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1830B1 -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1830B1
KR102391830B1 KR1020200059778A KR20200059778A KR102391830B1 KR 102391830 B1 KR102391830 B1 KR 102391830B1 KR 1020200059778 A KR1020200059778 A KR 1020200059778A KR 20200059778 A KR20200059778 A KR 20200059778A KR 102391830 B1 KR102391830 B1 KR 102391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mounting
connector
contact portion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961A (ko
Inventor
박지승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1830B1/ko
Priority to JP2021079557A priority patent/JP2021182545A/ja
Priority to CN202121064627.5U priority patent/CN215184887U/zh
Publication of KR2021014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1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1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10)가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기저부(110)와 벽부(120)를 포함하는 몰드부(100); 전원 단자(200); 및 신호 단자(300)를 포함한다.
신호 단자(300) 는, 기부(310); 제1 접촉부(321); 제2 접촉부(322); 제1 실장부(331); 및 제2 실장부(332)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321)에는 상대 커넥터(20)와의 로킹을 위한 걸림 부분인 굴곡부(321B)가 형성되고, 제2 접촉부(322)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장부(331, 332)의 폭은 제1 및 제2 접촉부(321, 322)의 폭보다 좁고, 그에 따라,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신호 단자(300) 사이에서, 제1 또는 제2 접촉부(321, 322)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제1 또는 제2 실장부(331, 332) 사이의 이격 거리가 더 길다.
신호 단자(300)를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 방향에서 볼 때, 제1 및 제2 실장부(331, 33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장부(331)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치우쳐 있고, 제1 및 제2 실장부(331, 332) 중에서 다른 하나의 실장부(332)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치우쳐 있다.

Description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 FOR CONNECTING TO SUBSTRATE}
본 발명은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장부 사이의 거리가 확보되도록 한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는 일 없이도 커넥터의 저배화(길이 축소)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소켓 커넥터는 모든 실장부가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경우의 문제점은, 커넥터를 작게 만들기 위해(즉, 저배화하기 위해) 실장부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게 되는데, 이 실장부를 기판에 부착시키는 솔더(땜납) 등이 인접한 실장부까지 접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즉, 복수의 소켓 단자(신호 단자)끼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원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를 저배화하는 과정에서 신호 단자끼리의 간격(피치)을 작게 하다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신호 단자끼리 원치 않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신호 단자를 정교하게 소정의 작은 피치로 배치한다고 해도 결국은 실장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정교한 피치를 따라가지 못하고 솔더가 원치 않게 옆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넥터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 걸쳐서 결합력이 균형 있게 발생하는 것 또한 해결 과제로 한다. 결합력이 한쪽에 치우치면 결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합을 해제할 때에 커넥터가 파손될 우려도 있으며, 또한 데이터 신호가 적절히 공급되지 않을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납땜 실장되고,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벽부의 단부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되는 신호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단자는, 기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신호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신호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제1 실장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제2 실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로킹을 위한 걸림 부분인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부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의 폭보다 좁고, 그에 따라,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신호 단자 사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접촉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제1 또는 제2 실장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더 길며, 상기 신호 단자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장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치우쳐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 중에서 다른 하나의 실장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의 폭의 2/3 이하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의 폭의 1/2 이하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벽부의 양쪽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벽부의 양단부의 전원 단자 사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1열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단자를 복수 배열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볼 때, 어느 상기 신호 단자의 제1 접촉부와 다른 상기 신호 단자의 제2 접촉부가 동시에 보이도록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신호 단자를 복수 배열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하나씩 번갈아 보이도록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가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종래의 소켓 커넥터는 모든 실장부가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경우의 문제점은, 커넥터를 작게 만들기 위해(즉, 저배화하기 위해) 실장부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 때, 이 실장부를 기판에 부착시키는 솔더(땜납) 등이 인접한 실장부까지 접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즉, 복수의 소켓 단자(신호 단자)끼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원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를 저배화하는 과정에서 신호 단자끼리의 간격(피치)을 작게 하다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신호 단자끼리 원치 않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신호 단자를 정교하게 일정 피치가 되도록 배치한다고 해도 결국은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정교한 피치를 따라가지 못하고 솔더가 원치 않게 옆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면도에서 보았을 때, 실장부는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실장부끼리의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거리 뿐만 아니라 실장부끼리의 커넥터 폭 방향의 거리(엄밀하게는, 대각선 거리) 또한 어느 정도 늘어날 수 있다. 그에 따라, 납땜시의 원치 않는 접속이 더욱 확실히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커넥터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즉, 커넥터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 굴곡부가 하나씩 번갈아 존재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결합력을 커넥터 폭 방향의 양단에 균형 있게 제공한다. 또한,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걸쳐서도 결합력이 균형 있게 제공된다. 결합력이 한쪽에 치우치면 결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결합을 해제할 때에 커넥터가 파손될 우려도 있으며, 또한 데이터 신호가 적절히 공급되지 않을 우려도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그러한 결합력의 치우침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10)에 포함되는 신호 단자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신호 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이 결합(끼워맞춤하여 체결)되기 전의 모습이다.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10) 및 소켓 커넥터(20)에 공통되게, X1-X2 방향은 커넥터의 길이 방향이고, Y1-Y2 방향은 커넥터의 폭 방향이다. 그리고 커넥터의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변형예로서 미세하게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이 직교하지 않을 수도 있으나,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것이 제조 공정이나 결합력의 적절한 확보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Z1-Z2 방향은 커넥터의 높이 방향이다.
도 1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 반전되어 소켓 커넥터(20)에 결합될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가 상하 반전되어 플러그 커넥터(10)에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플러그 커넥터(10)의 관점에서 보면 소켓 커넥터(20)를 상대 커넥터라고 칭할 수도 있고, 반대로, 소켓 커넥터(20)의 관점에서 보면 플러그 커넥터(10)를 상대 커넥터라고 칭할 수도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끼워맞춤되어 도전부끼리 접촉하여 적절히 신호 및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플러그 커넥터(10)는 미도시의 기판에 납땜 실장되고,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와 결합된다.
플러그 커넥터(10)는 몰드부(100)를 가지며, 몰드부(100)는 기저부(110), 및 기저부(1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120)를 포함한다.
몰드부(1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서 벽부(120)의 양단(커넥터의 길이 방향인 X1-X2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에는 전원 단자(20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전원 단자(200)가 양단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이 결합력을 균형있게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만, 한쪽의 단부에만 전원 단자(200)가 설치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벽부(120)의 단부 사이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X1-X2 방향)으로 나열되어 신호 단자(300)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신호 단자(300)는, 기부(310), 제1 접촉부(321), 제1 실장부(331), 제2 접촉부(322), 제2 실장부(332)를 포함한다.
제1 접촉부(321)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의 기부(310)의 일단으로부터 기판측을 향해(즉, Z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신호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접촉부(322)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의 기부(310)의 타단으로부터 기판측을 향해(즉, Z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신호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실장부(331)는, 제1 접촉부(321)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0)의 폭방향(Y1-Y2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미도시의 기판에 납땜 실장된다.
제2 실장부(332)는, 제2 접촉부(322)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0)의 폭방향(Y1-Y2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미도시의 기판에 납땜 실장된다.
또한, 전원 단자(2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의 벽부(120)의 양쪽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신호 단자(300)는, 벽부(120)의 양단부의 전원 단자(200)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으로 1열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단자(300)가 예컨대 2열로 나열되는 것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신호 단자(300)가 1열인 경우의 실장 문제(실장부 사이의 가로/세로간 거리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더욱 효과적이다.
도 2의 예에서는 전원 단자(200)가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의 벽부(120)의 양쪽의 단부에 설치되었으며, 이러한 실시예가 로킹력 및 전원 공급을 균형있게 행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한쪽의 단부에만 전원 단자(200)가 설치되는 예도 가능하다.
상황에 따라서는, 전원 단자라는 점에 특별히 주목하지 않고 어떤 구조체가 존재한다는 점에만 주목한다면, 전원 단자(200)를 단순히 금구(金具)라고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원 단자(20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고, 신호 단자(300)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일예로, 신호 단자(300)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전원 단자(200)는 5A의 전류를 허용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몰드부(100)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200) 및 신호 단자(300)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플러그 커넥터(10)에 포함되는 신호 단자의 상면도이다.
도 2에서는 몰드부(100), 전원 단자(200), 신호 단자(300)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몰드부(100)와 전원 단자(200)를 가상적으로 제거하고, 신호 단자(300)만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신호 단자(300)가 4개 존재하는 경우의 예이며, 신호 단자(300)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의 예에서는, 신호 단자(300)가 4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동일한 형상의 신호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설명의 편의상, 4개의 신호 단자(300)를 각각 도면 부호 300A, 300B, 300C, 300D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도 3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장부(331, 332)의 폭은 제1 및 제2 접촉부(321, 322)의 폭보다 좁고, 그에 따라, 인접하는 복수의 신호 단자(300) 사이에서, 제1 또는 제2 접촉부(321, 322) 사이의 이격 거리(D1)보다 제1 또는 제2 실장부(331, 332) 사이의 이격 거리(D2)가 더 길다.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장부의 폭(WS)은 제1 및 제2 접촉부의 폭(WL)의 2/3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이격 거리(D1)에 비해 이격 거리(D2)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장부의 폭(WS)은 제1 및 제2 접촉부의 폭(WL)의 1/2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이격 거리(D2)를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과 납땜으로 연결되는 실장부 사이의 측면 거리(X1-X2 방향의 거리; D2)를 신호 단자 사이의 측면 거리(X1-X2 방향의 거리; D1)보다 넓게 하여 실장 불량이 방지된다. 즉, 실장부 사이의 거리가 좁으면 납땜이 서로 다른 종류의 실장부까지 침범하여 신호 불량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해결된다. 이러한 효과는 특히 저배화된(사이즈가 작은) 최근의 커넥터에 대해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소켓 커넥터는 모든 실장부가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경우의 문제점은, 커넥터를 작게 만들기 위해(즉, 저배화하기 위해) 실장부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 때, 이 실장부를 기판에 부착시키는 솔더(땜납) 등이 인접한 실장부까지 접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즉, 복수의 소켓 단자(신호 단자)끼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원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를 저배화하는 과정에서 신호 단자끼리의 간격(피치)을 작게 하다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신호 단자끼리 원치 않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는 것이다. 신호 단자를 정교하게 일정 피치가 되도록 배치한다고 해도 결국은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정교한 피치를 따라가지 못하고 솔더가 원치 않게 옆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신호 단자(300)를 플러그 커넥터(10)의 결합 방향(Z1-Z2 방향)에서 볼 때,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의 일단(Y2 방향)에 위치한 제1 및 제2 실장부(331, 332)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일단(X1 방향)에 치우쳐 있고,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의 타단(Y1 방향)에 위치한 제1 및 제2 실장부(331, 332)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타단(X2 방향)에 치우쳐 있다.
도 4는 도 3의 신호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4도 도 3과 마찬가지로, 도 2에서 몰드부(100), 전원 단자(200), 신호 단자(300)가 도시되어 있는 것에서, 몰드부(100)와 전원 단자(200)를 가상적으로 제거하고, 신호 단자(300)만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신호 단자(300)가 4개 존재하는 경우의 예이며, 신호 단자(300)의 갯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도 도 3과 마찬가지로, 신호 단자(300)가 4개 도시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은 동일한 형상의 신호 단자인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설명의 편의상, 4개의 신호 단자(300)를 각각 도면 부호 300A, 300B, 300C, 300D로 나타내는 경우도 있다.
신호 단자(300)는 2개의 접촉부, 즉, 제1 접촉부(321)와 제2 접촉부(322)를 갖는다. 이 둘의 차이는, 제1 접촉부(321)에는 상대 커넥터(20)와의 로킹을 위한 걸림 부분인 굴곡부(321B)가 형성되고, 제2 접촉부(322)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그런데, 도 4에서 보듯이, 신호 단자(300A)와 신호 단자(300B)는 동일한 형상이지만 방향이 바뀌어 배치되어 있다. 즉, 도 4의 사시도의 시점에서, 신호 단자(300A)의 제1 접촉부(321)가 보이고 신호 단자(300B)의 제2 접촉부(322)가 보인다. 달리 말하면, 신호 단자(300A)의 굴곡부(321B)는 보이고, 신호 단자(300B)의 굴곡부는 보이지 않는다(즉, 뒷면에 있다). 도 4는 사시도이지만, 엄밀하게는 Y2 방향에서 Y1 방향을 향해 바라보았을 때의 측면도를 상정하였을 때를 상정하는 것이 더욱 정확할 것이다.
이는 동일한 신호 단자(300)를 4개 만들어서, Y2에서 Y1을 향해 바라보는 방향에서의 측면도에서, 굴곡부(321B)가 보이도록 신호 단자(300A)를 배치하고, 굴곡부가 보이지 않도록 신호 단자(300B)를 배치하고, 굴곡부(321B)가 보이도록 신호 단자(300C)를 배치하고, 굴곡부가 보이지 않도록 신호 단자(300D)를 배치하면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유는 결합력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함이다. 즉, 신호 단자(300A)는 Y2 방향에 있는 굴곡부(321B)에서 로킹이 되고, 신호 단자(300B)는 Y1 방향에 있는 굴곡부(321B)에서 로킹이 되고, 신호 단자(300C)는 Y2 방향에 있는 굴곡부(321B)에서 로킹이 되고, 신호 단자(300D)는 Y1 방향에 있는 굴곡부(321B)에서 로킹이 행해지므로, Y1 방향에 2개소, Y2 방향에 2개소, 그리고 X1-X2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하나씩 번갈아서 로킹이 행해지는 것이 되므로, 그 결합력이 발휘되는 개소가 규칙적이고 균형있게 정해지는 것이다.
물론, 이는 전형적인 일예이며 다소간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Y2에서 Y1을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도 4와는 다소 다르게, 신호 단자(300A, 300B)의 굴곡부(321B)는 보이고, 신호 단자(300C, 300D)의 굴곡부는 보이지 않도록(즉, 뒷면에 있도록) 배치해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또는, 신호 단자(300A, 300D)의 굴곡부(321B)는 보이고, 신호 단자(300B, 300C)의 굴곡부는 보이지 않도록(즉, 뒷면에 있도록) 배치해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욱 일반적으로 말하면, Y2에서 Y1을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굴곡부(321B)가 보이는 신호 단자의 갯수와 굴곡부가 보이지 않는 신호 단자의 갯수가 동일하면 좋다.
다만, 이렇게 하면 X1-X2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는 지그재그로 결합력이 발휘되는 것이 아니므로, 가급적 도 4와 같은 방식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도 4는 신호 단자(300)가 짝수개인 경우의 예이지만, 신호 단자(300)가 홀수개라고 해도 마찬가지로, Y2에서 Y1을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순차적으로, 하나의 신호 단자(300)는 굴곡부(321B)가 보이고, 인접하는 신호 단자(300)는 굴곡부가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반복 배치하면 될 것이다. 이를 더욱 일반화하면, 신호 단자의 갯수가 홀수인 경우에는, Y2에서 Y1을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굴곡부(321B)가 보이는 신호 단자의 갯수와 굴곡부가 보이지 않는 신호 단자의 갯수 차이가 최소화(즉, 갯수 차이가 1)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신호 단자(300)를 복수 배열함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서 볼 때, 어느 신호 단자의 제1 접촉부(321)와 다른 신호 단자의 제2 접촉부(322)가 동시에 보이도록 복수의 신호 단자가 배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호 단자(300)를 복수 배열함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서 볼 때,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1 접촉부(321)와 제2 접촉부(322)가 하나씩 번갈아 보이도록 복수의 신호 단자(300)가 배치되는 것이 좋다.
참고로 도 3은, 상면도라는 특성상, 굴곡부(321B)의 엇갈림 배치(지그재그 배치)가 잘 드러나지 않았으나, 도 3도 도 4와 마찬가지의 배치이다.
도 5는 전원 단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단자는, 기부(210), 제1 접촉부(221), 제2 접촉부(222), 제1 연결면(210C1), 제2 연결면(210C2), 실장부(231, 232), 절개부(200C)를 포함한다.
각각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제1 접촉부(221)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의 기부(210)의 일단(예컨대, Y2 방향)으로부터 미도시의 기판측을 향해(즉, Z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접촉부(222)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의 기부(210)의 타단(예컨대, Y1 방향)으로부터 미도시의 기판측을 향해(즉, Z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의 전원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연결면(210C1)은, 기부(210)와 제1 접촉부(221)를 연결한다. 제2 연결면(210C2)은, 기부(210)와 제2 접촉부(222)를 연결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원 단자(200)는 하나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제1 연결면(210C1)-기부(210)-제2 연결면(210C2)은 서로 연결된 하나의 금속판이 굽혀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장부(231, 232)는, 제1 접촉부(221) 및 제2 접촉부(222)의 각각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0)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폭방향 외측이라 함은 제1 접촉부(221)로부터 연장되는 실장부(231)는 Y2 방향으로, 제2 접촉부(222)로부터 연장되는 실장부(232)는 Y1 방향으로 연장됨을 의미한다. 후술하겠으나, 이는 도 5에 도시된 전원 단자(200)(즉, X2 방향의 단부에 설치된 전원 단자)에 대한 설명이며, 도 2(또는 후술의 도 6)에서와 같이 X1 방향에 있는 다른 전원 단자(200)에 대해서는, 비록 동일한 형상의 전원 단자라 하더라도 위치 관계가 바뀔 수 있다.
그리고, 실장부(231, 232)는 미도시의 기판에 납땜 실장된다.
절개부(200C)는, 기부(210)와 제1 연결면(210C1)과 제1 접촉부(221)가 연결되는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절개부(200C)는 제2 연결면(210C2)에 대해서는 형성되지 않고(즉, 기부(210)와 제2 연결면(210C2)과 제2 접촉부(222)가 연결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형성되지 않고), 제1 연결면(210C1)에 대해서만 형성(즉, 기부(210)와 제1 연결면(210C1)과 제1 접촉부(221)가 연결되는 일부에 대해서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절개부(200C)의 형상에 기인하여, 결합시에 외력이 가해질 때 탄성력이 발휘될 것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절개부(200C)가 제1 연결면(210C1)과 제2 연결면(210C2) 모두에 대해 형성되면 결합의 강도가 필요 이하로 낮아질 우려가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나듯이, 절개부(200C)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이 열리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도 5와는 달리, 절개부가 좀 더 X2 방향에 있으면서 그 내측(즉, 도 5에서 제1 연결면(210C1)의 X1 방향이 닫혀 있는 구조라면, 그러한 절개부가 어느 정도의 탄성력은 제공할 수도 있으나 필요 이하의 탄성력이 될 우려가 있다.
전원 단자(2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X2 방향)의 단부에, 미도시의 기판을 향하는 방향으로(즉, Z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접촉부(223)를 더 포함한다. 제3 접촉부(223)는 상대 커넥터(20)와의 결합시에 당해 단부의 보호 및 접촉의 효과를 제공한다.
실장부(231, 232)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접촉부(221)로부터 연장된 실장부(231)는, 제1 내측 실장부(231I) 및 제1 외측 실장부(231O)를 가지며, 제2 접촉부(222)로부터 연장된 실장부(232)는 제2 내측 실장부(232I) 및 제2 외측 실장부(232O)를 갖는다.
제1 및 제2 내측 실장부(231I, 232I)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즉, 도 5에서 X1 방향)에 형성되며, 제1 및 제2 외측 실장부(231O, 232O)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즉, 도 5에서 X2 방향)에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 제1 내측 실장부(231I)의 치수(WI)는 제1 외측 실장부(231O)의 치수(WO)보다 크고,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 제2 내측 실장부(232I)의 치수(WI)는 제2 외측 실장부(232O)의 치수(WO)보다 크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 제1 내측 실장부(231I)의 치수(LI)는 제1 외측 실장부(231O)의 치수(LO)보다 작고,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 제2 내측 실장부(232I)의 치수(LI)는 제2 외측 실장부(232O)의 치수(LO)보다 작다.
이러한 관계에 의하면,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실장부(231I, 231O, 232I, 232O)의 면적(WI×LI, WO×LO)이 서로 대략 비슷해지므로 전원 단자(200) 하나의 4개의 실장부에서 대략 유사한 실장력(고정력)이 얻어지므로 균형 있는 고정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정확히 WI×LI = WO×LO의 관계를 만족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WI, LI, WO, LO의 대소 관계가 충족됨으로써 대략 유사한 실장 면적이 얻어지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전원 단자(200)는 절개부(200C)가 있는 부위를 제외하고는 좌우대칭(즉, Y1-Y2 방향 대칭)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 실장부(231I, 232I)의 치수가 외측 실장부(231O, 232O)보다 작고,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 실장부(231I, 232I)의 치수가 외측 실장부(231O, 232O)보다 크게 되어 있으나, 이와 달리,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 실장부(231I, 232I)의 치수가 외측 실장부(231O, 232O)보다 크고,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 실장부(231I, 232I)의 치수가 외측 실장부(231O, 232O)보다 작게 변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절개부(200C)의 탄성력이 잘 발휘되기 위해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 실장부(231I, 232I)의 치수가 외측 실장부(231O, 232O)보다 큰 경우보다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내측 실장부(231I, 232I)의 치수가 외측 실장부(231O, 232O)보다 작은 편이 유리할 것이다.
도 6은 도 2와 동일하나, 2개의 전원 단자(200)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에 2개의 전원 단자(200)가 도시되어 있으며, X2 방향의 단부에 있는 전원 단자(200; 200A)가 도 5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향의 전원 단자이다.
도 6에서 X1 방향의 단부에 있는 전원 단자(200; 200B)는 전원 단자(200A)와 동일한 형상이지만, 배치 방향의 상이함에 기인하여 절개부(200C)의 위치 및 방향이 전원 단자(200A)와 상이하게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전원 단자(200)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1-X2 방향)에 있어서의 벽부(120)의 일단(예컨대, X2 방향)에 설치된 제1 전원 단자(200A)와,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벽부(120)의 타단(예컨대, X1 방향)에 설치된 제2 전원 단자(200B)를 포함한다.
제1 전원 단자(200A)의 절개부(200C)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예컨대, Y2 방향)에 위치하며, 제2 전원 단자(200B)의 절개부(200C)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1-Y2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예컨대, Y1 방향)에 위치한다.
그리고 신호 단자(200)는, 벽부(120)의 양단부의 전원 단자(200A, 200B) 사이에,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으로 1열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된다.
또한, 제1 접촉부(221) 및 제2 접촉부(222)에는 상대 커넥터(20)의 전원 단자와의 걸림을 위한 로킹부(200L1, 200L2, 200L3)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 로킹부는, 제1 접촉부(221)에 형성된 제1 로킹부(200L1), 제2 접촉부(222)에 형성된 제2 로킹부(200L2) 및 제3 로킹부(200L3)를 포함한다.
도 5에는 제1 로킹부(200L1)가 보이고, 제2 로킹부(200L2)와 제3 로킹부(200L3)은 잘 보이지 않지만, 도 6을 참조하면, 제1~3 로킹부(200L1, 200L2, 200L3)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로킹부(200L1) 및 제3 로킹부(200L3)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외측(즉, 전원 단자(200A)에 대해서는 X2 방향, 전원 단자(200B)에 대해서는 X1 방향)에 형성되고, 제2 로킹부(200L2)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 형성된다.
즉,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전원 단자(200A)와 제2 전원 단자(200B)는 동일한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6에 보이는 차이는 단지 배치하는 방향의 상이함에 기인한 것이다. 이러한 형상에 기인하여, 절개부(200C)가 탄성력을 적절히 제공하면서, 동시에, Y2 방향의 3개의 로킹부(즉, 전원 단자(200B)의 로킹부(200L3, 200L2)와 전원 단자(200A)의 로킹부(200L1))가 3개소에서 결합력을 발휘하고, Y1 방향의 3개의 로킹부(즉, 전원 단자(200A)의 로킹부(200L3, 200L2)와 전원 단자(200B)의 로킹부(200L1)도 3개소에서 결합력을 발휘하므로 결합력의 폭 방향 균형도 맞게 된다.
도 6에서는 제1 전원 단자(200A)는 Y2 방향에 절개부(200C)가 있고 제2 전원 단자(200B)는 Y1 방향에 절개부(200C)가 있으나, 다른 예로, 제1 전원 단자(200A)는 Y1 방향에 절개부(200C)가 있고 제2 전원 단자(200B)는 Y2 방향에 절개부(200C)가 있어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100: 몰드부
110: 기저부
120: 벽부
200(200A, 200B): 전원 단자
210: (전원 단자의) 기부
221: (전원 단자의) 제1 접촉부
222: (전원 단자의) 제2 접촉부
210C1: (전원 단자의) 제1 연결면
210C2: (전원 단자의) 제2 연결면
231, 232: (전원 단자의) 실장부
231I: (전원 단자의) 제1 내측 실장부
231O: (전원 단자의) 제1 외측 실장부
232I: (전원 단자의) 제2 내측 실장부
232O: (전원 단자의) 제2 외측 실장부
200L1: (전원 단자의) 제1 로킹부
200L2: (전원 단자의) 제2 로킹부
200L3: (전원 단자의) 제3 로킹부
300(300A, 300B, 300C, 300D): 신호 단자
310: (신호 단자의) 기부
321: (신호 단자의) 제1 접촉부
321B: (신호 단자의) 굴곡부
322: (신호 단자의) 제2 접촉부
331: (신호 단자의) 제1 실장부
332: (신호 단자의) 제2 실장부
20: 소켓 커넥터

Claims (6)

  1. 기판에 납땜 실장되고,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상기 벽부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에 설치되는 전원 단자; 및
    상기 벽부의 단부 사이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되는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단자는,
    기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신호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접촉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측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상대 커넥터의 신호 단자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접촉부;
    상기 제1 접촉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제1 실장부; 및
    상기 제2 접촉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제2 실장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촉부에는 상대 커넥터와의 로킹을 위한 걸림 부분인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촉부에는 굴곡부 및 상기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을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신호 단자를 복수 배열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볼 때, 어느 상기 신호 단자의 제1 접촉부와 다른 상기 신호 단자의 제2 접촉부가 동시에 보이도록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의 폭보다 좁고, 그에 따라, 인접하는 복수의 상기 신호 단자 사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접촉부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상기 제1 또는 제2 실장부 사이의 이격 거리가 더 길며,
    상기 신호 단자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실장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 치우쳐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 중에서 다른 하나의 실장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타단에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의 폭의 2/3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장부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의 폭의 1/2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벽부의 양쪽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신호 단자는, 상기 벽부의 양단부의 전원 단자 사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길이 방향으로 1열로 나열되어 복수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단자를 복수 배열함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접촉부가 하나씩 번갈아 보이도록 상기 복수의 신호 단자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KR1020200059778A 2020-05-19 2020-05-19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KR102391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78A KR102391830B1 (ko) 2020-05-19 2020-05-19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JP2021079557A JP2021182545A (ja) 2020-05-19 2021-05-10 基板接続用プラグコネクター
CN202121064627.5U CN215184887U (zh) 2020-05-19 2021-05-18 基板连接用插头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78A KR102391830B1 (ko) 2020-05-19 2020-05-19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961A KR20210142961A (ko) 2021-11-26
KR102391830B1 true KR102391830B1 (ko) 2022-04-28

Family

ID=78606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778A KR102391830B1 (ko) 2020-05-19 2020-05-19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182545A (ko)
KR (1) KR102391830B1 (ko)
CN (1) CN215184887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585983U (zh) 2012-02-29 2012-12-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2015008053A (ja) * 2013-06-25 2015-0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102036598B1 (ko) 2016-06-01 2019-10-25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2083912B1 (ko) 2019-01-08 2020-03-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고주파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7677B1 (ko) * 2018-01-11 2019-11-2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585983U (zh) 2012-02-29 2012-12-05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2015008053A (ja) * 2013-06-25 2015-01-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102036598B1 (ko) 2016-06-01 2019-10-25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2083912B1 (ko) 2019-01-08 2020-03-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고주파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184887U (zh) 2021-12-14
JP2021182545A (ja) 2021-11-25
KR20210142961A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4446B1 (ko) 차동 신호쌍 사이에서 스큐를 감소시킬 수 있는 차동 신호 커넥터
US7097465B1 (en) High density connector with enhanced structure
US2016000618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Bus
US7121889B1 (en) High speed connector assembly with laterally displaceable head portion
US6095872A (en)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soldier tails
US2007003210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77582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member
US1196210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EP1811607B1 (en) Multipolar connector, and portable radio terminal or small-sized electronic device using multipolar connector
KR20220083236A (ko)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20070014950A (ko) 커넥터 및 휴대단말
JP2022108725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6000950A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ards
CN211605467U (zh) 插塞连接器
KR102391830B1 (ko)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US20020115318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ircuit with center ground plane
KR102391833B1 (ko)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US6599138B1 (en) High frequency board-to-board connector
KR102295979B1 (ko) 소켓 커넥터
US6116925A (en) Stacked electrical card connector
WO202016827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20070197054A1 (en) Coaxial connector
KR102494410B1 (ko) 소켓 커넥터
CN216355126U (zh) 电连接器和连接器组合
JP3441649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