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598B1 -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598B1
KR102036598B1 KR1020170054067A KR20170054067A KR102036598B1 KR 102036598 B1 KR102036598 B1 KR 102036598B1 KR 1020170054067 A KR1020170054067 A KR 1020170054067A KR 20170054067 A KR20170054067 A KR 20170054067A KR 102036598 B1 KR102036598 B1 KR 102036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socket
plug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6423A (ko
Inventor
신지 와다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3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보다 소형화되고, 단자의 간격이 좁은 구조(좁은 피치 구조)의 커넥터에 있어서, 보다 고주파의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등에, 각 단자의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음으로써, 크로스 토크의 발생 등의 전기적 악영향에 의한 임피던스 정합의 불안정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해결 수단)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단자를 등 간격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한 커넥터에 있어서, 각 단자에 구비된 접촉부의 가로 폭을, 단자간의 간격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좁은 피치 구조라도, 각 단자의 접촉부의 가로 폭 및 각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각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을 넓게 취할 수 있고, 단자끼리가 서로의 용량 혹은 유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 등의 전기적 악영향의 발생을 방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본 발명은, 기판간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에 적합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커넥터가 구비하는 복수의 단자가 근접하여 좁은 피치로 배열될 때에, 단자끼리가 서로의 용량 혹은 유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crosstalk)의 발생을 방지하여, 임피던스 정합 등의 고주파 특성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단자의 구조 및 배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단자가 하우징에 일체 성형 등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holding)되어, 기판간을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149770호(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에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가 있고, 각각의 커넥터는, 복수의 단자를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며 보유지지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하우징을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는, 각각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과 프린트 배선 기판에 형성할 수 있다. 표면 실장 등으로 프린트 배선 기판에 형성된 소켓 커넥터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플러그 커넥터를 서로 끼워맞춤함으로써, 기판간을 접속할 수 있다.
최근, 프린트 배선 기판간을 접속하는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는, 전기 신호가 고주파가 되는 분야에 있어서, 고주파에 있어서의 특성을 만족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의 소형화나 고기능화 등에 수반하여, 프린트 배선 기판에 있어서 소자, 커넥터 등의 부품의 고밀도 실장화의 요구도 더욱 증가하고, 그 때문에 콘택트(단자)의 좁은 피치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용의 커넥터에 있어서는, 종래, 전기 특성, 예를 들면, 차동 전송(differential transmission)시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목적으로, 쌍이 되는 신호 컨택트(신호 단자)와의 거리인 단자간의 피치를 어느 정도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커넥터로서는 대형이 되어 버린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반대로 좁은 피치화를 우선하면, 전기적 특성의 정합을 취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것을 결점으로서 들 수 있다.
이들 결점에 대처하기 위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단자군의 각각의 단자의 납땜부가 되는 단부간의 피치 간격을 동일하게 배치하고, 신호 단자의 접촉부를 그라운드 단자의 접촉부를 향하여 가깝게 하거나 또는 멀게 함으로써, 임피던스의 정합을 도모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5-149770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는, 신호 단자의 접촉부를 그라운드 단자의 접촉부에 가깝게 하는 대신에, 신호 단자의 접촉부의 폭을 그라운드 단자 측을 향하여 확대시킴으로써, 인접하는 신호 단자의 접촉부간의 피치 간격이 단자부간의 피치 간격에 대하여 넓어지도록 한 것이다. 즉, 인접하는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은, 동등한 간격이 아니다. 그 때문에, 보다 소형화된 커넥터에 있어서, 보다 고주파의 전기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등에, 인접하는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의 차이에 의해, 크로스 토크의 발생 등의 전기적 악영향에 의한 임피던스 정합의 불안정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단자를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여 보유지지하는 절연성의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각 단자는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동일한 가로 폭(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폭)의 접촉부를 갖고, 일방의 단자의 접촉부와, 당해 접촉부에 인접하는 타방의 단자의 접촉부의 사이의 간격이 동일해지도록 단자를 각각 배열하고, 각 단자의 접촉부의 가로 폭을 각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각 단자의 접촉부의 가로 폭 및 각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각 단자간의 간격을 충분히 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단자끼리가 서로의 용량 혹은 유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 등의 전기적 악영향의 발생을 방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의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즉, 길이 방향으로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일이 없는 좁은 피치 구조라도, 좋은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은,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의 폭은,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보다도 좁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적어도 제1 신호 단자 및 당해 제1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제2 그라운드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상기 제1 신호 단자, 상기 제2 신호 단자,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의 순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단자군을 적어도 1조(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은, U자 형상으로 만곡한 부분이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내측 각부(脚部) 및 외측 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상기 내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 및 상기 외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내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일방의 접촉부의 폭은, 상기 외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타방의 접촉부의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내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일방의 접촉부의 폭은, 상기 접속부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이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끼워맞춤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길이 방향의 벽 부분에, 상기 복수의 단자가 동등한 간격으로 각각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커넥터는, 소켓 커넥터이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끼워맞춤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길이 방향의 벽 부분에, 상기 복수의 단자가 동등한 간격으로 각각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소켓 커넥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에 포함되는,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와,
당해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플러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소켓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에 포함되는, 제1 소켓측 신호 단자와, 당해 제1 소켓측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소켓측 신호 단자
로 이루어지는 단자군을 적어도 1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은, 플러그 커넥터와, 당해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소켓 커넥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를 포함하고, 당해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의 각각은,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측 접속부와, 상기 소켓 커넥터의 소켓측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플러그측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소켓측 단자를 포함하고, 당해 복수의 소켓측 단자의 각각은,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소켓측 접속부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플러그측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소켓측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는,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와, 당해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플러그측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켓측 단자는, 제1 소켓측 신호 단자와, 당해 제1 소켓측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소켓측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측 접촉부의 폭은, 서로 이웃하는 플러그측 단자의 플러그측 접촉부간의 간격보다도 좁고, 또한, 상기 소켓측 접촉부의 폭은, 서로 이웃하는 소켓측 단자의 소켓측 접촉부간의 간격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는, 제1 플러그측 그라운드 단자 및 제2 플러그측 그라운드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러그측 그라운드 단자, 상기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 상기 제2 플러그측 신호 단자, 상기 제2 플러그측 그라운드 단자의 순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플러그측 단자군을 적어도 1조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켓측 단자는, 제1 소켓측 그라운드 단자 및 제2 소켓측 그라운드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소켓측 그라운드 단자, 상기 제1 소켓측 신호 단자, 상기 제2 소켓측 신호 단자, 상기 제2 소켓측 그라운드 단자의 순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소켓측 단자군을 적어도 1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단자를 등(等) 간격으로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고, 각 단자에 구비된 접촉부의 가로 폭을, 단자간의 간격보다도 좁게 함으로써, 좁은 피치 구조라도, 각 단자의 접촉부의 가로 폭 및 각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각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을 넓게 취할 수 있고, 단자끼리가 서로의 용량 혹은 유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 등의 전기적 악영향의 발생을 방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분(端部分)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1조의 단자군에 있어서의 4개의 단자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단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소켓 커넥터에 포함되는 1조의 단자군에 있어서의 4개의 단자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끼워맞춤 전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끼워맞춤 후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군의 배열 및 소켓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군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실시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재에는 원칙으로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각각의 실시 형태는, 독립적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서로의 구성요소를 조합하여 커넥터를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커넥터 시스템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나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노트 PC 등의 소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의 내부 부품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 및 소켓 커넥터(2)의 각각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에 부호 「10」 또는 「20」을 붙이고, 그 외의 동일한 형상의 단자의 부호를 생략하여 나타낸다. 플러그 커넥터(1)는, 파선으로 나타나는 기판(3)에 실장되고, 소켓 커넥터(2)는, 파선으로 나타나는 기판(4)에 실장된다. 도 1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기판(3)은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이고, 기판(4)은 프린트 배선 기판이지만, 당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서는, 프린트 배선 기판 및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등, 커넥터가 실장되는 것을, 단순히 「기판」이라고 부른다.
플러그 커넥터(1) 및 소켓 커넥터(2)는, 절연 수지제의 하우징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성형하여 구성되고, 당해 하우징의 길이 방향의 측벽(5 및 6)에 배열된, 복수의 단자(10 및 20)를 갖는다. 직사각형 형상의 플러그 커넥터(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양측의 측벽(5)에,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단자(10)를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보유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는, 길이 방향의 양측 측벽(5)에, 복수의 전원 단자(30)를 보유지지할 수 있고, 복수의 전원 단자(30)는, 등 간격으로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단자(10)의 배열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직사각형 형상의 소켓 커넥터(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끼워맞춤 볼록부(60)를 중앙 부분에 구비하고, 끼워맞춤 볼록부(60)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는, 끼워맞춤 오목부(80)를 구비한다. 소켓 커넥터(2)의 끼워맞춤 볼록부(60) 및 끼워맞춤 오목부(80)는, 플러그 커넥터(1)의 끼워맞춤 오목부(50) 및 끼워맞춤 볼록부(70)(도 2 참조)에 각각 끼워맞춰진다. 소켓 커넥터(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양측의 측벽(6)에,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단자(20)를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보유지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 커넥터(2)는, 길이 방향의 양측 측벽(6)에, 복수의 전원 단자(40)를 보유지지할 수 있고, 복수의 전원 단자(40)는, 등 간격으로 길이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단자(20)의 배열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단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및 (b)는, 각각, 플러그 커넥터(1)의 단부분을, 소켓 커넥터(2)에 끼워맞춤하는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플러그 커넥터(1)의 단부분 이외의 부분은, 도 2에서는 생략한다.
플러그 커넥터(1)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자 중 4개의 단자(10)를 1조의 단자군(100)으로 볼 수 있고, 1조의 단자군(100)에 포함되는 4개의 단자(10) 중, 양단의 단자(10)는 그라운드 단자로서 기능하고, 그라운드 단자로서 기능하는 2개의 단자(10)에 끼워진, 나머지 2개의 단자(10)가 한 쌍의 신호 단자(이하, 「신호 단자 페어(pair)」라고도 함)로서 기능한다. 또한, 그라운드 단자를 G, 신호 단자를 S로 하면, 복수의 단자(10)의 배열은, GSSGSSGSSG…로 신호 단자 페어의 사이에 끼워져 그라운드 단자가 배치되기 때문에, 어느 단자군에 포함되는 그라운드 단자는, 당해 단자군에 근접하는 단자군과 중복하게 된다.
플러그 커넥터(1)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 오목부(50)와 끼워맞춤 오목부(50)의 길이 방향 종단 부분에 끼워맞춤 볼록부(70)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자(10)는, 압입 또는 일체 성형 등의 제조 공정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측벽(5)에, 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보유지지된다. 전원 단자(30)는, 압입 또는 일체 성형 등의 제조 공정에 의해, 끼워맞춤 볼록부(70)에 인접하는,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측벽(5)에 보유지지되고 있지만,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측벽(5)의 임의의 위치에 보유지지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1조의 단자군에 포함되는 4개의 단자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b), (c), (d) 및 (e)는, 단자군(100)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단자군(100)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단자군(100)의 측면도, 끼워맞춤 오목부(50)측을 정면으로 했을 때에 그 반대측으로부터 단자군(100)을 본 배면도, 및 끼워맞춤 오목부(50)측(정면)으로부터 단자군(100)을 본 정면도이다.
도 3(a) 및 (b)를 참조하면, 단자군(100)에 포함되는 4개의 단자(10)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단으로부터 그라운드 단자(10a), 신호 단자(10b), 신호 단자(10c), 그라운드 단자(10d)에 대응한다. 즉, 4개의 단자(10) 중, 양측의 단자(10a 및 10d)는, 그라운드 단자이며, 그라운드 단자(10a)와 그라운드 단자(10d)의 사이에 끼워진, 나머지 2개의 단자(10b 및 10c)가, 한 쌍의 신호 단자(신호 단자 페어)이다. 플러그 커넥터(1)는, 이러한 단자군(100)을 적어도 1조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3(a), (b) 및 (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1조의 단자군(100)에 포함되는 4개의 단자(10)(10a, 10b, 10c, 10d)의 각각은, U자 형상으로 만곡한 부분인 끼워넣음부(13)와, U자 형상의 끼워넣음부(1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2개의 각부가 형성되고, 끼워넣음부(13)의 2개의 각부 중 끼워맞춤 오목부(50) 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각부(13A)(이하, 「내측 각부(13A)」라고 함)로부터, 굴곡된 이행부(12)를 거치고, 플러그 커넥터(1)의 짧은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납땜 접속됨) 접속부(11)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자(10)는, 끼워넣음부(13) 및 이행부(12)에서,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측벽(5)과의 일체 몰드 성형 등에 의해 보유지지된다. 끼워넣음부(13)는,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측벽(5)을 하방으로부터 타고 넘도록 하여, 당해 측벽(5)에 매몰되어 있다. 끼워넣음부(13)는, U자 형상 부분의 내측 판면 및 측연(側緣)이 측벽(5)에 보유지지되고 있어, 측벽(5)으로부터 드러난 U자 형상 부분의 외측 판면이, 측벽(5)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있다.
끼워넣음부(13)는, 내측 각부(13A)의 끼워맞춤 오목부(50)측의 판면에 형성된 접촉부(13A-1)를 갖고, 접촉부(13A-1)는, 소켓 커넥터(2)와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2)의 단자(20)의 접촉부(25A)(도 5 참조)와 접압(接壓)을 갖고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끼워넣음부(13)의 타방의 각부(13B)(이하, 「외측 각부(13B)」라고 함)의 끼워맞춤 오목부(50)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외측 각부(13B)의 판면은, 소켓 커넥터(2)의 단자(20)의 오목한 상태의 접촉부(22A-1)와 걸리는 볼록한 형상의 접촉부(13B-1)로서 형성된다.
또한, 도 3(d) 및 (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자(10)(예를 들면, 단자(10a))의 접촉부(13A-1)(내측 각부(13A))의 폭(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폭)을 W1으로 하고, 서로 이웃하는 단자(예를 들면, 단자(10a)와 단자(10b))의 접촉부(13A-1)간의 간격을 L1으로 한 경우, 접촉부(13A-1)의 폭(W1)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13A-1)간의 간격(L1)의 사이에는, W1<L1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동일한 형상의 단자(10)는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측벽(5)에 배열되어 보유지지된다.
한편, 단자(10)(예를 들면, 단자(10a))의 접촉부(13B-1)(외측 각부(13B))의 폭(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폭)을 W2로 하고, 서로 이웃하는 단자(예를 들면, 단자(10a)와 단자(10b))의 접촉부(13B-1)간의 간격을 L2로 한 경우, 접촉부(13B-1)의 폭(W2)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13B-1)간의 간격(L2)의 사이에는, W2<L2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동일한 형상의 단자(10)는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측벽(5)에 배열되어 보유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각 단자의 접촉부(13A-1)의 폭(W1) 및 각 단자의 접촉부(13A-1)간의 간격(L1)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접촉부(13A-1)의 폭(W1)보다도, 접촉부(13A-1)간의 간격(L1)를 넓게 함으로써, 복수의 단자(10)의 각각의 사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단자의 접촉부(13B-1)의 폭(W2) 및 각 단자의 접촉부(13B-1)간의 간격(L2)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접촉부(13B-1)의 폭(W2)보다도, 접촉부(13B-1)간의 간격(L2)을 넓게 함으로써, 복수의 단자(10)의 각각의 사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플러그 커넥터(1)는, 단자끼리가 서로의 용량 혹은 유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 등의 전기적 악영향의 발생을 방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플러그 커넥터(1)의 피치 구조가, 길이 방향으로의 단자의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즉, 길이 방향으로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일 없는 좁은 피치 구조라도, 좋은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3(d) 및 (e)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단자(10)(예를 들면, 단자(10a))의 접촉부(13A-1)의 폭(W1)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예를 들면, 단자(10a)와 단자(10b))의 접촉부(13B-1)간의 간격(L2)의 사이에는, W1<L2의 관계가 성립되고, 단자(10)(예를 들면, 단자(10a))의 접촉부(13B-1)의 폭(W2)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예를 들면, 단자(10a)와 단자(10b))의 접촉부(13A-1) 간의 간격(L1)의 사이에는, W2<L1의 관계가 성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부(11)의 폭을 접촉부(13A-1)의 폭(W1)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단자간에서의 접속부(11)간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기판에 실장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접속부(11)의 폭과 접촉부(13A-1)의 폭(W1)의 관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3(d) 및 (e)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1개의 단자(10)(예를 들면, 단자(10a))에 있어서, 일방의 접촉부(13A-1)의 폭(W1)은, 타방의 접촉부(13B-1)의 폭(W2)보다도 넓은 점에서 W1>W2의 관계도 성립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단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b)는, 각각, 소켓 커넥터(2)의 단부분을, 플러그 커넥터(1)와 끼워맞춤하는 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와 사시도이다. 소켓 커넥터(2)의 단부분 이외의 부분은, 도 4에서는 생략한다.
소켓 커넥터(2)에 포함되는 복수의 단자 중 4개의 단자(20)를 1조의 단자군(200)으로 볼 수 있고, 1조의 단자군(200)에 포함되는 4개의 단자(20) 중, 양단의 단자(20)는 그라운드 단자로서 기능하고, 그라운드 단자로서 기능하는 2개의 단자(20)에 끼워진, 나머지 2개의 단자(20)가 한 쌍의 신호 단자(이하, 「신호 단자 페어」라고도 함)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술한 복수의 단자(10)의 배열과 동일하게, 그라운드 단자를 G, 신호 단자를 S로 하면, 복수의 단자(20)의 배열은, GSSGSSGSSG…로 신호 단자 페어의 사이에 끼워져 그라운드 단자가 배치되기 때문에, 어느 단자군에 포함되는 그라운드 단자는, 당해 단자군에 근접하는 단자군과 중복하게 된다.
소켓 커넥터(2)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끼워맞춤 볼록부(60)와, 끼워맞춤 볼록부(60)의 길이 방향 종단 부분에 끼워맞춤 오목부(80)를 구비한다. 복수의 단자(20)는, 압입 또는 일체 성형 등의 제조 공정에 의해, 소켓 커넥터(2)의 길이 방향의 측벽(6)에, 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하여 보유지지된다. 전원 단자(40)는, 압입 또는 일체 성형 등의 제조 공정에 의해, 끼워맞춤 오목부(80)에 인접하는, 소켓 커넥터(2)의 길이 방향의 측벽(6)에 보유지지되고 있지만, 이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소켓 커넥터(2)의 길이 방향의 측벽(6)의 임의의 위치에 보유지지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1조의 단자군에게 포함되는 4개의 단자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b), (c), (d) 및 (e)는, 단자군(200)을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단자군(200)을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단자군(200)의 측면도, 끼워맞춤 볼록부(60)측을 정면으로 했을 때에 그 반대측으로부터 단자군(200)을 본 배면도, 및 끼워맞춤 볼록부(60)측(정면)으로부터 단자군(200)을 본 정면도이다.
도 5(a) 및 (b)를 참조하면, 단자군(200)에 포함되는 4개의 단자(20)는, 단으로부터 그라운드 단자(20a), 신호 단자(20b), 신호 단자(20c), 그라운드 단자(20d)에 대응한다. 즉, 4개의 단자(20) 중, 양측의 단자(20a 및 20d)는, 그라운드 단자이고, 그라운드 단자(20a)와 그라운드 단자(20d)의 사이에 끼워진, 나머지 2개의 단자(20b 및 20c)가, 한 쌍의 신호 단자(신호 단자 페어)이다. 소켓 커넥터(2)는, 이러한 단자군(200)을 적어도 1조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a), (b) 및 (c)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1조의 단자군(200)에 포함되는 4개의 단자(20)(20a, 20b, 20c, 20d)의 각각은, 끼워맞춤 볼록부(60) 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자유단을 갖는 탄성 각부(이하, 「내측 각부(25)」라고 함) 및 소켓 커넥터(2)의 측벽(6)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22)에 연결하는 각부(이하, 「외측 각부(22A)」라고 함)와 같은 2개의 각부를 갖는, U자 형상으로 만곡한 부분인 피끼워넣음부(23)와, U자 형상의 피끼워넣음부(23)의 외측 각부(22A)를 일방의 각부로서 공유하고, 외측 각부(22A)보다도 외측의 각부(이하, 「외측 각부(22B)」)를 타방의 각부로서 갖는 역 U자 형상의 피보유지지부(22)와, 외측 각부(22B)로부터 소켓 커넥터(2)의 짧은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기판에 실장되는(납땜 접속됨) 접속부(21)를 갖는다.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자(20)는, 피끼워넣음부(23), 피보유지지부(22), 외측 각부(22A 및 22B)에서, 끼워맞춤 오목부(50)의 길이 방향의 측벽(6)과의 일체 몰드 성형 등에 의해 보유지지된다. 피보유지지부(22)는, 소켓 커넥터(2)의 길이 방향의 측벽(6)을 상방으로부터 타고 넘도록 하고, 당해 측벽(6)에 매몰되어 있다. 피끼워넣음부(23)의 외측 각부(22A)의 외측(이측(裏側)) 판면 및 측연이 측벽(6)에 보유지지되어 있고, 측벽(6)으로부터 드러난 U자 형상 부분의 내측 판면이, 측벽(6)의 표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있다.
피끼워넣음부(23)는, 당해 피끼워넣음부(23)의 저부(低部)로부터 이행부(24)를 통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 돌출된 내측 각부(25)를 갖고, 내측 각부(25)는, 외측 각부(22A)측으로 연장 돌출시켜 형성된 접촉부(25A)를 선단 부분에 갖고, 접촉부(25A)는, 플러그 커넥터(1)와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의 단자(10)의 접촉부(13A-1)(도 3 참조)와 접압을 갖고 접촉할 수 있다. 또한, 피끼워넣음부(23)의 타방의 각부인 외측 각부(22A)는, 내측 각부(25)측의 판면 상에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 접촉부(22A-1)를 갖고, 오목 형상의 접촉부(22A-1)는, 플러그 커넥터(1)와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의 단자(10)의 볼록 형상의 접촉부(13B-1)(도 3 참조)를 걸리게 할 수 있어, 접촉부(13B-1)와 접압을 갖고 접촉할 수 있다.
또한, 도 5(d) 및 (e)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단자(20)(예를 들면, 단자(20a))의 접촉부(22A-1)(외측 각부(22A))의 폭(소켓 커넥터(2)의 길이 방향의 폭)을 w1으로 하고, 서로 이웃하는 단자(예를 들면, 단자(20a)와 단자(20b))의 접촉부(22A-1)간의 간격을 l1으로 한 경우, 접촉부(22A-1)의 폭(w1)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22A-1)간의 간격(l1)의 사이에는, w1<l1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동일한 형상의 단자(20)는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소켓 커넥터(2)의 길이 방향의 측벽(6)에 배열되어 보유지지된다.
한편, 단자(20)(예를 들면, 단자(20a))의 접촉부(25A)의 폭을 w2로 하고, 서로 이웃하는 단자(예를 들면, 단자(20a)와 단자(20b))의 접촉부(25A)간의 간격을 l2로 한 경우, 접촉부(25A)의 폭(w2)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25A)간의 간격(l2)의 사이에는, w2<l2의 관계가 성립되도록, 동일한 형상의 단자(20)는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소켓 커넥터(2)의 길이 방향의 측벽(6)에 배열되어 보유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각 단자의 접촉부(22A-1)의 폭(w1) 및 각 단자의 접촉부(22A-1)간의 간격(l1)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접촉부(22A-1)의 폭(w1)보다도, 접촉부(22A-1)간의 간격(l1)을 넓게 함으로써, 복수의 단자의 각각의 사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각 단자의 접촉부(25A)의 폭(w2) 및 각 단자의 접촉부(25A)간의 간격(l2)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접촉부(25A)의 폭(w2)보다도, 접촉부(25A)간의 간격(l2)를 넓게 함으로써, 복수의 단자의 각각의 사이를 충분히 취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소켓 커넥터(2)는, 단자끼리가 서로의 용량 혹은 유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 등의 전기적 악영향의 발생을 방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환언하면, 소켓 커넥터(2)의 피치 구조가,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의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는 일 없이, 즉, 길이 방향으로 커넥터가 대형화하는 일 없는 좁은 피치 구조라도, 좋은 전기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5(d) 및 (e)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단자(20)(예를 들면, 단자(20a))의 접촉부(22A-1)(외측 각부(22A))의 폭(w1)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예를 들면, 단자(20a)와 단자(20b))의 접촉부(25A)간의 간격(l2)의 사이에는, w1<l2의 관계가 성립되고, 단자(20)(예를 들면, 단자(20a))의 접촉부(25A)의 폭(w2)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예를 들면, 단자(20a)와 단자(20b))의 접촉부(22A-1)간의 간격(l1)의 사이에는, w2<l1의 관계가 성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부(21)의 폭을 접촉부(22A-1)의 폭(w1)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인접하는 단자간에서의 접속부(21)간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어, 기판에 실장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접속부(21)의 폭과 접촉부(22A-1)의 폭(w1)의 관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일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5(d) 및 (e)에 나타내는 실시예에서는, 1개의 단자(20)(예를 들면, 단자(20a))에 있어서, 일방의 접촉부(22A-1)의 폭(w1)은, 타방의 접촉부(25A)의 폭(w2)보다도 넓은 점에서 w1>w2의 관계도 성립된다.
도 6은 끼워맞춤 전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6(a)에 나타내는 절단선(A-A)을 따라 절단한 플러그 커넥터(1) 및 소켓 커넥터(2)의 단면을 도 6(b)에 나타낸다. 단자(10)는, 플러그 커넥터(1)의 길이 방향의 측벽(5)의 일부분인 보유지지벽(51)을 접속부(11), 이행부(12), 내측 각부(13A) 및 외측 각부(13B)를 포함하는 U자 형상의 끼워넣음부(13)로 감싸도록 하여, 보유지지벽(51)에 보유지지된다. 이에 따라, 내측 각부(13A)와 외측 각부(13B)의 사이, 즉, 끼워넣음부(13)의 내측에는 수지가 존재하거나, 혹은 충전(充塡)되어 있다. 단자(20)는, 소켓 커넥터(2)의 길이 방향의 측벽(6)의 일부분인 보유지지벽(61)에, 외측 각부(22B)가 매입되어 보유지지된다. 즉, 외측 각부(22B)가 주(主) 보유지지벽(61)과 부(副) 보유지지벽(61B)의 사이에 끼워져, 외측 각부(22B) 및 외측 각부(22A)를 포함하는 역 U자 형상의 피보유지지부(22)가, 주 보유지지벽(61A)을 타고 넘도록 보유지지된다. 이에 따라, 외측 각부(22B)와 외측 각부(22A)의 사이에는 수지가 존재하거나, 혹은 충전되어 있다.
끼워맞춤 볼록부(60)는, 서로 마주보는 단자(20)의 내측 각부(25)의 사이에 격벽부(62)를 갖는다. 피끼워넣음부(23)의 저부로부터 이행부(24), 내측 각부(25) 및 당해 내측 각부(25)의 선단 부분을 굴곡시켜 형성한 접촉부(25A)는, 통상시에는 끼워맞춤 볼록부(60)의 격벽부(62)에 접촉하지 않는 자유단이다.
도 7은, 끼워맞춤 후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내는 절단선(B-B)을 따라 절단한 플러그 커넥터(1) 및 소켓 커넥터(2)의 단면을 도 7(b)에 나타낸다. 단자(10)의 끼워넣음부(13)는, 단자(20)의 피끼워넣음부(23)에 삽입되고, 단자(10)의 외측 각부(13B)의 볼록 형상의 접촉부(13B-1)는, 단자(20)의 외측 각부(22A)의 오목 형상의 접촉부(22A-1)에 끼워넣어져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단자(10)의 내측 각부(13A)의 접촉부(13A-1)는, 단자(20)의 내측 각부(25)의 접촉부(25A)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자유단인 내측 각부(25)는, 탄성을 갖고 있어, 접촉부(25A)에서 단자(10)의 접촉부(13A-1)를 밀어붙임으로써, 외측 각부(22A)의 접촉부(22A-1)에, 단자(10)의 외측 각부(13B)의 접촉부(13B-1)가 밀어넣어지고, 끼워맞춰진다.
이와 같이 하여, 1조의 단자군(100)에 포함되는 그라운드 단자(10a), 신호 단자(10b), 신호 단자(10c), 그라운드 단자(10d)(도 3 참조)는, 1조의 단자군(200)에 포함되는 그라운드 단자(20a), 신호 단자(20b), 신호 단자(20c), 그라운드 단자(20d)(도 5 참조)에, 끼워맞춰져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플러그 커넥터(1)의 전원 단자(30)(도 2 참조)도, 소켓 커넥터(2)의 전원 단자(40)(도 4 참조)에 끼워맞춰져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군의 배열 및 소켓 커넥터에 포함되는 단자군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는, 끼워맞춤 오목부(50) 또는 끼워맞춤 볼록부(60)측을 정면으로 했을 때에 그 반대측으로부터 단자군(100)과 단자군(200)을 본 배면도, 및 끼워맞춤 오목부(50) 또는 끼워맞춤 볼록부(60)측(정면)으로부터 단자군(100)과 단자군(200)을 본 정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는, 4개의 단자(10)를 포함하는 단자군(100)을 적어도 1조 포함하고, 소켓 커넥터(2)는, 4개의 단자(20)를 포함하는 단자군(200)을 적어도 1조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플러그 커넥터(1) 및 소켓 커넥터(2)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시스템은, 단자(10b)(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와 단자(10c)(제2 플러그측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신호 단자 페어(플러그측 신호 단자 페어) 및 단자(20b)(제1 소켓측 신호 단자)와 단자(20c)(제2 소켓측 신호 단자)로 이루어지는 신호 단자 페어(소켓측 신호 단자 페어)로 이루어지는 단자군을 적어도 1조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측 신호 단자 페어의 신호 단자(10b 및 10c)는, 소켓측 신호 단자 페어의 신호 단자(20b 및 20c)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하도록,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에 있어서의 단자(10)의 접촉부(13A-1)의 폭(W1) 및 접촉부(13B-1)의 폭(W2)이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13A-1)간의 간격(예를 들면, 플러그측 신호 단자 페어간의 간격)(L1)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13B-1)간의 간격(L2)의 사이에는, W1<L1, W2<L1, W2<W1, L1<L2의 관계가 성립되고, 이 관계와 동일하게, 소켓 커넥터(2)에 있어서의 단자(20)의 접촉부(22A-1)의 폭(w1) 및 접촉부(25A)의 폭(w2)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22A-1)간의 간격(l1)과,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25A)간의 간격(l2)의 사이에도, w1<l1, w2<l1, w2<w1, l1<l2의 관계가 성립된다. 즉, 단자(10)와 단자(20)는, 형상은 상이하지만, 일방의 접촉부의 폭, 타방의 접촉부의 폭,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일방의 접촉부의 간격 및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타방의 접촉부의 간격의 대소 관계는 동일하다.
이러한 대소 관계에서, 복수의 단자(10) 및 복수의 단자(20)를,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함으로써, 복수의 단자(10)의 각각의 간격 및 복수의 단자(20)의 각각의 간격을 충분히 넓게 취할 수 있는 점에서, 단자끼리가 서로의 용량 혹은 유도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크로스 토크 등의 전기적 악영향의 발생을 방지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개의 실시예는, 독립된 것은 아니고, 각각 조합하여 적절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전기 신호의 고속 전송을 행하는 스마트폰,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에 있어서, 기판간을 플랫 케이블로 접속하는 등의 용도에 이용할 수 있다.
1 : 플러그 커넥터
2 : 소켓 커넥터
3 : 기판(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4 : 기판(프린트 배선 기판)
5 : 측벽
6 : 측벽
10, 10a, 10b, 10c, 10d : 단자
11 : 접속부
12 : 이행부
13 : 끼워넣음부
13A : 내측 각부
13A-1 : 접촉부
13B : 외측 각부
13B-1 : 접촉부
20, 20a, 20b, 20c, 20d : 단자
21 : 접속부
22 : 피보유지지부
22A : 외측 각부
22A-1 : 접촉부
22B : 외측 각부
23 : 피끼워넣음부
24 : 이행부
25 : 내측 각부
25A : 접촉부
30 : 전원 단자
40 : 전원 단자
50 : 끼워맞춤 오목부
51 : 보유지지벽
60 : 끼워맞춤 볼록부
61 : 보유지지벽
61A : 주 보유지지벽
61B : 부 보유지지벽
62 : 격벽부
70 : 끼워맞춤 볼록부
80 : 끼워맞춤 오목부
100 : 단자군
200 : 단자군

Claims (11)

  1. 길이 방향으로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단자를 포함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은,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와,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촉하는 위치 및 외측에서 접촉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접촉부의 폭은, 서로 이웃하는 단자의 접촉부간의 간격보다도 좁고,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적어도 제1 신호 단자 및 당해 제1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는, 제1 그라운드 단자 및 제2 그라운드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상기 제1 신호 단자, 상기 제2 신호 단자,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의 순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단자군을 적어도 1조(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의 각각은, U자 형상으로 만곡한 부분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내측 각부(脚部) 및 외측 각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적어도 상기 내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 및 상기 외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일방의 접촉부의 폭은, 상기 외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타방의 접촉부의 폭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각부에 있어서의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기 일방의 접촉부의 폭은, 상기 접속부의 폭보다도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이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끼워맞춤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 오목부의 길이 방향의 벽부분에, 상기 복수의 단자가 동등한 간격으로 각각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소켓 커넥터이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끼워맞춤 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끼워맞춤 볼록부의 길이 방향의 벽부분에, 상기 복수의 단자가 동등한 간격으로 각각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플러그 커넥터인 제6항에 기재된 커넥터 및 소켓 커넥터인 제7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소켓 커넥터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에 포함되는,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와, 당해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플러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소켓 커넥터의 복수의 단자에 포함되는, 제1 소켓측 신호 단자와, 당해 제1 소켓측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소켓측 신호 단자
    로 이루어지는 단자군을 적어도 1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0. 플러그 커넥터와, 당해 플러그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소켓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시스템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를 포함하고, 당해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의 각각은,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측 접속부와, 상기 소켓 커넥터의 소켓측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플러그측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각각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동일한 형상의 복수의 소켓측 단자를 포함하고, 당해 복수의 소켓측 단자의 각각은, 기판과 접속하기 위한 소켓측 접속부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상기 플러그측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소켓측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측 접촉부는, 상기 소켓 커넥터의 소켓측 단자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촉하는 위치 및 외측에서 접촉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소켓측 접촉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측 단자와 커넥터 폭 방향으로 내측에서 접촉하는 위치 및 외측에서 접촉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는,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와, 당해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플러그측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켓측 단자는, 제1 소켓측 신호 단자와, 당해 제1 소켓측 신호 단자에 인접하는 제2 소켓측 신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플러그측 접촉부의 폭은, 서로 이웃하는 플러그측 단자의 플러그측 접촉부간의 간격보다도 좁고, 또한, 상기 각각의 소켓측 접촉부의 폭은, 서로 이웃하는 소켓측 단자의 소켓측 접촉부간의 간격보다도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러그측 단자는, 제1 플러그측 그라운드 단자 및 제2 플러그측 그라운드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플러그측 그라운드 단자, 상기 제1 플러그측 신호 단자, 상기 제2 플러그측 신호 단자, 상기 제2 플러그측 그라운드 단자의 순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플러그측 단자군을 적어도 1조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소켓측 단자는, 제1 소켓측 그라운드 단자 및 제2 소켓측 그라운드 단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소켓 커넥터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소켓측 그라운드 단자, 상기 제1 소켓측 신호 단자, 상기 제2 소켓측 신호 단자, 상기 제2 소켓측 그라운드 단자의 순서로 동등한 간격으로 배열된 소켓측 단자군을 적어도 1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시스템.

KR1020170054067A 2016-06-01 2017-04-27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2036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09854 2016-06-01
JP2016109854A JP6703900B2 (ja) 2016-06-01 2016-06-01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6423A KR20170136423A (ko) 2017-12-11
KR102036598B1 true KR102036598B1 (ko) 2019-10-25

Family

ID=6048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067A KR102036598B1 (ko) 2016-06-01 2017-04-27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703900B2 (ko)
KR (1) KR102036598B1 (ko)
CN (1) CN10745306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961A (ko) * 2020-05-19 2021-11-2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KR102064784B1 (ko) * 2018-09-06 2020-01-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속 케이블 커넥터
KR102064783B1 (ko) * 2018-09-06 2020-01-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속 케이블 커넥터
WO2020137723A1 (ja) * 2018-12-27 2020-07-02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部材およびコネクタセット
KR102083912B1 (ko) 2019-01-08 2020-03-0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고주파 전송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2545756B1 (ko) * 2019-03-28 2023-06-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다극 커넥터 세트
WO2021029306A1 (ja) * 2019-08-09 2021-02-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電子回路装置
CN113412559B (zh) * 2019-09-24 2023-12-26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
CN112952417B (zh) * 2019-12-11 2023-01-31 山一电机株式会社 高速传输用连接器
KR102494410B1 (ko) * 2020-10-13 2023-02-0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770A (ja) * 2003-11-11 2005-06-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2009373A (ja) 2010-06-28 2012-01-12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41157B2 (ja) * 2002-01-28 2010-03-3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238678A (ja) * 2008-03-28 2009-10-15 Jst Mfg Co Ltd コネクタ構造
JP5369125B2 (ja) * 2011-02-01 2013-12-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3036081B (zh) * 2011-10-05 2015-03-25 山一电机株式会社 插座连接器和采用该插座连接器的电连接器
US8523583B2 (en) * 2011-10-05 2013-09-03 Yamaichi Electronics Co., Ltd. Receptacle connector and an electrical connector using the same
JP5369207B2 (ja) * 2012-03-13 2013-12-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3117483A (zh) * 2013-02-28 2013-05-22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及板对板连接器组合
JP5896959B2 (ja) * 2013-06-14 2016-03-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実装体
CN203398385U (zh) * 2013-08-01 2014-01-15 东莞市为距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板对板连接器
CN107968271B (zh) * 2013-10-31 2020-05-0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插口件、连接器、以及用于该连接器的插头件
JP6051242B2 (ja) * 2014-07-16 2016-12-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712794B2 (ja) * 2014-08-07 2020-06-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20160023478A (ko) * 2014-08-22 2016-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JP6068405B2 (ja) * 2014-08-27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893782B2 (ja) * 2015-03-13 2016-03-23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49770A (ja) * 2003-11-11 2005-06-09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12009373A (ja) 2010-06-28 2012-01-12 Molex Inc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2961A (ko) * 2020-05-19 2021-11-2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KR102391830B1 (ko) 2020-05-19 2022-04-2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53069B (zh) 2020-07-31
KR20170136423A (ko) 2017-12-11
CN107453069A (zh) 2017-12-08
JP6703900B2 (ja) 2020-06-03
JP2017216171A (ja)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598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시스템
KR102226482B1 (ko) 차폐 실드판 부착 커넥터
CN211428494U (zh) 连接器以及连接器装置
KR101292368B1 (ko) 다극 커넥터
JP2023018135A (ja) シールド部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9799999B1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CN112670770B (zh) 连接器以及连接器装置
CN108352660B (zh) 连接器
US8469747B2 (en) Card connector
JP2015135816A (ja) 端子、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50031249A1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contact thereof with improv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ngaging arm
CN112640228B (zh) 同轴连接器装置
KR20120022624A (ko) 전기 커넥터 및 회로 보드 어셈블리
JP7267186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5640912B2 (ja) コンタクト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るプリント回路板用コネクタ
JP2007027120A (ja) 電気コネクタ
JP5868140B2 (ja) 同軸ケーブル接続モジュール、同軸ケーブル用多極コネクタ及び多極複合コネクタ
CN108370120B (zh) 连接器
JP7358562B2 (ja) コネクタ
US20130090018A1 (en) Cable connector
US20240022024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200394725Y1 (ko) 거치대용 입출력플러그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실장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