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5756B1 - 다극 커넥터 세트 - Google Patents

다극 커넥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5756B1
KR102545756B1 KR1020217026127A KR20217026127A KR102545756B1 KR 102545756 B1 KR102545756 B1 KR 102545756B1 KR 1020217026127 A KR1020217026127 A KR 1020217026127A KR 20217026127 A KR20217026127 A KR 20217026127A KR 102545756 B1 KR102545756 B1 KR 10254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round terminal
signal terminal
terminal assembly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6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721A (ko
Inventor
미노루 마무로
다이스케 오쿠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110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5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01R13/647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by special arrangement of ground and signal conductors, e.g. GSGS [Ground-Signal-Ground-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61Means for preventing cross-tal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4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shield being mounted on a PCB and connected to conductive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이나 외부로의 노이즈의 방사가 억제된 다극 커넥터 세트를 제공한다.
높이방향(T)에서 다극 커넥터 세트(100)를 보았을 때,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1)와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와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2)가 이 순서대로 길이방향(L)으로 배치되며,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1)의 폭방향(W)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1 접속부(P1)로 하고,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2)의 폭방향(W)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2 접속부(P2)로 하며,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1)의 폭방향(W)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3 접속부(P3)로 하고,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2)의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4 접속부(P4)로 했을 때,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의 모든 접속부(P5)가 제1 접속부(P1)와 제2 접속부(P2)와 제3 접속부(P3)와 제4 접속부(P4)를 잇는 사각형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극 커넥터 세트
본 발명은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하여 구성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2개의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한쪽 회로 기판에 제1 커넥터를 접속하고, 다른 쪽 회로 기판에 제2 커넥터를 접속하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감합하여 구성하는 다극 커넥터 세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다극 커넥터 세트는 노이즈의 침입이나 방사를 억제하기 위해, 측면에 실드 부재(외부 단자)가 마련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8-116925호
그러나 전송되는 신호의 고주파화에 따라, 종래의 실드 구조로는 노이즈의 침입이나 방사를 충분히 억제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이나 외부로의 노이즈의 방사가 억제된, 다수개의 단자를 포함한 커넥터 세트인 다극 커넥터 세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감합하여 구성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로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 세트에 대해, 각각,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 폭방향, 높이방향을 규정했을 때, 제1 커넥터는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1 단자와, 제1 단자를 유지하는 제1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제1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며, 제1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1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는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2 단자와, 제2 단자를 유지하는 제2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제2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고, 제2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2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제1 신호 단자와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어서 신호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고,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어서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며, 신호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제1 신호 단자와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고,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2개의 접속부에서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며, 높이방향에서 다극 커넥터 세트를 보았을 때,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와, 신호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다른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이 순서대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폭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1 접속부로 하며,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폭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2 접속부로 하고,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3 접속부로 하며,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4 접속부로 했을 때,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의 모든 접속부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와 제3 접속부와 제4 접속부를 잇는 사각형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는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이나 외부로의 노이즈의 방사가 억제된다.
도 1(A)는 감합면 측에서 본 제1 커넥터(100A)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실장면 측에서 본 제1 커넥터(100A)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커넥터(100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감합면 측에서 본 제2 커넥터(100B)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실장면 측에서 본 제2 커넥터(100B)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커넥터(100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극 커넥터 세트(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의 감합을 해제한 다극 커넥터 세트(100)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1 신호 단자(1S)의 측면도이다. 도 7(B)는 제1 신호 단자(1S)의 평면도이다. 도 7(C)는 제1 그라운드 단자(1G)의 측면도이다. 도 7(D)는 제1 그라운드 단자(1G)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신호 단자(1S)와 제1 그라운드 단자(1G)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A)는 제2 신호 단자(2S)의 측면도이다. 도 9(B)는 제2 신호 단자(2S)의 평면도이다. 도 9(C)는 제2 그라운드 단자(2G)의 측면도이다. 도 9(D)는 제2 그라운드 단자(2G)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제2 신호 단자(2S)와 제2 그라운드 단자(2G)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다극 커넥터 세트(100)에서의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A)는 감합면 측에서 본 제1 커넥터(200A)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감합면 측에서 본 제2 커넥터(200B)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극 커넥터 세트(200)에서의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다극 커넥터 세트(300)의 제1 그라운드 단자(31G)와 제2 그라운드 단자(32G)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극 커넥터 세트(300)에서의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형태의 내용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에 기재된 내용을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의 실시 내용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도면은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모식적으로 묘화되어 있는 경우가 있고, 묘화된 구성 요소 또는 구성 요소 간의 치수의 비율이 명세서에 기재된 그들의 치수의 비율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요소가 도면에서 생략되어 있는 경우나, 개수를 생략하여 묘화되어 있는 경우 등이 있다.
[제1 실시형태; 다극 커넥터 세트(100)]
도 1(A), (B), 도 2, 도 3(A), (B), 도 4, 도 5, 도 6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100)를 나타낸다. 한편,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A)는 감합면 측에서 본 제1 커넥터(100A)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실장면 측에서 본 제1 커넥터(100A)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커넥터(100A)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감합면 측에서 본 제2 커넥터(100B)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실장면 측에서 본 제2 커넥터(100B)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2 커넥터(100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다극 커넥터 세트(100)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의 감합을 해제한 다극 커넥터 세트(100)의 사시도이다.
한편, 도면에는 다극 커넥터 세트(100), 제1 커넥터(100A), 제2 커넥터(100B)의 높이방향(T), 길이방향(L), 폭방향(W)을 나타내며, 이하의 설명에서 이들 방향으로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다극 커넥터 세트(100), 제1 커넥터(100A), 제2 커넥터(100B)는 각각 높이방향(T)으로 마주 보는 실장면과 감합면을 포함하고, 길이방향(L)으로 마주 보는 한 쌍의 단면(端面)을 포함하며, 폭방향(W)으로 마주 보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가 서로 감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1 커넥터(100A), 제2 커넥터(100B), 다극 커넥터 세트(100)에 대해, 순서대로 설명한다.
<제1 커넥터(100A)>
도 1(A), 도 1(B), 도 2에 제1 커넥터(100A)를 나타낸다.
제1 커넥터(100A)는 복수개의 제1 신호 단자(1S)와 복수개의 제1 그라운드 단자(1G)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1 단자를 포함한다. 제1 신호 단자(1S)는 제1 커넥터(100A)를 실장한 회로 기판 등의 신호 라인에 접속된다. 제1 그라운드 단자(1G)는 제1 커넥터(100A)를 실장한 회로 기판 등의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도 7(A)에 제1 신호 단자(1S)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7(B)에 제1 신호 단자(1S)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7(C)에 제1 그라운드 단자(1G)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7(D)에 제1 그라운드 단자(1G)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신호 단자(1S) 및 제1 그라운드 단자(1G)는 각각, 스트립 형상의 금속판을 벤딩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제1 신호 단자(1S) 및 제1 그라운드 단자(1G)의 재질은 임의인데,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인청동은 도전성을 가지면서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이다. 제1 신호 단자(1S) 및 제1 그라운드 단자(1G)는 스프링성을 가지는 금속 부재를 다이 커팅 가공함으로써 형성해도 된다.
제1 커넥터(100A)는 제1 절연성 부재(3)를 포함한다. 제1 절연성 부재(3)는 제1 신호 단자(1S) 및 제1 그라운드 단자(1G)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1 절연성 부재(3)의 재질은 임의인데, 예를 들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제1 신호 단자(1S) 및 제1 그라운드 단자(1G)는 제1 절연성 부재(3)에 인서트 몰딩되어 있다. 제1 신호 단자(1S) 및 제1 그라운드 단자(1G)는 제1 절연성 부재(3)에 끼워 넣어서 고정해도 된다.
제1 신호 단자(1S) 및 제1 그라운드 단자(1G)는 각각 제1 절연성 부재(3)로부터 폭방향(W)으로 인출되어 있다.
제1 신호 단자(1S) 및 제1 그라운드 단자(1G)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제1 열(C1)과 제2 열(C2)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제1 열(C1)에는 4개의 제1 신호 단자(1S)와 3개의 제1 그라운드 단자(1G)가 제1 신호 단자(1S)를 선두로 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열(C2)에도 4개의 제1 신호 단자(1S)와 3개의 제1 그라운드 단자(1G)가 제1 신호 단자(1S)를 선두로 하여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커넥터(100A)는 센터 실드 부재(4)를 포함하고 있다. 센터 실드 부재(4)는 제1 열(C1)에 배치된 제1 신호 단자(1S)와 제2 열(C2)에 배치된 제1 신호 단자(1S) 사이에서의 전자파의 간섭을 막고 있다. 또한, 센터 실드 부재(4)는 제1 열(C1)에 배치된 제1 신호 단자(1S)와 제2 열(C2)에 배치된 제1 신호 단자(1S) 사이의 아이솔레이션을 향상시키고 있다. 센터 실드 부재(4)는 제1 커넥터(100A)를 실장한 회로 기판 등의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센터 실드 부재(4)는 제1 절연성 부재(3)에 인서트 몰딩되어 있다. 센터 실드 부재(4)의 재질은 임의인데,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A)는 한 쌍의 제1 외부단자(5)를 포함한다. 제1 외부단자(5)는 제1 커넥터(100A)의 단면을 실딩하고 있다. 제1 외부단자(5)는 제1 커넥터(100A)를 실장한 회로 기판 등의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제1 외부단자(5)는 제1 절연성 부재(3)의 양 단부(端部)에 인서트 몰딩되어 있다. 제1 외부단자(5)의 재질은 임의인데,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외부단자(5)는 제1 절연성 부재(3)에 끼워 넣어 고정해도 된다.
<제2 커넥터(100B)>
도 3(A), 도 3(B), 도 4에 제2 커넥터(100B)를 나타낸다.
제2 커넥터(100B)는 복수개의 제2 신호 단자(2S)와 복수개의 제2 그라운드 단자(2G)로 구성되는 복수개의 제2 단자를 포함한다. 제2 신호 단자(2S)는 제2 커넥터(100B)를 실장한 회로 기판 등의 신호 라인에 접속된다. 제2 그라운드 단자(2G)는 제2 커넥터(100B)를 실장한 회로 기판 등의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도 9(A)에 제2 신호 단자(2S)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9(B)에 제2 신호 단자(2S)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9(C)에 제2 그라운드 단자(2G)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9(D)에 제2 그라운드 단자(2G)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신호 단자(2S) 및 제2 그라운드 단자(2G)는 각각 스트립 형상의 금속판을 벤딩 가공하여 제작한 것으로 이루어진다. 제2 신호 단자(2S) 및 제2 그라운드 단자(2G)의 재질은 임의인데,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커넥터(100B)는 제2 절연성 부재(6)를 포함한다. 제2 절연성 부재(6)는 제2 신호 단자(2S) 및 제2 그라운드 단자(2G)를 유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제2 절연성 부재(6)의 재질은 임의인데, 예를 들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제2 신호 단자(2S) 및 제2 그라운드 단자(2G)는 제2 절연성 부재(6)에 인서트 몰딩되어 있다.
제2 신호 단자(2S) 및 제2 그라운드 단자(2G)는 각각 제2 절연성 부재(6)로부터 폭방향(W)으로 인출되어 있다.
제2 신호 단자(2S) 및 제2 그라운드 단자(2G)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제1 열(C1)과 제2 열(C2)로 나누어 배치되어 있다.
제1 열(C1)에는 4개의 제2 신호 단자(2S)와 3개의 제2 그라운드 단자(2G)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열(C2)에도 4개의 제2 신호 단자(2S)와 3개의 제2 그라운드 단자(2G)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2 커넥터(100B)는 한 쌍의 제2 외부단자(7)를 포함한다. 제2 외부단자(7)는 제2 커넥터(100B)의 단면을 실딩하고 있다. 제2 외부단자(7)는 제2 커넥터(100B)를 실장한 회로 기판 등의 그라운드에 접속된다. 제2 외부단자(7)는 제2 절연성 부재(6)의 양 단부에 인서트 몰딩되어 있다. 제2 외부단자(7)의 재질은 임의인데, 예를 들면, 인청동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외부단자(7)는 제2 절연성 부재(6)에 끼워 넣어 고정해도 된다.
<다극 커넥터 세트(100)>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가 감합되어 다극 커넥터 세트(100)가 구성된다. 도 5에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를 감합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에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의 감합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커넥터(100A)와 제2 커넥터(100B)를 감합시킨 상태에서 제1 신호 단자(1S)와 제2 신호 단자(2S)가 접속되어 신호 단자 접합체(CS)가 구성되고, 제1 그라운드 단자(1G)와 제2 그라운드 단자(2G)가 접속되어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가 구성된다.
도 11에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한편, 도 11에는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폭방향(W)에서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일점쇄선의 보조선을 그렸다.
도 1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단자 접합체(CS)에서는 하나의 접속부(P)에 의해 제1 신호 단자(1S)와 제2 신호 단자(2S)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에서는 2개의 접속부(P)에 의해 제1 그라운드 단자(1G)와 제2 그라운드 단자(2G)가 접속되어 있다.
보조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폭방향(W)에서의 외측의 접속부(P)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폭방향(W)에서의 내측의 접속부(P) 사이에 신호 단자 접합체(CS)의 접속부(P)가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높이방향(T)에서 본 다극 커넥터 세트(100)의 신호 단자 접합체(CS) 및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1)와, 신호 단자 접합체(CS)에서 선택된 하나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에서 선택된 다른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2)가 길이방향(L)으로 연장되는 제1 열(C1)에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1)의 폭방향(W)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1 접속부(P1)로 하고,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2)의 폭방향(W)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2 접속부(P2)로 하며,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1)의 폭방향(W)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3 접속부(P3)로 하고,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2)의 폭방향(W)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4 접속부(P4)로 하며,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의 접속부를 제5 접속부(P5)로 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속부(P1), 제2 접속부(P2), 제3 접속부(P3), 제4 접속부(P4)를 잇는 사각형의 내측에 제5 접속부(P5)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의 제5 접속부(P5)는 제1 접속부(P1)와 제2 접속부(P2)를 잇는 선보다도 폭방향(W)에서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보다도 폭방향(W)에서의 외측에서의 실드성이 향상된다. 즉,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외부로부터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로 노이즈가 침입하는 것, 및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로부터 외부로 노이즈가 방사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의 제5 접속부(P5)가 제3 접속부(P3)와 제4 접속부(P4)를 잇는 선보다도 폭방향(W)에서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보다도 폭방향(W)에서의 내측에서의 실드성이 향상된다. 즉,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와, 제2 열(C2)에 배치된 다른 신호 단자 접합체(CS) 사이에서의 전자파의 간섭이 억제된다.
또한,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신호 단자 접합체(CS)에서 제1 신호 단자(1S)와 제2 신호 단자(2S)가 하나의 접속부(P)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신호 단자 접합체(CS)가 가지는 인덕턴스 성분이 작다. 그 결과,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신호 단자 접합체(CS)에 발생하는 LC 공진의 공진점이 신호 주파수보다도 고주파 측으로 시프트되어, 신호 단자 접합체(CS)의 LC 공진이 신호에 주는 영향이 억제되어 있다. 한편, 요구되는 실드 성능에 따라, 길이방향(L)에서 복수개의 신호 단자 접합체(CS)를 인접시켜 배치해도 된다.
또한, 다극 커넥터 세트(100)는 제1 열(C1)과 제2 열(C2) 사이에 센터 실드 부재(4)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1 열(C1)에 구성되는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제2 열(C2)에 구성되는 신호 단자 접합체(CS)의 아이솔레이션이 향상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 다극 커넥터 세트(200)]
도 13(A), (B)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200)를 나타낸다. 한편, 다극 커넥터 세트(200)는 제1 커넥터(200A)와 제2 커넥터(200B)가 서로 감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13(A)는 감합면 측에서 본 제1 커넥터(200A)의 사시도이다. 도 13(B)는 감합면 측에서 본 제2 커넥터(200B)의 사시도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20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100) 구성의 일부에 변경을 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100A)의 폭방향(W)에서 제1 신호 단자(1S)들이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제1 그라운드 단자(1G)들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200A)의 폭방향(W)에서 제1 신호 단자(1S)와 제1 그라운드 단자(1G)가 대향하도록 배치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서는 제2 커넥터(100B)의 폭방향(W)에서 제2 신호 단자(2S)들이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함께 제2 그라운드 단자(2G)들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었다. 이에 반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2 커넥터(200B)의 폭방향(W)에서 제2 신호 단자(2S)와 제2 그라운드 단자(2G)가 대향하도록 배치했다.
다극 커넥터 세트(200)의 다른 구성은 다극 커넥터 세트(100)와 동일하게 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열(C1)의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제2 열(C2)의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가 폭방향(W)으로 늘어서 쌍을 이루고, 제1 열(C1)의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와 제2 열(C2)의 신호 단자 접합체(CS)가 폭방향(W)으로 늘어서 쌍을 이룬다. 즉, 신호 단자 접합체(CS)들이 제1 열(C1)과 제2 열(C2)에 폭방향(W)에서 나란히 배치되지 않고, 신호 단자 접합체(CS)는 이른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된다. 한편, 요구되는 실드 성능에 따라, 길이방향(L)에서 복수개의 신호 단자 접합체(CS)를 인접시켜 배치해도 된다.
다극 커넥터 세트(200)에서는 제1 열(C1)에 배치된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제2 열(C2)에 배치된 신호 단자 접합체(CS) 사이에서의 전자파의 간섭이 더 억제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 다극 커넥터 세트(300)]
도 15, 도 16에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300)를 나타낸다. 도 15는 다극 커넥터 세트(300)의 제1 그라운드 단자(31G)와 제2 그라운드 단자(32G)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다극 커넥터 세트(300)에서의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배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다극 커넥터 세트(300)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100) 구성의 일부에 변경을 가했다. 구체적으로는 다극 커넥터 세트(100)의 제1 그라운드 단자(1G) 및 제2 그라운드 단자(2G)의 형상을 각각 변경했다. 다극 커넥터 세트(300)의 제1 그라운드 단자(31G) 및 제2 그라운드 단자(32G)는 각각 접속부에 볼록부(33)가 부가되고, 접속부의 폭방향(W)의 크기가 다른 부분보다도 커져 있다.
다극 커넥터 세트(300)는 제1 접속부(P1), 제2 접속부(P2), 제3 접속부(P3), 제4 접속부(P4)의 폭이 커져 있고, 실드성이 보다 향상되어 있다. 즉, 다극 커넥터 세트(300)는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이나 외부로의 노이즈의 방사가 보다 억제되어 있다. 또한, 다극 커넥터 세트(300)는 제1 열에 배치된 신호 단자 접합체(CS)와 제2 열에 배치된 신호 단자 접합체(CS) 사이에서의 전자파의 간섭이 보다 억제되어 있다.
이상, 제1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100, 200, 300)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발명의 취지를 따라 다양한 변경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단자 접합체(CS)에서 제1 신호 단자(1S)와 제2 신호 단자(2S)가 하나의 접속부(P)에 의해 접속되어 있었는데, 접속부(P)의 수는 임의이며, 제1 신호 단자(1S)와 제2 신호 단자(2S)가 2개 이상의 접속부(P)에 의해 접속되어도 된다. 이 경우, 2개의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의 접속부에 의해 구성되는 사각형의 내측에 신호 단자의 2개 이상의 접속부가 둘러싸이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1)와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2) 사이에 하나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를 배치했는데,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1)와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CG2) 사이에 2개 이상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CS1)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커넥터(100A, 200A)가 각각 센터 실드 부재(4)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센터 실드 부재(4)는 생략해도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는 "과제의 해결 수단" 란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감합하여 구성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로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 세트에 대해, 각각,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 폭방향, 높이방향을 규정했을 때, 제1 커넥터는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1 단자와, 제1 단자를 유지하는 제1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1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제2 커넥터는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2 단자와, 제2 단자를 유지하는 제2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2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제1 신호 단자와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어서 신호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어서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고, 신호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제1 신호 단자와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고,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며, 높이방향에서 다극 커넥터 세트를 보았을 때,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와, 신호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다른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이 순서대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폭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1 접속부로 하며,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폭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2 접속부로 하고,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의 모든 접속부가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잇는 선보다도 폭방향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다극 커넥터 세트의 측면에 실드 부재를 마련하지 않아도,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의 침입이나 외부로의 노이즈의 방사가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른 다극 커넥터 세트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감합하여 구성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로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및 다극 커넥터 세트에 대해, 각각,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 폭방향, 높이방향을 규정했을 때, 제1 커넥터는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1 단자와, 제1 단자를 유지하는 제1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제1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며, 제1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1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제2 커넥터는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2 단자와, 제2 단자를 유지하는 제2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제2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고, 제2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2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제1 신호 단자와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어서 신호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고,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어서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며, 신호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제1 신호 단자와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고,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며, 높이방향에서 다극 커넥터 세트를 보았을 때,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와, 신호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와,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다른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이 순서대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3 접속부로 하며,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접속부를 제4 접속부로 했을 때,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의 모든 접속부가 제3 접속부와 제4 접속부를 잇는 선보다도 폭방향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제1 열에 배치된 신호 단자 접합체와 제2 열에 배치된 신호 단자 접합체 사이에서의 전자파의 간섭이 더 억제된다.
이상의 실시양태에서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접속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폭이 넓게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실드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신호 단자 접합체는 제1 신호 단자와 제2 신호 단자가 하나의 접속부에서 접속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신호 단자 접합체의 LC 공진이 신호에 주는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제1 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양 단에 각각 제1 외부단자가 형성되고, 제2 커넥터의 길이방향의 양 단에 각각 제2 외부단자가 형성되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제1 외부단자와 제2 외부단자가 접속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다극 커넥터 세트의 단면을 실딩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에서 복수개의 제1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고, 제2 커넥터에서 복수개의 제2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제1 열 및 제2 열에 각각 신호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고, 제1 열과 제2 열 사이에 센터 실드 부재가 배치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센터 실드 부재에 의해, 제1 열에 구성된 신호 단자 접합체와 제2 열에 구성된 신호 단자 접합체의 아이솔레이션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에서 복수개의 제1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며, 제1 열에 배치된 제1 신호 단자와 제2 열에 배치된 제1 그라운드 단자가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쌍을 이루고, 제1 열에 배치된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제2 열에 배치된 제1 신호 단자가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쌍을 이루며, 제2 커넥터에서 복수개의 제2 단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고, 제1 열에 배치된 제2 신호 단자와 제2 열에 배치된 제2 그라운드 단자가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쌍을 이루며, 제1 열에 배치된 제2 그라운드 단자와 제2 열에 배치된 제2 신호 단자가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쌍을 이루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1 열에 배치된 신호 단자 접합체와 제2 열에 배치된 신호 단자 접합체 사이에서의 전자파의 간섭을 더 억제할 수 있다.
100A, 200A: 제1 커넥터 1S: 제1 신호 단자
1G, 31G: 제1 그라운드 단자 3: 제1 절연성 부재
4: 센터 실드 부재 5: 제1 외부단자
100B, 200B: 제2 커넥터 2S: 제2 신호 단자
2G, 32G: 제2 그라운드 단자 6: 제2 절연성 부재
7: 제2 외부단자 C1: 제1 열
C2: 제2 열 CS: 신호 단자 접합체
CS1: 제1 신호 단자 접합체 CG: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
CG1: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 CG2: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
P: 접속부 P1: 제1 접속부
P2: 제2 접속부 P3: 제3 접속부
P4: 제4 접속부 P5: 제5 접속부

Claims (8)

  1.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하여 구성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다극 커넥터 세트에 대해, 각각,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 폭방향, 높이방향을 규정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를 유지하는 제1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1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유지하는 제2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2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어서 신호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어서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며,
    상기 신호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상기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2개의 접속부에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높이방향에서 상기 다극 커넥터 세트를 보았을 때,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와, 상기 신호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와,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다른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이 순서대로 상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상기 폭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를 제1 접속부로 하며,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상기 폭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를 제2 접속부로 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상기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를 제3 접속부로 하며,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상기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를 제4 접속부로 했을 때,
    상기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의 모든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와 상기 제3 접속부와 상기 제4 접속부를 잇는 사각형의 내측에 배치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
  2.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하여 구성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다극 커넥터 세트에 대해, 각각,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 폭방향, 높이방향을 규정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를 유지하는 제1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1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유지하는 제2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2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어서 신호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어서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며,
    상기 신호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상기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높이방향에서 상기 다극 커넥터 세트를 보았을 때,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와, 상기 신호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와,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다른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이 순서대로 상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상기 폭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를 제1 접속부로 하며,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상기 폭방향에서 가장 외측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를 제2 접속부로 하고,
    상기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의 모든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를 잇는 선보다도 상기 폭방향에서 내측에 배치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
  3.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서로 감합(嵌合)하여 구성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커넥터, 상기 제2 커넥터 및 상기 다극 커넥터 세트에 대해, 각각, 서로 직교하는 길이방향, 폭방향, 높이방향을 규정했을 때,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를 유지하는 제1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1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1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폭방향으로 인출되는 복수개의 제2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유지하는 제2 절연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고,
    상기 제2 단자는 신호 라인에 접속되는 제2 신호 단자와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제2 그라운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어서 신호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어서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며,
    상기 신호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상기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는 적어도 하나의 접속부에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접속되며,
    상기 높이방향에서 상기 다극 커넥터 세트를 보았을 때,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와, 상기 신호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와, 상기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에서 선택되는 다른 하나의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가 이 순서대로 상기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상기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를 제3 접속부로 하며,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 접합체의 상기 폭방향에서 가장 내측에 배치된 상기 접속부를 제4 접속부로 했을 때,
    상기 제1 신호 단자 접합체의 모든 상기 접속부가 상기 제3 접속부와 상기 제4 접속부를 잇는 선보다도 상기 폭방향에서 외측에 배치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는 상기 접속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폭이 넓게 구성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단자 접합체는 상기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신호 단자가 하나의 접속부에서 접속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 단에 각각 제1 외부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길이방향의 양 단에 각각 제2 외부단자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외부단자와 상기 제2 외부단자가 접속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감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열 및 상기 제2 열에 각각 상기 신호 단자 접합체가 구성되고,
    상기 제1 열과 상기 제2 열 사이에 센터 실드 부재가 배치되는, 다극 커넥터 세트.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고,
    상기 제1 열에 배치된 상기 제1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가 상기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쌍을 이루며,
    상기 제1 열에 배치된 상기 제1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상기 제1 신호 단자가 상기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쌍을 이루고,
    상기 제2 커넥터에서
    상기 복수개의 제2 단자는 상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열과 제2 열의 2개의 열로 나누어 배치되며,
    상기 제1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신호 단자와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가 상기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쌍을 이루고,
    상기 제1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그라운드 단자와 상기 제2 열에 배치된 상기 제2 신호 단자가 상기 폭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쌍을 이루는, 다극 커넥터 세트.
KR1020217026127A 2019-03-28 2020-03-25 다극 커넥터 세트 KR1025457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62500 2019-03-28
JPJP-P-2019-062500 2019-03-28
PCT/JP2020/013487 WO2020196681A1 (ja) 2019-03-28 2020-03-25 多極コネクタ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721A KR20210110721A (ko) 2021-09-08
KR102545756B1 true KR102545756B1 (ko) 2023-06-20

Family

ID=7261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6127A KR102545756B1 (ko) 2019-03-28 2020-03-25 다극 커넥터 세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21922B2 (ko)
JP (1) JP7103510B2 (ko)
KR (1) KR102545756B1 (ko)
CN (1) CN113348596B (ko)
WO (1) WO20201966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756B1 (ko) * 2019-03-28 2023-06-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다극 커넥터 세트
US11495919B2 (en) * 2020-05-13 2022-11-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US11652323B2 (en) * 2020-05-13 2023-05-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5875A1 (ja) 2016-08-04 2018-02-08 京セラ株式会社 コンタクト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8674B2 (ja) 1991-08-16 2001-09-17 コニカ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510875Y2 (ja) * 1991-11-22 1996-09-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631312B2 (ja) * 1995-12-22 2005-03-23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高速信号用コネクタ
JP2000067956A (ja) * 1998-08-24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プラグ、ジャック、及びコネクタ装置
TW532587U (en) * 2002-03-13 2003-05-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ouple
JP2003317874A (ja) * 2002-04-24 2003-11-07 Taiko Denki Co Ltd アース板付きコネクタ
JP4412347B2 (ja) * 2007-04-24 2010-02-1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接続体
JP5039690B2 (ja) * 2008-12-25 2012-10-03 ホシデン株式会社 多極コネクタ
US7727028B1 (en) * 2009-07-14 2010-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terminals designed to improve impedance
WO2012074101A1 (ja) * 2010-12-03 2012-06-0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信号線路及び電子機器
US9257793B2 (en) * 2013-06-06 2016-02-09 Lintes Technology Co., Ltd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JP6090930B2 (ja) * 2013-09-17 2017-03-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640915B2 (en) * 2015-07-13 2017-05-02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programmable ground tie bar
JP6703900B2 (ja) * 2016-06-01 2020-06-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システム
US9583882B1 (en) * 2016-08-03 2017-02-28 Speed Tech Corp. Electrical connector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JP6806028B2 (ja) 2017-01-19 2020-12-2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極コネクタセット
JP6872033B2 (ja) * 2017-03-17 2021-05-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2545756B1 (ko) * 2019-03-28 2023-06-2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다극 커넥터 세트
US11495919B2 (en) * 2020-05-13 2022-11-0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25875A1 (ja) 2016-08-04 2018-02-08 京セラ株式会社 コンタク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20196681A1 (ko) 2020-10-01
WO2020196681A1 (ja) 2020-10-01
JP7103510B2 (ja) 2022-07-20
KR20210110721A (ko) 2021-09-08
CN113348596B (zh) 2023-06-20
US20210359443A1 (en) 2021-11-18
US11721922B2 (en) 2023-08-08
CN113348596A (zh)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5756B1 (ko) 다극 커넥터 세트
JP6806028B2 (ja) 多極コネクタセット
US11996656B2 (en) Signal connector and terminal device
KR102522299B1 (ko) 전기 커넥터 세트
US8007317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shell
US9048554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a circuit board
US20180219329A1 (en) Ground shield for a contact module
US10651603B2 (en) High speed electrical connector
US1156328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electromagnetic shielding frame surrounding plurality of terminals and connector housing
KR20150031199A (ko) 전기 커넥터
US20140057492A1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6210227B1 (en) Connector and method of shielding signal terminal
CN113675677A (zh) 连接器组装体
US11888268B2 (en) Multi-pole connector set including a shield for suppressing electromagnetic wave interference
US6910922B2 (en) Connector in which occurrence of crosstalk is suppressed by a ground contact
US20210391669A1 (en) Multipolar connector set
KR20220155901A (ko) 커넥터 조립체
US5269692A (en) Board-to-board connector
JPH0629047U (ja) コネクタ
JP7461245B2 (ja) コネクタ
US20230344177A1 (en) Connector set and connector
KR20210106251A (ko) 실드 구조를 갖는 리셉터클 커넥터
JP2005063796A (ja) アース板付きコネクタ
JP2006114407A (ja) 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