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368B1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368B1
KR102041368B1 KR1020180078338A KR20180078338A KR102041368B1 KR 102041368 B1 KR102041368 B1 KR 102041368B1 KR 1020180078338 A KR1020180078338 A KR 1020180078338A KR 20180078338 A KR20180078338 A KR 20180078338A KR 102041368 B1 KR102041368 B1 KR 10204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surface portion
plug
connec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상용
장진협
김광식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US16/351,52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68378B2/en
Priority to CN201910423866.6A priority patent/CN110534957B/zh
Priority to CN202110599816.0A priority patent/CN113300140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368B1/ko
Priority to US17/082,491 priority patent/US11404807B2/en
Priority to US17/848,925 priority patent/US1196778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H01R13/5045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different pieces being assembled by press-f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7/00Coupling parts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dissimilar counterparts

Abstract

본 개시는 안정적인 접점 구조와 강성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바닥부,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둘레부 및 둘레부 내에 배치되는 중앙 돌출부를 구비하고, 둘레부와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정합홈을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리셉터클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제1 방향으로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포함한다. 금속 부재는 리셉터클 하우징 양 단부 각각에서의 바닥부의 상측면을 덮는 베이스부, 한 쌍의 제1 둘레부 각각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을 덮는 한 쌍의 제1 보강부, 제2 둘레부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을 덮는 제2 보강부 및 중앙 돌출부의 단부에서의 외측면 및 상측면을 덮는 제3 보강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보강부는 제2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제2 보강부와 제3 보강부는 제1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베이스부에 연결된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기판과 기판의 연결에 사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이 소형화되면서 전자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들이 슬림화되어 작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에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BTB(Board-to-Board) 커넥터가 들어가는데,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가 소형화되면서 BTB 커넥터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와 이에 맞물려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는 수 mm의 매우 좁은 폭(ultra-narrow width)을 갖는 크기로 슬림화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과 플러그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은,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나 디지털 카메라의 수리 시 작업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결 또는 연결 해제될 수 있다. 그런데, 기판과 기판의 연결 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정합되지 못하고 어긋난 상태로 맞대어져 조립되기 쉽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어긋난 상태로 맞대어진 상태, 즉 미스얼라인먼트(misalignment)가 발생된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에 조립을 위한 힘 또는 외부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 부분이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각각에 보유 지지되는 단자가 쉽게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에 각각 금구가 구비되는 BTB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1318호는 록 금구를 구비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록 금구에 삽입 및 빠짐이 가능한 상대 록 금구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의 일 예를 개시한다. 상기 문헌에 따르면, 록 금구는 이에 삽입된 상대 록 금구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해 돌기 형상의 록부(lock portion)를 구비하고, 상대 록 금구는 록부가 끼워져 걸리는 오목부를 구비한다.
그런데, 상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1318호에 개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록 금구와 플러그 커넥터의 상대 록 금구는 삽입된 상태에서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으나, 어긋난 상태로 맞대어진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맞물려 조립되도록 유도하는 구조를 갖지 못한다. 오히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어긋난 상태로 맞대어져 조립되는 경우에는 록부의 변형이 야기될 수 있어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된 단자와 플러그 커넥터에 구비된 단자가 제대로 접촉되지 못하는 단자 접점의 불안정성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헌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에 구비되는 록 금구는, 단자를 보유 지지하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중앙 부분에서 돌출하는 부분, 즉 상기 문헌에서의 돌출 벽부를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못하므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 쉽게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는 돌출 벽부의 단부를 보호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종래의 BTB 커넥터의 경우, 제품 성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우징의 양 단부에 오버 몰딩되는 금속 부재에 의해 안정적인 접점 구조와 강성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BTB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BTB(Board-to-Board) 커넥터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바닥부, 리셉터클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리셉터클 둘레부 및 리셉터클 둘레부 내에 배치되는 중앙 돌출부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둘레부와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정합홈을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리셉터클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제1 방향으로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둘레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 및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둘레부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 각각에서의 리셉터클 바닥부의 상측면을 덮는 베이스부, 한 쌍의 제1 둘레부 각각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을 덮는 한 쌍의 제1 보강부, 제2 둘레부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을 덮는 제2 보강부 및 중앙 돌출부의 단부에서의 외측면 및 상측면을 덮는 제3 보강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제1 보강부는 제2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제2 보강부와 제3 보강부는 제1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베이스부에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고,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금형에 주입되어 리셉터클 하우징으로 성형되는 절연 재료에 오버 몰딩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둘레부의 길이는 제2 둘레부의 길이보다 길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는 한 쌍의 제1 둘레부에 의해 리셉터클 하우징에 2열로 보유 지지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보강부 각각은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고 제2 방향으로의 눌림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접촉편이 구비되는 제1 내측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보강부 각각은 제1 내측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상측면부 및 제1 내측면부와 대향하도록 제1 상측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1 외측면부를 포함한다. 제2 보강부는 제1 방향에서 중앙 돌출부를 향하도록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제2 내측면부, 제2 내측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상측면부 및 제2 내측면부와 대향하도록 제2 상측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제2 외측면부를 포함한다. 제3 보강부는 제1 방향에서 제2 내측면부와 대향하도록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는 제3 외측면부 및 제3 외측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상측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촉편은 베이스부의 제2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고정단부 및 고정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구부러져 연장하는 자유단부를 가진다. 접촉편이 제1 외측면부를 향하는 제2 방향으로 눌릴 때 접촉편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구가 제1 내측면부에 형성되고, 수용구의 제2 방향으로의 제1 둘레부에는 수용구와 연결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수용구는 제1 내측면부와 제1 상측면부가 접하는 내측 가장자리부까지 확장 형성되고, 내측 가장자리부는 베이스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외측면부는 베이스부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상측면부 및 제2 상측면부 각각은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제3 상측면부보다 높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제1 외측면부의 하단에 제1 내측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제2 외측면부의 하단에 제2 내측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구비한다. 제1 절곡부는 베이스부보다 낮게 배치되고 제2 절곡부는 베이스부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제1 외측면부의 하단에 제1 내측면부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와, 제2 외측면부의 하단에 제2 내측면부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4 절곡부를 더 구비한다. 제3 절곡부와 제4 절곡부는 베이스부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제2 방향으로의 제2 상측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제2 내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캐리어 연결부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은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사이에서 돌출하는 보강 리브를 가진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커넥터 조립체의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끼워맞춤되어 조립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바닥부, 리셉터클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리셉터클 둘레부 및 리셉터클 둘레부 내에 배치되는 중앙 돌출부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둘레부와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정합홈을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리셉터클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제1 방향으로의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 각각에서의 리셉터클 바닥부의 상측면, 리셉터클 둘레부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 중앙 돌출부의 단부에서의 외측면 및 상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바닥부와, 플러그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고 정합홈에 끼워맞춤되는 플러그 둘레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플러그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 및 제1 방향으로의 플러그 하우징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플러그 하우징의 양 단부의 각각에서의 플러그 둘레부의 내측면, 하측면 및 외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리셉터클 둘레부의 내측면을 덮는 한 쌍의 내측면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내측면부 각각에는 정합홈에 끼워맞춤되는 플러그 금속 부재에 의해 눌려 탄성 변형되는 접촉편이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중앙 돌출부의 단부에 있어서의 제1 방향을 향하는 외측면을 덮는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리셉터클 금속 부재의 외측면부는 리셉터클 바닥부의 상측면에 대해 경사진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플러그 금속 부재는 플러그 둘레부의 외측면 중 제1 방향을 향하는 외측면을 덮는 외측면부를 포함한다. 플러그 금속 부재의 외측면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플러그 하우징은 관통구를 통해 돌출하고, 플러그 금속 부재가 리셉터클 금속 부재 내의 정합홈에 끼워맞춤될 때 리셉터클 금속 부재에 접촉되는 돌기를 가진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각각에 있어서의 양 단부는 하우징의 양 단부에 각각 오버 몰딩되는 금속 부재에 의해 보호된다. 특히,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하우징의 양 단부에 각각 오버 몰딩되는 금속 부재가 중앙 돌출부를 에워싸는 둘레부의 3면(내측면,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상측면 및 내측면에 대향하도록 상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외측면)을 감싸고, 중앙 돌출부의 외측면과 상측면을 감싸는 견고한 지지 구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강성을 향상시키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리셉터클 금속 부재의 외측면부가 리셉터클 바닥부의 상측면에 대해 경사져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조립 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정합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어긋난 상태로 맞대어져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오조립으로 인해 발생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변형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단자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는 신뢰성 있는 제품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가 적용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모재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가 채용된 리셉터클 커넥터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ⅩⅣ-ⅩⅣ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ⅩⅦ-ⅩⅦ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ⅩⅧ-ⅩⅧ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완전히 조립되기 전의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일부분이 조립된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는 수직 스택킹 구조(vertical stacking structure)의 BTB 커넥터로 참조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female connector)'로 참조될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조립(체결) 또는 조립 해제(탈거)되는 '수형 커넥터(male connector)'로 참조될 수 있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에서의 배치를 기준으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가 상하 방향으로 조립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도면에서 달리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는 상하 방향이 아닌 다른 방향에서 조립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과, 리셉터클 하우징(1100)에 보유 지지되고 제1 방향(X방향)으로 2열로 정렬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0) 및 제1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표면실장기술(Surface Mounting Technology; SMT)에 의해 기판(예컨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0)는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예컨대 구리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며, 예컨대 구리 합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0)와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전도성과 방청성 향상을 위해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0) 및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금형에 주입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100)으로 성형되는 절연 재료에 오버 몰딩(over-molding) 또는 풀 오버 몰딩(full over-molding)된다. 리셉터클 하우징(1100)으로 성형되는 절연 재료는 내열성을 갖는 플라스틱, 내열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버 몰딩은 서로 다른 재료(구성요소)가 함께 사출 성형되는 방식으로서, 금형 내에서 절연 재료가 리셉터클 하우징(1100)으로 성형되면서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0)와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에 적어도 일부분이 충진되어 리셉터클 하우징(1100),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0) 및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오버 몰딩으로 제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리셉터클 하우징,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가 개별적으로 제조된 후 일체로 조립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비해 제조가 간편하고, 견고한 구조를 갖는 이점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제1 방향(X방향) 및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으로서, 제2 방향(Y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제2 방향(Y방향) 및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으로서, 제1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2 방향(Y방향)은 제1 방향(X방향) 및 상하 방향(Z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1 방향(X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은 XZ평면이고, 제2 방향(Y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은 YZ평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Ⅲ-Ⅲ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하우징(1100)은 리셉터클 바닥부(1110), 리셉터클 바닥부(1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이하, Z방향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셉터클 둘레부(1120) 및 리셉터클 둘레부(1120) 내에 배치되는 중앙 돌출부(1130)('돌출부', '섬부' 또는 '섬 형상부'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100)은 상측이 개방되어 중앙부가 오목한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리셉터클 하우징(1100)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둘레부(1120)는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방향(Y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1121) 및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하고 제1 방향(X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둘레부(1122)로 구성된다. 한 쌍의 제1 둘레부(1121)는 제1 방향(X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고, 한 쌍의 제2 둘레부(1122)는 제2 방향(Y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둘레부(1121)의 길이(L1)는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둘레부(1122)의 길이(L2)보다 길다(도 1 참조).
중앙 돌출부(1130)는 리셉터클 바닥부(1110)의 상측면(1111)에서 리셉터클 둘레부에 연결되지 않는 섬 형상을 갖도록 위치하여 돌출될 수 있다. 즉, 중앙 돌출부(1130)는 리셉터클 둘레부(1120)로부터 제1 방향(X방향)과 제2 방향(Y방향)에서 모두 이격될 수 있다. 리셉터클 둘레부(1120)와 중앙 돌출부(1130) 사이에는 정합홈(1140)이 형성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의 조립 시 정합홈(1140)에 플러그 커넥터(2000)(도 16, 도 19 내지 도 21 참조)의 일부분이 끼워맞춤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0)를 상방에서 볼 때, 정합홈(1140)은 직사각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단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금구(
Figure 112019049703951-pat00022
)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단부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바닥부(1110)의 상측면(1111)을 덮는 베이스부(1310), 제2 방향(Y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1121) 각각의 내측면(1123), 상측면(1125) 및 외측면(1127)을 덮는 한 쌍의 제1 보강부(1320), 제2 둘레부(1122)의 내측면(1124), 상측면(1126) 및 외측면(1128)을 덮는 제2 보강부(1330)를 포함한다. 또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베이스부(1310)에 연결되고 중앙 돌출부(1130)의 단부에 있어서의 외측면(1131) 및 상측면(1132)을 덮는 제3 보강부(1340)를 포함한다. 제1 둘레부(1121)의 내측면(1123)은 제2 방향(Y방향)에서 중앙 돌출부(1130)를 향하고, 제2 둘레부(1122)의 내측면(1124)은 제1 방향(X방향)에서 중앙 돌출부(1130)를 향한다. 또한, 제1 둘레부(1121)의 외측면(1127)은 제2 방향(Y방향)에서 중앙 돌출부(113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고, 제2 둘레부(1122)의 외측면(1128)은 제1 방향(X방향)에서 중앙 돌출부(1130)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에 있어서의 베이스부(131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단부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바닥부(1110)를 덮을 수 있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다. 제1 보강부(132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단부에 있어서의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1121) 각각을 감쌀 수 있는 제1 내측면부(1321), 제1 상측면부(1322) 및 제1 외측면부(1323)를 포함한다. 제1 둘레부(1121)의 내측면(1123), 상측면(1125) 및 외측면(1127)을 연속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1 보강부(1320)의 제1 내측면부(1321), 제1 상측면부(1322) 및 제1 외측면부(1323)가 감싼다.
제1 내측면부(1321)는 베이스부(1310)의 제2 방향(Y방향)에 있어서의 양측 가장자리 각각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한다. 제1 상측면부(1322)는 제1 내측면부(1321)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한다. 제1 외측면부(1323)는 제1 내측면부(1321)와 제2 방향(Y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제1 상측면부(132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제1 외측면부(1323)는 제1 내측면부(1321)보다 베이스부(1310)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를 제1 방향(X방향)에서 볼 때, 제1 내측면부(1321)와 제1 외측면부(132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1 내측면부(1321)와 제1 상측면부(1322)가 연결되는 가장자리 부분 및 제1 상측면부(1322)와 제1 외측면부(1323)가 연결되는 가장자리 부분은 곡면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제2 보강부(133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단부에 있어서의 제2 둘레부(1122)의 내측면(1124), 상측면(1126) 및 외측면(1128)을 감싸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2 보강부(1330)는 베이스부(1310)의 제1 방향(X방향)을 향하는 가장자리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는 제2 내측면부(1331), 제2 상측면부(1332) 및 제2 외측면부(1333)를 포함한다. 제2 내측면부(1331)는 베이스부(131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제2 상측면부(1332)는 제2 내측면부(1331)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고, 제2 외측면부(1333)는 제2 내측면부(1331)와 대향하도록 제2 상측면부(1332)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한다. 제1 방향(X방향)에서 제2 내측면부(1331)와 대향하는 제2 외측면부(1333)는 제2 내측면부(1331)보다 베이스부(1310)으로부터 더 멀리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2 보강부(1330)는, 베이스부(1310)로부터 연장하는 제2 내측면부(1331)로부터 제2 상측면부(1332)가 연장되어 형성되고, 제2 상측면부(1332)로부터 제2 외측면부(1333)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2 상측면부(1332)에 있어서, 제2 내측면부(1331) 및 제2 외측면부(1333) 각각과 연결되는 가장자리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의 일부를 감싸는 구조 외에도 중앙 돌출부(1130)의 단부를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단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둘레부(1121)와 제2 둘레부(1122)로 에워싸인 중앙 돌출부(1130)의 단부를 감쌀 수 있는 제3 보강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보강부(1340)는 제2 내측면부(1331)와 제1 방향(X방향)에서 대향하는 제3 외측면부(1341) 및 제3 외측면부(1341)의 상단으로부터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제3 상측면부(1342)를 포함한다. 제3 보강부(1340)의 제3 외측면부(1341)와 제3 상측면부(1342)가 중앙 돌출부(1130)의 단부에 있어서의 외측면(1131)과 상측면(1132)을 감쌀 수 있다. 제3 보강부(1340)는 제3 상측면부(1342)의 제1 방향(X방향)으로의 양측 가장자리 중 제3 외측면부(1341)로부터 연장되는 부분과 반대되는 부분에 하방으로 절곡된 절곡부(1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0)를 제조하기 위해 오버 몰딩될 때, 절곡부(1343)는 중앙 돌출부(1130)의 단부에 매립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보강부(1320), 제2 보강부(1330) 및 제3 보강부(1340)를 갖는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리셉터클 둘레부(1120)의 제1 방향(X방향), 제2 방향(Y방향) 및 상방을 향하는 표면들 및 중앙 돌출부(1130)의 제1 방향(X방향) 및 상방 향하는 표면들을 모두 감싸는 구조로 구성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단부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단부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조립되는 플러그 커넥터(2000)와 접촉되는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접점 구조를 통해서 플러그 커넥터(2000)에 구비되는 플러그 금속 부재(2300)(도 16 참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플러그 커넥터(2000)에 구비되는 플러그 금속 부재(23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플러그 커넥터(2000)와 접촉되는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접점 구조로서, 플러그 커넥터(2000)에 안정적으로 접촉될 수 있는 한 쌍의 접촉편(1350)을 가진다. 접촉편(1350)은 한 쌍의 제1 내측면부(1321) 각각에 구비되고, 일부분이 정합홈(1140)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제2 방향(Y방향)으로의 가해지는 힘(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에 조립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에 의한 눌림)에 의해 탄성 변형(휘어짐)되고, 제2 방향(Y방향)으로 가해진 힘이 해제됨에 따라 원상태가 되도록 복원될 수 있다.
접촉편(1350)은 베이스부(1310)의 제2 방향(Y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고정단부(1351)와, 고정단부(13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고 정합홈(1140)을 향해 볼록한 부분을 갖도록 구부러진 자유단부(1352)를 가진다. 접촉편(1350)이 제2 방향(Y방향)으로 눌리는 힘을 받을 때 접촉편(1350)이 변형될 수 있도록, 접촉편(1350)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구(1325)가 관통 형성된다. 수용구(1325)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내측면부(1321)의 일부분이 커팅될 수 있으며, 제1 내측면부(1321)에서 커팅된 일부분을 변형하여 접촉편(1350)이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있어서, 수용구(1325)의 제2 방향(Y방향)으로의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제1 둘레부(1121)에는 수용홈(1102)(도 3 참조)이 형성된다. 수용구(1325) 및 수용구(1325)와 연결된 수용홈(1102)에 의해 접촉편(1350)은 베이스부(1310)에 대해 큰 허용 각도로 휘어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조립된 플러그 커넥터(2000)의 제2 방향(Y방향)의 양측에 접촉편(1350)이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고, 한 쌍의 접촉편(1350)에 접촉되는 플러그 커넥터(2000)는 정합홈(1140) 내에서의 제2 방향(Y방향)으로의 흔들림이 방지되도록 한 쌍의 접촉편(13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에서는, 수용구(1325)가 제1 내측면부(1321)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수용구(1325)는 제1 내측면부(1321)에만 형성되며, 제1 내측면부(1321)와 제1 상측면부(1322)가 접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322A)까지 형성되지 않는다. 단면에서 볼 때, 라운드진 형상을 갖는 내측 가장자리부(1322A)는 제1 내측면부(1321)로부터 연장하는 반부와, 이러한 반부로부터 제1 상측면부(1322)로 연장하는 나머지 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를 상방에서 볼 때 접촉편(1350)의 거의 대부분이 제1 상측면부(1322)에 의해 가려져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도 21의 A부분 참조).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플러그 커넥터(2000)가 상하 방향(Z방향)으로 배치되어 조립될 때, 제1 내측면부(1321)로부터 제1 상측면부(1322)로 연장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322A)에 의해 상방에서 하방의 리셉터클 커넥터(1000)를 향해 눌리는 플러그 커넥터(2000)가 상하 방향(Z방향)에서 접촉편(1350)에 접촉되지 않게 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000)에 의해 접촉편(1350)이 의도하지 않게 변형(예컨대 하방으로의 찌그러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제3 보강부(1340)의 제3 외측면부(1341)가 베이스부(1310)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다소 어긋난 상태로 조립되기 시작하더라도 플러그 커넥터(2000)가 정합홈(1140)으로 유도되어 원하는 위치에 조립될 수 있다. 제3 외측면부(1341)는 베이스부(1310)으로부터 상방으로 갈수록 제2 보강부(1330)의 제2 내측면부(1331)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3 외측면부(1341)와 제2 내측면부(1331) 사이의 정합홈(1140)은 플러그 커넥터(2000)가 삽입되는 상방 부분이 넓고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플러그 커넥터(2000)가 간섭 없이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어 조립의 용이성 및 조립 위치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에 있어서, 제1 보강부(1320)의 제1 상측면부(1322)와 제2 보강부(1330)의 제2 상측면부(1332)는 베이스부(1310)를 기준으로 제3 보강부(1340)의 제3 상측면부(1342)보다 높게 배치된다. 즉, 제1 상측면부(1322)와 제2 상측면부(1332)에 대해 제3 상측면부(1342)는 높낮이차(H1)(도 2 참조)를 갖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높낮이차(H1)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의 조립 시 플러그 커넥터(2000)에 구비되는 플러그 금속 부재(2300)를 한 쌍의 제1 둘레부(1121)와 한 쌍의 제1 둘레부(1121) 사이의 제2 둘레부(112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끼워맞춤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대적으로 낮게 배치되는 중앙 돌출부(113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중앙 돌출부(1130)의 변형 또는 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상측면부(1342)와 중앙 돌출부(1130) 간에도 높낮이차(H2)(도 3 참조), 즉 제3 상측면부(1342)의 상측면과 중앙 돌출부(1130)의 상측면 사이의 상하 방향(Z방향)의 거리 차이를 줌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조립되는 플러그 커넥터(2000)가 리셉터클 하우징(110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리셉터클 하우징(1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 또는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제1 외측면부(1323)의 하단에 제1 내측면부(132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1323A)를 가진다. 또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제2 외측면부(1333)의 하단에 제2 내측면부(13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1333A)를 가진다. 제1 절곡부(1323A)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리셉터클 바닥부(1110)를 받쳐 지지함과 동시에 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솔더링부로서 기능을 하며, 제2 절곡부(1333A)는 오버 몰딩 시 리셉터클 하우징(1100)에 매립된다. 이러한 제1 절곡부(1323A)와 제2 절곡부(1333A)에 의해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제1 외측면부(1323)의 하단에 제1 내측면부(1321)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1323B)를 가지며, 제2 외측면부(1333)의 하단에 제2 내측면부(1331)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4 절곡부(1333B)를 가진다. 제3 절곡부(1323B)와 제4 절곡부(1333B)는 베이스부(1310)보다 낮게 배치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절곡부(1323B)와 제4 절곡부(1333B)는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리셉터클 바닥부(1110)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절곡부(1323B)와 제4 절곡부(1333B)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기판에 솔더링(soldering)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1000)는 제3 절곡부(1323B)와 제4 절곡부(1333B)에 의해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가 적용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일부분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와 관련해서는,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와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제1 외측면부(1323)의 하단에 베이스부(1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23C)와 제2 외측면부(1333)의 하단에 베이스부(13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333C)를 가진다. 이러한 절곡부(1323C, 1333C)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하우징(1100)의 리셉터클 바닥부(1110)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절곡부(1323C, 1333C)가 기판에 솔더링(soldering)되도록 하여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와 비교해 볼 때 바깥쪽으로 절곡되는 부분, 즉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에 있어서의 제3 절곡부(1323B)와 제4 절곡부(1333B)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기판에 있어서의 실장 면적이 작게 요구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콤팩트한 사이즈를 갖는 기판에도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제2 상측면부(1332)와 달리,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제2 상측면부(1332)는 여러 부분으로 나뉘어진 플레이트 형상의 제2 상측면부(1332)를 가질 수 있다. 즉, 제2 상측면부(1332)는 제2 방향(Y방향)에서 제2 상측면부(1332)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제2 내측면부(1331)의 상단으로부터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캐리어 연결부(1332A)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가 연결되어 있는 모재 플레이트(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하나의 박판 형상의 플레이트(100)를 커팅, 벤딩 등으로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모재 플레이트(100)에는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가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있어서의 배치와 동일한 배치로 모재 플레이트(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한 쌍의 캐리어 연결부(1332A)에 의해 모재 플레이트(100)에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제조 시,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는 모재 플레이트(100)에 연결된 상태로 금형 내에 주입되어 오버 몰딩될 수 있으며, 오버 몰딩이 완료된 후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 각각의 캐리어 연결부(1332A)를 절단함으로써 모재 플레이트(100)와 분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경우에도 박판 형상의 모재 플레이트(100)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제2 외측면부(1333)의 하단에 구비된 제4 절곡부(1333B)에 의해 모재 플레이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B)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B)를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B)가 채용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B)는 전술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와 비교해볼 때 수용구(1325)가 형성되는 구조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부분은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B)에 있어서, 접촉편(1350)이 배치되는 수용구(1325)는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B)의 강성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양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1 내측면부(1321) 및 제1 내측면부(1321)와 제1 상측면부(1322)가 접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322A)까지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 가장자리부(1322A)가 제1 내측면부(1321)로부터 연장하는 반부(제1 반부)와, 이러한 반부로부터 제1 상측면부(1322)로 연장하는 나머지 반부(제2 반부)를 포함하는 경우, 수용구(1325)는 제1 내측면부(1321)로부터 연장하는 제1 반부까지 확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수용구(1325)를 형성하기 위해 제1 반부가 절개되는 경우, 내측 가장자리부(1322A)의 제2 반부는 베이스부(1310)를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가장자리부(1322A)의 형상은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내측 가장자리부(1322A)는 상측 부분이 경사면 대신 곡면으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B)의 경우에도 내측 가장자리부(1322A)에 의해 수용구(1325)의 상측 부분이 완전히 개방되지 않으므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B)를 상방에서 볼 때 접촉편(1350)이 부분적으로 제1 상측면부(1322)의 내측 가장자리부(1322A)에 의해 가져질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플러그 커넥터(2000)가 상하 방향에서 조립될 때, 상방에서 하방의 리셉터클 커넥터(1000)를 향해 눌리는 플러그 커넥터(2000)에 의해 접촉편(1350)이 의도하지 않게 변형(예컨대 하방으로의 찌그러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측면부(1321)로부터 제1 상측면부(1322)로 연장하는 내측 가장자리부(1322A)가 일부 절개된 구조는, 예컨대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제조 시 강성이 최대한 유지되도록 하면서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에도 채용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ⅩⅣ-ⅩⅣ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일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0)는 정합홈(1140) 중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에서 정렬된다. 즉,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1200)는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1121)에 의해 2열로 보유 지지된다.
리셉터클 단자(1200)는 정합홈(1140) 내에서 리셉터클 바닥부(1110)의 상측면(1111)에 안착되고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하는 안착부(1210)와, 안착부(1210)의 일단에서 상방으로 연장하고 끝단이 정합홈(1140) 내측을 향해 볼록하게 구부러진 접촉부(1220) 및 안착부(1210)의 타단에서 역 'U'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리셉터클 하우징(1100)으로 성형되는 수지 재료가 충진되는 충진부(12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끝단이 둥글게 말린 형상의 접촉부(1220)를 갖는 리셉터클 단자(12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채용되었지만, 리셉터클 단자(120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있어서, 리셉터클 하우징(1100)은 외부 충격으로 인한 리셉터클 단자(12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리셉터클 단자(1200)들 사이에 구비되는 보강 리브(1150)를 가진다. 보강 리브(1150)는 리셉터클 단자(1200)들 사이에서 돌출하며, 이러한 보강 리브(1150)에 의해 리셉터클 단자(1200)가 외부 충격(예컨대, 플러그 커넥터의 접촉으로 인한 충격)을 과도하게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리셉터클 단자(1200)를 보호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단자(1200)의 변형을 방지하고, 리셉터클 단자(1200)의 접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하우징(1100)은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리셉터클 바닥부(1110)의 하측면에 격자 형태의 리브 구조(1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0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러그 커넥터(2000)는 상하 방향(Z방향)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즉, 플러그 커넥터(2000)는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하우징(2100)과, 플러그 하우징(2100)에 보유 지지되고 제1 방향(X방향)으로 2열로 정렬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2200) 및 제1 방향(X방향)으로의 플러그 하우징(2100)의 양 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를 포함한다. 플러그 커넥터(2000)는 표면실장기술(SMT)에 의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220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리셉터클 단자(1200)와 접촉되어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도성 재료, 예컨대 구리 합금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 금속 부재(230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와 접촉되어 상호 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전도성 재료, 예컨대 구리 합금 등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2200)와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는 전도성 및 방청성 향상을 위해 도금 처리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단자(2200)와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는 금형에 주입되어 플러그 하우징(2100)으로 성형되는 절연 재료, 예컨대 내열성을 갖는 플라스틱, 내열 수지 등에 오버 몰딩된다. 즉, 금형 내에서 절연 재료가 플러그 하우징(2100)으로 성형되면서 복수의 플러그 단자(2200)와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에 적어도 일부분이 충진되어 플러그 하우징(2100), 복수의 플러그 단자(2200) 및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2000)는 제1 방향(X방향) 및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으로서, 제2 방향(Y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000)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00)는 제2 방향(Y방향) 및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으로서, 제1 방향(X방향)에 있어서의 플러그 커넥터(2000)의 중앙을 통과하는 평면에 대하여 대칭인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제1 방향(X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은 XZ평면이고, 제2 방향(Y방향)과 상하 방향(Z방향)으로 규정되는 평면은 YZ평면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ⅩⅦ-ⅩⅦ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2000)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ⅩⅧ-ⅩⅧ선에 따른 절단면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2000)의 일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플러그 하우징(2100)은 플러그 바닥부(2110), 플러그 바닥부(2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둘레부(2120)를 포함한다.
플러그 하우징(2100)은 상측이 개방되는 대략 직사각 박스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즉, 플러그 둘레부(2120)는 제1 방향(X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2 방향(Y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2121)와, 제2 방향(Y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고 제1 방향(X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둘레부(2122)로 구성된다.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둘레부(2121)의 길이(L3)는 제2 방향(Y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둘레부(2122)의 길이(L4)보다 길다(도 16 참조). 또한, 제1 둘레부(2121)의 길이(L3)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있어서의 정합홈(1140)의 제1 방향(X방향)으로의 길이와 대응되고, 제2 둘레부(2122)의 길이(L4)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있어서의 정합홈(1140)의 제2 방향(Y방향)의 길이에 대응된다.
플러그 금속 부재(2300)는 하우징(2100)의 단부를 외부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금구로 참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는 플러그 하우징(2100)의 단부에 있어서의 한 쌍의 제1 둘레부(2121) 각각의 상측면(2124) 및 외측면(2126)을 덮는 제1 보강부(2310)와, 플러그 하우징(2100)의 단부에 있어서의 제2 둘레부(2122)의 내측면(2123), 상측면(2125) 및 외측면(2127)을 덮는 제2 보강부(2320)를 가진다.
제1 보강부(2310)는 제1 둘레부(2121)의 상측면(2124) 및 외측면(2126)을 덮는 제1 상측면부(2312) 및 제1 외측면부(2313)를 포함한다. 제1 보강부(2310)의 제1 상측면부(2312)는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 사이에서 제1 방향(X방향)으로 연장하는 둘레부(2120), 즉 제1 둘레부(2121)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상측면부(2312)에 대해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 사이의 제1 둘레부(2121)는 높낮이차(H3)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0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또는 플러그 커넥터(20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조립되면서 힘을 받더라도, 외부 충격이나 가해지는 힘을 플러그 금속 부재(2300)에 의해 해소할 수 있어서 제1 둘레부(2121)에 의해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2200)가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보강부(2320)는 제2 둘레부(2122)의 내측면(2123), 상측면(2125) 및 외측면(2127)을 덮는 제2 내측면부(2321), 제2 상측면부(2322) 및 제2 외측면부(2323)을 포함한다. 제2 내측면부(2321)의 상단에서 제2 상측면부(2322)가 연장하고, 제2 외측면부(2323)는 제2 내측면부(2321)와 제1 방향(X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제2 상측면부(2322)로부터 연장한다. 제1 방향(X방향)에서 대향하는 제2 내측면부(2321)와 제2 외측면부(2323) 중 제2 외측면부(2323)에는 관통구(2324)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플러그 하우징(2100)은 관통구(2324)를 통해 제1 방향(X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2130)를 가진다. 돌기(2130)는 YZ평면 상에서 편평한 접촉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보강부(2320)의 제2 내측면부(2321) 하단에는 제2 외측면부(2323)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2325)가 구비될 수 있다. 절곡부(2325)는 플러그 커넥터(2000)의 오버 몰딩 시 플러그 하우징(2100)에 매립되어 플러그 금속 부재(2300)를 플러그 하우징(2100)에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보강부(2320)의 제2 외측면부(2323)의 하단에는 제2 내측면부(2321)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232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보강부(2310)의 제1 외측면부(2313)의 하단에도 바깥쪽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23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절곡부(2314, 2326)는 기판에 솔더링되어 플러그 커넥터(2000)가 기판에 실장될 수 있도록 하며,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2000)는 절곡부(2314, 2326)에 의해 기판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지지될 수 있다.
플러그 금속 부재(2300)에 있어서, 플러그 하우징(2100)의 제2 둘레부(2122)를 감싸는 부분(제2 보강부)의 제2 방향(Y방향)으로의 양측에 제1 둘레부(2121)를 감싸는 부분(제1 보강부)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제2 외측면부(2323)의 제2 방향(Y방향)으로의 양측에 제1 외측면부(2321)가 각각 연결된다.
이하, 전술한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상하 방향(Z방향)에서 조립 또는 조립 해제되는 플러그 커넥터(2000)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30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3000)에 있어서, 완전히 조립되기 전의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3000)에 있어서,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제2 방향(Y방향)에서 본 커넥터 조립체(3000)의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정합홈(1140)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상측에서 플러그 커넥터(200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를 조립시킬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실장된 기판과 플러그 커넥터(2000)가 실장된 기판을 연결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의 조립 시,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 내의 정합홈(1140)으로 플러그 커넥터(2000)의 플러그 금속 부재(2300)가 끼워맞춤된다. 일 실시예의 커넥터 조립체(3000)에 있어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제3 외측면부(1341)가 베이스부(1310)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플러그 금속 부재(2300)가 간섭 없이 정합홈(1140) 내로 끼워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가 안정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플러그 커넥터(2000)가 조립되도록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2000)에 구비되는 돌기(2130)가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제2 내측면부(1331)에 면접촉되도록 맞대어짐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의 조립 시 틀어졌던 접점 위치를 정확한 접점 위치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돌기(2130)가 제2 내측면부(1331)에 맞대어지는 상태로 플러그 커넥터(200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조립되므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의 내측면부 및 플러그 금속 부재(2300)의 외측면부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아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면서 플러그 커넥터(2000)의 제1 방향(X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3000)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일부분이 조립된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20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1 방향(X방향)에서 본 커넥터 조립체(3000)의 단면도이다.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의 조립 시, 도 16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2000)는 뒤집어진 상태, 즉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바닥부(2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플러그 둘레부(2120)가 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조립된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상측에서 플러그 커넥터(2000)가 조립을 위해 뒤집어진 상태에서는 제1 둘레부(2121)의 상측면(2124)과 제2 둘레부의 상측면(2125)은 리셉터클 커넥터(1000)를 향하는 하측면으로 참조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플러그 커넥터(2000)가 조립되도록 끼워맞춤되면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접촉편(1350)이 플러그 금속 부재(2300)와의 접촉에 의해 밀려 제2 방향(Y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변형된다. 일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금속 부재(2300)의 제2 방향(Y방향)으로의 양측 각각에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접촉편(1350)이 접촉됨으로써, 접촉편(1350)과 플러그 금속 부재(2300) 간의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게 하며,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조립되는 플러그 커넥터(2000)의 제2 방향(Y방향)으로의 흔들림을 방지(즉,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에 플러그 금속 부재(2300)가 헐겁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는, 도 21에서와 같은 단면 구조로 볼 때 둘레부(1120)의 내측면, 내측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상측면 및 상측면부로부터 연장하는 외측면을 모두 감싸는 'ㄷ'자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의 견고한 지지 구조로 구성되어 있어 강성 구조를 가지며, 리셉터클 커넥터(1000)와 플러그 커넥터(2000)의 조립 시 접점부(접촉편)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접점부의 의도하지 않는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접점부의 접점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1에는 일 실시예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가 채용된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도시되어 있지만, 커넥터 조립체(3000)는 전술한 다른 실시예들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1300A, 1300B)가 채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경우에도 플러그 커넥터(2000)와 동일하게 조립 또는 조립 해제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0: 리셉터클 커넥터 1100: 리셉터클 하우징
1110: 리셉터클 바닥부 1120: 리셉터클 둘레부
1130: 중앙 돌출부 1140: 정합홈
1150: 보강 리브 1200: 리셉터클 단자
1300, 1300A, 1300B: 리셉터클 금속 부재 1310: 베이스부
1320: 제1 보강부 1330: 제2 보강부
1340: 제3 보강부 1350: 접촉편
2000: 플러그 커넥터 2100: 플러그 하우징
2110: 플러그 바닥부 2120: 플러그 둘레부
2130: 돌기 2200: 플러그 단자
2300: 플러그 금속 부재 2310: 제1 보강부
2320: 제2 보강부 3000: 커넥터 조립체

Claims (16)

  1. 리셉터클 바닥부, 상기 리셉터클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리셉터클 둘레부 및 상기 리셉터클 둘레부 내에 배치되는 중앙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둘레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정합홈을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 각각에 구비되는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둘레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둘레부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둘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 각각에서의 상기 리셉터클 바닥부의 상측면을 덮는 베이스부, 상기 한 쌍의 제1 둘레부 각각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을 덮는 제1 내측면부, 제1 상측면부 및 제1 외측면부를 갖는 한 쌍의 제1 보강부, 상기 제2 둘레부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을 덮는 제2 내측면부, 제2 상측면부 및 제2 외측면부를 갖는 제2 보강부 및 상기 중앙 돌출부의 단부에서의 외측면 및 상측면을 덮는 제3 외측면부 및 제3 상측면부를 갖는 제3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가 상기 제2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 각각의 상기 제1 내측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보강부와 상기 제3 보강부가 상기 제1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상기 제2 보강부의 상기 제2 내측면부와 상기 제3 보강부의 상기 제3 외측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외측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경사진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전도성 재료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와 상기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금형에 주입되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으로 성형되는 절연 재료에 오버 몰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둘레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둘레부의 길이보다 길고,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는 상기 한 쌍의 제1 둘레부에 의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 2열로 보유 지지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 각각의 상기 제1 내측면부에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의 눌림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접촉편이 구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보강부 각각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상측면부는 상기 제1 내측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1 외측면부는 상기 제1 내측면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1 상측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2 보강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내측면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중앙 돌출부를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2 상측면부는 상기 제2 내측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외측면부는 상기 제2 내측면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제2 상측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3 보강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3 외측면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2 내측면부와 대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제3 상측면부는 상기 제3 외측면부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편은 상기 베이스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고정단부 및 상기 고정단부로부터 상방으로 구부러져 연장하는 자유단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편이 상기 제1 외측면부를 향하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눌릴 때 상기 접촉편의 일부분이 수용되는 수용구가 상기 제1 내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구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1 둘레부에는 상기 수용구와 연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구는 상기 제1 내측면부와 상기 제1 상측면부가 접하는 내측 가장자리부까지 확장 형성되고,
    상기 내측 가장자리부는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측면부 및 상기 제2 상측면부 각각은 상기 베이스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3 상측면부보다 높게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외측면부의 하단에 상기 제1 내측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절곡부와, 상기 제2 외측면부의 하단에 상기 제2 내측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절곡부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절곡부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높게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외측면부의 하단에 상기 제1 내측면부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3 절곡부와, 상기 제2 외측면부의 하단에 상기 제2 내측면부를 향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4 절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절곡부와 상기 제4 절곡부는 상기 베이스부보다 낮게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상측면부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내측면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캐리어 연결부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은 상기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사이에서 돌출하는 보강 리브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리셉터클 바닥부, 상기 리셉터클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는 리셉터클 둘레부 및 상기 리셉터클 둘레부 내에 배치되는 중앙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 둘레부와 상기 중앙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정합홈을 갖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에서 제1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단자;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의 양 단부 각각에서의 상기 리셉터클 바닥부의 상측면을 감싸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리셉터클 둘레부의 내측면, 상측면 및 외측면을 감싸는 제1 및 제2 보강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중앙 돌출부의 단부에서의 외측면 및 상측면을 감싸는 제3 보강부를 갖는 한 쌍의 리셉터클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바닥부와, 상기 플러그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정합홈에 끼워맞춤되는 플러그 둘레부를 구비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플러그 하우징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보유 지지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 및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양 단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양 단부의 각각에서의 상기 플러그 둘레부의 내측면, 하측면 및 외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플러그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금속 부재는 상기 제1 방향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제2 방향에서 대향하는 상기 리셉터클 둘레부의 내측면을 덮는 한 쌍의 내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내측면부 각각에는 상기 정합홈에 끼워맞춤되는 상기 플러그 금속 부재에 의해 눌려 탄성 변형되는 접촉편이 구비되고,
    상기 제3 보강부는 상기 중앙 돌출부의 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외측면을 덮는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보강부의 상기 외측면부는 상기 리셉터클 바닥부의 상측면에 대해 경사진, 커넥터 조립체.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플러그 둘레부의 외측면 중 상기 제1 방향을 향하는 외측면을 덮는 외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보강부의 상기 외측면부에는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은 상기 관통구를 통해 돌출하고, 상기 플러그 금속 부재가 상기 리셉터클 금속 부재 내의 상기 정합홈에 끼워맞춤될 때 상기 리셉터클 금속 부재에 접촉되는 돌기를 가지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80078338A 2018-05-24 2018-07-05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41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51,529 US10868378B2 (en) 2018-05-24 2019-03-13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N201910423866.6A CN110534957B (zh) 2018-05-24 2019-05-21 插座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CN202110599816.0A CN113300140B (zh) 2018-05-24 2019-05-21 插座连接器及包括其的连接器组件
US17/082,491 US11404807B2 (en) 2018-05-24 2020-10-28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17/848,925 US11967783B2 (en) 2018-05-24 2022-06-24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59171 2018-05-24
KR1020180059171 2018-05-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368B1 true KR102041368B1 (ko) 2019-11-07

Family

ID=6857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338A KR102041368B1 (ko) 2018-05-24 2018-07-05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868378B2 (ko)
KR (1) KR102041368B1 (ko)
CN (2) CN113300140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24B1 (ko) * 2019-10-10 2021-02-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268474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102268227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20210094887A (ko) * 2020-01-22 2021-07-3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220112524A (ko) * 2021-02-04 2022-08-1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20230090765A (ko) * 2021-12-15 2023-06-22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2024B1 (ko) * 2018-02-23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7364363B2 (ja)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09929524U (zh) * 2019-05-29 2020-01-10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JP7075912B2 (ja) * 2019-06-11 2022-05-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WO2021024941A1 (ja) * 2019-08-05 2021-02-11 宏致日本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配線構造
JP7201580B2 (ja) * 2019-12-25 2023-01-1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22015752A (ja) * 2020-07-09 2022-01-21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6968965B1 (ja) * 2020-10-26 2021-11-2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対
JP7379309B2 (ja) * 2020-10-27 2023-11-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中央凸部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コネクタを保護するための保護部材、及び、保護部材を配置したコネクタ
CN214254799U (zh) * 2021-01-30 2021-09-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对接连接器及其组合
US20220368045A1 (en) * 2021-05-17 2022-1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N114336115B (zh) * 2021-12-28 2024-04-16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一种基板用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029A (ko) * 2013-12-24 2015-07-0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JP2015185541A (ja) * 2014-03-20 2015-10-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20170106911A (ko) * 2016-03-14 2017-09-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JP2018018838A (ja) * 2017-11-06 2018-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30737U (en) * 1997-06-05 1998-04-21 Hon Hai Prec Ind Co Ltd Connector for high density plugs
JP4333884B2 (ja) * 2007-03-01 2009-09-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1364991Y (zh) 2009-01-22 2009-12-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及其插座端子和插头端子
CN201690009U (zh) 2010-03-31 2010-12-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一种hdmi母连接器
CN103050805B (zh) 2011-10-14 2014-12-10 莫列斯公司 连接器
JP5685216B2 (ja) 2012-03-29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5685220B2 (ja) * 2012-05-02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プラグコネクタ
US8986027B2 (en) * 2012-10-31 2015-03-24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1496720B1 (ko) * 2013-11-08 2015-02-2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실드 및 체결형 보드 커넥터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85875B2 (ja) 2015-04-01 2018-09-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41876B2 (ja) *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378642B2 (ja) *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CN205178062U (zh) 2015-07-17 2016-04-20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JP2017204433A (ja) * 2016-05-13 2017-11-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206059842U (zh) 2016-09-30 2017-03-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及其插座、插头
CN108232526B (zh) * 2016-12-21 2020-04-2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797677B2 (ja) * 2016-12-28 2020-12-09 株式会社フジクラ 電気コネクタ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JP6842359B2 (ja) * 2017-05-10 2021-03-17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975626B2 (ja) * 2017-11-29 2021-12-0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7044638B2 (ja) * 2018-06-06 2022-03-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カバーの母材及びコネクタカバーの生産方法
CN209929524U (zh) * 2019-05-29 2020-01-10 连展科技(天津)有限公司 插头电连接器与插座电连接器
US11692716B2 (en) * 2020-05-15 2023-07-0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Housing for household appliance with external panel having integrated reinforce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029A (ko) * 2013-12-24 2015-07-02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전기 커넥터
JP2015185541A (ja) * 2014-03-20 2015-10-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20170106911A (ko) * 2016-03-14 2017-09-22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JP2018018838A (ja) * 2017-11-06 2018-02-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24B1 (ko) * 2019-10-10 2021-02-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268474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102268227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20210094887A (ko) * 2020-01-22 2021-07-3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329356B1 (ko) * 2020-01-22 2021-11-2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220112524A (ko) * 2021-02-04 2022-08-1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102516015B1 (ko) * 2021-02-04 2023-03-3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20230090765A (ko) * 2021-12-15 2023-06-22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KR102644059B1 (ko) 2021-12-15 2024-03-0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63467A1 (en) 2019-11-28
CN110534957B (zh) 2021-04-09
CN113300140A (zh) 2021-08-24
US10868378B2 (en) 2020-12-15
US20210044042A1 (en) 2021-02-11
CN110534957A (zh) 2019-12-03
US20220320774A1 (en) 2022-10-06
CN113300140B (zh) 2023-04-28
US11404807B2 (en)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36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US945031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947892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716326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418324B2 (ja) 多極コネクタ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425155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210111504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CN109586063B (zh) 基板用连接器及其组合
KR2008007918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갖는 조합 커넥터
EP1684387A1 (en) Earth terminal fitting and electric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190140992A (ko) 전기 커넥터
KR20220155904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544428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444283B2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11626676B2 (en)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16613567A (zh) 连接器
JP2017147171A (ja) コネクタ
CN112186418B (zh) 连接器组件
US11967783B2 (en)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JP6814051B2 (ja) コネクタ
TWI834206B (zh) 插座連接器
JP2023044297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