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070B1 -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070B1
KR102632070B1 KR1020210070769A KR20210070769A KR102632070B1 KR 102632070 B1 KR102632070 B1 KR 102632070B1 KR 1020210070769 A KR1020210070769 A KR 1020210070769A KR 20210070769 A KR20210070769 A KR 20210070769A KR 102632070 B1 KR102632070 B1 KR 10263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ir
wall
terminal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0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7503A (ko
Inventor
김석민
장진협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to JP2022049272A priority Critical patent/JP7245943B2/ja
Priority to US17/706,598 priority patent/US20220320772A1/en
Priority to TW111112032A priority patent/TWI831168B/zh
Priority to CN202220767987.XU priority patent/CN217009628U/zh
Priority to CN202210347962.9A priority patent/CN115207666A/zh
Publication of KR2022013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 및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커넥터 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한 쌍의 제2 측벽에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한 쌍의 피팅 네일 각각은 제1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상면부; 제1 측벽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면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중앙 보강부; 및 상면부의 양단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한 쌍의 측부 보강부를 포함하고, 중앙 보강부는 중앙 보강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1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중앙 솔더부를 포함하고, 한 쌍의 측부 보강부의 각각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외측벽 단자; 제1 외측벽 단자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외측벽 단자; 및 제2 외측벽 단자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내측벽 단자를 포함하고, 한 쌍의 측부 보강부 각각은, 제1 및 제2 외측벽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제2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측부 솔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PLUG CONNECTOR FOR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개시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개시는 기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기판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구성되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기판 대 기판(Board To Board; BTB) 커넥터의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한 쌍의 회로 기판에 있어서의 서로 대향하는 면의 각각에 설치할 수 있고, 서로 끼워맞춤되어 통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들일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고 있다. 커넥터가 소형화 및 저배화됨에 따라, 커넥터의 내구성이 약해져 상대방 커넥터와 끼움 결합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 등의 이유로 커넥터 본체(예를 들어 커넥터의 몰드부)가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넥터의 양 단부에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대방 커넥터와의 끼움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커넥터의 양 단부에 피팅 네일(또는, 보강 금구)이 위치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원 단자로서 전기적 접촉 단자를 구비한 피팅 네일은 그 일부분이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기판에서 요구되는 전원 전류 공급의 증가에 따라 피팅 네일의 전원 단자의 개수의 증가도 요구된다. 피팅 네일의 전원 단자들과 기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납땜과 같은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 Technology; SMT) 공정이 수행될 때, 납이 기판에서 커넥터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승되는 납오름(solder wick)이 발생할 수 있다. 커넥터에 납오름 문제가 발생할 경우, 커넥터의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또한, 납오름이 발생할 경우, 커넥터의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피팅 네일에 보다 많은 전원 단자를 제공하면서도 피팅 네일의 납오름이 방지되고, 커넥터의 끼움 결합시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갖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는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를 제공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오버 몰딩되는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에 오버 몰딩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 각각은 상기 제1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상면부;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면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중앙 보강부; 및 상기 상면부의 양단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한 쌍의 측부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보강부는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중앙 솔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의 각각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외측벽 단자; 상기 제1 외측벽 단자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외측벽 단자; 및 상기 제2 외측벽 단자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내측벽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외측벽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측부 솔더부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 솔더부는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측부 솔더부는, 상기 제1 외측벽 단자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상기 측부 솔더부는 제2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제1 외측벽 단자의 제2 방향 길이보다 상기 측부 솔더부의 제2 방향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은 상기 중앙 보강부가 노출되고 상기 중앙 솔더부의 저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하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중앙 솔더부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중앙 보강부의 노출 부분과 상기 중앙 솔더부의 저면의 노출 부분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 노출되고, 상기 중앙 보강부의 노출 부분은 전기적 접촉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은 상기 제1 외측벽 단자 및 제2 외측벽 단자가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1 내측벽 단자가 내측으로 노출되고 한 쌍의 측부 솔더부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측부 솔더부의 저면의 노출 부분과 상기 측부 보강부의 노출 부분들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중앙 보강부에는 전기적 접촉 단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커넥터 조립체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맞물리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피팅 네일에 보다 많은 전원 단자를 제공하면서도 표면 실장 기술 공정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피팅 네일에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각 피팅 네일에는 복수 개(예를 들어 각 측부 보강부에 3개)의 전원 단자가 형성될 수 있어, 안정적인 전기적 접점이 확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전류에서도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피팅 네일의 측부 솔더부의 면적이 커질 수 있어, 커넥터의 접촉 불량이 방지되고, 기판에 대한 부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의 끼움 결합시 커넥터의 전원 단자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커넥터의 강성이 증가하고 플러그 커넥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 본체,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의 A방향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저면의 일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D-D'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B-B'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C-C'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 커넥터와 접촉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나 이들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임의의 구분으로서, 실시예 각각이 서로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개시된 구성들은 다른 실시예에 적용 및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변경되어 적용 및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측",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도 1을 참조하여, 기판(20)을 기준으로 플러그 커넥터(10)가 위치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이는 어디까지나 본 개시가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기준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상측 및 하측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 요소의 "길이 방향"은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때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은 일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 축보다 구성 요소가 더 길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면에 도시된 좌표계는, x축, y축 및 z축을 도시한다. 단, 도면에 도시된 x, y, z축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의로 정해진 상대적인 방향을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10)의 사시도이다. 플러그 커넥터(10)는 기판(20)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기판(20)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된 기판(20)은 예시로서 제시되었을 뿐,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될 수 있는 한 기판(20)의 형상, 크기 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200)와, 한 쌍의 피팅 네일(100)(도 2a 내지 도 2c 참조)과, 복수의 플러그 단자(300)를 포함한다. 커넥터 본체(200)는 제1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210)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벽(220)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은 제1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x축 방향은 제2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z축 방향은 상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제1 방향(y축 방향)보다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더 길게 연장될 수 있으나, 플러그 커넥터(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오목부(250)가 형성된 커넥터 본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는 제1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1 측벽(21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제2 측벽(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210)의 제1 방향 길이는 제2 측벽(220)의 제2 방향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에 형성된 오목부(250)는 한 쌍의 제1 측벽(210) 및 한 쌍의 제2 측벽(2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하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구성에 대해, 커넥터 본체(200)의 오목부(250)를 바라보는 방향은 내측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200)의 오목부(2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바라보는 방향은 외측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10)를 살펴본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솔더링에 의해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되어,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0; 도 7)와 끼움 결합시 커넥터(10, 1000)가 쉽게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플러그 커넥터(10)의 양 단부에서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피팅 네일(100)이 제공하는 단자는 전원용 단자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커넥터 본체(200)의 양 단부에 오버 몰딩되는 피팅 네일(10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의 양 단부는 x축 방향으로 대향되는 양 단부일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의 상면부(110)는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의 상단과 접하며, 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의 상면부(110)는 제1 측벽(210)의 상단과 접하여 제1 측벽(210)을 보호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팅 네일(100)의 일 방향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100)의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피팅 네일(100)의 A방향 측면도이다. 피팅 네일(100)은 예를 들어, 금속판에 천공, 구부림 등의 가공으로써,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피팅 네일(100)은, 도 1에서 x축 방향의 (+)방향에 위치하는 피팅 네일(100)을 기준으로 방향 및 위치가 설정되어 상세히 설명되나, 해당 설명은 x축 방향의 (-) 방향에 위치하는 피팅 네일(100)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방향 및 위치가 설정되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피팅 네일(100)은 제1 측벽(210)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면부(110)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중앙 보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피팅 네일(100)의 상면부(110)의 x축 방향 일 측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에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에 형성된 홈부(125)는 중앙 보강부(120)와, 중앙 보강부(120)와 접촉하는 대상(즉, 리셉터클 커넥터의 피팅 네일의 대응 부분)과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확장 보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 보강부(115)는 상면부(110)의 x축 방향 다른 측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와, 확장 보강부(115)는 서로 대향될 수 있다. 확장 보강부(115)와 중앙 보강부(120)는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중앙 보강부(12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중앙 솔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솔더부(140)는 x축 방향의 (-)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는 하부에 저면(140a)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은 기판(20)의 표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상면부(110)의 양단에서 x축 방향의 (-)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 각각은 측부 보강부(130)의 일단에서 하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되어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과 접하는 제1 외측벽 단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 각각은 제1 외측벽 단자(131)로부터 이격되어, 제1 외측벽 단자(131)와 별도로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는 추가 단자(16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단자(160)는 예를 들어, 서로 대향되는 면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단자들(161, 16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 각각은 제1 외측벽 단자(131)로부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되어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과 접하는 제2 외측벽 단자(16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 각각은 제2 외측벽 단자(161)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되어 제2 측벽(220)의 내측면(220b)과 접하는 제1 내측벽 단자(16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의 각각은 제1 외측벽 단자(131) 및 제2 외측벽 단자(161)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부 솔더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는 하측으로 연장되며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는 측부 보강부(130)의 외측면이 바라보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즉, 측부 솔더부(150)는 y축 방향의(+) 방향 또는 (-) 방향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는 하부에 저면(150a)을 포함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저면(150a)은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과 측부 솔더부(150)의 저면(150a)은 피팅 네일(100)이 결합된 플러그 커넥터가 실장되는 대상과(예를 들어, 기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측부 솔더부(150)는 제1 외측벽 단자(131)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 사이로 연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부 솔더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와 각각 이격된 채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 사이에서 x축 방향의 (-)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 사이로 연장하는 측부 솔더부(150)의 저면(150a)은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의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되,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 모두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는 제2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1 외측벽 단자(131)의 제2 방향 길이보다 측부 솔더부(150)의 제2 방향측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또한 측부 솔더부(150)는 제2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제2 외측벽 단자(161)의 제2 방향측 길이보다 측부 솔더부(150)의 제2 방향측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도 1에서, 피팅 네일(100)의 중앙 보강부(120)는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제1 측벽(210)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측면은 피팅 네일(100)의 상면부(110)가 형성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상측면의 x축 방향 측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되며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을 감쌀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오목부(25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제1 측벽(210) 상에 위치하여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중앙 보강부(120)는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 상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는 중앙 보강부(120)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부(125)에 위치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홈부(125)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되는 돌출부(미도시)와의 끼움 결합 상태 및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홈부(125)는 중앙 보강부(120)의 외측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함몰될 수 있다. 확장 보강부(115)는 중앙 보강부(120)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제1 측벽(210)의 내측면(210b) 상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 단자부(미도시)와 접촉하였을 때, 홈부(125)에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 단자부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 단자는 중앙 보강부(120)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형상이나 특정 구성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홈부(125)에 리셉터클 커넥터의 대응 단자부의 일부가 삽입됨에 따라, 중앙 보강부(120)와 대응 단자부의 접촉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홈부(125)에 의해 중앙 보강부(120)와 대응 단자부의 결합감(예를 들어 결합 시 발생하는 소리 및 진동 등)을 느낄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은 중앙 보강부(120)에서 하단에서 하측으로 더 연장되는 중앙 솔더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외부로 노출된 중앙 솔더부(140)의 일 부분만 표시된다.
도 1에서, 피팅 네일(100)의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의 각각은 상면부(110)의 양단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측벽(220)의 상단과 접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 각각은 한 쌍의 제2 측벽(220) 각각의 상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부 보강부(130) 각각은 한 쌍의 제2 측벽(220) 각각의 외측면(220a) 및 내측면(220b)의 일부를 감쌀 수 있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131, 161, 162)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외측벽 단자(131)는 커넥터 본체(200)의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외측벽 단자(131)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별도의 접점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외측벽 단자(161)는 제1 외측벽 단자(131)와 x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커넥터 본체(200)의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일 부분을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2 외측벽 단자(161)의 적어도 일부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 외측벽 단자(161)와 제1 외측벽 단자 (131)는 각각 커넥터 본체(200)의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에 서로 이격된 전기적 접촉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다른 일 부분을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다른 일 부분은 제2 외측벽 단자(161)에 의해 감싸지는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일 부분 이외의 부분 중 소정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제2 측벽(220)의 내측면(220b)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제2 측벽(220)의 상측면의 다른 일 부분을 감싸며 하측으로 만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벽 단자(13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내측벽 단자(162)는 제2 측벽(220)의 내측면(220b)에 전기적 접촉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복수의 단자(310)를 포함하는 플러그 단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단자(310)는 각각 커넥터 본체(200)의 제2 측벽(220)의 외측 및 내측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점(신호 단자)을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 단자(300)는 피팅 네일(100) 쌍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플러그 단자(300)는 측부 보강부(130)와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0)의 일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D-D'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피팅 네일(100)의 상면부(110) 및 중앙 보강부(120)는 제1 측벽(210)의 상측면 및 외측면(210a)을 감싸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일부는 오버 몰딩으로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에 매립될 수 있다. 매립되지 않은 중앙 보강부(120)의 노출 부분은 전기적 접촉 단자를 형성할 수 있다.
피팅 네일(100)의 중앙 솔더부(140)는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에서부터 제1 측벽(210)의 내측면(210b)을 향하는 방향(x축 방향의 (-)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다시 그 만곡된 단부가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까지 도달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만곡된 단부는 제1 측벽(210)의 외측면(210a)보다 더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만곡된 단부는 제1 측벽(210)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만곡된 부분은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에 매립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에 실장될 때,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은 기판(20)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은 제1 측벽(210)의 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20)과 접촉할 때, 커넥터 본체(200)보다 먼저 기판(20)과 접촉할 수 있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over-molding)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의 양 단부에 오버 몰딩(over-molding) 또는 풀 오버 몰딩(full over-molding)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는 오버 몰딩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질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수지 등일 수 있다. 오버 몰딩은 서로 다른 재료(구성 요소)가 함께 사출 성형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금형 내에서 절연 재료가 커넥터 본체(200)로 성형되며, 한 쌍의 피팅 네일(100) 및 플러그 단자(300)의 적어도 일 부분이 충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넥터 본체(200), 한 쌍의 피팅 네일(100) 및 플러그 단자(300)가 플러그 커넥터(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c를 함께 참조하여,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이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될 때, 측부 보강부(130)의 하측에 형성된 갭 공간(111)에는 지그(jig)와 같은 유동 방지 기구가 삽입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의 갭 공간(111)에 유동 방지 기구가 삽입된 채,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커넥터 본체(200)에 오버 몰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동 방지 기구가 삽입된 소정 위치에는 커넥터 본체(200)가 충진될 수 없다. 피팅 네일(100)의 오버 몰딩 후, 유동 방지 기구는 제거되고, 커넥터 본체(200)에는 공극(211)이 형성될 수 있다. 공극(211)은 피팅 네일(100)이 오버 몰딩될 때, 유동 방지 기구가 삽입된 소정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동 방지 기구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 중 적어도 일 부분이 하측으로 노출되고, 중앙 솔더부(140)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 중 적어도 일 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 중, 나머지 부분(중앙 솔더부(140)의 저면(140a) 중 적어도 일 부분 이외의 부분)은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에 매립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의 제1 측벽(210)에 매립된 중앙 솔더부(140)의 나머지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중앙 보강부(120)와 중앙 솔더부(140)의 노출부분은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된 중앙 솔더부(140)의 나머지 부분에서 납오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직접적인 전기적 흐름이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중앙 솔더부(140)의 노출 부분(141)과 중앙 보강부(120)의 노출 부분(121)은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중앙 솔더부(140)의 노출 부분(141)과 중앙 보강부(120)의 노출 부분(121)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됨에 따라, 중앙 솔더부(140)를 따라 중앙 보강부(120)(예를 들어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로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중앙 솔더부(140)의 나머지 부분이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되어, 중앙 솔더부(140)를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납오름이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B-B'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의 C-C'방향 단면 사시도이다.
측부 솔더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외측벽 단자(13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적어도 일부는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에서부터 제2 측벽(220)의 내측면(220b)을 향하는 방향(y축 방향의 (+) 방향 또는 y축 방향의 (-) 방향)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다시 그 만곡된 단부가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까지 도달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만곡된 단부는 제2 측벽(220)의 외측면(220a)보다 더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노출 부분(151)은 제2 외측벽 단자(161)의 노출 부분(161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의 노출 부분(1621)과 이격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노출 부분(151)은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 각각과 소정 거리 이격된 채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노출 부분(151)은 기판(20; 도 1 참조)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된 저면(150a)을 포함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20)에 실장될 때, 측부 솔더부(150)의 저면(150a)은 기판(20)과 접촉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부 솔더부(150)의 저면(150a)은 커넥터 본체(200)의 제2 측벽(220)의 저면보다 하측에 위치하여, 플러그 커넥터(10)가 기판(20)과 접촉할 때, 커넥터 본체(200)보다 먼저 기판(20)과 접촉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피팅 네일(100)은 제1 외측벽 단자(131) 및 제2 외측벽 단자(161)가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1 내측벽 단자(162)가 내측으로 노출되고 한 쌍의 측부 솔더부(150)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될 수 있다. 이로써,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된 측부 솔더부(150)의 나머지 부분에서 납오름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직접적인 전기적 흐름이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노출 부분(15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은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측부 솔더부(150)의 노출 부분(15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은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측부 솔더부(150)의 노출 부분(15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됨에 따라, 측부 솔더부(150)를 따라 측부 보강부(130)(예를 들어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로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측부 솔더부(150)의 나머지 부분이 커넥터 본체(200)에 매립되어, 측부 솔더부(150)를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납오름이 커넥터 본체(2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중앙 솔더부(140)의 노출 부분(141)과 중앙 보강부(120)의 노출 부분(121)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되고, 측부 솔더부(150)의 노출 부분(151)과 측부 보강부(130)의 노출 부분(132)이 커넥터 본체(20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가 표면 실장 기술 공정에 의해 기판(20)에 실장될 때, 중앙 보강부(120) 및 측부 보강부(130)에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납오름이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예를 들어, 중앙 보강부(12)의 홈부(125) 및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예를 들어, 측부 보강부(130)의 제1 외측벽 단자(131), 제2 외측벽 단자(161) 및/또는 제1 내측벽 단자(162))에 발생할 경우, 플러그 커넥터(10)의 접촉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불안정한 접촉 저항으로 인해 플러그 커넥터(10)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다. 이는, 플러그 커넥터(10) 및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20)에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중앙 보강부(120)의 접점부 및 측부 보강부(130)의 접점부에 납오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납오름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플러그 커넥터(10)의 강성이 증가하고, 플러그 커넥터(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에서는 각 피팅 네일(100)에 복수 개(예를 들어 각 측부 보강부(130)에 3개)의 전원 단자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전기적 접점이 확보될 수 있어, 고전류에서도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피팅 네일(100)의 측부 솔더부(150)의 면적이 커질 수 있어, 커넥터(10)의 접촉 불량이 방지되고, 기판에 대한 부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가 대응 커넥터와 접촉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일 예시로서, 대응 기판(50)에 실장된 대응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1000)일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가 리셉터클 커넥터(1000)에 삽입됨으로 플러그 커넥터(10) 및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는 각각 전기적 연결을 위한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제2 외측벽 단자(161) 및 제1 내측벽 단자(162)는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리셉터클 단자(1010)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제2 외측벽 단자(161) 에는 리셉터클 단자(1010)를 체결하는 단턱(165)이 형성될 수 있다. 단턱(165)이 형성됨에 따라, 제2 외측벽 단자(161)와 리셉터클 단자(1010)의 전기적 연결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중앙 보강부(120) 및 제1 외측벽 단자(131)도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리셉터클 중앙 단자(미도시) 및 리셉터클 단자(미도시)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단자(30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0)의 플러그 단자(미도시)에 의해 추가적인 전기적 연결이 제공될 수도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10)가 실장된 기판(20)과, 리셉터클 커넥터(1000)가 실장된 대응 기판(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20: 기판, 100: 피팅 네일, 110: 상면부, 111: 갭 공간, 115: 확장 보강부, 120: 중앙 보강부, 121: 중앙 보강부의 노출 부분, 125: 홈부, 130: 측부 보강부, 131: 제1 외측벽 단자, 132: 측부 보강부의 노출 부분, 140: 중앙 솔더부, 140a: 중앙 솔더부의 저면, 141: 중앙 솔더부의 노출 부분, 150: 측부 솔더부, 150a: 측부 솔더부의 저면, 151: 측부 솔더부의 노출 부분, 160: 추가 단자, 161: 제2 외측벽 단자, 162: 제1 내측벽 단자, 165: 단턱, 200: 커넥터 본체, 210: 제1 측벽, 210a: 제1 측벽의 외측면, 210b: 제1 측벽의 내측면, 211: 공극, 220: 제2 측벽, 220a: 제2 측벽의 외측면, 220b: 제2 측벽의 내측면, 250: 오목부, 300: 플러그 단자, 310: 단자, 50: 대응 기판, 1000: 대응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 1010: 리셉터클 단자

Claims (8)

  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이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 및 상기 제1 방향을 가로지르는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에 결합되는 한 쌍의 피팅 네일; 및
    상기 한 쌍의 제2 측벽에 결합되는 복수의 플러그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 각각은
    상기 제1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상면부;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상면부에서 하측으로 만곡된 중앙 보강부; 및
    상기 상면부의 양단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측벽의 상단과 접하는 한 쌍의 측부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보강부는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중앙 솔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의 각각은
    하측으로 연장된 제1 외측벽 단자;
    상기 제1 외측벽 단자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제2 외측벽 단자; 및
    상기 제2 외측벽 단자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내측벽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부 보강부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외측벽 단자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외측벽 단자와 상기 제1 내측벽 단자 사이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측부 솔더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솔더부는, 상기 중앙 보강부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플러그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솔더부는, 상기 제1 외측벽 단자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벽의 내측면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플러그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솔더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더 연장되어, 상기 제1 외측벽 단자의 제2 방향 길이보다 상기 측부 솔더부의 제2 방향 길이가 더 긴,
    플러그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은 상기 중앙 보강부가 노출되고 상기 중앙 솔더부의 저면 중 적어도 일 부분이 하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중앙 솔더부의 나머지 부분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중앙 보강부의 노출 부분과 상기 중앙 솔더부의 저면의 노출 부분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 노출되고,
    상기 중앙 보강부의 노출 부분은 전기적 접촉 단자를 형성하는,
    플러그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피팅 네일은 상기 제1 외측벽 단자 및 제2 외측벽 단자가 외측으로 노출되고 제1 내측벽 단자가 내측으로 노출되고 한 쌍의 측부 솔더부가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커넥터 본체에 매립되고,
    상기 측부 솔더부의 저면의 노출 부분과 상기 측부 보강부의 노출 부분들은 상기 커넥터 본체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리 노출되는,
    플러그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보강부에는 전기적 접촉 단자로서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되는,
    플러그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맞물리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210070769A 2021-04-02 2021-06-0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632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49272A JP7245943B2 (ja) 2021-04-02 2022-03-25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US17/706,598 US20220320772A1 (en) 2021-04-02 2022-03-29 Plug connector for board-to-boar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TW111112032A TWI831168B (zh) 2021-04-02 2022-03-29 用於基板對基板連接器的插頭連接器以及包括所述插頭連接器的連接器元件
CN202220767987.XU CN217009628U (zh) 2021-04-02 2022-04-01 插头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CN202210347962.9A CN115207666A (zh) 2021-04-02 2022-04-01 插头连接器以及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3274 2021-04-02
KR1020210043274 2021-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03A KR20220137503A (ko) 2022-10-12
KR102632070B1 true KR102632070B1 (ko) 2024-02-02

Family

ID=83597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0769A KR102632070B1 (ko) 2021-04-02 2021-06-01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070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13509B2 (ja) * 2015-07-01 2019-05-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
JP6894320B2 (ja) * 2017-08-21 2021-06-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1990508B1 (ko) * 2017-11-27 2019-06-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7503A (ko)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29802B (zh) 连接器
US20140099804A1 (en) Connector
KR20210151961A (ko) 커넥터
US8366457B2 (en) Wiring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circuit boards with an insulating sleeve in a terminal insertion hole
JP2022179771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47677B1 (ko) 플러그 커넥터
US8064191B2 (en) Capacitor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80112359A (ko) 소켓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0727619B2 (en) Control unit having press-fit structure
JP7398496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KR102632070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67726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용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KR200471891Y1 (ko) 커넥터 어셈블리
CN108123238B (zh) 连接器
JP7245943B2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用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これを含むコネクタ組立体
KR101991106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JP2007151296A (ja) コネクタ付基板
KR20040078681A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기판용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성형방법 및 기판용 전기 커넥터 하우징의 사출 성형용 금형
KR102330375B1 (ko) 보호소자가 구비된 커넥터
KR101991107B1 (ko) 자동차용 인쇄회로기판의 점핑장치
CN114175867B (zh) 电子模块
CN108023014B (zh) 电子元件
KR102319024B1 (ko) 소켓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165739B1 (ko) 커넥터의 홀드다운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20240066966A (ko) 플러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