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227B1 -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227B1
KR102268227B1 KR1020190176112A KR20190176112A KR102268227B1 KR 102268227 B1 KR102268227 B1 KR 102268227B1 KR 1020190176112 A KR1020190176112 A KR 1020190176112A KR 20190176112 A KR20190176112 A KR 20190176112A KR 102268227 B1 KR102268227 B1 KR 102268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extending
mold
power terminal
socke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호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227B1/ko
Priority to JP2020201516A priority patent/JP2021108280A/ja
Priority to CN202023156868.0U priority patent/CN214673042U/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대향되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측벽과, 상기 제3 측벽과 대향되는 제4측벽과,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에 의해 둘러 싸이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측벽과 제3 측벽 및 제4 측벽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 단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측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측부와, 제2 측부와 대향되는 제3 측부와, 제1 측부에서 연장되어, 제2 측부와 제3 측부의 하부 사이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측부 및 제3 측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기저부와 연결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원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로 전원 단자와 전원 단자에 대한 몰드부(하우징)의 강도를 보강한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일체 성형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소형화 및 저배화(抵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형화 및 저배화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소형화 및 저배화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서로 체결될 때,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에 제대로 가이드(guide)되지 못하여 오체결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체결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형화 및 저배화된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는 실장되는 부분의 면적이 같이 작아질 수 있으므로, 전원단자와 회로 기판과의 체결되는 강도가 작아질 수 있어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44922호 (2019.05.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몰드부와 단자가 일체 성형되는 형태(Insert Molding)의 소켓 커넥터에서 전원 단자의 접촉 부분 중 연장부를 돌출부에서 연결하지 않고, 측면에서 연장하여 가이드부의 폭 확대가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소켓 단자의 강도를 보강하며, 상대 커넥터와 접촉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되는 힘으로부터 소켓 단자와 몰드부(하우징)가 상호 강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로 기판과 체결력이 향상된 소켓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대향되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측벽과, 상기 제3 측벽과 대향되는 제4측벽과,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에 의해 둘러 싸이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측벽과 제3 측벽 및 제4 측벽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 단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측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측부와, 제2 측부와 대향되는 제3 측부와, 제1 측부에서 연장되어, 제2 측부와 제3 측부의 하부 사이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측부 및 제3 측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기저부와 연결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원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제2 측벽 상에 형성되는 제2 판부; 상기 제2 판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실장부; 상기 제2 판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굴곡부의 일측은 절단되어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측부는, 상기 제3 측벽 상에 형성되는 제3 판부; 상기 제3 판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3 실장부; 상기 제3 판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굴곡부의 일측은 절단되어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제1 오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제2 오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오목부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에 형성된 체결 돌기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제1 실장부의 상부를 몰드부의 제1 측벽이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실장부 또는 제3 실장부의 상부를 몰드부의 제2 측벽 또는 제3 측벽이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측벽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는 몰드부의 제3 측벽 또는 제4 측벽이 상기 신호 단자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측부는 제1 벤딩부와 제2 벤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벤딩부는 몰드부의 제1 측벽과 제3 측벽이 연결되는 부위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벤딩부는 몰드부의 제1 측벽과 제4 측벽이 연결되는 부위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전원 단자는 중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기저부에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몰드부의 돌출부 상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몰드부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부의 연장부는, 커버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의 단부가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몰드부와 단자가 일체 성형되는 형태(Insert Molding)의 소켓 커넥터에서 전원단자의 가이드부를 돌출부에서 연장하지 않고, 측부의 굴곡부에서 연장하여 전개장이 유리하도록 하여, 가이드부의 폭을 확대하여 소켓 단자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대 커넥터와 접촉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소켓 단자와 몰드부(하우징)가 상호 강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시 소켓 단자를 통해 가이딩 역할을 하면서,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에 의해서도 마모, 손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장부의 상부를 몰드부가 지지하여, 소켓 커넥터가 회로 기판에 실장될 때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체결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몰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소켓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몰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소켓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소켓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몰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소켓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몰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소켓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소켓 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소켓 커넥터(20)는 몰드부(100), 제1 전원 단자(210)및 제2 전원 단자(220) 및 신호 단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부(100)는 제1 내지 제4 측벽(110 내지 140) 및 돌출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측벽(110 내지 140) 및 돌출부(105)는 서로 연결되어 몰드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측벽(110)은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측벽(120)은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되어 제1 측벽(110)과 대향될 수 있다. 제3 측벽(130)은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4 측벽(140)은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어 제3 측벽(130)과 대향될 수 있다. 이때, 제3 측벽(130)은 제1 측벽(110)의 일측과 제2 측벽(120)의 일측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4 측벽(140)은 제1 측벽(110)의 타측과 제2 측벽(120)의 타측을 연결할 수 있다.
돌출부(105)는 제1 내지 제4(110 내지 14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개재될 수 있다. 즉, 돌출부(105)는 제1 내지 제4 측벽(110 내지 1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4 측벽(110 내지 140) 및 돌출부(105)는 서로 연결되어 몰드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몰드부(1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단자(300)는 몰드부(10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신호 단자(300)은 몰드부(100)의 측벽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신호단자(300)는 제3 측벽(130) 및 제4 측벽(14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단자(3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단자(3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신호 단자(300)는 예를 들어,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신호 단자(300)는 소켓 커넥터(20)가 배치되는 보드 등의 다른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기 소자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신호 단자(300)가 모두 동일한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전원 단자(200)는 몰드부(10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2개의 전원 단자(210,220)가 몰드부(100)의 측벽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전원단자(210)는 제1 측벽(110), 제3 측벽(130) 및 제4 측벽(140)에 걸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원 단자(220)는 제2 측벽(120), 제3 측벽(130) 및 제4 측벽(14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신호 단자(300)와 마찬가지로, 전원 단자(2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 단자(2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단자(200)는 예를 들어,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전원 단자(200)는 소켓 커넥터(20)가 배치되는 보드 등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전원단자(210,220)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벽(110)에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210)가 플러스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경우에, 제2 측벽(120)에 형성되는 제2 전원 단자(220)는 마이너스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단자(200) 및 신호 단자(300)는 몰드부(100)와 일체 성형되어 그 구조가 보유지지될 수 있다. 즉, 상하의 2개의 금형 안에 전원 단자(200) 및 신호 단자(300)를 위치시키고, 수지(resin)를 주입함으로써 몰드부(10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몰드부(100)가 형성됨과 동시에 전원 단자(200) 및 신호 단자(300)가 몰드부(1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 커넥터는 추후에 상대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의 볼록한 부분이 소켓 커넥터의 오목한 부분과 맞물려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몰드부(100)는 제1 내지 제4 측벽(110 내지 140) 및 돌출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측벽(110 내지 140)은 몰드부(100)의 외곽을 정의하는 외측벽을 의미할 수 있다. 몰드부(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직사각형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2개의 측벽(110, 120)과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2개의 측벽(130,140)이 존재할 수 있다.
돌출부(105)는 몰드부(10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05)는 제1 내지 제4 측벽(110 내지 140)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210)는 제1 측부(211), 제2 측부(212), 제3 측부(213), 제1 기저부(214), 제1 중앙부(215) 및 접촉부(216)를 포함한다.
제1 측부(211)는 몰드부(100)의 제1 측벽(1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측부(211)는
제1 판부(211a), 제1 실장부(211b), 제1 가이드부(211c), 제1 벤딩부(211d) 및 제2 벤딩부(211e)를 포함한다.
제2 측부는(212)는 몰드부(100)의 제3 측벽(130)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측부(212)는 제2 판부(212a), 제2 실장부(212b), 제1 굴곡부(212c), 제2 가이드부(212d) 및 제1 오목부(212e)를 포함한다.
제3 측부(213)는 몰드부(100)의 제4 측벽(140)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측부(213)는 제3 판부(213a), 제3 실장부(213b), 제2 굴곡부(213c), 제3 가이드부(213d) 및 제2 오목부(213e)를 포함한다.
제1 측부(211)의 제1 판부(211a)는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부(212)의 제2 판부(212a)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3 측부(213)의 제3 판부(213a)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고, 제2 판부(212a)와 대향될 수 있다. 제1 측부(211)의 제1 판부(211a)의 일측은 제1 연결부(218)에 의해 제2 측부(212)의 제2 판부(212a)와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측부(211)의 제1 판부(211a)의 타측은 제2 연결부(219)에 의해 제3 측부(213)의 제3 판부(213a)와 연결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전원단자(210)는 몰드부(100)의 제1 측벽(110), 제3 측벽(130) 및 제4 측벽(140)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원 단자(210)는 제1 전원 단자(210)와 대향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전원단자(2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측부(211)의 제1 가이드부(211c)는 제1 판부(211a)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원 단자(210)의 내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1c)는 제1 가이드부(211c)에서 연장되어 기저부(214)와 연결될 수 있다.
기저부(214)는 제2 측부(212)의 제2 판부(212a)의 하부와 제3 측부(213)의 제3 판부(213a)의 하부 사이에서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부(214)는 제2 방향(Y)을 따라 연장되어 제1 가이드부(211c)의 일측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부(211c)는 제1 판부(211a)의 상부와 기저부(214)의 일 말단을 연결할 수 있다.
접촉부(216)는 기저부(214)로부터 소켓 커넥터(2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촉부(216)가 기저부(214)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216)은 몰드부(100)의 제3 측벽(130) 방향과 제4 측벽(140) 방향으로 각각 1개씩 연장되어 총 2개일 수 있다.
또한, 접촉부(216)는 제3 측벽(130) 및 제4 측벽(140)과는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접촉부(216)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접촉부(216)는 제1 측부(211)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기저부(214)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216)와 제2 측부(212)와 제3 측부(213)도 기저부(214)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접촉부(216)과 중앙부(215)도 직접 접하지 않고 기저부(214)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촉부(216)는 제2 측부(212)의 제1 굴곡부(212c)와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으며, 또 다른 접촉부(216)도 제3 측부(213)의 제2 굴곡부(213c)와 접하지 않고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접촉부(216)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어, 소켓 커넥터(20)에 플러그 커넥터(10)가 체결될 때, 접촉부(216)는 제1 방향(X)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절개부(217)를 통해 이격 공간이 형성되어, 탄성적으로 변형 후 복원될 수 있어, 접촉부(216)를 통해, 외부에서 작용되는 힘으로부터 몰드부(100)와 전원 단자(200)가 반복되는 결합 및 분리에 의해서도 마모,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중앙부(215)는 기저부(214)로부터 연장되어 몰드부(100)의 돌출부(105)의 일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소켓 커넥터(20)가 플러그 커넥터(10)와 결합시 후술될 제2 가이드부(212d)와 제3 가이드부(213d)와 함께 플러그 커넥터(10)를 가이드 할 수 있으며, 중앙부(215)를 통해 몰드부(100)가 직접 플러그 커넥터(10)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반복적인 결합 및 분리에 의해서도 마모, 손상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측부(212)의 제2 판부(212a)는 몰드부(100)의 제3 측벽(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굴곡부(212c)는 제2 판부(212a)의 상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굴곡부(212c)는 제3 측부(213)의 제3 판부(213a)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제3 굴곡부(213c)와 대향될 수 있다.
또한, 제2 굴곡부(212c)의 일측은 절단되어 연장되지 않으며, 접촉부(216)과 이격되어 마주할 수 있으며, 제2 굴곡부(212c)의 일측단은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제2 가이드부(212d)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가이드부(212d)는 제1 오목부(212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목부(212e)는 제1 전원 단자(210)와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와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10)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될 때, 제1 오목부(212e)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체결되어 제1 전원 단자(210)와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와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3 측부(213)의 제3 판부(213a)는 몰드부(100)의 제4 측벽(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굴곡부(213c)는 제3 판부(213a)의 상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굴곡부(213c)는 제2 측부(212)의 제2 판부(212a)의 상부로부터 연장된 제2 굴곡부(212c)와 대향될 수 있다.
또한, 제3 굴곡부(213c)의 일측은 절단되어 연장되지 않으며, 접촉부(216)과 이격되어 마주할 수 있으며, 제3 굴곡부(213c)의 일측단은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제3 가이드부(213d)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3 가이드부(213d)는 제2 오목부(21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측부(213)의 제3 가이드부(213d)에 형성된 제2 오목부(213e)에도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에 형성된 체결 돌기가 체결되어 제1 전원 단자(210)와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와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몰드부(100)의 제2 측벽(120)에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210)의 제2 측부(212)는 제2 굴곡부(212c)에서 연장되어 제2 가이드부(212d)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중앙부(215)에서 연장되어 제2 측벽(120)에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전개장이 더 유리해지게 된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212d)의 폭이 확대가 가능하며, 제2 가이드부(212d)에 형성되는 제1 오목부(212e)의 크기도 확대가 가능하므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제3 측벽(130)에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210)의 제3 측부(213)는 제3 굴곡부(213c)에서 연장되어 제3 가이드부(213d)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가이드부(213d)의 폭이 확대가 가능하며, 제3 가이드부(213d)에 형성되는 제2 오목부(213e)의 크기도 확대가 가능하므로,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1 전원 단자(210)는 제1 측부(211), 제2 측부(212), 제3 측부(213), 기저부(214), 중앙부(215), 접촉부(216), 제1 연결부(218) 및 제2 연결부(219)를 포함한다.
제1 측부(211)는 제1 판부(211a), 제1 실장부(211b), 제1 가이드부(211c), 제1 벤딩부(211d) 및 제2 벤딩부(211e)를 포함한다.
제1 측부(211)는 몰드부(100)의 제1 측벽(11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측부(211)의 제1 가이드부(211c)는 제1 측벽(10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11c)는 일측은 기저부(214)와 연결되고, 타측은 제1 판부(211a)와 연결되며, 제1 판부(211a)는 제1 실장부(211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장부(211b)는 제1 판부(211a)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원 단자(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실장부(211b)는 제1 판부(211a)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2 방향(Y)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실장부(211b) 상부를 몰드부(100)의 제1 측벽(110)이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실장부(211b)는 몰드부(100)가 제1 실장부(211b)의 상부를 덮어서 지지하며, 제1 실장부(211b)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에 실장이 용이하며, 제1 실장부(211b)를 몰드부(100)를 통해 지지하여, 전원 단자(210)의 제1 측부(211)와 회로 기판과의 체결되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측부(210)의 제1 벤딩부(211d)는 몰드부(100)의 제1 측벽(110)과 제3 측벽(130)이 연결되는 부위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측부(210)의 제2 벤딩부(211e)는 몰드부(100)의 제1 측벽(110)과 제4 측벽(140)이 연결되는 부위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체결시 플러그 커넥터(10)가 소켓 커넥터(20)의 몰드부(100)에 직접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며, 외력에 의해서 제1 측벽(110)과 제3 측벽(130) 및 제4 측벽(140)의 상호 강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측부(212)는 몰드부(100)의 제3 측벽(13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측부(212)의 제1 굴곡부(212c)는 제3 측벽(1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굴곡부(212c)의 일측은 제2 판부(212a)와 연결되며, 제2 판부(212a)는 제2 실장부(212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굴곡부(212c)의 타측 일부는 절단되어 연장되지 않으며, 타측 일부는 연장되어 제2 가이드부(212d)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실장부(212b)는 제2 판부(212a)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원 단자(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실장부(211b)는 제2 판부(212a)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방향(X)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실장부(212b) 상부를 몰드부(100)의 제3 측벽(130)이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 실장부(212b)는 몰드부(100)가 제2 실장부(212b)의 상부를 덮어서 지지하며, 제2 실장부(212b)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에 실장이 용이하며, 제2 실장부(212b)를 몰드부(100)를 통해 지지하여, 전원 단자(210)의 제2 측부(212)와 회로 기판과의 체결되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3 측부(213)는 몰드부(100)의 제4 측벽(140)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측부(213)의 제2 굴곡부(213c)는 제4 측벽(14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굴곡부(213c)의 일측은 제3 판부(213a)와 연결되며, 제3 판부(213a)는 제3 실장부(213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굴곡부(213c)의 타측 일부는 절단되어 연장되지 않으며, 타측 일부는 연장되어 제3 가이드부(213d)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실장부(213b)는 제3 판부(213a)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원 단자(2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실장부(213b)는 제3 판부(213a)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방향(X)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 실장부(213b) 상부를 몰드부(100)의 제4 측벽(140)이 덮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3 실장부(213b)는 몰드부(100)가 제3 실장부(213b)의 상부를 덮어서 지지하며, 제3 실장부(213b)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에 실장이 용이하며, 제3 실장부(213b)를 몰드부(100)를 통해 지지하여, 전원 단자(210)의 제3 측부(213)와 회로 기판과의 체결되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원 단자(210)는 제4 측부(221), 제5 측부(222) 제6측부(223), 기저부(224), 중앙부(225)를 포함한다.
제2 전원 단자(210)는 제1 전원 단자(210)와 대향되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1 전원 단자(2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중앙부(215)는 커버부(215a)와 연장부(215b,215c)를 포함한다. 중앙부(215)는 몰드부(100)의 돌출부(105) 상부 일부를 커버부(215a)가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215b,215c)는 커버부(215a)에서 연장되어 몰드부(100)의 바닥면(미도시)과 연결되며, 연장부(215b,215c)의 양단은 사선 형태로 형성되어 몰드부(100)와 상호 맞물려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신호 단자(300)는 접촉부(300a)와 실장부(300b)를 포함하며, 신호 단자(300)의 실장부(300b) 상부를 몰드부(100)가 덮어서 지지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실장부(300b)의 일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하측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회로 기판에 신호 단자의 실장이 용이하며, 실장부(300b)를 몰드부(100)를 통해 지지하여, 신호 단자(300)와 회로 기판과의 체결되는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전원 단자의 가이드부가 중앙부에서 연장되지 않고, 측부의 굴곡부에서 연장되어 전개장이 유리해져 가이드부의 폭 확대가 가능하여, 가이드부의 폭을 확대하여 전원 단자의 강도를 보강하면서, 상대 커넥터와 접촉하는 경우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으로부터 전원 단자와 몰드부가 상호 강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와 몰드부가 상호 강하게 지지되어 다면적으로 보호하며, 소켓 커넥터가 외력에 의해 마멸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대 커넥터와 슬라이딩 접촉하여 커넥터 끼워맞춤시 가이드를 가능하게 하며, 상대 커넥터 단자의 금속 대 금속 접촉에 의해, 내마모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20: 소켓 커넥터
100: 몰드부 105: 돌출부
110: 제1 측벽 120: 제2 측벽
130: 제3 측벽 140: 제4 측벽
200: 전원 단자 210: 제1 전원 단자
211: 제1 측부 211a: 제1 판부
211b: 제1 실장부 211c: 제1 가이드부
211d: 제1 벤딩부 211e: 제2 벤딩부
212: 제2 측부 212a: 제2 판부
212b: 제2 실장부 212c: 제1 굴곡부
212d: 제2 가이드부 212e: 제1 오목부
213: 제3 측부 213a: 제3 판부
213b: 제3 실장부 213c: 제2 굴곡부
213d: 제3 가이드부 213e: 제2 오목부
214: 기저부 215: 중앙부
215a: 커버부 215b,215c: 연장부
216: 접촉부 217: 절개부
218: 제1 연결부 219: 제2 연결부
220: 제2 전원 단자 221: 제4 측부
222: 제5 측부 223: 제6 측부
224: 기저부 300: 신호 단자
300a: 접촉부 300b: 실장부

Claims (11)

  1.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대향되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3 측벽과, 상기 제3 측벽과 대향되는 제4측벽과,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에 의해 둘러 싸이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및 상기 제1 측벽과 제3 측벽 및 제4 측벽에 걸쳐서 형성되는 제1 전원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전원 단자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 측부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2 측부와, 제2 측부와 대향되는 제3 측부와, 제1 측부에서 연장되어, 제2 측부와 제3 측부의 하부 사이에서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측부 및 제3 측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부는, 상기 기저부와 연결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전원단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측부는, 상기 제2 측벽 상에 형성되는 제2 판부, 상기 제2 판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실장부, 상기 제2 판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제1 굴곡부 및 상기 제1 굴곡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굴곡부의 일측은 절단되어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부는,
    상기 제3 측벽 상에 형성되는 제3 판부;
    상기 제3 판부의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 제3 실장부;
    상기 제3 판부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제2 굴곡부; 및
    상기 제2 굴곡부의 일측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3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굴곡부의 일측은 절단되어 연장되지 않고, 상기 접촉부와 이격되어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제1 오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가이드부는 제2 오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오목부를 통해,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에 형성된 체결 돌기와 체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몰드부는,
    상기 제1 실장부의 상부를 몰드부의 제1 측벽이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실장부 또는 제3 실장부의 상부를 몰드부의 제2 측벽 또는 제3 측벽이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측벽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신호 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는 몰드부의 제3 측벽 또는 제4 측벽이 상기 신호 단자의 상부를 덮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는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는 제1 벤딩부와 제2 벤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벤딩부는 몰드부의 제1 측벽과 제3 측벽이 연결되는 부위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벤딩부는 몰드부의 제1 측벽과 제4 측벽이 연결되는 부위를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원 단자는 중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기저부에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몰드부의 돌출부 상부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몰드부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의 연장부는,
    커버부에서 연장되는 연장부의 단부가 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190176112A 2019-12-27 2019-12-27 소켓 커넥터 KR102268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12A KR102268227B1 (ko) 2019-12-27 2019-12-27 소켓 커넥터
JP2020201516A JP2021108280A (ja) 2019-12-27 2020-12-04 ソケットコネクター
CN202023156868.0U CN214673042U (zh) 2019-12-27 2020-12-24 插座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112A KR102268227B1 (ko) 2019-12-27 2019-12-27 소켓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227B1 true KR102268227B1 (ko) 2021-06-23

Family

ID=76598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112A KR102268227B1 (ko) 2019-12-27 2019-12-27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108280A (ko)
KR (1) KR102268227B1 (ko)
CN (1) CN214673042U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140A (ko) * 2015-04-01 2016-10-1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90027133A (ko) * 2017-09-06 2019-03-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20190044922A (ko) 2017-10-23 2019-05-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190113730A (ko) * 2017-10-23 2019-10-0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8140A (ko) * 2015-04-01 2016-10-1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90027133A (ko) * 2017-09-06 2019-03-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20190044922A (ko) 2017-10-23 2019-05-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190113730A (ko) * 2017-10-23 2019-10-0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4673042U (zh) 2021-11-09
JP2021108280A (ja) 2021-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81852B (zh) 带遮挡屏蔽板的连接器
KR102041368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US110118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916875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680191B1 (ko) 커넥터
EP1732170B1 (en) Connector
WO2016178356A1 (ja) 多極コネクタ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US20090029592A1 (en) Connector
KR102333832B1 (ko)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102631033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6623301B2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JP2022093278A (ja) 高周波用電気コネクター
KR102268227B1 (ko) 소켓 커넥터
KR102319024B1 (ko) 소켓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2326155B1 (ko) 플러그 커넥터
CN213660668U (zh) 插头连接器
KR102638823B1 (ko) 실장 금구 및 그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US20240106168A1 (en) Electric connector
KR102523875B1 (ko)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102213339B1 (ko) 소켓실드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와 플러그실드부재를 갖는 플러그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장치
US7273378B2 (en) Connecting device
US20050057984A1 (en) Printed circuit card kit
JP6057372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