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979B1 -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979B1
KR102295979B1 KR1020190163955A KR20190163955A KR102295979B1 KR 102295979 B1 KR102295979 B1 KR 102295979B1 KR 1020190163955 A KR1020190163955 A KR 1020190163955A KR 20190163955 A KR20190163955 A KR 20190163955A KR 102295979 B1 KR102295979 B1 KR 102295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ype
terminal
socket terminal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289A (ko
Inventor
임채은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97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20)가 제공된다.
소켓 커넥터(20)는, 기저부와, 제1 벽부(110), 제2 벽부(120), 제3 벽부(미도시), 제4 벽부(140)를 포함하는 몰드부(400); 적어도 상기 제1 벽부(110)에 설치되는 금구(500);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120)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60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600)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제1 타입의 소켓 단자(600A)와 제2 타입의 소켓 단자(600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벽부(120)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600A)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602A)의 동일 지점끼리 연결한 가상의 선A와,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600B)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602B)의 동일 지점끼리 연결한 가상의 선B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평행하다.

Description

소켓 커넥터{SOCKET CONNECTOR}
본 발명은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실장부끼리의 위치가 상이한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는 일 없이도 커넥터의 저배화(길이 축소)를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소켓 커넥터는 모든 실장부가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경우의 문제점은, 커넥터를 작게 만들기 위해(즉, 저배화하기 위해) 실장부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하게 되는데, 이 실장부를 기판에 부착시키는 솔더(땜납) 등이 인접한 실장부까지 접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즉, 복수의 소켓 단자(신호 단자)끼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원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를 저배화하는 과정에서 신호 단자끼리의 간격(피치)을 작게 하다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신호 단자끼리 원치 않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신호 단자를 정교하게 소정의 작은 피치로 배치한다고 해도 결국은 실장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정교한 피치를 따라가지 못하고 솔더가 원치 않게 옆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소켓 커넥터로서, 기저부(base portion)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金具);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와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벽부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의 동일 지점끼리 연결한 가상의 선A와,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의 동일 지점끼리 연결한 가상의 선B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평행한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의 각각은 상기 몰드부의 측벽에서 노출되는 외측 절단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의 높이는,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의 높이보다 높으며, 상기 몰드부의 기저부의 면보다도 높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를 상기 소켓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측단면과,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를 상기 소켓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하측 만곡부 주위의 벤딩(bending)과,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하측 만곡부 주위의 벤딩은 상이하며,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하측 만곡부 주위의 벤딩이,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하측 만곡부 주위보다 더욱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 당해 하측 만곡부 주위가 상기 몰드부의 기저부 사이의 절결(cut out)된 공간을 통해 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실장부는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와 인접하는 평면 또는 곡면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실장부는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와 인접하지 않으며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벽부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와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는 하나씩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벽부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와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는 혼재되어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4 벽부에 추가로 상기 제2 소켓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4 벽부에서의 상기 제2 소켓 단자의 배치 상태는, 상기 제2 벽부에서의 상기 제2 소켓 단자의 배치 상태와 독립적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소켓 단자(600)의 피치는 바로 옆 단자와의 거리이지만, 제2 소켓 단자(600)를 동일한 타입별끼리만 볼 때에는, A 타입의 단자(600A)에서 어느 실장부(602A)와 인접하는 다른 실장부(602A)의 거리는 당해 피치의 2배가 된다. 마찬가지로, B 타입의 단자(600B)에서 어느 실장부(602B)와 인접하는 다른 실정부(602B)의 거리는 당해 피치의 2배가 된다.
즉, 제2 소켓 단자(600)끼리의 피치를 m이라 했을 때, B 타입의 단자(600B)는 실장부(602B)끼리의 피치는 2m이 된다. A 타입의 단자(600A)에 있어서도 그 실장부(602A)끼리의 피치는 마찬가지로 2m이 된다.
그리고, B 타입 단자(600B)의 실장부(602B)(외측 절단부(601B)에 바로 인접함)와 A 타입 단자(600A)의 외측 절단부(601A)는 서로 높이 차가 있기 때문에 B 타입 단자(600B)의 실장부(602B)에 사용될 솔더(땜납)가 A 타입 단자(600A)의 다른 부위(예컨대, 외측 절단부(601A) 등)에 묻거나 퍼질 우려는 현저히 줄어든다.
솔더 크림이나 솔더 페이스트가 옆 단자까지 침범하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야 할 단자들끼리 단락(short)되는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끼리의 피치는 좁은 채로 있으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동일 타입의 단자끼리(즉, A 타입 단자(600A)끼리, 또는 B 타입 단자(600B)끼리)의 피치만 고려하면 되므로 그러한 우려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장부의 간격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제2 소켓 단자(600; 일예로 신호 단자) 사이의 피치는 그대로 둔 채로, 실장부끼리의 피치를 가상적으로 2배로 할 수 있어서 커넥터의 저배화에 큰 도움이 되고, 특히, 제2 소켓 단자(600)끼리의 피치를 가깝게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커넥터의 길이 방향이 줄어들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소켓 몰드부(400)를 제거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더욱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방향을 달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20)를 저면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와 동일한 도면이지만 실장부의 배치에 주목하여 다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도면을 다른 관점에서 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소켓 커넥터(2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소켓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몰드부(400;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는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플러그 몰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는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켓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1 소켓 단자(500)가 1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대칭 형상으로 마주보는 벽면에 다른 제1 소켓 단자(50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소켓 몰드부(400)는 기저부를 갖는다. 소켓 몰드부(400)는 기저부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11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110)와 교차하는 제2 벽부(120),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 벽부(120)와 교차하며 제1 벽부(110)와 대향하는 제3 벽부(미도시),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제1 벽부(110)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제2 벽부(120)와 대향하는 제4 벽부(140)를 포함한다.
예컨대, 제1 벽부(110)에 제1 소켓 단자(500)가 형성되고, 제1 벽부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2 벽부(120)에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나란히 형성되고, 제2 벽부(120)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3 벽부(미도시)에 다른 제1 소켓 단자(500)가 형성되고, 제3 벽부(미도시)에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 제4 벽부(140)에 다른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나란히 형성된다. 그리고 제4 벽부(140)와 제1 벽부(110)는 약 90도를 이루며 인접한다.
따라서, 제1 벽부(110)와 제3 벽부(미도시)는 마주보고 대칭 형상을 가지며, 제2 벽부(120)와 제4 벽부(140)는 마주보고 대칭 형상을 가진다.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구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20)에 체결될 때, 미도시의 제1 플러그 단자 및 제2 플러그 단자는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도시의 제1 플러그 단자는 제1 소켓 단자(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미도시의 제2 플러그 단자는 제2 소켓 단자(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러그 단자가 전원 단자인 경우에, 제1 소켓 단자(500)는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서는, 전원 단자라는 점에 특별히 주목하지 않고 어떤 구조체가 존재한다는 점에만 주목한다면, 단순히 제1 소켓 단자(500)를 금구(金具)라고 칭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2 플러그 단자가 신호 단자인 경우에, 제2 소켓 단자(600)는 데이터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는 일실시예에 따른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가 체결되는 예시적인 소켓 커넥터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는 예를 들어, 소켓 몰드부(400),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 커넥터의 몰드부(400)는 미도시의 플러그 커넥터의 몰드부(플러그 몰드부)를 수용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러그 몰드부는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삽입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소켓 몰드부(400)는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가 소켓 몰드부(400)의 벽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의 소켓 커넥터(20)에서 양단의 각각의 제1 소켓 단자(500)는 플라스틱 하우징(소켓 몰드부(400))을 덮고 있다. 즉, 플라스틱 하우징이 제1 소켓 단자(500)를 덮고 있는 부분은 없고 제1 소켓 단자(500)가 플라스틱 하우징을 덮으며 제1 소켓 단자(500)는 노출되어 있다. 종래예로서 제1 소켓 단자(500)의 일부(예컨대, 소켓 커넥터(20)의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부분)가 플라스틱 하우징으로 덮여있는 경우가 있는데, 본 발명은 그에 비해 제1 소켓 단자(500)의 금속이 전체적으로 커버하고 있으므로 하우징 크랙을 방지하고 더 용이한 결합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일예로, 제2 소켓 단자(600)로서 신호 단자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32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1 소켓 단자(500)로서 전원 단자는 5A의 전류를 허용할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의 소켓 몰드부(400)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의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소켓 몰드부(400)를 제거한 것이다.
제1 소켓 단자(500) 및 제2 소켓 단자(600)는 소켓 몰드부(400)에 고정되어야 하나, 도 2에서는 가상적으로 소켓 몰드부(400)가 없는 상황을 상정하여 도시하였다. 그 외에는 도 1과 동일하다.
도 1에서도 볼 수 있지만, 도 2를 통해서 더욱 확실하게 볼 수 있는 것은 제2 소켓 단자(600)의 외측 절단부(601A, 601B)의 높이가 단자(600)의 타입에 따라 상이하다는 점이다. 즉, 제2 소켓 단자(600)라고 통칭하기는 했으나, 도 2를 보면, 외측 절단부(601A)의 높이가 높은 단자가 있고 외측 절단부(601B)의 높이가 낮은 단자가 있다. 높이가 높다 함은 도 1, 2에서 더 +Z축 방향에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보면, 소켓 몰드부(400)에 접하고 있기는 하지만, 높이가 높은 외측 절단부(601A)와 높이가 낮은 외측 절단부(601B)가 혼재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일부를 더욱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에도 도 2와 마찬가지로 소켓 몰드부(400)는 개념적으로 삭제되어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높이가 높은 외측 절단부(601A)와 높이가 낮은 외측 절단부(601B)가 혼재해 있다.
높이가 높은 외측 절단부(601A)를 갖는 제2 소켓 단자(600)를 A 타입 단자(600A)라 하고, 높이가 낮은 외측 절단부(601B)를 갖는 제2 소켓 단자(600)를 B 타입 단자(600B)라고 구분할 수 있다.
종래의 소켓 커넥터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소켓 단자에 대응하는 단자들이 1종류이며, 설사 형상이 다소 다르다고 하더라도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외측 절단부(601A, 601B)의 높이가 다른 2가지 타입의 단자가 혼재되어 있지 아니하였다.
도 4는 도 3을 방향을 달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도 역시 개념적으로 소켓 몰드부(400)는 삭제되어 있다.
도 3도 사시도이고 도 4도 사시도이지만, 보는 방향이 다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3은 다소 위에서 내려다 본 것이고, 도 4는 다소 아래에서 올려다 본 것이다.
도 3에서는 A 타입의 제2 소켓 단자(600A)와 B 타입의 제2 소켓 단자(600B)에 있어서, 외측 절단부(601A, 601B)의 높이가 다름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는 단지 외측 절단부(601A, 601B)의 높이만 다른 것이 아니고, 실장부의 위치도 상이하다.
실장부라 함은 제2 소켓 단자(600; 600A, 600B)가 기판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2 소켓 단자(600)의 일부를 기판에 납땜 등의 수단으로 접합시키는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B 타입의 제2 소켓 단자(600B)는 외측 절단부(601B)에 바로 인접한 하방이 실장부(602B; 빗금친 부분)가 된다. 그러나, A 타입의 제2 소켓 단자(601A)는 그와는 다르게 외측 절단부(601A)에 바로 인접한 하방이 실장부가 아니고 소켓 커넥터(20)의 중심측에 더 치우친 실장부(602A; 빗금친 부분)가 따로 존재한다.
즉, 도 4에서 보았을 때에, X축 방향으로 하나의 라인에 복수가 실장부가 늘어서 있는 것이 아니고, X 방향으로 2개의 라인에 걸쳐 복수의 실장부가 늘어서 있다.
따라서, A 타입 단자(600A)의 실장부(602A)만을 생각하면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늘어선 하나의 라인이 형성되고, B 타입 단자(600B)의 실장부(602B)만을 생각하면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늘어선 다른 하나의 라인이 형성된다. 즉, 이 2개의 라인은 서로 평행하다. 그리고 이 두개의 라인은 Y축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7에서도 후술한다.
종래의 소켓 커넥터는 모든 실장부가 동일 선상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늘어서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 경우의 문제점은, 커넥터를 작게 만들기 위해(즉, 저배화하기 위해) 실장부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 때, 이 실장부를 기판에 부착시키는 솔더(땜납) 등이 인접한 실장부까지 접촉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즉, 복수의 소켓 단자(신호 단자)끼리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야 원하는 신호를 구별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를 저배화하는 과정에서 신호 단자끼리의 간격(피치)을 작게 하다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일부의 신호 단자끼리 원치 않게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는 것이다. 신호 단자를 정교하게 일정 피치가 되도록 배치한다고 해도 결국은 기판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그러한 정교한 피치를 따라가지 못하고 솔더가 원치 않게 옆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 4를 보면, 예컨대 인접하는 제2 소켓 단자(600)끼리의 피치가 m이라고 할 때, 제2 소켓 단자(600)의 실장부끼리의 피치는 m이 아니라 2m이 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제2 소켓 단자(600)의 피치는 바로 옆 단자와의 거리이지만, 어느 실장부(602A)와 인접하는 다른 실장부(602A)의 거리는 당해 피치의 2배가 된다.
그리고 어느 실장부(602B)와 다른 실장부(602B)의 거리도 당해 피치의 2배가 된다.
솔더 크림이나 솔더 페이스트가 옆 단자까지 침범하면 전기적으로 분리되어야 할 단자들끼리 단락(short)되는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끼리의 피치는 좁은 채로 있으면서도 실질적으로는 동일 타입의 단자끼리(즉, A 타입 단자(600A)끼리, 또는 B 타입 단자(600B)끼리)의 피치만 고려하면 되므로 그러한 우려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 이로 인해 실장부의 간격에 여유가 생기기 때문이다.
도 1~4와 같이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가 번갈아 배치되었다고 할 때, A 타입의 단자의 외측 절단부(601A)와 B 타입의 단자의 외측 절단부(601B)는 높이가 상이하다. 그리고, 외측 절단부에 인접하여 실장부가 형성되는 것은 B 타입의 단자(600B) 뿐이다. A 타입의 단자(600A)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측 절단부에 인접한 면이 아니라 그로부터 Y축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 이격된 빗금부(602A)가 실장부가 된다.
그렇다면, 제2 소켓 단자(600)끼리의 피치를 m이라 했을 때, B 타입의 단자(600B)는 실장부(602B)끼리의 피치는 2m이 된다. A 타입의 단자(600A)에 있어서도 그 실장부(602A)끼리의 피치는 마찬가지로 2m이 된다.
그리고, B 타입 단자(600B)의 실장부(602B)(외측 절단부(601B)에 바로 인접함)와 A 타입 단자(600A)의 외측 절단부(601A)는 서로 높이 차가 있기 때문에 B 타입 단자(600B)의 실장부(602B)에 사용될 솔더(땜납)가 A 타입 단자(600A)의 다른 부위(예컨대, 외측 절단부(601A) 등)에 묻거나 퍼질 우려는 현저히 줄어든다. 이러한 높이 차는 도 3을 보면 명확히 알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A 타입 단자(600A)의 실장부(602A)는 바로 옆(X축 방향으로 옆)에 있는 부재와 동일한 높이에 있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A 타입 단자(600A)의 실장부(602A) 부근을 YZ 평면(즉, X축의 직교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아치 형상과 B 타입 단자(600B)의 내측부(BB; 하측 만곡부)를 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아치 형상은 도 4에서 다소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상이함으로 인하여, 후술하는 도 5와 같이 저면에서 보았을 때, A 타입 단자(600A)의 실장부(602A)는 노출되어 있고, B 타입 단자의 내측부(BB; 도 4 참조)는 소켓 몰드부(400)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다. 즉, 소켓 몰드부(400)에 의한 가려짐 여부가 상이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소켓 커넥터(20)를 저면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에서, A 타입 단자(600A)의 실장부(602A)는 노출되어 있고, B 타입 단자의 내측부(BB; 도 4 참조)는 소켓 몰드부(400)에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에서, A 타입단자의 실장부(602A) 부근을 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아치 형상과 B 타입 단자의 내측부(BB)를 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아치 형상은 다소 상이하게 도시되어 있다. 그렇게 아치 형상이 상이하면, 도 5와 같이, B 타입 단자(600B)의 내측부(BB)는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덮고, A 타입 단자(600A)의 실장부(602A)는 노출시키기 용이하다.
다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A 타입단자의 실장부(602A) 부근을 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아치 형상과 B 타입 단자의 내측부(BB)를 YZ 평면으로 잘랐을 때의 아치 형상은 상이하지 않더라도, 소켓 몰드부(400)의 형상에 따라서 B 타입 단자의 내측부(BB)는 소켓 몰드부(400)에 의해 덮고 A 타입 단자의 실장부(602A)는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예에서는 A 타입의 제2 소켓 단자(600A)와 B 타입의 제2 소켓 단자(600B)가 하나씩 번갈아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다. 당해 실시예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A 타입 단자(600A), B 타입 단자(600B), A 타입 단자(600A), B 타입 단자(600B), ...의 순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실장부끼리의 피치를 효율적으로 2배로 늘릴 수 있다는 점 및 소켓 몰드부(400)의 성형의 용이성에서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A 타입 단자(600A), B 타입 단자(600B), B 타입 단자(600B), ...의 순으로 반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A 타입 단자(600A), A 타입 단자(600A), B 타입 단자(600B), ...의 순으로 반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일정한 규칙없이 혼재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일정 구간에서는 A 타입 단자(600A), B 타입 단자(600B), B 타입 단자(600B), ...의 순으로 반복되다가, 제2 소켓 단자(600)의 가장자리 부분(즉, 제1 소켓 단자(500)에 가까운 부분)에서만 다른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A 타입 단자(600A), B 타입 단자(600B)의 배치 순서에는 구애되지 않는다. 그 이유는, A 타입 단자(600A), B 타입 단자(600B), A 타입 단자(600A), B 타입 단자(600B), ...의 순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것이 실장부끼리의 피치를 효율적으로 2배로 늘릴 수 있다는 면에서 가장 효율적이기는 하지만, 비록 전체 구간이 아니더라도 일부 구간에서라도 피치가 늘어나면 그만큼 실장의 효율성은 높아지기 때문이다.
도 6은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의 측단면도이다.
제1 타입의 소켓 단자(600A)를 소켓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YZ 평면)으로 절단한 측단면이 도 6의 (a)에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타입의 소켓 단자(600B)를 소켓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축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YZ 평면)으로 절단한 측단면이 도 6의 (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서도 알 수 있지만, 도 6에서 더욱 명확히 알 수 있듯이, A 타입의 소켓 단자(600A)의 하측 만곡부 주위(네모 점선)의 벤딩과, B 타입의 소켓 단자(600B)의 하측 만곡부 주위(네모 점선)의 벤딩은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A 타입의 소켓 단자(600A)의 하측 만곡부 주위의 벤딩이, B 타입의 소켓 단자(600B)의 하측 만곡부 주위보다 더욱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 당해 하측 만곡부 주위가 소켓 몰드부(400)의 기저부 사이의 절결(cuot out)된 공간을 통해 노출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는 도 6을 통해서도 알 수 있고, 바닥면에서 비스듬하게 본 도 5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도 6(a)의 네모 점선에 나타난 하측 만곡부 주위(실장부(602A) 주위)가, 도 5에서 노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a)와 도 6(b)에 나타난 하측 만곡부 주위(네모 점선)의 벤딩 상태의 차이는 비록 필수적인 것은 아닐지라도, 도 6(a)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되어 있으면, A 타입 단자(600A)의 실장부(602A)는 소켓 몰드부(400)의 기저부의 사이 공간으로 노출시키고 B 타입 단자(600B)의 하측 만곡부(BB)는 소켓 몰드부(400)의 기저부에 의해 덮게 만드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도 7은 도 4와 동일한 도면이지만 실장부의 배치에 주목하여 다시 나타낸 것이다.
A 타입의 단자(600A)의 실장부(602A)의 중심점끼리 연결하면 하나의 라인이 형성된다. 이는 도 7에 선A라 표시되어 있다.
또한, B 타입의 단자(600B)의 실장부(602B)의 중심점끼리 연결하면 또다른 하나의 라인이 형성된다. 이는 도 7에 선B라 표시되어 있다.
선A와 선B는 중첩되지 않고 평행하다.
중심점은 무게 중심 또는 면적 중심일 수 있다. 다만, 중심점끼리 연결한다고 하였으나, 이 중심점이 엄밀한 의미의 무게 중심이나 엄밀한 의미에서의 면적 중심일 필요까지는 없다. 즉, A 타입의 단자(600A)의 실장부(602A)의 특정한 점을 선정하여, 배치된 복수의 A 타입의 단자(600A)에 있어서 당해 선정된 특정한 점을 연결해도 마찬가지이다. B 타입의 단자(600B)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예컨대, 도 7에서는 복수의 실장부(602B)의 면적상 또는 무게상의 정중앙을 선정하여 연결하여 선B를 얻었으나, 복수의 실장부(602B)에서 서로 대응되는 위치(일예로, 도 7에서 좌측 상단 모서리점)이기만 하면 당해 대응되는 점끼리 연결하더라도 선A와 평행한 새로운 선B가 얻어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A 타입의 소켓 단자(600A)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복수의 실장부(602A)의 동일 지점끼리 연결한 가상의 선A와, B 타입의 소켓 단자(600B)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복수의 실장부(602B)의 동일 지점끼리 연결한 가상의 선B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평행하다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때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가 번갈아 배치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를 통칭함)의 피치가 m이라 할 때, A 타입의 단자(600A)의 실장부(602A)끼리의 피치는 2m이 되고, B 타입의 단자(600B)의 실장부(602B)끼리의 피치도 2m이 되는 것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 도시는 도 1에서의 제2 벽부(120)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일예로, 도 1에서의 제4 벽부(140)도 마찬가지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여러가지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 벽부(120)에 대해서는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를 번갈아 배치하여 도 7과 같이 하더라도, 이에 대향하는 제4 벽부(140)에 대해서는 다르게 배치(예컨대, B 타입의 단자만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단자(600A)와 단자(600B)가 일정한 규칙없이 혼재되어 있더라도 실장부(602A)끼리 이은 선A와 실장부(602B)끼리 이은 선B가 서로 중첩되지 않은 별개의 평행한 선을 형성하는 점은 변함이 없을 것이다.
물론, 효율면에서는 도 7에 도시된 형태가 가장 좋을 것이지만, 몇개의 제2 소켓 단자(600)가 그 규칙에서 벗어난다고 해도 대체적으로는 실장부끼리의 피치를 늘리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8은 도 7의 도면을 다른 관점에서 본 것이다.
도 7 또는 도 8에서 인접한 제2 소켓 단자(600)의 실장부끼리를 연결하면 지그재그(천조(千鳥)) 모양이 얻어짐을 알 수 있다.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를 하나씩 번갈아 배치하면 정확한 지그재그 배치가 얻어질 것이다.
이는 도 7에서 설명한 바를 표현만을 달리한 것이다. 이러한 지그재그 배치로 인하여 복수의 제2 소켓 단자(600) 사이의 피치에 비하여 동일 타입의 소켓 단자(600A 또는 600B 각각)끼리의 피치는 2배가 된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당해 배치는 다소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를 하나씩 번갈아 배치하면 정확한 지그재그 배치가 얻어질 것이지만, 단자(600A), 단자(600A), 단자(600B), ...의 순으로 반복되게 배치하여도 정확한 지그재그는 아니더라도 대략적인 지그재그 배치가 얻어진다.
또는, 단자(600A)와 단자(600B)가 일정한 규칙없이 혼재되어 있더라도 정확한 지그재그는 아니더라도 그 또한 대략적인 지그재그 배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효율면에서는 도 7, 도 8에 도시된 형태가 가장 좋을 것이지만, 몇개의 제2 소켓 단자(600)가 그 규칙에서 벗어난다고 해도 대체적으로는 실장부끼리의 피치를 늘리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제2 벽부(120)에서의 배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제4 벽부(140)에서의 배치도 마찬가지이다. 즉, 제4 벽부(140)에 추가로 제2 소켓 단자(600)가 배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제2 벽부(120)에서도 제4 벽부(140)에서도 A 타입의 단자(600A)와 B 타입의 단자(600B)가 하나씩 번갈아 배치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7을 기준으로 하면, 제2 벽부(120)에 대한 선A, 선B가 존재하고 제4 벽부(140)에 대한 선A'(미도시), 선B'(미도시)가 존재하여, 서로 평행한 4개의 선(선A, 선B, 선A', 선B')가 존재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제4 벽부(140)에서의 제2 소켓 단자(600; 600A, 600B)의 배치 상태는, 제2 벽부(120)에서의 제2 소켓 단자(600; 600A, 600B)의 배치 상태와 독립적일 수 있다. 즉, 제2 벽부(120)에서는 단자(600A), 단자(600B)가 하나씩 번갈아 배치되고, 제4 벽부(140)에서는 단자(600A)만 존재하는 등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A 타입의 단자(600A), B 타입의 단자(600B)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실장부의 위치가 또 상이한 다른 형상의 C 타입의 단자가 존재하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조상의 용이함, 배치상의 용이함 등을 고려하면, A 타입의 단자(600A), B 타입의 단자(600B)를 하나씩 번갈아 배치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겠으나, 본 발명은 또다른 제3의 타입(예컨대 C 타입)의 단자도 혼재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20: 소켓 커넥터
400: 소켓 몰드부
500: 제1 소켓 단자
600: 제2 소켓 단자
600A: 제2 소켓 단자 중 A 타입의 단자
601A: A 타입의 단자의 외측 절단부
602A: A 타입의 단자의 실장부
600B: 제2 소켓 단자 중 A 타입의 단자
601B: B 타입의 단자의 외측 절단부
602B: B 타입의 단자의 실장부
BB: B 타입의 단자의 일부(하측 만곡부이며, A 타입의 단자의 실장부(602A)에 X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위)

Claims (9)

  1.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소켓 커넥터로서,
    기저부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몰드부;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금구; 및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복수의 소켓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의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와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를 포함하며,
    (i) 상기 제2 벽부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를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인 제1 실장부의 동일 지점끼리 연결한 가상의 선A와,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를 상기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인 제2 실장부의 동일 지점끼리 연결한 가상의 선B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평행하며,
    (ii)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의 각각은 상기 몰드부의 측벽에서 노출되는 외측 절단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소켓 단자 중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의 높이는,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몰드부의 기저부의 면보다도 높으며,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에 인접하는 저면은 상기 제2 실장부이며,
    (iii)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를 상기 소켓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측단면과,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를 상기 소켓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하측 만곡부 주위의 벤딩과,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하측 만곡부 주위의 벤딩은 상이하며,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하측 만곡부 주위의 벤딩이,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하측 만곡부 주위보다 더욱 하방을 향해 돌출되어 있어, 당해 하측 만곡부 주위가 상기 몰드부의 기저부 사이의 절결(cut out)된 공간을 통해 노출되며,
    상기 절결된 공간을 통해 노출된 부분은 상기 제1 실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실장부인 상기 제2 실장부는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와 인접하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되며 일부분이 상기 기판에 납땜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실장부인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외측 절단부와 인접하지 않으며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의 실장부인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7.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와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는 하나씩 번갈아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8.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소켓 단자와 상기 제2 타입의 소켓 단자는 혼재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9. 제1항,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벽부에 추가로 제2 소켓 단자가 배치되며,
    상기 제4 벽부에서의 상기 제2 소켓 단자의 배치 상태는, 상기 제2 벽부에서의 상기 소켓 단자의 배치 상태와 독립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190163955A 2019-12-10 2019-12-10 소켓 커넥터 KR102295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955A KR102295979B1 (ko) 2019-12-10 2019-12-10 소켓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955A KR102295979B1 (ko) 2019-12-10 2019-12-10 소켓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89A KR20210073289A (ko) 2021-06-18
KR102295979B1 true KR102295979B1 (ko) 2021-09-01

Family

ID=76623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955A KR102295979B1 (ko) 2019-12-10 2019-12-10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001999A (ja) * 2022-06-23 2024-01-11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コネクタ対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51B1 (ko) 2013-03-14 2014-09-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JP5631074B2 (ja)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7033698A (ja) 2015-07-30 2017-02-0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260B1 (ko) * 2014-12-30 2020-01-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JP6517655B2 (ja) * 2015-10-09 2019-05-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1074B2 (ja)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101442151B1 (ko) 2013-03-14 2014-09-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JP2017033698A (ja) 2015-07-30 2017-02-09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89A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71372B (zh) 缆线到板连接器
US7123465B2 (en) Decoupling capacitor for a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5951320A (en) Electrical interconnect system with wire receiving portion
JP5133366B2 (ja) ウェハ型構造を有する差動信号コネクタ
US6877223B2 (en) Method of fabrication for a socket with embedded conductive structure
US6095872A (en) Connector having terminals with improved soldier tails
US882118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ed for shielding
JP2005517303A (ja) 高速差動信号エッジカードコネクタの回路基板レイアウト
JP2001006820A (ja)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TWI496359B (zh) 導線架、接觸件群組之製造方法及連接器
KR102295979B1 (ko) 소켓 커넥터
CN100551216C (zh) 用于改进电力输送的接点栅格阵列的设备、系统和方法
CN211605467U (zh) 插塞连接器
CN211605466U (zh) 插塞连接器
US11521947B1 (en) Space efficient flip chip joint design
KR102494410B1 (ko) 소켓 커넥터
US7214073B2 (en) Shielding structure
JP2005158360A (ja) 三次元基板間接続部品および三次元基板間接続構造
KR102391830B1 (ko)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CN112018567A (zh) 电连接器
EP1670102A1 (en) Fine wire coaxial connector
CN110459892B (zh) 一种复合连接器
CN115000734B (zh) 连接座、电路板及电子设备
CN210123829U (zh) 电连接器
US11742598B2 (en)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