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2299B1 - 전기 커넥터 세트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2299B1
KR102522299B1 KR1020207036056A KR20207036056A KR102522299B1 KR 102522299 B1 KR102522299 B1 KR 102522299B1 KR 1020207036056 A KR1020207036056 A KR 1020207036056A KR 20207036056 A KR20207036056 A KR 20207036056A KR 102522299 B1 KR102522299 B1 KR 10252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wall
engagement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536A (ko
Inventor
유마 아메모리
아오이 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210010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2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 H01R13/6474Impedance matching by variation of conductive properties, e.g. by dimension varia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된 전기 커넥터 세트로서, 제 1 커넥터의 제 1 볼록부 단자와 제 2 커넥터의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제 1 커넥터의 제 2 볼록부 단자와 제 2 커넥터의 제 2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고, 제 1 맞물림 단자에 대해서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2 맞물림 단자와, 제 1 방향을 따라 제 1 맞물림 단자와 제 2 맞물림 단자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맞물림 단자의 제 1 커넥터의 제 1 볼록부 단자와 제 2 커넥터의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의 제 1 방향으로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제 1 방향 및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전기 커넥터 세트의 감합 방향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 벽 형상 단자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세트
본 발명은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된 전기 커넥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커넥터를 감합시켜 다극 커넥터를 1열 배치한 커넥터 세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커넥터 세트에서는 한 쌍의 커넥터의 감합 시에 접지 전위로 접속된 환 형상의 고정 단자와 접속 단자를 코플라나 구성으로 배치함으로써 노이즈 내성의 향상과 임피던스 정합을 행하고 있다. 이 경우의 감합의 유지는 환 형상의 고정 단자가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로 압접됨으로써 행해지고 있다. 또한, 접속 단자는 고정 단자보다 외측에 인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15-230840호 공보
전기 커넥터 세트를 고주파 신호의 전송에 사용하는 경우, 전송 대역에 의해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단자 옆에 배치된 접지 전위로 접속한 단자(GND 단자)가 상기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단자로부터 복사되어 급전되는 전계에 의해 공진을 일으키기 쉽고, 방사 노이즈를 발생시켜 신호 전송의 방해가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주파 전송에 있어서도 단자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된 전기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2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에 대해서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2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2 맞물림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의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제 1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의 제 1 방향으로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상기 제 1 방향 및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 세트의 감합 방향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 벽 형상 단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고주파 전송에 사용하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그 외의 제 2 맞물림 단자 사이에 벽 형상 단자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고주파 전송에 있어서도 단자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전기 커넥터 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전기 커넥터 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A-A선에 의해 절단한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의 제 1 맞물림 단자와 제 2 맞물림 단자와 벽 형상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제 1 맞물림 단자와 제 2 맞물림 단자와 벽 형상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x축 방향의 부방향으로부터 정방향을 향해 본 제 1 맞물림 단자의 스프링 맞물림 부분의 투영 영역과 벽 형상 단자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벽 형상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제 1 맞물림 단자와 벽 형상 단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a는 벽 형상 단자를 제 1 부분 벽 단자와 제 2 부분 벽 단자로 구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벽 형상 단자를 제 1 부분 벽 단자와 제 2 부분 벽 단자로 구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감합하여 벽 형상 단자를 제 1 부분 벽 단자와 제 2 부분 벽 단자로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b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감합하여 벽 형상 단자를 제 1 부분 벽 단자와 제 2 부분 벽 단자로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7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의 고정 단자의 x축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감합하여 고정 단자를 볼록부 고정 단자와 오목부 고정 단자로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1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제 2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2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b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12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a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평면도이다.
도 14a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5a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의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감합 방향으로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b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감합 방향으로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c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감합 방향으로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6a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7a는 실시형태 4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8a는 실시형태 5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이르는 경위에 대해서)
상술의 과제에 열거한 바와 같이, 고주파 전송 등의 높은 전송 대역, 예를 들면 밀리파 신호 전송에서는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단자 옆에 배치된 접지 전위로 접속한 단자(GND 단자)가 상기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는 단자로부터 복사되어 급전되는 전계에 의해 공진을 일으키기 쉽고, 방사 노이즈를 발생시켜 신호 전송의 방해가 된다. 스프링 맞물림의 구성에서는 제 1 볼록부 단자와 제 1 오목부 단자로부터 GND 단자의 납땜부 사이로의 배선 거리가 길어진다. 이 스프링 맞물림의 구성이 원인이 되어 신호 전송로로부터 복사되어 급전된 전계가 GND 단자의 납땜부 사이에서 파장에 따른 주파수대에서 공진을 일으키고, 방사 노이즈를 발생시켜 제 1 맞물림 단자에 있어서의 신호의 전송을 방해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제 2 맞물림 단자 사이에 전기 커넥터 세트의 감합 방향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 벽 형상 단자를 설치함으로써 고주파 전송에 있어서도 단자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고, 본 발명에 이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벽 형상 단자가 x축 방향으로부터의 제 1 맞물림 단자를 구성하는 제 1 볼록부 단자와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찾아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기 커넥터 세트의 감합 방향의 높이와 같은 높이」란, 전기 커넥터 세트의 감합 방향의 높이와 완전히 같은 높이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제조상의 공차 등을 감안하여 거의 같은 높이인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해서)
제 1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된 전기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2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에 대해서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2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2 맞물림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의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제 1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의 제 1 방향으로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상기 제 1 방향 및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 세트의 감합 방향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 벽 형상 단자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고주파 전송에 사용하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그 외의 제 2 맞물림 단자 사이에 벽 형상 단자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고주파 전송에 있어서도 단자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접지 전위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제 3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면 형상을 가져도 좋다.
제 4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5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부분 벽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부분 벽 단자가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6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5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벽 단자 또는 상기 제 2 부분 벽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은 탄성 변형가능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부분 벽 단자와 제 2 부분 벽 단자가 맞물림할 때, 응력이 가해져도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안정되게 맞물림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할 수 있다.
제 7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6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벽 형상 단자로 구성되는 블록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2개소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커넥터의 각각의 블록의 제 1 부분 벽 단자 사이의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A)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각각의 블록의 제 2 부분 벽 단자 사이의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B)에 대해서,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A)<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B)의 관계가 되어도 좋다.
제 8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6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벽 형상 단자로 구성되는 블록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2개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전송 신호선을 늘릴 수 있다.
제 9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6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유지하는 록 기구를 갖는 고정 단자를 더 갖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볼록부 고정 단자의 볼록부 만곡면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오목부 고정 단자의 오목부 만곡면이 서로 접촉하여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볼록부 만곡면의 내측과 상기 제 1 부분 벽 단자의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C)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오목부 만곡면의 내측과 상기 제 2 부분 벽 단자의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D)에 대해서,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C)>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D)의 관계가 되어도 좋다.
제 10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유지하는 록 기구를 갖는 고정 단자를 더 가져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감합 후에 제 2 커넥터를 하사면(下死面)에서 수용할 수 있고, 감합 후의 높이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전송 신호선의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11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0 양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볼록부 고정 단자의 금속면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오목부 고정 단자의 금속면이 서로 접촉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고정 단자와 전기 커넥터 세트의 기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2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볼록부 고정 단자, 및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오목부 고정 단자 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벽 형상 단자는 동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접속 부분은 접지 전위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제 13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12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전체 둘레에 걸쳐 환 형상으로 배치된 금속 단자를 가져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노이즈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정합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4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1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2열의 다극 구성을 갖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2 벽 형상 단자를 더 구비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1 맞물림 단자에 의해 디지털 신호나 다른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제 15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1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는 상기 제 1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벽 형상 단자의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범위보다 내측에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실장부의 납땜으로부터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까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부유 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 조정부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제 16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1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에 대해서 착탈가능하며,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소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를 배치가능해도 좋다.
제 17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10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는 밀리파용 접속 단자이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의 합계 두께는 1mm 이하이어도 좋다.
제 18 양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상기 제 1 내지 제 17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제 2 맞물림 단자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2열의 다극 구성을 가져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제 2 맞물림 단자에 의해 디지털 신호나 다른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이하, 실시형태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실시형태 1)
도 1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평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b의 A-A선에 의해 절단한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편의상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의 감합 방향을 z축 방향으로 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1 맞물림 단자(31), 벽 형상 단자(33), 제 2 맞물림 단자(32a~32f)의 배치 방향을 x축 방향으로 하고, 벽 형상 단자(33)의 연장되는 방향을 y축 방향으로 하고 있다.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대향시켜 z축 방향으로 감합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 세트(30)는 제 1 맞물림 단자(31)와 제 2 맞물림 단자(32a~32f) 사이에 벽 형상 단자(33)를 배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맞물림 단자(31)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2 커넥터(20)의 제 1 오목부 단자(21)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2 맞물림 단자(32a~32f)는 제 1 커넥터(10)의 제 2 볼록부 단자(12a~12f)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오목부 단자(22a~22f)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맞물림 단자(32a~32f)는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는 제 1 맞물림 단자(31)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2 커넥터(20)의 제 1 오목부 단자(21)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의 x축 방향으로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벽 형상 단자(33)는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감합 방향(z축 방향)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다.
상기 구성에 의해, 고주파 전송에 사용하는 제 1 맞물림 단자(31)와 그 외의 제 2 맞물림 단자(32a~32f) 사이에 벽 형상 단자(33)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제 1 맞물림 단자(31)로부터의 전자파의 방사를 실드할 수 있고, 고주파 전송에 있어서도 제 1 맞물림 단자(31)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전기 커넥터 세트(3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맞물림 단자(31)와 벽 형상 단자(33)로 구성되는 블록(46)이 1개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실시형태 2 및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맞물림 단자(31)와 벽 형상 단자(33)로 구성되는, 예를 들면 도 13a,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블록(46a, 46b)이 2개 이상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송 신호선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도 1a에서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벽 형상 단자로 구성되는 블록은 전기 커넥터 세트의 일단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기 커넥터 세트의 중앙에 있어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송 신호선의 설계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인접하는 양측의 제 2 맞물림 단자 사이에 각각 벽 형상 단자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 전기 커넥터 세트(30)는 감합 방향(z축 방향)에 대해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유지하는 록 기구(15)를 갖는 고정 단자(34)를 더 가져도 좋다.
이하에, 이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맞물림 단자>
도 3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제 1 맞물림 단자(31)와 제 2 맞물림 단자(32a~32f)와 벽 형상 단자(33)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3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제 1 맞물림 단자(31)와 제 2 맞물림 단자(32a~32f)와 벽 형상 단자(33)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사시도이다.
제 1 맞물림 단자(31)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2 커넥터(20)의 제 1 오목부 단자(21)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10)의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2 커넥터(20)의 제 1 오목부 단자(21)는 서로 반대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맞물림 단자는 제 1 커넥터의 제 1 오목부 단자와, 제 2 커넥터의 제 1 볼록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맞물림 단자(31)는 예를 들면, 밀리파 신호 전송용의 접속 단자이어도 좋다. 또한, 밀리파는 파장이 1mm~10mm의 범위이며, 주파수가 약 30GHz~약 300GHz의 범위이다. 이 제 1 맞물림 단자(31)는 예를 들면, 40GHz~100GHz의 범위의 밀리파 신호 전송용 접속 단자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맞물림 단자(31)는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y방향 및 -y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벽 형상 단자(33)의 y축 방향의 범위보다 내측에 있다. 이것에 의해 실장부의 납땜으로부터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까지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부유 용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임피던스 조정부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 1 맞물림 단자(31)는 1개밖에 나타내고 있지 않지만, 복수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 x축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의 다극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x축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해도 좋다. 이들의 경우에는 인접하는 2개의 제 1 맞물림 단자(31) 사이에 배치된 제 2 벽 형상 단자를 더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 1 맞물림 단자에 의해 디지털 신호나 다른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제 2 맞물림 단자>
제 2 맞물림 단자(32a~32f)는 제 1 커넥터(10)의 제 2 볼록부 단자(12a~12f)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오목부 단자(22a~22f)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제 2 맞물림 단자(32a~32f)는 제 1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커넥터(10)의 제 2 볼록부 단자(12a~12f)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오목부 단자(22a~22f)는 서로 반대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2 맞물림 단자는 제 1 커넥터의 제 2 오목부 단자와, 제 2 커넥터의 제 2 볼록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 2 맞물림 단자(32a~32f)는 x축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의 다극 구성을 가져도 좋다. 이에 따라 제 2 맞물림 단자에 의해 디지털 신호나 다른 신호의 전송이 가능해진다.
또한,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 2 맞물림 단자(32a~32f)의 제 2 볼록부 단자(12a~12f)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제 1 맞물림 단자(31)의 제 1 볼록부 단자(11)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즉, -y축 방향의 길이(11)<-y축 방향의 길이(12a~12f)이다. 또한, x축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 2 맞물림 단자(32a~32f)의 제 2 오목부 단자(22a~22f)의 y축 방향의 길이는 제 1 맞물림 단자(31)의 제 1 오목부 단자(21)의 y축 방향의 길이보다 길다. 즉, y축 방향의 길이(21)<y축 방향의 길이(22a~22f)이다.
<벽 형상 단자>
도 4는 x축 방향의 부방향으로부터 정방향을 향해 본 제 1 맞물림 단자(31)의 스프링 맞물림 부분의 투영 영역의 외형 포함 영역(42)과 벽 형상 단자(33)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a는 제 1 맞물림 단자(31)와 벽 형상 단자(33)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제 1 맞물림 단자(31)와 벽 형상 단자(33)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이다.
벽 형상 단자(33)는 제 1 맞물림 단자(31)와 제 2 맞물림 단자(32a~32f)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벽 형상 단자(33)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맞물림 단자(31)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2 커넥터(20)의 제 1 오목부 단자(21)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의 x축 방향으로부터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외형 포함 영역(42)에 걸쳐 y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이 벽 형상 단자(33)는 도 4,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감합 방향(z축 방향)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를 갖는다. 즉, 제 2 맞물림 단자(32)로부터 보았을 경우,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 형상 단자(33)에 의해 제 1 맞물림 단자(31)가 완전히 덮여 있다. 이에 따라 벽 형상 단자(33)에 의해 제 1 맞물림 단자(31)와 제 2 맞물림 단자(32)를 칸막이할 수 있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는 접지 전위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벽 형상 단자(33)에 의해 제 1 맞물림 단자(31)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실드할 수 있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를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감합 방향(z축 방향)의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 로 함으로써 고주파 대역의 파장, 예를 들면 밀리파 신호 전송에서도 GND 단자의 불요 공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는 x축 방향으로부터의 제 1 맞물림 단자(31)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면 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에 따라 전송 신호선의 전계의 돌아 들어감과 방사를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전송 신호선을 이상적인 코플라나 구성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 신호선의 전계를 포착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그래서, 전송 신호선의 복사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커넥터 세트(30) 내의 다른 전송 신호선과의 분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면 형상은 평판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요철을 포함하는 오목면 형상 또는 볼록면 형상, 또는 부분적인 오목부 및 볼록부를 포함하는 곡면 형상이어도 좋다. 또는, 벽 형상 단자(33)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는 x축 방향의 두께가 면 내에서 일정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벽 형상 단자는 적어도 일부가 스트립 형상, 빗 형상, 그물 형상 등이어도 좋다. 또한, 벽 형상 단자는 제 1 맞물림 단자(31)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실드가능하면 좋고, 전자파가 누설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의 구멍, 노치를 가져도 좋다. 예를 들면, 구멍은 그 내부에서 취할 수 있는 직선 부분의 최장 거리가 제 1 맞물림 단자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의 파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둘 이상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벽 형상 단자는 제 1 커넥터 또는 제 2 커넥터에 대해서 착탈가능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제 1 커넥터 또는 제 2 커넥터에 벽 형상 단자를, 예를 들면 감합 또는 삽입하여 고정가능한 부재를 복수 개소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 1 커넥터 또는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제 1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소에 있어서 벽 형상 단자를 배치가능해도 좋다.
벽 형상 단자(33)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 1 커넥터(10)또는 제 2 커넥터(20)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다.
도 6a는 벽 형상 단자(33)를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로 구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6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벽 형상 단자(33)를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로 구성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a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감합하여 벽 형상 단자(33)를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로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7b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감합하여 벽 형상 단자(33)를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로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7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 형상 단자(33)가 제 1 커넥터(10)의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커넥터(20)의 제 2 부분 벽 단자(23)가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벽 형상 단자(33)는 하나의 부재가 아니고,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가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제 1 부분 벽 단자(13) 또는 제 2 부분 벽 단자(23) 중 적어도 한쪽은 스프링성을 갖고, 예를 들면 탄성 변형가능해도 좋다. 이에 따라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가 맞물림할 때, 응력이 가해져도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안정되게 맞물림시킬 수 있다. 이 경우, z축 방향에 대한 탄성 변형뿐만 아니라, 도 15a 또는 도 15b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에 대해서 탄성 변형해도 좋다. 이에 따라 x축 방향에 대한 거리(치수) 차이 또는 거리(치수) 변화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 접속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z축 방향으로 맞물림할 때,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를 x방향으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해 두어도 좋다. 예를 들면, 각각의 x방향의 두께의 반분 이상 두께 이하의 범위에서 어긋나게 배치해 두어도 좋다. 이에 따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 시에 각각 x방향으로 시프트해서 서로 x축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아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는 그 하면을 제 1 커넥터(10) 전체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판과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벽 형상 단자(33)는 제 1 맞물림 단자(31)를 -x방향 및 +x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2개 설치해도 좋다.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제 1 맞물림 단자(31)를 향하는 전자계를 차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맞물림 단자(31)로부터 x축 방향으로 방사되는 전자계를 차폐할 수 있다. 그래서, EMC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고정 단자>
도 8은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고정 단자(34)의 x축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감합하여 고정 단자(34)를 볼록부 고정 단자(14)와 오목부 고정 단자(24)로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고정 단자(34)는 감합 방향(z축 방향)에 대해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유지하는 록 기구(15)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커넥터(20)의 클로부(25)가 제 1 커넥터(10)의 록 기구(15)에 유지되어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커넥터(20)의 클로부(25)와 제 1 커넥터(10)의 록 기구(15) 중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해서 클로부(25)가 록 기구(15)의 안쪽까지 들어가 고정된다. 또한, 록 기구(15)의 저면은 제 2 커넥터(20)의 -z방향의 이동가능한 하사면으로서 기능한다. 하사면이란, 이 경우 제 2 커넥터(20)의 z방향으로의 이동가능한 영역에 있어서 가장 -z방향에 위치하는 면이다. 또는, 제 1 커넥터(10)의 저면을 구성하는 기판의 면을 하사면으로서 사용해도 좋다. 이에 따라 감합 후에 제 2 커넥터(20)의 클로부(25)를 하사면에서 수용할 수 있고, 감합 후의 높이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그래서, 전송 신호선의 임피던스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단자(34)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의 볼록부 고정 단자(14)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볼록부 만곡면(16)과 제 2 커넥터(20)의 오목부 고정 단자(24)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오목부 만곡면(26)이 서로 접촉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볼록부 고정 단자(14)와 오목부 고정 단자(24)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고정 단자(34)와 전기 커넥터 세트(30)의 기판 사이에서 발생하는 공진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커넥터>
도 10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제 1 커넥터(10)의 평면도이다.
제 1 커넥터(10)는 볼록부 고정 단자(14)와,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볼록부 단자(12a~12f)가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2 볼록부 단자(12a~12f)는 각각 x축 방향을 따라 2열 이상의 다극 구성을 가져도 좋다.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2 볼록부 단자(12a~12f)는 스프링 맞물림가능한 부재이며, 예를 들면 인청동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 1 부분 벽 단자(13)는 도 10a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에 수직한 평판 형상이다.
또한, 각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절연성 부재를 가져도 좋다. 또한, 저면에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판을 설치해도 좋다.
<제 2 커넥터>
도 11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2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제 2 커넥터(20)의 저면도이다.
제 2 커넥터(20)는 오목부 고정 단자(24)와, 제 1 오목부 단자(21)와, 제 2 부분 벽 단자(23)와, 제 2 오목부 단자(22a~22f)가 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 1 오목부 단자(21)와 제 2 오목부 단자(22a~22f)는 스프링 맞물림가능한 부재이며, 예를 들면 인청동으로 형성해도 좋다. 제 2 부분 벽 단자(23)는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부는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거의 같은 x위치이며, 중앙부로부터 하단부에 걸쳐서는 제 1 부분 벽 단자(13)에 대해서 x축 방향의 폭의 대략 반분 정도 시프트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물림 시에 각각 x축 방향으로 시프트해서 서로 x축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아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부재를 배치하기 위한 절연성 부재를 가져도 좋다.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의 감합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의 구성에 대해서>
도 12a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를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2b는 실시형태 1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를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하는 감합 시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 12a와 상이한 방향으로부터 본 개략 사시도이다.
이 전기 커넥터 세트(30)는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된다. 감합 시에는 제 1 볼록부 단자(11)와 제 1 오목부 단자(21)가 맞물림하여 제 1 맞물림 단자(31)가 구성된다. 또한, 제 2 볼록부 단자(12a~12f)와 제 2 오목부 단자(22a~22f)가 각각 맞물림하여 제 2 맞물림 단자(32a~32f)가 구성된다. 또한, 제 1 부분 벽 단자(13)와 제 2 부분 벽 단자(23)가 맞물림하여 벽 형상 단자가 구성된다. 그리고, 볼록부 고정 단자(14)와 오목부 고정 단자(24)가 맞물림하여 고정 단자(34)가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단자(34)에 의해 감합 방향(z축 방향)에 대해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유지한다.
(실시형태 2)
도 13a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a)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평면도이다. 도 14a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a)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a)의 평면도이다. 도 14b는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a)를 구성하는 제 2 커넥터(20a)의 저면도이다. 도 15b는 실시형태 4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제 1 커넥터(10c)와 제 2 커넥터(20c)를 감합 방향(z축 방향)으로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c는 실시형태 4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 제 1 커넥터(10c)와 제 2 커넥터(20c)를 감합 방향(z축 방향)으로 포갠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실시형태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30a)는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축 방향에 대해서 양단에 벽 형상 단자(33a)와 제 1 맞물림 단자(31a)의 블록(46a)과, 벽 형상 단자(33b)와 제 1 맞물림 단자(31b)의 블록(46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전송 신호선을 늘릴 수 있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a)의 각각의 블록의 제 1 부분 벽 단자(13a, 13b) 사이의 x축 방향의 거리(A)와, 제 2 커넥터(20a)의 각각의 블록의 제 2 부분 벽 단자(23a, 23b) 사이의 x축 방향의 거리(B)에 대해서, x축 방향의 거리(A)<x축 방향의 거리(B)의 관계가 된다. 즉, 2개의 벽 형상 단자(33a, 33b) 사이에 끼인 제 2 맞물림 단자(32a~32f)에 대해서 제 1 커넥터(10a)의 x축 방향의 거리(A)와 제 2 커넥터(20a)의 x축 방향의 거리(B)가 상이한 경우에도 벽 형상 단자(33a, 33b)가 탄성 변형함으로써 벽 형상 단자(33a, 33b)와 제 1 맞물림 단자(31a, 31b)의 x축 방향으로 위치 관계가 어긋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피던스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a)의 볼록부 만곡면(16)의 내측과 제 1 부분 벽 단자(13a)의 x축 방향의 거리(C)와, 제 2 커넥터(20a)의 오목부 만곡면(26)의 내측과 제 2 부분 벽 단자(23a)의 x축 방향의 거리(D)에 대해서, x축 방향의 거리(C)>x축 방향의 거리(D)의 관계가 된다. 즉, 감합 시에 제 1 커넥터(10a)와 제 2 커넥터(20a)가 x축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에도 벽 형상 단자(33a)의 탄성 변형에 의해 벽 형상 단자(33a)와 제 1 맞물림 단자(31a)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임피던스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6a는 실시형태 3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b)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제 1 커넥터(10b)의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1 및 2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와 대비하면, 실시형태 3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는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커넥터(10b)는 외주에 환 형상의 외부 금속 단자(44)가 배치되어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이렇게 환 형상의 외부 금속 단자를 가지므로 노이즈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임피던스 정합의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4)
도 17a는 실시형태 4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c)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제 1 커넥터(10c)의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4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c)는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 벽 단자(13a)와 볼록부 고정 단자(14a)가 동일 부재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제 1 부분 벽 단자(13a)와 볼록부 고정 단자(14a)를 동일 부재로 형성하고, 접속부를 기판에 접지시킴으로써 고정 단자(34a)와 벽 형상 단자(33a)의 전위차를 거의 없앨 수 있다. 또한, 대(對)노이즈성이 향상됨과 아울러,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 1 부분 벽 단자(13a)와 볼록부 고정 단자(14a)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18a는 실시형태 5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d)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제 1 커넥터(10d)의 평면도이다.
실시형태 5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를 구성하는 제 1 커넥터(10d)는 제 2 볼록부 단자(12a~12f)가 x축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2열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2 맞물림 단자(32a~32f)를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고, x축 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여러가지 실시형태 및/또는 실시예 중 임의의 실시형태 및/또는 실시예를 적당히 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며, 각각의 실시형태 및/또는 실시예가 갖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 세트에 의하면, 고주파 전송에 사용하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그 외의 제 2 맞물림 단자 사이에 벽 형상 단자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단자의 공진을 억제할 수 있는 고주파 전송용의 전기 커넥터 세트로서 유용하다.
10, 10a, 10b, 10c, 10d 제 1 커넥터
11 제 1 볼록부 단자
12a, 12b, 12c, 12d, 12e, 12f 제 2 볼록부 단자
13, 13a, 13b 제 1 부분 벽 단자
14, 14a, 14b 볼록부 고정 단자
15 록 기구
16 볼록부 만곡면
20, 20a, 20b 제 2 커넥터
21 제 1 오목부 단자
22a, 22b, 22c, 22d, 22e, 22f 제 2 오목부 단자
23, 23a, 23b 제 2 부분 벽 단자
24 오목부 고정 단자
25 클로부
26 오목부 만곡면
30, 30a, 30b, 30c 전기 커넥터 세트
31, 31a, 31b 제 1 맞물림 단자
32a, 32b, 32c, 32d, 32e, 32f 제 2 맞물림 단자
33, 33a, 33b 벽 형상 단자
34 고정 단자
42 스프링 맞물림 부분의 투영 영역의 외형 포함 영역
44 외부 금속 단자
46, 46a, 46b 블록

Claims (19)

  1.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대향시켜 감합하여 구성된 전기 커넥터 세트로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는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2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에 대해서 제 1 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 2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제 2 맞물림 단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의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제 1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의 상기 제 1 방향으로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상기 제 1 방향 및 감합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벽 형상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벽 형상 단자는 금속 재료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접지 전위로 접속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제 1 방향으로부터의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의 투영 영역의 외형을 포함하는 면 형상을 갖는 전기 커넥터 세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제 1 부분 벽 단자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제 2 부분 벽 단자가 맞물림하여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 벽 단자 또는 상기 제 2 부분 벽 단자 중 적어도 한쪽은 탄성 변형가능한 전기 커넥터 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벽 형상 단자로 구성되는 블록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2개소에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커넥터의 각각의 블록의 제 1 부분 벽 단자 사이의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A)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각각의 블록의 제 2 부분 벽 단자 사이의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B)에 대해서,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A)<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B)의 관계가 되는 전기 커넥터 세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와 상기 벽 형상 단자로 구성되는 블록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2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유지하는 록 기구를 갖는 고정 단자를 더 갖고,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볼록부 고정 단자의 볼록부 만곡면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오목부 고정 단자의 오목부 만곡면이 서로 접촉해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볼록부 만곡면의 내측과 상기 제 1 부분 벽 단자의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C)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오목부 만곡면의 내측과 상기 제 2 부분 벽 단자의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D)에 대해서, 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C)>제 1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D)의 관계가 되는 전기 커넥터 세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합 방향에 대해서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를 유지하는 록 기구를 갖는 고정 단자를 더 갖는 전기 커넥터 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의 볼록부 고정 단자의 볼록부 만곡면과 상기 제 2 커넥터의 오목부 고정 단자의 오목부 만곡면이 서로 접촉해서 구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의 상기 볼록부 고정 단자, 및 상기 제 2 커넥터의 상기 오목부 고정 단자 중 적어도 한쪽과 상기 벽 형상 단자는 동일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그 접속 부분은 접지 전위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 세트.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전체 둘레에 걸쳐 환 형상으로 배치된 금속 단자를 갖는 전기 커넥터 세트.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2열의 다극 구성을 갖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 사이에 배치된 제 2 벽 형상 단자를 더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세트.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는 상기 제 1 볼록부 단자와 상기 제 1 오목부 단자가 스프링 맞물림하고 있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 상기 벽 형상 단자의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범위보다 내측에 있는 전기 커넥터 세트.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에 대해서 착탈가능하며,
    상기 제 1 커넥터 또는 상기 제 2 커넥터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적어도 1개소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를 배치가능한 전기 커넥터 세트.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맞물림 단자는 밀리파용 접속 단자이며, 상기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2 커넥터의 감합 방향의 합계 두께는 1mm 이하인 전기 커넥터 세트.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맞물림 단자는 상기 제 1 방향을 따라 2열의 다극 구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 세트.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 형상 단자는 상기 커넥터 세트의 감합 방향의 높이와 같은 높이를 갖는 전기 커넥터 세트.
KR1020207036056A 2018-06-27 2019-04-26 전기 커넥터 세트 KR102522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122470 2018-06-27
JP2018122470 2018-06-27
PCT/JP2019/017833 WO2020003731A1 (ja) 2018-06-27 2019-04-26 電気コネクタセ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536A KR20210010536A (ko) 2021-01-27
KR102522299B1 true KR102522299B1 (ko) 2023-04-17

Family

ID=6898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056A KR102522299B1 (ko) 2018-06-27 2019-04-26 전기 커넥터 세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04676B2 (ko)
JP (2) JP6635242B1 (ko)
KR (1) KR102522299B1 (ko)
CN (1) CN112368892B (ko)
TW (1) TWI741312B (ko)
WO (1) WO2020003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8892B (zh) * 2018-06-27 2022-05-1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组
CN114041246B (zh) * 2019-07-04 2024-05-07 爱沛股份有限公司 连接器装置
WO2021020533A1 (ja) * 2019-08-01 2021-02-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メス型多極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る多極コネクタセット
JP7411882B2 (ja) 2019-08-08 2024-01-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03085B2 (ja) * 2020-01-15 2023-12-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JP7417855B2 (ja) 2020-01-15 2024-01-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2021118145A (ja) * 2020-01-29 2021-08-1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コネク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US11469538B2 (en) 2020-05-13 2022-10-11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plate portions on the connector and mating connectors
JP7348135B2 (ja) * 2020-05-26 2023-09-2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US11652323B2 (en) * 2020-05-13 2023-05-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connector encolsed by a shell and a mating connector enclosed by a mating shell
JP7493877B2 (ja) 2020-06-18 2024-06-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コネクタ
US20240097366A1 (en) * 2021-03-08 2024-03-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ssembly
JP2022176435A (ja) 2021-05-17 2022-11-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7802A (ja) * 2005-12-01 2009-04-3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20180175561A1 (en) 2016-12-21 2018-06-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1728A (en) * 1973-11-30 1975-03-18 Itt Matched impedanc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4616893A (en) * 1984-04-25 1986-10-14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 miniature, bussing connector
US4695106A (en) * 1985-05-13 1987-09-22 Amp Incorporated Surface mount, miniature connector
US4824383A (en) * 1986-11-18 1989-04-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Terminator and corresponding receptacle for multiple electrical conductors
US4836791A (en) * 1987-11-16 1989-06-06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coax connector
US5046960A (en) * 1990-12-20 1991-09-10 Amp Incorporated High density connector system
EP0514055B1 (en) * 1991-05-13 1997-01-02 Fujitsu Limited Impedance-matched electrical connector
JP2583839B2 (ja) * 1991-07-24 1997-02-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高速伝送電気コネクタ
US5183405A (en) * 1991-12-20 1993-02-02 Amp Incorporated Groun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201664A (en) * 1992-02-12 1993-04-13 Amp Incorporated Alignment member for use with surface mount contacts
JP2597637Y2 (ja) * 1992-09-09 1999-07-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108239B2 (ja) * 1993-02-19 2000-11-13 富士通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整合型電気コネクタ
US5403206A (en) * 1993-04-05 1995-04-04 Teradyne, Inc.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H07122335A (ja) * 1993-10-20 1995-05-12 Minnesota Mining & Mfg Co <3M>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5813871A (en) * 1996-07-31 1998-09-29 The Whitaker Corporation High frequency electrical connector
JP3685908B2 (ja) * 1997-05-30 2005-08-2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高速伝送用コネクタ
US6565369B1 (en) * 1998-03-17 2003-05-20 Intel Corporation Board-stacking connector
JP3264434B2 (ja) * 1998-05-06 2002-03-11 ケル株式会社 グランド板付コネクタ
JP3277154B2 (ja) * 1998-05-06 2002-04-22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US6095821A (en) * 1998-07-22 2000-08-01 Molex Incorporated Card edge connector with improved reference terminals
JP2000067955A (ja) * 1998-08-17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ジャック、プラグ、及びコネクタ装置
JP2000067956A (ja) * 1998-08-24 2000-03-0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プラグ、ジャック、及びコネクタ装置
US6336826B1 (en) * 1998-12-17 2002-01-0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Communications cabling system with twisted wire pairs
JP3397303B2 (ja) * 1999-06-17 2003-04-14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6464537B1 (en) * 1999-12-29 2002-10-15 Berg Technology, Inc. High speed card edge connectors
US6338635B1 (en) * 2000-08-01 2002-01-1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bus
JP2003109701A (ja) * 2001-09-27 2003-04-11 D D K Ltd コネクタ
US6645005B2 (en) * 2001-11-29 2003-11-1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tal ears
JP3086881U (ja) 2001-12-21 2002-07-05 連展科技股▲分▼有限公司 オス型電気コネクタ
US6899566B2 (en) * 2002-01-28 2005-05-31 Erni Elektroapparate Gmbh Connector assembly interface for L-shaped ground shields and differential contact pairs
EP1353410B1 (en) * 2002-01-30 2006-01-25 Fujitsu Component Limited Connector
US6942525B2 (en) * 2002-05-24 2005-09-13 Fci Americas Technology, Inc. Plug
US6666696B1 (en) * 2002-08-12 2003-12-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grounding terminal arrangement
TW553540U (en) * 2002-12-13 2003-09-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974225B2 (en) * 2003-04-24 2005-12-13 Ming-Bi Weng Sequence lighting system for footwear
JP4212955B2 (ja) * 2003-05-27 2009-01-21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平衡伝送用プラグコネクタ
JP4494251B2 (ja) * 2004-07-26 2010-06-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平衡伝送用コネクタユニット
US7150652B1 (en) * 2006-02-21 2006-12-19 Myoungsoo Jeon Connector having a pair of printed circuits and facing sets of contact beams
CN201196992Y (zh) * 2008-01-29 2009-02-1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MY155071A (en) * 2008-12-12 2015-08-28 Molex Inc Resonance modifying connector
US8790122B2 (en) * 2012-06-19 2014-07-2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housing
CN109004398B (zh) * 2012-08-27 2021-09-07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高速电连接器
US8944863B1 (en) * 2013-07-26 2015-02-03 All Best Precision Technology Co., Ltd. Terminal set of electrical connector
JP6199666B2 (ja) * 2013-09-04 2017-09-20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972855B2 (ja) * 2013-12-24 2016-08-1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201530919A (zh) * 2014-01-17 2015-08-01 Aces Electronics Co Ltd 電連接器
JP6167997B2 (ja)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US9570857B2 (en) * 2015-03-27 2017-02-14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interconnection system having resonance control
JP6399063B2 (ja) 2016-09-07 2018-10-03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08258484B (zh) * 2016-12-28 2020-02-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US10170849B2 (en) * 2017-04-07 2019-01-0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slidable latch
CN112368892B (zh) * 2018-06-27 2022-05-1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电连接器组
CN209571614U (zh) * 2019-04-18 2019-11-0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7802A (ja) * 2005-12-01 2009-04-3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20180175561A1 (en) 2016-12-21 2018-06-21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Shielded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536A (ko) 2021-01-27
JP6908099B2 (ja) 2021-07-21
US20210111521A1 (en) 2021-04-15
WO2020003731A1 (ja) 2020-01-02
JP2020043092A (ja) 2020-03-19
CN112368892B (zh) 2022-05-13
US11804676B2 (en) 2023-10-31
JP6635242B1 (ja) 2020-01-22
TW202002430A (zh) 2020-01-01
TWI741312B (zh) 2021-10-01
JPWO2020003731A1 (ja) 2020-07-02
CN112368892A (zh) 2021-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2299B1 (ko) 전기 커넥터 세트
KR102522302B1 (ko) 전기 커넥터 세트 및 그 전기 커넥터 세트가 실장된 회로기판
US1044698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plate
US11495919B2 (en) Connector assembly in which ground terminals are coupled to form a shielding
KR102494901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CN113950777B (zh) 连接器组以及电子电路装置
US20220140512A1 (en) Female multipolar connector and multipolar connector set equipped therewith
CN108075263B (zh) 连接器
CN214849393U (zh) 连接器组装体
CN113348596B (zh) 多极连接器组
CN113302802A (zh) 连接器和连接器组
US11996655B2 (en) Multipolar connector and multipolar connector set
JP6763418B2 (ja) 電気コネクタ
US20220021159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t
WO2020116149A1 (ja)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構造
US2023032735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set provided with the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