B1 KR 1020050023252 A KR1020050023252 A KR 1020050023252A KR 20050023252 A KR20050023252 A KR 20050023252A KR 100636333 B1 KR100636333 B1 KR 100636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receptacle
plug
guide pillar
plu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983A (ko
Inventor
히로히사 다카노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끼워맞춤시의 커다란 어긋남을 흡수하여, 커넥터의 자동조립 등에 있어서도 정확한 위치에서의 끼워맞춤이 가능한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를 제공한다. 플러그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측으로 연장되고, 적어도 선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안내기둥부를 구비하며, 리셉터클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할 때 안내기둥부의 선단부를 그 내부로 각각 안내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유입오목부와,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따라 유입오목부에 연결되어 오목하게 설치되고 안내기둥부의 선단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한다.
커넥터, 플러그, 리셉터클, 컨택트

Description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도 1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의 (b)는 그 평면도이며, 도 1의 (c)는 도 1의 (b)에서의 IC-IC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유입(誘入)오목부 및 수납부의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그 평면도이며, 도 2의 (c)는 그 측면도이고, 도 2의 (d)는 도 2의 (b)에서의 IID-IID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안내기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의 (b)는 끼워맞춘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 안내기둥부가 유입오목부로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안내기둥부를 경사면에 맞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4의 (c)는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 내는 사시도이고, 도 5의 (b)는 그 평면도이며, 도 5의 (c)는 도 5의 (b)에서의 VC-V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그 평면도이며, 도 6의 (c)는 도 6의 (b)에서의 VIC-VI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의 (b)는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출 때 안내기둥부가 유입오목부에 삽입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8의 (b)는 안내기둥부를 경사면에 맞댄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며, 도 8의 (c)는 끼워맞춤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종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10: 리셉터클 커넥터 20: 리셉터클 본체
20a: 바닥부 20a1: 윗면
20a3: 아랫면 21: 삽입홈
25: 유입오목부 25c: 경사면
26: 유입오목부 26c: 경사면
27: 유입오목부 27c: 경사면
28: 유입오목부 28c: 경사면
30: 리셉터클 컨택트 35: 수납부
36: 수납부 37: 수납부
38: 수납부 50: 플러그 커넥터
60: 플러그 본체 70: 플러그 컨택트
91: 안내기둥부 91b: 선단부
92: 안내기둥부 92b: 선단부
93: 안내기둥부 93b: 선단부
110: 리셉터클 커넥터 120: 리셉터클 본체
120a: 바닥부 120a1: 윗면
120a3: 아랫면 121: 삽입홈
125: 유입오목부 125c: 경사면
126: 유입오목부 126c: 경사면
128: 보스(boss)부 129: 보스부
130: 리셉터클 컨택트 138: 수납부
139: 수납부 150: 플러그 커넥터
160: 플러그 본체 170: 플러그 컨택트
191: 안내기둥부 192: 안내기둥부
P1: 경계선 P2: 경계선
본 발명은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구비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에 설치된 삽입홈으로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양자를 도통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이를 탑재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밖의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저배화(低背化)나 실장 기판위에서의 점유면적의 저감 즉, 소형화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하지만, 소형화에 따라 커넥터를 끼워맞출 때 수동으로 위치를 맞추기가 어려워지는 동시에, 저배화에 따라 한쪽의 커넥터를 끼워넣는 경사면을 줄여야 하여, 끼워맞춤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경사면을 크게 넓혀 끼워맞춤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1-273949호 공보).
또한, 휴대단말기의 보급과 판매 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생산수량의 증가나 비용절감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하나의 대응책으로서 조립 공정의 자동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커넥터 조립의 자동화에 있어서는 특히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공정의 자동화(이하, 끼워맞춤을 기계에 의해 자동으로 하는 것을 자동 끼워맞춤이라고 한다)가 끼워맞추기 전의 위치맞춤의 정밀도라는 면에서 어렵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기 전의 위치 어긋남 즉, 끼워맞춤 어긋남이 큰 상태에서도 정확한 위치에서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전기 커넥터에서는,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끼워맞출 때 발생하는 커다란 위치 어긋남에 대응하기가 어려우며, 특히 끼워맞출 때의 기판간 높이가 2mm이하이면 더욱 대응하기 어려웠다. 이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끼워맞춤 어긋남을 흡수할 수 없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자동으로 끼워맞추면, 컨택트의 비틀림이나 그 밖의 손상, 및 커넥터 본체부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및 삽입홈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플러그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측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선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된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안내기둥부를 구비하며, 리셉터클 본체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할 때 안내기둥부의 선단부를 그 내부로 각각 안내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유입오목부와,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따라 유입오목부에 연결되어 오목하게 설치되고, 안내기둥부의 선단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기둥부는 플러그 본체의 마주보는 양단면 위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안내기둥부는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플러그 본체의 대각(對角)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안내기둥부는 플러그 본체의 마주보는 양단면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기둥부는 서로 떨어져 있으면 좋다. 또한, 상기 안내기둥부는 플러그 본체의 마주보는 양단면의 내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오목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V자형 또는 ㄷ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는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본체 바닥부의 아랫면에 보스부가 적어도 2개 구비될 때는, 수납부를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보스부 안에 오목하게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을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 본체 바닥부의 아랫면에 보스부가 적어도 2개 구비될 때, 수납부는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보스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연결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상술한 것 중에서 어느 한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도 1)와 플러그 커넥터(50)(도 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50) 중 하나를 LCD(액정 디스플레이)(표시장치) 유니트나 CCD(전하결합소자)(촬상소자) 유니트 측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이 유니트와 도통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측에 배치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과 플러그 커넥터(50)를 결합함으로써 유니트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휴대단말기(예를 들어, 휴대전화, 휴대가능한 컴퓨터를 포함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부에서의 접속이나, 휴대단말기와 외부기기와의 접속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는 LCD 유니트 외에, 표시장치로서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니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니트, 유기 일레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디스플레이 유니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CCD 유니트 외에, 촬상소자로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유니트에도,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50)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50)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21)에 설치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리셉터클 본체(20)와, 삽입홈(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30)와,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양단 벽부(22,23)의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 리셉터클측 앵커(40)를 구비한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출 때 플러그 커넥터(50)가 설치되는 쪽(도 1에서 윗쪽)을 상측,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설치되는 쪽( 도 1에서 아랫쪽)을 하측이라고 칭한다.
리셉터클 본체(20)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나일론 9T(상표명),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이 리셉터클 본체(20) 벽부(22)의 내벽에는 리셉터클측 앵커(40)를 끼운 양측의 위치에,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도 1의 (a)에서 상하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V자형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유입오목부(25) 및 대략 ㄷ자형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유입오목부(2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벽부(23)의 내벽에는 리셉터클측 앵커(40)를 끼운 양측의 위치에, 유입오목부(27,28)가 형성되어 있다. 유입오목부(27)는 유입오목부(25)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ㄷ자형으로 오목하게 설치되며, 유입오목부(28)는 유입오목부(26)와 마주보는 위치에서 대략 V자형으로 오목하게 설치된다.
도 1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오목부(28)는 리셉터클 본체(20)의 바닥부(20a)의 윗면(20a1)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더욱 아랫쪽까지 오목하게 형성된 수납부(38)에 연결되어 있다. 수납부(38)는 단부(20a2)를 통하여 리셉터클 본체(20)의 바닥부(20a)의 윗면(20a1)까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유입오목부(28)의 설치면(28b) 상부에는 윗쪽을 향할수록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경사면(2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28c)과 설치면(28b)의 경계선(P1)은 플러그 커넥터(50)의 리셉터클 커넥터(10)로의 삽입방향에 있어서, 길이방향 벽부(61)의 단면(61a)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유입오목부 (25~27)의 바닥부(25a~27a), 경사면(25c~27c), 및 수납부(35~3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리셉터클 컨택트(30)는 삽입홈(21)을 끼우도록 배치되며, 삽입홈(2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단자부(34)는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땜납 고정된다.
리셉터클측 앵커(40)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42)와, 연결부(42)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그 폭방향 단부로부터 연장된 탄성보유부(43)와,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꺾인 연결부(42)의 양단부(46,47) 각각으로부터, 연결부(42)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 설치된 한쌍의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로 구성된다.
리셉터클측 앵커(40)는 벽부(22,23)에 대하여 윗쪽으로부터 삽입되어 리셉터클 본체(20)에 조립되며, 납땜에 의해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가 리셉터클 본체(20)에 고정된다. 이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는 리셉터클 본체(2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와 설치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탄성보유부(43)는 압연에 의해 일정 두께가 된 일정한 폭의 판모양 부재를 꺾음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리셉터클 본체(20)에 장착될 때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과 대략 수직한 제 1 수평부(43a)와, 이 제 1 수평부(43a)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며 윗쪽으로 열린 개구를 구비한 대략 U자형의 오목부(43b)와, 오목부(43b)의 단부를 일단 제 1 수평부(43a)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린 후 아랫쪽으로 꺾음으로써 아랫쪽으로 열린 개구를 구비한 걸어맞춤부(43c)로 이루어진다. 이 걸어맞춤부(43c)는 오복부(43b)의 연결부(42)에서 먼 쪽의 단부로부터 연결부 (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리셉터클 본체(20)에 설치된 피(被)걸어맞춤부(42)에 맞물린다(도 1의 (c)).
도 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50)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인서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플러그 본체(60)와, 각각 띠모양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에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리셉터클 컨택트(30)와 대응하여 동일한 피치로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70)와,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된 벽부(64,65)의 각각에 대하여 설치된 플러그측 앵커(80)를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60)는 예를 들어, 나일론 9T(상표명),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컨택트(70)와 함께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이 플러그 본체(60)의 벽부(64)에는 플러그 컨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출 때 유입오목부(25) 및 유입오목부(26)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기둥부(91) 및 안내기둥부(9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벽부(65)에는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었을 때 유입오목부(28)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기둥부(93)가 설치되어 있다. 안내기둥부(91~93)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도 2의 (a)의 상하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반원이고, 이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모양을 이루며, 만곡한 측면(91a~93a)을 바깥쪽으로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안내기둥부(91~93)는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을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측으로 연장되며 서로 떨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안내기둥부들(91~93)의 리셉터클 커넥터(10)측의 선단부 (91b~93b)는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벽부(64) 및 벽부(65)의 리셉터클 커넥터(10)측의 단면(64a) 및 단면(65a)보다도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93a)과 선단부(93b)의 경계선(P2)은 단면(65a)보다 거리 D(D>0)만큼 리셉터클 커넥터(10)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측면(91a~93a)에 대한 선단부(91b~93b) 각각의 경사각도(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 대한 경사각도)는, 설치면(25b, 26b, 28b)에 대한 경사면(25c,26c,28c)의 경사각도(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 대한 경사각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작게 되어 있다. 도 2의 (d)에 안내기둥부(93) 및 벽부(65)의 단면형상을 나타내는데, 안내기둥부(91) 및 안내기둥부(92)의 형상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플러그 컨택트(70)는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벽부(6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길이방향 벽부(61)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러그측 단자부(74)는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땜납 고정된다. 또한, 플러그측 앵커(80)는 그 플러그측 고정부(88,89)가 각각 설치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면, 리셉터클 컨택트(30) 안으로 플러그 컨택트(70)가 끼워맞추어지며, 벽부(64) 또는 벽부(65)와 함께 플러그측 앵커(80)가 오목부(43b) 안으로 끼워들어가, 플러그측 앵커(80)가 리셉터클측 앵커(40)에 보유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잠금 상태가 실현되며, 플러그측 앵커(80)와 리셉터클측 앵커(40)가 서로 도통된다(도 3).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로 끼워맞출 때는 먼저 안내기둥부(91~93)의 선단부(91b~93b)를 유입오목부(25,26,28)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개시되며, 이어서 리셉터클 컨택트(30)와 플러그 컨택트(70)가 맞닿고, 그 후 선단부(91b~93b)를 수납부(35,36,38)로 각각 삽입함으로써 종료된다(도 4 참조).
선단부(91b~93b)가 뾰족한 형상이며, 또한 유입오목부(25,26,28)에 경사면(25c,26c,28c)을 각각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의 수동 끼워맞춤이나 자동 끼워맞춤과 같은 커다란 끼워맞춤 어긋남이 있는 경우에도 수정 가능한 유입 칫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안내기둥부(91~93)를 서로 떨어뜨려 배치하며, 안내기둥부(91) 및 안내기둥부(92)와, 안내기둥부(93)를 플러그 커넥터(5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배치하였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50)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똑바로 마주보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끼워맞추려고 하여도, 유입오목부(25,26,28)에 대한 안내기둥부(91~93)의 방향을 바르게 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25c,26c,28c)의 경사각도를 선단부(91b~93b)의 경사각도보다 각각 크게 하였기 때문에, 보다 쉽게 유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93a)이 설치면(28b)보다도 바깥쪽에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추는 경우에는,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기둥부의 선단면(93c)을 경사면(28c)과 맞닿게 함으로써, 안내기둥부(93)를 유입오목부(28) 안으로 유도할 수 있다. 끼워맞춤 어긋남의 허용량은 선단부(91b~93b)의 경사범위 및 경사면(25c,26c,28c)의 경사범위를 확대함으로써 늘릴 수 있다.
또한, 수납부(35,36,38) 안에 선단부(91b,92b,93b)를 각각 수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안내기둥부(91,92,93)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끼워맞춤 어긋남을 수정하기 위한 유입 칫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면(28c)과 선단면(93c)이 맞닿은 후, 리셉터클 컨택트(30)와 플러그 컨택트(70)가 맞닿기 전에, 플러그 커넥터(50)의 삽입방향에서의 경계선(P1)과 경계선(P2)의 높이가 동일해진다. 이는 유입오목부(25)와 안내기둥부(91), 및 유입오목부(26)와 안내기둥부(9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경사면(25c,26c,28c)의 경사각도와 그 밖의 유입오목부(25,26,28)의 형상, 및 선단부(91b,92b,93b)의 경사각도와 그 밖의 안내기둥부(91,92,93)의 형상, 칫수에 의해 리셉터클 컨택트(30)와 플러그 컨택트(70)가 맞닿기 전에,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50)가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안내기둥부(91~93)에서는 단면(64a) 또는 단면(65a)과 P2 사이에 연직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리(D)가 0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리(D)가 클수록, 경사면(25c,26c,28c)과 선단부(91b,92b,93b)가 맞닿은 후부터, 리셉터클 컨택트(30)와 플러그 컨택트(70)가 맞닿을 때까지의 사이에, 정확한 끼워맞춤 위치에서 끼워맞출 수 있도록,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면서 플러그 커넥터(50)를 이동하는 거리를 늘릴 수 있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하여 플러그 커넥터(50)가 똑바로 마주보게 하기가 쉬워지는 동시에, 보다 안정적으로 끼워맞출 수 있게 된다. 즉, 안내기둥부가 형성 되지 않은 커넥터와 비교하여, 보다 큰 끼워맞춤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는 동시에, 컨택트끼리 맞닿기 전에 확실하게 커넥터가 똑바로 마주보게 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끼워맞출 때 리셉터클 커넥터(10) 안으로 플러그 커넥터(50)가 들어가는 구조이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삽입홈(21) 내벽에 유입오목부를 형성하여 실장면적을 결정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형을 늘리지 않고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 즉, 끼워맞춘 후의 외형을 요철이 적은 사각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오목부(25,26,28)의 단면 형상을 대략 V자형과 대략 ㄷ자형의 조합으로 하고 있다. 대략 V자형으로 하면 끼워맞춤 어긋남이 크더라도 안내기둥부(91~93)를 유도하기 쉽고, 또한 안내기둥부(91~93)의 형상이나 칫수가 제조 편차 등에 의해 변동하더라도 확실하게 2곳에서 유지할 수 있다. 한쪽을 약간의 틈(clearance)(0.02~0.05mm정도)을 가지도록 설정한 대략 ㄷ자형으로 하면, 상기 제조 편차가 발생하여도 확실하게 끼워맞출 수 있는 동시에, 끼워맞출 때의 위치 맞춤에 대한 규제를 설정할 수 있다. 유입오목부(25,26,28)의 형상을 대략 V자형 및 대략 ㄷ자형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큰 끼워맞춤 어긋남이 수정가능하며, 리셉터클 커넥터(10)로 플러그 커넥터(50)를 삽입하기 쉬워, 여러가지 형상 또는 칫수의 안내기둥부에 대응할 수 있는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입오목부는 벽부(22) 및 벽부(23)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된다면 몇 개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안내기둥부는 벽부(64) 및 벽부(65)에 각각 하나 이상 설 치된다면 몇 개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끼워맞춤 어긋남이 있어도 안내기둥부를 끌어들일 수 있다. 유입오목부를 벽부(22) 및 벽부(23)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는 경우에는,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대각 또는 이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러그 커넥터(50)의 끼워맞춤 방향 직교평면 위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상대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안내기둥부를 벽부(64) 및 벽부(65)에 각각 하나씩 설치하는 경우에는,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플러그 커넥터(50)의 대각 또는 이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50)의 방향에 따라 끼워맞춤 가능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유입오목부를 설정하여도 좋다. 즉, 어느 방향에서는 플러그 커넥터(5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출 수 있지만, 끼워맞춤 방향 직교 평면위에서 플러그 커넥터(50)를 180°회전시킨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끼워맞출 수 없도록, 유입오목부의 유무, 위치, 형상을 설정하여도 좋다.
유입오목부(25~28)의 단면형상은 대략 V자형, 대략 ㄷ자형 외에, 원호형, U자형 등으로도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안내기둥부(91~93)의 단면형상은 대략 반원 외에, 다각형상으로도 할 수 있다.
수납부(35~38)는 리셉터클 본체(20) 바닥부(20a)의 윗면(20a1)으로부터 아랫면(20a3)(도 1의 (c))까지 관통한 관통구멍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보다 긴 안내기둥부를 수납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보다 심각 한 끼워맞춤 어긋남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리셉터클 본체(20)의 강도 유지 및 역류(reflow) 시의 플럭스(flux)나 가스의 침입 방지를 위해서는 관통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예)
이어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예는 본 발명을 리셉터클측 앵커 및 플러그측 앵커가 없고, 리셉터클 커넥터의 바닥부에 위치를 맞춤기 위한 보스부가 설치된 타입의 커넥터에 적용한 것으로서, 유입오목부의 갯수 및 배치, 안내기둥부의 갯수 및 배치, 그리고 수납부의 배치가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제 1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110)는 플러그 커넥터(150)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121)이 설치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리셉터클 본체(120)와, 삽입홈(1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130)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본체(120)는 리셉터클 본체(20)와 마찬가지로,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이다. 이 리셉터클 본체(120)의 길이방향 양단의 벽부(122,123) 내벽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 위치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50)의 삽입방향(도 5의 (a)의 상하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V자형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유입오목부(125,12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본체(120)의 바닥부(127)로부터는 기판에 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10)를 실장하는 위치를 규정하기 위한 보스부(돌기부)(128,129)가 아랫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보스부는 유입 오목부(125) 및 유입오목부(126)의 아랫쪽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도 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입오목부(125,126)는 플러그 커넥터(150)의 삽입방향에 따라, 리셉터클 본체(120) 바닥부(120a)의 윗면(120a1)으로부터 아랫면(120a3)까지 관통되며, 또한 보스부(128,129) 안에 오목하게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128a)까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수납부(138,139)에 연결되어 있다. 수납부(138,139)는 경사 단부(120a2)를 통하여, 리셉터클 본체(120) 바닥부(120a)의 윗면(120a1)까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유입오목부(125,126) 설치면(125b,126b)의 상부에는, 윗쪽으로 향할 수록 바깥쪽으로 넓어지는 경사면(125c,126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130)는 삽입홈(121)을 끼우도록 배치되며, 삽입홈(12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단자부(134)는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땜납 고정된다.
도 6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150)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인서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플러그 본체(160)와, 각각 띠모양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본체(160)의 길이방향에 따라 양측에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110)에서의 리셉터클 컨택트(130)와 대응하여 동일한 피치로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170)를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160)는 플러그 본체(60)와 마찬가지로, 플러그 컨택트(170)와 함께 일체 성형(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이 플러그 본체(160)의 길이방향 양단의 벽부(164,165)에는, 플러그 커넥터(150)를 리셉터클 커넥 터(110)에 끼워맞추었을 때 유입오목부(125) 및 유입오목부(126)에 대응하는 위치에 안내기둥부(191) 및 안내기둥부(19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안내기둥부(191,192)는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150)의 삽입방향(도 6의 (a)에서 상하방향) 직교단면이 대략 원형이며, 이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모양을 이루고 있다. 안내기둥부(191,192)는 플러그 커넥터(150)의 삽입방향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10)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안내기둥부(191,192)의 리셉터클 커넥터(110)측의 선단부(191b,192b)는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는 동시에 정점부는 구형(球型)으로 되어 있으며, 벽부(164) 및 벽부(165)의 리셉터클 커넥터(110)측의 단면(164a) 및 단면(165a)보다 돌출되어 있다. 안내기둥부(191,192)의 외주면(191a,192a)에 대한 선단부(191b,192b)의 경사각도는 설치면(125b) 및 설치면(126b)에 대한 경사면(125c) 및 경사면(126c)의 경사각도와 같거나 작게 되어 있다.
플러그 컨택트(170)는 플러그 본체(160)의 길이방향 벽부(16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길이방향 벽부(161)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러그측 단자부(174)는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땜납 고정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 커넥터(150)를 리셉터클 커넥터(110)에 끼워맞추면, 리셉터클 컨택트(130) 안으로 플러그 컨택트(170)가 끼워맞추어진다(도 7). 플러그 커넥터(150)를 리셉터클 커넥터(110)로 끼워맞출 때는, 먼저 안내기둥부(191) 및 안내기둥부(192)의 선단부(191b) 및 선단부(192b)를 유입오목부(125) 및 유입오목부(126)로 각각 삽입함으로써 시작되며, 이어서 리셉터클 컨택트(130) 와 플러그 컨택트(170)가 맞닿고, 그 후 선단부(191b) 및 선단부(192b)를 수납부(138) 및 수납부(139)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종료된다(도 8 참조).
제 2 실시예에서는 보스부(128) 및 보스부(129) 안에 수납부(138) 및 수납부(139)를 오목설치하고, 그 내부에 선단부(191b) 및 선단부(192b)를 각각 수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예의 안내기둥부(91) 내지 안내기둥부(93)와 비교하여, 플러그 커넥터(150)의 삽입방향에서의 안내기둥부(191) 및 안내기둥부(192)의 높이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안내기둥부의 경사면을 넓힐 수 있어 커넥터의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끼워맞춤 어긋남을 수정하기 위한 유입 칫수를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실장 기판에 리셉터클 커넥터(110)를 위치결정하는 보스부(128,129)에 대응하는 구멍과, 실장기판과 안내기둥부(191,192)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구멍을 각각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즉, 실장기판의 구멍을 공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의해, 기판 배선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고밀도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수납부(138,139)를 보스부(128,129) 안에 오목하게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128a,139a)으로 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10)의 바닥부(120a)에 외부로 통하는 관통구멍이 없기 때문에, 리셉터클 본체(120)의 강도 유지 및 실장시 역류할 때의 플럭스나 가스의 침입방지가 가능하다.
더욱이, 실질적으로 안내기둥부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의 총 높이를, 끼워맞춤시의 기판간 높이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수납부(138,139)를 보스부(128,129) 안에 오목하게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128a)까지 연결하여 이루 어진 것으로 하였지만, 요구되는 끼워맞춤 어긋남의 허용량, 기판두께, 보스부(128,129)의 크기 등에 따라, 바닥이 있는 구멍(128a)을 관통구멍으로 하고, 수납부를 바닥부(120a)의 윗면(120a1)으로부터 보스부(128,129) 안의 관통구멍까지 연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유입오목부(125) 및 유입오목부(126)를 벽부(122) 및 벽부(123)에 하나씩 설치하고, 이들에 대응하는 안내기둥부(191,192)를 벽부(164) 및 벽부(165)에 하나씩 설치하고 있다. 이것은 안내기둥부가 커짐에 따라 안내기둥부가 멀어지는 거리가 짧아지거나, 대응하는 유입오목부가 복수개 형성됨에 따른 리셉터클 본체(120)의 강도저하, 또는 커넥터 조립기의 생산성 저하 등을 방지한다는 목적이 있다.
한편, 그 밖의 작용, 효과, 변형예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안내기둥부나 유입오목부의 갯수나 위치, 형상은 커넥터에 요구되는 끼워맞춤 어긋남의 허용량, 끼워맞춤시의 기판간 높이, 금구의 유무, 보스부 형성의 유무, 생산성 등의 설계적 제약 중에서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끼워맞춤 어긋남의 허용량은 안내기둥부의 끝이 뾰족해지도록 형성된 부분의 형상에 의해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삽입방향에 대한 경사면의 각도, 돌출하는 높이, 크기, 선단의 형상을 설정함으로써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개량의 목적 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본체에 안내기둥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리셉터클 본체에 유입오목부 및 수납부를 설치함으로써,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수동 또는 자동으로 끼워맞출 때의 커다란 끼워맞춤 어긋남을 흡수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끼워맞출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끼워맞춤 어긋남이 있다고 해도, 플러그 컨택트와 리셉터클 컨택트가 맞닿기 전에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정면으로 마주보게 할 수 있다.

Claims (12)

  1.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뺏다 하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삽입홈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본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측으로 돌출되고, 적어도 선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된 부분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안내기둥부를 구비하며,
    상기 리셉터클 본체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할 때 상기 안내기둥부의 선단부를 그 내부로 각각 안내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적어도 2개의 유입오목부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따라 상기 유입오목부에 연결되어 오목하게 설치되고 상기 안내기둥부의 선단부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둥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마주보는 양단면 위에 적어도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둥부는 평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인 상기 플러그 본체의 대각 위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둥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마주보는 양단면의 길이방향 대략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둥부는 서로 떨어져 있는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둥부는 상기 플러그 본체의 마주보는 양단면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오목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 직교단면이 V자형인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오목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 직교단면이 ㄷ자형인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 바닥부의 아랫면에는 보스부가 적어도 2개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보스부 안에 오목하게 설치된 바닥이 있는 구멍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 바닥부의 아랫면에는 보스부가 적어도 2개 구비되고, 상기 수납부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과, 상기 보스부를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커넥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50023252A 2005-01-31 2005-03-21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KR100636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22409A JP2006210206A (ja) 2005-01-31 2005-01-31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JPJP-P-2005-00022409 2005-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983A KR20060087983A (ko) 2006-08-03
KR100636333B1 true KR100636333B1 (ko) 2006-10-19

Family

ID=36966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252A KR100636333B1 (ko) 2005-01-31 2005-03-21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6210206A (ko)
KR (1) KR100636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3308B2 (ja) * 2005-08-04 2011-07-1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180705B2 (ja) 2008-07-02 2013-04-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2089336A (ja) * 2010-10-19 2012-05-10 Panasonic Corp 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5751434B2 (ja) * 2013-04-19 2015-07-22 Smk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を使用した基板接続構造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15228340A (ja) * 2014-06-02 2015-12-17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プラグコネクタ
JP6775245B2 (ja) * 2016-11-09 2020-10-2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1375B2 (ja) * 2017-05-29 2020-09-23 京セラ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809682B2 (ja) * 2017-10-25 2021-01-06 旭精工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6681951B2 (ja) * 2018-08-08 2020-04-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251180B2 (ja) * 2019-02-04 2023-04-04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9002839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10206A (ja) 2006-08-10
KR20060087983A (ko)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333B1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KR100721042B1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CN107069265B (zh) 带引导零件的电连接器
JP4782740B2 (ja) 低背コネクタ
US6699048B2 (en) High density connector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342890B2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rows of contacts
KR20110084924A (ko) 보드간 컨넥터
CN104518315A (zh) 连接器
US7114975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position guider
US9356407B2 (en) Connector having a terminal with a coupling portion coupling a first portion having a contact point with a second portion
KR101255371B1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070001796A (ko) 커넥터
US20220173540A1 (en) Connector Housing,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CN110247213B (zh) 中间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装体
US8308499B2 (en) Duplex profile connector assembly having retention means for assembling upper and lower connectors thereof together
KR20040108545A (ko) 유동형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US11050174B2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EP4224637A1 (en)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US6146175A (en) Board connectors having a low profile and which undergo a wiping effect when coupled
US795092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US7056133B2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KR100721040B1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JP7393132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