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474B1 -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474B1
KR102268474B1 KR1020190176215A KR20190176215A KR102268474B1 KR 102268474 B1 KR102268474 B1 KR 102268474B1 KR 1020190176215 A KR1020190176215 A KR 1020190176215A KR 20190176215 A KR20190176215 A KR 20190176215A KR 102268474 B1 KR102268474 B1 KR 102268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ocket
length
connecto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은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4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20)가 제공된다.
소켓 커넥터(20)는, 기저부와, 제1 벽부(110), 제2 벽부(120), 제3 벽부(130), 제4 벽부(140)를 포함하는 몰드부(400); 적어도 상기 제1 벽부(110)에 설치되는 금구(500);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120)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600)를 포함한다.
복수의 소켓 단자(600) 중 적어도 일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와 결합되는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에 돌기부(600e)를 가진다.
돌기부(600e)의 상부측의 가로 길이는 돌기부(600e)의 하부측의 가로 길이와 상이하다.

Description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돌기부(엠보스)를 갖는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각각의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커넥터가 어느 정도 크기를 갖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지만, 소형화되는 경우에는 더욱 커넥터끼리, 즉,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 사이의 삽입력과 발거력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 사이의 삽입력과 발거력을 적정 수준으로 조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커넥터 감합(끼워맞춤)시에 삽입력, 발거력을 조정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예컨대, 종래의 소켓 커넥터에 있어서 신호 단자는 매끈한 평면 또는 곡면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의 신호 단자가 소켓 커넥터의 신호 단자에 용이하게 체결된다.
그러나,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 사이의 체결력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어느 정도 크다면 예컨대 플러그 커넥터의 신호 단자를 어느 정도 크게 만들거나 및/또는 소켓 커넥터의 신호 단자를 크게 만들어서 체결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가 소형화되면, 신호 단자 제조시에 공차가 있으므로 위와 같은 방식으로는 체결력을 조절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컨대 신호 단자에 다른 구조물을 부가하여 체결력을 조절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와 결합되는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에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의 상부측의 가로 길이는 상기 돌기부의 하부측의 가로 길이와 상이한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의 상부측의 가로 길이가 상기 돌기부의 하부측의 가로 길이보다 짧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의 상부측의 가로 길이가 상기 돌기부의 하부측의 가로 길이보다 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가이드면, 제2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면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에 체결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가 상기 제2 소켓 단자에 접촉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가이드하는 면이며, 상기 제2 가이드면은, 상기 제1 가이드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이드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온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를 추가로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면이며, 상기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가이드면의 측단면의 길이를 lA라 하고, 상기 제2 가이드면의 측단면의 길이를 lB라 하면, lA>lB의 관계가 성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 가이드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가이드면과 상기 결합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로킹(locking)면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로킹면의 측단면의 길이를 lC라 하면, lB>lC의 관계가 성립된다.
바람직하게는, lA>lB>lC의 관계가 성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결합면과 상기 제1 가이드면이 이루는 각도는 10~80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결합면과 상기 로킹면이 이루는 각도는 10~100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적어도 일부가,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와 결합되는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에 돌기부를 가지며, 당해 돌기부의 존재로 인하여, 체결력(삽입력 및 발거력)의 조정이 가능하다.
돌기부에 있어서, 상부측의 가로 길이(위폭)는 하부측의 가로 길이(아래폭)와 상이하므로 삽입력 및 발거력을 더욱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면, 제1 가이드면, 제2 가이드면, 로킹(locking)면을 가지는데, 이들 사이의 길이 관계를 조절함으로써 삽입력 및 발거력을 더욱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제1 가이드면의 각도 및/또는 로킹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삽입력 및 발거력을 더욱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대상을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3은 도 1과 2의 일부를 더욱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도시 대상에서 몰드부(400)(특히, 제4 벽부(140))를 제거하고 제2 소켓 단자(800)만을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돌기부의 형상이 도 3과는 상이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도시 대상에서 몰드부(400)(특히, 제4 벽부(140))를 제거하고 제2 소켓 단자(800)만을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켓 커넥터(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소켓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제2 소켓 단자(600, 8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몰드부(400;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는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플러그 몰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는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켓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제2 소켓 단자(600, 800)는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와 다른 복수의 제1 소켓 단자(700)는 마주보는 벽면에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과 다른 복수의 제2 소켓 단자(800)는 마주보는 벽면에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 몰드부(400)는 기저부를 갖는다. 소켓 몰드부(400)는 기저부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11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110)와 교차하는 제2 벽부(12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벽부(120)와 교차하며 제1 벽부(110)와 대향하는 제3 벽부(13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110)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제2 벽부(120)와 대향하는 제4 벽부(14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벽부(110)에 제1 소켓 단자(500)가 형성되고, 제1 벽부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2 벽부(120)에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나란히 형성되고, 제2 벽부(120)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3 벽부(130)에 다른 제1 소켓 단자(700)가 형성되고, 제3 벽부(130)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4 벽부(140)에 다른 복수의 제2 소켓 단자(800)가 나란히 형성된다. 그리고 제4 벽부(140)와 제1 벽부(110)는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다.
따라서, 제1 벽부(110)와 제3 벽부(130)는 마주보고 대칭 형상을 가지며, 제2 벽부(120)와 제4 벽부(140)는 마주보고 대칭 형상을 가진다.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제2 소켓 단자(600, 8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제2 소켓 단자(600, 8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될 때, 미도시의 제1 플러그 단자 및 제2 플러그 단자는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제2 소켓 단자(600, 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도시의 제1 플러그 단자는 제1 소켓 단자(500, 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는 제2 소켓 단자(600, 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러그 단자가 전원 단자인 경우에, 제1 소켓 단자(500, 70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전원 단자라는 점에 특별히 주목하지 않고 어떤 구조체가 존재한다는 점에만 주목한다면, 단순히 제1 소켓 단자(500, 700)를 금구(金具)라고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플러그 단자가 신호 단자인 경우에, 제2 소켓 단자(600, 800)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가 체결되는 예시적인 소켓 커넥터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소켓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제2 소켓 단자(600, 8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400)는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플러그 몰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몰드부는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켓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제2 소켓 단자(600, 800)는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 800)가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소켓 커넥터(20)에서 양단의 각각의 제1 소켓 단자(500, 700)는 플라스틱 하우징(소켓 몰드부(400))을 덮고 있다. 즉, 플라스틱 하우징이 제1 소켓 단자(500, 700)를 덮고 있는 부분은 없고 제1 소켓 단자(500, 700)가 플라스틱 하우징을 덮으며 제1 소켓 단자(500, 700)는 노출되어 있다. 종래예로서 제1 소켓 단자(500, 700)의 일부(예컨대, 소켓 커넥터(20)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가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덮여있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그에 비해 제1 소켓 단자(500, 700)의 금속이 전체적으로 커버하고 있으므로 하우징 크랙을 방지하고 더 용이한 결합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일예로, 제2 소켓 단자(600, 800)로서 신호 단자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32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소켓 단자(500, 700)로서 전원 단자는 5A의 전류를 허용할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의 소켓 몰드부(400)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 700) 및 제2 소켓 단자(600, 800)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하, 제1 소켓 단자(500)에 대한 설명은 제1 소켓 단자(700)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고, 제2 소켓 단자(600)에 대한 설명은 제2 소켓 단자(800)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도 1의 제4 벽부(140)에 설치된 제2 소켓 단자(800)에, 돌기부(800e)가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 돌기부(800e)는 엠보스(emboss)라고 부를 수도 있다. 도 1에는 제4 벽부(140)의 제2 소켓 단자(800)의 돌기부(800e)만 도시되어 있으나, 그 맞은 편의 제2 벽부(120)의 제2 소켓 단자(600)에도 돌기부(600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4 벽부(140)의 제2 소켓 단자(800)와 제2 벽부(120)의 제2 소켓 단자(600)는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기부(800e)와 돌기부(600e)도 마찬가지로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이 돌기부(800e)는 금속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튀어나오게 하는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돌기부(600e)도 마찬가지이며, 이하,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제2 소켓 단자(800) 및 그의 돌기부(800e)에 적용되는 것은 제2 소켓 단자(600) 및 그의 돌기부(600e)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과 동일한 대상을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1은 사시도이며, 도 2는 동일한 대상의 정면도임을 알 수 있다.
도 1의 사시도에서는 돌기부(800e)는 보이고 돌기부(600e)는 가려서 보이지 아니하였으나, 도 2의 정면도를 보면 제4 벽부(140)의 제2 소켓 단자(800)의 돌기부(800e) 뿐만 아니라, 제2 벽부(120)의 제2 소켓 단자(600)의 돌기부(600e)도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그 외의 사항은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도 3은 도 1과 2의 일부를 더욱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제4 벽부(140)에 설치된 복수의 제2 소켓 단자(800) 중 하나이며, 돌기부(800e)가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벽부(120)와 제4 벽부(140)는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3에 도시된 것은 제4 벽부(140)의 제2 소켓 단자(800) 및 돌기부(800e)라 할 수도 있고, 제2 벽부(120)의 제2 소켓 단자(600) 및 돌기부(600e)라 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기부(800e)의 측벽은 사선을 이루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돌기부(800e)의 상부의 폭이 좁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실시 형태이다. 본 발명이 위폭과 아래폭이 동일한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위폭이 아래폭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동일한 경우라도 어느 정도의 체결력 향상이 이루어짐은 물론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위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하고 아래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함으로써 삽입력과 발거력의 조절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즉, 위폭을 좁게 하고 아래폭을 넓게 함으로써 삽입력을 낮게 하고 발거력을 크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삽입력이 낮다 함은 작은 힘으로도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쉽게 삽입된다는 의미이다.
발거력이 크다 함은,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체결을 해체하려 할 때에 필요한 힘이 크다(즉, 강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이처럼, 도 3의 시점에서 볼 때 돌기부(800e)의 측벽은 사선 형상을 가지며, 돌기부(800e)의 상단의 가로 길이(위폭) 및 하단의 가로 길이(아래폭)의 변화를 통해 삽입력, 발거력을 변화시킬 수 있고 조정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위폭과 아래폭의 비율은 바람직한 일예일 뿐, 이러한 비율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에 도시된 것보다 더 위폭을 줄이면 삽입력을 더욱 낮게 하여, 작은 힘으로도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이 행해질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것보다도 더 아래폭을 늘리면 발거력을 더욱 높게 하여, 체결된 플러그 커넥터를 체결 해제할 때 드는 힘이 더 커지게 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비율은 일예이며, 필요에 따라 그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커넥터의 용도마다에 맞는 적절한 삽입력 및 발거력에 맞추어 위폭(돌기부(800e)의 최상단의 가로 길이)과 아래폭(돌기부(800e)의 최하단의 가로 길이)의 비율, 또는 위폭과 아래폭의 절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도 3의 시점에서, 돌기부(800e)에 있어서,
위폭 < 아래폭 < 위폭×2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3의 시점에서,
돌기부(800e)에 있어서,
위폭 < 아래폭 < 위폭×1.5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3의 시점에서,
돌기부(800e)에 있어서,
위폭 < 아래폭 < 위폭×1.2
일 수 있다.
도 3에서 돌기부(800e)의 측벽부가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에서와 같이 직선 형태의 사선인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반드시 직선 형태의 사선이 아니고 다소간의 곡선부가 포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도 3에서 아래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점점 넓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가로 길이 폭이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다가 다시 넓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로 길이 폭이 아래로 갈수록 다소 넓어지다가 다시 좁아지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돌기부(800e)의 최상단 가로 길이 폭이 돌기부(800e)의 최하단 가로 길이 폭보다 좁으면 되고, 중간에 다소간의 변동이 있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20)가 끼워맞춤(감합)에 의해 체결될 때,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가 제2 소켓 단자(800)에 접촉하여 체결된다. 이 때, 제2 소켓 단자(800)의 돌기부(800e)는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의 면에 접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당해 제2 플러그 단자의 접하는 면에 별도의 돌기부나 함몰부가 형성된 채로 전술의 제2 소켓 단자(800)의 돌기부(800e)와 접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제2 플러그 단자의 접하는 면은 별도의 돌기부나 함몰부가 형성되지 않은 채로 평평한 면(평면이거나, 또는, 곡면이라도 전술의 돌기부(800e)와 같은 별도의 돌기부 또는 함몰부가 형성되지 않은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2 플러그 단자에까지 돌기부 또는 함몰부를 형성하는 것은 비용 및 공정상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이, 제2 소켓 단자에는 돌기부가 없고 제2 플러그 단자에만 돌기부가 있는 형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소켓 단자와 제2 플러그 단자 중에서 하나의 구성요소에만 돌기부를 형성한다면 제2 소켓 단자에 형성하는 것이 더 용이하기 때문에, 제조의 경제성 및 용이성의 관점에서 제2 소켓 단자에는 돌기부(800e)가 있고 제2 플러그 단자에는 돌기부 또는 함몰부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소켓 단자(600, 800)가 아니라 제1 소켓 단자(500, 700)에 전술의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일예로 제1 소켓 단자(500, 700)는 2개이고, 제2 소켓 단자(600, 800)는 32개로서 갯수 차이가 많으므로, 제2 소켓 단자(600, 800)에 돌기부(600e, 800e)가 형성되는 것이 삽입력 및 발거력의 조절 차원에서 더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도 3에서는 복수의 제2 소켓 단자(800) 중에서 하나의 제2 소켓 단자(800)만을 도시하였으나, 모든 제2 소켓 단자(800) 및 모든 제2 소켓 단자(600)에 전술한 돌기부(800e)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균일한 체결력 제공이라는 관점 및 당해 체결력의 조정의 용이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물론, 본 발명은, 복수의 제2 소켓 단자(800)의 일부 및/또는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의 일부에만 전술한 돌기부(800e)가 형성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도 3의 도시 대상에서 몰드부(400)(특히, 제4 벽부(140))를 제거하고 제2 소켓 단자(800)만을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제2 소켓 단자(800)의 측단면도에는 돌기부(800e)의 측단면이 나타나 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돌기부(800e)의 측단면에는 면(A), 면(B), 면(C)이 나타나 있다.
면(A)는 가이드면(제1 가이드면)으로서,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될 때,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제2 플러그 단자가 소켓 커넥터(20)의 제2 소켓 단자(800)에 접촉하면서 가이드해 주는 역할을 한다.
면(B)도 가이드면(제2 가이드면)인데, 면(A)와는 각도가 다르게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예로 면(B)는 수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될 때,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제2 플러그 단자가 소켓 커넥터(20)의 제2 소켓 단자(800)의 면(A)에 접촉하면서 어느 정도 삽입된 후에는, 면(B)가 이어서 추가로 가이드해 주는 역할을 한다. 면(A)에 비해서 면(B)가 수직면에 더 가까우므로,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가 가이드면(A)를 지나면서 급격히(또는 적은 힘으로 용이하게) 체결되고 있던 과정이, 가이드면(B)를 지나면서는 다소 천천히(또는 상대적으로 조금 더 큰 힘으로) 체결된다.
면(C)는 로킹면(locking plane)이다. 이는 체결시보다는 체결 해제(즉, 발거)시에 주로 역할을 하며, 면(C)의 각도에 따라서 발거력의 대소를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한다.
도 3과 도 4에서는 돌기부(800e)의 위폭이 좁고 아래폭이 넓은 형태를 설명하였다.
도 3에서 위폭과 아래폭의 비율 또는 절대 크기에 따라 삽입력, 발거력의 대소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 면(A), 면(B), 면(C)의 각도 여하에 따라서도 삽입력, 발거력의 대소가 조절될 수 있다.
도 3, 도 4에서는 하나의 제2 소켓 단자(800)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1, 도 2에 도시된 제2 소켓 단자(600, 800)의 전체가 도 3, 도 4에서 도시된 제2 소켓 단자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물론, 이는 바람직한 일실시예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는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와 복수의 제2 소켓 단자(800)의 일부에는 돌기부(600e, 800e)가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돌기부가 다른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 면(A), 면(B), 면(C)의 길이 관계의 도시는 일예이며, 당해 도면에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측단면도인 도 4에서 볼 때, 면(A)의 길이인 lA와, 면(B)의 길이인 lB와의 관계는 lA>lB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삽입 가이드의 용이함을 위한 것이다. 즉, 면(A)에서도 가이드되고, 면(B)에서도 가이드되지만, 그 각도 차이 및 결합(체결)의 선후 관계를 감안하면,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가 제2 소켓 단자(800)가 면(A)를 지날 때와 면(B)를 지날 때를 생각했을 때, 면(B) 근방이 결합되고 있을 때에 더 큰 힘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체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면(B)보다는 면(A)가 더 긴 것(즉, lA>lB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면(A)과 관련하여서는 면(A)이 수직면과 이루는 각도(θA)도 삽입력의 대소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도 4에서, θA가 20도인 경우는 θA가 30도인 경우에 비해서 삽입력이 작을(즉, 쉽게 삽입될) 것이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컨대, θA는 10~8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60도일 수 있다.
또한, 측단면도인 도 4에서 볼 때, 면(A)의 길이인 lB와, 면(C)의 길이인 lC와의 관계는 lB>lC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적절한 로킹(locking)력의 발휘를 위한 것이다. 즉, 일단 체결되면 면(C)는 로킹면으로서 기능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면(C)의 길이(즉, 돌출의 정도)인 lC가 어느 정도 크면서도 지나치게 크지는 않을 필요가 있고, lB>lC인 경우에 로킹력이 정적 수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면(C)와 관련하여서는 면(C)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도(θC)도 로킹력의 대소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도 4에서, θC가 90도인 경우는 θC가 60도인 경우에 비해서 로킹력이 클 수도 있다. 물론, 이는 일률적으로 말할 것은 아니며, 예컨대, 면(B)와 면(C)의 연결 부분의 라운딩 처리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컨대, θC는 10~10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90도일 수 있다.
또한, 측단면도인 도 4에서 볼 때, 면(A)의 길이인 lA와, 면(B)의 길이인 lB와, 면(C)의 길이인 lC와의 관계는 lA>lB>l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lA>lB>lC의 관계를 충족하면, 전술한 삽입 가이드의 용이함과, 적절한 로킹(locking)력의 발휘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도 5는 돌기부의 형상이 도 3과는 상이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돌기부(800e)의 위폭이 좁고 아래폭이 넓은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5에는, 도 3과는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돌기부(800e')의 위폭이 넓고 아래폭이 좁은 것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벽부(120)와 제4 벽부(140)는 서로 마주보면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도 5에 도시된 것은 제4 벽부(140)의 제2 소켓 단자(800) 및 돌기부(800e')라 할 수도 있고, 제2 벽부(120)의 제2 소켓 단자(600) 및 돌기부(600e')라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5에서도, 돌기부(800e')의 측벽부가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에서와 같이 직선 형태의 사선인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반드시 직선 형태의 사선이 아니고 다소간의 곡선부가 포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소켓 몰드부(400)의 제4 벽부(140)에 설치된 제2 소켓 단자(800) 하나이며, 돌기부(800e')가 보이도록 도시되어 있다.
이 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돌기부(800e')의 측벽은 사선을 이루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도 3과는 반대로, 상부의 폭이 넓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실시 형태(변형예)이다.
본 발명이 위폭과 아래폭이 동일한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지만, 위폭이 아래폭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동일한 경우라도 어느 정도의 체결력 향상이 이루어짐은 물론이지만, 본 실시 형태(변형예)에서는 위폭을 상대적으로 넓게 하고 아래폭을 상대적으로 좁게 하여 폭의 차등을 둠으로써 삽입력과 발거력의 조절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
즉, 위폭을 넓게 하고 아래폭을 좁게 함으로써 삽입력을 크게 하고 발거력을 작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삽입력이 크다 함은 어느 정도 큰 힘을 가하여야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삽입된다는 의미이다.
발거력이 작다 함은,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체결을 해체하려 할 때에 필요한 힘이 작다(즉, 비교적 약하게 체결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물론, 도 5와 같은 형상의 돌기부(800e')를 형성하는 경우, 돌기부(800e')가 전혀 없는 형태에 비해서는 체결력이 강해질 것이다. 그 이유는 제2 소켓 단자(800)의 돌기부(800e')의 존재 자체가 플러그 커넥터의 제2 플러그 단자와의 결합을 더욱 타이트하게 만들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돌기부(800e')가 있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경우라면, 위폭을 넓게 할수록 삽입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고, 아래폭을 좁게 할수록 발거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위폭과 아래폭의 비율은 바람직한 일예일 뿐, 이러한 비율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것보다 더 위폭을 넓히면 삽입력을 더욱 크게 하여, 적절히 큰 힘이 가해져야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이 행해질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것보다도 더 아래폭을 좁히면 발거력을 더욱 작게 하여, 체결된 플러그 커넥터를 체결 해제할 때 드는 힘이 더 작아지게 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비율은 일예이며, 필요에 따라 그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커넥터의 용도마다에 맞는 적절한 삽입력 및 발거력에 맞추어 위폭과 아래폭의 비율, 또는 위폭과 아래폭의 절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도 5의 시점에서, 돌기부(800e')에 있어서,
아래폭 < 위폭 < 아래폭×2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의 시점에서, 돌기부(800e')에 있어서,
아래폭 < 위폭 < 아래폭×1.5
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5의 시점에서, 돌기부(800e')에 있어서,
아래폭 < 위폭 < 아래폭×1.2
일 수 있다.
도 5에서 돌기부(800e')의 측벽부가 사선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도 5에서와 같이 직선 형태의 사선인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반드시 직선 형태의 사선이 아니고 다소간의 곡선부가 포함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도 6은 도 5의 도시 대상에서 몰드부(400)(특히, 제4 벽부(140))를 제거하고 제2 소켓 단자(800)만을 잘라서 본 측단면도이다.
사실상, 도 5에 도시된 돌기부(800e')의 측단면도인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돌기부(800e)의 측단면도인 도 4와 동일하다. 물론, 이는 도 3의 돌기부(800e)와 도 5의 돌기부(800e')의 가장자리가 아니라 중심부를 자른 측단면도임을 전제로 한 것이다.
즉, 도 4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제2 소켓 단자(800)(도 3의 돌기부(800e) 포함)의 측단면도를 살펴본 바 있다. 도 5에 도시된 실시 형태의 제2 소켓 단자(도 5의 돌기부(800e') 포함)의 측단면도인 도 6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비록 사선의 방향은 도 3과 도 5에서 상이하지만, 가이드면(A), 가이드면(B), 로킹면(C)의 측단면은 도 4와 동일하다.
도 4에 대해 설명하면서, 도 3의 실시 형태의 경우에 있어서 lA, lB, lC, θA, θC의 관계에 대해 설명한 바 있다. 당해 도 4에서의 lA, lB, lC, θA, θC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도 3의 실시 형태(돌기부(800e)의 위폭이 더 좁은 경우)의 측단면도인 도 4뿐만 아니라, 도 5의 실시 형태(돌기부(800e')의 위폭이 더 넓은 경우)의 측단면도인 도 6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즉,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6에서도, 면(A), 면(B), 면(C)의 길이 관계의 도시는 일예이며, 당해 도면에 도시된 비율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측단면도인 도 6에서 볼 때, 면(A)의 길이인 lA와, 면(B)의 길이인 lB와의 관계는 lA>lB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삽입 가이드의 용이함을 위한 것이다. 즉, 면(A)에서도 가이드되고, 면(B)에서도 가이드되지만, 그 각도 차이 및 결합(체결)의 선후 관계를 감안하면,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가 제2 소켓 단자(800)가 면(A)를 지날 때와 면(B)를 지날 때를 생각했을 때, 면(B) 근방이 결합되고 있을 때에 더 큰 힘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체결의 용이성의 관점에서는 면(B)보다는 면(A)가 더 긴 것(즉, lA>lB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면(A)과 관련하여서는 면(A)이 수직면과 이루는 각도(θA)도 삽입력의 대소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도 6에서, θA가 20도인 경우는 θA가 30도인 경우에 비해서 삽입력이 작을(즉, 쉽게 삽입될) 것이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컨대, θA는 10~8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60도일 수 있다.
또한, 측단면도인 도 6에서 볼 때, 면(A)의 길이인 lB와, 면(C)의 길이인 lC와의 관계는 lB>lC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적절한 로킹(locking)력의 발휘를 위한 것이다. 즉, 일단 체결되면 면(C)는 로킹면으로서 기능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면(C)의 길이(즉, 돌출의 정도)인 lC가 어느 정도 클 필요가 있고, lB>lC인 경우에 로킹력이 정적 수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면(C)와 관련하여서는 면(C)가 수직면과 이루는 각도(θC)도 로킹력의 대소에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도 6에서, θC가 90도인 경우는 θC가 60도인 경우에 비해서 로킹력이 클 것이다.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예컨대, θC는 10~100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60~90도일 수 있다.
또한, 측단면도인 도 6에서 볼 때, 면(A)의 길이인 lA와, 면(B)의 길이인 lB와, 면(C)의 길이인 lC와의 관계는 lA>lB>lC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lA>lB>lC의 관계를 충족하면, 전술한 삽입 가이드의 용이함과, 적절한 로킹(locking)력의 발휘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물론, 조건이 동일(예컨대, lA, lB, lC, θA, θC)하다면 도 3 및 도 4의 실시 형태의 경우가 도 5 및 도 6의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해 삽입력이 더 작게 될 것이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의 실시 형태이든, 도 5 및 도 6의 실시 형태이든, 돌기부의 형상 조건(예컨대, lA, lB, lC, θA, θC)을 적절히 변형함으로써 삽입력과 발거력을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도 1, 도 2 등에서는 제2 소켓 단자(600, 800)에 돌기부(600e, 800e)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소켓 단자(500, 700)에 전술의 돌기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예로, 제1 소켓 단자(500, 700)에 전술의 돌기부가 형성될 때, 제2 소켓 단자(600, 800)에 돌기부(600e, 800e)가 형성되는 실시예도 가능하고, 형성되지 않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20: 소켓 커넥터
110: 제1 벽부
120: 제2 벽부
130: 제3 벽부
140: 제4 벽부
400: 소켓 몰드부
500, 700: 제1 소켓 단자
600, 800: 제2 소켓 단자
600e, 600e', 800e, 800e': 돌기부(엠보스)

Claims (8)

  1.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와 결합되는 결합면의 적어도 일부에 돌기부를 가지며,
    (i) 상기 돌기부의 최상부측의 가로 길이는 상기 돌기부의 최하부측의 가로 길이보다 짧고, 상기 돌기부의 최하부측의 가로 길이는 상기 돌기부의 임의의 높이에서의 가로 길이 중 가장 긴 사이즈이거나, 또는
    (ii) 상기 돌기부의 최상부측의 가로 길이는 상기 돌기부의 최하부측의 가로 길이보다 길고, 상기 돌기부의 최상부측의 가로 길이는 상기 돌기부의 임의의 높이에서의 가로 길이 중 가장 긴 사이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의 경우, 상기 돌기부의 최상부측의 가로 길이가 상기 돌기부의 최하부측의 가로 길이보다 짧으며, 상기 돌기부의 임의의 두 지점인 제1 지점과 제 2지점(단,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2 지점보다 상부에 있음)에서 '상기 제1 지점의 가로 길이 ≤ 상기 제2 지점의 가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i)의 경우, 상기 돌기부의 최상부측의 가로 길이가 상기 돌기부의 최하부측의 가로 길이보다 길며, 상기 돌기부의 임의의 두 지점인 제1 지점과 제 2지점(단,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제2 지점보다 상부에 있음)에서 '상기 제1 지점의 가로 길이 ≥ 상기 제2 지점의 가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적어도 상기 결합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가이드면, 제2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가이드면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에 체결될 때,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가 상기 소켓 단자에 접촉하면서 하방으로 이동할 때에 가이드하는 면이며,
    상기 제2 가이드면은, 상기 제1 가이드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가이드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온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단자를 추가로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면이며,
    상기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가이드면의 측단면의 길이를 lA라 하고, 상기 제2 가이드면의 측단면의 길이를 lB라 하면, lA>lB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제1 가이드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가이드면과 상기 결합면의 사이에 위치하는 로킹(locking)면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로킹면의 측단면의 길이를 lC라 하면, lB>lC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lA>lB>lC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결합면과 상기 제1 가이드면이 이루는 각도는 10~8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를 측단면도 상에서 보았을 때, 상기 결합면과 상기 로킹면이 이루는 각도는 10~10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190176215A 2019-12-27 2019-12-27 소켓 커넥터 KR102268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15A KR102268474B1 (ko) 2019-12-27 2019-12-27 소켓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215A KR102268474B1 (ko) 2019-12-27 2019-12-27 소켓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474B1 true KR102268474B1 (ko) 2021-06-23

Family

ID=76598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215A KR102268474B1 (ko) 2019-12-27 2019-12-27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47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09B1 (ko) * 2009-09-22 2010-01-15 휴먼전자 주식회사 초소형 협피치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KR20160118140A (ko) * 2015-04-01 2016-10-1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90027133A (ko) * 2017-09-06 2019-03-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20190113730A (ko) * 2017-10-23 2019-10-0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009B1 (ko) * 2009-09-22 2010-01-15 휴먼전자 주식회사 초소형 협피치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KR20160118140A (ko) * 2015-04-01 2016-10-11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20190027133A (ko) * 2017-09-06 2019-03-1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용 리셉터클 커넥터 및 기판 커넥터
KR20190113730A (ko) * 2017-10-23 2019-10-0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9551B2 (en) Low-profile mezzanine connector
TWI796649B (zh) 連接器組裝體及連接器
US11476601B2 (en) Connector capable of appropriately restricting movement of a contact
US11101605B2 (en) Male plug, female socket and board-to-board RF connector
US8764470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 with enhanced metal locking features
KR102704138B1 (ko) 커넥터 조립체
JP2004355819A (ja) 平衡伝送用プラグコネクタ
JP2023022158A (ja) メス型多極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多極コネクタセット
US1196210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200104727A (ko) 플러그 커넥터
JP5203029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70026708A1 (en) Connector and portable cable
KR102268474B1 (ko) 소켓 커넥터
US674944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acer
TW202046571A (zh) 電連接器組裝體
US20180287282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US680839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acer
US6902442B2 (en) Electrical connector
CN220106979U (zh) 电连接器
CN220106978U (zh) 电连接器
CN106159553A (zh) 电连接器组件
KR20220048771A (ko) 소켓 커넥터
CN221201564U (zh) 电连接器
KR102391830B1 (ko)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US20240106168A1 (en) Electr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