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2799A -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 Google Patents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2799A
KR20040072799A KR1020030008436A KR20030008436A KR20040072799A KR 20040072799 A KR20040072799 A KR 20040072799A KR 1020030008436 A KR1020030008436 A KR 1020030008436A KR 20030008436 A KR20030008436 A KR 20030008436A KR 20040072799 A KR20040072799 A KR 2004007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plug
board
receptacle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용희
김정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72799A/ko
Priority to TW093102574A priority patent/TWI234314B/zh
Priority to CNB2004100392589A priority patent/CN1290229C/zh
Priority to JP2004032372A priority patent/JP2004247304A/ja
Publication of KR2004007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79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리셉과 플러그 결합시 클릭감을 보다 향상시킴과 아울러 리셉과 플러그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structure of board to board connector}
본 발명은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리셉과 플러그 결합시 클릭감을 보다 향상시킴과 아울러 리셉과 플러그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드 대 보드(board to board; 이하 BtoB 라 칭함) 커넥터는 다양한 회로가 인쇄된 보드와 보드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BtoB 커넥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과 플러그로 구성되며 플러그가 리셉에 끼워짐으로써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리셉과 플러그는 각각 인슐레이터(3,10)와 전기도체인 컨텍(7,1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리셉의 컨텍(7)과 플러그의 컨텍(14)이 접촉하여 전기를 도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플러그 인슐레이터(10)에는 수직으로 돌설된 끼움돌기(12)가 형성되고, 상기 리셉 인슐레이터(3)에는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10)의 끼움돌기(12)가 끼워지는 끼움홈(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10)에는 인슐레이터의 측부로 노출되는 수평접촉부(16)와, 상기 수평접촉부(16)에 이어지면서 끼움돌기(12)의 일측 외주면 둘레를 따라 위치되는 끼움접촉부(18)와, 상기 끼움돌기(12)의 선단부에 위치되면서 그 일부분이 외부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누름부(19)를 갖는 플러그 컨텍(14)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리셉 인슐레이터(3)에는 끼움홈(5)의 내측부위로 노출되는 벤딩부(9)와, 상기 벤딩부(9)에 이어지면서 인슐레이터(3)의 상부로 노출되는 돌출부(8)를 갖는 리셉 컨텍(7)이 설치된다.
그러므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10)의 끼움돌기(12)가 리셉 인슐레이터(3)의 끼움홈(5)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상기 리셉 컨텍(7)의 벤딩부(9)는 플러그 컨텍(14)의 누름부(19)에 눌리면서 탄력적으로 리셉 인슐레이터(3)의 내부로 밀린 뒤, 상기 끼움돌기(12)가 끼움홈(5) 내부로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반발력에 의해 다시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리셉 컨텍(7)의 벤딩부(9)와 여기에 접촉되는 플러그 컨텍(14)의 누름부(19)는 각각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한 끼움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커넥터의 클릭감(찰칵하며 결합되는 느낌)이 형성되며, 플러그와 리셉이 완전 결합하게 되면 플러그 컨텍(14)의 끼움접촉부(18)와 수평접촉부(16)는 각각 리셉 컨텍(7)의 벤딩부(9)와 돌출부(8)에 접촉됨으로써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리셉 컨텍(7)의 벤딩부(9) 반발력에 의해 구속력이 생겨서 리셉과 플러그가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BtoB 커넥터는 연결시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클릭감이 매우 중요하며, 일정한도의 외력에 대하여 구속력을 갖추고 있어서 리셉과 플러그가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 BtoB 커넥터는 리셉 컨텍(7)의 벤딩부(9)에 의한 한방향 반발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결합력을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벤딩부(9)가 한쪽으로만 있기 때문에 클릭감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리셉과 플러그 결합시 클릭감을 보다 향상시킴과 아울러 리셉과 플러그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보드 대 보드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리셉과 플러그가 결합되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리셉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플러그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리셉과 플러그가 결합되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종래 커넥터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리셉 인슐레이터 32 : 끼움홈
34 : 리셉 컨텍 36 : 제1벤딩부
38 : 제2벤딩부 50 : 플러그 인슐레이터
52 : 끼움돌기 54 : 플러그 컨텍
59 : 누름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인슐레이터와 전기도체인 컨텍으로 이루어진 리셉과 플러그가 상호 결합되어 리셉의 컨텍과 플러그의 컨텍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전기가 도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끼움돌기 선단부에 위치되는 플러그 컨텍부분은 좌우 양측이 외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누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셉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끼움홈 내에 위치되는 리셉 컨텍부분은 상기 끼움홈 내측면을 따라 이어지되 내측면의 좌우 일측에서 각각 끼움홈 내측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1벤딩부 및 제2벤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컨텍의 누름부와 상기 리셉 컨텍의 제1벤딩부 및 제2벤딩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리셉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플러그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리셉과 플러그가 결합되는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종래 커넥터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는 리셉과 플러그로 구성되며, 리셉 인슐레이터(30)에 형성된 끼움홈(32) 내에 플러그 인슐레이터(50)에 형성된 끼움돌기(52)가 끼움 삽입됨으로써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리셉과 플러그가 결합하게 되면, 각 인슐레이터(30,50)에 설치된 컨텍(34,54)이 상호 접촉됨으로써 전기가 도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리셉과 플러그의 각 인슐레이터(30,50)에 설치되는 컨텍(34,54)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 인슐레이터(30)에 설치되는 리셉 컨텍(34)은 인슐레이터(30)의 측부에 그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로 인슐레이터(30)의 내측으로 이어지면서 인슐레이터(30)의 상부로 노출되는 돌출부(35)를 형성하고, 계속해서 인슐레이터(30)에 형성된 끼움홈(32)의 내측면을 따라 이어지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끼움홈(32) 내에 위치되는 리셉 컨텍부분은 끼움홈(32) 내측면을 따라 이어지되 내측면의 좌우 일측에서 각각 끼움홈(32) 내측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1벤딩부(36) 및 제2벤딩부(38)를 형성한다.
즉, 상기 리셉 컨텍(34)이 끼움홈(32) 내의 내측면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되, 그 좌우 일측에 제1벤딩부(36)와 제2벤딩부(38)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벤딩부(36) 및 제2벤딩부(38)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인슐레이터(50)에 설치되는 플러그 컨텍(54)은 인슐레이터(50) 측부에 그 일부분이 노출되어 수평접촉부(56)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접촉부(56)에서 인슐레이터(50) 내측을 지나 인슐레이터(50)에 형성된 끼움돌기(52)의 외측면을 따라 이어지게 설치된다.
특히, 상기 끼움돌기(52) 선단부에 위치되는 플러그 컨텍부분은 원형을 이루면서 그 좌우 양측이 외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누름부(59)를 형성한다.
이러한 플러그 컨텍(54)의 누름부(59) 외경은 상기 리셉 컨텍(34)의 제1벤딩부(36)와 제2벤딩부(38) 사이의 간격보다 크도록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에 의하면 리셉 컨텍(34)이 리셉 인슐레이터(30)의 끼움홈(32) 내부면을 감싸면서 설치됨과 아울러 그 좌우 일측에는 제1벤딩부(36)와 제2벤딩부(38)가 각각 형성되고, 플러그 컨텍(54)이 플러그 인슐레이터(50)의 끼움돌기(52)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되 그 선단부는 좌우 양측이 외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는 누름부(59)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의 끼움돌기(52)를 리셉의 끼움홈(32)에 끼우게 되면, 리셉 컨텍(34)의 제1벤딩부(36) 및 제2벤딩부(38)는 플러그 컨텍(54)의 누름부(59)에 눌리면서 탄력적으로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 컨텍(54)의 누름부(59)와 리셉 컨텍(34)의 제1벤딩부(36) 및 제2벤딩부(38)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과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의 끼움돌기(52)가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리셉 컨텍(34)의 제1벤딩부(36) 및 제2벤딩부(38)는 반발력에 의해 끼움돌기(52)의 양면을 지지하면서 구속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끼움돌기(52)의 양면에 반발력을 갖게 되어 안정적인 구속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제1벤딩부(36) 및 제2벤딩부(38)에 의해 이중 돌기 구조를 이룸으로써 플러그와 리셉의 결합시 클릭감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종래 한방향 반발력을 이용한 커넥터에 비해 플러그와 리셉 결합시 클릭감은 2.5배~3.5배 상승하였으며, 결합력은 1.5배~2.5배 정도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리셉과 플러그의 결합진행정도("0"인 경우에는 리셉과 플러그가 완전 분리된 상태, "1"인 경우에는 리셉과 플러그가 완전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커넥터의 힘을 나타내는 것으로 결합 초기에 상기 플러그 컨텍의 누름부와 리셉 컨텍의 벤딩부가 접촉되는 부분에서 커넥터의 힘이 상승되며 이때 클릭감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양면에 반발력을 갖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구속력을 갖게 됨으로써 플러그와 리셉사이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셉 컨텍의 이중 돌기 구조로 인하여 결합시 클릭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각 인슐레이터와 전기도체인 컨텍으로 이루어진 리셉과 플러그가 상호 결합되어 리셉의 컨텍과 플러그의 컨텍이 서로 접촉됨으로써 전기가 도전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끼움돌기 선단부에 위치되는 플러그 컨텍부분은 좌우 양측이 외부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누름부를 형성하고,
    상기 리셉 인슐레이터에 형성된 끼움홈 내에 위치되는 리셉 컨텍부분은 상기 끼움홈 내측면을 따라 이어지되 내측면의 좌우 일측에서 각각 끼움홈 내측을 향해 돌출됨으로써 제1벤딩부 및 제2벤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컨텍의 누름부와 상기 리셉 컨텍의 제1벤딩부 및 제2벤딩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KR1020030008436A 2003-02-11 2003-02-11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KR20040072799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436A KR20040072799A (ko) 2003-02-11 2003-02-11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TW093102574A TWI234314B (en) 2003-02-11 2004-02-05 Board-to-board connector
CNB2004100392589A CN1290229C (zh) 2003-02-11 2004-02-09 板对板连接器
JP2004032372A JP2004247304A (ja) 2003-02-11 2004-02-09 ボード対ボード型コネクタ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436A KR20040072799A (ko) 2003-02-11 2003-02-11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799A true KR20040072799A (ko) 2004-08-19

Family

ID=36592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436A KR20040072799A (ko) 2003-02-11 2003-02-11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247304A (ko)
KR (1) KR20040072799A (ko)
CN (1) CN1290229C (ko)
TW (1) TWI23431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01B1 (ko) * 2007-05-31 2009-12-2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102241131B1 (ko) * 2019-12-12 2021-04-1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도전성 패드를 이용한 차폐 기능의 rf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6428B2 (ja) * 2005-04-18 2010-08-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553502B2 (ja) * 2008-12-19 2014-07-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4852639B2 (ja) * 2009-10-14 2012-01-11 株式会社長府製作所 空気温調機
JP2012099276A (ja) * 2010-10-29 2012-05-24 Jst Mfg Co Ltd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JP5358615B2 (ja) * 2011-04-19 2013-1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3036094B (zh) * 2011-09-30 2016-06-29 岱炜科技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及其组件
JP2017084701A (ja) * 2015-10-30 2017-05-18 Smk株式会社 接続コネクタ
JP6635583B2 (ja) * 2015-10-30 2020-01-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10862234B2 (en) 2016-08-04 2020-12-08 Kyocera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CN111009760B (zh) * 2018-11-21 2021-09-17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电连接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401B1 (ko) * 2007-05-31 2009-12-2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US7637786B2 (en) 2007-05-31 2009-12-29 Omron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KR102241131B1 (ko) * 2019-12-12 2021-04-16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도전성 패드를 이용한 차폐 기능의 rf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25602A (zh) 2004-09-01
JP2004247304A (ja) 2004-09-02
TW200425582A (en) 2004-11-16
CN1290229C (zh) 2006-12-13
TWI234314B (en) 2005-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5793B1 (en) Audio jack connector
US925254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thereof
KR910003023B1 (ko) 접촉자 수용수단을 갖는 커넥터
US775373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anti-dust device to avoid the poor contact from dust
US8100724B2 (en) Electrical connector featured USB/eSATA interfaces
JPH10321306A (ja) ラッチ兼接地構造を有するシールド付きコネクタ
WO2010138459A1 (en) Low resistan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CN210489984U (zh) 高速背板连接器
KR20040072799A (ko) 보드 대 보드 커넥터의 구조
JP2002134239A (ja) ジャック
TWI266459B (en) Micro coaxial cable assembly having improved contacts
US7318749B2 (en) Power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CA2199069C (en) Connector module, connector module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JP2001357933A5 (ko)
US7553194B2 (en) Electrical connector
ATE373882T1 (de) Koaxialsteckverbinder und antennenanordnung mit einer schalterfunktion
US6811450B1 (en) Electrical receptacle-type terminal
JP5473758B2 (ja) コネクタ
CN218215769U (zh) 电连接端子及电连接装置
KR100397836B1 (ko) 스프링 접촉 단자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
US7824229B1 (en) Audio plug connector
CN112217016B (zh) 电连接器
CN210296781U (zh) 音频插座
KR101344305B1 (ko) 팝핑 노이즈 방지구조를 갖춘 연결잭용 소켓
JP2001057261A (ja) スプリング接触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