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875B1 -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875B1
KR102523875B1 KR1020220154576A KR20220154576A KR102523875B1 KR 102523875 B1 KR102523875 B1 KR 102523875B1 KR 1020220154576 A KR1020220154576 A KR 1020220154576A KR 20220154576 A KR20220154576 A KR 20220154576A KR 102523875 B1 KR102523875 B1 KR 10252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connector
electrical connector
shiel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520A (ko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875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6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specially adapted for high-frequency, e.g. structures providing an impedance match or phase match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몰드부; 제1 외측 실드(outer shield); 제1 외측 신호 단자; 제1 내측 실드(inner shield); 및 제1 내측 신호 단자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될 때,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와 체결된다.
상기 전기 커넥터(10 또는 20(일예로, 10))의 제1 외측 신호 단자(10-3)와 상기 상대 커넥터(20 또는 10(일예로, 20))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20-3)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사이 또는 아래의 하우징(10-5)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홀(10-H1, 10-H2, 10-H3)이 존재한다.

Description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RADIO FREQUENCY}
본 발명은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자기파 차폐의 성능을 높이고, 단자의 물리적 파손 가능성을 낮춘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소켓 단자의 결합부는 반복된 결합과 해제, 또는 계속 결합된 상태의 지속에 의해서 변형되기 쉽고, 이는 결합력의 강도 또는 커넥터의 내구성 등에 악영향을 미친다.
커넥터를 통해 신호를 주고 받음에 있어서, 당해 신호의 주파수가 높고 낮음에 따라서 커넥터의 구조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종래의 커넥터를 5세대(5G) 무선 통신에 그대로 사용하면 적절히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5G 무선 통신에 대응하는 고주파에서의 커넥터의 전기적 특성을 좋게 하는 것이다. 특히, EMI 특성으로서 전자기파의 완전 차폐를 과제로 한다. 또한, 단자의 물리적 파손을 방지하는 것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4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 외측 실드(outer shield);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는 제1 외측 신호 단자;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더욱 내측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더욱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실드(inner shield); 및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실드보다 더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가 실장되는 기판이 있는 쪽을 상기 전기 커넥터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하방이라고 할 때, 상기 내측 실드의 최상단의 높이는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의 최상단의 높이보다 높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는 RF 신호 단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내측 신호 단자는 신호 또는 전원 전력을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될 때, (i)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실드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실드인 제2 외측 실드와 체결되며, (ii)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와 체결되며, (iii)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내측 실드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내측 실드인 제2 내측 실드와 체결되며, (iv)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내측 신호 단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내측 신호 단자인 제2 내측 신호 단자와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제1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 사이의 하우징의 부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하부 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접점의 아래의 하우징의 부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홀은, 제2 홀 및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과 제3 홀은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각각 아래의 하우징의 부분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내측 실드가 양측에서 감싸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실드(10-1) 및 내측 실드(10-2)'와 '소켓 커넥터(20)의 외측 실드(20-1) 및 내측 실드(20-2)'가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 및 '소켓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를 둘러쌈으로써 전자기파 차폐를 행한다.
RF 신호 단자(10-3, 20-3)를 잘 차폐하도록 하는 주된 구성 중 하나는 플러그 외측 실드(10-1)가 리셉터클 외측 실드(20-1)와 리셉터클 내측 실드(20-2)를 마치 브리지처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며, 이에 의해 전반적으로, 외측 실드(10-1, 20-1), 내측 실드(10-2, 20-2)의 결합 후의 구조는 커넥터(10, 2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서 RF 신호 단자(10-3, 20-3)를 둘러싸고 있다.
내측 실드(10-2)와 내측 실드(20-2)의 결합체는 RF 신호 단자(10-3) 및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로부터의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물리적인 힘으로부터도 RF 신호 단자(10-3)와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를 보호한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를 나타내며,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10)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나타내며, 도 2a의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a, 1b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더욱 확대한 것이다.
도 4는 도 2a, 2b의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더욱 확대한 것이다.
도 5은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와 도 2a,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체결했을 때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와 도 2a,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체결했을 때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하우징(10-5)을 가상적으로 제거하고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2a,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서 하우징(20-5)을 가상적으로 제거하고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반전하여 도 8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결합한 것을 하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4(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외측 실드(10-1)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13은 플러그 커넥터(10)가 하방(-Z 방향)에 위치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상방(+Z 방향)에 위치한 채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도 플러그 커넥터(10)가 하방(-Z 방향)에 위치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상방(+Z 방향)에 위치한 채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과는 보는 방향이 다소 상이하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에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실드(10-1; 아우터 실드), 내측 실드(10-2; 이너 실드), RF 신호 단자(10-3), 신호 단자(10-4), 하우징(1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RF 신호 단자(10-3)는 고주파 신호(일예로 50GHz 정도의 주파수 신호)를 주고 받는 단자이다. 신호 단자(10-4)는 RF 신호 단자(10-3)보다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신호를 주고 받는 단자이다. 신호 단자(10-4)는 5G 대응 커넥터 이전의 기존의 커넥터에서 처리되던 주파수 범위를 처리하는 단자일 수 있다. 5G 무선 통신에 사용된다는 것은 일예이고, 반드시 그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필요에 따라서, 신호 단자(10-4)에는 전원 단자 수준의 전류를 흘릴 수도 있다. 일예로, 신호 단자(10-4)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6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6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외측 실드(10-1)는 고주파 신호를 주고 받는 RF 신호 단자(10-3)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내측 실드(10-2)도 마찬가지로, 고주파 신호를 주고 받는 RF 신호 단자(10-3)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0-5)은 기저부를 갖는다. 하우징(10-5)은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RF 신호 단자(10-3), 내측 실드(10-2), 신호 단자(10-4) 등이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 신호 단자(10-4)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외측 실드(10-1), 내측 실드(10-2)는 전자기파 차폐 소재이면 되며,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 고분자 복합 재료, 플라스틱에 금속을 코팅하거나 스프레이한 것, 그래핀 등의 탄소 소재 등일 수도 있고, RF 신호 단자(10-3), 신호 단자(10-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일 수도 있다.
차폐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실드(10-1) 및 내측 실드(10-2)'와 후술할 '소켓 커넥터(20)의 외측 실드(20-1) 및 내측 실드(20-2)'가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 및 '소켓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를 둘러쌈으로써 차폐를 행한다.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를 나타내며, 도 1a의 플러그 커넥터(10)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면에서 보았을 때, 가장 큰 면적이 드러나는 부분은 외측 실드(10-1)이다. 플러그 커넥터(10)의 가운데 부분에 신호 단자(10-4)가 배치되어 있다.
신호 단자(10-4)보다 외측(커넥터(10)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외측)에 내측 실드(10-2)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 방향)에서 외측 실드(10-1)와 내측 실드(10-2)의 사이에는 RF 신호 단자(10-3)가 존재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소켓 커넥터(20)로 불리기도 한다.
도 2a에는 소켓 커넥터(20)의 외측 실드(20-1), 내측 실드(20-2), RF 신호 단자(20-3), 신호 단자(20-4), 하우징(20-5; 몰드부)가 도시되어 있다.
RF 신호 단자(20-3)는 고주파 신호를 주고 받는 단자이다. 신호 단자(20-4)는 RF 신호 단자(20-3)보다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의 신호를 주고 받는 단자이다. 필요에 따라서, 신호 단자(20-4)에는 전원 단자 수준의 전류를 흘릴 수도 있다.
외측 실드(20-1)는 고주파 신호를 주고 받는 RF 신호 단자(20-3)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내측 실드(20-2)도 마찬가지로, 고주파 신호를 주고 받는 RF 신호 단자(20-3)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하우징(20-5; 몰드부)는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 신호 단자(20-4)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외측 실드(20-1), 내측 실드(20-2)는 전자기파 차폐 소재이면 되며, 예컨대, 알루미늄 등의 금속, 고분자 복합 재료, 플라스틱에 금속을 코팅하거나 스프레이한 것, 그래핀 등의 탄소 소재 등일 수도 있고, RF 신호 단자(20-3), 신호 단자(20-4)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일 수도 있다.
차폐의 구조는 구체적으로,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실드(10-1) 및 내측 실드(10-2)'와 '소켓 커넥터(20)의 외측 실드(20-1) 및 내측 실드(20-2)'가 협동하여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 및 '소켓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를 둘러쌈으로써 차폐를 행한다.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나타내며, 도 2a의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저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면에서 보았을 때, 가장 큰 면적이 드러나는 부분은 외측 실드(20-1)이다. 리셉러클 커넥터(20)의 가운데 부분에 신호 단자(20-4)가 배치되어 있다.
신호 단자(20-4)보다 외측(커넥터(20)의 길이 방향(X 방향)으로 외측)에 내측 실드(20-2)가 배치되어 있다.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 방향)에서 외측 실드(20-1)와 내측 실드(20-2)의 사이에는 RF 신호 단자(20-3)가 존재한다.
도 3은 도 1a, 1b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더욱 확대한 것이다.
도 3(a)는 도 1a에 나타난 플러그 커넥터(10)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준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우징(10-5)은 플라스틱의 조립체가 아니라 하나의 플라스틱 조각인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 실드(10-1)는 금속의 조립체가 아니라 하나의 금속 조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는 도 3(a)에서 외측 실드(10-1)와 하우징(10-5)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다.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가장 외측에 RF 신호 단자(10-3), 그보다 내측에 내측 실드(10-2), 그보다 더 내측에 신호 단자(10-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2a, 2b의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더욱 확대한 것이다.
도 4(a)는 도 2a에 나타난 리셉터클 커넥터(20)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준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우징(20-5)은 플라스틱의 조립체가 아니라 하나의 플라스틱 조각인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 실드(20-1)는 금속의 조립체가 아니라 하나의 금속 조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는 도 4(a)에서 외측 실드(20-1)와 하우징(20-5)을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다.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 방향)을 따라, 가장 외측에 RF 신호 단자(20-3), 그보다 내측에 내측 실드(20-2), 그보다 더 내측에 신호 단자(20-4)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RF 신호 단자(20-3)보다 (X 방향으로) 내측에 내측 실드(20-2)가 배치된다고 기재하였으나, 도면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X 방향에서 일부 범위에서 중첩될 수도 있다.
도 5은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와 도 2a,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체결했을 때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반전하여 도 2a,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 체결한 상태에서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도 5에 나타난다.
도 5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실드(10-1)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외측 실드(20-1)가 결합된 것이 나타나 있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가 결합된 것이 나타나 있다.
도 5의 단면(즉, YZ 평면)에서 볼 때, 외측 실드(10-1)와 외측 실드(20-1)의 결합체는 RF 신호 단자(10-3)와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를 Y 방향(커넥터(10, 20)의 폭방향)에서 감싸고 있는 형상이다.
참고로, 외측 실드(10-1)와 외측 실드(20-1)가 결합될 때,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데, 도 5에서는 이러한 탄성 변형을 다소 무시하고 단지 개념적으로만 상호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마찬가지로, RF 신호 단자(10-3)와 RF 신호 단자(20-3)가 결합될 때,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데, 도 5에서는 이러한 탄성 변형을 다소 무시하고 단지 개념적으로만 상호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야 할 일부 개소가 단순히 중첩된 것으로 도시된 부분도 있다.
도 6은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와 도 2a,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체결했을 때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반전하여 도 2a,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 체결한 상태에서 BB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이 도 6에 나타난다.
도 6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실드(10-1)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외측 실드(20-1)가 결합된 것이 나타나 있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신호 단자(10-4)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4)가 결합된 것이 나타나 있다.
도 6의 단면(즉, YZ 평면)에서 볼 때, 외측 실드(10-1)와 외측 실드(20-1)의 결합체는 신호 단자(10-4)와 신호 단자(20-4)의 결합체를 Y 방향(커넥터(10, 20)의 폭방향)에서 감싸고 있는 형상이다.
참고로, 외측 실드(10-1)와 외측 실드(20-1)가 결합될 때,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데, 도 46서는 이러한 탄성 변형을 다소 무시하고 단지 개념적으로만 상호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마찬가지로, 신호 단자(10-4)와 신호 단자(20-4)가 결합될 때,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데, 도 6에서는 이러한 탄성 변형을 다소 무시하고 단지 개념적으로만 상호 결합을 나타낸 것이다. 그에 따라, 탄성 변형되어야 할 일부 개소가 단순히 중첩된 것으로 도시된 부분도 있다.
도 7은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하우징(10-5)을 가상적으로 제거하고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하우징(10-5)이 없으면 내측 실드(10-2), RF 신호 단자(10-3), 신호 단자(10-4)가 제 위치에 있을 수 없지만, 도 7에서는 가상적으로 하우징(10-5)을 제거하고 나머지 부재가 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부재 간의 결합(특히,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20)와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8은 도 2a,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서 하우징(20-5)을 가상적으로 제거하고 상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하우징(20-5)이 없으면 내측 실드(20-2), RF 신호 단자(20-3), 신호 단자(20-4)가 제 위치에 있을 수 없지만, 도 8에서는 가상적으로 하우징(20-5)을 제거하고 나머지 부재가 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는 부재 간의 결합(특히, 상대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10)와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9는 도 7의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반전하여 도 8의 리셉터클 커넥터(20)에 결합한 것을 하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도 도 7, 도 8과 마찬가지로 가상적으로 하우징(10-5, 20-5)을 제거한 채로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9에서 플러그 커넥터(10)가 +Z 방향에, 리셉터클 커넥터(20)가 -Z 방향에 위치해 있다.
도 9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가 서로 결합(체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내측 실드(10-2)와 내측 실드(20-2)가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외측 실드(10-1)와 외측 실드(20-1)가 서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커넥터(10, 20)의 길이 방향(X 방향)에서 'RF 신호 단자(10-3)와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는 '외측 실드(10-1)와 외측 실드(20-1)의 결합체'와 '내측 실드(10-2)와 내측 실드(20-2)의 결합체'의 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커넥터(10 20)의 폭 방향(Y 방향)에서 'RF 신호 단자(10-3)와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는 '외측 실드(10-1)와 외측 실드(20-1)의 결합체'의 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0 20)의 폭 방향(Y 방향)에서 'RF 신호 단자(10-3)와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 실드(10-2)와 내측 실드(20-2)의 결합체'의 사이에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서, 'RF 신호 단자(10-3)와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는 '외측 실드(10-1)와 외측 실드(20-1)의 결합체'와 '내측 실드(10-2)와 내측 실드(20-2)의 결합체'에 의해 전기적으로 차폐(전자기파 차폐)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CC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CC 단면에서 끼워맞춤(감합) 체결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10)의 외측 실드(10-1; 플러그 외측 실드)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외측 실드(20-1; 리셉터클 외측 실드)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내측 실드(20-2; 리셉터클 내측 실드)와 접촉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이들(20-1, 10-1, 20-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 내측 실드(20-2)는 플러그 내측 실드(10-1)와도 접촉해 있다. 다만, 도 10, 도 7 등에 나타나듯이, 플러그 내측 실드(10-2)의 내측 단부(10-2IE)끼리는 접촉해 있지 않다.
요컨대, RF 신호 단자(10-3, 20-3)를 잘 차폐하도록 하는 주된 구성 중 하나는 플러그 외측 실드(10-1)가 리셉터클 외측 실드(20-1)와 리셉터클 내측 실드(20-2)를 마치 브리지처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이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외측 실드(10-1, 20-1), 내측 실드(10-2, 20-2)의 결합 후의 구조는 커넥터(10, 20)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에서 RF 신호 단자(10-3, 20-3)를 둘러싸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플러그 외측 실드(10-1)가 리셉터클 외측 실드(20-1)와 리셉터클 내측 실드(20-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였으나, 이는 일예이며, 일반적으로는 전기 커넥터의 외측 실드가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실드와 내측 실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 족하다. 전기 커넥터가 플러그 커넥터(10)라면 상대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이고, 반대로 전기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20)라면 상대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10)가 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예에서는 플러그 외측 실드(10-1)도 하나의 조각이고, 리셉터클 외측 실드(20-1)도 하나의 조각이다. 그러나, 외측 실드(10-1 또는 20-1)는 커넥터(10 또는 20)의 4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충분하고, 도면에서처럼 하나의 조각일 수도 있지만, 여러개의 조각(예컨대 2개의 조각)일 수도 있다.
도 7, 도 9에서 보듯이, 플러그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 방향)에 있어서, 내측 실드(10-2)는 RF 신호 단자(10-3)와 신호 단자(10-4) 사이에 존재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소 중첩되는 구간이 있어도 무방하다. 중첩되는 편이 오히려 RF 신호 단자(10-3, 20-3)를 더 잘 둘러싸므로 전자기파 차폐 효과가 클 것이다.
그리고 도 8, 도 9에서 보듯이,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길이 방향(X 방향)에 있어서, 내측 실드(20-2)는 RF 신호 단자(20-3)와 신호 단자(20-4) 사이에 존재한다. 물론,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에 있어서 다소 중첩되는 구간(예컨대, RF 신호 단자(20-3)와 내측 실드(20-2)가 길이 방향(X 방향)의 일부 구간에서 중첩됨이 있어도 무방하다.
달리 표현하면, 내측 실드(10-2, 20-2)는 신호 단자(10-4, 20-4)의 길이 방향(X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 배치된다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10에는 실장부(10-1M, 10-2MI, 10-2MO, 20-1M, 20-2MO, 20-2MI)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장부는 플러그 커넥터(10)의 각각의 부재(10-1, 10-2)가 기판에 실장(예컨대, 납땜 등)되는 부위이며,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각각의 부재(20-1, 20-2)가 기판(다른 기판)에 실장되는 부위이다.
구체적으로, 외측 실드(10-1; 일예로 제1 외측 실드)는, 플러그 커넥터(10; 일예로, 전기 커넥터)의 높이 방향의 하방(도 3, 도 7에서는 -Z 방향이며,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반전되어 결합된 도 10에서는 +Z 방향)에 기판에의 실장부(10-1M)를 가지며, 실장부(10-1M)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0; 일예로 전기 커넥터)의 높이 방향의 상방(도 3, 도 7에서는 +Z 방향이며,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반전되어 결합된 도 10에서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를 가지며, 플러그 커넥터(10; 예컨대 전기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20; 예컨대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될 때, 굴곡부의 적어도 일부가 리셉터클 커넥터(20; 예컨대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실드(20-1)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를 전기 커넥터라 하면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가 된다. 물론, 이에 국한되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를 전기 커넥터라 하면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가 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0)의 내측 실드(10-2; 예컨대 제1 내측 실드)는, 플러그 커넥터(10; 예컨대 전기 커넥터)의 높이 방향의 하방(도 3, 도 7에서는 -Z 방향이며,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반전되어 결합된 도 10에서는 +Z 방향)에 기판에의 실장부(10-2MO; 예컨대 제1 실장부)를 가지며, 실장부(10-2MO)로부터 플러그 커넥터(예컨대 전기 커넥터)의 높이 방향의 상방(도 3, 도 7에서는 +Z 방향이며,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반전되어 결합된 도 10에서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를 가지며, 굴곡부로부터 다시 플러그 커넥터(10; 예컨대 전기 커넥터)의 높이 방향의 하방(도 3, 도 7에서는 -Z 방향이며,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반전되어 결합된 도 10에서는 +Z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판에의 실장부(10-2MI; 예컨대 제2 실장부)를 갖는다.
여기에서도 마찬가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를 전기 커넥터라 하면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가 된다. 물론, 이에 국한되지 않고, 리셉터클 커넥터를 전기 커넥터라 하면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가 된다.
도 11은 도 4(a)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셉터클 커넥터(20)에 있어서, 내측 실드(20-2)의 최상단의 높이는 RF 신호 단자(20-3)의 최상단의 높이보다 높다. 높이 방향이라 함은 도 11에서 Z 방향을 나타내며, 높이 방향의 상방은 +Z 방향이고 높이 방향의 하방은 -Z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힘(가압력)이 가해질 때라도, 내측 실드(20-2)가 힘을 대부분 받으며 RF 신호 단자(20-3)까지 가압력이 전달되지는 않으므로 RF 신호 단자(20-3)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즉, 내측 실드(20-2)는 RF 신호 단자(20-3)로부터의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물리적인 힘으로부터도 RF 신호 단자(20-3)를 보호한다.
도 11은 리셉터클 커넥터(2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도 3을 보면,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내측 실드(10-2)의 최상단의 높이는 RF 신호 단자(10-3)의 최상단의 높이보다 높다. 높이 방향이라 함은 도 4에서 Z 방향을 나타내며, 높이 방향의 상방은 +Z 방향이고 높이 방향의 하방은 -Z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가 결합될 때 힘(가압력)이 가해질 때라도, 내측 실드(10-2)가 힘을 대부분 받으며 RF 신호 단자(10-3)까지 가압력이 전달되지는 않으므로 RF 신호 단자(10-3)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즉, 내측 실드(10-2)는 RF 신호 단자(10-3)로부터의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물리적인 힘으로부터도 RF 신호 단자(10-3)를 보호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내측 실드(10-2)와 내측 실드(20-2)의 결합체는 RF 신호 단자(10-3) 및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로부터의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물리적인 힘으로부터도 RF 신호 단자(10-3)와 RF 신호 단자(20-3)의 결합체를 보호한다고 볼 수 있다.
도 12는 도 1a, 도 3의 플러그 커넥터(10)에서 외측 실드(10-1)를 제거한 도면이다.
3개의 홀(10-H1, 10-H2, 10-H3)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홀은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구조물이며, 이에 대해서는 도 13,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플러그 커넥터(10)가 하방(-Z 방향)에 위치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상방(+Z 방향)에 위치한 채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도 플러그 커넥터(10)가 하방(-Z 방향)에 위치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가 상방(+Z 방향)에 위치한 채로 끼워맞춤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3과는 보는 방향이 다소 상이하다.
먼저, 제1 홀(10-H1)은, 플러그 커넥터(10)의 폭 방향(Y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 사이의 하우징(10-5)의 부분에 형성된 홀이다. 이 홀(10-H1)는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것이다.
또한, 제2 홀(10-H2)과 제3 홀(10-H3)은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감합 방향(높이 방향, Z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와 리셉터클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각각 아래의 하우징(10-5)의 부분에 형성된 홀이다. 이 홀(10-H2, 10-H3)도 역시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것이다.
예컨대, RF 신호 단자(10-3, 20-3)를 통해 50GHz 정도의 신호가 오간다고 했을 때, 이들 홀(10-H1, 10-H2, 10-H3)이 없다면 신호원과 부하의 회로 접속시에 반사 손실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홀의 적절한 위치 선정에 따라 반사 손실을 줄이면 부품 작동시의 민감도의 향상(예컨대 신호 대 잡음비의 향상, 주파수 특성의 선형화 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제2 홀(10-H2)과 제3 홀(10-H3)의 위치는 바람직한 일예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반사 손실을 줄이기 위한 것이므로, 각 소자의 상황에 따라 임피던스가 매칭되도록 하기 위해서 그 위치는 적절히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14에서 제2 홀(10-H2)만 존재하고 제3 홀(10-H3)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는, 도 14에서 제3 홀(10-H3)만 존재하고 제2 홀(10-H2)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리고, 도 13, 도 14에는 커넥터의 길이 방향의 한쪽만을 도시하였으나, 도 1a 등에서 보듯이,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일측(예컨대 -X 방향, 도 1a에서 좌측)에 RF 신호 단자(10-3)가 있고,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타측(예컨대 +X 방향, 도 1a에서 우측)에 다른 RF 신호 단자(10-3)가 있는데, 좌측의 RF 신호 단자(10-3) 근방의 저면의 하우징(10-5)에는 하나의 홀(제2 홀과 제3 홀 중 하나)만 존재하고, 우측의 RF 신호 단자(10-3) 근방의 저면의 하우징(10-5) 에는 두개의 홀이 존재할 수도 있다. 반대로, 우측의 RF 신호 단자(10-3) 근방의 저면의 하우징(10-5)에는 하나의 홀(제2 홀과 제3 홀 중 하나)만 존재하고, 좌측의 RF 신호 단자(10-3) 근방의 저면의 하우징(10-5) 에는 두개의 홀이 존재할 수도 있다. 좌측의 RF 신호 단자(10-3) 근방의 저면의 하우징(10-5)에는 하나의 홀(제2 홀과 제3 홀 중 하나)만 존재하고, 우측의 RF 신호 단자(10-3) 근방의 저면의 하우징(10-5) 에도 하나의 홀(제2 홀과 제3 홀 중 하나)만 존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홀은 커넥터(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것일 수도 있고,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대향하여 배치된 것일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는 임피던스 매칭이 되는 여하한 조합일 수 있다. 단, 도 13, 14 등에 도시된 전형적인 일예에 의하면, (도 1a의) 좌측의 RF 신호 단자(10-3) 근방의 저면의 하우징(10-5)에도 제2 홀(10-H2)과 제3 홀(10-H3)이 존재하고, 우측의 RF 신호 단자(10-3) 근방의 저면의 하우징(10-5)에도 제2 홀(10-H2)과 제3 홀(10-H3)이 존재한다.
또한, 도 13, 14의 결합 상태, 또는 도 4의 리셉터클 커넥터(20) 단독으로 있는 상태 등을 참조하면,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20)의 폭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 단자(20-3)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 실드(20-2)가 양측에서 감싸고 있다. 이는 RF 신호 단자(20-3, 10-3)로부터의 전자기파 차폐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RF 신호 단자(20-3, 10-3)을 물리적으로 파손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를 일반적으로는 전기 커넥터(10 또는 2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외측 신호 단자(10-3 또는 20-3)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내측 실드(10-2 또는 20-2)가 양측에서 감싸고 있다고 기재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의 도 4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는 폭 방향에서 내측 실드(20-2)로 둘러싸여 있고, 도 3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는 폭 방향에서 내측 실드(10-2)로 둘러싸여 있지 않지만, 이는 일예일 뿐이다.
즉, 도 3, 도 4와는 반대로 리셉터클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는 폭 방향에서 내측 실드(20-2)로 둘러싸여 있지 않고,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는 폭 방향에서 내측 실드(10-2)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또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RF 신호 단자(20-3)는 폭 방향에서 내측 실드(20-2)로 둘러싸여 있고, 플러그 커넥터(10)의 RF 신호 단자(10-3)도 폭 방향에서 내측 실드(10-2)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10-1: 외측 실드
10-2: 내측 실드
10-3: RF 신호 단자
10-4: 신호 단자
10-5: 하우징(몰드부)
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
20-1: 외측 실드
20-2: 내측 실드
20-3: RF 신호 단자
20-4: 신호 단자
20-5: 하우징(몰드부)

Claims (7)

  1.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4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 외측 실드(outer shield);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는 제1 외측 신호 단자;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더욱 내측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더욱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실드(inner shield); 및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실드보다 더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될 때,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와 체결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사이 또는 아래의 하우징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 및 상기 제2 외측 신호 단자는 RF 신호 단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삭제
  3.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4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 외측 실드;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는 제1 외측 신호 단자;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더욱 내측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더욱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실드; 및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실드보다 더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될 때,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와 체결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사이 또는 아래의 하우징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제1 내측 신호 단자는 신호 또는 전원 전력을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4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 외측 실드;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는 제1 외측 신호 단자;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더욱 내측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더욱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실드; 및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실드보다 더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될 때,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와 체결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사이 또는 아래의 하우징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홀은,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홀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 사이의 하우징의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4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 외측 실드;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는 제1 외측 신호 단자;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더욱 내측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더욱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실드; 및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실드보다 더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될 때,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와 체결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사이 또는 아래의 하우징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홀은, 하부 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홀은,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접점의 아래의 하우징의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홀은, 제2 홀 및 제3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홀과 제3 홀은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각각 아래의 하우징의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상대 커넥터와 끼워맞춤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몰드부;
    상기 몰드부의 4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1 외측 실드;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는 제1 외측 신호 단자;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더욱 내측에 있거나 또는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일부가 중첩되면서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보다 더욱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실드; 및
    상기 몰드부에 배치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 실드보다 더 내측에 있는 제1 내측 신호 단자
    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 커넥터가 끼워맞춤될 때,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는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와 체결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제1 외측 신호 단자와 상기 상대 커넥터의 외측 신호 단자인 제2 외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여 만드는 2개의 접점의 사이 또는 아래의 하우징에 임피던스 정합을 위한 홀이 존재하며,
    상기 전기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측 신호 단자의 외측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내측 실드가 양측에서 감싸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220154576A 2020-12-11 2022-11-17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102523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4576A KR102523875B1 (ko) 2020-12-11 2022-11-17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3275A KR102499672B1 (ko) 2020-12-11 2020-12-11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1020220154576A KR102523875B1 (ko) 2020-12-11 2022-11-17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275A Division KR102499672B1 (ko) 2020-12-11 2020-12-11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520A KR20220160520A (ko) 2022-12-06
KR102523875B1 true KR102523875B1 (ko) 2023-04-20

Family

ID=822578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275A KR102499672B1 (ko) 2020-12-11 2020-12-11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1020220154576A KR102523875B1 (ko) 2020-12-11 2022-11-17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3275A KR102499672B1 (ko) 2020-12-11 2020-12-11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99672B1 (ko)
CN (1) CN217158840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52019A1 (en) * 2017-08-08 2019-02-14 Speed Tech Corp. High frequency connector
KR102189222B1 (ko) * 2016-08-04 2020-12-0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9589A (ja) * 2004-08-18 2006-03-02 Hirose Electric Co Ltd シールド付き電気コネクタ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222B1 (ko) * 2016-08-04 2020-12-0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US20190052019A1 (en) * 2017-08-08 2019-02-14 Speed Tech Corp. High frequency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3237A (ko) 2022-06-20
KR102499672B1 (ko) 2023-02-14
CN217158840U (zh) 2022-08-09
KR20220160520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9673B1 (ko)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CN211428494U (zh) 连接器以及连接器装置
US7980893B2 (en) Coaxial connector and connector device
US20220247132A1 (en) Connector and socket and header used for the connector
TWM484822U (zh) 高密度纜線終端連接器
CN113131290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CN113131288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CN113131289A (zh) 连接器和连接器装置
WO2006057424A1 (ja) シールド付きコネクタおよび回路基板装置
US20100033940A1 (en) Inter-board coupling connector and circuit board device using inter-board coupling connector
JPH09274969A (ja) コネクタ
US9455511B1 (en)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CN219123614U (zh) 高频用电连接器
KR102523875B1 (ko)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KR20100105622A (ko) 에코 콘택터
JP7446461B2 (ja) 基板コネクタ
WO2024057664A1 (ja) コネクタ、コネクタアセンブリ、接続装置、相手側コネクタ
CN219874324U (zh) 电连接器
JP7247814B2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対
KR102499669B1 (ko) 고주파용 전기 커넥터
CN113169471B (zh) 电连接器组件以及该电连接器组件的安装构造
KR20130088563A (ko) 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JP2023544398A (ja) 基板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