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019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191B1
KR101680191B1 KR1020150026958A KR20150026958A KR101680191B1 KR 101680191 B1 KR101680191 B1 KR 101680191B1 KR 1020150026958 A KR1020150026958 A KR 1020150026958A KR 20150026958 A KR20150026958 A KR 20150026958A KR 101680191 B1 KR101680191 B1 KR 101680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le
connector
main surfac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5211A (ko
Inventor
마사유키 가타야나기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5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 H01R12/72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devices mounted on the edge of the printed circuits containing contact members forming a right an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커넥터이다.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제1콘택트와, 복수의 제2콘택트와,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피치방향과 상기 결합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소정의 평면내에서 연장되는 판상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판상부는, 상기 결합방향 및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제1주면과 상기 제1주면의 이면인 제2주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콘택트는 제1접촉부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콘택트는 제2접촉부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주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주부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 있어서 닫혀진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주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상기 판상부내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주부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판상부(板狀部)를 가지는 하우징(housing)을 구비하는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도13 및 도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033430호 공보(특허문헌1)의 커넥터(100)는, 하우징(101)과, 복수의 제1콘택트(第1 contact)(102) 및 제2콘택트(103)와, 셀(shell)(104)을 구비하고 있다. 제1콘택트(102) 및 제2콘택트(103)는 하우징(101)에 지지되어 있다. 하우징(101)은 판상부(105)를 가지고 있다. 제1콘택트(102)는 각각 제1접촉부(第1接觸部)(106)를 가지고 있다. 제2콘택트(103)는 각각 제2접촉부(107)를 가지고 있다. 제1접촉부(106)는, 판상부(105)의 주면(主面)상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접촉부(107)는, 판상부(105)의 다른 주면상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셀(104)에는, 상대측 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과 접속하기 위한 스프링부(spring部)(108)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의 소형화(小型化) 및 박형화(薄型化)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하우징의 판상부를 얇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판상부의 두께를 얇게 하면, 커넥터의 크로스토크 특성(crosstalk 特性)과 같은 전기적 특성이나 기계적 강도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2-033430호 공보
본 발명은, 두께가 얇은 판상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크로스토크 특성과 같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과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1의 측면은,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방향을 따라 결합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복수의 제1콘택트와, 복수의 제2콘택트와,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피치방향과 상기 결합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소정의 평면내에서 연장되는 판상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판상부는, 상기 결합방향 및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제1주면과 상기 제1주면의 이면인 제2주면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콘택트는 제1접촉부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1주면상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2콘택트는 제2접촉부를 각각 가지고 있다.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2주면상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주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주부는 평판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주부에는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구멍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부를 관통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 있어서 닫혀진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상기 주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상기 판상부내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주부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판상부의 상기 제1주면측의 부분과 상기 제2주면측의 부분은, 상기 주부의 상기 관통구멍내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1콘택트의 제1접촉부와 제2콘택트의 제2접촉부 사이에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주부가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접촉부와 제2접촉부 사이에서의 크로스토크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주부에 관통구멍을 의도적으로 형성하여, 하우징의 판상부에 있어서 제1주면측의 부분과 제2주면측의 부분을 관통구멍내에 있어서 서로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판상부의 제1주면측의 부분이나 제2주면측의 부분이 그라운드 플레이트의 주부로부터 박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최선의 실시형태의 설명을 검토 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이 정확하게 이해되고 또한 그 구성에 대해서 더 완전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커넥터는 회로기판(대상물)에 탑재되어 있다.
도2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5는, 도4의 커넥터를 V--V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6은, 도5의 커넥터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7은, 도3의 커넥터를 VII--VI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8은, 도1의 커넥터 중에서 셀 이외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상측 사시도이다.
도9는, 도8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하측 사시도이다.
도10은, 도3의 커넥터를 X--X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되어 있다.
도11은, 도3의 커넥터를 XI--XI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와 결합되어 있다.
도12는, 도1의 커넥터에 포함되어 있는 그라운드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특허문헌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나 다양한 형태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지만, 그 일례로서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특정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 및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여기에 개시한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되어 있는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변형예, 균등물, 대체예를 그 대상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connector)(1)는, 대상물(對象物)로서의 회로기판(回路基板)(90)에 탑재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회로기판(90)에는, 오목부(92)와, 고정부(93, 94)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93, 94)의 각각은 스루홀(through hole)을 가지고 있다. 오목부(92)는, 회로기판(9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움푹 들어가 있다. 커넥터(1)의 대부분은 그 오목부(92)내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는, 소위 떨어뜨려 넣는(drop in) 타입의 커넥터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터(1)는, 회로기판(90)의 한 주면(主面)상에 탑재되는 것이더라도 좋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커넥터(1)는, 전단(前端)(-Y측 단부(-Y側 端部))(2)에 있어서 개구(開口)되고 또한 후단(後端)(+Y측 단부)(3)을 향해서 연장되는 수용부(受容部)(4)를 가지고 있다. 도7, 도10 및 도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커넥터(1)의 수용부(4)에는, Y방향(전후방향:결합방향)을 따라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80)의 일부가 수용된다. 이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리셉터클(receptacle)이며,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80)는 플러그(plug)이다.
도10 및 도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상대측 커넥터(80)는, 상대측 하우징(相對側 housing)(82)과, 복수의 제1상대측 콘택트(第1相對側 contact)(84)와, 복수의 제2상대측 콘택트(84)와, 상대측 셀(相對側shell)(86)을 구비하고 있다. 상대측 하우징(82)은 절연체(絶緣體)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제1상대측 콘택트(84)의 각각은 도전체(導電體)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제2상대측 콘택트(84)의 각각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상대측 셀(86)은 금속제(金屬製)이다. 제1상대측 콘택트(84) 및 제2상대측 콘택트(84)는, 상대측 하우징(82)에 지지되어 있다. 상대측 셀(86)은, 상대측 하우징(82)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면 커넥터(1)는, 하우징(10)과, 복수의 제1콘택트(20)와, 복수의 제2콘택트(30)와, 그라운드 플레이트(ground plate)(40)와, 셀(70)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절연체로 이루어진다. 제1콘택트(20)의 각각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제2콘택트(30)의 각각은 도전체로 이루어진다. 그라운드 플레이트(40)는 금속제이다. 셀(70)은 금속제이다.
도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셀(70)은 하우징(10)의 대부분을 덮고 있다. 즉 셀(70)은 하우징(10)을 부분적으로 덮고 있다. 도1 및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셀(70)은, 상면(上面)(71)과, 하면(下面)(72)과, 2개의 측면(側面)(73)을 가지고 있다. 셀(70)은, 대략 각기둥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들 상면(71), 하면(72) 및 측면(73)은, 상기한 수용부(4)를 형성하고 있다. 셀(70)에는, 2개의 전측 피고정부(前側 被固定部)(74)와, 2개의 후측 피고정부(後側 被固定部)(75)가 더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전측 피고정부(74)는, 2개의 측면(73)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2개의 후측 피고정부(75)는 2개의 측면(73)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전측 피고정부(74)의 각각은, 대응하는 측면(73)의 -Y측 단부(즉 대응하는 측면(73)의 전단)로부터 X방향(피치방향(pitch方向))의 외측(外側)을 향해서 연장된 후에, +Y방향(후방(後方))으로 연장되고 또한 -Z방향(하방(下方))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측 피고정부(74)의 각각에 대응하는 측면(73)의 전단으로부터 되돌려 꺽어서 형성하였기 때문에, 측면(73)과 하면(72)에 전측 피고정부(74)를 형성하기 위해서 개구를 형성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측면(73) 및 하면(72)의 모두는 개구를 가지지 않는다. 후측 피고정부(75)의 각각은, 대응하는 측면(73)의 +Y측 단부(즉 대응하는 측면(73)의 후단) 근방으로부터 -Z방향(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전측 피고정부(74)는, 각각 회로기판(90)의 고정부(93)에 삽입되어 솔더(solder)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후측 피고정부(75)는, 각각 회로기판(90)의 고정부(94)에 삽입되어 솔더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에 있어서 그라운드 플레이트(40)는 제1상대측 콘택트(84) 및 제2상대측 콘택트에 포함되는 상대측 그라운드 콘택트와 접속되기 때문에, 셀(70)과 상대측 셀(86)을 견고하게 접속할 필요는 없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셀(70)에는, 특허문헌1과 같은 스프링부(spring部)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셀(70)의 상면(71), 하면(72) 및 측면(73)에는 스프링부 형성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바꾸어 말하면 셀(70)은, 셀(70)의 내측(즉 수용부(4))을 셀(70)의 외측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하고 있다.
도8 및 도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지지부(支持部)(11)와, 지지부(11)로부터 -Y방향(전방(前方))을 향해서 돌출된 판상부(12)를 가지고 있다. 지지부(11)는, Z방향(상하방향:소정의 방향)을 따라 본 경우에 모난 C자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Z방향에 있어서 판상부(12)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도7 내지 도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판상부(12)는, XY평면내에서 연장되어 있으며 또한 Z방향에 있어서 제1주면(第1主面)(상면)(13) 및 제2주면(하면)(14)을 가지고 있다. 이것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주면(14)은, 제1주면(13)의 이면(裏面)이다. 도7, 도9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주면(14)에는 제1구멍(第1 hole)(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8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주면(13)에는 제2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즉 판상부(12)에는, 인서트 성형(insert 成型)에 의하여 형성된 제1구멍(15)과 제2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제1구멍(15)은 제2주면(14)으로부터 제1콘택트(20)까지 각각 도달하고 있으며, 제2구멍(16)은 제1주면(13)으로부터 제2콘택트(30)까지 각각 도달하고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콘택트(20), 제2콘택트(30) 및 그라운드 플레이트(40)는, 인서트 성형법에 의하여 하우징(10)의 성형시에 하우징(10)내에 내장(embed)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성형용 금형(成型用 金型)은 금속부재(金屬部材)를 성형 대상물내에 배치시키기 위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10)이 성형될 때에, 당해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제1콘택트(20) 및 제2콘택트(30)에 접촉됨으로써 제1콘택트 및 제2콘택트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성형용 금형의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하우징(10)에 제1구멍(15), 제2구멍(16)을 각각 남긴다.
도7, 도8 및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콘택트(20)의 각각은, 제1접촉부(22)와, 제1피고정부(24)를 가지고 있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80)와 결합했을 때에, 상기 제1상대측 콘택트(84)는 상기 제1접촉부(22)와 상측 접촉위치에서 각각 접촉된다. 제1피고정부(24)의 각각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를 회로기판(90)에 탑재했을 때에 솔더 등을 사용하여 회로기판(90)에 고정된다.
제1콘택트(20)는, 상기한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하우징(10)내에 부분적으로 내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7 및 도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콘택트(20)는, 부분적으로 지지부(11)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있다. 제1접촉부(22)는, 판상부(12)의 제1주면(13)상에 있어서 X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1접촉부(22)는, 제1주면(13)상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구멍(15)은, 상기 하우징(10)의 인서트 성형시에 제1접촉부(22)를 제1주면(13)상에 배열하기 위한 금형의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제1접촉부(22)의 각각은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9 및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2콘택트(30)의 각각은, 제2접촉부(32)와, 제2피고정부(34)를 가지고 있다.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가 상대측 커넥터(80)와 결합했을 때에, 상기 제2상대측 콘택트(84)는 상기 제2접촉부(32)와 하측 접촉위치에서 각각 접촉된다. 제2피고정부(34)의 각각은,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1)를 회로기판(90)에 탑재했을 때에 솔더 등을 사용하여 회로기판(90)에 고정된다.
제1콘택트(20)와 마찬가지로 제2콘택트(30)도, 상기한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하우징(10)내에 부분적으로 내장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도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콘택트(30)는, 부분적으로 지지부(11)내에 내장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하우징(10)에 지지되어 있다. 제2접촉부(32)는, 판상부(12)의 제2주면(14)상에 있어서 X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제2접촉부(32)는, 제2주면(14)상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2구멍(16)은, 상기 하우징(10)의 인서트 성형시에 제2접촉부(32)를 제2주면(14)상에 배열하기 위한 금형의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제2접촉부(32)의 각각은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10 및 도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구멍(15)은, 제2구멍(16)의 -Y측(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구멍(15)과 제2구멍(16)의 Y방향에 있어서의 각 거리는, 판상부(12)의 두께(판상부(12)의 Z방향의 사이즈)보다 크다.
도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플레이트(40)는, 주부(主部)(50)와, 2개의 보강부(補强部)(60)와, 그라운드 단자(ground 端子)(66)를 가지고 있다. 주부(50)는 평판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주부(50)는, 상기한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판상부(12)내에 내장되어 있다. 주부(50)는, Z방향에 있어서 제1접촉부(22)와 제2접촉부(32)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주부(50)에는, 복수의 관통구멍(opening)(52, 54)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52, 54)의 각각은, 주부(50)를 Z방향에 있어서 관통하고 있다. 상세하게는 이들 관통구멍(52, 54)은, 제1관통구멍(52)과 제2관통구멍(54)을 포함하고 있다. 제1관통구멍(52)은 X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관통구멍(54)은 X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제1관통구멍(52)은 제2관통구멍(54)의 -Y측(전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은, 모두 XY평면내에 있어서 닫혀진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다. 즉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의 각각은 주부(50)의 테두리로부터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와는 다른 것이다.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제1관통구멍(52)은 판상부(12)의 제1구멍(15)과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관통구멍(52)은 XY평면내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구멍(15)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도10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1구멍(15)의 각각은 XY평면내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1관통구멍(52)내에 위치하고 또한 대응하는 제1관통구멍(52)에 둘러싸여 있다. 도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관통구멍(54)은 판상부(12)의 제2구멍(16)과 각각 대응하고 있다. 도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관통구멍(54)은 XY평면내에 있어서 제2구멍(16)보다 큰 사이즈를 가지고 있다. 도11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제2구멍(16)의 각각은 XY평면내에 있어서 대응하는 제2관통구멍(54)내에 위치하고 또한 대응하는 제2관통구멍(54)에 둘러싸여 있다.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판상부(12)의 제1주면(13)측의 부분(판상부(12)의 상측의 부분)과 판상부(12)의 제2주면(14)측의 부분(판상부(12)의 하측의 부분)과는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내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판상부(12)의 제1주면(13)측의 부분 및 판상부(12)의 제2주면(14)측의 부분의 각각이 그라운드 플레이트(40)의 주부(50)로부터 박리되어 버리거나 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의 제1관통구멍(52)은 제1구멍(15)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의 제2관통구멍(54)은 제2구멍(16)에 대응되도록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의 총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그라운드 플레이트(40)는 크로스토크(crosstalk)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 콘택트(84)와 제1콘택트(20)의 제1접촉부(22)가 접촉되는 상측 접촉점의 바로 아래에는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측 접촉점의 바로 아래에는 그라운드 플레이트(40)의 주부(50)가 위치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도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 콘택트(84)와 제2콘택트(30)의 제2접촉부(32)가 접촉되는 하측 접촉점의 바로 위에는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하측 접촉점의 바로 아래에는 그라운드 플레이트(40)의 주부(50)가 위치하고 있다. 즉 상측 접촉위치의 각각은 XY평면내에 있어서 제1관통구멍(52), 제2관통구멍(54)의 위치와 모두 다르게 되어 있으며, 하측 접촉위치의 각각은 XY평면내에 있어서 제1관통구멍(52), 제2관통구멍(54)의 위치와 모두 다르게 되어 있다. 상측 접촉점과 하측 접촉점의 사이에는 그라운드 플레이트(40)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측 접촉점과 하측 접촉점 사이에서의 상호 전기적 영향이 감소되어 있다.
도5, 도6 및 도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보강부(60)는, X방향에 있어서 주부(5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있다. 도5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각 보강부(60)는, XZ평면내에 있어서 C자모양의 단면(斷面)을 가지고 있다. 도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보강부(60)는 Y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인서트 성형시에 판상부(12)가 보강부(60)내로 들어감으로써, 판상부(12)는 보강부(60)에 의하여 보강되고 또한 그라운드 플레이트(40)의 주부(50)로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특히 도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의 보강부(60)는, Z방향에 있어서 주부(50)로부터 보아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X측의 보강부(60)는 제1주면(13)측에 위치하고 있고, -X측의 보강부(60)는 제2주면(14)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에 따라 판상부(12)의 제1주면(13)측의 부분과 제2주면(14)측의 부분은, 보강부(60)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각 보강부(60)는, 가드부(guard部)(62)와 그라운드 접촉부(ground 接觸部)(64)를 가지고 있다.
도6, 도8 및 도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 가드부(62)는, X방향에 있어서 판상부(12)상으로 노출되어 있다. 특히 가드부(62)는 판상부(12)의 측면(17)상에 각각 부분적으로 노출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80)(도10, 도11 참조)가 XY평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삽입되어 오더라도 가드부(62)에 의하여 상대측 셀(86)(도10, 도11 참조)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판상부(12)가 깎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6, 도8 및 도9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2개의 그라운드 접촉부(64) 중에서 1개는 판상부(12)의 제1주면(13)상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고, 2개의 그라운드 접촉부(64) 중에서 나머지 1개는 판상부(12)의 제2주면(14)상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다. 이들 그라운드 접촉부(64)는, 상대측 그라운드 콘택트와 각각 접촉되는 부분이다. 이들 그라운드 접촉부(64)에 있어서 상대측 그라운드 콘택트와 접촉된 그라운드 플레이트(40)는, 그라운드 단자(66)를 통하여 회로기판(90)(도1 참조)상의 그라운드부(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에 접속된다. 이렇게 하여 그라운드 플레이트(40)와 그라운드와의 강고한 접속을 확립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셀(70)과 상대측 셀(86)이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더라도 좋다. 셀(70)에 상대측 셀(86)과의 접속을 위한 스프링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개구는 형성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1, 도2 및 도7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셀(70)은, 하우징(10)의 판상부(12), 제1콘택트(20)의 제1접촉부(22) 및 제2콘택트(30)의 제2접촉부(32)를, XZ평면내에 있어서 이음매를 제외하고 완전하게 둘러싸고 있다. 즉 셀(70)은, 하우징(10)의 판상부(12), 제1콘택트(20)의 제1접촉부(22) 및 제2콘택트(30)의 제2접촉부(32)를, Y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이음매를 제외하고 완전하게 둘러싸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는, 높은 내 EMI(耐 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도5 및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접촉부(64) 중에서 1개는 Z방향에 있어서 제1콘택트(20)의 제1접촉부(22)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라운드 접촉부(64) 중에서 나머지 1개는 Z방향에 있어서 제2콘택트(30)의 제2접촉부(32)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1상대측 콘택트(84) 및 제2상대측 콘택트(도10, 도11 참조) 중에 있어서 상대측 그라운드 콘택트의 각각을, 나머지 제1상대측 콘택트(84) 및 나머지 제1상대측 콘택트(84) 중의 1개와 동일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상대측 그라운드 콘택트를 특별히 준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의 그라운드 접속을 채용함에 있어서 제조비용의 불필요한 증가를 피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서 실시형태를 들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의 제1콘택트(20)의 제1피고정부(24), 제2콘택트(30)의 제2피고정부(34) 및 그라운드 단자(66)는 SMT(Surface mount technology)용의 것이었지만, 예를 들면 제1피고정부(24), 제2피고정부(34) 및 그라운드 단자(66)는 스루홀(through hole) 실장(THT)용의 것이더라도 좋다.
상기한 실시형태의 제1콘택트(20) 및 제2콘택트(30)는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하우징(10)에 부분적으로 내장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콘택트(20) 및 제2콘택트(30)는 다른 수단에 의하여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그 경우에 제1구멍(15) 및 제2구멍(16)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은 제1구멍(15) 및 제2구멍(16)과는 무관하게 형성되는 것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콘택트(20) 및 제2콘택트(30)를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하우징(10)에 부분적으로 내장하는 경우에, 제1구멍(15) 및 제2구멍(16)을 제1관통구멍(52), 제2관통구멍(54)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형성하더라도 좋다. 다만 이 경우에 그라운드 플레이트(40)의 주부(50)에는 제1구멍(15) 및 제2구멍(16)에 대응한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되게 되기 때문에, 그라운드 플레이트(40)의 주부(50)에 형성된 개구부의 총면적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제1구멍(15) 및 제2구멍(16)과 관련되도록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을 각각 배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은 제1구멍(15) 및 제2구멍(16)에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관통구멍(52) 중에서 1개가 복수의 제1구멍(15)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고, 제2관통구멍(54) 중에서 1개가 복수의 제2구멍(16)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더라도 좋다. 다만 이 경우에 주부(50)에 형성된 개구부의 총면적이 커져 버린다. 따라서 상기한 실시형태와 같이 제1구멍(15) 및 제2구멍(16)과 관련되도록 제1관통구멍(52) 및 제2관통구멍(54)을 각각 배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014년 3월 7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제출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4-045540호에 의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일부로 하였다.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당업자에게는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러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하우징(housing)과, 복수의 제1콘택트(第1 contact)와, 복수의 제2콘택트와, 그라운드 플레이트(ground plate)를 구비하고, 상대측 커넥터(相對側 connector)와 결합방향(結合方向)을 따라 결합하는 커넥터(connector)로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결합방향과 직교하는 피치방향(pitch方向)과 상기 결합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소정의 평면내에서 연장되는 판상부(板狀部)를 가지고 있고,
    상기 판상부는, 상기 결합방향 및 상기 피치방향의 쌍방과 직교하는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제1주면(第1主面)과 상기 제1주면의 이면(裏面)인 제2주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제1접촉부(第1接觸部)를 각각 가지고 있고,
    상기 제1접촉부는, 상기 제1주면상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고 또한 제2접촉부를 각각 가지고 있고,
    상기 제2접촉부는, 상기 제2주면상에 있어서 접촉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피치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주부(主部)를 가지고 있고,
    상기 주부는 평판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주부에는, 복수의 관통구멍(opening)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부를 관통하고 있고 또한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 있어서 닫혀진 가장자리를 가지고 있고,
    상기 주부는, 인서트 성형(insert 成型)에 의하여 상기 판상부내에 내장(embed)되어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의 상기 제1주면과 상기 제2주면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또한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와 상기 제2접촉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판상부의 상기 제1주면측의 부분과 상기 제2주면측의 부분은, 상기 주부의 상기 관통구멍내에 있어서 서로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콘택트 및 상기 제2콘택트는, 상기 인서트 성형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판상부에는, 상기 인서트 성형시에 형성된 제1구멍(第1 hole)과 제2구멍으로서, 상기 제2주면으로부터 상기 제1콘택트까지 각각 도달하는 제1구멍과 상기 제1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콘택트까지 각각 도달하는 제2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은 제1관통구멍과 제2관통구멍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구멍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구멍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2구멍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구멍내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복수의 제1상대측 콘택트와 복수의 제2상대측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상대측 콘택트와 상기 제1접촉부는 상측 접촉위치에서 각각 접촉되고,
    상기 상측 접촉위치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위치와 모두 다르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상대측 콘택트와 상기 제2접촉부는 하측 접촉위치에서 각각 접촉되고,
    상기 하측 접촉위치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평면내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위치와 모두 다르게 되어 있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보강부(補强部)를 더 가지고 있고,
    상기 보강부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방향과 상기 피치방향에 의하여 규정되는 면(面)내에 있어서 C자모양의 단면(斷面)을 가지고 있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주부로부터 보아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각각은, 상기 피치방향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상으로 노출된 가드부(guard部)를 가지고 있는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사용할 때에는 대상물(對象物)에 탑재(搭載)되는 것이고,
    상기 보강부의 각각은, 상기 제1주면상 또는 상기 제2주면상으로 노출된 그라운드 접촉부(ground 接觸部)를 가지고 있고,
    상기 그라운드 플레이트는, 상기 대상물에 접속되는 그라운드 단자(ground 端子)를 더 가지고 있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접촉부의 각각은, 상기 소정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부 또는 상기 제2접촉부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커넥터.
KR1020150026958A 2014-03-07 2015-02-26 커넥터 KR101680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45540 2014-03-07
JP2014045540A JP6342185B2 (ja) 2014-03-07 2014-03-07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5211A KR20150105211A (ko) 2015-09-16
KR101680191B1 true KR101680191B1 (ko) 2016-11-28

Family

ID=5401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958A KR101680191B1 (ko) 2014-03-07 2015-02-26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00091B2 (ko)
JP (1) JP6342185B2 (ko)
KR (1) KR101680191B1 (ko)
CN (1) CN104901086B (ko)
TW (1) TWI5099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243363U (zh) * 2014-02-21 2015-04-01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JP6368504B2 (ja) 2014-03-07 2018-08-01 宏致電子股▲ふん▼有限公司Aces Electronics Co.,Ltd. 電気コネクタ
TWI556522B (zh) * 2014-05-22 2016-11-01 Advanced Connectek Inc Socket electrical connector and plug electrical connector
TWI573336B (zh) * 2014-05-22 2017-03-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The electrical structure of the socket connector
CN204216267U (zh) 2014-07-15 2015-03-18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电连接器
US9337585B1 (en) * 2014-12-05 2016-05-10 All Best Precision Technology Co., Ltd. Terminal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he same
USD764415S1 (en) * 2015-02-11 2016-08-2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USD764416S1 (en) * 2015-03-12 2016-08-23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TWI612730B (zh) * 2015-05-22 2018-01-21 格稜股份有限公司 高速連接器
TWM544723U (zh) * 2016-02-04 2017-07-01 連展科技股份有限公司 插座電連接器
JP6390663B2 (ja) * 2016-05-18 2018-09-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05882229U (zh) 2016-07-27 2017-01-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电源接口、移动终端及电源适配器
JP6440103B2 (ja) * 2016-11-16 2018-12-19 Smk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106848732A (zh) * 2017-03-24 2017-06-13 东莞立德精密工业有限公司 电路板连接器
JP6763340B2 (ja) 2017-05-10 2020-09-30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JP6764370B2 (ja) * 2017-05-10 2020-09-30 I−Pex株式会社 コネクタ
JP6997653B2 (ja) * 2018-03-02 2022-0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電気コネクタ
JP7094725B2 (ja) * 2018-03-02 2022-07-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電気コネクタ
JP6512359B1 (ja) * 2018-10-30 2019-05-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KR20210046549A (ko) * 2019-10-18 2021-04-28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전기 커넥터 및 전자 디바이스
JP7328532B2 (ja) 2019-10-18 2023-08-1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9411A (ja) 2012-01-18 2013-08-01 Smk Corp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0133A (en) * 1986-06-19 1987-12-01 Trw Inc. Electrical connectors
US5057028A (en) * 1986-11-18 1991-10-1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Receptacle having a nosepeice to receive cantilevered spring contacts
US4762500A (en) 1986-12-04 1988-08-09 Amp Incorporated Impedance matched electrical connector
KR900017233A (ko) * 1989-04-20 1990-11-15 가이도오 유끼오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용 플러그 커넥터
JP2594565Y2 (ja) 1993-08-17 1999-04-26 ケル株式会社 グランド板付コネクタ
US5536179A (en) * 1994-07-25 1996-07-16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insert
JP3308132B2 (ja) * 1995-05-25 2002-07-29 ケル株式会社 グランド板付コネクタ
US5813871A (en) * 1996-07-31 1998-09-29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JPH10106684A (ja) 1996-09-25 1998-04-2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TW433621U (en) * 1999-11-11 2001-05-01 Hon Hai Prec Ind Co Ltd Plug connector
JP4917784B2 (ja) 2005-09-26 2012-04-18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TWM330651U (en) * 2007-11-16 2008-04-11 Wonten Technology Co Ltd Electric connector
JP2011146210A (ja) 2010-01-13 2011-07-28 I-Pex Co Ltd 電気コネクタ
SG174642A1 (en) 2010-03-22 2011-10-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Board-to-board connector
JP2012033430A (ja) 2010-08-02 2012-02-16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電気コネクタおよび携帯機器
JP5699003B2 (ja) * 2011-02-24 2015-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497848B (zh) * 2011-06-20 2015-08-21 Japan Aviation Electron 具有與標準usb插頭不同構造之特殊usb插頭以及可與特殊usb插頭嵌合之usb插座
TWM444626U (zh) * 2012-06-21 2013-01-0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D型hdmi連接器
TWM447609U (zh) * 2012-07-20 2013-02-21 Speedtech Corp 傳輸高頻訊號之高密度連接器結構
US8851927B2 (en) * 2013-02-02 2014-10-0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and grounding feature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9411A (ja) 2012-01-18 2013-08-01 Smk Corp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55925A1 (en) 2015-09-10
KR20150105211A (ko) 2015-09-16
TW201539894A (zh) 2015-10-16
JP2015170528A (ja) 2015-09-28
US9300091B2 (en) 2016-03-29
JP6342185B2 (ja) 2018-06-13
CN104901086B (zh) 2017-08-11
CN104901086A (zh) 2015-09-09
TWI509910B (zh) 2015-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191B1 (ko) 커넥터
EP3151341B1 (en) Connector
CN107534234B (zh) 多极连接器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US8678863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US10541499B2 (en) Connector
US8021187B2 (en) Electric connector
US8469747B2 (en) Card connector
US9466929B2 (en) Plug connector with firmly fixed terminals
EP1684387A1 (en) Earth terminal fitting and electric connector having the same
JP5315912B2 (ja) 多連装電気コネクタ
US7445506B2 (en) Shielded connector
US7442082B2 (en) Shielded connector with folding arrangement ensuring perpendicularity between sidewall and bottom wall of the metal housing
US8523611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modules with differential pairs on both sides of a printed circuit board
US20190123490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hielding shell upwardly abutting a grounding plate
KR2018011114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US8500459B2 (en) Receptacle with a cavity for receiving a plug with a recess for receiving a component
US20100297858A1 (en) Elelctrical connector with notch for receiving mating component
US7785141B2 (en) Stacked card connector
CN109256643B (zh) 高速连接器模组
JP2018139229A5 (ko)
US20230387621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
CN109256635B (zh) 高速连接器模组
US20120282812A1 (en) Electical connector with two groups of conta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