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889B1 -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889B1
KR101001889B1 KR1020080097717A KR20080097717A KR101001889B1 KR 101001889 B1 KR101001889 B1 KR 101001889B1 KR 1020080097717 A KR1020080097717 A KR 1020080097717A KR 20080097717 A KR20080097717 A KR 20080097717A KR 101001889 B1 KR101001889 B1 KR 101001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terminal
inner housing
ou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666A (ko
Inventor
엄용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8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30)의 외부하우징(41) 내부에 내부하우징(51)이 유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양측 상면에는 유동방지편(59)이 상기 외부하우징(41)과 가까워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하우징(41)을 둘러 감싸는 제1쉴드커버(66)의 상면판(67)에는 상기 유동방지편(59)의 상방으로의 유동을 규제하는 스토퍼(67')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7')는 상기 유동방지편(59)의 상방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내부하우징(51)이 상방으로 과도하게 유동하게 되면 상기 유동방지편(59)이 상기 스토퍼(67')에 지지되어 더이상의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편(59)의해 내부하우징(41)과 외부하우징(51)의 틈새가 좁아져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전후, 좌우 방향으로의 과도한 유동도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하우징의 과도한 유동이 방지되어 하우징의 파손이 줄어들고, 제1단자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커넥터 조립체의 동작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기판, 커넥터, 유동, 내부하우징, 외부하우징

Description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connetor assambly for board to board }
본 발명은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이동이 발생되는 2개의 기판을 연결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기능을 확장시키기 위하여 메인기판에 보조기판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을 연결하는 방법에는 플렉시블와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주로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이 슬라이딩 동작이나 회전동작을 할 때에 이용된다.
한편,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을 커넥터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컴퓨터 본체의 메인보드에 메모리카드, 그래픽카드 등을 장착하는 구성이 있다. 즉, 메인기판에 제1커넥터가 실장되고, 보조기판에는 제2커넥터가 실장되어, 제1커넥터에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구성이다.
특히, 차량 내부에 사용되는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은 지속적으로 진동이 발생하는 환경에 놓여지므로, 메인기판과 보조기판 중 어느 일측의 진동이 타측에 전달되어 커넥터의 접속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메인기판과 보조기판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메인기판에 결합되는 제1커넥터에는 진동을 흡수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제1기판(1)에 제1커넥터(3)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제1커넥터(3)는 외부하우징(4), 내부하우징(5), 상기 외부하우징(4)과 내부하우징(5)을 연결하는 제1단자(9)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4)과 내부하우징(5)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단자(9)에 의하여만 연결되므로, 상기 내부하우징(5)이 상기 외부하우징(4)에 대하여 어느정도 유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상기 내부하우징(5)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11)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공간(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6)은 중앙에 구획벽(7)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제1단자(9)의 일단부는 상기 제1기판(1)에 실장되고, 그 타단부는 상기 결합공간(6) 내에 구비된다. 상기 제1단자(9)의 타단부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스프링부(9')가 형성된다.
상기 제1기판(1)과 연결되는 제2기판(10)이 구비된다. 상기 제2기판(10)에는 제2커넥터(11)가 실장된다. 상기 제2커넥터(11)는 상기 제1커넥터(3)의 결합공간(6) 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커넥터(11)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13)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13)의 내측면에는 제2단자(15)가 고정된다. 상기 제2단자(15)의 일단부는 역시 상기 제2기판(10)에 실장되어 있고, 그 타단부는 상기 스프링부(9')와 접촉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에서 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제1 및 제2기판(1,10)의 어느 일측에 심한 충격과 진동이 전달되었을 때, 제1커넥터(3)의 내부하우징(5)과 외부하우징(4)이 제1단자(9)가 지지하는 한계치를 넘어 유동하게 되어, 제1단자(9)의 스프링부(9')가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내부하우징(5)에 제1단자(9)의 스프링부(9')가 구비되므로, 스프링부(9')가 형성된 부분만큼 내부하우징(5)과 제1단자(9)의 결합 영역이 줄어들어, 내부하우징(5)의 유동에 의해 상기 제1단자(9)가 변형되거나 내부하우징(5)과 제1단자(9) 사이의 결합상태가 훼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내부하우징(5)이 심하게 유동되면 외부하우징(4)과 충돌을 일으켜 일측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하우징과 단자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단자의 변형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커넥터의 내부하우징의 유동을 어느 정도 규제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기판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공간에 상기 외부하우징과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유동가능한 내부하우징, 그리고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단자, 상기 외부하우징을 둘러 감싸도록 구비되고 전자파 방해를 차단하는 제1쉴드커버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 제2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단자와 접촉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모서리 상단에 유동방지편이 상기 외부하우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쉴드커버의 상기 유동방지편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유동방지편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편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방으로의 유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제1쉴드커버의 상면판이 안착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까지 높이(T)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까지의 높이(t) 보다 높게 형성(T>t)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편의 일면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과 서로 마주하여 상기 내부하우징의 전후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제1규제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편의 일면과 직교하는 타면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지지면 내측과 서로 마주하여 상기 내부하우징의 좌우유동을 규제하는 제2규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단자공에 삽입되는 구획벽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벽과 평행한 상기 내부하우징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 선단에는 상기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덮개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1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와,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 사이의 틈새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부와, 상기 내부하우징의 구획벽의 외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접촉부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구획벽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단자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 의 선단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커넥터하우징의 내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자에는, 상기 스프링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스프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둘러 감싸 전자파 방해를 차단하는 제2쉴드커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스프링부를 내부하우징에서 제거하는 대신에 제2커넥터에 구비하였다. 따라서, 내부하우징의 유동으로 인한 제1단자의 변형과 이탈이 최소화되어, 커넥터 조립체의 전기적인 연결이 잘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하우징에 형성된 유동방지편이 제1쉴드커버의 스토퍼에 닿게 됨으로써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방으로의 과도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내부하우징에 유동방지편이 형성됨에 의해 내부하우징와 외부하우징 사이의 간격이 줄어들어 내부하우징의 좌우, 전후 방향으로의 과도한 유동도 방지된다. 따라서 내부하우징과 외부하우징의 파손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조립체는 제1기판에 실장되는 제1커넥터(30)와 제2기판에 실장되는 제2커넥터(70)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기판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먼저, 제1커넥터(30)는 외부하우징(41)과, 상기 외부하우징(41)의 내부공간(S)에 구비되고 상기 외부하우징(41)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가지는 내부하우징(51), 그리고 상기 외부하우징(41)과 내부하우징(51)을 연결하고 상대커넥터와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제1단자(60)로 구성된다.
도 3을 중심으로 외부하우징(41)은 상기 제1커넥터(30)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외부하우징(41)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외부하우징(41)의 내부에는 내부하우징(51)이 유동가능하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외면을 둘러 상기 외부하우징(41)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하우징(51)이 어느 정도 움직일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하우징(51)이 유동되므로, 제1 또는 제2기판의 진동이 흡수될 수 있다.
상기 외부하우징(41)의 양측 상면에는 지지면(45)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면(45)에는 후술할 제1쉴드커버(66)의 상면판(67)이 안착된다. 상기 제1기판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45)까지 높이(T)는,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상면 까지의 높이(t)보다 높게 형성된다.(T>t)
도 3을 중심으로 내부하우징(51)에는 상부로 개구된 결합공간(5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간(52)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70)가 안착된다. 상기 내부하우징(51)의 결합공간(52) 바닥면에는 구획벽(54)이 직립되게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54)은 상기 제2커넥터(7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구획벽(54)의 선단에는 후술할 제2단자(80)가 부드럽게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5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54)의 양측면에는 다수개의 단자안착홈(55')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벽 상단에는 후술할 제1단자(60)의 절곡부(63)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58)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덮개부(58)는 상기 구획벽(54)과 평행한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58)의 서로 마주하는 면은 제2커넥터(70)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삽입안내면(58')이다.
그리고 상기 내부하우징(51)의 네 모서리 상단에는 유동방지편(59)이 상기 외부하우징(51)과 가까워지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편(59)은 후술할 제1쉴드커버(66)와 함께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상하방향(도 3의 Z축 방향)으로의 과도한 유동을 규제한다. 이를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유동방지편(59)이 상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유동방지편(59)의 상방에 소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는 후술할 제1쉴드커버(66)의 스토퍼(67')에 닿으면서 더 이상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방지편(59)은 상기 내부하우징(4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부하우징(41)과 외부하우징(51) 사이의 틈새를 좁혀 상기 내부하우징(41)의 좌우, 전후 방향으로의 과도한 유동도 방지한다.
즉, 상기 유동방지편(59)의 일측면은 상기 외부하우징(51)의 내측면과 마주하여 상기 내부하우징(41)의 전후방향(도 3의 Y방향)으로의 과도한 유동을 규제하는 제1규제면(59a)이다. 이때 상기 내부하우징(41)의 Y방향 유동범위는 상기 제1규제면(59a)과 상기 외부하우징(51)의 내측면 사이의 최단거리(D1)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최단거리(D1)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유동방지편(59)의 상기 제1규제면(59a)과 직교한 타측면은 상기 외부하우징(51)의 지지면(45)의 내측과 마주하는 제2규제면(59b)이다, 상기 제2규제면(59b)은 도 3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하우징(41)의 좌우방향(도 3의 X방향)으로의 과도한 유동을 규제한다. 이때 상기 내부하우징(41)의 X 방향 유동범위는 상기 제2규제면(59b)과 상기 외부하우징(51)의 지지면(45) 내측과의 최단거리(D2)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최단거리(D2)는 설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외부하우징(41)과 내부하우징(51)은 제1단자(60)에 의해 연결된 다. 제1단자(60)는 제1기판에 솔더링되는 리드부(61), 상기 틈새에 절곡되어 안착되는 절곡부(63), 상기 구획벽(54)의 단자안착홈(55')에 안착되고 제2커넥터(70)의 제2단자(80)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접촉부(65)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촉부(65)가 상기 구획벽(54)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절곡되는 부분 없이 일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접촉부(65) 전체가 상기 단자안착홈(55')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는 제1단자(60)와 상기 내부하우징(51)의 결합영역을 크게 하여 상기 제1단자(60)가 상기 내부하우징(5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쉴드커버(66)는 전자파간섭(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외부하우징(41)의 외면을 둘러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쉴드커버(66)는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1쉴드커버(66)는 상기 지지면(45)에 안착되어 상기 외부하우징(41)의 상면 일부를 차폐하는 상면판(67)과, 상기 외부하우징(41)의 측면과 대응되는 측면판(68)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면판(67)의 일측에, 상기 유동방지편(59)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스토퍼(67')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67')는 상기 유동방지편(59)의 상면에서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유동방지편(59)의 상방(도 3의 Z 방향)으로의 유동을 규제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판(68)의 하단에는 상기 측면판(68)과 직교하게 연장되는 고정편(68')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편(68')은 상기 외부하우징(41)의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제1쉴드커버(66)가 상기 외부하우징(41)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되는 것 을 방지한다.
한편, 도 2로 돌아가서, 제2커넥터(70)의 외관과 골격을 커넥터하우징(71)이 형성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71)도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4를 중심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71)의 내부에는 단자공(73)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공(73)은 상기 커넥터하우징(71)의 선단으로 개구되어 상기 구획벽(54)이 삽입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71)의 선단에는 상기 단자공(73) 내부로 돌출되는 안착단(74)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74)의 외면은 상기 제2커넥터(70)와 제1커넥터(3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내부하우징(51)의 결합공간(52) 저면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안착단(74)의 내면은 제2단자(80)의 선단을 지지하여, 제2단자(80)가 상기 단자공(73)에서 탈거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 커넥터하우징(71)의 선단 외면에는 상기 삽입안내면(58')과 대응되는 경사를 가지는 챔퍼(74')가 형성된다. 상기 챔퍼(74')는 상기 커넥터하우징(71)의 선단이 상기 결합공간(52)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단자공(73)에는 상기 단자공(73)을 구획하는 분리벽(75)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벽(75)에 의해 상기 단자공(73) 내부에 서로 마주하게 안착되는 제2단자(80)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단자공(73)에는 상기 분리벽(75)을 중심으로 제2단자(80)가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단자(80)는 제2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81)와, 상기 단자공(73)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82)와, 상기 고정부(82)의 선단에 서 절곡되어 상기 단자공(73)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는 스프링부(83)와, 상기 스프링부(83)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공(73)의 내측면에 지지되는 지지단(84)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부(83)의 형상을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면, 상기 고정부(82)의 선단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71)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그 선단이 커넥터하우징(71)의 내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부(83)에서 가장 돌출된 부분은 탄성변형된 상태로 상기 제1단자(60)의 접촉부(65)와 접촉된다. 상기 스프링부(8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65)와의 접촉이 유지된다.
제2쉴드커버(9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71)의 외측면을 둘러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쉴드커버(90)는 전자파 방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쉴드커버(90)도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를 기준으로,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70)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2커넥터(70)의 선단이 상기 결합공간(52)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2커넥터(70)를 상기 결합공간(52) 내부로 삽입한다. 그러면, 제1커넥터(30)의 구획벽(54)이 제2커넥터(70)의 단자공(73)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구획벽(54)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54')이 서로 마주하는 상기 스프링부(83)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스프링부(83)를 눌러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상기 스프링부(83)가 복원되려는 힘에 의해 상기 구획벽(54)에 안착되는 제1단 자(60)의 접촉부(65)에 접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70)와 제1커넥터(30)의 결합이 완성되면, 상기 단자공(73) 내부에서는 제1단자(60)의 접촉부(65)와 제2단자(80)의 스프링부(83)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커넥터(30)의 내부하우징(51)과 외부하우징(41) 사이에는 상기 내부하우징(51)을 둘러 틈새가 형성되며, 내부하우징(51)과 외부하우징(41)이 제1단자(60)에 의해서만 연결되므로, 내부하우징(51)은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하다. 이는 제1기판 또는 제2기판에 발생되는 진동이 제1커넥터(30)와 제2커넥터(70)를 타고 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내부하우징(51)이 한계치를 넘어 유동하게 되면, 상기 내부하우징(51)과 외부하우징(41)을 연결하고 있는 제1단자(60)에 변형이 가해지거나 내부하우징(51) 또는 외부하우징(41)에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하우징(51)에 형성된 유동방지편(59)이 제1쉴드커버(66)의 스토퍼(67')에 닿게 됨으로써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상방(Z방향)으로의 과도한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규제면(59a)과 상기 내부하우징(41)의 내측면과의 최단거리(D1)를 짧게 하여, 상기 내부하우징(41)이 도 3의 Y방향으로 과도하게 유동하려고 할 때, 상기 제1규제면(59a)이 상기 내부하우징(41)의 내측면에 닿아 더이상 유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규제면(59b)과 상기 내부하우징(41)의 지지면(45)의 내측과의 최단거리(D2)를 짧게 하여, 상기 내부하우징(41)의 X방향으로 의 과동한 유동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부하우징(51)의 구획벽(54)에 제1단자(60)의 접촉부(65)가 밀착되어 안착됨으로써, 결합공간(52) 내에 돌출구조가 제거되어, 제2커넥터(70)와의 결합과정에서 제1단자(60)에 가해지는 힘이 최소화되도록 하였다. 즉, 제1단자(60)의 접촉부(65)가 결합공간(52) 내에서 돌출되는 부위를 가지지 않으므로, 상기 제2커넥터(70)의 진동이 상기 접촉부(65)의 어느 일측에 집중됨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접촉부(65)의 변형이나 상기 단자안착홈(55')으로부터 상기 접촉부(65)의 이탈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단자(60)와 제2단자(80)의 접점이 잘 유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단자(60)의 접촉부(65)가 일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내부하우징(51)의 구획벽(54)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기 제1단자(60)와 내부하우징(51)의 결합영역을 증가시켜 상기 내부하우징(51)의 유동에도 불구하고 상기 제1단자(60)의 이탈을 최소화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제1커넥터 41: 외부하우징
45: 지지면 51: 내부하우징
52: 결합공간 54: 구획벽
55' : 단자안착홈 58: 덮개부
59: 유동방지편 59a: 제1규제면
59b: 제2규제면 60: 제1단자
66: 제1쉴드커버 67': 스토퍼
70: 제2커넥터 71: 커넥터하우징
73: 단자공 74: 안착단
74': 챔퍼 75: 분리벽
80: 제2단자 90: 제2쉴드커버

Claims (9)

  1. 제1기판에 고정되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공간에 상기 외부하우징과의 사이에 틈새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유동가능한 내부하우징, 그리고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을 연결하는 제1단자, 상기 외부하우징을 둘러 감싸도록 구비되고 전자파 방해를 차단하는 제1쉴드커버를 포함하는 제1커넥터;
    제2기판에 고정되며 상기 내부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단자와 접촉되는 제2단자를 포함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하우징의 모서리 상단에 유동방지편이 상기 외부하우징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쉴드커버의 상기 유동방지편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유동방지편과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편을 선택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방으로의 유동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하우징의 양측 상면에는 상기 제1쉴드커버의 상면판이 안착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판의 표면을 기준으로 상기 지지면까지 높이(T)가 상기 내부하우징의 상면까지의 높이(t) 보다 높게 형성(T>t)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편의 일면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측면과 서로 마주하여 상기 내부하우징의 전후방향 유동을 규제하는 제1규제면이 형성되고,
    상기 유동방지편의 일면과 직교하는 타면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지지면 내측과 서로 마주하여 상기 내부하우징의 좌우유동을 규제하는 제2규제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이 삽입되어 안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간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단자공에 삽입되는 구획벽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벽과 평행한 상기 내부하우징의 서로 마주하는 측벽 선단에는 상기 공간의 일부를 차폐하는 덮개부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는,
    상기 외부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1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와,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 사이의 틈새에 절곡되어 구비되는 절곡부와,
    상기 내부하우징의 구획벽의 외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곧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단자와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내부하우징의 구획벽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된 단자안착홈에 안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조립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제2기판에 실장되는 리드부와;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선단에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절곡되고, 다시 커넥터하우징의 내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제1단자의 접촉부와 접촉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에는,
    상기 스프링부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내면과 밀착되어 상기 스프링부를 지지하는 지지단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둘러 감싸 전자파 방해를 차단하는 제2쉴드커버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실장용 커넥터조립체.
KR1020080097717A 2008-10-06 2008-10-06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KR101001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17A KR101001889B1 (ko) 2008-10-06 2008-10-06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717A KR101001889B1 (ko) 2008-10-06 2008-10-06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666A KR20100038666A (ko) 2010-04-15
KR101001889B1 true KR101001889B1 (ko) 2010-12-17

Family

ID=42215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717A KR101001889B1 (ko) 2008-10-06 2008-10-06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1876B2 (ja) *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9727083B2 (en) * 2015-10-19 2017-08-08 Hand Held Products, Inc. Quick release dock system and method
KR102131128B1 (ko) * 2019-04-09 2020-07-07 교세라커넥터프로덕츠코리아(주)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CN115288459B (zh) * 2022-08-10 2024-03-12 浙江瑞基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便于快速装配的剪力墙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666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3426B1 (ko) 플로팅 커넥터 장치
JP6701345B2 (ja) コネクタ
US11349240B2 (en) Floating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US10680386B2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JP6123004B1 (ja) コネクタ
KR102486351B1 (ko) 커넥터 및 전자 기기
JP6686145B2 (ja) コンタクト
US9378912B2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ical junction box
US9872419B1 (en) Transceiver module having improved metal housing for EMI containment
KR101473266B1 (ko) 커넥터
KR101001889B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KR101119752B1 (ko) 커넥터
WO2019181462A1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2131128B1 (ko) 플로팅 리셉터클 커넥터
JP4034801B2 (ja) 電気コネクタ
US9899756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structure
US7226294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029469B1 (ko)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KR102417816B1 (ko) 커넥터 조립체
JP7360919B2 (ja) コネクタ
KR102053698B1 (ko) 유동형 보드 커넥터
KR101777840B1 (ko) 기판 연결용 실드커넥터
CN114041245A (zh) 连接器和电子设备
JP721113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KR101001890B1 (ko) 연결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