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75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752B1
KR101119752B1 KR1020067019861A KR20067019861A KR101119752B1 KR 101119752 B1 KR101119752 B1 KR 101119752B1 KR 1020067019861 A KR1020067019861 A KR 1020067019861A KR 20067019861 A KR20067019861 A KR 20067019861A KR 101119752 B1 KR101119752 B1 KR 101119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able
housing
connector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3726A (ko
Inventor
요시히토 오쿠마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83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3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 H01R13/6473Impedance match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 하우징을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켰을 경우에, 단자의 임피던스를 확실히 변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각 단자(20)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 형성되며, 각 하우징(11,12)의 좌우방향,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가동부(22)와, 각 단자(20)의 가동부(22)에 근접하도록 가동 하우징(1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단자(20)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캡(30)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가동 하우징(11)을 고정 하우징(12)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단자(20)의 임피던스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어, 상대측 커넥터(100)의 임피던스에 따라 커넥터를 다시 제조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와 HDD(Hard Disk Drive)를 접속할 경우 등, 복수의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는, 일방의 접속 대상물 측에 배치되는 가동 하우징과, 타방의 접속 대상물 측에 배치되는 고정 하우징과, 일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유지되며, 타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가동 하우징을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치를 접속할 경우에는, 각 장치간의 신호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하여 각 단자의 임피던스를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에서는, 소정의 유전율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단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단자의 임피던스를 임의로 변경할 수가 없다. 이 때문에, 한쪽 접속대상물의 임피던스에 따른 임피던스 특성을 갖는 커넥터를 다시 제조할 필요가 있어 커넥터의 제조비용이 상승할 우려가 있었다.
이에,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임피던스 설정 부재를 인접하는 각 단자 사이에 삽입되도록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단자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가령,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임피던스 설정부재는 커넥터 본체의 소정의 면 전체에 접촉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커넥터에 임피던스 설정부재를 적용하였을 경우에는, 각 단자의 탄성 변형이 임피던스 설정부재에 의해 규제되어, 가동 하우징을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10-270124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동 하우징을 고정 하우징에 대해 임의의 방향으로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단자의 임피던스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방의 접속 대상물 측에 배치되는 가동 하우징과, 타방의 접속 대상물 측에 배치되는 고정 하우징과, 일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유지되며, 타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가동 하우징을 고정 하우징에 대해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 커넥터로서, 상기 각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 형성되며, 각 하우징의 좌우방향,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가동부와, 각 단자의 가동부에 근접하도록 가동 하우징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단자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임피던스 설정부재를 구비한다.
이로써, 각 단자가 탄성 변형할 때에는 임피던스 설정부재는 각 단자의 가동부에 근접하므로, 각 단자의 탄성 변형을 규제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단자의 가동부에 근접하도록 형성된 임피던스 설정부재가 가동 하우징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임피던스 설정부재를 탈부착함으로써 단자의 임피던스가 임의로 변화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하우징을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단자의 임피던스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한쪽 접속대상물의 임피던스에 따라 커넥터를 다시 제조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의 정면측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이다.
도 3은 커넥터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 부호의 설명 *
11 : 가동 하우징 12 : 고정 하우징
20 : 단자 22 : 가동부
22a : 오목부 30 : 캡
100 : 상대측 커넥터 200 : 기판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은 커넥터의 정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커넥터의 배면측 사시도이며, 도 3은 커넥터의 일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 5는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낸 측면 단면도이다.
상기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10)와, 커넥터 본체(10)에 유지된 복수의 단자(20)와, 임피던스 설정부재로서의 캡(30)으로 이루어지며, 각 단자(20)는 그 일단측이 한쪽의 접속대상물로서의 상대측 커넥터(100)와 접촉하며, 타단측이 다른 쪽 접속대상물로서의 기판(200)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본체(10)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별개의 개체로 형성된 절연성의 가동 하우징(11)과 고정 하우징(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11)은, 전면(前面)에 상대측 커넥터(100)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11a, 11b)를 가지며, 각 개구부(11a, 11b) 내의 폭 방향으로는 각 단자(20)를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구멍(11c)이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각 단자구멍(11c)의 사이 및 각 단자구멍(11c)의 배열방향 양단 측에는, 각각 캡(30)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간극(11d)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가동 하우징(11)의 폭방향 양단 측에는, 고정 하우징(12)에 끼움결합되는 돌출부(11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12)은 폭 방향으로 각 단자(20)를 유지하는 복수의 단자구멍(12a)을 가지며, 각 단자구멍(12a)은 서로 폭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정 하우징(12)의 폭 방향 양측면의 하부에는 기판(200)에 접속되는 접속부(12b)가 각각 설치되고, 고정 하우징(12)의 폭 방향 양측면의 상부에는 가동 하우징(11)의 각 돌출부(11e)를 고정 하우징(12)의 전후방향, 상하방향 및 폭 방향으로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림고정부(12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 하우징(11)의 각 돌출부(11e)를 고정 하우징(12)의 각 걸림고정부(12c)에 끼움결합시켰을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돌출부(11e)와 각 걸림고정부(12c)의 사이에 전후방향, 상하방향 및 폭 방향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의 범위 내에서 가동 하우징(11)이 고정 하우징(12)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동 하우징(11)이 고정 하우징(12)에 대하여 후방으로 소정의 범위만큼 이동했을 경우에는, 가동 하우징(11)의 폭 방향 양단측의 후부(後部)가 각 걸림고정부(12c)의 전면(前面)에 걸림고정된다.
각 단자(2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한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측은 가동 하우징(11)에 유지되고, 타단측은 고정 하우징(12)에 유지되어 있다. 단자(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하우징(12)을 따라 전방으로 연장되는 유지편(21)과, 유지편(21)의 후단(後端)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굴곡된 가동부(22)와, 가동부(22)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직선부(23)와, 직선부(23)의 전단(前端)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굴곡되는 접촉부(24)로 형성되어 있다. 단자(20)는 단자(20)의 직선부(23)가 가동 하우징(11)의 단자구멍(11c)에 압입되고, 단자(20)의 유지편(21)이 고정 하우징(12)의 단자구멍(12a)에 압입됨으로써, 각 커넥터(11,12)에 유지된다. 또한, 단자(20)는 가동 하우징(11)이 고정 하우징(12)에 대해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동부(22)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자(20)의 타단 측에는 기판(200)에 접속되는 접속부(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접속부(25)는 유지편(21)의 후단의 하면으로부터 고정 하우징(12)의 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캡(30)은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합성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가동 하우징(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캡(30)의 후단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1)가 설치되며, 캡(30)의 폭 방향 일단측에는 가동 하우징(11)의 소정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캡(30)의 벽부(31)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33)가 서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돌출부(33)의 하부에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 유전부(34)가 캡(30)의 폭 방향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캡(30)을 가동 하우징(11)에 부착할 경우에는, 부착부(32)를 가동 하우징(11)의 소정의 간극(間隙)(11d)에 삽입하면, 부착부(32)가 가동 하우징(11)에 의해 유지되는 동시에, 각 돌출부(33)가 각각 대응하는 가동 하우징(11)의 간극(11d)에 삽입되어, 유전부(34)가 각 단자(20)의 오목부(22a)에 삽입된다. 이때, 캡(30)은 유전부(34)가 각 단자(20)의 가동부(22)에 근접한 상태에서 가동 하우징(11)에 유지되어 있다. 또, 가동 하우징(11)의 후방은 벽부(31)에 의해 폐쇄되어 있어 먼지 등이 커넥터 본체(10) 내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캡(30)은 가동 하우징(1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 부착부(32)의 유지를 해제함으로써 캡(30)을 가동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캡(3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의 종류를 바꿈에 따라 유전율이 다른 복수의 캡(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는, 가령 개인용 컴퓨터나 HDD(Hard Disk Drive) 등의 장치에서의 인터페이스부의 기판에 부착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10)의 전방에 위치하는 상대측 커넥터(100)를 가동 하우징(11)의 개구부(11a)에 삽입하면, 상대측 커넥터(100)에 설치된 단자(101)가 각 단자(20)의 접촉부(24)에 접촉한다. 여기서, 상대측 커넥터(100)가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미세하게 이동하였을 경우에는, 각 단자(20)는 가동 하우징(11) 및 캡(30)이 상대측 커넥터(100)와 함께 이동함에 따라서 가동부(22)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한다. 이때, 각 단자(20)의 오목부(22a)에 삽입된 캡(30)의 유전부(34)는, 각 단자(20)의 가동부(22)와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근접해 있다. 이에 따라, 단자(20)의 임피던스는 가동부(22) 주변의 공기의 유전율과 캡(30)의 유전율간의 차에 따라 변화하며, 예컨대 유전율이 높은 캡(30)이 오목부(22a)에 삽입되었을 경우에는 단자(20)의 임피던스의 증가량이 커지며, 캡(30)의 유전율이 낮을 경우에는 단자(20)의 임피던스의 증가량이 작아진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생략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는 상대측 커넥터(100)를 가동 하우징(11)의 개구부(11b)에 삽입하였을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동작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에 따르면, 각 단자(20)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 형성되며, 각 하우징(11,12)의 좌우방향,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가동부(22)와, 각 단자(20)의 가동부(22)에 근접하도록 가동 하우징(11)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 단자(20)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 는 캡(30)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가동 하우징(11)을 고정 하우징(1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확실히 이동시킬 수가 있으며, 더욱이 단자(20)의 임피던스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대측 커넥터(100)의 임피던스에 따라 커넥터를 다시 제조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각 단자(20)의 가동부(22)를 사행(蛇行)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캡(30)을 각 단자(20)의 가동부(22)의 굴곡에 따라 형성된 오목부(22a)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단자(20)가 가동부(22)를 기점으로 하여 탄성 변형하였을 경우에는 캡(30)이 가동부(22)에 근접한 상태에서 오목부(22a) 내를 이동한다. 따라서, 캡(30)에 의해 단자(20)의 탄성 변형이 규제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캡(30)을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하였기 때문에, 서로 다른 유전율을 갖는 복수 종류의 캡(30)을 형성한 경우에는, 단자(20)의 임피던스를 캡(30)의 유전율에 따라 용이하게 변화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각 단자(20)의 가동부(22)가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굴곡된 것을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유지편(21)의 후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S자 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하우징을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확실히 이동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단자의 임피던스를 임의로 변화시킬 수 있으므 로, 한쪽 접속대상물의 임피던스에 따라 커넥터를 다시 제조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조비용을 증가시키는 일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일방의 접속 대상물 측에 배치되는 가동 하우징과, 타방의 접속 대상물 측에 배치되는 고정 하우징과, 일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유지되고, 타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유지된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가동 하우징을 고정 하우징에 대해 전후방향,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한 커넥터로서,
    상기 각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 형성되며, 각 하우징의 좌우방향,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각각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가동부와,
    각 단자의 가동부에 근접하도록 가동 하우징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단자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임피던스 설정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자의 가동부를 사행(蛇行)형상으로 굴곡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임피던스 설정부재를 각 단자의 가동부의 굴곡에 따라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설정부재를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 설정부재를 소정의 유전율을 갖는 소재에 의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67019861A 2005-12-14 2005-12-14 커넥터 KR1011197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22933 WO2007069307A1 (ja) 2005-12-14 2005-12-14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3726A KR20080083726A (ko) 2008-09-19
KR101119752B1 true KR101119752B1 (ko) 2012-03-23

Family

ID=3816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861A KR101119752B1 (ko) 2005-12-14 2005-12-14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546469B2 (ko)
KR (1) KR101119752B1 (ko)
TW (1) TWI376850B (ko)
WO (1) WO20070693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9626B3 (de) * 2009-04-30 2011-03-03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Verbinder mit Impedanzkorrektur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5801125B2 (ja) * 2011-07-14 2015-10-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遊動型コネクタ
JP2014130710A (ja) * 2012-12-28 2014-07-10 Iriso Electronics Co Ltd コネクタ
JP6446789B2 (ja) * 2014-02-17 2019-01-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192567B2 (ja) * 2014-02-21 2017-09-06 ケル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KR102411195B1 (ko) 2017-08-25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넥터에 포함된 단자의 임피던스를 변경하는 방법 및 장치
JP7154782B2 (ja) * 2018-03-15 2022-10-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JP7341842B2 (ja) 2019-10-15 2023-09-1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方法、車載機器組立方法、コネクタ組立体、車載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290A (ja) 1997-05-15 1998-12-04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表面実装コネクタ
JP2002352908A (ja) * 2001-05-25 2002-12-06 D D K Ltd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6230A (en) * 1991-04-09 1992-05-26 Molex Incorporated Coaxial cable connec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1290A (ja) 1997-05-15 1998-12-04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表面実装コネクタ
JP2002352908A (ja) * 2001-05-25 2002-12-06 D D K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46469B2 (ja) 2010-09-15
KR20080083726A (ko) 2008-09-19
TWI376850B (en) 2012-11-11
TW200723619A (en) 2007-06-16
WO2007069307A1 (ja) 2007-06-21
JPWO2007069307A1 (ja)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1345B2 (ja) コネクタ
KR101119752B1 (ko) 커넥터
CN109565134B (zh) 连接器
JP5422776B1 (ja) コネクタ
JP5590991B2 (ja) コネクタ
KR101179242B1 (ko) 커넥터
US7029287B2 (en) Electrical connector in which a wiping action is carried out in a narrow area
KR101514373B1 (ko) 커넥터
US10193260B1 (en) Multi-contact connector
JP6686145B2 (ja) コンタクト
JP6123004B1 (ja) コネクタ
US20200313327A1 (en)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WO2008050665A1 (en) Connector
JP2007324029A (ja) 電気接続用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5781991B2 (ja) コネクタ
US7297026B2 (en) Connector with a shell having a function of guiding insertion and removal of a mating connector
US7393251B2 (en) Connector
KR101307483B1 (ko) 커넥터
JP2002367696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US20200083632A1 (en) Connector
JP2014130710A (ja) コネクタ
EP3709446A1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