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274A -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 Google Patents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274A
KR20080005274A KR1020077026659A KR20077026659A KR20080005274A KR 20080005274 A KR20080005274 A KR 20080005274A KR 1020077026659 A KR1020077026659 A KR 1020077026659A KR 20077026659 A KR20077026659 A KR 20077026659A KR 20080005274 A KR20080005274 A KR 20080005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ating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히사 히라따
데쯔야 아사까와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0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2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기 커넥터는 정합면과 장착면을 갖춘 대체로 직사각형인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단자 지지 지주들이 장착면으로부터 정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지지 지주는 대향하여 마주보는 제1 및 제2 측벽과 연결면을 갖는다. 복수개의 단자 수납 공동이 단자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복수개의 단자는 각각 납땜 미부와 대체로 U자형인 접점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납땜 미부는 장착면을 따라 위치되며, 접점부는 제1 말단 접점 레그, 제1 접점 레그로부터 이격되고 대체로 평행한 제2 기단 접점 레그, 및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접점 레그는 제1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제2 접점 레그는 제2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부는 연결면을 따라 연장된다.
전기 커넥터, 하우징, 단자, 접점, 납땜 미부

Description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BOARD-TO-BOARD CONNECTOR PAI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로우 프로파일(low profile) 기판 대 기판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2개의 평행한 회로 기판을 함께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데 사용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 제2004-55463호 참조). 이와 같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은 2개의 회로 기판들의 서로 마주보는 표면에 각각 부착되어 그로부터 돌출된 2개의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도1을 참조하면, 제1 커넥터(102)는 복수개의 제1 단자(103)를 포함하며, 제1 회로 기판(101) 상에 장착된다. 제2 정합 커넥터(112)는 복수개의 제2 단자(113)를 포함하며, 제2 회로 기판(111) 상에 장착된다. 제1 커넥터(102)와 제2 커넥터(112)는 정합되어 서로 접속됨으로써,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회로 기판(111)은 서로 접속된다.
제1 단자(103)의 미부들과 제2 단자(113)의 미부들은 납땜을 통해 제1 회로 기판(101)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 트레이스(도시되지 않음)와 제2 회로 기판(101)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 트레이스(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접속된다. 제1 커넥터(102)와 제2 커넥터(112)가 정합되면, 제1 단자(103)의 접점부(104)와 제2 단자(113)의 리세스 또는 오목부(114)는 서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제1 회로 기판(101)과 제2 회로 기판(111)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에서는, 제2 커넥터(112)가 오버몰딩에 의해 형성되어, 제2 커넥터(112)의 플라스틱 하우징이 제2 단자(113)의 부분들을 덮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 납땜 또는 용제(flux)가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미부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제2 단자(113)들이 제2 커넥터(112) 내로 억지끼움되는 경우에 오목부(114)를 오염시키기 때문에, 오버몰딩이 종종 사용된다. 또한, 각각의 제1 단자(103)는 단일한 접점부를 통해서 대응하는 제2 단자(113)와 접촉하게 되므로, 접점부가 오염되면, 접촉 실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1 커넥터(102)와 제2 커넥터(112) 사이의 정합 세기를 높이기 위해서, 오목부(114)가 제2 단자(113) 상에 형성되고, 제1 단자(103)의 접점부(104)의 말단부들은 오목부(114)에 수납됨으로써 그와 맞물린다. 이러한 구성은 접점부(104)의 와이핑 효과를 방해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2)와 제2 커넥터(112)들이 정합하면, 접점부(104)의 말단부 표면들은 제2 단자(113)들의 표면과 맞물리면서 이동함으로써, 접점부(104)의 말단부 표면과 제2 단자(113)의 표면 상에 부착된 먼지 등은 와이핑 작업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나, 와이핑 작업은 접점부(104)의 말단부들이 오목부(114)에 진입할 때 방해됨으로써, 와이핑 효과를 손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에서의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제1 및 제2 커넥터들의 신뢰성 있는 정합을 보장하고 접촉 실패의 발생을 방지하며 생산 비용을 낮추고 높은 신뢰성을 갖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을 제공하는 것이다.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와 상호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는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정합면과 회로 부재와 인접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면을 갖춘 대체로 직사각형인 유전체 하우징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단자 지지 지주들이 장착면으로부터 정합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지지 지주는 대향하여 마주보는 제1 및 제2 측벽과 제1 및 제2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면을 갖는다. 측벽들은 정합면에 대체로 수직이며, 연결면은 정합면과 대체로 평행하다. 복수개의 단자 수납 공동이 단자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이격되어 있다. 복수개의 단자는 각각 납땜 미부와 대체로 U자형인 접점부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납땜 미부는 장착면을 따라 위치되며, 접점부는 제1 말단 접점 레그, 제1 접점 레그로부터 이격되며 대체로 평행한 제2 기단 접점 레그, 및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1 접점 레그는 제1 측벽을 따라 연장되며, 제2 접점 레그는 제2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부는 연결면을 따라 연장된다.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의 외부면들은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의 정합하는 접점부와 작동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전기 커넥터는 또한 장착면 내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자들이 제1 말단 접점 레그와 인접한 말단부를 가지며, 각각의 단자 말단부가 개구부들 중 하나에 수납된다.
각각의 단자는 제1 및 제2 연속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연속면은 납땜 미부로부터 상기 U자형 접점부의 내부면과 정합면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연속면은 납땜 미부로부터 제1 및 제2 접점 레그의 외부면으로 납땜이 침투하는 경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제1 및 제2 접점 레그의 외부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연속면은 상기 지지 지주의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어 그와 맞물린다.
필요한 경우, 각각의 제1 접점 레그는 그 외부면 상에 납땜 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단자들이 상부에 장착된 대체로 평행한 2열의 지지 지주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2열의 지지 지주들은 대체로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서 그 사이에 중앙 공동을 형성한다.
각각의 납땜 미부는 제2 접점 레그로부터 직접 그에 대해 경사져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각도는 90도이다. U자형 접점부는 U자형 접점부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지지 지주의 측벽과 접속면을 사실상 둘러쌀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제1 및 제2 커넥터들의 신뢰성 있는 정합을 보장하고, 접촉 실패의 발생을 방지하며, 생산 비용을 낮추고, 신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의 단면도이다.
도2는 도3의 B-B 선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커넥터들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정합된 제1 및 제2 커넥터를 도시한 단 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서로 정합된 제1 및 제2 커넥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쌍을 이룬 기판 대 기판 커넥터들 중 하나이며 하나의 기판의 표면 상에 장착되도록 표면 장착형 커넥터인 제1 커넥터(10)가 본 실시예에 따른 쌍을 이룬 기판 대 기판 커넥터들 중 다른 하나이며 또한 다른 기판의 표면 상에 장착되도록 표면 장착형 커넥터인 제2 전기 커넥터(30)가 정합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쌍을 이룬 기판 대 기판 커넥터(즉,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는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를 포함하고 한 쌍의 기판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킨다. 도1에 도시된 기판들이 인쇄 회로 기판(PCB)들이지만, 기판들은 가요성 인쇄 회로(FPC)와 같은 임의의 종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방, 하방,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과 같은 방향을 표현하기 위한 용어들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들의 각각의 부분들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용어들은 기판 대 기판 커넥터들이 도면에 도시된 배향으로 사용된 경우에 각각의 방향을 나타내며, 기판 대 기판 커넥터들의 배향이 변경된 경우에는 상응하는 다른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커넥터(10)는 합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일체로 형성 된 제1 하우징(커넥터 본체부)(11)을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의 형태를 가지며, 대체로 직사각형인 오목부 또는 리셉터클이 제1 하우징(11)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커넥터(10)는 약 15 ㎜(길이)와, 약 4 ㎜(폭)와, 약 1.3 ㎜(두께)의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이 크기는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 오목부 내에는, 리지부 또는 중앙 돌출부(13)가 제1 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되었다. 또한, 리지부(13)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측벽부(14)는 제1 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되어, 측벽부(14)들은 리지부(13)의 대향하는 측면들 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리지부(13)와 측벽(14)은 오목부의 기저면 또는 장착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이로써, 제1 하우징(11)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홈부(12)가 리지부(13)의 양 측면 상에 형성되어 리지부(13)와 대응하는 측벽부(14)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예에는, 하나의 리지부(13)가 구비되었으나, 복수개의 리지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임의의 개수의 리지가 구비될 수 있다. 리지부(13)의 폭은 0.8 ㎜이며, 폭은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제1 단자(21)들을 수용하기 위한 제1 단자 수용 또는 수납 공동 또는 홈(15)들은 리지부(13)의 대향 측벽들과 홈부(12)의 기저벽 면들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20개의 제1 단자 수용 공동(15)은 리지부(13)의 측벽들 각각과 대응하는 홈부(12)의 기저벽면 상에 약 1 ㎜의 피치로 형성된다. 이리하여, 20개의 제1 단자 수용 공동(15) 내에 수용되는 20개의 제1 단자(21)들은 리지부(13)의 측벽들 각각과 대응하는 홈부(12)의 기저벽 면 상에 약 1 ㎜의 피치 로 배치된다. 또한, 제1 단자 수용 홈 또는 리세스(16)들은 제1 단자 수용 공동(15)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측벽부(14)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 제1 단자 수용 홈(16)들은 제1 단자 수용 공동(15)과 피치와 개수가 동일하다. 제1 단자 수용 홈(16)의 중앙에는, 제1 단자 고정 또는 보유 구멍(17)이 대응하는 측벽부(14)에 수직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제1 단자 수용 공동(15), 제1 단자 수용 홈(16) 및 제1 단자(21)들의 피치 및 개수는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단자(21)들은 고정 또는 보유부 또는 레그(22), 납땜 미부(23) 및 제1 접속 또는 접점부(24)를 가지며, 펀칭 또는 블랭킹을 통해 전기 전도성 금속 시트로 일체로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21)들은 펀칭 또는 블랭킹 공정을 거친 후에도 완전하게 형성되지 않으므로, 이들은 펀칭된 금속 시트의 평면 내에 남아 있다. 각각의 제1 단자(21)들은 U자의 형태와 F자의 형태를 결합시켜서 얻어지는 측면 형태를 취하는데, 제1 연결부(24)는 대체로 U자 형태로 형성되며, 나머지 부분은 대체로 F자 형태로 형성된다.
제1 연결부(24)는 리지부(13)의 대응하는 측벽 상에 형성되는 제1 단자 수용 공동(15) 내에 수용되는 전방 측벽부(24a)(말단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측벽부)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방 측벽부(24c)(납땜 미부에 근접하게 위치된 측벽부)를 갖는다. 전방 측벽부(24a)와 후방 측벽부(24c) 사이의 기저부, 즉 U자의 수평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홈부(12)의 기저면 상에 형성된 제1 단자 수용 공동(15) 내에 수용된다. 제1 돌출 또는 접점부(24b)는 전방 측벽부(24a)의 상단부 부근에 형성되고, 제2 돌출 또는 접점부(24d)는 후방 측벽 부(24c)의 상단부 부근에 형성된다. 제1 및 제2 돌출부(24b, 24d)는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된다. 제1 돌출부(24b)는 제1 단자 수용 공동(15)으로부터 돌출하고 홈부(12) 내에 위치된다. 제2 돌출부(24d)를 포함한 후방 측벽부(24c)의 상부 반측부는 제1 단자 수용 공동(15)으로부터 돌출하고, 홈부(12) 내에 위치된다.
제1 연결부(24)는 전방 측벽부(24a)와 기저부(24c)의 탄성 변형에 주로 기인한 탄성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30)와 정합되고 제1 돌출부(24b)가 제2 단자(41)(이하에 후술됨)의 전방 측벽부(44a)에 의해 리지부(13)를 향하여 가압되면, 제1 연결부(24)는 탄성 특성에 의해 반작용함으로써, 제1 돌출부(24b)와 제2 돌출부(24d)가 제2 단자(24)와 니핑(nip)되거나 맞물리게 된다. 이리하여, 제1 단자(21)와 제2 단자(41) 사이의 전기 접속의 신뢰성이 극히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21)의 상측 수평부는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대응하는 제1 단자 수용 홈(16) 내에 수용된다. 제2 돌출부(24d)는 상측 수평부의 내측 단부(리지부(13)를 향한 측부 상에 위치된 단부)에 연결되며, 납땜 미부(23)의 상측 단부는 상측 수평부의 외측 단부(리지부(13)와 반대되는 측면 상에 위치되는 단부)에 연결된다. 납땜 미부(23)는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며, 납땜 미부(23)의 하단부는 회로 기판 또는 부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 랜드 또는 패드(도시되지 않음)에 납땜된다. 이러한 경우, 납땜 미부(23)의 하측 단부면으로부터 제1 단자(21)의 제2 돌출부(24d)로 연장되는 제1 단자(21)를 따른 경로는 길고 일반적으로 복잡한 방식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제2 돌출부(24d)(및 제1 돌출부(24b))까지의 전체 경로를 통 해 납땜 미부(23)로부터 납땜이 올라오거나 침투하는 현상이 보다 적게 발생하게 된다. 즉, 납땜이 제2 돌출부(24d)에 비해서 납땜 미부(23)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있는 제1 돌출부(24b)에 부착되는 경향은 말할 것도 없이 전술한 경로를 따라 납땜이 상승하여 제2 돌출부(24d)에 부착되는 경향이 적게 된다.
더욱이, 필요하다면, 납땜 장벽(도시되지 않음)이 납땜 미부(23)로부터 제1 돌출부(24b)로 연장되는 경로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납땜 장벽부의 예는 도금을 통해 형성되는 니켈(Ni) 코팅층이다. 그러나, 납땜이 코팅층에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는 한 임의의 형태의 코팅층이 사용될 수 있으며,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어떤 제한도 가해지지 않는다.
고정부(22)의 상단부는 상측 수평부의 중간에 연결된다. 고정부(22)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벽부(14) 내에 형성된 제1 단자 고정 구멍(17) 내에 수용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 또는 리세스들이 고정부(22)의 대향 측면 상에 형성되고, 오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가 제1 단자 고정 구멍(17)의 벽면 상에 형성된다. 고정부(22)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서 제1 단자 고정 구멍(17) 내로 억지끼움되면, 제1 단자 고정 구멍(17)의 돌출부들은 고정부(22)의 오목부에 들어가게 되어, 고정부(22)와 제1 단자 고정 구멍(17)은 정합된 상태가 되고, 고정부(22)는 제1 단자 고정 구멍(17)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1 단자(21)는 제1 커넥터(10)에 고정된다.
납땜의 접착을 높이기 위해서, 금(Au) 코팅층이 양호하게는 도금을 통해 납땜 미부(23)의 하단부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전기적 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해 서, 금 코팅층이 양호하게는 도금을 통해 적어도 제1 돌출부(24b)의 전방면 상에 형성된다.
제2 커넥터(30)는 합성 수지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일체로 형성된 제2 하우징(커넥터 본체)(31)을 포함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31)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두꺼운 판의 형태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하우징(31)은 약 3 ㎜(폭)와, 약 1.1 ㎜(두께)와, 약 14 ㎜(길이)의 크기를 갖는다. 그러나, 이 크기는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 제2 하우징(31)(도3에 배향된 바와 같은)의 하부면 상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리지부 또는 레일부(32)가 제2 하우징(31)과 일체로 형성된다. 리지부(32)는 제2 하우징(31)의 대향하는 측방향 측부들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제2 하우징(31)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종장형 홈부(33)가 2개의 리지부(32)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도시된 예에 있어서, 리지부(32)의 개수는 2개이지만, 하나의 리지부 또는 3개 이상의 리지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리지부의 개수는 정해지지 않는다. 각각의 리지부(32)는 약 8 ㎜의 폭을 갖지만, 폭은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 단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지부는 하우징(31)의 기부로부터 돌출된 지주처럼 보인다.
제2 단자(41)들을 수용하는 제2 단자 수용 또는 수납 공동(홈)(34)은 각각의 리지부(32)의 대향하는 측벽과 그 하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20개의 제2 단자 수용 공동(34)들은 각각의 리지부(32)의 대향하는 측벽과 하부면 상에 약 1 ㎜의 피치로 형성된다. 따라서, 20개의 제2 단자 수용 공동(34)들 내에 수용되는 20개의 제2 단자(41)는 각각의 리지부(32)의 대향하는 측벽과 하부면 상에 약 1 ㎜의 피치로 배치된다. 더욱이, 제2 단자 단부 수용 또는 수납 구멍(35)들은 제2 단자 수용 공동(34)과 대응하는 종방향 위치에서 홈부(33)의 코너에 형성된다. 제2 단자 단부 수용 구멍(35)들은 제2 단자 수용 공동(34)과 피치 및 개수가 동일하다. 특히, 제2 단자 수용 공동(34), 제2 단자 단부 수용 구멍(35) 및 제2 단자(41)들의 피치 및 개수는 자유롭게 변경가능하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단자(41)들은 납땜 미부(43)와 제2 연결 또는 접점부(44)를 가지며, 펀칭을 통해 전기 전도성 금속 시트로부터 일체로 형성된다. 각각의 제2 단자(41)는 U자와 I자를 결합시켜서 얻어지는 측면 형태를 취하는데, 제2 연결부(44)는 대체로 U자형으로 형성되며, 납땜 미부(43)는 대체로 I자로 형성된다.
제2 연결부(44)는, 리지부(32)의 내측 벽부 상에 형성된 제2 단자 수용 공동(34) 내에 수용되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전방 측벽부 또는 접점 레그(44a)(말단부 부근에 위치되는 측벽부)와, 리지부(32)의 외측 측벽 상에 형성된 제2 단자 수용 공동(34) 내에 수용되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후방 측벽부 또는 접점 레그(44b)(납땜 미부 부근에 위치된 측벽부)를 갖는다. 전방 측벽부(44a)와 후방 측벽부(44b) 사이의 기저 연결부 또는 만곡부, 즉 U자의 수평부에 대응하는 부분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리지부(32)의 하부면 상에 형성된 제2 단자 수용 공동(34) 내에 수용된다. 전방 측벽(44a)의 단부는 제2 단자 단부 수용 구멍(35) 내에 수납된다. 제2 단자(41)는 제2 단자 수용 공동(34) 내로 제2 연결부(44)를 억지끼움으로써 제2 커넥터(30)에 고정된다.
납땜 미부(43)의 내측 단부(홈부(33)를 향한 측면 상의 단부)는 후방 측벽부(44b)에 연결되며,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납땜 미부(43)의 상부면은 회로 기판 또는 부재의 표면 상에 형성된 배선 랜드 또는 패드(도시되지 않음)에 납땜된다.
맞물림 리세스(맞물림부)(45)는 제1 및 제2 커넥터(10, 30)들이 정합되었을 때 대응하는 제1 단자(21)의 제2 돌출부(24d)와 맞물리도록 제2 연결부(44)의 후방 측벽부(44b)의 외부 측면 상에 형성된다.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30)와 정합되면, 제2 돌출부(24d)는 맞물림 리세스부(45) 내로 진입하여 그와 맞물리게 되므로, 제1 단자(21)와 제2 단자(41) 간의 접속이 신뢰성 있게 유지되고, 이로써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의 맞물림 해제의 경향은 감소된다. 특히, 제1 단자(21)의 제1 돌출부(24b)는 제2 연결부(44)의 전방 측벽부(44a)의 편평면과 접촉하게 된다.
납땜이 실질적으로 접착되지 않는 코팅층으로 형성되는 납땜 장벽(장벽부)(46)이 제2 연결부(44)의 후방 측벽부(44b)의 일부를 덮도록 구비된다. 납땜 장벽(46)의 예는 도금을 통해 형성되는 니켈(Ni) 코팅층이다. 그러나, 납땜이 코팅층에 실질적으로 접착되지 않는 한 임의의 형태의 코팅층이 사용될 수 있으며, 코팅층의 형성 방법에 대한 어떤 제한도 가해지지 않는다. 납땜 장벽(46)은 납땜 미부(43)가 기판의 배선 랜드에 납땜될 때 납땜이 제2 단자(41)를 따라 상승하여 후방 측벽부(44b)의 표면에 접착되는 현상의 발생을 막는다. 특히, 납땜 장벽(46)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맞물림 리세스부(45)를 포함한 영역에 형성된다. 따라서, 납땜 미부(43)로부터 상승한 납땜이 맞물림 리세스부(45)에 접착되고 이를 충전하 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전방 측벽부(44a)는 후방 측벽부(44b)에 비해 납땜 미부(43)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납땜의 상승으로 인해 납땜이 전방 측벽부(44a)에 접착되는 일이 없으며, 제2 단자(41)를 따른 경로는 만곡되었고, 납땜 장벽(46)은 경로의 중간에 존재한다.
납땜의 접착을 개선하기 위해서, 금 코팅층이 양호하게는 도금을 통해 납땜 미부(43)의 상부면 상에 형성된다. 또한, 전기 접촉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 금 코팅층은 양호하게는 도금을 통해 적어도 전방 측벽부(44a)의 전방면 상에 형성된다.
작동 시에, 제1 커넥터(10)는 제1 단자(21)들의 납땜 미부(23)들을 기판의 대응하는 배선 랜드 또는 패드에 납땜함으로써 회로 부재 또는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표면 장착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커넥터(30)는 제2 단자(41)들의 납땜 미부(43)들을 제2 기판의 대응하는 배선 랜드 또는 패드에 납땜함으로써 제2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표면 장착된다.
정합 전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제1 커넥터(10)의 상부면과 제2 커넥터(30)의 하부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의 상부면과 제2 커넥터(30)의 하부면은 서로 대체로 평행하고,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를 수반하는 기판들도 각기 서로 대체로 평행하다.
이어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를 서로를 향해 이동시키고,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 중 하나를 다른 커넥터를 향해 이동시킴으로써, 이들은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정합된다. 특히, 도4와 도5에 있어서, 기 판들은 도시를 간략하게 하기 위해 생략되었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서로 정합된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의 리지부(13)는 제2 커넥터(30)의 홈부(33) 내로 삽입되고, 제2 커넥터(30)의 리지부(32)는 제1 커넥터(10)의 대응하는 홈부(12) 내로 삽입된다. 그 결과,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의 제1 돌출부(24b)는 대응하는 제2 단자(41)의 제2 연결부(44)의 전방 측벽부(44a)의 편평한 전방면과 접촉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의 제2 돌출부(24d)는 대응하는 제2 단자(41)의 제2 연결부(44)의 후방 측벽부(44b)의 맞물림 리세스부(45)와 맞물린다. 즉, 각각의 제1 단자(21)와 대응하는 제2 단자(41)는, 제1 돌출부(24b)가 전방 측벽부(44a)와 접촉하게 되는 제1 접점(주 접점부)과 제2 돌출부(24d)가 후방 측벽부(44b)와 접촉하게 되는 제2 접점부(부 접점부)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의 제1 및 제2 돌출부(24b, 24d)의 마주보는 표면들 사이의 거리는, 각각의 제2 단자(41)의 제2 연결부(44)의 전방 측벽부(44a)와 후방 측벽부(44b)의 외부면들(리지부(32)에 대향하는 표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짧다. 제1 연결부(24)는 탄성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정합한 결과로서, 제2 커넥터(30)의 리지부(32)가 제1 커넥터(10)의 대응하는 홈부(12) 내로 삽입되고 각각의 제2 단자(41)의 제2 연결부(44)가 대응하는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 내로 삽입되면,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의 제1 및 제2 돌출부(24b, 24d)의 마주보는 표면들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며, 주로 전방 측벽부(24a)와 기저부가 탄성 변형됨으로 써, 제1 돌출부(24b)는 제2 단자(41)의 전방 측벽부(44a)에 의해 가압되고 리지부(13)를 향해 이동한다. 이러한 경우에, 탄성 특성에 의해서, 제1 연결부(24)는 그 원래 형태로 복원되려고 반작용한다. 그러므로, 제2 단자(41)는 전방 측벽부(24a)의 제1 돌출부(24b)와 후방 측벽부(24c)의 제2 돌출부(24d)에 니핑되거나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1 돌출부(24b)의 단부가 대응하는 제2 단자(41)의 전방 측벽부(44a)의 전방면에 대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제1 돌출부(24b)와 전방 측벽부(44a) 사이에 신뢰성 있는 접촉이 수립되고, 제1 접점부에서의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된다. 또한,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2 돌출부(24d)의 단부는 대응하는 제2 단자(41)의 맞물림 리세스부(45)에 진입하도록 가압된다. 이리하여, 제1 돌출부(24d)와 맞물림 리세스부(45) 사이에 신뢰성 있는 접촉이 수립되고, 제2 접점부에서의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된다. 또한, 제2 돌출부(24d)와 맞물림 리세스부(45) 사이에 신뢰성 있는 맞물림이 실현되고, 각각의 제2 단자(41)의 제2 연결부(44)가 대응하는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는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서로 정합된다.
또한, 각각의 제2 단자(41)의 제2 연결부(44)가 대응하는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 내로 삽입되면, 제1 단자(21)의 제1 돌출부(24b)의 끝 부분은 제2 단자(21)의 전방 측벽부(44a)의 전방면에 대항하여 가압되는 상태에서 전방 측벽부(44a)의 편평면을 문지르거나 와이핑하면서 이동한다. 그러므로, 문지름 효과 또는 와이핑 효과가 생성되어, 제1 돌출부(24b)의 끝 단부와 전방 측벽부(44a)의 전방면에 부착된 먼지, 오물 또는 막과 같이 전기적 연속성을 저해하는 물질은 와이핑에 의해 제거된다. 그러므로,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속성이 제1 접점부에서 보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체로 U자형인 제1 연결부(24)를 각각 갖는 제1 단자(21)들은 제1 커넥터(10)에 부착되며, 대응하는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 내에 끼워지는 대체로 U자형인 제2 연결부(44)를 각각 갖는 제2 단자(41)들은 제2 커넥터(30)에 부착된다.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서로 정합하면, 제1 단자(21)의 제1 돌출부(24b)는 제2 단자(41)의 전방 측벽부(44a)와 접촉하게 되어 제1 접점부(주 접점부)가 형성되고, 제1 단자(21)의 제2 돌출부(24d)는 제2 단자(41)의 후방 측벽부(44b)의 맞물림 리세스부(45)와 맞물려서 제2 접점부(부 접점부)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제1 커넥터(10)와 제2 커넥터(30)가 높은 신뢰성과 성능으로 상호 정합하여 낮은 생산 비용과 우수한 신뢰성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갖춘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제1 단자(21)는 U자와 F자의 형태를 결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측면 형태를 취하며, 납땜 미부(23)로부터 제1 돌출부(24b)까지 제1 단자(21)를 따라 연장되는 경로는 길고 비교적 복잡한 패턴으로 이어진다. 그러므로, 납땜은 대체로 제1 돌출부(24b)에 부착되지 않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납땜 상승 현상 때문에 이러한 부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경로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납땜 장벽은 실패하지 않고 제1 돌출부(24b)에 납땜이 부착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경로의 중간에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제2 단자(41)는 대체로 U자 형태를 취하며, 납땜 미부(43)로부터 전방 측벽부(44a)까지 제2 단자(41)를 따라 연장되는 경로는 길고 대체로 복잡한 패턴으로 연장된다. 그러므로, 납땜은 전방 측벽부(44a)에 실질적으로 부착되지 않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 납땜 상승 현상 때문에 이러한 부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경로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납땜 장벽(46)은 실패하지 않고 전방 측벽부(44a)에 납땜이 부착되는 막기 위해서 경로의 중간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31)은 오버몰딩될 필요가 없어서, 제2 하우징(31)은 각각의 제2 단자(41)의 일부를 덮게 되고, 제2 단자(41)들은 제2 단자(41)들을 제2 하우징(31) 내로 억지끼움으로써 제2 하우징(31)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커넥터(30)의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납땜의 상승이 제1 돌출부(24b)와 전방 측벽부(44a)가 서로 접촉하게 되는 제1 접점부(주 접점부)에 납땜이 부착되는 일을 초래하지 않으므로, 전기 연속성이 납땜에 의해 방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신뢰성 있는 전기 연속성이 제1 단자(21)와 제2 단자(41) 사이에 수립된다.
또한, 각각의 제2 단자(41)의 U자형 제2 연결부(44)의 대부분은 제2 하우징(31)의 리지부(32)의 외주 상에 형성된 대응하는 제2 단자 수용 공동(34) 내로 억지끼움된다. 바꿔 말하면, U자형 제2 연결부(44)는 리지부(32)에 의해 지지된다. 그러므로, 제2 연결부(44)는 예기치 못한 외력을 받았을 시에 변형 가능성이 적게 된다는 점에서 보호된다. 또한, 제2 연결부(44)의 전방 측벽부(44a)의 말단부는 제2 단자 단부 수용 구멍(35) 내에 수납된다. 그러므로, 말단부는 리지부(32)의 벽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이동하지 않으며 추가적인 안정성을 위해 그 내부에 보유된다.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1 돌출부(24b)가 대응하는 제2 단자(41)의 전방 측벽부(44a)와 접촉하게 됨으로써, 주 접점부의 역할을 하는 제1 접점부가 형성되고,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2 돌출부(24d)는 대응하는 제2 단자(41)의 후방 측벽(44b)의 맞물림 리세스부(45)와 맞물림으로써, 부 접점부의 역할을 하는 제2 접점부가 형성된다. 제1 단자(21)와 제2 단자(41) 간의 전기적 연속성이 2개의 접점부들에서 수립되므로, 신뢰성이 개선된다. 또한, 각각의 제2 단자(41)의 전방 측벽부(44a) 상에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 돌출부(24b)의 와이핑 작업은 방해되지 않는다. 이리하여, 충분한 와이핑 효과가 얻어지고, 신뢰성 있는 연속성이 주 접점부로 작용하는 제1 접점부에 수립될 수 있다.
더욱이, 납땜 장벽(46)이 적어도 맞물림 리세스부(45)를 포함한 영역 내에 형성되므로, 납땜 미부(43)로부터 상승한 납땜은 맞물림 리세스부(45)를 충전시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각각의 제1 단자(21)의 제2 돌출부(24d)의 단부는 대응하는 제2 단자(41)의 맞물림 리세스부(45)에 진입하도록 가압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맞물림이 제2 돌출부(24d)와 맞물림 리세스부(45) 사이에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각각의 제2 단자(41)의 제2 연결부(44)는 대응하는 제1 단자(21)의 제1 연결부(24)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적어지게 된다. 그 결과, 제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30)는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서로 정합된다. 또한, 전기적 연속성이 부 접점부로서 작용하는 제2 접점부에서 보장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와이핑의 관점에서, 제2 연결부(44)의 전방 측벽부(44a)는 제1 연결부(24)의 제1 돌출부(24b)와 접촉하기 위한 접점부가 편평한 표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체결 세기의 관점에서, 오목부가 접점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측벽부(44a) 전체는 그 중심부가 제1 돌출부(24b)와 맞물리도록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연결부(44)의 후방 측벽부(44b)의 접점부는 제2 돌출부(24d)와 맞물리기 위한 맞물림 리세스부(45)를 포함한다. 그러나, 접점부는 맞물림 리세스부(45)를 형성하지 않고 편평하게 단지 제2 돌출부(24d)와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Claims (17)

  1.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에 상호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이며,
    대체로 직사각형인 유전체 하우징, 및
    납땜 미부와 대체로 U자형인 접점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정합면과, 인접한 회로 부재에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면과, 상기 장착면으로부터 상기 정합면을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각각이 대향하여 마주보는 제1 및 제2 측벽들과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면을 갖고 상기 측벽들이 상기 정합면에 대체로 수직이고 상기 연결면이 정합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된 복수개의 단자 지지 지주들과, 단자들을 내부에 수납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종축을 따라 이격된 복수개의 단자 수납 공동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단자 수납 공동으로부터 상기 장착면으로 연장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납땜 미부는 상기 장착면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접점부는 제1 말단 접점 레그와, 상기 제1 말단 접점 레그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대체로 평행한 제2 기단 접점 레그와,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 사이에서 연장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점 레그는 제1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장착면에 인접한 상기 개구부들 중 하나에 수납되는 말단부를 갖고, 상기 제2 접점 레그는 제2 측벽을 따라 연장되고, 연결부는 상기 연결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의 외부면 들은 상기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의 정합하는 접점부들과 작동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된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는 제1 및 제2 연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속면은 상기 납땜 미부로부터 상기 U자형 접점부의 내부면과 상기 정합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속면은 상기 납땜 미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의 상기 외부면으로 납땜이 침투하는 경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의 상기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연속면은 상기 지지 지주의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고 그와 맞물리는 전기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접점 레그는 그 외부면 상에 납땜 장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는 제1 및 제2 연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속면은 상기 납땜 미부로부터 상기 U자형 접점부의 내부면과 상기 정합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속면은 상기 납땜 미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의 상기 외부면으로 납땜이 침투하는 경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의 상기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단자가 상부에 장착된 2열의 대체로 평행한 지지 지주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2열의 지지 지주들은 대체로 상기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그 사이에 중앙 공동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미부는 상기 제2 접점 레그로부터 직접 그에 대해 경사져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미부는 상기 제2 접점 레그에 대체로 수직인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자형 접점부는 상기 U자형 접점부에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지지 지주의 연결면과 상기 측벽들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미부는 상기 제2 접점 레그로부터 직접 연장되고 그에 대해 대체로 수직인 전기 커넥터.
  11.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와 상호접속하기 위한 기판 대 기판 커넥터이며,
    로우 프로파일의 대체로 직사각형인 유전체 하우징, 및
    복수개의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정합하는 커넥터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정합면과, 회로 부재에 인접하게 장착시키도록 구성된 장착면과, 하우징의 대향하는 단부들에 구비되고 그 사이에 레일이 연장되며 상기 레일이 제1 및 제2의 대향하여 마주보는 측면들을 갖는 한 쌍의 이격된 단부벽과, 상기 레일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개의 이격된 단자 수납 공동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단자 수납 공동으로부터 상기 장착면으로 연장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복수개의 단자는 상기 단자 수납 공동들 중 하나에 위치되고, 장착면을 따라 위치되는 납땜 미부와 상기 레일 둘레로 연장되는 대체로 U자형 본체를 포함하고, 본체는 상기 레일의 제1 측면을 따라 위치되는 제1 말단 접점 레그와, 레일의 제2 측면을 따라 위치되는 기단 접점 레그와,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을 연결하고 상기 정합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 만곡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의 외부면들은 상기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의 정합하는 접점부들과 작동식으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 레그의 말단부는 장착면에 인접한 상기 개구부들 중 하나에 수납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납땜 미부는 상기 제2 접점 레그로부터 직접 연장되고 그에 대해 대체로 수직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은 서로에 대하여 대체로 평행한 전기 커넥터.
  13. 제1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단자는 제1 및 제2 연속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연속면은 상기 납땜 미부로부터 상기 U자형 본체의 내부면과 상기 정합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연속면은 상기 납땜 미부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의 상기 외부면으로 납땜이 침투하는 경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접점 레그들의 상기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는 전기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연속면은 상기 레일의 외부면을 따라 연장되고 맞물리는 전기 커넥터.
  15. 제1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1 접점 레그는 그 외부면 상에 납땜 장벽을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16. 제11항에 있어서, 단자가 상부에 장착된 2열의 대체로 평행한 지지 지주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2열의 지지 지주들은 대체로 상기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그 사이에 중앙 공동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17. 제12항에 있어서, 단자가 상부에 장착된 2열의 대체로 평행한 지지 지주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2열의 지지 지주들은 대체로 상기 정합하는 전기 커넥터의 일부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그 사이에 중앙 공동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77026659A 2005-04-18 2006-04-18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KR200800052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19401 2005-04-18
JP2005119401A JP4526428B2 (ja) 2005-04-18 2005-04-18 基板対基板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274A true KR20080005274A (ko) 2008-01-10

Family

ID=3669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659A KR20080005274A (ko) 2005-04-18 2006-04-18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31477B2 (ko)
EP (1) EP1878093A1 (ko)
JP (1) JP4526428B2 (ko)
KR (1) KR20080005274A (ko)
CN (1) CN101164200B (ko)
WO (1) WO200613025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26B1 (ko) * 2009-06-29 2009-10-08 휴먼전자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WO2011002186A2 (ko) * 2009-06-29 2011-01-06 휴먼전자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KR20160023478A (ko) 2014-08-22 2016-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160082442A (ko) 2014-12-30 2016-07-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US10009956B1 (en) 2017-09-02 2018-06-26 Kamilo Feher OFDM, 3G and 4G cellular multimode systems and wireless mobile network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78313B2 (ja) * 2007-05-31 2012-07-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54036B2 (ja) * 2007-06-06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雄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9147415A (ja) * 2007-12-11 2009-07-02 Sharp Corp 受信装置および基板取付部材
CN101783454B (zh) 2009-01-18 2012-11-2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911735B2 (ja) * 2009-08-18 2012-04-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578833B2 (ja) * 2009-11-09 2014-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端子
JP5631074B2 (ja)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2114044A (ja) * 2010-11-26 2012-06-14 Kel Corp ケーブルコネクタ
TWM413984U (en) * 2011-01-18 2011-10-11 Molex Taiwan Ltd Electronic connector
JP5728279B2 (ja) * 2011-04-20 2015-06-0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3149454A (ja) 2012-01-19 2013-08-01 Molex Inc 端子及びコネクタ
CN102683948A (zh) * 2012-04-25 2012-09-1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CN102683949A (zh) * 2012-04-25 2012-09-1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US9167696B2 (en) * 2012-12-01 2015-10-20 Kingston Technology Corporation Low profile memory module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CN106848654B (zh) * 2013-02-27 2019-06-04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EP3065225B1 (en) * 2013-10-31 2019-08-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such socket, and header used in such connector
CN103872489B (zh) * 2014-01-24 2018-01-19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电连接器组合
JP6325262B2 (ja) * 2014-01-29 2018-05-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1876B2 (ja) *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9525224B1 (en) * 2015-08-03 2016-12-20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onic system
TWM520732U (zh) * 2015-09-25 2016-04-21 Advanced Connectek Inc 插頭電連接器與插座電連接器
JP7035015B2 (ja) 2016-08-15 2022-03-14 サムテック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相互接続システムのためのバックアウト防止ラッチ
JP2018037266A (ja) * 2016-08-31 2018-03-08 オムロン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10424855B2 (en) 2016-09-12 2019-09-24 Airborn, Inc. Connector terminals with improved solder joint
US10014609B2 (en) * 2016-11-28 2018-07-03 Molex, Llc Connector
US11196195B2 (en) 2017-04-10 2021-12-07 Samtec, Inc. Interconnect system having retention features
USD886066S1 (en) 2017-12-06 2020-06-02 Samtec, Inc. Securement member of electrical connector
KR102494901B1 (ko) * 2020-05-13 2023-02-0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5703U (ko) * 1989-10-05 1991-05-29
JPH06310197A (ja) 1993-04-23 1994-11-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US5876217A (en) 1996-03-14 1999-03-02 Molex Incorporated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JP2000157197A (ja) 1998-11-24 2000-06-13 Eriko Ando 紫サツマイモを用いた食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食品撹拌装置および食品撹拌方法
JP3682649B2 (ja) * 2001-11-27 2005-08-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JP3969229B2 (ja) * 2002-07-23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0538161B1 (ko) * 2002-07-23 2005-12-22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저 프로파일 커넥터
JP2004185866A (ja) * 2002-11-29 2004-07-02 Toshiba Corp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用リード端子の製造方法
KR20040072799A (ko) * 2003-02-11 2004-08-19 엘지전선 주식회사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US6793506B1 (en) 2003-08-27 2004-09-21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811411B1 (en) * 2003-09-12 2004-11-02 Molex Incorporated Board-to-boar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5108581A (ja) * 2003-09-30 2005-04-21 Nec Tokin Corp コネクタシステム
TWM300882U (en) * 2006-05-26 2006-11-1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4802959B2 (ja) * 2006-09-29 2011-10-26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26B1 (ko) * 2009-06-29 2009-10-08 휴먼전자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WO2011002186A2 (ko) * 2009-06-29 2011-01-06 휴먼전자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WO2011002186A3 (ko) * 2009-06-29 2011-03-31 휴먼전자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타입 커넥터
CN102474030A (zh) * 2009-06-29 2012-05-23 Human电子株式会社 板对板连接器
KR20160023478A (ko) 2014-08-22 2016-03-03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KR20160082442A (ko) 2014-12-30 2016-07-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커넥터
US10009956B1 (en) 2017-09-02 2018-06-26 Kamilo Feher OFDM, 3G and 4G cellular multimode systems and wireless mobile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302557A (ja) 2006-11-02
EP1878093A1 (en) 2008-01-16
WO2006130252A1 (en) 2006-12-07
CN101164200A (zh) 2008-04-16
JP4526428B2 (ja) 2010-08-18
US7931477B2 (en) 2011-04-26
US20090305528A1 (en) 2009-12-10
CN101164200B (zh) 2011-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05274A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쌍
US10756466B2 (en) Connector
US9647361B2 (en) Connector
US20210194169A1 (en) Board-to-board connector
US9577379B2 (en) Connector
US8480434B2 (e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and connector using same
US7131875B2 (en)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US7632107B2 (en) Board-to-board connector
US8337218B2 (en) High density surface mount connector
US20060089018A1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JP7208115B2 (ja) コネクタ
JP2007042410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0122783Y1 (ko) 인쇄 회로 기판용 연부 접속기
US20090325396A1 (en) Board-To-Board Connector Pair
US6827586B2 (en) Low-profile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JP5203989B2 (ja) 電気コネクタ
JP7038172B2 (ja) コネクタ
US7056133B2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JP200603224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707

Effective date: 2011110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