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7133A -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7133A
KR20190027133A KR1020170113792A KR20170113792A KR20190027133A KR 20190027133 A KR20190027133 A KR 20190027133A KR 1020170113792 A KR1020170113792 A KR 1020170113792A KR 20170113792 A KR20170113792 A KR 20170113792A KR 20190027133 A KR20190027133 A KR 20190027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contact
substrate
contacts
insula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찬
오상준
이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3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27133A/ko
Publication of KR20190027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7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3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by an interconnection through aligned holes in the boards or multilayer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 및 제1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1기판에 연결되는 제1컨택트,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및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제1절연부를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제1컨택트들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제1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 및 제1실장부재와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제1절연부는 제1접속부재와 제1연결부재 사이의 제1지지홈에 형성되어 제1접속부재 및 제1연결부재를 지지하되, 제1지지홈에서 제1실장부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 for Substrate Connector and Substrate Connector}
본 발명은 기판들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전자기기에 설치되는 기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전자기기에 마련된다. 예컨대, 커넥터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에 설치되어서, 전자기기 내에 설치된 각종 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기판 커넥터는, 기판과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복수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제1기판(100)에 연결되는 제1컨택트(11), 상기 제1컨택트(11)가 복수개 설치된 제1절연부(12), 제2기판(200)에 연결되는 제2컨택트(13), 및 상기 제2컨택트(13)가 복수개 설치된 제2절연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컨택트(11)들 및 상기 제2컨택트(13)들은 각각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11)들 및 상기 제2컨택트(13)들은 각각 상기 제1절연부(12) 및 상기 제2절연부(14)를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에 대한 고정 기능을 구현함과 동시에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구현한다.
상기 제1절연부(12)은 상기 제1컨택트(11) 및 상기 제2컨택트(12)가 서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2절연부(14)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은, 서로 접속된 제1컨택트(11) 및 제2컨택트(12)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기판 커넥터(10)가 설치된 전자기기는, 최근 고성능을 갖추면서도 소형화 구현이 요구되어 있다. 그 일환으로, 적용 전자기기에 따라서는 기판 커넥터(10)에 고전류 인가를 요구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 13)들만을 이용하여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되므로, 고전류 인가에 따라 상기 컨택트(11, 13)들 각각에 인가되는 전류가 증대되면 온도 상승으로 인해 발열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발열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컨택트(11, 13)들의 개수를 늘려서 허용전류를 증대시키는 경우, 종래 기술에 따른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 13)들의 개수가 늘어난만큼 길이가 증대되므로, 전자기기의 소형화 구현을 어렵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10)는 상기 컨택트(11, 13)들의 결합 및 해제가 반복됨에 따라 상기 컨택트(11, 13)들에 소성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컨택트의 소성변형을 감소시킴으로써 컨택트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기판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 및 제1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에 연결되는 제1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및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실장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 사이의 제1지지홈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를 지지하되, 상기 제1지지홈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는 제1기판에 연결되는 제1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 제2기판에 연결되는 제3컨택트, 상기 제3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3컨택트들과 상기 제1컨택트들이 서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에 조립되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절연부를 상기 제2기판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제3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실장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 사이의 제1지지홈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를 지지하되, 상기 제1지지홈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체적이 다른 이종(異種)의 컨택트 및 고정부를 이용하여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킴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전체적인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전류 인가용 컨택트 및 고정부를 이용하여 제1기판 및 제2기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 개수를 늘릴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더 많은 개수의 단자가 필요한 고성능 전자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컨택트를 인서트 몰딩을 통해 절연부에 결합시킴으로써 컨택트가 절연부에 의해 지지되는 강도를 향상시키고,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변위를 증가시킴으로써 컨택트의 소성변형을 감소시켜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판 커넥터가 복수개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의 개략적인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절연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를 도 4의 Ⅱ-Ⅱ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 및 제3컨택트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컨택트 및 제3컨택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를 도 4의 Ⅲ-Ⅲ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2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를 도 4의 Ⅳ-Ⅳ 선을 기준으로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제1고정부 및 제2고정부가 접속되기 이전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1컨택트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1컨택트 및 제3컨택트가 결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있어서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1컨택트 및 제3컨택트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휴대폰,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과 같은 전자기기(미도시)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제1기판(100, 도 3에 도시됨) 및 제2기판(200, 도 3에 도시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은 서로 다른 종류의 기판일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기판(100)은 인쇄회로기판(PCB)이고, 상기 제2기판(200)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00)이 연성회로기판(FPCB)이고, 상기 제2기판(200)이 인쇄회로기판(PCB)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기판(100)에 설치되는 제1절연부(2), 상기 제2기판(200)에 설치되는 제2절연부(3),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1컨택트(4),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3컨택트(6),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8), 및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9)를 포함한다. 상기 제1절연부(2),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1고정부(8)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로 기능하고, 상기 제2절연부(3), 상기 제3컨택트(6)들, 및 상기 제2고정부(9)는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플러그(Plug) 커넥터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3컨택트(6)들을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들은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3컨택트(6)들은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컨택트(6)들 및 상기 제1컨택트(4)들이 서로 접속되면,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은 상기 제3컨택트(6)들 및 상기 제1컨택트(4)들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절연부(2), 상기 제2절연부(3), 상기 제1컨택트(4), 상기 제3컨택트(6), 상기 제1고정부(8), 및 상기 제2고정부(9)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4)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1절연부(2)에는 상기 제1컨택트(4)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4)들은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에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연부(2)에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제1결합홈(21,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에는 상기 제1컨택트(4)가 설치된다.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1컨택트(4)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조립 방식으로 제1컨택트가 제1절연부에 결합되는 비교예에 비해서 상기 제1컨택트(4)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조립 방식으로 제1컨택트를 제1절연부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제1컨택트 및 제1절연부를 각각 별개의 공정을 통해 형성하고 이들을 조립한다. 이 과정에서 제1컨택트 및 제1절연부의 제조 공차를 반영하여 제조하게 되고, 그로 인해 제1컨택트 및 제1절연부를 조립했을 때 이들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1컨택트가 제1절연부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1컨택트(4)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1컨택트(4)를 지지하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결합홈(2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홈(2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1결합홈(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제1안착홈(22, 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에 상기 제2절연부(3)가 조립되면, 상기 제1안착홈(22)에는 상기 제2절연부(3)가 삽입된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안착돌기(23,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제1안착홈(22)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안착돌기(23)는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제1결합홈(2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제1안착홈(22)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안착돌기(23)는 상기 제1결합홈(21)에 설치된 제1컨택트(4)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복수개의 측벽(24, 도 4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24)들의 내측에는 상기 제1안착홈(22) 및 상기 안착돌기(2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벽(24)들은 각각 외측면(24a), 내측면(24b), 및 상면(24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24a)은 상기 측벽(24)들 각각에서 바깥쪽을 향하는 면(面)이다. 상기 내측면(24b)은 상기 측벽(24)들 각각에서 안쪽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제1안착홈(22)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상면(24c)은 상기 외측면(24a) 및 상기 내측면(24b)의 사이에 위치한 면으로, 상기 측벽(24)들 각각의 윗면에 해당한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제1전측벽(241) 및 제1후측벽(2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안착홈(22)은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제1좌측벽(243) 및 제1우측벽(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은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 및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은 서로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안착홈(22)은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좌측벽(243)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우측벽(244)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상기 제1후측벽(242),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측벽(241), 상기 제1후측벽(242),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은 사각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상기 제1후측벽(242),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제1우측벽(244)에 있어서, 전(前), 후(後), 좌(左), 우(右)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3컨택트(6)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2절연부(3)에는 상기 제3컨택트(6)가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컨택트(6)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에는 상기 제3컨택트(6)들이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절연부(3)에는 상기 제3컨택트(6)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제2결합홈(31,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31)에는 상기 제3컨택트(6)가 설치된다. 상기 제3컨택트(6)는 상기 제2결합홈(31)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6)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2결합홈(31)을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홈(31)들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3컨택트(6)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제2결합홈(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제2안착홈(32, 도 7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가 상기 제1절연부(2)에 조립되면, 상기 제2안착홈(32)에는 상기 안착돌기(2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안착홈(32)은 복수개의 열을 이루면서 배치된 제2결합홈(31)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는 복수개의 측벽(33, 도 6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33)들의 내측에는 상기 제2안착홈(32)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측벽(33)들은 각각 외측면(33a), 내측면(33b), 및 상면(3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면(33a)은 상기 측벽(33)들 각각에서 바깥쪽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내측면(33b)은 상기 측벽(33)들 각각에서 안쪽을 향하는 면으로, 상기 제2안착홈(32)을 향하는 면이다. 상기 상면(33c)은 상기 외측면(33a) 및 상기 내측면(33b)의 사이에 위치한 면으로, 상기 측벽(33)들 각각의 윗면에 해당한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제2전측벽(331) 및 제2후측벽(3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안착홈(32)은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부(3)는 제2좌측벽(333) 및 제2우측벽(3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좌측벽(333) 및 상기 제2우측벽(334)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안착홈(32)은 상기 제2좌측벽(333) 및 상기 제2우측벽(334)의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좌측벽(333)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에 결합된다.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우측벽(334)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좌측벽(333) 및 상기 제2우측벽(334)은 각각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측벽(331), 상기 제2후측벽(332), 상기 제2좌측벽(333), 및 상기 제2우측벽(334)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측벽(331), 상기 제2후측벽(332), 상기 제2좌측벽(333), 및 상기 제2우측벽(334)은 사각 고리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2전측벽(331), 상기 제2후측벽(332), 상기 제2좌측벽(333), 및 상기 제2우측벽(334)에 있어서, 전(前), 후(後), 좌(左), 우(右)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방향을 지칭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가 설치된 제1절연부(2)에 상기 제3컨택트(6)가 설치된 제2절연부(3)가 조립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에 상기 제2절연부(3)가 조립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절연부(3)는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 도 8에 도시됨)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에 조립될 수 있고, 상측 방향(UD 화살표 방향, 도 8에 도시됨)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방향(D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상측 방향(UD 화살표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4)가 설치된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설치된 제2절연부(3)는,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된 제1컨택트(4)는,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된 제3컨택트(6)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전도성(傳導性)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41, 도 11에 도시됨),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42, 도 11에 도시됨), 및 상기 제1실장부재(42)와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43, 도 11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3컨택트(6)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안착홈(2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절연부(2)에 상기 제1컨택트(4)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1컨택트(4)들은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안착돌기(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안착돌기(23) 각각에는 상기 제1접속부재(4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1컨택트(4)들은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상기 제1우측벽(244) 및 상기 안착돌기(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우측벽(244) 및 상기 안착돌기(23) 각각에는 상기 제1접속부재(4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실장부재(42)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실장부재(42)가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실장부재(42)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실장부재(42)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및 상기 제1실장부재(4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제3축방향(Z축 방향, 도 11에 도시됨)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 및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대해 모두 수직한 방향이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기판(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3컨택트(6)에 접속되고, 상기 제1실장부재(42)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재(41) 및 상기 제1실장부재(4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 상기 제1실장부재(42),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 사이에는 제1지지홈(40, 도 10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홈(40)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43)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지지홈(40)에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43)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기판(100)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지지홈(40)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42)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1컨택트(4)를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지지홈(40)에 형성된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1연결부재(43) 및 상기 제1접속부재(41)를 지지하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접속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컨택트(4)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진동, 흔들림 등과 같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1컨택트(4)의 위치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3컨택트(6) 간의 접속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지지홈(40)에서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1기판(100)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갖는 탄성변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탄성변위 증대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 간의 접속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고, 소성변형 감소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4)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제1분기접속부재(411, 도 11에 도시됨),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도 11에 도시됨), 및 제1삽입홈(413, 도 11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상기 제3컨택트(6)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상기 제3컨택트(6)와 접속되는 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컨택트(6)와 접속되는 영역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2컨택트(6)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2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1컨택트(4)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오정렬된 경우, 상기 제3컨택트(6)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에 접촉된 후에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가 이루는 곡면을 따라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를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제1접속면(4111, 도 12에 도시됨) 및 제1걸림돌기(4112,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면(4111)은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1접속면(4111)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된 제3컨택트(6)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면(4111)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돌기(4112)는 상기 제1접속면(4111)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1걸림돌기(4112)는 상기 제1접속면(41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돌기(41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면(41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걸림돌기(4112)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되면 상기 제3컨택트(6)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된 제3컨택트(6)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걸림돌기(4112)를 이용하여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에 대한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가 상기 제3컨택트(6)에 접속되는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3컨택트(6)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접촉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에 대한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12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오정렬된 경우, 상기 제3컨택트(6)는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에 접촉된 후에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가 이루는 곡면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를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413)은 상기 제3컨택트(6)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삽입홈(413)은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 및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 간의 접속은,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3컨택트(6)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 및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각각 곡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일부 중첩된 상태로 서로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의 폭(W, 도 3에 도시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폭(W)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에 해당하는 길이이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폭방향으로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초협폭이 요구되는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제1분기연결부재(414, 도 12에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연결부재(414)는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가 탄성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를 연결한다. 상기 제1분기연결부재(414),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의 내측에는 상기 제1삽입홈(413)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접속부재(63)에 밀림에 따라,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로부터 멀어지는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 도 13에 도시됨)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3접속부재(63)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되면,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에 가까워지는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 도 13에 도시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3연결부재(63)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서로 접속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연결부재(414),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연결부재(43)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 사이의 제1지지홈(40)에 형성되어 상기 제1연결부재(43)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지지홈(40)에서 상기 제1기판(100)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를 지지한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지지홈(40)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42)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에 대해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제1분기접속부재(411)도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접속부재(41)가 갖는 탄성변위를 증대시키고 상기 제1접속부재(41)에 발생하는 소성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4)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컨택트(4)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4)들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컨택트(4)들 사이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42)와 중첩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컨택트(4)들 사이에서 상기 제1기판(100)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절연부(2)가 각각의 제1컨택트(4)들의 상기 제1지지홈(4)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42)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들이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제1컨택트(4)들의 사이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42)와 중첩되는 높이까지 형성되어 넓은 체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들이 지지되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의 길이(411L, 도 11에 도시됨)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의 길이(412L, 도 11에 도시됨)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높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달라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는 영역의 길이가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영역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는 제1분기접속부재(411)를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 및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의 탄성변위를 증가시키는 한편, 탄성적으로 유동하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 및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가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3컨택트(6)는 상기 제1컨택트(4)에 접속되기 위한 제3접속부재(61, 도 7에 도시됨),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제3실장부재(62, 도 7에 도시됨), 및 상기 제3실장부재(62) 및 상기 제3접속부재(61)를 연결하기 위한 제3연결부재(63, 도 12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부재(61)는 상기 제1컨택트(4)에 접속되는 제3접속면(611, 도 12에 도시됨), 걸림면(612, 도 12에 도시됨), 및 유도면(613, 도 12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면(611)은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4)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면(611)은 상기 제1걸림돌기(4112)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면(611)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면(612)은 상기 제3접속면(611) 및 상기 유도면(613)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걸림면(612)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3접속면(611) 및 상기 유도면(61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걸림면(612)은 상기 제3접속면(6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걸림면(612)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되면 상기 제1걸림돌기(411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된 제3컨택트(6)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걸림면(612)을 이용하여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에 대한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도면(613)은 상기 걸림면(612)으로부터 제1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절연부(3)가 상기 제1절연부(2)에 삽입되는 방향이다.
상기 유도면(613)은 곡면(曲面)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면(61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면(613)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컨택트(6)는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정렬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를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실장부재(62)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3컨택트(6)는 상기 제3실장부재(62)가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3실장부재(62)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실장부재(62)가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63)는 상기 제3실장부재(62) 및 상기 제3접속부재(61)를 연결한다. 상기 제3연결부재(63)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63), 상기 제3실장부재(62), 및 상기 제3접속부재(6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3연결부재(63) 및 상기 제3접속부재(61) 사이에는 탄성홈(60, 도 12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연결부재(63) 및 상기 제3접속부재(6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되는 제2컨택트(5, 도 5에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되는 제4컨택트(7,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의 길이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체적이 다른 이종(異種)의 컨택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는 제2컨택트(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컨택트들이 갖는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1컨택트(4)들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 증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기판(200)을 상기 제1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절연부(2)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부에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절연부(2)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0)과 상기 제1기판(1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표면실장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된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들로부터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기판(200)이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4컨택트(7)가 상기 제1절연부(2)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절연부(2)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하측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내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4)들은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컨택트(5)는 조립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이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제3컨택트(6)에 접속될 수 있고, 상기 제2컨택트(5)가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킴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2컨택트(5)가 모두 인서트 몰딩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되거나,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2컨택트(5)가 모두 조립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이 인가하는 전류에 비해 상기 제2컨택트(5)가 더 큰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고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은 상기 제2컨택트(5)에 비해 저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5)를 전원(Power)을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을 신호(Sinal)를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5)를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중에서 일부의 제1컨택트(4)들을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의 길이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는 제2컨택트(5)를 구비하기 위해 상기 제1절연부(2)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제1절연부(2)에 대한 제조 상의 어려움이 증대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절연부(2)에서 상기 제2컨택트(5)가 결합되는 부분을 상기 제1컨택트(4)들이 결합되는 부분과 다른 높이로 구현하여야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절연부(2)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상기 제1절연부(2)에 대한 제조 상의 어려움이 증대되게 된다.
반면,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더 긴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절연부(2)의 높이 증대를 억제하면서도 상기 제1절연부(2)이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1컨택트(4)들 모두를 수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는 제2컨택트(5)를 구비하면서도, 상기 제1절연부(2)의 구조를 간결하게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절연부(2)의 제조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절연부(2)은 상기 제1컨택트(4)들만을 수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1컨택트(4)들 모두를 수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제2접속부재(51, 도 15에 도시됨), 제2실장부재(52, 도 15에 도시됨), 및 제2연결부재(53, 도 1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1)는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접속부재(5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접속부재(5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1)는 상기 제4컨택트(8)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접속부재(51)가 상기 제1안착홈(2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절연부(2)에 상기 제1컨택트(4)들이 2개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2컨택트(5)는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1컨택트(4)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접속부재(51)가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안착돌기(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좌측벽(243) 및 상기 안착돌기(23) 각각에는 상기 제2접속부재(5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 하나의 열을 이루는 제1컨택트(4)들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접속부재(51)가 상기 제1우측벽(244) 및 상기 안착돌기(23)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우측벽(244) 및 상기 안착돌기(23) 각각에는 상기 제2접속부재(51)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1)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41) 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52)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실장부재(52)가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실장부재(52)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실장부재(52)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실장부재(52)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실장부재(42) 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3)는 상기 제2접속부재(51) 및 상기 제2실장부재(52)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연결부재(53)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1)는 상기 제1기판(10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되고, 상기 제2실장부재(52)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기 때문에, 상기 제2연결부재(53)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2접속부재(51) 및 상기 제2실장부재(52)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3)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3), 상기 제2실장부재(52), 및 상기 제2접속부재(5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3)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43) 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3) 및 상기 제2접속부재(51) 사이에는 제2지지홈(50, 도 15에 도시됨)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홈(50)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결부재(53) 및 상기 제2접속부재(5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2지지홈(50)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53) 및 상기 제2접속부재(5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2지지홈(50)에서 상기 제2실장부재(52)와 중첩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2지지홈(50)에서 상기 제1기판(100)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제2컨택트(5)는 조립을 통해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2지지홈(50)을 모두 채우면서 상기 제2실장부재(52)와 중첩되는 높이에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2컨택트(5)는 상기 제2지지홈(50)에 형성된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지지홈(40)에서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1기판(100)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4)가 갖는 탄성변위를 증대시켜 상기 제1절연부(4)의 소성변형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제2지지홈(50)에서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1기판(100)과 접촉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5)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고하면, 상기 제2접속부재(51)는 제2분기접속부재(511, 도 15에 도시됨),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 도 15에 도시됨), 및 제2삽입홈(513, 도 1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상기 제4컨택트(7)와 접속되는 영역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4컨택트(7)와 접속되는 영역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를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제2접속면(5111, 도 15에 도시됨) 및 제2걸림돌기(5112, 도 15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면(5111)은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2접속면(5111)은 상기 제2삽입홈(513)에 삽입된 제4컨택트(7)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면(5111)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돌기(5112)는 상기 제2접속면(5111)으로부터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 쪽에 위치한다. 상기 제2걸림돌기(5112)는 상기 제2접속면(511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걸림돌기(5112)는 상기 제4컨택트(7)가 상기 제2삽입홈(513)에 삽입되면 상기 제4컨택트(7)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2삽입홈(513)에 삽입된 제4컨택트(7)가 상기 상측방향(U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걸림돌기(5112)를 이용하여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 진동, 흔들림 등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에 대한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가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되는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가 복수개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접촉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에 대한 접촉 신뢰성 및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의 위치가 소정 범위 내에서 오정렬된 경우에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를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 및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삽입홈(513)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 및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의 사이에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 간의 접속은, 상기 제4컨택트(7)가 상기 제2삽입홈(513)에 삽입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상기 제4컨택트(7)가 상기 제2삽입홈(513)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4컨택트(7)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 및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각각 곡면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제4컨택트(7)가 상기 제2삽입홈(513)에 삽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부재(51)는 제2분기연결부재(514, 도 15에 도시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연결부재(514)는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가 탄성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를 연결한다. 상기 제2분기연결부재(514),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의 내측에는 상기 제2삽입홈(513)이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상기 제4컨택트(7)가 상기 제2삽입홈(5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4컨택트(7)에 밀림에 따라,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상기 제4컨택트(7)가 상기 제2삽입홈(513)에 삽입되면,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는 상기 제4컨택트(7)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2컨택트(5) 및 상기 제4컨택트(7)가 서로 접속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연결부재(514),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연결부재(53)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2연결부재(53)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 사이의 제2지지홈(50)에 형성되어 상기 제2연결부재(53)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2지지홈(50)에서 상기 제2실장부재(52)와 중첩되는 높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를 지지한다.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2지지홈(50)에서 상기 제1기판(10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를 지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에 비해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의 길이(511L, 도 15에 도시됨)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의 길이(512L, 도 15에 도시됨)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를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512) 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통해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높이에 따라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511)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의해 지지되는 영역에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4컨택트(7)는 상기 제2컨택트(5)에 접속되기 위한 제4접속부재(71, 도 7에 도시됨) 및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기 위한 제4실장부재(72,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4컨택트(7)는 상기 제3컨택트(6)에 포함된 구성들을 동일하게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컨택트(7)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결합되는 방식과 동일하게 상기 제2컨택트(5)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1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연결되는 상기 제1고정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되는 상기 제2고정부(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제1컨택실장부재(81, 도 5에 도시됨), 및 상기 제1절연부(2)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구속부재(82,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절연부(2)에는 구속공(20, 도 9에 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구속공(20)은 상기 제1절연부(2)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속부재(82)는 상기 구속공(2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의 내측에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1고정부(8)를 통해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 및 상기 구속부재(82)가 각각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 및 내측에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절연부(2)를 구속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한 실장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한 고정력 저하로 인해 상기 제1절연부(2)가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이 소형화되어서 초협폭, 초협피치로 구현되더라도, 상기 제1고정부(8)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를 충분한 고정력으로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기기를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8)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에 의해 상기 외측면(24a)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전측벽(241)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후측벽(24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외측면(24a)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2)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제1고정홈(25, 도 9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24)의 외측면(24a)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고정홈(25)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면,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고정홈(25)이 형성된 측벽(24)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전측벽(241)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전측벽(241)의 외측면(24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고정홈(25)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전측벽(24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에는 상기 제1고정홈(25)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후측벽(24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후측벽(242)의 외측면(24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고정홈(25)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후측벽(242)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후측벽(242)에는 상기 제1고정홈(25)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에는 제1돌출부재(811, 도 5에 도시됨)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811)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811)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더 늘림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돌출부재(81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811)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돌출부재(811)가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811)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속부재(82)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구속부재(82)는 상기 제1절연부(2)에 형성된 구속공(20)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구속부재(82)는 상기 제1절연부(2)의 내측에서 상기 구속공(20)을 통해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구속부재(82)가 상기 제1절연부(2)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고,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 및 상기 구속부재(82)가 각각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 및 내측에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절연부(2)를 구속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한 실장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한 고정력 저하로 인해 상기 제1절연부(2)가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82)는 상기 제1절연부(2)의 내측면(24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구속부재(82)가 상기 제1절연부(2)의 내측면(24b)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8)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구속부재(82)에 의해 상기 내측면(24b)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구속부재(82)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내측면(24b)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구속부재(82)는 상기 제1전측벽(241)의 내측면(24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82)는 상기 제1후측벽(242)의 내측면(24b)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구속부재(82)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2)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4를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구속부재(82)가 상기 제1절연부(2)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속부재(82)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구속부재(82)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이음부재(83,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83)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 및 상기 구속부재(82)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이음부재(83)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 및 상기 구속부재(82)의 사이에서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 및 상기 구속부재(82)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내측 및 외측을 구분하는 측벽(24)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8)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재질로 형성되더라도,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에 의해 상기 측벽(24)이 보호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전측벽(241)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전측벽(241)을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후측벽(242)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후측벽(242)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측벽(24)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이음부재(83)는 상기 측벽(24)의 상면(24c) 쪽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음부재(83)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을 보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전측벽(241)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이음부재(83)는 상기 제1전측벽(241)의 상면(24c)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후측벽(242)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이음부재(83)는 상기 제1후측벽(242)의 상면(24c)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제1컨택접속부재(84, 도 1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는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2고정부(9)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가 상기 제2기판(200)에 연결된 제2고정부(9)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은 상기 제1고정부(8) 및 상기 제2고정부(9)를 통해 상기 제2기판(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고정부(9)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가 상기 제1안착홈(2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이음부재(83)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를 통해 전체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더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를 통해 상기 제1컨택트(4)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전체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 증대를 더 감소시킴으로써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가 갖는 허용전류를 증대시킴으로써, 전자기기에서 요구되는 전체 허용전류의 크기에 따라 상기 제1컨택트(4)의 개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의 개수 감소를 통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의 길이를 감소시켜서 더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의 개수 감소를 통해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이 인가하는 전류에 비해 더 큰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에 비해 고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은 상기 제1고정부(8)에 비해 저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를 전원(Power)을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각각을 신호(Signal)를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를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중에서 일부의 제1컨택트(4)들을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2컨택트(5) 각각이 인가하는 전류에 비해 더 큰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2컨택트(5) 각각에 비해 고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를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2컨택트(5) 각각을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1고정부(8) 각각이 인가하는 전류에 비해 더 큰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컨택트(5)가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1고정부(8) 각각에 비해 고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컨택트(5)를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1컨택트(4)들 및 상기 제1고정부(8) 각각을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제1컨택연결부재(85, 도 5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 상기 이음부재(83), 상기 구속부재(82),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8)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에 의해 상기 외측면(24a)이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를 통해 상기 제1고정부(8)가 갖는 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8)가 갖는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에서 서로 다른 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에 대한 보호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들 중에서 적어도 두 개의 측벽(24)이 갖는 외측면(24a)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우측벽(244) 각각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좌측벽(243) 각각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후측벽(242) 및 상기 제1우측벽(244) 각각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는 상기 제1후측벽(242) 및 상기 제1좌측벽(243) 각각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가 상기 수직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기판(10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더 늘림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8)가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를 통해 상기 제1고정부(8)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8)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로부터 돌출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8)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에 의해 상기 외측면(24a)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우측벽(244)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좌측벽(243)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 및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에서 서로 다른 부분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을 덮는 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의 외측면(24a)에 대한 보호 기능을 더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제1서브고정홈(26, 도 9에 도시됨)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은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24)의 외측면(24a)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가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되면,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이 형성된 측벽(24)을 지지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 및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을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를 상기 제1기판(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진동, 흔들림 등에 대한 내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가 상기 제1우측벽(244)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은 상기 제1우측벽(244)의 외측면(24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우측벽(244)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우측벽(244)에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가 상기 제1좌측벽(243)의 외측면(24a)을 덮도록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은 상기 제1좌측벽(243)의 외측면(24a)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에 삽입되어서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좌측벽(243)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좌측벽(243)에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서브고정홈(26) 및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절연부(2)가 갖는 측벽(24)들 중에서 서로 다른 측벽(24)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이 제1우측벽(244) 및 상기 제1좌측벽(243)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홈(25)은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서브컨택실장부재(86)는 상기 제1서브고정홈(26)에 삽입되어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81)는 상기 제1고정홈(25)에 삽입되어 상기 제1기판(1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가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는 제1컨택접속본체(840, 도 17에 도시됨) 및 제1가이드부재(841, 도 1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컨택접속본체(840)는 상기 제2고정부(9)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 및 상기 제1컨택접속본체(840)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 및 상기 제1컨택접속본체(84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곡률중심이 상기 제1컨택접속본체(840)와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곡면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9)가 설치된 제2절연부(3)가 상기 제1고정부(8)가 설치된 제1절연부(2)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가 오정렬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고정부(8) 및 상기 제2고정부(9)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가 이루는 곡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이동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절연부(3)가 오정렬된 상태로 상기 제1절연부(2)에 조립될 가능성을 더 줄임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8)와 상기 제2고정부(9)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컨택트(4)와 상기 제3컨택트(6) 간의 접속 신뢰성 및 접속 안정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2) 및 상기 제2절연부(3) 간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가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절연부(3)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절연부(2)는 상기 제1고정부(8)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에 의해 상기 상면(24c) 및 내측면(24b)이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를 이용하여 상기 제1절연부(2)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를 통해 상기 제1고정부(8)가 갖는 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1고정부(8)가 갖는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제1우측벽(244)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우측벽(244)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 및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우측벽(244)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 및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는 상기 제1좌측벽(243)의 상면(24c) 및 내측면(24b)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좌측벽(243)은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 및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좌측벽(243)이 상기 제1가이드부재(841) 및 상기 제1컨택연결부재(85)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절연부(2)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8)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2)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절연부(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전측벽(241)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부(8)가 설치되고, 상기 제1후측벽(242)에 적어도 하나의 제1고정부(8)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측벽(241)에 설치된 제1고정부(8) 및 상기 제1후측벽(242)에 설치된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 각각에는 상기 제1고정부(8)가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고정부(8)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해 입력단자로 기능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1고정부(8)는 상기 제1기판(100)에 대해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 각각에 하나씩의 제1고정부(8)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1고정부(8)들은 각각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를 복수개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 및 상기 제1후측벽(242) 각각에는 상기 제1고정부(8)가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전측벽(241)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고정부(8)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8)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1전측벽(241)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전측벽(241)에 설치된 제1고정부(8)들은 개별적으로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1후측벽(242)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1고정부(8)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고정부(8)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1후측벽(242)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후측벽(242)에 설치된 제1고정부(8)들은 개별적으로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고정부(8)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1기판(1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 개수를 더 늘릴 수 있으므로, 더 많은 개수의 단자가 필요한 고성능 전자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전측벽(241)에 설치된 제1고정부(8)들 및 상기 제1후측벽(242)에 설치된 제1고정부(8)들은, 2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도 6, 도 7, 및 도 19를 참고하면,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3컨택트(6)들 및 상기 제2고정부(9)를 통해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제2컨택실장부재(91,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가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면(33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가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면(33a)을 덮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2고정부(9)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에 의해 상기 외측면(33a)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를 이용하여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면(33a)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2전측벽(331)의 외측면(33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2후측벽(332)의 외측면(33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외측면(33a)의 일부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절연부(3)에 비해 더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을 기준으로 할 때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가 상기 제2절연부(3)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가 상기 제3축방향(Z축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세워져서 배치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제2컨택접속부재(92,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는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고정부(8)에 접속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가 상기 제1기판(200)에 연결된 제1고정부(8)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2기판(200)은 상기 제2고정부(9) 및 상기 제1고정부(8)를 통해 상기 제1기판(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됨으로써,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고정 기능을 구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고정부(8)에 접속됨에 따라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통전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고정부(9)가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이용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전체 허용전류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고전류 인가에 따른 발열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컴팩트한 구조로 고전류를 인가할 수 있도록 구현되므로, 전자기기에 대한 성능을 더 향상시킴과 동시에 전자기기를 더 소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가 상기 제2안착홈(3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3컨택트(6)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3컨택트(6)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제2고정부(9)가 상기 제3컨택트(6)들 각각이 인가하는 전류에 비해 더 큰 전류를 인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정부(9)가 상기 제3컨택트(6)들 각각에 비해 고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제3컨택트(6)들 각각은 상기 제2고정부(9)에 비해 저전류를 인가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고정부(9)를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3컨택트(6)들 각각을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고정부(9)를 신호를 인가하는데 사용하고, 상기 제3컨택트(6)들 중에서 일부의 제2컨택트(5)들을 전원을 인가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는 상기 제1기판(100)과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상기 제1컨택접속부재(84)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가 상기 제2안착홈(32)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는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면(33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가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면(33a)을 덮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절연부(3)는 상기 제2고정부(9)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더 약한 재질로 제조되더라도,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에 의해 상기 외측면(33a)이 보호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제조 과정 및 사용 과정에서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를 이용하여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면(33a)이 손상 내지 파손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는 상기 제2우측벽(334)의 외측면(33a)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는 상기 제2좌측벽(333)의 외측면(33a)을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제2컨택연결부재(93,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연결부재(93)는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 및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컨택연결부재(93)는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 및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 및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 각각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 및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2컨택연결부재(93)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컨택연결부재(93),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 및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 도 7에 도시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는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는 것이다. 상기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 및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는 상기 제2기판(200)의 서로 다른 부분에 실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고정부(9)가 상기 제2기판(200)에 실장되는 실장면적을 늘림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9)가 상기 제2절연부(3)를 상기 제2기판(200)에 고정하는 고정력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를 통해 상기 제2고정부(9)가 갖는 체적을 더 증대시킴으로써, 상기 제2고정부(9)가 갖는 허용전류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는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는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가 상기 제2절연부(3)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는 상기 전체적으로 사각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가 상기 제2기판(200)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서브컨택실장부재(94) 및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고정부(9)를 복수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9)들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절연부(3)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절연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전측벽(331)에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부(9)가 설치되고, 상기 제2후측벽(332)에 적어도 하나의 제2고정부(9)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측벽(331)에 설치된 제2고정부(9) 및 상기 제2후측벽(332)에 설치된 제2고정부(9)는,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 각각에는 상기 제2고정부(9)가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고정부(9)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기판(200)에 대해 입력단자로 기능하고, 나머지 하나의 제2고정부(9)는 상기 제2기판(200)에 대해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 각각에 상기 제2고정부(9)가 하나씩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고정부(9)들은 각각 상기 제2컨택실장부재(91) 및 상기 제2컨택접속부재(92)를 복수개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2전측벽(331) 및 상기 제2후측벽(332) 각각에는 상기 제2고정부(9)가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전측벽(331)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고정부(9)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정부(9)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2전측벽(331)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전측벽(331)에 설치된 제2고정부(9)들은 개별적으로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제2후측벽(332)에는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제2고정부(9)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고정부(9)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상기 제2후측벽(332)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후측벽(332)에 설치된 제2고정부(9)들은 개별적으로 입력단자 또는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2고정부(9)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1기판(100) 및 상기 제2기판(20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 개수를 더 늘릴 수 있으므로, 더 많은 개수의 단자가 필요한 고성능 전자기기 등과 같이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한 범용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전측벽(331)에 설치된 제2고정부(9)들 및 상기 제2후측벽(332)에 설치된 제2고정부(9)들은, 2개가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로 기능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다음과 같이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1컨택트(4) 및 제3컨택트(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1컨택트(4)는 상기 제1접속부재(41), 상기 제1실장부재(42), 및 상기 제1연결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부재(41)는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상기 제1삽입홈(413), 및 상기 제1분기연결부재(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 상기 제1삽입홈(413), 상기 제1분기연결부재(414), 상기 제1실장부재(42), 및 상기 제1연결부재(43)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현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제1컨택트(4)의 제1접속부재는 제1분기접속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는 제1접속면(4111, 도 20에 도시됨) 및 제1걸림홈(4113, 도 20에 도시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면(4111)은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제1접속면(4111)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된 제3컨택트(6)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면(4111)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홈(4113)은 상기 제3컨택트(6)의 제2걸림돌기(614, 도 21에 도시됨)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서로 접속되면, 상기 제1걸림홈(4113)에는 상기 제2걸림돌기(614)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일부 중첩된 상태로 서로 접속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서로 접속된 상태에서의 상기 제2축방향(Y축 방향)의 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폭방향으로 컴팩트한 구조로 구현됨으로써, 초협폭이 요구되는 소형화된 전자기기에 대한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접속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 및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가 탄성적으로 이격되었다가 상기 제2걸림돌기(614)가 상기 제1걸림홈(4113)에 삽입되면서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는 작업자가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접속되었음을 클릭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를 접속시키는 작업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1 및 도 22를 참고하여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를 접속시키는 작업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3컨택트(6)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3접속부재(63)에 밀림에 따라,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2)로부터 멀어지는 외측방향(O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3접속부재(63)가 상기 제1삽입홈(413)에 삽입되면, 복원력을 통해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411)에 가까워지는 내측방향(I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412)는 상기 제3연결부재(63)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제1컨택트(4) 및 상기 제3컨택트(6)가 서로 접속된 상태로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판 커넥터(1)용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컨택트(4)가 상기 제1걸림홈(4113)을 포함하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1컨택트(4) 및 상기 제1절연부(2)를 인서트 몰딩하는데 필요한 금형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제1컨택트(4)들의 제1분기접속부재(411)에 걸림돌기가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컨택트(4)들을 상기 제1절연부(2)에 인서트 몰딩하기 위한 금형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의 걸림돌기를 반영하여 상기 금형에도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홈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상기 금형에 대한 제조 상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컨택트(4)들의 제1분기접속부재(411)에 상기 제1걸림홈(4113)이 형성된 경우, 상기 제1컨택트(4)들을 상기 제1절연부(2)에 인서트 몰딩하기 위한 금형은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축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제1컨택트(4)들의 상기 제1걸림홈(4113)은 상기 금형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상기 금형은 간단한 구조로 구현되어 상기 금형의 제조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기판 커넥터 2 : 제1절연부
3 : 제2절연부 4 : 제1컨택트
5 : 제2컨택트 6 : 제3컨택트
7 : 제4컨택트 8 : 제1고정부
9 : 제2고정부 21 : 제1결합홈
22 : 제1안착홈 23 : 안착돌기
25 : 제1고정홈 26 : 제1서브고정홈
31 : 제2결합홈 32 : 제2안착홈
40 : 제1지지홈 41 : 제1접속부재
42 : 제1실장부재 43 : 제1연결부재
50 : 제2지지홈 51 : 제2접속부재
52 : 제2실장부재 53 : 제2연결부재
61 : 제3접속부재 62 : 제2실장부재
63 : 제3연결부재 71 : 제4접속부재
72 : 제4실장부재 81 : 제1컨택실장부재
82 : 구속부재 83 : 이음부재
84 : 제1컨택접속부재 85 : 제1컨택연결부재
86 : 제1서브컨택실장부재 91 : 제2컨택실장부재
92 : 제2컨택접속부재 93 : 제2컨택연결부재
94 : 제2서브컨택실장부재 411 : 제1분기접속부재
412 : 제1서브분기접속부재 413 : 제1삽입홈
414 : 제1분기연결부재 511 : 제2분기접속부재
512 : 제2서브분기접속부재 513 : 제2삽입홈
514 : 제2분기연결부재 611 : 제3접속면
612 : 걸림면 613 : 유도면
811 : 제1돌출부재 4111 : 제1접속면
4112 : 제1걸림돌기 4113 : 제1걸림홈
5111 : 제2접속면 5112 : 제2걸림돌기

Claims (21)

  1. 플러그 커넥터 및 제1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에 연결되는 제1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및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실장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 사이의 제1지지홈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를 지지하되, 상기 제1지지홈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연결된 제1분기접속부재,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제1서브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제1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가 탄성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가 탄성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분기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 사이의 제1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에 의해 지지되는 영역의 길이가 상기 제1절연부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영역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면 및 상기 제1접속면에 비해 상기 상측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접속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돌기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가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면 및 상기 제1접속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제2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홈은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2걸림돌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컨택트들 각각의 제1지지홈들 사이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와 중첩되는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절연부의 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제1컨택실장부재, 및 상기 제1절연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구속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에는 상기 구속부재가 삽입되는 구속공이 형성되되, 상기 구속공은 상기 제1절연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의 내측에서 상기 구속공을 통해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 및 상기 구속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 및 상기 구속부재 각각에 결합된 이음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실장부재, 상기 구속부재, 및 상기 이음부재는 상기 제1절연부의 내측 및 외측을 구분하는 측벽을 덮도록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제1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상기 제1기판에 연결되며, 상기 제1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제1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큰 체적으로 형성되는 제2컨택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컨택트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접속되기 위한 제2접속부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2실장부재, 및 상기 제2실장부재와 상기 제2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택트들 및 상기 제2컨택트는 제1축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컨택트가 상기 제1컨택트들 각각에 비해 더 큰 허용전류를 갖도록 상기 제2접속부재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접속부재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실장부재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실장부재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연결부재가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에 비해 더 긴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부재는 상기 제2연결부재에 연결된 제2분기접속부재제2서브분기접속부재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제2서브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제2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2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 사이의 제2지지홈에 형성되어 상기 제2접속부재와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를 지지하되, 상기 제2지지홈에서 상기 제2실장부재와 중첩되는 높이에서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부재는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가 탄성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2분기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기접속부재는 상기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서브분기접속부재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16. 제1기판에 연결되는 제1컨택트;
    상기 제1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는 제1절연부;
    상기 제1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1절연부를 상기 제1기판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
    제2기판에 연결되는 제3컨택트;
    상기 제3컨택트가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제3컨택트들과 상기 제1컨택트들이 서로 접속되도록 상기 제1절연부에 조립되는 제2절연부; 및
    상기 제2절연부에 설치되어서 상기 제2절연부를 상기 제2기판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컨택트들은 각각 상기 제3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부재, 상기 제1기판에 실장되기 위한 제1실장부재, 및 상기 제1실장부재와 상기 제1접속부재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접속부재와 상기 제1연결부재 사이의 제1지지홈에 형성되어 상기 제1접속부재 및 상기 제1연결부재를 지지하되, 상기 제1지지홈에서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재에 연결된 제1분기접속부재,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 제1서브분기접속부재, 및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와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의 사이에 형성된 제1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절연부는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가 탄성적으로 유동하도록 상기 제1실장부재로부터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격된 높이에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서브분기접속부재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제1축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절연부에 의해 지지되는 영역의 길이가 상기 제1절연부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영역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상기 제3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면 및 상기 제1접속면에 비해 상기 상측방향 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1접속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돌기는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3컨택트가 상기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3컨택트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기접속부재는 상기 제3컨택트에 접속되기 위한 제1접속면 및 상기 제1접속면으로부터 함몰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3컨택트의 제2걸림돌기가 삽입되는 제1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홈은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2걸림돌기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제2걸림돌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커넥터.
KR1020170113792A 2017-09-06 2017-09-06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20190027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92A KR20190027133A (ko) 2017-09-06 2017-09-06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792A KR20190027133A (ko) 2017-09-06 2017-09-06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7133A true KR20190027133A (ko) 2019-03-14

Family

ID=6575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792A KR20190027133A (ko) 2017-09-06 2017-09-06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27133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5060A (zh) * 2020-03-13 2020-06-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KR102210024B1 (ko) * 2019-10-10 2021-02-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210036098A (ko) * 2019-09-25 2021-04-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102268227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102268474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20240044857A (ko) * 2022-09-29 2024-04-05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KR20240050632A (ko) * 2022-10-12 2024-04-19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54577A (ko) * 2022-10-19 2024-04-2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67799A (ko) 2022-11-09 2024-05-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70394A (ko) 2022-11-14 2024-05-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098A (ko) * 2019-09-25 2021-04-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102210024B1 (ko) * 2019-10-10 2021-02-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268227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102268474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CN111355060A (zh) * 2020-03-13 2020-06-30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板对板插座
KR20240044857A (ko) * 2022-09-29 2024-04-05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KR20240050632A (ko) * 2022-10-12 2024-04-19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54577A (ko) * 2022-10-19 2024-04-26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67799A (ko) 2022-11-09 2024-05-1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KR20240070394A (ko) 2022-11-14 2024-05-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7133A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102759271B1 (ko)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부가 부재 및, 상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그리고 리셉터클 커넥터
CN109565135B (zh) 连接器
CN108604746B (zh) 基板连接器
US1055397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for signal-transmitting connection of two circuit boards
CN102185215A (zh) 电连接器的嵌合引导零件及具有该嵌合引导零件的电连接器装置
JP2014003007A (ja) 雌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6996694B2 (ja) 垂直式ダイレクトpcbコネクタ
JP720286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KR101878049B1 (ko) 커넥터
KR102395645B1 (ko) 기판 커넥터용 컨택트 및 기판 커넥터
KR102283488B1 (ko)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JP2007311427A (ja) 電気回路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32070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N101207246B (zh) 电连接器组件
JP4299855B2 (ja) 光伝送装置アッセンブ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688416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タブ端子
KR102695676B1 (ko) 기판 커넥터
CN113196578B (zh) 用于沿数个空间方向进行接触的插式连接器部件
KR102535074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JP2021064535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2627807B1 (ko) 기판 커넥터
KR102723264B1 (ko) 플러그 커넥터
KR101827086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US11114787B2 (en) Terminal for connector mounted to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supporting said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002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9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11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5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2202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2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2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7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210510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22041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2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22101000871

Request date: 2022041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10008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20418

Effective date: 2022122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22122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220418

Decision date: 20221220

Appeal identifier: 20221010008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