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4924A - 보드간 컨넥터 - Google Patents

보드간 컨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4924A
KR20110084924A KR1020117010856A KR20117010856A KR20110084924A KR 20110084924 A KR20110084924 A KR 20110084924A KR 1020117010856 A KR1020117010856 A KR 1020117010856A KR 20117010856 A KR20117010856 A KR 20117010856A KR 20110084924 A KR20110084924 A KR 201100849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fitting
board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2437B1 (ko
Inventor
료따로 다께우찌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10084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4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2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2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제 1 컨넥터 및 제 2 컨넥터를 포함하는 보드간 컨넥터가 개시된다. 제 1 컨넥터는 제 1 하우징을 갖는다. 제 1 하우징의 각각의 제 1 끼워맞춤 안내부에는 제 1 하우징의 각 측벽부에 연결되게 제 1 하우징의 각각의 오목 안내부의 양측을 정의하고 제 1 하우징의 각 측벽부의 끼워맞춤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게 구성된 돌출 측벽 부분이 제공된다. 돌출 측벽 부분에는 제 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제 1 하우징의 각각의 오목 안내부의 입구 단부에 형성된 경사 안내 표면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보드간 컨넥터{BOARD-TO-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보드간(board-to-board) 컨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2 컨넥터의 제 2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형성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이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에 삽입되도록, 제 1 컨넥터의 제 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 표면이 제 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형성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 각각의 오목 돌출 단부의 입구 단부 내 형성된 구성을 갖는 보드간 컨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드간 컨넥터들은 일반적으로 다수 쌍들의 평행한 회로보드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컨넥터들은 보드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회로보드들의 각각의 서로 대향한 면들에, 끼워맞춤에 의해, 부착된다. 이러한 보드간 컨넥터의 예는 일본특허 출원번호 2008-084795에 예시되어 있다.
또한, 도 10은 종래의 보드간 컨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제 1 컨넥터(801)는 제 1 회로보드(891)에 부착되고 도시되지 않은 제 2 회로보드에 부착된 제 2 컨넥터와 맞물리게 단단히 끼워맞추어진다. 제 1 컨넥터(801)에는 절연재로 형성된 제 1 하우징(811) 및 제 1 하우징(811) 내 장착된 복수의 제 1 단자들(861)이 제공된다. 또한, 제 1 단자들(861)의 각각의 테일부들(862)은 제 1 회로보드(891)의 도시되지 않은 연결 패드들에 연결된다.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821)은 제 1 하우징(811)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에 형성되며, 제 2 컨넥터의 제 2 하우징의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은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821)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이 원할하게 안내될 수 있게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821)에는 경사면들(8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 1 컨넥터(801)가 제 2 컨넥터에 맞물리게 끼워맞추어질 때, 제 1 컨넥터(801)의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821) 내 수용되게 제 2 컨넥터의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을 용이하게 삽입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컨넥터들의 끼워맞춤을 달성함에 있어 작업성이 개선된다.
그러나, 종래의 보드간 컨넥터에서는 끼워맞춤 조작을 가늠해서 수행하기는 어려우며 끼워맞춤 조작에 장시간이 걸린다. 구체적으로, 제 1 회로보드(891)에 부착된 제 1 컨넥터(801)와 제 2 회로보드에 부착된 제 2 컨넥터가 서로 맞물리게 단단히 끼워맞추어질 때, 작업 상태들에 따라, 작업자는 제 1 하우징(811)의 끼워맞춤면과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없는 상태에서 끼워맞춤을 위해 가늠으로 조작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작업자는 제 2 하우징이 제 1 하우징(811)에 삽입되게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을 제 1 하우징(811)의 끼워맞춤면 상에 미끄러지게 할 때 제 1 하우징(811)에 관하여 제 2 하우징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하기 위해 가늠해야할 필요가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경사면들(823)만이 면을 위로 하여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821) 상에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 1 컨넥터(801)과 제 2 컨넥터 간에 상대적 위치가 길이방향 서로 오정렬되었을 때, 제 1 하우징(811)의 끼워맞춤면을 제 2 하우징의 끼워맞춤면 상에 미끄러지게 할 때라도, 제 2 하우징의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를 제 1 컨넥터(801)의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821) 내에 수용되게 삽입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결국, 끼워맞춤 조작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없고, 끼워맞춤 조작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컨넥터에서 발생하는 전술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컨넥터의 제 2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형성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이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에 삽입되도록, 제 1 컨넥터의 제 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 표면이 제 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형성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 각각의 오목 돌출 단부의 입구 단부 내 형성된 구성을 갖는 보드간 컨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길이방향으로 제 1 하우징에 관하여 제 2 하우징을 이동시킴으로써 끼워맞춤을 위해 가늠하여 조작하는 과정에서 위치설정 및 끼워맞춤 맞물림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보드간 컨넥터는 끼워맞춤을 위한 가늠 조작이 쉬워지게 하며 그럼으로써 끼워맞춤 조작을 훨씬 짧은 시간내에 그리고 정확하게 완료하고 보드간 컨넥터의 양호한 조작성 및 고 신뢰성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보드간 컨넥터는, 섬 부분; 섬 부분의 양 측 상에 형성된 오목 삽입부들; 오목 삽입부들 각각의 양 측 상에 형성된 측벽부들; 측벽부들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연결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 및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 내 형성된 오목 안내부들을 포함하고 제 1 단자들을 장착한 제 1 하우징을 구비하는 제 1 컨넥터; 및 섬 부분이 삽입되는 함몰 공동부; 오목 삽입부들에 삽입되게 함몰 공동부(113)의 양 측 상에 형성된 돌출 볼록부들; 및 오목 안내부들에 삽입되게 돌출 볼록부들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연결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을 포함하고 제 1 단자들과 접촉하게 구성된 제 2 단자들을 장착한 제 2 하우징을 구비하며. 제 1 컨넥터(1)에 견고한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리게 구성된 제 2 컨넥터를 포함하며;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 각각에는 측벽부들 각각에 연결되게 오목 안내부들 각각의 양측을 정의하고 측벽부들 각각의 끼워맞춤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게 구성된 돌출 측벽부가 제공되며; 돌출 측벽부에는 제 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오목 안내부들 각각의 입구 단부에 형성된 경사 안내 표면이 제공된다.
또한, 보드간 컨넥터는 경사 안내 표면이 측벽부들 각각의 끼워맞춤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게 하기 위해서 돌출 측벽부와 측벽부들와의 경계부에 형성되며 경사 안내 표면에 형성된 오목 안내부들 각각의 입구 단부가 이의 위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개방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보드간 컨넥터는 제 1 단자들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측벽부들 및 섬 부분의 끼워맞춤면들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제 2 단자들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돌출 볼록부들의 끼워맞춤면들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보드간 컨넥터는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 각각에는 이의 양측의 각 측 상에 형성되고 제 2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표면이 제공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보드간 컨넥터는, 제 2 컨넥터의 제 2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형성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이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에 삽입되게, 제 1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형성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 각각의 오목 돌출 단부의 입구 단부에, 제 1 컨넥터의 제 1 하우징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 표면이 형성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제 1 하우징에 관하여 제 2 하우징을 이동시킴으로써 끼워맞춤을 위한 가늠 조작 과정에서 위치설정 및 끼워맞춤 맞물림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보드간 컨넥터는 가늠으로 끼워맞춤 조작이 쉬워지게 하여 끼워맞춤 조작을 훨씬 짧은 시간내에 그리고 정확하게 완료하고 양호한 조작성 및 고 신뢰성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과 함께 본 발명의 구조 및 동작의 구성 및 방법은 동일 구성요소에 동일 참조부호를 사용한 동반된 도면들에 관려하여 취해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최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컨넥터의 끼워맞춤면에서 본 제 1 및 제 2 컨넥터의 사시도로서, 제 1 및 제 2 컨넥터들은 서로 끼워맞추어져 있지 않다.
도 2은 끼워맞춤면에서 본 도 1의 제 1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끼워맞춤면에서 본 도 1의 제 2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1 단계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2 단계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2 단계를 보인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3 단계를 보인 것이다.
도 8은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4 단계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보드간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나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에 도시되고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본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증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고 예시된 바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님을 알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 예시된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의 여러 요소의 구조 및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 하, 좌, 우, 전방, 후방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것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요소들의 위치의 설명이 바뀐다면, 이들 표현들은 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도 1은 제 1 컨넥터의 끼워맞춤면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드간 컨넥터의 제 1 컨넥터 및 제 2 컨넥터의 사시도로서, 제 1 컨넥터 및 제 2 컨넥터가 끼워맞춤에 의해 아직 함께 맞물려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끼워맞춤면에서 보았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드간 컨넥터를 구성하는 한쌍의 컨넥터들 중 하나로서 참조부호 1로 나타낸 제 1 컨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제 1 보드의 표면 상에 실장되는 표면실장형 컨넥터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한쌍의 보드간 컨넥터를 구성하는 컨넥터들 중 참조부호 101로 나타낸 다른 한 컨넥터인 제 2 컨넥터는 도시되지 않은 제 2 보드의 표면 상에 실장되는 표면실장형 컨넥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드간 컨넥터는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를 포함하며, 제 1 보드 및 제 2 보드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1 보드 및 제 2 보드는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 또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인쇄회로보드들이며 임의의 유형의 보드일 수 있다.
제 1 컨넥터(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로 일체로 형성된 컨넥터 몸체로서 제 1 하우징(11)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11)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형의 형상을 갖는 대체로 직육면체 부재이다. 둘러싸인 주변을 가진 대체로 직사각 형상인 오목부(12)는 일측, 즉 제 2 컨넥터(101)가 끼워맞추어지는 끼워맞춤 측(도 2에서 상측) 상에 형성된다. 제 1 컨넥터(1)는 약 10.0 mm 길이, 약 2.5 mm 폭, 및 약 1.0 mm 두께의 치수를 가지며, 치수는 필요할 때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섬(island) 부분으로서 제공된 제 1 돌출 볼록부(13)는 제 1 하우징(11)과 일체가 되게 오목부(12) 내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돌출 볼록부(13)와 평행하게 연장하게 구성된 측벽부들(14)은 제 1 하우징(11)과 일체가 되게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양측에 형성된다. 이 경우에, 제 1 돌출 볼록부(13) 및 측벽부들(14)는 오목부(12)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며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게 구성된 긴 오목 삽입부들인, 오목부(12)의 부분으로서 함몰 홈 부분들(12a)은 제 1 돌출 볼록부(13)와 측벽부들(14) 사이에 배치되게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양측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 1 돌출 볼록부(13)가 개수가 하나일지라도, 복수의 돌출 볼록부들이 제공될 수 있고, 이의 개수는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돌출 볼록부(13)는 약 0.6 mm 폭의 치수를 가지며, 예를 들어, 치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함몰 홈 형상을 가진 제 1 단자-수용 내측 공동들(15a)은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양 측면들 상에 형성된다. 또한, 함몰 홈 형상을 가진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은 끼워맞춤면으로서 윗면(14a) 상에 그리고 측벽부(14)의 각각의 양 측면들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단자-수용 내측 공동들(15a) 및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은 함몰 홈 부분(12a)의 바닥 부분에 서로 연결되고 서로 일체화되기 때문에, 제 1 단자-수용 내측 공동들(15a) 및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을 일괄하여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이라 칭하도록 할 것이다.
제 1 돌출 볼록부(13)의 각 측 상에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의 수는 예를 들어 약 0.4 mm의 피치를 갖고 10개이다. 또한, 제 1 돌출 볼록부(13)의 각 측 상에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 내 수용되는 제 1 단자들(61)의 수는 예를 들어 약 0.4 mm의 피치를 갖고 10개이다.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의 피치 및 개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제 1 단자들(61)은 도전성 금속판에 가공,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되는 일체형 부재이다. 제 1 단자들(61) 각각에는 홀딩부(63), 홀딩부(63)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는 테일부(62), 홀딩부(63)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상측 연결부(67), 상측 연결부(67)의 내측 단부 근처에 형성된 제 2 접촉부(66), 제 2 접촉부(66)에 연결된 하측 연결부(64), 및 하측 연결부(64)의 자유 단부 근처에 형성된 제 1 접촉부(65)가 제공된다.
홀딩부들(63)은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 내 끼워맞추어짐으로써 유지되게 상-하 방향으로, 즉 제 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확장하는 부분들이다. 테일부들(62)은 홀딩부들(63)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된 연결 패드들에 연결되게 좌-우 방향으로, 즉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확장한다. 상측 연결부들(67)은 홀딩부들(63)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제 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안쪽으로 확장한다. 또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아래쪽으로 구부리고 안쪽으로 돌출하게 구성된 제 2 접촉부들(66)은 상측 연결부들(67)의 내측 단부들에 형성된다. 하측 연결부들(64)은 측면에서 보아 대체로 U 형상을 가지며 제 2 접촉부들(66)의 하측 단부들에 연결되는 부분들이다. 또한, 만곡된 형상을 가지며 U 형상으로 구부리고 바깥쪽으로 돌출하게 구성된 제 1 접촉부들(65)은 자유 단부들에, 즉 하측 연결부들(64)의 안쪽 상측 단부들 근처에 형성된다.
제 1 단자들(61)은 홀딩부들(63)이 측벽부들(14) 외측에 배치된 제 1 단자-수용 외측 공동들(15b)의 측벽들에 의해 협지하여 클램프됨으로써 제 1 하우징(11)에 확고하게 고정되게 끼워맞춤 측으로부터 제 1 단자 수용 공동들(15)에 끼워맞추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은 끼워맞춤면이 되고 평탄한 혹은 매끄러운 표면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제 1 하우징(11)에 고정된 제 1 단자들(61)의 부분들 중 어느 것도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측벽부(14)의 윗면(14a)은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보다 낮은(제 1 보드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단자(61)의 상측 연결부(67)의 윗면은 측벽부(14)의 윗면(14a)과 거의 같은 높이이지만,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또한, 제 1 단자(61)의 상측 연결부(67)의 윗면을 측벽부(14)의 윗면(14a)보다 낮게 하면, 측벽부(14)의 윗면(14a)은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과 같은 높이가 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로서 제 1 돌출 단부들(21)은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각각 배치된다. 오목부(12)의 부분으로서 오목한 돌출 단부(22)는 각각의 제 1 돌출 단부들(21) 내에 형성된다. 오목 돌출 단부들(22)은 대체로 사각 오목부들이며 함몰 홈 부분들(12a)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연결된다. 또한, 오목 돌출 단부(22)는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가 서로 함께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 나중에 기술되는 제 2 컨넥터(101)의 제 2 돌출 단부(122)가 삽입되는 오목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제 1 돌출 단부들(21) 각각에는 측벽부(14)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로부터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된 돌출 측벽부들(21b) 및 제 1 하우징(11)의 단축 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되고 돌출 측벽부들(21b)에 연결된 양 단부들을 갖는 단부 벽부(21c)가 제공된다. 제 1 돌출 단부들(21) 각각에서 단부 벽부(21c) 및 단부 벽부(21c)의 양 단부들에 연결된 돌출 측벽부들(21b)은 반전된 C 형상을 갖는 연속한 측벽을 형성하며 그럼으로써 사각형 오목 돌출 단부(22)의 3개의 측면들을 정의한다.
제 1 돌출 단부들(21)의 각각의 윗면(21a)은 단부 벽부(21c) 및 단부 벽부(21c)의 양 단부들에 연결된 돌출 측벽부들(21b)의 전체 범위에 걸쳐 확장하는 반전된 C 형상을 갖는 하나의 연속한 평탄면이며,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보다, 그리고 측벽부들(14)의 윗면들(14a)보다 높은 위치(제 1 보드로부터 먼)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 표면으로서의 경사면 부분(23)는 돌출 측벽부들(21b)의 각각의 입구 부분, 즉 측벽부들(14)을 가진 경계부 내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돌출 단부(21)의 윗면(21a)은 측벽부들(14)의 윗면들(14a)보다 높은 위치에 놓여져 있기 때문에, 돌출 측벽부들(21b)에는 측벽부들(14)을 가진 경계부들에 배치되고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된 평탄면 형상을 갖는 수직 경계 벽부들(21e)이 구비된다. 수직 경계 벽부들(21e)의 내측 코너 부분들은 경사면 부분들(23)을 형성하게 비스듬히 절단되어 있다. 또한, 수직 경계 벽부들(21e)의 코너 부분들이 경사면 부분들(23)을 형성하게 절단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 단부 표면들(21f)이 윗면들(21a)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되게 측벽부들(14)을 가진 돌출 측벽부들(21b)의 경계부들의 부분들 내에 형성될지라도, 하측 단부 표면들(21f)은 측벽부들(14)의 윗면들(14a)과 같은 높이를 갖는다.
결국, 돌출 측벽부들(21b)의 양측들 상에 이들의 입구 단부의 내측 코너 부분들에 경사면 부분들(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돌출 단부들(21)의 오목 돌출 단부들(22)의 입구 단부들은 이의 위쪽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 2 컨넥터(101)를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였을 때, 제 2 돌출 단부들(122)는 오목 돌출 단부들(2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11)의 위에서 보았을 때 이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면 부분들(23)의 경사각이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약 45도로 설정될지라도, 경사각은 반드시 45도일 필요는 없고 30도 또는 60도일 수 있고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경사면 부분들(23)이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평탄면들일지라도, 이들은 만곡된 표면들일 수 있다. 즉, 경사면 부분들(23)은 경사진 평탄면들일 수도 있고 경사진 만곡된 표면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보강 브래킷으로서의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이 제 1 돌출 단부들(21)에 부착된다.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은 금속판에 가공,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된 일체형 부재이며, 돌출 측벽부들(21b)에 형성된 제 1 오목 브래킷 홀딩부들(26) 내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또한,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하측 단부들에 형성된 테일부들(52)은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고정 패드들에 연결된다. 또한,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상측 단부들에 형성된 볼록 맞물림 부분들(53)은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가 서로 함께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제 2 컨넥터(101)의 후술하는 제 2 보강 브래킷들(151)과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 오목 돌출 단부들(22) 내 수용되게 내측 표면들(21d)로부터 도출하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컨넥터(101)는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로 일체로 형성된 컨넥터 몸체로서의 제 2 하우징(111)을 포함한다. 도면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11)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같은 형상을 가진 대체로 직육면체 부재이다. 제 2 하우징(111)는 약 8.0 mm 길이, 약 1.5 mm 폭, 및 약 0.8 mm 두께의 치수를 가지며, 치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된 긴 함몰 공동부(113)와, 함몰 공동부(113)의 바깥 측들을 정의하며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확장하게 구성된 긴 돌출 볼록부로서의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은, 제 1 컨넥터(1)가 끼워맞추어지는 제 2 하우징(111)의 일측, 즉, 끼워맞춤 측(도면에서 위측)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은 함몰 공동부(113)의 양측을 따라서 그리고 제 2 하우징(111)의 양측을 따라서 형성된다. 또한, 제 2 단자들(161)은 제 2 돌출 볼록부들(112) 각각에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몰 공동부(113)는 제 2 보드 상에 장착되는 측, 즉 장착면(도면에서 하측 표면 측) 상에 자신의 표면에 바닥부분에 의해 닫혀진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의 개수가 2개일지라도, 이것은 한 개일 수도 있고 이의 개수는 특정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함몰 공동부(113)는 예를 들어 약 0.7mm 폭의 치수를 가지며, 이의 치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 2 단자들(161)은 도전성 금속판에 가공,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된 일체형 부재이다. 제 2 단자들(161)의 각각에는 제 2 접촉부로서도 기능하는 홀딩부(163), 홀딩부(163)의 하측 단부에 연결되는 테일부(162), 홀딩부(163)의 상측 단부에 연결되는 연결부(164), 및 연결부(164)의 내측 단부에 연결된 제 1 접촉부(165)가 제공된다. 또한, 제 1 단자들(61)의 제 1 접촉부들(65)과 맞물리게 구성된 오목 접촉부들(165a)는 제 1 접촉부들(165)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단자들(61)의 제 2 접촉부들(66)과 맞물리게 구성된 볼록 접촉부들(166)은 홀딩부들(163)의 상측 단부들 근처에 형성된다.
홀딩부들(163)은 제 2 하우징(111)에 의해 둘러싸인 주변으로 유지되고 제 1 단자들(61)의 제 2 접촉부들(66)와 접촉하는 부분들이다. 테일부들(162)은 홀딩부들(163)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납땜 등에 의해 제 2 보드 상에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된 연결 패드들에 연결되게 제 2 하우징(111)의 폭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확장한다. 연결부들(164)은 홀딩부들(163)에 연결되게 구부리고 제 2 하우징(111)의 폭 방향에서 안쪽으로 확장한다. 제 1 접촉부들(165)은 연결부들(164)의 내측 단부들에 연결되게 아래쪽으로 구부리고 아래쪽으로 확장하는 부분들이다.
또한,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은 제 2 단자들(161)이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 내 수용되도록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양 측면들 및 윗면(112a)을 따라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윗면(112a)은 끼워맞춤면이며 평탄한 또는 매끄러운 표면으로서 구성된다. 끼워맞춤면으로서의 윗면(112a)은 제 1 컨넥터(1)의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과 함께,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맞물림을 위한 기준 표면으로서 기능한다. 그러므로, 제 2 단자들(161)의 연결부(164)의 윗면의 부분들 중 어느 것도 윗면(112a)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연결부(164)의 윗면이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윗면(112a)과 같은 높이일지라도, 이것은 윗면(112a)보다 낮은 측에 위치될 수도 있다.
함몰 공동부(113)의 각 측 상에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의 개수는 예를 들어 약 0.4 mm의 피치를 갖고 10개이다. 또한, 함몰 공동부(113)의 각 측 상에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 내 수용되는 제 2 단자들(161)의 개수는 예를 들어 약 0.4 mm의 피치를 갖고 10개이다. 제 2 단자 수용 공동들(115)의 피치 및 개수는 필요할 때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로서의 제 2 돌출 단부들(122)는 각각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배열된다. 제 2 돌출 단부들(122) 각각은, 제 2 하우징(111)의 단축방향으로 확장하고 양 단부들이 길이방향으로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양 단부들에 연결되고 윗면(122a)은 대체로 사각형상 평탄면인 두꺼운 부재이다. 또한, 제 2 돌출 단부들(122)은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가 서로 함께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제 1 컨넥터(1)의 제 1 돌출 단부들(21)의 오목 돌출 단부들(22)에 삽입되는 부분들이다. 또한, 윗면(122a)은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윗면(112a)과 같은 높이가 되게 형성될 수 있고 윗면(112a)와 함께 끼워맞춤면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윗면(122a)의 외측 단부와 제 2 돌출 단부(122)의 단부측 표면(122b)과 좌측 및 우측 표면(122c) 간에 경계, 즉 제 2 돌출 단부(122)의 주변의 3개의 측면들 상에 코너 부분들에 면취가공(chamfering processing)이 가해질지라도, 면취가공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표면으로서의 경사면 부분들(123)은 제 2 돌출 단부(122)의 양 측단부들에, 즉 단부측 표면(122b)과 좌측 및 우측면들(122c)의 경계부들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단부측 표면(122b)과 좌측 및 우측면들(122c)의 경계부들의 코너 부분들은 경사면 부분들(123)을 형성하게 경사지게 절단된다.
결국, 제 2 돌출 단부들(122)의 두 외측 단부들은 경사면 부분들(123)이 있기 때문에, 위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1)의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였을 때, 제 2 돌출 단부들(122)는 제 1 돌출 단부들(21)의 오목 돌출 단부들(22) 안으로 쉽게 삽입된다.
또한, 제 1 하우징(11)을 위에서 보았을 때 이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면 부분들(123)의 경사각이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약 45도로 설정될지라도, 경사각은 반드시 45도일 필요는 없고 30도 또는 60도일 수 있고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경사면 부분들(123)이 도면들에 도시된 예에서 평탄면들일지라도, 이들은 만곡된 표면들일 수 있다. 즉, 경사면 부분들(23)은 경사진 평탄면들일 수도 있고 경사진 만곡된 표면들일 수도 있다. 경사면 부분들(123)은 필요하지 않다면 생략될 수도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보강 브래킷으로서의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이 제 2 돌출 단부들(122)에 부착된다.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은 도전성 금속판에 가공, 예를 들면, 펀칭 및 벤딩을 적용함으로써 형성된 일체형 부재이며, 제 2 돌출 단부(122)에 형성된 제 2 오목 브래킷 홀딩부들(126) 내 수용되어 이에 유지된다. 또한,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의 하측 단부들에 형성된 테일부들(152)은 납땜 등에 의해 제 2 보드 상에 고정 패드들에 연결된다. 또한, 테일부들(152)의 상측 단부들에 형성된 오목 맞물림 부분들(153)은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가 서로 함께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린 상태에서 제 1 컨넥터(1)의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볼록 맞물림 부분들(53)에 맞물리게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1 단계를 보인 것이며, 도 5는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2 단계를 보인 것이며, 도 6은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2 단계를 보인 것이며, 도 7은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3 단계를 보인 것이며, 도 8은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끼워맞춤 조작의 제 4 단계를 보인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 1의 제 1 컨넥터와 제 2 컨넥터 간에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단자들(61)의 테일부들(62)이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도시되지 않은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된 연결 패드들에 연결되고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테일부들(52)이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고정 패드들에 연결된 상태로 제 1 컨넥터(1)가 제 1 보드 상에 표면실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유사하게, 제 2 단자들(161)의 테일부들(162)이 납땜 등에 의해 제 1 보드 상에 도시되지 않은 도전성 트레이스에 연결된 연결 패드들에 연결되고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의 테일부들(152)이 납땜 등에 의해 제 2 보드 상에 고정 패드들에 연결된 상태로 제 2 컨넥터(101)가 제 2 보드 상에 표면실장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는 큰 면적을 갖는 제 1 보드 및 제 2 보드 상에 각각 실장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과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을 볼 수 없는 상태에서 가늠으로 끼워맞춤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기술될 것이다.
먼저, 작업자는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의 부분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의 부분과 접하여 접촉하도록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이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에 대향한 상태에서, 제 1 컨넥터(1) 및/또는 제 2 컨넥터(101)를 컨넥터들 중 하나를 향한 방향, 즉 끼워맞춤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작업자는 끼워맞춤 조작을 가늠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위치설정은 정밀하게 수행될 수 없고,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넥터(1)의 위치는 제 2 컨넥터(101)의 위치에 관하여 오정렬되어 있다. 또한, 제 1 단자들(61)는 제 1 컨넥터(1)의 끼워맞춤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고 제 2 단자들(161)는 제 2 컨넥터(101)의 끼워맞춤면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여 있지 않다. 그러므로, 이 상태에서 제 1 단자들(61)와 제 2 단자들(161)은 서로로부터 따로 떨어져 있고 서로 접촉하여 있지 않다. 이러한 이유로,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를 서로에 관하여 미끄러지게 할 때에도, 제 1 단자들(61)와 제 2 단자들(161)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되어 손상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제 2 컨넥터(10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축선이 제 1 컨넥터(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축선에 관하여 도면에서 하측 상에 위치되고, 제 2 컨넥터(101)의 단축 방향으로 중앙 축선이 제 1 컨넥터(1)의 단축 방향으로 중앙 축선에 관하여 도면에서 우측 상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들(122)은 제 1 돌출 단부들(21)의 오목 돌출 단부들(22)의 도면에서 우측 하측 상에 위치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를 서로에 관하여 미끄러지게 하면서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때,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양측 단부들에 형성된 경사면 부분들(123)은 제 1 하우징(11)의 제 1 돌출 단부들(21)의 돌출 측벽부들(21b)의 입구 단부들에 형성된 경사면 부분들(23)과 접하여 접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제 2 하우징(111)의 좌측 상에 제 2 돌출 단부(122)의 좌측 하측에 코너 부분에 형성된 경사면 부분(123)은 제 1 하우징(11)의 좌측 상에 제 1 돌출 단부(21)의 하측 돌출 측벽부(21b)의 우측 단부 상에 형성된 경사면 부분(23)과 접하여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 2 돌출 단부(122)의 좌측 하측에 코너 부분은 돌출 측벽부(21b)의 경사면 부분(23)을 따라 이동되고, 따라서 제 2 컨넥터(101)는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도 6에서 위쪽으로 이동된다. 즉, 제 2 컨넥터(10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축선은 제 1 컨넥터(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축선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좌측 방향으로 더 이동시킬 때, 제 1 컨넥터(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축선과 제 2 컨넥터(10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축선 간에 오정렬은 작아지게 되고, 따라서,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좌측 하측에 코너 부분은 돌출 측벽부(21b)의 내측 표면(21d) 근처에 위치된 위치에 도달한다.
이어서, 작업자가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좌측 방향으로 더 이동시킬 때, 제 2 컨넥터(101)는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도 7에서 더 위쪽으로 이동된다. 또한, 제 2 컨넥터(10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축선은 제 1 컨넥터(1)의 길이방향으로 중앙 축선과 거의 같게 되며,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단부(122)의 위치는 도 7에서 상-하 방향에 관하여 제 1 하우징(11)의 제 1 돌출 단부(21)의 오목 돌출 단부(22)의 위치와 거의 같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제 2 하우징(111)의 좌측 상에 제 2 돌출 단부(122)는 제 1 하우징(11)의 좌측 상에 오목 돌출 단부(22)에, 우측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작업자가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좌측 방향으로 더 이동시킬 때, 제 2 하우징(111)의 좌측 상의 제 2 돌출 단부(122)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 1 하우징(11)의 좌측 상의 오목 돌출 단부(22)에 수용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돌출 단부(122)의 단부측 표면(122b)은 단부 벽부(21c)의 내측 표면(21d)과 접하여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는 이들의 위치설정이 수행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제 2 하우징(111)의 좌측 상에 제 2 돌출 단부(122)의 단부측 표면(122b)이 제 1 하우징(1)의 좌측 상에 제 1 돌출 단부(21)의 단부 벽부(21c)의 내측 표면(21d)에 접하여 접촉하게 되었을 때, 제 2 하우징(111)의 좌측 상에 제 2 돌출 단부(122)는 제 1 하우징(1)의 좌측 상에 오목 돌출 단부(22) 바로 위의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111)의 우측 상에 제 2 돌출 단부(122)는 제 1 하우징(1)의 우측 상에 오목 돌출 단부(22) 바로 위의 위치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도 8에 명확히 도시되진 않았을지라도, 제 2 하우징(111)의 제 2 돌출 볼록부들(112)는 제 1 하우징(1)의 함몰 홈 부분들(12a) 바로 위의 위치들에 놓여지게 된다. 또한, 제 2 하우징(111)의 함몰 공동부(113)는 제 1 하우징(1)의 제 1 돌출 볼록부(13) 바로 위의 위치들에 놓여지게 된다. 즉, 제 2 컨넥터(101)의 길이방향 및 단축방향으로 중앙 축선들은 제 1 컨넥터(1)의 길이방향 및 단축 방향으로 중앙 축선들과 거의 같게 되고,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는 이들의 위치설정이 끼워맞춤면과 평행한 방향에 관하여 수행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러므로, 작업자가 제 2 컨넥터(101)를 제 1 컨넥터(1)에 관하여 끼워맞춤 방향으로, 즉 제 1 보드 및 제 2 보드가 보드들 중 어느 하나를 향하여 이동되는 끼워맞춤면에 수직한 방향(도 8의 도면용지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이 시작된다. 이어서, 제 2 컨넥터(101)의 좌측 및 우측 상에 제 2 돌출 볼록부들(112)은 제 1 컨넥터(1)의 좌측 및 오측 상에 함몰 홈 부분들(12a)에 삽입되므로 제 1 단자들(61)의 제 1 접촉부들(65)은 제 2 컨넥터(161)의 제 1 접촉부들(165)와 접촉하게 되고, 제 1 단자(61)의 제 2 접촉부들(66)은 제 2 단자들(161)의 홀딩부들(163)과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이 완료되었을 때, 제 1 단자들(61)과 제 2 단자들(161)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국, 제 1 단자들(61)의 테일부들(62)에 연결되는 제 1 보드 상에 연결 패드들에 연결된 도전성 트레이스는 제 2 단자들(161)의 테일부들(162)에 연결되는 제 2 보드 상에 연결 패드들에 연결된 도전성 트레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에,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서로 다점 접촉하기 때문에, 안정된 전기적 연결을 확실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단자들(61)의 제 1 접촉부들(65)은 이들이 제 2 단자들(161)의 오목 접촉부들(165a)에 맞물리게 되는 상태에 있고, 제 1 단자들(61)의 제 2 접촉부들(66)은 이들이 제 2 단자들(161)의 오목 접촉부들(166)과 맞물리게 되는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제 1 컨넥터(1)의 제 1 보강 브래킷들(51)의 볼록 맞물림 부분들(53)은 이들이 제 2 컨넥터(101)의 제 2 보강 브래킷들(151)의 오목 맞물림 부분들(153)과 맞물리게 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을 분리하는 힘을 받았을 때에도, 즉 제 1 컨넥터(1)로부터 제 2 컨넥터(101)를 제거하기 위한 제거 힘을 받았을 때, 제 1 컨넥터(1)에서 제 2 컨넥터(101)를 제거하기는 어렵다. 즉, 필요한 제거 힘이 증가된다.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제 1 컨넥터(1)의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형성된 오목 돌출 단부들(22)의 입구 단부들은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므로, 제 2 컨넥터(101)의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형성된 제 2 돌출 단부들(122)은 오목 돌출 단부들(22)에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제 2 돌출 단부들(122)은 길이방향으로 제 1 하우징(11)에 관하여 제 2 하우징(111)를 이동시킴으로써 가늠으로 끼워맞춤 조작 과정에서 오목 돌출 단부들(22)에 쉽게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의 위치설정은 쉽게 수행될 수 있고, 제 1 컨넥터(1)와 제 2 컨넥터(101) 간에 끼워맞춤 맞물림이 쉽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들(61)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측벽부들(14)의 윗면들(14a)로부터 밖으로 그리고 제 1 돌출 볼록부(13)의 윗면(13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며 제 2 단자들(161)의 부분들의 어느 것도 제 2 돌출 볼록부(112)의 윗면(112a)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가늠으로 끼워맞춤 조작 과정에서 제 1 컨넥터(1) 및 제 2 컨넥터(101)이 서로에 관하여 미끄러지게 이동될 때라도,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서로 접하여 접촉하게 됨에 의해 서로 걸리지 않으며, 제 1 단자들(61) 및 제 2 단자들(161)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제 2 컨넥터(101)를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였을 때, 경사면 부분들(123)은 제 2 돌출 단부(122)의 두 외측 단부들에 형성되기 때문에, 제 2 돌출 단부(122)는 제 1 돌출 단부(21)의 오목 돌출 단부(22)에 쉽게 삽입된다.
본 발명은 위에 기술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에 기초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혹은 수정될 수 있고, 이들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되지 않는다.

Claims (6)

  1. 보드간(board-to-board) 컨넥터에 있어서,
    섬(island) 부분(13); 상기 섬 부분(13)의 양 측 상에 형성된 오목 삽입부들(12a); 상기 오목 삽입부들(12a) 각각의 양 측 상에 형성된 측벽부들(14); 상기 측벽부들(14) 각각의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연결된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21); 및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21) 내 형성된 오목 안내부들(22)을 포함하며 제 1 단자들(61)을 장착한 제 1 하우징(11)을 구비하는 제 1 컨넥터(1); 및
    상기 섬 부분(13)이 삽입되는 함몰 공동부(113); 상기 오목 삽입부들(12a)에 삽입되게 상기 함몰 공동부(113)의 양 측 상에 형성된 돌출 볼록부들(112); 및 상기 오목 안내부들(22)에 삽입되게 상기 돌출 볼록부들(112) 각각의 상기 길이방향으로 양 단부들에 연결된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12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자들(61)과 접촉하게 구성된 제 2 단자들(161)을 장착한 제 2 하우징(111)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컨넥터(1)에 견고한 끼워맞춤에 의해 맞물리게 구성된, 제 2 컨넥터(101)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끼워맞춤 안내부들(21) 각각에는 상기 측벽부들(14) 각각에 연결되게 상기 오목 안내부들(22) 각각의 양측을 정의하고 상기 측벽부들(14) 각각의 끼워맞춤면(14a)으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게 구성된 돌출 측벽부(21b)가 제공되며;
    상기 돌출 측벽부(21b)에는 상기 제 1 하우징(11)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상기 오목 안내부들(22) 각각의 입구 단부에 형성된 경사 안내 표면(23)이 제공된 것인, 보드간 컨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안내 표면(23)은 상기 측벽부들(14) 각각의 상기 끼워맞춤면(14a)로부터 밖으로 돌출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돌출 측벽부(21b) 와 상기 측벽부들(14)와의 경계부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 안내 표면(23)에 형성된 상기 오목 안내부들(22) 각각의 상기 입구 단부는 상기 오목 안내부들(23)의 위에서 보았을 때 경사지게 개방된 형상을 갖는, 보드간 컨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들(61)의 상기 부분들의 어느 것도 상기 측벽부들(14) 및 상기 섬 부분(13)의 상기 끼워맞춤면들(14a, 13a)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상기 제 2 단자들(161)의 상기 부분들의 어느 것도 상기 돌출 볼록부들 (112)의 끼워맞춤면들(112a)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지 않는, 보드간 컨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122) 각각에는 이의 양측의 각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표면(123)이 제공된, 보드간 컨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122)의 각각에는 이의 양측의 각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표면(123)이 제공된, 보드간 컨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끼워맞춤 안내부들(122)의 각각에는 이의 양측의 각 측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하우징(111)의 길이방향에 관하여 경사지게 구성된 경사 안내표면(123)이 제공된, 보드간 컨넥터.
KR1020117010856A 2008-10-14 2009-10-14 보드간 컨넥터 KR1012324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265579 2008-10-14
JP2008265579A JP5197294B2 (ja) 2008-10-14 2008-10-14 基板対基板コネクタ
PCT/US2009/060655 WO2010045338A1 (en) 2008-10-14 2009-10-14 Board-to-boar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4924A true KR20110084924A (ko) 2011-07-26
KR101232437B1 KR101232437B1 (ko) 2013-02-12

Family

ID=4126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856A KR101232437B1 (ko) 2008-10-14 2009-10-14 보드간 컨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42875B2 (ko)
JP (1) JP5197294B2 (ko)
KR (1) KR101232437B1 (ko)
CN (1) CN102227851B (ko)
WO (1) WO20100453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906579B2 (ja) * 2011-04-08 2016-04-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端子モジュールおよび記録装置
JP2013101909A (ja) * 2011-10-14 2013-05-23 Molex Inc コネクタ
TWM428534U (en) * 2011-12-30 2012-05-01 Uer Technology Corp Electrical connector
JP2013171685A (ja) * 2012-02-20 2013-09-02 Molex Inc コネクタ
CN203039130U (zh) * 2012-12-06 2013-07-03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US9391398B2 (en) * 2014-03-20 2016-07-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JP6269558B2 (ja) * 2014-06-05 2018-01-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91517B2 (ja) *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5390876B (zh) * 2015-11-19 2018-02-09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具防呆与抗耗损结构的连接器模组
JP2017204433A (ja) * 2016-05-13 2017-11-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99063B2 (ja) *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08933365B (zh) * 2017-05-26 2021-06-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6937400B2 (ja) * 2018-08-21 2021-09-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CN111564730A (zh) * 2020-06-22 2020-08-21 启东乾朔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715374Y (zh) * 2003-01-03 2005-08-03 林于鍊 板对板连接器改良结构
KR200312151Y1 (ko) 2003-01-22 2003-05-09 주식회사 나스켐 클립형 발광기
KR100511180B1 (ko) * 2003-02-19 2005-08-30 재영솔루텍 주식회사 전자커넥터 제조방법
US6793506B1 (en) *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3875677B2 (ja) 2003-09-26 2007-01-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5294036A (ja) * 2004-03-31 2005-10-2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018993A (ja) 2005-06-07 2007-01-25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携帯端末
KR100721040B1 (ko) 2005-06-07 2007-05-22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휴대단말기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27851B (zh) 2015-08-05
US20110201227A1 (en) 2011-08-18
US8342875B2 (en) 2013-01-01
WO2010045338A1 (en) 2010-04-22
JP2010097727A (ja) 2010-04-30
JP5197294B2 (ja) 2013-05-15
KR101232437B1 (ko) 2013-02-12
CN102227851A (zh)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241686B1 (ko) 보드간 컨넥터
KR101985141B1 (ko) 커넥터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832599B1 (ko) 커넥터
US10651581B1 (en) Connector
KR101919691B1 (ko) 커넥터
US8465298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4969838B2 (ja)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CN111934110B (zh) 连接器
CN106981754B (zh) 连接器
KR101326395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장치
JP2020129569A (ja) コネクタ
EP146743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90137140A1 (en) Floating-type connector
JP6714056B2 (ja) コネクタ
JP7283971B2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基板用コネクタ構造
JP7129462B2 (ja) コネクタとコネクタ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