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98B1 - 유동형 보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유동형 보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98B1
KR102053698B1 KR1020180000155A KR20180000155A KR102053698B1 KR 102053698 B1 KR102053698 B1 KR 102053698B1 KR 1020180000155 A KR1020180000155 A KR 1020180000155A KR 20180000155 A KR20180000155 A KR 20180000155A KR 102053698 B1 KR102053698 B1 KR 102053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female
housing
connector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493A (ko
Inventor
최석진
임경수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8000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마주보는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또는 진동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가 변할 수 있는 기판들 사이에서 상호 유동적인 변위 이동을 허용하며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절한 유동을 보장하기 위한 최적화된 단자 구조를 제공하고, 유동형 보드 커넥터에서도 EMI 차폐가 가능하도록 하며, 커넥터 결합시 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전원단자를 절연 하우징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하고 외부 충격에도 견고하도록 한며, 커넥터가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유동형 보드 커넥터 {FLOATING 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한 쌍의 마주보는 기판 간의 전기적 접속에 이용되는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또는 진동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가 변할 수 있는 기판들 사이에서 상호 유동적인 변위 이동을 허용하며 접속될 수 있도록 하는 보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는 장치들 간의 전기적인 신호를 상호 접속시켜 주는 기능을 하는 부품이며, 회로기판들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보드 커넥터는 평면인 회로기판에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어야 한다.
특히 자동차 내부에 들어가는 D-Audio, AVN, Audio 등의 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의 경우, 진동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회로기판들 간의 상호 유동이 발생한다. 즉, 평면상에서 전후(Y축 방향) 좌우(X축 방향)로 미세한 밀림이 유발되는데, 커넥터가 이러한 회로기판들 간의 상호 유동을 고려하지 않으면 그 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있는 커넥터의 접속이 끊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그에 따라 회로기판 간의 결합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경우 어느 정도의 유동을 흡수할 수 있도록 유동형으로 설계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부와 하부를 어느 정도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구성하고 상부와 하부가 탄성을 가진 단자를 통해 연결되도록 하여 회로기판간의 유동을 흡수하는 구성을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하우징에 연결된 상부단자와 하부하우징에 연결된 하부단자를 결합시키고, 이때 일반적으로 일자형으로 된 상부단자에 단부가 탄성을 가지도록 굴곡되어 있는 하부단자가 압박하여 접속이 유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는 단자 간의 결합력이 약하여 상부단자와 하부단자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으며, 결합시에도 하부단자에 무리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영구변형이 발생가능하여 단자의 결합력이 약해질 우려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09-0010319호
본 발명은 유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절한 유동을 보장하기 위한 최적화된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형 보드 커넥터에서도 EMI 차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결합시 단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단자를 절연 하우징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하고 외부 충격에도 견고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의 커넥터가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측기판과 하측기판을 상호 유동이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측기판 또는 상기 하측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과 접촉하고 있는 메일커넥터 및 상기 상측기판 또는 상기 하측기판 중 다른 하나의 기판과 접촉하고 있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는 메일하우징, 메일단자 및 메일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 피메일단자 및 피메일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상호 접속된 상태로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유동형 보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기판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동가능한 가동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일단자는: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메일접속부; 상기 메일접속부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상기 고정하우징에 지지되는 메일수직부; 상기 가동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피메일단자와 접촉되는 메일접촉부; 및 상기 메일수직부와 상기 메일접촉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되는 메일유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유동부는: 상기 메일수직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상방으로 둔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연장부; 상기 제1절곡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반대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상방 경사 연장되는 경사연장부; 및 상기 경사연장부의 상방 연장 방향과 반대측으로 상방 경사 연장되며, 단부에는 수직의 상기 메일접촉부가 연결되는 제2절곡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유동부는: 상기 메일수직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연장부; 상기 제1수평연장부로부터 다시 직각 절곡되어 상방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부;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다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 연장되는 경사연장부; 상기 경사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방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부; 및 상기 제2수직연장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다시 모아지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단부에는 수직의 상기 메일접촉부가 연결되는 제2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하우징은: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한 쌍의 마주보는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인입되는 방향인 상기 가동하우징의 상측으로는, 상기 측벽의 내측에 상측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하우징의 하측으로는 상기 측벽의 내부 또는 외측에 하측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안착부와 상기 하측안착부는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로 연결되고, 상기 메일전원단자는 상기 하측안착부 및 상기 관통부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측 단부가 상기 상측안착부에 안착되어 노출면이 상기 측벽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메일단자는: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피메일접속부;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지지되는 피메일본체부; 상기 피메일본체부의 단부에서 유턴되며 절곡되는 절곡단부; 및 상기 절곡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었다가 다시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돌출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메일단자는 상기 메일단자와 상기 돌출접촉부를 통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하우징 중 상기 기판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하우징의 외측면을 따라 사방으로 배치되는 메일본체를 갖는 메일금속쉘; 및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을 따라 사방으로 배치되는 피메일본체를 갖는 피메일금속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일금속쉘의 상기 메일본체 또는 상기 피메일금속쉘의 상기 피메일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접촉스프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금속쉘의 상기 메일본체 또는 상기 피메일금속쉘의 상기 피메일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접촉스프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접촉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마주보며 결합되면, 상기 접촉스프링부의 접촉부가 상기 접촉면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면부는 상기 접촉부를 마주보며 수평의 면적을 갖는 수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면부의 면적은 상기 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 사이의 유동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될 때, 상기 접촉부의 이동 가능 범위보다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이 맞물려 대응되는 위치 중 어느 일측의 하우징에는 돌기를 구비하고, 타측의 하우징에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 및 홈은 대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어, 일정 방향으로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가 삽입될 때에만 상기 돌기 및 홈이 맞물리며 삽입이 계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적절한 유동을 보장하기 위한 최적화된 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유동형 보드 커넥터에서도 EMI 차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결합시 단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원단자를 절연 하우징의 내측에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이물질의 침투에 따른 문제를 최소화하고 외부 충격에도 견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의 커넥터가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결합된 상태 및 메일커넥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단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금속쉘과 피메일금속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하우징과 메일전원단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일커넥터(1)는 가동하우징(10), 고정하우징(20), 메일금속쉘(30), 메일단자(40), 메일전원단자(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은 가동하우징(10)과 고정하우징(20)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가동하우징(10)이 고정하우징(20)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동하우징(10)이 유동되며 상대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메일단자(40)와 메일전원단자(50)는 기판(미도시) 및 가동하우징(10)의 사이에 결합되며, 메일단자(40)와 메일전원단자(50)가 금속 및 절곡 형상 특유의 탄성 움직임에 따라 가동하우징(10)이 기판에 대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차량에 적용된 제품의 일 실시예로는 x축으로 0.6mm, x축으로 0.6mm 정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고정하우징(20)은 기판에 바로 결합되어 고정되며, 그 외측으로는 EMI 차폐 기능을 갖도록 금속제의 메일금속쉘(30)이 사방을 감싸며 배치된다. 메일금속쉘(30)은 피메일금속쉘(130; 도 2)과 접속되는 동시에 기판 측으로 그라운드되어 커넥터 자체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전기적 에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메일커넥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메일커넥터(101)는 피메일하우징(110), 피메일금속쉘(130), 피메일단자(140), 피메일전원단자(1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메일하우징(110)은 메일하우징의 가동하우징(10)이 내입될 수 있으며, 그 내측에는 일렬의 피메일단자(140)와 양 단부 측의 피메일전원단자(150)를 구비한다.
피메일하우징(110)은 가동하우징(10)에 끼워지며 메일단자(40)와 피메일단자(140)가 접속되고, 메일전원단자(50)와 피메일전원단자(150)가 접속되며, 메일단자(40)와 메일전원단자(50)의 구조에 따라 가동하우징(10)과 함께 고정하우징(20)에 대해 유동된다.
피메일하우징(110)을 감싸는 피메일금속쉘(130)은 고정하우징(20)의 외측에 구비되는 메일금속쉘(30)과 접속된다. 고정하우징(20)에 대해서 피메일하우징(110)이 유동되므로, 메일금속쉘(30)과 피메일금속쉘(130)의 상대적 변위도 유동되어 변하게 되는데, 유동 중에도 접속이 유지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는 도 6 내지 도 7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가 결합된 상태 및 메일커넥터의 단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일커넥터(1)와 피메일커넥터(101)가 결합된 상태에서 메일커텍터(1)에 대해 피메일커넥터(101)가 전후 및/또는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a)를 참조하면, 메일커넥터(1)는 하측의 기판(미도시)에 대해 고정하우징(20)으로부터 메일단자(40) 및 메일전원단자(50)의 하단 및 메일금속쉘(30)의 접속부(32)가 돌출되며 결합된다. 피메일커넥터(101)는 또 다른 상측의 기판(미도시)에 대해 피메일단자(140) 및 피메일전원단자(150)의 상단 및 피메일금속쉘(130)의 접속부(132)가 피메일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며 결합된다. 유동에 따라 화살표와 같이 전후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진동에 따른 유동이 발생될 수 있게 된다.
(b)를 참조하여 메일커넥터(1)의 단면을 보면, 메일단자(40)의 하단이 고정하우징(20) 및/또는 기판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탄성 변형을 일으키며 좌측으로 굽어지고, 그에 따라 가동하우징(10)이 고정하우징(20)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된 형태를 나타낸다. 이 때 메일단자(40)의 형상에 따라 유동 범위나 효율이 달라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단자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메일단자(40)가 탄성 범위 내에서 일정 점위 이동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상이 적용 가능하나, S자형과 같이 곡선으로 구성하는 경우 유동 범위를 정하기 어렵고, 유동 한계점이 불명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유동 범위를 일정하게 하고, 유동 한계점에서의 반발력을 크게 하기 위하여 절곡된 형상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전체적인 절곡 형상을 Z자형과 같이 구성하되, 절곡 부분을 과도히 굽혀 예각으로 굽어지게 형성하는 경우 하중이 절곡부로 과도히 쏠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절곡부분을 수직으로 하는 경우 유동되는 범위가 제한되고 전체적인 커넥터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S자형 곡선 구조와 Z자형 예각 절곡 구조를 조합하여, 절곡되며 꺾이는 형상을 하되 둔각 절곡 및 수직 절곡의 여러 형태를 조합하는 특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분할된 둔각 구조를 활용한 형상이다. 기판에 접속되는 수평의 메일접속부(41), 그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는 메일수직부(42), 다시 메일수직부(42)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43)를 구비한다.
둔각과 우각을 구분하기 위해, 도면 기준 좌우 방향으로 가운데 방향을 모아지는 방향, 외측 방향을 멀어지는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수평연장부(43)에서 상방의 양 단자가 모아지는 가운데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는 제1절곡연장부(44)를 구비하는데, 이 때 수평연장부(43)와 제1절곡연장부(44)의 상방 사이는 예각이나 직각이 아닌 둔각을 이루며 상방으로 굽어지도록 한다. 제1절곡연장부(44)의 상단에서는 다시 반대방향인 멀어지는 방향으로 둔각을 이루며 굽어지는 경사연장부(45)가 일체로 연결되고, 경사연장부(45)의 단부에서는 다시 반대 방향인 모아지는 방향의 상방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도록 제2절곡연장부(46)가 연장되고, 그 상단으로는 수직의 메일접촉부(47)가 연장 형성된다. 이 때 경사연장부(45)와 제2절곡연장부(46)의 가운데 방향 사이각도 둔각, 제2절곡연장부(46)와 메일접촉부(47)의 외측 방향 사이각도 둔각으로 구성한다.
이 구조에 따르면, 수평연장부(43)와 수직의 메일접촉부(47) 사이를 지그재그 형태의 둔각 절곡 구조가 위치되며, 절곡된 부분을 통해 메일접촉부(47)가 전후 좌우로 탄성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b)를 참조하면, 메일접속부(401)는 모아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수직 상방으로 메일수직부(402)로 연장되고, 다시 그 단부에서 모아지는 방향으로 제1수평연장부(403)로 연장되며, 다시 모아진 단부에서 상방으로 제1수직연장부(404)가 수직 형성된다. 제1수직연장부(404)의 단부에서는 다시 멀어지는 방향으로 둔각을 이루며 경사연장부(405)가 연장되고, 그 단부에서는 다시 수직으로 제2수직연장부(406)가 연장된다. 그 단부에서는 다시 모아지는 방향으로 제2수평연장부(407)가 연장되며, 최종적으로는 수직의 메일접촉부(408)를 형성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이 구조에 따르면, 제1, 2수직연장부(404, 406)를 구비하여, 경사연장부(405)와 제1, 2수평연장부(403, 407)가 예각으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직각의 1차 절곡을 거치고 수직 연장된 후에 둔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곡선 또는 직각이나 예각 구조와는 다른 유동 형태를 나타내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피메일단자(140)는 기판에 피메일접속부(141)를 통해 접속되고, 피메일본체부(143)는 길게 연장되며 피메일하우징(110)내에 지지되고, 그 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유턴되는 절곡단부(145)를 구비한다. 유턴된 단자는 다시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접촉부(147)를 구비하고, 돌출접촉부(147)가 메일단자(40)의 메일접촉부(47)에 접속된다.
피메일단자(140)는 과조립되거나 조립이 제대로 되지 않아 그 단부에 수직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유턴형의 절곡단부(145)로 인해 수직 방향으로 굽어지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이 되지 않고, 내측 측방으로 밀려나며 파손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일금속쉘과 피메일금속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메일금속쉘(30)은 고정하우징(20)의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고, 그 하단은 기판에 그라운드 되기 위한 접속부(32)가 돌출된다. 상측 테두리 단부에는 상방을 향해 돌출되는 접촉스프링부(34)가 테두리를 따라 노출되어 있다.
피메일금속쉘(130)은 피메일하우징(110)의 외측을 감싸며 구비되고, 도면상 그 상단은 접속부(1320)가 돌출되어 기판에 접속된다. 피메일금속쉘(130)은 메일금속쉘(30)과 거의 대응되는 외곽 테두리를 유지하며 단부끼리 마주보게 되는데, 이 때 접촉스프링부(34)에 대응되는 피메일금속쉘(130)의 테두리 하단 위치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으로 굽어지는 접촉면부(134)를 구비한다. 접촉면부(134)는 테두리에서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수평면부(135)를 구비한다.
메일커넥터(1)와 피메일커넥터(101)의 결합이 완료되면, 접촉스프링부(34)는 수평면부(135)와 접촉되며 전체에 걸친 쉴드 기능을 하게 된다. 이 때 A, B와 같은 유동시에도 접속이 지속되기 위해서는 수평면부(135)을 접촉스프링부(34)의 유동 가능 범위 전체의 면적보다 크게 구성하도록 한다. 접촉스프링부(34)와 수평면부(135)의 접촉 부분에서 전후 좌우로 0.6mm 유동이 가능하다면, 수평면부(135)는 가로 세로 1.2mm 보다 더 크게 구성하도록 한다.
한편, 접촉스프링부와 수평면부는 메일커넥터(1)와 피메일커넥터(101) 중 각각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동하우징과 메일전원단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가동하우징(10)은 내측으로는 상하방 개방된 구조로 장형의 측벽(11)들과 양 단부를 연결하는 단벽(12)들이 테두리를 형성한다.
이 때 양 단측 측벽(11)에는 메일전원단자(50)가 결합 및 안착되는데, 메일전원단자(50)의 상부측 노출면(52)은 측벽(11)의 내측으로 노출되고, 하부측은 가동하우징(10)의 내측에 위치되거나, 관통 후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가동하우징(10)의 측벽(11) 내측으로는 상측안착부(13)에 노출면(52)이 구비되고, 노출면(52) 하측 부분은 측벽(11)을 관통하는 관통부(14)에 고정된다. 관통부(14)에 고정된 메일전원단자(50)의 하측은 그대로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외측에 형성된 하측안착부(15)에 구비되며 외측으로 노출된다. 노출면(52)이 측벽(11) 내측에 구비됨에 따라, 이물질에 의한 영향이 감소되고, 외부 충격에 따른 영향도 감소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일커넥터와 피메일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가동하우징(10) 측병의 좌측에만 돌기(17)가 형성되어 있고, 피메일하우징(110)의 좌측 안쪽에만 홈(117)이 형성되어 있으며, 돌기(17)는 홈(117)에 대응되어 맞물리며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돌기(17)와 홈(117)은 좌우 중 일측 또는 상하 중 일측에만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반대 방향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돌기(17)와 홈(117)이 맞물릴 수 없게 되어 결합이 불가능해 진다. 한편 돌기(17)와 홈(117)은 메일커넥터(1)와 피메일커넥터(101) 중 각각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의 자명한 개량, 변경, 수정 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1 : 메일커넥터
10 : 가동하우징 11 : 측벽
12 : 단벽 13 : 상측안착부
14 : 관통부 15 : 하측안착부
17 : 돌기 20 : 고정하우징
30 : 메일금속쉘 32 : 접속부
34 : 접촉스프링부 35 : 접촉부
40 : 메일단자 41 : 메일접속부
42 : 메일수직부 43 : 수평연장부
44 : 제1절곡연장부 45 : 경사연장부
46 : 제2절곡연장부 47 : 메일접촉부
401 : 메일접속부 402 : 메일수직부
403 : 제1수평연장부 404 : 제1수직연장부
405 : 경사연장부 406 : 제2수직연장부
407 : 제2수평연장부 408 : 메일접촉부
50 : 메일전원단자 52 : 노출면
101 : 피메일커넥터 110 : 피메일하우징
117 : 홈 130 : 피메일금속쉘
132 : 접속부 134 : 접촉면부
135 : 수평면부 140 : 피메일단자
141 : 피메일접속부 143 : 피메일본체부
145 : 절곡단부 147 : 돌출접촉부
150 : 피메일전원단자

Claims (10)

  1. 상측기판과 하측기판을 상호 유동이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상측기판 또는 상기 하측기판 중 어느 하나의 기판과 접촉하고 있는 메일커넥터 및
    상기 상측기판 또는 상기 하측기판 중 다른 하나의 기판과 접촉하고 있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는 메일하우징, 메일단자 및 메일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피메일하우징, 피메일단자 및 피메일전원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상호 접속된 상태로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메일하우징 중 상기 기판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하우징의 외측면을 따라 사방으로 배치되는 메일본체를 갖는 메일금속쉘; 및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외측면을 따라 사방으로 배치되는 피메일본체를 갖는 피메일금속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일금속쉘의 상기 메일본체 또는 상기 피메일금속쉘의 상기 피메일본체 중 어느 하나에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접촉스프링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일금속쉘의 상기 메일본체 또는 상기 피메일금속쉘의 상기 피메일본체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접촉스프링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접촉면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마주보며 결합되면, 상기 접촉스프링부의 접촉부가 상기 접촉면부와 접촉되고,
    상기 접촉면부는 상기 접촉부를 마주보며 수평의 면적을 갖는 수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면부의 면적은 상기 메일커넥터와 상기 피메일커넥터 사이의 유동에 따라 상대적인 위치가 변동될 때, 상기 접촉부의 이동 가능 범위보다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보드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하우징은:
    상기 기판에 고정 위치되는 고정하우징; 및
    상기 고정하우징의 내측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고정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유동가능한 가동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메일단자는: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메일접속부;
    상기 메일접속부로부터 수직 연장되며, 상기 고정하우징에 지지되는 메일수직부;
    상기 가동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동하우징에 지지되며 상기 피메일단자와 접촉되는 메일접촉부; 및
    상기 메일수직부와 상기 메일접촉부의 사이에 구비되어 가동되는 메일유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보드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유동부는:
    상기 메일수직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상기 수평연장부의 상방으로 둔각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절곡연장부;
    상기 제1절곡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반대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상방 경사 연장되는 경사연장부; 및
    상기 경사연장부의 상방 연장 방향과 반대측으로 상방 경사 연장되며, 단부에는 수직의 상기 메일접촉부가 연결되는 제2절곡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보드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유동부는:
    상기 메일수직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1수평연장부;
    상기 제1수평연장부로부터 다시 직각 절곡되어 상방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연장부;
    상기 제1수직연장부의 단부로부터 다시 벌어지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 연장되는 경사연장부;
    상기 경사연장부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방 연장되는 제2수직연장부; 및
    상기 제2수직연장부로부터 직각 절곡되어 다시 모아지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단부에는 수직의 상기 메일접촉부가 연결되는 제2수평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보드 커넥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하우징은:
    내측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한 쌍의 마주보는 측벽과, 상기 한 쌍의 측벽의 양단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단벽을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인입되는 방향인 상기 가동하우징의 상측으로는, 상기 측벽의 내측에 상측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동하우징의 하측으로는 상기 측벽의 내부 또는 외측에 하측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측안착부와 상기 하측안착부는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관통부로 연결되고,
    상기 메일전원단자는 상기 하측안착부 및 상기 관통부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측 단부가 상기 상측안착부에 안착되어 노출면이 상기 측벽 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보드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단자는:
    상기 기판에 접속되는 피메일접속부;
    상기 피메일하우징에 지지되는 피메일본체부;
    상기 피메일본체부의 단부에서 유턴되며 절곡되는 절곡단부; 및
    상기 절곡단부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었다가 다시 내측을 향해 절곡되는 돌출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피메일단자는 상기 메일단자와 상기 돌출접촉부를 통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보드 커넥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하우징과 상기 메일하우징이 맞물려 대응되는 위치 중 어느 일측의 하우징에는 돌기를 구비하고, 타측의 하우징에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돌기 및 홈은 대칭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되어, 일정 방향으로 상기 피메일커넥터와 상기 메일커넥터가 삽입될 때에만 상기 돌기 및 홈이 맞물리며 삽입이 계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보드 커넥터.
KR1020180000155A 2018-01-02 2018-01-02 유동형 보드 커넥터 KR102053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55A KR102053698B1 (ko) 2018-01-02 2018-01-02 유동형 보드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55A KR102053698B1 (ko) 2018-01-02 2018-01-02 유동형 보드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93A KR20190082493A (ko) 2019-07-10
KR102053698B1 true KR102053698B1 (ko) 2019-12-09

Family

ID=6725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55A KR102053698B1 (ko) 2018-01-02 2018-01-02 유동형 보드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9389B (zh) * 2020-07-09 2021-09-28 深圳市深台帏翔电子有限公司 电连接组件、电路板组件和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9214A (ja) * 2016-12-26 2017-04-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0542A (ja) * 2006-02-17 2007-08-30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5006610B2 (ja) * 2006-10-05 2012-08-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886624B1 (ko) 2007-07-23 2009-03-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유동형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79214A (ja) * 2016-12-26 2017-04-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493A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9571B2 (ja) 基板用雌端子金具
JP5836715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7748999B1 (en) Electrical Connector
JP4494441B2 (ja) 電気コネクタ
US20090029592A1 (en) Connector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742247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663565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3905518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4030954B2 (ja) レセプタクル電気コネクタ
CN110277689B (zh) 可动连接器
US63908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JP5762187B2 (ja) 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構造
KR20080083726A (ko) 커넥터
JP2008027612A (ja) コネクタ装着構造
US8721366B2 (en) Connector
KR102053698B1 (ko) 유동형 보드 커넥터
CN110574239B (zh) 基板用连接器
CN112928513B (zh) 阴端子及阴连接器
US10374346B2 (en) Movable connector
JP6187374B2 (ja)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13045739A (ja) コネクタ
JP4034801B2 (ja) 電気コネクタ
JP5203099B2 (ja) 垂直型smtコネクタ
KR101307483B1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