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8140A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8140A
KR20160118140A KR1020160037366A KR20160037366A KR20160118140A KR 20160118140 A KR20160118140 A KR 20160118140A KR 1020160037366 A KR1020160037366 A KR 1020160037366A KR 20160037366 A KR20160037366 A KR 20160037366A KR 20160118140 A KR20160118140 A KR 20160118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wall
terminal
receptacl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116B1 (ko
Inventor
유키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1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8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땜납이나 코팅제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하우징(10)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벽(11)과, 저벽(11)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벽(12)을 갖고, 당해 기립벽(12)은, 당해 기립벽(12)의 측면으로부터 파임과 함께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12A)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20)는, 저벽(11)에 일체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기부(21)와, 당해 기부(21)의 일단으로부터 홈부(12A) 안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 아암부(22)와, 기부(2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실장면에 납땜 접속 가능한 접속부(24)를 갖고, 기립벽(12)의 홈부(12A)는, 당해 기립벽(12)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저벽(11)은,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접촉 아암부(22)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직방체 외형의 하우징과, 커넥터 길이 방향(하우징의 긴 쪽 방향)에서 당해 하우징에 일체 성형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는 단자를 갖고 있다. 당해 하우징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과 대면하는 저벽과, 당해 저벽의 주연부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하는 사각틀 형상의 둘레벽과, 커넥터 폭방향(하우징의 상기 긴 쪽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짧은 쪽 방향)에서의 중앙영역에서 저벽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을 갖고 있다. 상기 둘레벽과 상기 돌출벽으로 둘러싸여 상방으로 개구하는 사각 환상(環狀)의 공간은, 상대 커넥터를 상방으로부터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자는, 상기 저벽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基部)를 갖고 있고,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한 접촉 아암부가 상기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돌출벽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당해 접촉 아암부의 상단부에는,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상대 단자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부가 수용부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의 자유단부는, 하우징 바깥에서 상기 실장면에 납땜 접속 가능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돌출벽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 상기 접촉 아암부가 탄성 변위했을 때에 그 변위 분의 진입을 허용하는 홈부가 돌출벽의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파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당해 홈부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지만, 상단은 폐색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부의 대향 내벽면(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대향하는 내측 벽면)과 상기 접촉 아암부의 사이에는 극간이 형성되어 있어, 당해 홈부와 상기 수용부는 이 극간을 통하여 연통하고 있다.
또한, 저벽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접촉 아암부 및 상기 돌출벽을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상하 방향(저벽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공부(孔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벽의 홈부와 상기 저벽의 공부는, 커넥터의 제조시, 하우징과 단자의 일체 성형 후에 금형을 하방으로 발거함으로써 형성되는 공간이며, 서로 연통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60360호
특허문헌 1의 커넥터의 회로 기판에 대한 실장시에, 단자의 접속부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납땜 접속할 때, 용융 상태의 땜납(용융 땜납)이 하우징의 저벽의 저면과 상기 실장면의 사이의 극간을 흐르고, 또한 저벽의 공부를 거쳐 단자의 접촉 아암부의 표면을 기어 올라가는, 소위 땜납 불어 오름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접촉 아암부의 표면에 부착한 땜납이 굳어지면, 충분한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 상태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접촉 아암부의 표면을 불어 오른 용융 땜납이, 추가로 당해 접촉 아암부와 돌출벽의 홈부의 대향 내벽면의 극간을 거쳐 접촉부의 돌출면, 즉 상대 단자와의 접촉면에까지 달했을 경우에는, 상대 단자와의 접촉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접속부와 상기 실장면의 납땜 접속 부분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당해 납땜 접속 부분에 수지 등의 코팅제가 도포되는 경우가 있지만, 당해 코팅제도, 전술한 땜납의 경우와 동일하게 용융 상태로 흐르고, 접촉 아암부의 표면에 부착하여,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의 불량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땜납이나 코팅제가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단자를 갖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어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과, 저벽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벽을 갖고, 당해 기립벽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측면으로부터 파임과 함께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저벽에 따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당해 저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기부와, 당해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에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와, 상기 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실장면에 납땜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부는, 커넥터 폭방향 및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홈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극간을 갖고 당해 홈부에 수용되어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립벽의 홈부는, 당해 기립벽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벽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립벽의 홈부는, 당해 기립벽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즉, 당해 홈부는, 기립벽의 꼭대기면 위치(저벽의 반대측의 단면)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홈부를 갖는 기립벽을,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기립벽의 꼭대기면측으로부터 저벽측을 향하여 금형을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성형할 수 있다. 이 결과, 상기 꼭대기면측과는 반대의 측에서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당해 홈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환언하면, 당해 홈부에 수용되는 단자의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저벽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커넥터의 실장시, 단자의 접속부를 실장면에 납땜 접속할 때, 용융한 땜납이 하우징의 저벽과 상기 실장면의 사이를, 단자의 접촉 아암부측을 향하여, 즉 상기 범위를 향하여 흐르려고 해도, 당해 범위에서 저벽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 땜납이 상기 접촉 아암부의 표면을 기어 올라가는 일이 없이, 접촉 아암부로의 땜납의 부착이 방지된다. 이 결과, 땜납에 의해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에 지장이 발생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접촉 아암부의 접촉부에 땜납이 부착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접촉부에서의 접촉 불량 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납땜 접속 부분에 수지 등의 코팅제를 도포할 때에 있어서도, 전술한 땜납의 경우와 동일하게, 접촉 아암부에의 코팅제의 부착이 저지되어,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 상태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확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의 저벽은, 커넥터 폭방향에서 접촉 아암부와는 상이한 범위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당해 저벽을 관통하는 저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저공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기부의 저면이 상기 저공부에서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기부의 양측 단면이 상기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우징의 저벽에 저공부를 형성하는 경우, 하우징과 단자의 일체 성형시에서, 단자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저공부가 형성되는 범위에서 기부의 저면이 금형에 의해 눌러진다. 금형을 발거함으로써 상기 범위에서 저벽에 상기 저공부가 형성된다. 당해 저공부에서, 저면이 노출하고 있는 기부의 양측 단면은 상기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된다. 즉, 기부의 양측 단면과 저벽의 사이에는 극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저공부는 당해 기부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한 땜납이나 코팅제가, 회로 기판의 실장면측으로부터 저공부 안으로로 유입되는 일이 있어도, 땜납이나 코팅제는 상기 기부의 저면에 의해 그 이상의 진행이 저지되어, 당해 저공부 안에 머무르기 때문에, 땜납이나 코팅제가 단자의 접촉 아암부측에 기어 올라가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금형으로 단자를 누름으로써 저공부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 상태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폭이 상기 저공부보다도 커져 있고, 양측 단면에 더하여, 상기 단자폭의 측연부에서의 적어도 한쪽의 판면이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단자의 기부가, 그 양측 단면뿐만 아니라, 상기 단자폭의 측연부에서의 판면도 저벽에서 보유지지됨으로써, 상기 저공부가 상기 기부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폐색된다. 따라서, 땜납이나 코팅제가 상기 저공부를 거쳐 단자의 접촉 아암부측에 기어 올라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단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 배열되어 있고, 단자 배열 범위의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단자가 전원 단자를 이루고, 그리고 단자 배열 범위의 중간영역에 위치하는 다른 단자가 신호 단자를 이루고 있고, 하우징의 저벽의 저공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등간격으로 복수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의 상기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호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복수의 저공부를 덮어 형성된 단자의 기부는, 단자와 하우징의 일체 성형시, 상기 복수의 저공부의 각각의 위치에서 금형에 의해 판면을 누를 수 있다. 따라서, 단자의 기부가 하나의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즉, 일체 성형시에 단자의 기부가 당해 하나의 저공부의 위치에서 금형에 의해 판면을 누를 수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부의 판면을 누르는 위치가 많아지기 때문에, 그 만큼, 당해 판면을 누르는 면적이 넓어져, 일체 성형시에 있어서의 단자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접촉 아암부를 수용하기 위한 홈부가, 하우징의 기립벽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당해 기립벽의 꼭대기면 위치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발 방향에서 기립벽의 꼭대기면측으로부터 저벽측을 향하여 금형을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기립벽을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홈부에 수용되는 상기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범위에 하우징의 저벽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용융한 땜납이나 코팅제의 유입을 저벽으로 저지함으로써, 당해 땜납이나 코팅제가 상기 접촉 아암부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접촉 아암부의 탄성 변위 상태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것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감합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사시도, 도 2(B)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사시도이며, 각각 커넥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좌반부(左半部)에서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고, 우반부(右半部)의 하방 위치에서는 당해 우반부에 보유지지되는 보강 금구를 나타내고 있다.
도 3(A)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부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도이며, 리셉터클 신호 단자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가 파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신호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5(A)는 커넥터 감합 전 상태, 도 5(B)는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커넥터 폭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6(A)는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 도 6(B)는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것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감합되는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며, 각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1에서의 상하 방향)을 삽발 방향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 방향, 즉 도 1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방향을 「커넥터 감합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 즉 도 1에서의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발출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한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의 감합 방향 및 발출 방향은, 각각 전술의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감합 방향」 및 「커넥터 발출 방향」의 반대 방향이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의 구성]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과,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방향인 커넥터 길이 방향(하우징(10)의 긴 쪽 방향)에서 당해 하우징(10)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를 갖고 있다.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서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 상에 배치 실장된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10)의 후술하는 돌출벽(12)의 범위에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대칭인 2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배열 범위에 대하여 양방의 외측 위치에서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일부로서 리셉터클 전원 단자(45)를 갖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리셉터클 전원 단자(45)는,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양단영역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배열 범위에 대하여 양방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부착 대상면인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면을 갖고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을 긴 쪽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저벽(11)(도 4 참조)과,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저벽(11)의 중앙영역에서 당해 저벽(11)으로부터 상방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12)과, 저벽(11)으로부터 기립하여 돌출벽(12)을 둘러싸는 사각틀 형상의 둘레벽(1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13)은,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향하는 저벽(11)의 연(緣)부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벽으로서의 측벽(14)과,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대향하는 저벽(11)의 연부로부터 기립함과 함께, 상기 한 쌍의 측벽(1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벽으로서의 단부벽(15)을 갖고 있다. 둘레벽(13)과 돌출벽(12)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한 사각 환상의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6)를 형성하고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의 저면도인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벽(11)은, 커넥터 길이 방향(도 4에서 좌우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지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관통하는 저공부(11A)가 당해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도 5(A), 도 5(B)를 참조). 이 저공부(11A)는, 하우징(10)과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일체 성형 후, 금형을 하방으로 발거할 때에 형성된다. 당해 저공부(11A)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는 저공부(11A)를 제외하고, 등간격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저공부(11A)끼리의 간격은, 다른 저공부(11A)끼리의 간격보다도 약간 좁아져 있다(도 4 참조). 또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에 위치하는 저공부(11A)는, 다른 저공부(11A)보다도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치수가 약간 작아져 있다.
리셉터클 단자(20)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인 도 5(A),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저공부(11A)는, 커넥터 길이 방향(지면에 직각인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커넥터 폭방향(도 5(A), 도 5(B)에서의 좌우 방향)에서, 돌출벽(12)의 측면보다도 약간 외측의 위치에서 측벽(14)의 내면보다도 약간 외측의 위치까지 걸치는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저공부(11A)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후술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촉 아암부(22)보다도 외측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위치에 형성된 저공부(11A)도 마찬가지로,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후술의 리셉터클 전원 단자(45)의 접촉 아암부(44)보다도 외측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접촉 아암부(22, 44)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는 저벽(11)이 폐색되어 있다. 이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45)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리셉터클 단자(20, 45)」라고 총칭한다.
또한, 저벽(11)은,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측방 고정부(4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당해 저벽(11)의 저면이 당해 접속부(24)의 상면 및 측방 고정부(42)의 상면에 접면하고 있다. 또한, 당해 저벽(11)은, 접속부(24)끼리 사이의 위치 및 접속부(24)와 측방 고정부(42)의 사이의 위치에서는, 당해 저벽(11)의 저면이 당해 접속부(24)의 상면 및 측방 고정부(42)의 상면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당해 저면의 하방에 저홈부(11B)가 형성되어 있다(도 4도 참조).
돌출벽(12)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신호 단자용 홈부(12A)가, 그리고 리셉터클 전원 단자(45)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원 단자용 홈부(12B)가, 돌출벽(12)의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파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5(A), 도 5(B) 참조). 이하, 신호 단자용 홈부(12A) 및 전원 단자용 홈부(12B)를,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단자용 홈부(12A, 12B)」라고 총칭한다. 도 5(A),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자용 홈부(12A, 12B)는, 돌출벽(12)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단 위치에서는 개방되어 있음과 함께, 하단 위치에서는 저벽(11)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당해 단자용 홈부(12A, 12B)는, 리셉터클 단자(20, 45)의 접촉 아암부(22, 44)를 수용하고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신호 단자용 홈부(12A)와 전원 단자용 홈부(12B)는 동일한 홈폭 치수(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부가, 리셉터클 단자(20, 30)의 배열 범위의 부분보다도 높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에서는, 측벽(14)의 내면(수용부(16)측에 위치하는 면)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경사하는 측방 안내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측방 안내면(14A)은,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커넥터 폭방향에서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안내한다.
단부벽(15)의 내면(수용부(16)측에 위치하는 면)의 상부에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양단영역에서 하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경사하는 단부 안내면(15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단부 안내면(15A)의 상연 및 하연은, 측방 안내면(14A)의 상연 및 하연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당해 단부 안내면(15A)은,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안내한다.
또한, 측방 안내면(14A)과 단부 안내면(15A)의 사이에는, 하방을 향하는 것에 따라 커넥터 폭방향 안쪽 및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경사하는 모퉁이 안내면(10A)이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모퉁이 안내면(10A)의 상연 및 하연은, 측방 안내면(14A) 및 단부 안내면(15A)의 상연 및 하연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당해 모퉁이 안내면(10A)은,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커넥터 폭방향 및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안내한다.
도 2(A)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 사시도이다. 이 도 2(A), 도 2(B)에서는, 커넥터 길이 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하우징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좌반부에서 하우징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고, 우반부의 하방 위치에서 당해 우반부에 보유지지되는 보강 금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A), 도 2(B)의 좌반부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비해 단자끼리의 간격 및 단자와 보강 금구의 간격을 크게 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1, 도 2(B) 및 도 5(A)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신호 단자(20)는, 띠 형상의 금속판 조편을 판두께 방향에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하우징의 저벽(11)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21)와, 당해 기부(21)의 돌출벽(12)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기부(21)의 측벽(14)측의 단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나서 하방을 향하여 꺾여진 역 U자 형상의 피보유지지부(23)와, 당해 피보유지지부(23)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24)를 갖고 있다.
도 5(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21)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수용부(16)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저벽(11)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당해 기부(21)는,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그 상면이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저벽(11)의 저공부(11A)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그 하면이 회로 기판측으로 노출하고 있다. 또한, 기부(21)는, 그 긴 쪽 방향(커넥터 폭방향)에서 돌출벽(12)측의 부분이 폭협부(幅狹部)로서 형성되고, 측벽(14)측의 부분이 당해 폭협부보다도 단자폭(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이 넓은 폭광부(幅廣部)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서 파선으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기부(21)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상기 폭광부가 저벽(11)의 저공부(11A)의 대부분의 범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고, 상기 폭협부가 저공부(11A)의 잔부의 범위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다. 또한, 기부(21)의 폭협부 및 폭광부는, 그 단자폭이 저벽(11)의 저공부(11A)보다도 커져 있고, 당해 기부(21)의 양측 단면 그리고 양측 연부(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에서의 하면(판면)이 저벽(11)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기부(21)의 양측 단면(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단면)과 저벽(11)의 사이에는 극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저공부(11A)는, 그 상단 개구가 기부(21)의 하면에 의해 덮여 폐색되어 있다. 또한, 저공부(11A)에 대응하는 범위에서, 기부(21)의 측연부의 판면이 저벽(11)에 보유지지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적어도 기부(21)의 양측 단면만이 보유지지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기부(21)의 측단부의 판면이 저벽(11)에 보유지지되는 경우, 측단부의 상면만, 혹은 하면 및 상면의 양방이 보유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돌출벽(12)의 신호 단자용 홈부(12A) 안에 수용되어 있고, 그 판두께 방향(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그 하부가 기부(21)와 동일한 폭 치수(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부가 하부보다도 작은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당해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그 자유단측인 상단측 부분이 측벽(14)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여,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와 접촉하기 위한 신호 접촉 돌기부(22A)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5(B) 참조).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자유 상태에서, 신호 접촉 돌기부(22A)의 만곡 정부가 하우징(10)의 신호 단자용 홈부(12A)로부터 돌출하여 수용부(16) 안에 위치하고 있다(도 5(A) 참조).
피보유지지부(23)는,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부(21)의 측벽(14)측의 단부로부터 당해 측벽(14)의 내면을 따라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측 아암부(23A)와, 당해 내측 아암부(23A)의 상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당해 내측 아암부(23A)보다도 커넥터 폭방향 외측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이행부(23B)와, 당해 이행부(23B)를 거쳐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아암부(23C)를 갖고 있고, 측벽(14)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내측 아암부(23A)는, 수용부(16) 안을 향하여 판면이 노출하고 있고, 당해 판면으로부터 직사각형 형상으로 파인 로크 요(凹)부(23A-1)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로크 요부(23A-1)는,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폭 치수(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는 내측 아암부(23A)의 폭 치수보다 작아져 있다. 당해 로크 요부(23A-1)는,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피로크단차부(61A-1)에 계지함으로써, 커넥터 감합 상태를 유지하여 커넥터끼리의 누락을 방지함과 함께, 당해 피로크단차부(61A-1)와의 계지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상기 신호 접촉 돌기부(22A)를 보조하는 역할도 행한다(도 5(B) 참조).
이행부(23B)는,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고, 당해 이행부(23B)의 상면이 측벽(14)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외측 아암부(23C)는, 측벽(14)으로부터 노출하는 일 없이 당해 측벽(14) 안에 매설 보유지지되고 있다(도 5(A)도 참조). 당해 외측 아암부(23C)는, 도 2(B)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단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작은 폭 치수(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24)는, 기부(21)보다도 하방 위치에서, 외측 아암부(23C)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에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당해 접속부(24)는,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납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술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접속부(24)의 첨단 위치를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로 함으로써,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대형화가 회피되고 있다. 또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24)끼리 사이의 위치에서는 하우징(10)의 저벽(11)에 저홈부(11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납땜 접속시에서, 용융 땜납이 저홈부(11B) 안으로 유입됨으로써, 접속부(24)의 양측 단면(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에 대하여 납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당해 접속부(24)에서 납땜 접속 가능한 부분의 면적을 충분히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B)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하우징(10)을 보강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 나아가서는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단,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 그리고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방으로부터 봐서, 단부벽(15)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과, 돌출벽(12)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과, 두 개의 측벽(14)의 각각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과, 수용부(16)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으로 대별된다.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있어서의, 단부벽(15)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은, 당해 단부벽(15)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와, 당해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와, 당해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를 거쳐 단부벽(15)의 외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와,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양단 가까운 위치에서 당해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 고정부(34)를 갖고 있다.
단부벽 내면 보강부(31)는, 하반부가 커넥터 폭방향으로 단부벽(15)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상반부가 상기 하반부 커넥터 폭방향 중앙영역에서 당해 하반부의 상연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판면은, 단부벽(15)의 내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여 노출하고 있다.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상반부와 동일한 폭 치수(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상반부에 연속하여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여, 그 상면이 단부벽(15)의 상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는,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와 동일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당해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에 연속하여 연장되어, 그 판면이 단부벽(15)의 외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 및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가 각각 단부벽(15)의 내면 그리고 상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발 과정에서, 당해 단부벽(15)의 내면 그리고 상면이 플러그 커넥터(2)와의 간섭에 의해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단부 고정부(34)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전원 회로부와 납땜 접속되어 고정된다. 당해 단부 고정부(34)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단부벽(15)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부 고정부(34)의 첨단 위치를 단부벽(15)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로 함으로써,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대형화가 회피되고 있다.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있어서의, 돌출벽(12)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은,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벽(12)의 기립면으로서의 단면(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와, 당해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와, 당해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를 거쳐 하방으로 연장되는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37)와, 후술의 연출부(延出部; 43)로부터 돌출벽(12)의 전원 단자용 홈부(12B) 안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원 접촉 아암부(44)를 갖고 있다.
돌출벽 단면 보강부(35) 및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는, 돌출벽(12)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음과 함께, 각각의 판면이 돌출벽(12)의 단면 그리고 상면(꼭대기면)과 동일 레벨면을 이루어 노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벽 단면 보강부(35) 및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가 각각 돌출벽(12)의 단면 그리고 상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발 과정에서, 돌출벽(12)의 단면 그리고 상면이 플러그 커넥터(2)와의 간섭에 의해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 접촉 아암부(44)는, 리셉터클 단자(20)의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동일한 열을 이루어 위치하고, 판두께 방향(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 변위하여, 후술의 플러그 보강 금구(70)에 설치된 대응 전원 접촉부로서의 내측 판부(73)(도 2(A) 참조)와 접압을 갖고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5(B) 참조). 당해 전원 접촉 아암부(44)는, 그 자유단측인 상단측 부분이 측벽(14)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여, 그 볼록하게 만곡한 부분이 상기 내측 판부(73)와 접촉하기 위한 전원 접촉 돌기부(44A)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원 접촉 아암부(44)는, 자유 상태에서는, 전원 접촉 돌기부(44A)의 만곡 정부가 하우징(10)의 전원 단자용 홈부(12B)로부터 돌출하여 수용부(16) 안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접촉 아암부(44)는 생략된다.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있어서의, 측벽(14)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은,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하반부의 커넥터 폭방향 양단으로부터 측벽(14)을 따라서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측벽측 피보유지지부(39)와, 당해 측벽측 피보유지지부(39)의 상연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이행부(40)와, 당해 이행부(40)를 거쳐 측벽(14)의 내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로크판부(41)와, 측벽측 피보유지지부(39)의 하연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측방 고정부(42)를 갖고 있다.
측벽측 피보유지지부(39)는, 측벽(14)에 매설 보유지지되어 있다. 이행부(40)는, 상방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하고 있고,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이 측벽(14)의 상면과 동일 레벨면을 이루어 노출하고 있다. 로크판부(41)는, 수용부(16)측에 위치하는 판면이 측벽(14)의 내면으로부터 노출한 상태로 당해 측벽(14)에 보유지지되어 있고, 그 노출한 판면으로부터 직사각형 형상으로 파인 로크 요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크판부(41)를 생략해도 좋다.
측방 고정부(42)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전원 회로부와 납땜 접속되어 고정되고, 후술의 전원 단자(45)를 위한 접속부로서의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당해 측방 고정부(42)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측방 고정부(42)의 첨단 위치를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위치로 함으로써,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대형화가 회피되고 있다. 또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측방 고정부(42)와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의 사이의 위치에는 하우징(10)의 저벽(11)에 저홈부(11B)가 형성되어 있어, 납땜 접속시에서, 용융 땜납이 저홈부(11B) 안으로 유입되어 측방 고정부(42)의 측단면에 대하여 납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결과,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커넥터의 대형화를 회피하면서, 당해 접속부(24)에서 납땜 접속 가능한 부분의 면적의 확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있어서의, 수용부(16)의 위치에 설치되는 부분은, 저벽(11)을 따라서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부벽 내면 보강부(31) 및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의 하단부끼리를 연접하는 연접 저부(38)(도 6(A), 도 6(B)도 참조)와, 저벽(11)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전원 접촉 아암부(44) 및 로크판부(41)의 하단부끼리를 연접하는 연출부(43)를 갖고 있다. 연접 저부(38) 및 연출부(43)는, 그 상면이 수용부(16)에 노출한 상태에서 당해 저벽(11)에 보유지지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출부(43)를 생략해도 좋다.
연출부(43)는, 로크판부(41)와 동일한 단자폭 치수로 당해 로크판부의 하연으로부터 돌출벽(12)측을 향하여 연출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전원 단자용 홈부(12B)와 동위치에서, 연출부(43)의 돌출벽(12) 가까이의 연부(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전원 접촉 아암부(44)가 연장되어 있다. 이하, 연출부(43)와 전원 접촉 아암부(44)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전원 단자(45)」라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단자(45)가,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를 대신하여, 전원 단자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만들어져 있어도 좋다.
연출부(43)는, 전원 단자(45)의 기부를 이루고 있다. 당해 연출부(43)는, 이미 서술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와 동일하게, 커넥터 폭방향에서 수용부(16)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에 대해서는 도 5(A), 도 5(B) 참조). 또한, 도 4에서 파선으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출부(43)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두 개의 저공부(11A)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연출부(43)의 양측 단면 그리고 양측 연부(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부)에서의 하면(판면)이 저벽(11)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연출부(43)의 양측 단면(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단면)과 저벽(11)의 사이에는 극간이 존재하고 있지 않아, 상기 두 개의 저공부(11A)의 상단 개구는, 하나의 연출부(43)의 하면에 의해 덮여 폐색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의 리셉터클 커넥터(1)는, 이하의 요령으로 제조된다. 우선,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를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배열한다. 다음으로, 당해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를, 상방으로부터 맞물려지는 금형(「상측 금형」이라 함)에 의해 상방으로부터, 그리고 하방으로부터 맞물려지는 금형(「하측 금형」이라 함)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눌러 고정한다. 이때, 상측 금형 및 하측 금형은,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 그리고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연출부(43)의 각각의 상면 및 하면을 끼워 잡듯이 누른다.
그런데, 동일한 단자폭의 복수의 단자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하우징으로 보유지지하는 경우, 종래에서는, 일체 성형시에서 단자를 금형으로 누를 때, 모든 단자는, 각각 동일한 면적을 갖고 1개소에서 눌러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상기 복수의 단자 중 일부의 단자의 기부가 다른 단자의 기부보다도 폭이 넓은 경우에는, 상기 일부의 단자의 기부의 1개소를, 상기 다른 단자의 기부에서의 누름 면적(금형으로 누를 수 있는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누르는 것으로 하면, 일체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상기 일부의 단자의 자세가 불안정이 되어 버린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연출부(43)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보다도 폭이 넓지만, 당해 연출부(43)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복수 개소(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소)에서 금형에 의해 눌러져, 그 누름 면적은 두 개의 저공부(11A)의 합계 면적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폭이 넓은 연출부(43)를 하나의 저공부(11A)의 면적을 갖고 1개소에서 누르는 경우와 비교하여, 누르는 개소수가 증가하고, 또한, 누름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일체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자세를 보다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저벽(11)은, 연출부(43)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두 개)의 저공부(11A) 이외의 범위에서 폐색되어 있어, 당해 연출부(43)가 당해 저벽(11)에 보유지지되고 있다. 따라서, 일체 몰드 성형시에서의 큰 누름 면적 그리고 단자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출부의 거의 전역에 걸치는 영역에서 저벽에 저공부가 형성되게 되는 경우와 비교하면, 연출부(43)에 대응하는 영역에서의 하우징(10)의 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합된 상하 두 개의 금형 안에 수지를 주입하고,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를 하우징(10)과 일체 몰드 성형함으로써, 당해 하우징(10)에 보유지지시킨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커넥터 전체로 보았을 때에, 거의 등간격의 복수 위치에서 금형에 의해 눌러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수지를 흘려 넣을 수 있다.
일체 몰드 성형 후, 상측 금형 및 하측 금형을 각각 상방 그리고 하방으로 이동하여 발거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가 완성한다. 이 때, 하측 금형의 하방으로의 발거에 의해, 도 5(A),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단자용 홈부(12A, 12B)보다도 외측에서 저벽(11)에 저공부(11A)가 형성된다. 또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끼리 사이의 위치 그리고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측방 고정부(42)와 접속부(24)의 사이의 위치에는 저홈부(11B)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벽(12)의 단자용 홈부(12A, 12B)는, 당해 돌출벽(12)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돌출벽(12)의 상면(꼭대기면) 위치에서 상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측 금형을 상방으로부터 이동하여 배치함으로써, 단자용 홈부(12A, 12B)를 갖는 돌출벽(12)을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당해 단자용 홈부(12A, 12B)에 대응하는 범위에, 환언하면, 당해 단자용 홈부(12A, 12B)에 수용되는 리셉터클 단자(20, 45)의 접촉 아암부(22, 44)에 대응하는 범위에 저벽(11)을 형성할 수 있다.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실장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측방 고정부(42)를 실장면에 납땜 접속할 때, 용융한 땜납이 하우징(10)의 저벽(11)과 상기 실장면의 사이를 리셉터클 단자(20, 45)의 접촉 아암부(22, 44)측을 향하여 흐르려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촉 아암부(22, 44)에 대응하는 범위에서는 저벽(11)이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 땜납이 상기 접촉 아암부의 표면을 기어 올라가는 일은 없다.
또한, 저벽(11)에는 저공부(11A)가 형성되어 있지만, 모든 저공부(11A)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기부(21) 혹은 리셉터클 전원 단자(45)의 연출부(43)에 의해 상단 개구가 폐색되어 있기 때문에, 용융한 땜납이 상기 실장면측으로부터 저공부(11A) 안으로 유입되는 일이 있어도, 당해 땜납은 상기 기부(21) 그리고 연출부(43)의 저면에 의해 그 이상의 진행이 저지되어, 당해 저공부(11A) 안에 머무르기 때문에, 접촉 아암부(22, 44)측에 기어 올라가는 일이 없다.
또한, 커넥터 실장 후에 납땜 접속 부분에 코팅제가 도포된 경우에도, 전술한 땜납의 경우와 동일하게, 당해 코팅제가 접촉 아암부(22, 44)측에 기어 올라가는 일이 저지된다. 이 결과, 땜납이나 코팅제가 접촉 아암부(22, 44)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 아암부(22, 44)의 탄성 변위 상태나 상대 단자와의 접촉 상태를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
다음으로, 도 1, 도 2(A), 도 3 및 도 5에 기초하여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은 도 1의 플러그 커넥터(2)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B)은 도 3(A)의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50)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플러그 커넥터(2)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부(16)에 적합한 틀 형상의 감합부(도 3(A) 참조)를 갖고 있고, 당해 감합부를 수용부(16) 안으로 끼워넣음으로써, 커넥터(1, 2)끼리가 감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50)과,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커넥터 길이 방향(하우징(50)의 긴 쪽 방향)으로 당해 하우징(50)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플러그 신호 단자(60) 및 플러그 보강 금구(70)를 갖고 있다.
하우징(50)은,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부착 대상면인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면을 갖고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벽(51)과, 당해 저벽(51)으로부터 하방(도 3(A)에서는 상방)으로 기립하는 감합부로서의 둘레벽(5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53)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54)과, 당해 두 개의 측벽(5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하우징(50)의 짧은 쪽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단부벽(55)을 갖고 있다. 둘레벽(53)에 의해 둘러싸여 도 1에서의 하방(도 3(A)에서는 상방)으로 개구한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벽(1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6)(도 3(A)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저벽(51)은, 도 1 및 도 3(A)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측벽(54)의 전역에 걸쳐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튀어나오는 장출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장출부(51A)는, 리셉터클 단자(20)의 이행부(23B)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이행부(40)에 대응하여 위치해 있다(리셉터클 단자(20)의 이행부(23B)와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 5(B) 참조). 도 3(A)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당해 장출부(51A)의 상면은, 후술하는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접속부(62) 및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측방 고정부(74)의 상면보다도 높게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형상의 장출부(51A)를 설치함으로써, 접속부(62) 및 측방 고정부(74)의 땜납 실장시에서, 용융 땜납이 커넥터 폭방향 안쪽으로 흐르려고 해도, 장출부(51A)의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 의해 그 이상의 진행이 저지된다. 즉, 커넥터 폭방향에서 상기 이행부(23B, 40)에 대응하는 위치에 용융 땜납이 유입되는 일이 없다.
종래,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리셉터클 단자의 이행부와 대응하는 범위에 하우징 부분을 갖지 않고, 땜납 실장시에 상기 범위에 용융 땜납이 유입되어 버리는 것에 기인하여, 커넥터 감합시, 상기 범위에서 고체화 한 땜납이 상기 이행부와 간섭할 우려가 있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장출부(51A)에 의해, 상기 범위에 용융 땜납이 유입되는 것이 저지되기 때문에, 커넥터 감합시, 고체화 한 땜납이 상기 이행부(23B, 40)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60)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50)의 중앙 가까이 범위에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대칭인 2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 신호 단자(60)는, 띠 형상의 금속판 조편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2(A) 및 도 3(B)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에 보유지지되는 U자 형상의 U자 형상부(61)와, 당해 U자 형상부(61)의 두 개의 아암부 중 수용부(56)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아암부(후술의 내측 아암부(61C))의 도 2(A)에서의 상단(도 3(B)에서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62)를 갖고 있다. 플러그 신호 단자(60)는, U자 형상부(61)에서, 하우징(50)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다.
U자 형상부(61)는,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내측 아암부(23A)의 사이에 돌입하는 부분이며, 측벽(54)을 하방(도 3(A), 도 3(B)에서의 상방)에서부터 걸치도록 하여 당해 측벽(54)에 매설되어 있다. 당해 U자 형상부(61)는, 도 2(A)에서 잘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을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아암부(61A)와, 당해 외측 아암부(61A)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내측 위치에서 상방을 향하여 꺾여지는 이행부(61B)와, 당해 이행부(61B)를 거쳐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측 아암부(61C)를 갖고 있다.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U자 형상부(61)의 치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기부(22A)와 당해 신호 접촉 돌기부(22A)에 대향하는 내측 아암부(23A)의 판면과의 간격보다도 약간 커져 있다.
U자 형상부(61)의 외측 아암부(61A)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하고 있다. 그 노출한 판면에는, 당해 판면의 상부가 파여 형성된 단차 형상을 이루어 당해 외측 아암부(61A)의 폭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로크단차부(61A-1)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피로크단차부(61A-1)가 리셉터클 단자(20)의 로크 요부(23A-1)와 계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행부(61B)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이행부(61B)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이 측벽(54)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 내측 아암부(61C)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수용부(56)측의 판면이 측벽(54)의 내면으로부터 노출하고 있고, 그 노출한 판면이,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기부(22A)와 접압을 갖고 접촉하는 대응 신호 접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62)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아암부(61C)의 상단으로부터 저벽(51)의 저면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하우징(50) 바깥으로 연출되어 있고(도 1 참조),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납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 보강 금구(70)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대응하여,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하우징(10)의 각 단부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 보강 금구(70)는, 하우징(50)을 보강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와 로크하는 로크 기능, 나아가서는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전원 접촉 아암부(44)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단, 플러그 보강 금구(70)에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 그리고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플러그 보강 금구(7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2(A)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측벽(54)의 외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외측 판부(71)와, 당해 외측 판부(71)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이행부(72)와, 당해 측방 이행부(72)를 거쳐 측벽(54)의 내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판부(73)와, 당해 내측 판부(73)의 상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측방 고정부(74)와,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두 개의 내측 판부(7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75)와, 연결부(75)의 하연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 외측 위치에서 상방을 향하여 꺾여진 단부 이행부(76)와, 당해 단부 이행부(76)를 거쳐 단부벽(55)의 외면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부 피보유지지부(77)와, 연결부(75)의 상연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 고정부(78)를 갖고 있다.
외측 판부(71)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하고 있고, 그 노출한 판면에는, 당해 판면의 상부가 파여 형성된 단차 형상을 이루어 당해 외측 판부(71)의 폭방향(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로크단차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로크단차부(71A)는,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외측 아암부(61A)의 피로크단차부(61A-1)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로크단차부(71A)는, 리셉터클 커넥터(1)와의 감합 상태에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로크 요부(41A)와 서로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측방 이행부(72)는, 측벽(54)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측방 이행부(72)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이 측벽(54)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도 3(A) 참조). 내측 판부(73)는,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내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하고 있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전원 접촉 아암부(44)와 접압을 갖고 접촉하는 대응 전원 접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측방 고정부(74)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 판부(73)의 상단(도 3(A), 도 3(B)에서는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도 1 및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50) 바깥으로 연출되어 있어,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결부(75)는, 도 2(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갖고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기부(75A)와, 당해 연결 기부(75A)의 양단에서 굴곡되어 커넥터 길이 방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 단부(75B)를 갖고 있다. 당해 연결부(75)는, 단부벽(55)에 매설 보유지지되어 있다.
단부 이행부(76)는, 단부벽(55)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단부 이행부(76)의 하면(도 3(A)에서는 상면)의 일부가 단부벽(55)으로부터 노출하고 있다(도 3(A) 참조). 단부 피보유지지부(77)는, 단부벽(55)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도 1 및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벽(55)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하고 있다. 단부 고정부(78)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저벽(51)으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어, 그 상면(도 3(A)에서는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납땜 접속되어 고정된다.
[커넥터의 감합 동작]
다음으로, 도 1, 도 5 및 도 6에 기초하여, 커넥터(1, 2)의 감합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신호 단자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5(A)는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 도 5(B)는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커넥터 폭방향 중앙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고, 도 6(A)는 커넥터 감합 전의 상태, 도 6(B)는 커넥터 감합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접속부(24) 및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측방 고정부(42)를 각각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함과 함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단부 고정부(34)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납땜 접속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를 회로 기판에 실장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접속부(62) 및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측방 고정부(74)를 각각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납땜 접속함과 함께,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단부 고정부(78)를 상기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납땜 접속하여, 플러그 커넥터(2)를 상기 다른 회로 기판에 실장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에 있어서의 각각의 납땜 접속 부분에, 필요에 따라서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제를 도포해도 좋다.
다음으로, 도 1, 도 5(A) 및 도 6(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를 수용부(16)가 상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함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2)를 수용부(56)가 하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하여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도 1, 도 5(A) 및 도 6(A)에서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당해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를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부(16) 안으로 끼워넣는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의 U자 형상부(61)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기부(22A) 및 로크 요부(23A-1)의 사이를 밀어 넓혀서 돌입한다. 그리고, 신호 접촉 아암부(22)가 커넥터 폭방향으로 안쪽을 향하여 탄성 변위한다. 또한, U자 형상부(61)의 돌입이 진행하면, 도 5(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 신호 접촉 돌기부(22A)가 U자 형상부(61)의 내측 아암부(61C)(대응 신호 접촉부)와 접압을 갖고 접촉함과 함께, U자 형상부(61)의 외측 아암부(61A)의 피로크단차부(61A-1)가 로크 요부(23A-1) 안에 돌입하여, 당해 로크 요부(23A-1)의 상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계지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이 결과, 커넥터(1, 2)의 단자(20, 60)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함과 함께 서로 로크된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전원 접촉 돌기부(44A)가, 당해 전원 접촉 아암부(44)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내측 판부(73)(대응 전원 접촉부)와 접압을 갖고 접촉한다. 또한, 커넥터 감합 상태에서, 플러그 보강 금구(70)의 피로크단차부(71A)가,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로크 요부(41A) 안에 돌입하여, 당해 로크 요부(41A)의 상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계지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이 결과, 보강 금구(30,70)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함과 함께 서로 로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1, 2)끼리의 감합 접속 동작이 완료한다. 또한, 커넥터 발출시에는, 플러그 커넥터(2)를 상방으로 들어올려 단자끼리 그리고 보강 금구끼리의 로크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2)를 발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단부벽(15)의 내면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판면이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하우징(10)의 돌출벽(12)의 단면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의 판면이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삽발 과정에서,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가 정규의 감합 위치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단부벽(15)을 향하여 어긋난 경우에는, 당해 감합부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의 판면에 당접하기 때문에, 단부벽(15)의 내면에 직접 당접하는 일이 없다. 또한, 상기 감합부가 정규의 감합 위치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돌출벽(12)측을 향하여 어긋난 경우에는, 당해 감합부는, 돌출벽 단면 보강부(35)의 판면에 당접하기 때문에, 돌출벽(12)의 단면에 직접 당접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단부벽(15) 및 돌출벽(1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10)의 단부벽(15)의 꼭대기면에서는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의 판면이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하우징(10)의 돌출벽(12)의 꼭대기면에서는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의 판면이 노출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가 정규의 감합 위치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단부벽(15)측으로 어긋나 감합되어 단부벽(15)의 꼭대기면측에 당접해도, 당해 감합부는,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에 당접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단부벽(15)의 꼭대기면에 직접 당접하는 일이 없다. 또한, 커넥터 감합 과정에서, 당해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가 정규의 감합 위치로부터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돌출벽(12)측으로 어긋나 감합되어 돌출벽(12)의 꼭대기면측에 당접해도, 당해 감합부는,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에 당접하기 때문에, 하우징(10)의 돌출벽(12)의 꼭대기면에 직접 당접하는 일이 없다. 이 결과, 단부벽(15) 및 돌출벽(12)의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 및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를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또한, 당해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32) 및 당해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36) 중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는,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에서 단부벽(15)에 보유지지됨과 함께,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37)에서 돌출벽(12)에 보유지지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발 과정에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가 플러그 커넥터(2)의 감합부로부터의 당접력을 받아 하우징(10)으로부터 어긋나 버리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에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 및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37)를 설치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고, 또한, 당해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33) 및 당해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37) 중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와 돌출벽 단면 보강부(35)는 연접 저부(38)에 의해 연접됨으로써 일체적으로 만들어져 있고,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와 돌출벽 단면 보강부(35)가 서로의 강도를 보충하는 관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보강 금구(30) 자체의 강도가 향상하여, 당해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뜻하지 않은 변형 등이 방지되어, 하우징(10)을 보다 강하게 보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단부벽 내면 보강부(31)와 돌출벽 단면 보강부(35)를 연접 저부(38)에서 연접하고,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커넥터끼리의 어긋남에 의한 하우징(10)의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리셉터클 보강 금구(30)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했지만, 리셉터클 보강 금구(30)의 구성에 대해서는, 더 한층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리셉터클 보강 금구에,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당해 측벽에 보유지지되는 둘레벽 내면 보강부로서의 측벽 내면 보강부와, 당해 측벽 내면 보강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측면)을 따라서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돌출벽 기립면 보강부로서의 돌출벽측면 보강부를 설치하여, 당해 측벽 내면 보강부 및 돌출벽측면 보강부의 하단끼리를, 저벽을 따라서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접 저부에 의해 연접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커넥터끼리의 어긋남에 의한 하우징의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리셉터클 보강 금구 자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 및 리셉터클 전원 단자의 양종의 단자를 갖고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1)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어느 한쪽의 종류의 단자만을 갖는 단자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자의 접촉 아암부를 수용하는 홈부가 돌출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홈부가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 위치에서 저벽이 측벽의 홈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1 :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저벽
11A : 저공부
12 : 돌출벽
12A : 신호 단자용 홈부
12B : 전원 단자용 홈부
14 : 측벽
15 : 단부벽
16 : 수용부
20 : 리셉터클 신호 단자
21 : 기부
22 : 신호 접촉 아암부
24 : 접속부
30 : 리셉터클 보강 금구
31 : 단부벽 내면 보강부(외벽 기립면 보강부)
32 : 단부벽 꼭대기면 보강부(외벽 꼭대기면 보강부)
33 : 단부벽측 피보유지지부(외벽측 피유지부)
35 : 돌출벽 단면 보강부(돌출벽 기립면 보강부)
36 : 돌출벽 꼭대기면 보강부
37 : 돌출벽측 피보유지지부
38 : 연접 저부
42 : 측방 고정부(접속부)
44 : 전원 접촉 아암부
43 : 연출부(기부)
45 : 리셉터클 전원 단자

Claims (4)

  1. 하우징과 당해 하우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단자를 갖고,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상대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어 상기 수용부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벽과, 저벽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기립함과 함께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립벽을 갖고,
    당해 기립벽은, 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측면으로부터 파임과 함께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저벽에 따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당해 저벽에 일체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는 기부와, 당해 기부의 일단으로부터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대 커넥터에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와, 상기 기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된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실장면에 납땜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고, 상기 접촉 아암부는, 커넥터 폭방향 및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상기 홈부의 내벽면과의 사이에 극간을 갖고 당해 홈부에 수용되어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기립벽의 홈부는, 당해 기립벽의 기립 범위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저벽은,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단자 위치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벽은, 커넥터 폭방향에서 상기 접촉 아암부와는 상이한 범위에서 커넥터 삽발 방향으로 당해 저벽을 관통하는 저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상기 저공부에 대응하는 범위를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고, 당해 기부의 저면이 상기 저공부에서 노출하고 있음과 함께, 당해 기부의 양측 단면이 상기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의 단자폭이 상기 저공부보다도 커져 있고, 양측 단면에 더하여, 상기 단자폭의 측연부에서의 적어도 한쪽의 판면이 저벽에 의해 보유지지되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 배열되어 있고, 단자 배열 범위의 양단영역에 위치하는 단자가 전원 단자를 이루고, 그리고 단자 배열 범위의 중간영역에 위치하는 다른 단자가 신호 단자를 이루고 있고,
    상기 하우징의 저벽의 저공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간격을 갖고 복수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원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복수의 상기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호 단자의 기부는, 커넥터 길이 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저공부를 덮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0160037366A 2015-04-01 2016-03-29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921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4829 2015-04-01
JP2015074829A JP6341876B2 (ja) 2015-04-01 2015-04-01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8140A true KR20160118140A (ko) 2016-10-11
KR101921116B1 KR101921116B1 (ko) 2018-11-22

Family

ID=5716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66A KR101921116B1 (ko) 2015-04-01 2016-03-29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41876B2 (ko)
KR (1) KR101921116B1 (ko)
CN (1) CN106058518B (ko)
TW (1) TWI611635B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359A (ko) * 2017-04-03 2018-10-1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80131167A (ko) * 2017-05-31 2018-12-1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190044922A (ko) * 2017-10-23 2019-05-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190113730A (ko) * 2017-10-23 2019-10-0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200104727A (ko) * 2019-02-27 2020-09-0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KR102210024B1 (ko) * 2019-10-10 2021-02-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268474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102268227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20220056114A (ko) * 2020-10-27 2022-05-0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중앙 볼록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및, 보호 부재를 배치한 커넥터
KR20220107829A (ko) * 2021-01-26 2022-08-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5730B2 (ja) * 2017-01-06 2021-06-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遮蔽シールド板付きコネクタ
JP6806593B2 (ja) * 2017-02-28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6911024A (zh) * 2017-03-30 2017-06-3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及其插座
CN107394538A (zh) * 2017-06-12 2017-11-24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大电流板对板插头、插座及连接器组件
JP6530015B2 (ja) * 2017-06-28 2019-06-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446109B1 (ja) 2017-10-10 2018-1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574470B2 (ja) * 2017-11-06 2019-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19186062A (ja) 2018-04-11 2019-10-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041368B1 (ko)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JP7148357B2 (ja) * 2018-10-18 2022-10-05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341651B2 (ja) * 2018-10-24 202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JP7202866B2 (ja) *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JP7078137B2 (ja) * 2018-12-04 2022-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気コネクタセットおよび該電気コネクタセットの実装構造
JP7364363B2 (ja) * 2019-04-25 2023-10-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7282464B2 (ja) * 2019-05-31 2023-05-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7075912B2 (ja) * 2019-06-11 2022-05-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TWI760873B (zh) * 2019-10-18 2022-04-11 日商村田製作所股份有限公司 連接器
JP2022046932A (ja) * 2020-09-11 2022-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コネク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0360A (ja) 2011-02-01 2012-08-23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364U (ja) * 1993-09-09 1995-03-31 ケル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H11354229A (ja) * 1998-05-29 1999-12-24 Molex Inc 電気コネクタ及び並列電気コネクタ
US6276941B1 (en) * 2000-02-22 2001-08-2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 to board connector
CN2785176Y (zh) * 2005-01-26 2006-05-31 深圳泰瑞美精密器件有限公司 板对板母座连接器
JP4526428B2 (ja) * 2005-04-18 2010-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303259B2 (ja) * 2006-05-15 2009-07-29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TWM349125U (en) * 2008-05-26 2009-01-1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KR101001889B1 (ko) * 2008-10-06 2010-12-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TWM419318U (en) * 2011-05-18 2011-12-21 Assem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02121093U (zh) * 2011-06-08 2012-01-18 昆山德力康电子科技有限公司 板对板连接器
CN202855997U (zh) * 2012-06-15 2013-04-03 苏州工业园区惠众精密工业有限公司 一种板对板连接器
CN103872489B (zh) * 2014-01-24 2018-01-1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CN204144511U (zh) * 2014-08-26 2015-0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0360A (ja) 2011-02-01 2012-08-23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2359A (ko) * 2017-04-03 2018-10-1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KR20180131167A (ko) * 2017-05-31 2018-12-10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190044922A (ko) * 2017-10-23 2019-05-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190113730A (ko) * 2017-10-23 2019-10-0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200104727A (ko) * 2019-02-27 2020-09-0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플러그 커넥터
KR102210024B1 (ko) * 2019-10-10 2021-02-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268474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102268227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20220056114A (ko) * 2020-10-27 2022-05-04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중앙 볼록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부재 및, 보호 부재를 배치한 커넥터
KR20220107829A (ko) * 2021-01-26 2022-08-0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41876B2 (ja) 2018-06-13
TW201707290A (zh) 2017-02-16
CN106058518A (zh) 2016-10-26
CN106058518B (zh) 2018-05-15
TWI611635B (zh) 2018-01-11
JP2016195056A (ja) 2016-11-17
KR101921116B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116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1921117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08075268B (zh) 电路基板用电连接器及其制造方法
US9088113B2 (en) Connector
KR101383404B1 (ko) 전기 커넥터
KR101355429B1 (ko) 전기 커넥터
CN108140992B (zh) 连接器和连接器组装体
JP6681951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EP2846409A2 (en) Connector
US11158967B2 (en)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 disengageable by an operation portion
EP2846414A1 (en) Connector
KR102054810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681747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574470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11411343B2 (en) Circuit board device and board connector
KR100622968B1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653001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625706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20210259126A1 (en) Circuit board device
WO2020004077A1 (ja) 遮蔽板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及び、該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JP2012160459A (ja) 電気コネクタ
JP5408815B2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