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969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9691B1
KR101919691B1 KR1020170047156A KR20170047156A KR101919691B1 KR 101919691 B1 KR101919691 B1 KR 101919691B1 KR 1020170047156 A KR1020170047156 A KR 1020170047156A KR 20170047156 A KR20170047156 A KR 20170047156A KR 101919691 B1 KR101919691 B1 KR 101919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ontact portion
contac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079A (ko
Inventor
노조무 나카자와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128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Abstract

[문제점] 정합이 해제될 때 제2 커넥터가 폭 방향으로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힘이 가해질 때에도 제1 단자가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신뢰성이 높게 한다.
[해결방법]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는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부, 및 선형부의 종단부를 포함하고; 제2 단자의 제1 접촉부는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부, 및 선형부의 종단부를 포함하고; 삽입 돌기가 삽입 홈 내에 삽입되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완전 정합 상태를 획득하면, 제2 단자의 제1 접촉부의 선형부의 종단부는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의 선형부의 종단부보다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의 더 앞에 위치설정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개시내용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등과 같은 커넥터들은 평행한 회로 기판들의 쌍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들은, 회로 기판들의 쌍들의 각각 상호간에 대면하는 표면에 부착되고, 접속되도록 서로 정합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7은 종래의 커넥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811은 제1 회로 기판(891) 상에 실장된 제1 커넥터의 제1 하우징이고, 911은 제2 회로 기판(991) 상에 실장된 제2 커넥터의 제2 하우징이다. 제1 회로 기판(891) 및 제2 회로 기판(991)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정합시킴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1 단자(861)는 제1 하우징(811)에 부착되고, 제1 단자(861)와 접촉하는 제2 단자(961)는 제2 하우징(911)에 부착된다.
제1 단자(861)는 상호간에 서로 대면하는 제1 접촉부(865) 및 제2 접촉부(866), 및 제1 접촉부(865)와 제2 접촉부(866)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864)가 제공된다. 또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가 서로 정합되면, 제2 단자(961)는 제1 접촉부(865) 및 제2 접촉부(866)에 의해 양측에서 클램핑되고,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이는 제1 단자(861) 및 제2 단자(961) 사이의 접촉을 지속시킨다.
주의할 점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의 정합이 해제될 때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관하여 융기되기 때문에, 제1 단자(861)의 자유 단부 상에 위치설정된 제1 접촉부(865)가 상대적으로 융기된 제2 단자(961)의 제1 접촉부(965)에 의해 끌리거나 말려 올라가게 될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1 하우징(811)의 폭 방향의 중심에 위치설정된 섬 형상부(813)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813a)가 위로부터 제1 접촉부(865)와 중첩되기 때문에, 제1 접촉부(865)가 위로 움직이지 못하고, 따라서 말려 올라가는 것이 방지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보 제2004-119048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커넥터에서 정합이 해제될 때 폭 방향으로 서로에 대하여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기울이는 힘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제2 커넥터가 제1 커넥터에 관하여 융기되면, 제1 접촉부(865)가 말려 올라가게 될 수 있다.
제2 커넥터가 폭 방향으로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힘이 가해질 때 제2 단자(961)의 제1 접촉부(965)는 상대적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상태에서 융기하기 때문에, 제1 단자(861)의 제1 접촉부(865)는 기울어진 제1 접촉부(965)에 의해 들어올려지고, 그럼으로써 매우 큰 양력을 겪게 된다. 따라서, 위로부터 제1 접촉부(865)와 중첩되는 제1 하우징(811)의 돌출부(813a)는 양력에 저항할 수 없고, 변형되거나 또는 파괴되어, 제1 접촉부(865)가 말려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목적은 제2 커넥터가 폭 방향으로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힘이 인가되는 때에도 제1 단자가 말려 올라가지 않는 매우 신뢰할 만한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위에서 기재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
따라서, 다음을 구비한 커넥터가 제공된다: 제1 단자, 및 제1 단자가 배치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제2 단자, 및 제2 단자가 배치되고, 삽입 홈 내에 삽입될 삽입 돌기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 제1 단자는 삽입 홈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촉부 및 삽입 홈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 접촉부는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부, 및 선형부의 종단부를 포함하고; 제2 단자는 삽입 돌기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삽입 돌기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단자의 제2 접촉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 접촉부는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부, 및 선형부의 종단부를 포함하고, 삽입 돌기가 삽입 홈 내에 삽입되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완전 정합 상태에 있을 때, 제2 단자의 제1 접촉부의 선형부의 종단부는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의 선형부의 종단부보다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의 더 앞에 위치설정된다.
또한, 다른 커넥터에서,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J 형상을 가지며, 제1 접촉부의 선형부의 종단부는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2 단자의 제1 접촉부와 접촉하지 않는 자유 단부이다.
또한, 또 다른 커넥터에서,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는 선형부의 종단부의 반대측 상의 단부와 접촉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은 만곡부와 접촉하거나 그에 근접한 돌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또 다른 커넥터에서, 제1 단자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접속하기 위한 삽입 홈의 저부에 배치되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2 단자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접속하기 위한 삽입 돌기의 팁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는 완전 정합 상태에서 서로 분리된다.
발명의 효과
커넥터는 정합이 해제될 때 제2 커넥터가 폭 방향으로 제1 커넥터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힘이 가해질 때에도 제1 단자가 말려 올라가지 않는 높은 신뢰성을 제공한다.
도 1은 정합 표면 측에서 관찰되는 사시도이고, 이는 본 실시예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정합 표면 측에서 관찰되는 사시도이고, 이는 본 실시예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 정합 과정 동안 본 실시예의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커넥터 정합 과정의 완료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정합이 완료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의 선(A-A)을 따라 단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의 비스듬한 제거가 수행되는 상태를 예시하기 위하여 도 5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좌측을 예시하는 다이어그램이고, (a)는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완전 정합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b)는 비스듬한 제거가 개시될 때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커넥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정합 표면 측에서 관찰되는 사시도이고, 이는 본 실시예의 제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1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이고, 기판 대 기판 커넥터들의 쌍 중 하나의 역할을 하는 제1 커넥터이다. 제1 커넥터(1)는 실장 부재의 역할을 하는 도면에 예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표면 상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고, 나중에 설명될 상대 커넥터의 역할을 하는 제2 커넥터(101)와 정합된다. 또한, 제2 커넥터(101)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들의 쌍 중 두번째 것이고, 실장 부재의 역할을 하는 도면에 예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표면 상에 실장되는 표면 실장형 커넥터이다.
주의할 점은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기판들의 역할을 하는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데 이상적으로 사용되는 동안, 커넥터들은 다른 부재들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 장비에 사용되는 인쇄 회로 기판, 가요성 플랫 케이블(FC), 가요성 인쇄 회로(FPC) 등이고, 기판들은 또한 임의의 유형의 기판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부분들의 동작 및 구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위, 아래, 왼쪽, 오른쪽, 앞, 뒤 등과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들은 절대적이지 않고 대신에 상대적인 방향이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의 부분들이 도면들에서 예시된 자세로 있을 때에는 적절하지만, 이러한 방향들은 이 자세들이 변경되면, 상기 변경에 대응하도록 상이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커넥터(1)는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절연 재료로 통합적으로 형성된 커넥터 본체와 같은 제1 하우징(11)을 가진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은 실질적 직사각형 두꺼운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실질적 직사각형 본체이고, 주변부에 의해 둘러싸인 실질적 직사각형 홈(12)은 제2 커넥터(101)가 밀착되는 하우징 측, 즉, 정합 표면 측(도 1에서 상측) 상에 형성된다. 제1 커넥터(1)는 제원상, 예를 들어, 높이가 대략적으로 7.0 mm, 폭이 대략적으로 2.5 mm, 그리고 두께가 대략적으로 0.6 mm이고, 치수들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홈(12)의 내측에서 섬 형상부의 역할을 하는, 제1 돌기(13)는 제1 하우징(11)과 통합적으로 형성되고, 또한, 측벽(14)은 제1 돌기(13)의 양측 상에서 제1 하우징(11)과 통합적으로 형성되어, 제1 돌기(13)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이 사례에서, 제1 돌기(13) 및 측벽(14)은 홈(12)의 저부 표면으로부터 위로 돌출되고,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홈(12)의 일 부분으로서, 제1 돌기(13)의 양측 상에 삽입 홈의 역할을 하는 오목한 그루브(12a)를 형성하여, 이는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길고 좁은 홈이다. 주의할 점은 도면에서 예시되는 예에는 오직 하나의 제1 돌기(13)만 있지만, 다수의 또는 임의의 수의 그러한 돌기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1 돌기(13)는 제원상, 예를 들어, 폭이 대략적으로 0.4 mm이지만, 이 치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공동(15a)을 수용하는 홈이 생긴 그루브 형상의 제1 단자가 제1 돌기(13)의 양측 상의 측면들에 형성된다. 또한, 외부 공동(15b)을 수용하는 홈이 생긴 그루브 형상의 제1 단자가 측벽(14)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제1 단자 수용 내부 공동(15a) 및 제1 단자 수용 외부 공동(15b)은 오목한 그루브(12a)의 저부 표면 상에서 서로 통합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제1 단자 수용 내부 공동(15a) 및 제1 단자 수용 외부 공동(15b)은 통합적으로 기재될 때 공동(15)을 수용하는 제1 단자로서 기재된다.
공동(15)을 수용하는 제1 단자는, 예를 들어, 제1 돌기(13)의 양측에서 대략적으로 0.2 mm의 피치로 10개의 공동이 한번에 생성된다. 또한, 공동들(15)을 수용하는 제1 단자의 각각에 수용되는 제1 단자(61)는 또한, 예를 들어, 제1 돌기(13)의 양측에서 0.2 mm의 피치로 한번에 10개의 단자가 배치된다. 주의할 점은 공동(15)을 수용하는 제1 단자의 피치 및 수량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제1 단자(61)는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에 펀칭, 벤딩 등과 같은 공정들을 적용함으로써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고, 아래에 기재되는 유지될 부분(63), 유지될 부분(63)의 하단에 접속된 테일(62), 유지될 부분(63)의 상단에 접속된 상위 접속부(67), 상위 접속부(67)의 내부 단부에 접속되고 오목한 그루브(12a)의 측벽(14) 측의 측면 상에 배치된 제2 접촉부(66), 오목한 그루브(12a)의 저부에 배치되는 아래에 기재될 제1 접속부로서 제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되는 하위 접속부(64), 하위 접속부(64)의 내부 단부에 접속되는 아래에 기재될 내부 접속부(68), 및 내부 접속부(68)의 상단에 접속되고 오목한 그루브(12a)의 제1 돌기(13) 측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접촉부(65)가 제공된다.
유지될 부분(63)은 수직 방향으로, 즉,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제1 단자 수용 외부 공동(15b) 안으로 정합된다. 또한, 테일(62)은 유지될 부분(63)에 대하여 구부러져 접속되고, 밖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즉,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솔더링 등에 의해 제1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접속된다. 주의할 점은 전도성 트레이스는 통상적으로 신호 라인이라는 것이다. 또한, 상위 접속부(67)는 유지될 부분(63)에 대하여 구부러져 접속되고, 안을 향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접촉부(66)는 상위 접속부(67)에 대하여 구부러지고 접속된 부분이고,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하위 접속부(64)는 제2 접촉부(66)의 하단에 접속되고, 안을 향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내부 접속부(68)는 하위 접속부(64)에 대하여 구부러져 접속되는 부분이고,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J 형상으로 구부러지고, 밖을 향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튀어나온 제1 접촉부(65)는 내부 접속부(68)의 자유 단부 상에, 즉, 안을 향하는 상단의 부근에 형성된다.
제1 단자(61)는 실장 표면 측(도 1의 하단)으로부터 공동(15)을 수용하는 제1 단자에 밀착되고, 유지될 부분(63)은 측벽(14)의 내부 측면 상에 형성된 제1 단자 수용 외부 공동(15b)의 측벽들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샌드위치됨으로써 제1 하우징(11)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즉, 제1 단자(61)가 제1 하우징(11)에 적재된 상태에서, 제1 접촉부(65) 및 제2 접촉부(66)는 서로 대면하는 오목한 그루브(12a)의 양측 상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설정된다.
주의할 점은 제1 단자(61)는 금속 플레이트를 처리함으로써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기 때문에, 단자는 다소 탄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단자의 형상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서로 대면하는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 사이의 거리는 탄력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즉, 아래에 기재되고 제2 커넥터(101)에 의해 제공되는 제2 단자(161)를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 사이에 삽입하는 것은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 사이의 거리를 탄력적으로 확장한다.
또한, 각각의 제1 돌출 단부(21)는 밀착 가이드부로서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 단부 둘 모두에 배치된다. 정합 홈(22)은 홈(12)의 부분으로서 제1 돌출 단부들(21)의 각각에 형성된다. 정합 홈(22)은 오목한 그루브들(12a)의 각각의 종방향 단부들 둘 모두에 접속되는 실질적 직사각형 홈이다. 또한,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정합되는 상태에서, 아래에 기재되고 제2 커넥터(101)에 의해 제공되는 제2 돌출 단부(122)는 정합 홈(22) 내에 삽입된다.
또한, 제1 돌출 단부(21)는 측벽(14)의 종방향 단부들 둘 모두로부터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 연장부(21c), 및 이의 두 단부가 측벽 연장부(21c)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벽(21b)을 제공한다. 그것들의 단부 둘 모두에서 연결되는 단부벽(21b) 및 측벽 연장부(21c)는 제1 돌출 단부들(21)의 각각에 연속적인 역 C 형상의 측벽을 형성하여, 실질적 직사각형 정합 홈(22)의 3면을 형성한다.
또한, 제1 보강 브래킷(51)이 보강 브래킷으로서 제1 돌출 단부(21)에 부착된다. 제1 보강 브래킷(51)은 제1 돌출 단부(21) 상에 형성된 제1 브래킷 유지 홈(26)에 하우징되고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보강 브래킷(51)은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에 펀칭, 벤딩 등과 같은 공정들을 적용함으로써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고, 길고 얇은 벨트같은 커넥팅 암(53), 커넥팅 암(53)의 상단에 연결된 측면 가이드부(54), 커넥팅 암(53)의 상단에 또한 연결된 컨택 암(55), 및 제1 본체부(52)의 하단에에 연결된 기판 접속부(56)가 제공된다.
커넥팅 암(53)은 수직 및 수평 두 모두에서 탄력적으로 변위가능하다. 또한, 기판 접속부들(56)의 쌍에 대하여, 그것들의 근위 단부들은 제1 본체부(52)과 동일한 표면에서 위로 연장되고, 그것들의 자유 단부들은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으로 밖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벨트와 같은 플레이트 부재들이다. 또한, 기판 접속부(56)의 자유 단부의 하단은 솔더링 등에 의해 제1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된다. 주의할 점은 전도성 트레이스는 통상적으로 전력 라인이라는 것이다.
또한, 측면 가이드부(54) 및 컨택 암(55)은 도 1에 예시된 것과 같은 상태의 측벽 연장부(21c)의 상면 및 내부 벽 표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된 부재들이고, 제1 보강 브래킷(51)은 제1 돌출 단부(21)에 부착된다. 또한, 측면 가이드부(54) 및 컨택 암(55)의 근위 단부들은 커넥팅 암(53)의 상단에 접속되는 반면, 그것들의 근위 단부들은 아래를 향해 연장된다.
도면에서 예시되는 예에서 제1 본체부(52)의 정점 및 측면 가이드부(54)의 정점이 측벽(14)의 상면(14a) 및 제1 돌기(13)의 상면(13a)보다 높기 때문에,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서로 정합될 때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출 단부(122)는 측벽(14) 및 제1 돌기(13)와 먼저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측벽(14) 및 제1 돌기(13)는 손상되거나 또는 파괴되지 않는다.
제2 커넥터(101)의 구성이 다음에 기재될 것이다.
도 2는 정합 표면 측에서 관찰되는 사시도이고, 이는 본 실시예의 제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제2 커넥터(101)는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절연 재료로 통합적으로 형성된 상대 커넥터 본체로서 제2 하우징(111)을 가진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1)은 실질적 직사각형 두꺼운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 실질적 직사각형 본체이고, 제원상 예를 들어, 높이는 대략적으로 5.0 mm, 폭은 대략적으로 1.5 mm, 그리고 두께는 대략적으로 0.5 mm이고, 치수들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길고 좁은 오목한 그루브(113), 및 제2 하우징(1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길고 좁은 돌기인, 삽입 돌기의 역할을 하는 제2 돌기(112)가 제2 하우징(111)이 커넥터(1), 즉, 정합 표면 측(도면에서 상측)으로 밀착되는 면에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제2 돌기(112)는 오목한 그루브(113)의 양측을 따라, 그리고 제2 하우징(111)의 양측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제2 단자(161)는 상대 단자로서 제2 돌기들의 각각에 배치된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오목한 그루브(113)는 제2 기판이 실장되는 측, 즉, 실장 표면(도면에서 하면) 측에서 그것의 저부에 의해 폐쇄된다. 주의할 점은 도면에서 예시되는 예에서 2개의 제2 돌기(112)가 있는 반면, 오직 하나의 또는 임의의 수의 이러한 돌기들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오목한 그루브(113)는 제원상, 예를 들어, 폭이 대략적으로 0.7 mm이지만, 이 치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2 단자(161)는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에 펀칭, 벤딩 등과 같은 공정들을 가함으로써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고, 아래에 기재될 본체부(163), 본체부(163)의 외부 단부에 접속된 테일(162), 본체부(163)의 내부 단부에 접속되고 제2 돌기(112)의 내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접촉부(165), 제1 접촉부(165)의 상단에 접속되고 제2 돌기(112)의 팁 상에 배치된 제2 접속부의 역할을 하는 접속부(164), 및 접속부(164)의 외부 단부에 접속되고 제2 돌기(112)의 외부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접촉부(166)가 제공된다.
또한, 본체부(163)는 제2 하우징(111)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안에 유지되는 부분의 주변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구비한 부분이다. 또한, 테일(162)은 본체부(163)의 수평 방향으로, 즉, 외부 단부에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접속되고, 밖을 향해 제2 하우징(111)로부터 돌출되고, 솔더링 등에 의해 제2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접속된다. 주의할 점은 전도성 트레이스는 통상적으로 신호 라인이라는 것이다.
또한, 제1 접촉부(165)는 본체부(163)에 대하여 구부러져 접속되고, 수직 방향으로, 즉, 제2 하우징(111)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납작한 플레이트같은 부분이다. 또한, 접속부(164)는 제1 접촉부(165)에 대하여 구부러져 접속되고, 밖을 향해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제2 접촉부(166)는 접속부(164)의 외부 단부에 대하여 아래로 구부러져 접속되고, 아래로 향하여 연장되는 부분이다.
제2 단자(161)는 오버몰딩 또는 인서트 몰딩에 의해 제2 하우징(111)과 통합된다. 즉, 제2 하우징(111)은 미리 수지를 이용하여 제2 단자(161)가 설치된 몰드의 공동을 충전함으로써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제1 접촉부(165), 접속부(164), 및 제2 접촉부(166)의 표면들이 제2 돌기(112)의 각 측면 및 정합 표면에 노출된 상태에서 제2 단자(161)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이 제2 하우징(111)에 삽입되고, 제2 하우징(111)에 통합적으로 부착된다. 이 사례에서, 제2 단자(161)는, 예를 들어, 대략적으로 0.2 mm의 피치로 한번에 10개의 단자들이 수평으로 배치된다. 주의할 점은 제2 단자(161)의 피치 및 수량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제2 돌출 단부들(122)의 각각은 제2 하우징(111)의 종방향 단부들 둘 모두에 상대 밀착 가이드부로서 배치된다. 제2 돌출 단부(122)는 양 단부가 제2 돌기들(112)의 각각의 양 종방향 단부에 접속되는 두께의 부재이고,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것의 상면은 실질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또한,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정합되는 상태에서, 제2 돌출 단부(122)는 제1 커넥터(1)에 의해 제공되는 제1 돌출 단부(21)의 정합 홈(22) 안에 삽입된다.
또한, 제2 보강 브래킷(151)은 상대 보강 브래킷과 같이 제1 돌출 단부(122)에 부착된다. 제2 보강 브래킷(151)은 제2 돌출 단부(122)의 제2 하우징(111)의 외부 표면을 따라 배치되고, 그것의 유지 돌기부(158)의 팁은 제2 돌기(112)의 양 종방향 단부의 부근의 내부 측면 상에 수용되고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보강 브래킷(151)은 전도성 금속 플레이트에 펀칭, 벤딩 등과 같은 공정들을 적용함으로써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부재이고, 제2 하우징(1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본체부(152), 제2 본체부(152)의 상단에 연결되는 중심 커버(157), 중심 커버(157)의 좌측 및 우측 양 단부에 연결되는 측면 커버(154), 측면 커버(154)의 일측 에지에 연결되는 유지 돌기부(158), 측면 커버(154)의 다른측 에지에 연결되는 접촉측 기판(155), 및 접촉측 기판(155)의 하단에 연결되는 기판 접속부(156)가 제공된다.
중심 커버(157)는 제2 보강 브래킷(151)이 제2 돌출 단부(122)에 부착되는 도면에 예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제2 돌출 단부(122)의 상면의 대부분을 커버하는 형상 및 크기의 부재이다.
또한, 측면 커버(154)는 중심 커버(157)의 좌측 및 우측 양 단부로부터 제2 하우징(111)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돌기(112)의 양 종방향 단부의 부근에서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접촉측 기판(155)은 제2 돌기(112)의 양 종방향 단부의 부근에서 외부 표면을 커버하기 위한 부재이다. 주의할 점은 측면 커버(154), 및 그것의 양측 에지에 부착된 유지 돌기부(158) 및 접촉측 기판(155)은 제2 돌기(112)의 양 종방향 단부 부근에서 제2 돌기(112)의 내부 측면, 제2 돌기(112)의 상면, 및 제2 돌기(112)의 외부측을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형성된 연속적인 U 형상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또한, 기판 접속부(156)는 제2 하우징(111)으로부터 밖을 향해 연장되고, 솔더링 등에 의해 제2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되는 접속 패드에 접속된다. 전도성 트레이스는 통상적으로 전력 라인이다.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를 서로 정합시키기 위한 동작이 다음에 기재될 것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 정합 과정 동안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 사이의 위치적 관계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정합 과정의 완료된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커넥터(1)는, 제1 단자(61)의 테일(62)을 솔더링 등에 의해 도면들에 예시되지 않은 제1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그리고 제1 보강 브래킷(51)의 기판 접속부(56)를 솔더링 등에 의해 제1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제1 기판에 표면 실장된다. 주의할 점은 제1 단자(61)의 테일(62)이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된 전도성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고, 제1 보강 브래킷(51)의 기판 접속부(56)가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된 전도성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이라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 커넥터(101)는, 제2 단자(161)의 테일(162)을 솔더링 등에 의해 도면들에 예시되지 않은 제2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그리고 제2 보강 브래킷(151)의 기판 접속부(156)를 솔더링 등에 의해 제2 기판의 전도성 트레이스에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함으로써 제2 기판에 표면 실장된다. 주의할 점은 제2 단자(161)의 테일(162)이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된 전도성 트레이스는 신호 라인이고, 제2 보강 브래킷(151)의 기판 접속부(156)가 접속된 접속 패드에 접속된 전도성 트레이스는 전력 라인이라는 것이다.
우선, 조작자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의 제1 하우징(11)의 정합 표면 및 제2 커넥터(101)의 제2 하우징(111)의 정합 표면을 서로 대향하여 유지하는 상태에서,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기(112)의 설정위치가 제1 커넥터(1)의 대응하는 오목한 그루브(12a)의 설정위치와 매칭되고,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출 단부(122)의 설정위치가 제1 커넥터(1)의 대응하는 정합 홈(22)의 설정위치와 매칭되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 사이의 정렬이 완료된다.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가 다른 것을 향해, 즉, 이 상태에서 정합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 커넥터(101)의 제2 돌기(112) 및 제2 돌출 단부(122)는 제1 커넥터(1)의 오목한 그루브(12a) 및 정합 홈(22) 안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정합 완료되면,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는 전도성 상태를 획득한다.
다음으로,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서로 정합 완료된 상태에서 제1 단자(61)와 제2 단자(161) 사이의 관계가 상세히 기재될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 정합이 완료된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의 선(A-A)을 따라 단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서로 정합 완료된 상태에서, 즉, 완전 정합 상태에서(정합 완료된 상태), 각각의 제1 단자(61)는 정합 상태에 대응하는 제2 단자(161)에 관하여 도 5에 예시된 관계에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커넥터(101)의 제2 단자(161)는 각각의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 사이에 삽입되고,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와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가 접촉하고, 제1 단자(61)의 제2 접촉부(66)와 제2 단자(161)의 제2 접촉부(166)가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제1 단자(61)의 테일(62)이 접속되는 제1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전도성 트레이스와 제2 단자(161)의 테일(162)이 접속되는 제2 기판 상의 접속 패드에 접속되는 전도성 트레이스는 서로 전도성이 된다.
본체부(163)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 및 다른 부분들이 제2 단자(161)에서, 위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111)에 내장되고 그에 따라 통합적으로 부착되기 때문에, 제1 접촉부(165)와 제2 접촉부(166) 사이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변경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유지될 부분(63)은 제1 하우징(11)에 의해 유지되고 고정되는 반면, 그것의 다른 부분들은 제1 하우징(11)에 고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는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하위 접속부(64) 및 내부 접속부(68)에 의해 상호간에 접속되기 때문에, 그들 사이의 거리는 탄력적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제2 단자(161)는 제1 접촉부(165) 및 제2 접촉부(166)가 양측으로부터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 및 제2 접촉부(66)에 의해 클램핑되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와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 사이의 접촉, 및 제1 단자(61)의 제2 접촉부(66)와 제2 단자(161)의 제2 접촉부(166) 사이의 접촉은 단단히 유지된다.
도면들에 예시된 예에서, 측면에서 보면,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글자 J의 전체 형상을 갖는 부분이고, 내부 접속부(68)의 상단에 연결된 일 단부를 갖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의 만곡부(65a), 아래로(제2 돌기(112)의 삽입 방향) 선형적으로 연장된 만곡부(65a)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선형부(65b), 및 선형부(65b)의 종단부인 저단부(65c)를 포함한다. 만곡부(65a)는 적어도 180도 구부러져 있다. 또한,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에 대면하는 선형부(65b)의 적어도 표면은 측면에서 보면 직선을 형성한다. 직선은 제2 커넥터(101)와의 정합 방향(제2 돌기(112)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즉, 제1 하우징(1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기울어짐은 라인이 저단부(65c)에 근접함에 따라 라인이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중심에 근접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돌기(13)는 실질적으로 T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제1 하우징(11)의 폭 방향 중심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밖을 향해 연장되는 한쌍의 좌측 및 우측 돌출부(13b)가 제공된다. 돌출부(13b)는 제1 돌기(13)의 양측면에 형성된 제1 단자 수용 내부 공동(15a)의 상측(정합 표면 측)의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커버하기 위한 부재이다. 또한, 돌출부(13b)의 하면이 제1 단자 수용 내부 공동(15a)에 수용된 제1 접촉부(65)의 만곡부(65a)의 상면에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하게 운반된다. 따라서, 제1 접촉부(65)의 임의의 상향 변위는 돌출부(13b)에 의해 방지되고, 제1 접촉부(65)가 제1 단자 수용 내부 공동(15a) 내측으로부터 고정되도록 한다. 주의할 점은 돌출부(13b)는 불필요한 경우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면들에 예시된 예에서, 측면에서 보면,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는 본체부(163)에 연결된 일 단부를 갖는 만곡부(165a), 아래로 선형적으로 연장된 만곡부(165a)의 다른 단부에 연결된 선형부(165b), 및 선형부(165b)의 종단부인 저단부(165c)를 포함한다. 또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에 대면하는 선형부(165b)의 적어도 표면은 측면에서 보면 직선이다. 직선은 제2 커넥터(101)와의 정합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즉, 제2 하우징(111)의 두께 방향에 평행하다. 따라서,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는 제1 접촉부(165)에 대하여 기울어져 선형부가 저단부(65c)에 가까워질수록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한다.
또한, 더 자세히 보면, 전이 표면부(168)가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와 접속부(164) 사이의 접속부의 외부 표면 상에 존재하고, 전이 표면부(168)는 기울어지거나 또는 구부러진 표면이다. 즉, 측면에서 보면, 직선인 제1 접촉부(165)의 선형부(165b), 및 선형부(165b)에 직교하는 직선인 접속부(164)는 직각인 정점에서 연결되지 않고, 대신에 전이 표면부(168)를 통해 연결되고, 이는 기울어진 직선 또는 구부러진 라인이다. 따라서, 선형부(165b)의 종단부인 저단부(165c)는 접속부(164)와의 경계가 아니고, 대신에 전이 표면부(168)와의 경계이다.
본 실시예에서,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의 저단부(165c)의 설정위치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저단부(65c)의 설정위치 아래(제2 돌기(112)의 삽입 방향의 앞)에 있지 않고, 저단부(65c)의 설정위치의 위에 있다. 즉,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의 저단부(165c)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의 저단부(65c)보다 제2 돌기(112)의 삽입 방향의 더 앞에 위치설정된다. 또한,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2 단자(161)의 접속부(164)의 하면과 제1 단자(61)의 하위 접속부(64)의 상면 사이에 거리가 있다. 즉, 제2 단자(161)의 접속부(164)와 제1 단자(61)의 하위 접속부(64)는 분리되고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 사이의 정합을 해제하기 위한 동작이 다음에 기재될 것이다. 정합 표면들이 서로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되도록 정합이 해제될 때 제2 커넥터(101)가 폭 방향으로, 즉, 제1 커넥터(1)에 대하여 수평으로 틸트되는, 상호 분리동작, 또는 소위 비스듬한 제거의 경우가 본 명세서에서 기재될 것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의 비스듬한 제거가 수행될 때의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 및 도 5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의 좌측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주의할 점은, 도면들에서, (a)는 완전 정합 상태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b)는 비스듬한 제거가 시작할 때의 제1 단자 및 제2 단자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여기서부터,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 사이의 정합을 해제하기 위한 동작은 다른 커넥터로부터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끌어당기는 것, 즉, 정합 표면들의 각각이 상호간에 서로 평행하게 유지되고 있는 동안 제거 방향으로 커넥터를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다양한 이유들로 인해, 정합 표면들이 서로 평행한 상태로 정합 표면들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조작자가 제1 커넥터(1) 및/또는 제2 커넥터(101)를 제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어려운데, 예컨대,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조작자의 손, 손가락 등에 비해 매우 작거나, 또는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실장된 제1 기판 및 제2 기판의 표면적이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의 실장 표면들의 영역보다 훨씬 넓기 때문에 제1 커넥터(1) 및 제2 커넥터(101)가 보기 힘든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비스듬한 제거가 통상적으로 수행된다.
여기서, 도 5에 예시된 예에서, 제1 커넥터(1)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제2 커넥터(101)를 기울임으로써, 즉, 제2 커넥터(101)의 좌단부보다 높게 제2 커넥터(101)의 우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제2 커넥터(101)가 제1 커넥터(1)로부터 끌어당겨지고 제거되는 비스듬한 제거의 설명이 주어진다.
완전 정합 상태로부터 비스듬한 제거가 수행될 때, 도 5의 좌측 상에 위치한 제1 단자(61) 및 제2 단자(161)의 자세가 도 6(a)에 예시된 것들로부터 도 6(b)에 예시된 것들로 변경된다. 즉, 제2 단자(161)는 제1 단자(61)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로부터 분리된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의 선형부(165b)의 저단부(165c)의 부근의 부분은 도 6(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와 접촉한다.
위에서 진술된 바와 같이,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의 저단부(165c)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저단부(65c)의 레벨 또는 그 위에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제2 단자(161)가 도 6(a)에 예시된 상태로부터 제1 단자(61)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도,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저단부(65c)와 접촉함없이 저단부(65c) 위에 위치설정된 선형부(65b)와 접촉한다. 또한, 제2 단자(161)가 제1 단자(61)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추가로 회전되면,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가 선형부(65b)와 슬라이딩 접촉을 하면서 선형부(65b)를 따라 위로 이동한다.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가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와 슬라이딩 접촉하고, 그럼으로써 이러한 방식으로 선형부(65b)를 따라 위로 부드럽게 이동하기 때문에, 비스듬한 제거가 제2 단자(161)를 제1 단자(61)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도,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로부터 큰 양력을 겪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말려 올라가지 않는다.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의 저단부(165c)가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저단부(65c) 아래에 위치설정되고 비스듬한 제거가 제2 단자(161)를 제1 단자(61)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는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65)와 접촉할 때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를 따라 부드럽게 위로 이동할 수 없고, 따라서 선형부(65b)를 위로 밀게 될 것이다. 따라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로부터 큰 양력을 겪게 되고, 말려 올라가게 될 것이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가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를 따라 위로 부드럽게 이동하기 때문에, 비스듬한 제거가 제2 단자(161)를 제1 단자(61)에 대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때에도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큰 양력을 겪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말려 올라가지 않는다. 또한, 돌출부(13b)가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만곡부(65a) 위에 존재하기 때문에,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로부터 양력을 겪는 때에도 돌출부(13b)에 의해 위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이는 더 효과적으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가 말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는 커넥터, 제1 단자(61), 및 제1 단자(61)가 배치된 오목한 그루브(12a)가 형성된 제1 하우징(11)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1), 및 제1 단자(61)와 접촉하는 제2 단자(161), 및 제2 단자(161)가 배치되고 오목한 그루브(12a) 안으로 삽입되는 제2 돌기(112)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111)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101)를 제공한다. 또한, 제1 단자(61)는 오목한 그루브(12a)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촉부(65), 및 오목한 그루브(12a)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66)를 포함하고; 제1 접촉부(65)는 제2 돌기(112)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부(65b), 및 선형부(65b)의 저단부(65c)를 포함하고; 제2 단자(161)는 제2 돌기(112)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165), 및 제2 돌기(112)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단자(61)의 제2 접촉부(66)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166)를 포함하고; 제1 접촉부(165)는 제2 돌기(112)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부(165b), 및 선형부(165b)의 저단부(165c)를 포함하고, 제2 돌기(112)가 오목한 그루브(12a) 안으로 삽입되어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가 완전 정합 상태를 획득하면,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의 선형부(165b)의 저단부(165c)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저단부(65c)의 선형부(65b)보다 제2 돌기(112)의 삽입 방향의 더 앞에 위치설정된다.
따라서, 비스듬한 제거가 제1 커넥터(1)와 제2 커넥터(101) 사이의 정합을 해제하기 위한 작동 동안 제1 단자(61)에 대하여 제2 단자(161)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도,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는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와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선형부(65b)를 따라 위로 부드럽게 이동한다. 따라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로부터 큰 양력을 겪지 않고, 말려 올라가지 않는다.
또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실질적으로 J 형상을 가지며, 제1 접촉부(65)의 선형부(65b)의 저단부(65c)는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와 접촉하지 않는 자유 단부이다.
또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선형부(65c)의 저단부(65c)의 반대측 상의 단부와 접촉하는 만곡부(65a)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11)은 만곡부(65a)와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한 돌출부(13b)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가 제2 단자(161)의 제1 접촉부(165)로부터 양력을 겪을 때에도 돌출부(13b)에 의해 위로 변위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1 단자(61)의 제1 접촉부(65)는 더 효과적으로 말려 올라가는 것이 예방된다.
또한, 제1 단자(61)는 제1 접촉부(65)와 제2 접촉부(66)를 연결하기 위하여 오목한 그루브(12a)의 저부에 배치되는 하위 접속부(64)를 포함하고; 제2 단자(161)는 제1 접촉부(165)와 제2 접촉부(166)를 연결하기 위하여 제2 돌기(112)의 팁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접속부(164)를 포함하고; 하위 접속부(64)와 접속부(164)는 완전 정합 상태에서 서로 분리된다.
주의할 점은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은 바람직하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관련된 특성들을 기재한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들의 범주 및 사상 내의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 수정들 및 변경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내용을 요약함으로써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자연스럽게 고안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내용은 커넥터들에 응용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 제1 커넥터
11, 811 제1 하우징
12 홈
12a, 113 오목한 그루브
13 제1 돌기
13a, 14a 상면
13b, 813a 돌출부
14 측벽
15a 제1 단자 수용 내부 공동
15b 제1 단자 수용 외부 공동
21 제1 돌출 단부
21b 단부벽
21c 측벽 연장부
22 정합 홈
26 제1 브래킷 유지 홈
51 제1 보강 브래킷
52 제1 본체부
53 커넥팅 암
54 측면 가이드부
55 컨택 암
56 기판 접속부
61, 861 제1 단자
62, 162 테일
63 유지될 부분
64 접속부
65, 165, 865, 965 제1 접촉부
65a, 165a 만곡부
65b, 165b 선형부
65c, 165c 저단부
66, 166, 866 제2 접촉부
67 상위 접속부
68 내부 접속부
101 제2 커넥터
111, 911 제2 하우징
112 제2 돌기
122 제2 돌출 단부
151 제2 보강 브래킷
152 제2 본체부
154 측면 커버
155 접촉측 기판
156 기판 접속부
157 중심 커버
158 유지 돌기물
161, 961 제2 단자
163 본체부
164, 864 접속부
168 전이 표면부
813 섬 형상부
891 제1 회로 기판
991 제2 회로 기판

Claims (4)

  1. 커넥터로서,
    (a) 제1 단자, 및 제1 단자가 배치되는 삽입 홈이 형성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b) 제1 단자와 접촉하는 제2 단자, 및 제2 단자가 배치되고, 삽입 홈 내에 삽입될 삽입 돌기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c) 제1 단자는 삽입 홈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촉부 및 삽입 홈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 접촉은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부, 및 선형부의 종단부를 포함하고,
    (d) 제2 단자는 삽입 돌기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와 접촉하는 제1 접촉부, 및 삽입 돌기의 다른 측면 상에 배치되고 제1 단자의 제2 접촉부와 접촉하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제1 접촉부는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되는 선형부, 및 선형부의 종단부를 포함하고,
    (e) 삽입 돌기가 삽입 홈 내에 삽입되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완전 정합 상태에 있을 때, 제2 단자의 제1 접촉부의 선형부의 종단부는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의 선형부의 종단부보다 삽입 돌기의 삽입 방향의 더 전면에 위치설정되고,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는 U 형상의 만곡부, 제2 커넥터의 삽입 방향으로 선형적으로 연장된 만곡부의 일 단부에 연결된 선형부, 및 선형부의 종단부인 저단부를 포함하고, 및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의 선형부는 제2 단자의 제1 접촉부에 대하여 기울어져 선형부가 저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제2 단자의 제1 접촉부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는 실질적으로 J 형상을 가지며, 제1 접촉부의 선형부의 종단부는 완전 정합 상태에서 제2 단자의 제1 접촉부와 접촉하지 않는 자유 단부인,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단자의 제1 접촉부는 선형부의 종단부의 반대측 상의 단부와 접촉하는 만곡부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은 만곡부와 접촉하거나 또는 근접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단자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연결하기 위한 삽입 홈의 저부에 배치되는 제1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2 단자는 제1 접촉부와 제2 접촉부를 연결하기 위한 삽입 돌기의 팁 부분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완전 정합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는, 커넥터.
KR1020170047156A 2016-05-13 2017-04-12 커넥터 KR1019196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97046A JP2017204433A (ja) 2016-05-13 2016-05-13 コネクタ
JPJP-P-2016-097046 2016-05-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79A KR20170128079A (ko) 2017-11-22
KR101919691B1 true KR101919691B1 (ko) 2018-11-16

Family

ID=5941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156A KR101919691B1 (ko) 2016-05-13 2017-04-12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28882B1 (ko)
JP (1) JP2017204433A (ko)
KR (1) KR101919691B1 (ko)
CN (1) CN107453076A (ko)
TW (1) TWI6891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14609B2 (en) * 2016-11-28 2018-07-03 Molex, Llc Connector
JP6975626B2 (ja) * 2017-11-29 2021-12-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2542024B1 (ko) * 2018-02-23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025982B2 (ja) * 2018-04-17 2022-02-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8390211A (zh) * 2018-05-07 2018-08-10 江苏亿鑫通精密电子有限公司 一种强锁结构的板到板母座连接器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1625949S (ko) * 2018-06-22 2019-03-04
JP1625950S (ko) * 2018-06-22 2019-03-04
JP7253337B2 (ja) * 2018-08-22 2023-04-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093273B2 (ja) * 2018-09-07 2022-06-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148357B2 (ja)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341651B2 (ja) 2018-10-24 202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KR102553861B1 (ko) * 2019-02-27 2023-07-10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JP7196028B2 (ja) * 2019-07-04 2022-12-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1656933S (ko) * 2019-10-01 2020-04-06
JP1656934S (ko) * 2019-10-01 2020-04-06
JP2022080518A (ja) * 2020-11-18 2022-05-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048A (ja) 2002-09-24 2004-04-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7165195A (ja) * 2005-12-15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9229B2 (ja) * 2002-07-23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00935B2 (ja) * 2002-07-23 2007-10-31 松下電工株式会社 低背型コネクタ
JP4207952B2 (ja) * 2005-12-15 2009-01-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5180705B2 (ja) * 2008-07-02 2013-04-1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197294B2 (ja) * 2008-10-14 2013-05-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250450B2 (ja) * 2009-02-27 2013-07-31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396340B (zh) * 2009-07-31 201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電連接器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112494B2 (ja) * 2010-10-19 2013-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84036B2 (ja) *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US20130137307A1 (en) * 2011-11-24 2013-05-3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249643B2 (ja) * 2013-06-14 2017-12-20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TW201530930A (zh) * 2014-01-17 2015-08-01 Aces Electronics Co Ltd 電連接器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6486837B (zh) * 2015-08-25 2019-12-0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19048A (ja) 2002-09-24 2004-04-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7165195A (ja) * 2005-12-15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907627A (zh) 2019-02-16
CN107453076A (zh) 2017-12-08
US9728882B1 (en) 2017-08-08
TWI689139B (zh) 2020-03-21
JP2017204433A (ja) 2017-11-16
KR20170128079A (ko) 201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9691B1 (ko) 커넥터
US10756466B2 (en) Connector
TWI745923B (zh) 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TWI540801B (zh) Connector
US10651581B1 (en) Connector
JP6807218B2 (ja) コネクタ
US830849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092232B2 (en) Board-to-board connector
JP5660756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US9190750B2 (en) Board-to-board connector
KR101232437B1 (ko) 보드간 컨넥터
KR20160117228A (ko) 커넥터
JP2001052785A (ja) スライダ及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
JP2020129569A (ja) コネクタ
JP2021002534A (ja) コネクタ
JP2009289627A (ja) コネクタ
US20230040300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