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4887A -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4887A
KR20210094887A KR1020200008682A KR20200008682A KR20210094887A KR 20210094887 A KR20210094887 A KR 20210094887A KR 1020200008682 A KR1020200008682 A KR 1020200008682A KR 20200008682 A KR20200008682 A KR 20200008682A KR 20210094887 A KR20210094887 A KR 2021009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uide
protrusion
power terminal
socke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356B1 (ko
Inventor
박지승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3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4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strain relief being achieved by molding parts around cable and connectio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소켓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벽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벽과, 제1 외벽 및 제2 외벽과 대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로, 제1 외벽과 돌출부 사이 및 제2 외벽과 돌출부 사이의 트렌치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트렌치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제1 외벽의 내측면 및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내측부 및 제1 덮개부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1 외벽의 내측면 및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내측부 및 제2 덮개부를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와, 중앙부로부터 트렌치의 바닥면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제1 외벽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접촉돌기는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접촉돌기의 하부는 중앙부에 고정되며 접촉돌기의 상부는 제2 방향으로 가동된다.

Description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POWER TERMINAL AN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형화 및 저배화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소형화 및 저배화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서로 체결될 때,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에 제대로 가이드(guide)되지 못하여 오체결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체결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형화 및 저배화된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는 실장되는 부분의 면적이 같이 작아질 수 있으므로, 전원 단자와 회로 기판과의 체결되는 강도가 작아질 수 있어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로 기판과의 체결력이 향상된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벽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벽과, 제1 외벽 및 제2 외벽과 대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로, 제1 외벽과 돌출부 사이 및 제2 외벽과 돌출부 사이의 트렌치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트렌치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부와, 중앙부로부터 제1 외벽의 내측면 및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내측부 및 제1 덮개부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와, 제1 가이드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1 외벽의 내측면 및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내측부 및 제2 덮개부를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와, 중앙부로부터 트렌치의 바닥면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제1 외벽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접촉돌기는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접촉돌기의 하부는 중앙부에 고정되며 접촉돌기의 상부는 제2 방향으로 가동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며, 제1 외벽을 관통하여 몰드 구조체의 하면에 노출되는 제1 실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1 실장부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를 제1 방향으로 연결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한 제1 외벽의 제3 방향으로의 상면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한 제1 실장부의 제3 방향으로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접촉돌기의 상부의 말단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한 제1 실장부의 제3 방향으로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실장부는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 단자 리세스를 포함하고, 제1 외벽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도피부를 포함하고, 도피부의 하면은 전원 단자 리세스의 하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덮개부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2 내측부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 이상이고, 제2 내측부와 대향하는 제1 실장부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 이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부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는, 제1 가이드부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 이상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앙부로부터 제2 외벽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외벽을 관통하여 몰드 구조체의 하면에 노출되는 제2 실장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중앙부로부터 돌출부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3 실장부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에서, 가동 단자의 변형이 구조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에서, 가이드부는 플러그 커넥터와의 안정적인 체결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몰드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몰드 구조의 제2 영역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 및 몰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몰드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몰드 구조의 제2 영역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다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 및 몰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를 따라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몰드 구조(100), 제1 전원 단자(210), 제2 전원 단자(220) 및 신호 단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구조(10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연장"의 의미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장변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더 길게 형성된 방향이 연장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몰드 구조(100)는 제1 방향(X)으로 장변을 가질 수 있다.
몰드 구조(100)는 제2 방향(Y)으로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모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모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서로 직교하는 오소고날(orthogonal)한 방향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몰드 구조(100)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2개의 제2 영역(R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R2)은 제1 영역(R1)의 제1 방향(X)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신호 단자(300)들이 안착되는 영역이고, 제2 영역(R2)은 각각 제1 전원 단자(210) 및 제2 전원 단자(220)가 안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신호 단자(300)는 제1 영역(R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신호 단자(300)는 복수일 수 있다. 10개의 신호 단자(300)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신호 단자(300)는 제1 영역(R1) 내에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단자(300)들은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행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행은 복수의 신호 단자(300)가 제1 방향(X)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단자(300)들은 복수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열에서는 2개의 신호 단자(300)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신호 단자(300)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제2 방향(Y)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단자(200)는 제1 영역(R1)의 제1 방향(X)의 양측 즉, 제2 영역(R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단자(200)는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는 각각 제2 영역(R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가 위치하는 제2 영역(R2)은 제1 영역(R1)의 양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 사이에는 제1 영역(R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210) 및 제2 전원 단자(220)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210) 및 제2 전원 단자(220)는 제1 영역(R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전원 단자(210) 및 제2 전원 단자(220)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되 서로 배치된 방향만이 반대일 수 있다.
제1 영역(R1)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2 영역(R2)의 제1 방향(X)의 길이보다 길 수도 있고, 그보다 짧을 수도 있다.
이러한 소켓 커넥터는 추후에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의 볼록한 부분이 소켓 커넥터의 오목한 부분과 맞물려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몰드 구조(100)는 외벽(140), 돌출부(110),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140)은 몰드 구조(100)의 외곽을 정의하는 외측벽을 의미할 수 있다. 몰드 구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2개의 외벽(140)과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2개의 외벽(140)이 존재할 수 있다. 외벽(140)은 제1 영역(R1)에서는 제1 방향(X)으로만 연장되고, 제2 영역(R2)에서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ㄷ"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몰드 구조(10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외벽(140)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돌출부(110)는 외벽(140)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돌출부(110)와 외벽(140) 사이에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주로 제1 영역(R1)에 배치되지만, 제2 영역(R2)에도 양 단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0)의 일단은 제1 영역(R1)의 일 측에 위치한 제2 영역(R2)에 배치되고, 돌출부(110)의 타단은 제1 영역(R1)의 타 측에 위치한 제2 영역(R2)에 배치되고, 돌출부(110)의 나머지 영역은 제1 영역(R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는 돌출부(110)와 외벽(1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는 돌출부(110) 및 외벽(140)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돌출부(110)의 외측면과 외벽(140)의 내측면이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에 의해서 노출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는 제1 영역(R1)에 형성된 트렌치일 수 있다. 제1 트렌치(120)는 제1 영역(R1)에 형성된 외벽(140)과 돌출부(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는 2개의 외벽(140)과 돌출부(110)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제1 트렌치(120)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트렌치(130)는 제2 영역(R2)에 형성된 트렌치일 수 있다. 제2 트렌치(130)는 제1 영역(R1)에서 형성된 외벽(140)과 돌출부(110)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제2 트렌치(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R2)이 제1 영역(R1)의 양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2 트렌치(130)도 제1 영역(R1)의 양 측에 총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제2 트렌치(130)는 제1 영역(R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2개의 제2 트렌치(13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이지만, 서로 배치된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제1 트렌치(120)와 제2 트렌치(130)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몰드 구조(100) 내부에서 루프(loop)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제2 트렌치(130)는 제1 영역(R1)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어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2개의 제1 트렌치(120)는 제2 영역(R2)에서 돌출부(110)에 의해서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각각의 제2 트렌치(130)가 2개의 제1 트렌치(120)와 모두 연결되어 루프 형상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루프 형상의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는 추후에 플러그 커넥터의 볼록한 부분과 맞물려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서로 체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몰드 구조(100)의 돌출부(110)는 단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111)는 돌출부(110) 중 제2 영역(R2)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역(R2)의 제2 트렌치(130)는 단부(111)와 외벽(140)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트렌치(130)는 단부(111)와 외벽(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부(110)의 단부(111)는 외벽(140)과 마주보는 3개의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0)의 단부(111)는 제1 측면(111a), 제2 측면(111b) 및 제3 측면(111c)을 포함할 수 있다. 단부(111)의 제1 측면(111a)은 제1 외벽(140a)과 마주볼 수 있고, 단부(111)의 제2 측면(111b)은 제2 외벽(140b)과 마주볼 수 있고, 단부(111)의 제3 측면(111c)은 제3 외벽(140c)과 마주볼 수 있다.
제2 영역(R2)에서 외벽(140)은 제1 외벽(140a),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외벽(140b)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외벽(140)일 수 있다. 몰드 구조(100) 전체에서는 제2 방향(Y)의 외벽(140)의 길이가 짧을 수 있으나, 제2 영역(R2)에서는 제2 방향(Y)의 제2 외벽(140b)이 제1 외벽(140a)이나 제3 외벽(140c)보다 더 길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외벽(140a)은 제2 외벽(140b)의 일 측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외벽(140)일 수 있다. 제3 외벽(140c)은 제2 외벽(140b)의 타 측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외벽(140)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외벽(140a)과 제3 외벽(140c)은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외벽(140a)과 제3 외벽(140c)의 사이에는 제2 방향(Y)으로 제2 트렌치(130)와 단부(111)가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제2 외벽(140b)도 제2 방향(Y)으로 제1 외벽(140a)과 제3 외벽(140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50a)은 제1 외벽(14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50a)은 제1 외벽(140a)을 수직 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Z))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50a)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관통홀(150b)은 제2 외벽(14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50b)은 제2 외벽(140b)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 관통홀(150b)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관통홀(150c)은 제3 외벽(140c)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관통홀(150c)은 제3 외벽(140c)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3 관통홀(150c)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4 관통홀(150d)은 단부(111)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관통홀(150d)은 단부(111)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4 관통홀(150d)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외벽(140a)은 제1 외면벽(140a1), 제1 가이드 내벽(140a2), 리세스 내벽(140a3) 및 제2 가이드 내벽(140a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면벽(140a1)과 제1 가이드 내벽(140a2), 리세스 내벽(140a3) 및 제2 가이드 내벽(140a4)은, 제1 관통홀(150a)을 사이에 두고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내벽(140a2)은 제1 외벽(140a)의 내벽 중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내벽일 수 있다. 제1 가이드 내벽(140a2)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벽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내벽(140a4)은 제1 외벽(140a)의 내벽 중 제1 방향(X)에 배치되는 내벽일 수 있다. 즉, 제2 가이드 내벽(140a4)은 제1 가이드 내벽(140a2)과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된 내벽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내벽(140a4)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벽일 수 있다.
리세스 내벽(140a3)은 서로 이격된 제1 가이드 내벽(140a2) 및 제2 가이드 내벽(140a4) 사이에 위치한 내벽일 수 있다. 리세스 내벽(140a3)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가이드 내벽(140a2) 및 제2 가이드 내벽(140a4)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리세스 내벽(140a3)의 상면은 제1 가이드 내벽(140a2) 및 제2 가이드 내벽(140a4)의 상면보다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 내벽(140a2) 및 제2 가이드 내벽(140a4) 사이에, 후술될 리세스(2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면벽(140a1)은 제1 가이드 외면벽(140a11), 리세스 외면벽(140a12) 및 제2 가이드 외면벽(140a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외면벽(140a11)은 제1 가이드 내벽(140a2)과 제2 방향(Y)으로 대향하는 외면벽일 수 있다. 제1 가이드 외면벽(140a11)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외면벽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외면벽(140a13)은 제2 가이드 내벽(140a4)과 제2 방향(Y)으로 대향하는 외면벽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외면벽(140a13)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외면벽일 수 있다.
리세스 외면벽(140a12)은 서로 이격된 제1 가이드 외면벽(140a11)과 제2 가이드 외면벽(140a13) 사이에 위치한 외면벽일 수 있다. 리세스 외면벽(140a12)은 리세스 내벽(140a3)과 제2 방향(Y)으로 대향하는 외면벽일 수 있다. 리세스 외면벽(140a12)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가이드 외면벽(140a11)과 제2 가이드 외면벽(140a13)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외면벽(140a11), 제2 가이드 외면벽(140a13) 및 리세스 외면벽(140a12)의 상면은 부드럽게 연결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리세스 외면벽(140a12)의 상면은 제1 가이드 외면벽(140a11) 및 제2 가이드 외면벽(140a13)의 상면보다 높이가 더 낮을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원 단자(200)의 형상을 설명한다.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편의상 제2 전원 단자(2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전원 단자(220)는 중앙부(221), 제1 가이드부(222), 제2 가이드부(223), 리세스(224), 접촉돌기(225), 제1 실장부(226), 제2 실장부(227) 및 제3 실장부(228)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부(222), 제2 가이드부(223), 리세스(224), 접촉돌기(225) 및 제1 실장부(226)는 중앙부(221)를 사이에 두고 제2 방향(Y)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제2 방향(Y)의 일측에 배치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중앙부(221)는 제2 전원 단자(2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중앙부(221)는 제2 트렌치(130)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221)는 제1 가이드부(222), 제2 가이드부(223), 접촉돌기(225), 제2 실장부(227) 및 제3 실장부(228)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2)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2)는 제1 가이드 내벽(140a2)과 접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2)는 제1 내측부(222a) 및 제1 덮개부(2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측부(222a)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측부(222a)는 제1 가이드 내벽(140a2)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예를 들어, 제3 방향(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내측부(222a)는 중앙부(221)와 연결되기 위하여 일부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덮개부(222b)는 제1 내측부(222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덮개부(222b)는 제1 내측부(222a)로부터 연장되어 제1 가이드 내벽(140a2)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3)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3)는 제2 가이드 내벽(140a4)과 접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3)는 제1 가이드부(222)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3)는 제2 내측부(223a) 및 제2 덮개부(22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부(223a)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내측부(223a)는 제2 가이드 내벽(140a4)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내측부(223a)는 중앙부(221)와 연결되기 위하여 일부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덮개부(223b)는 제2 내측부(223a)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덮개부(223b)는 제2 내측부(223a)로부터 연장되어 제2 가이드 내벽(140a4)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2) 및 제2 가이드부(223)는 제1 외벽(140a)에서 각각 제2 트렌치(130)의 측벽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가 어긋나게 접근하였더라도 올바른 위치로 가이드(guide)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2 덮개부(223b)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d2)는 제1 덮개부(222b)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d1)보다 길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3)가 제1 외벽(140a)의 상면을 덮을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체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외벽(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리세스(224)는 제1 가이드부(222)와 제2 가이드부(2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리세스(224)는 제1 가이드부(222), 제2 가이드부(223), 제1 가이드 내벽(140a2), 제2 가이드 내벽(140a4) 및 리세스 외면벽(140a12)으로 둘러싸인 빈 공간일 수 있다. 제1 외벽(140a)은 리세스(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225)는 중앙부(2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는 중앙부(221)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는 제1 가이드부(222)와 제2 가이드부(223)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접촉돌기(225)는 리세스(22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는 플러그 커넥터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접촉돌기(225)는 하부(225a) 및 상부(225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접촉돌기(225)의 하부(225a)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하부(225a)는 중앙부(221)의 가장자리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하부(225a)는 중앙부(221)와 연결되기 위하여 일부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하부(225a)는 제2 방향(Y)으로의 변형이 가해져도 중앙부(221)에 고정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는 접촉돌기(225)의 하부(225a)와 연결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는 접촉돌기(225)의 하부(225a)로부터 제2 방향(Y)으로 휘어진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의 말단은 제2 방향(Y)을 향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의 말단은 리세스 외면벽(140a12)과 대향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의 말단은 제1 덮개부(222b) 및 제2 덮개부(223b)의 상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는 제2 방향(Y)으로의 변형이 가하지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는 변형이 가해져, 리세스(224) 내에서 제2 방향(Y)으로 변형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는 리세스(224)가 아닌 공간 내에서도 변형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의 말단은 리세스 외면벽(140a12)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상부(225b)의 말단은 후술할 제1 실장부(226)의 제1 연결부(226a)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접촉돌기(225)는 제1 가이드부(222)와 제2 가이드부(223) 사이의 리세스(224) 내에 위치하여,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는 경우 제2 방향으로 가동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는 가동되어 리세스(224)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접촉돌기(225)의 말단은 리세스 외면벽(140a12) 및 제1 실장부(226)의 제1 연결부(226a)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하여 간섭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실장부(226)는 제1 덮개부(222b) 및 제2 덮개부(223b)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장부(226)는 제1 덮개부(222b) 및 제2 덮개부(223b)로부터 제3 방향(Z)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외벽(140a)을 관통할 수 있다. 제1 실장부(226)는 제1 관통홀(150a) 내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실장부(226)는 제1 연결부(226a) 및 제1 실장 단자(22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26a)는 제1 덮개부(222b) 및 제2 덮개부(223b)로부터 연장되어 제1 관통홀(150a)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26a)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어 제1 덮개부(222b) 및 제2 덮개부(223b)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연결부(226a)의 상면의 일부는 제1 덮개부(222b)와 제2 덮개부(223b) 사이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실장 단자(226b)는 제1 연결부(226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장 단자(226b)는 제1 연결부(226a)로부터 연장되어 제2 방향(Y)으로 꺾일 수 있다. 제1 실장 단자(226b)는 전원 단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실장 단자(226b)는 납땜 등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도록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제2 방향(Y)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226a)의 상면의 일부는 리세스 외면벽(140a12)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실장부(226)는 제1 가이드부(222) 및 제2 가이드부(223)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 단자 리세스(22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벽(140a)은 제1 가이드부(222) 및 제2 가이드부(223) 사이에 위치하는 도피부(140a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피부(140a14)의 하면은 전원 단자 리세스(226c)의 하면, 즉 제1 실장부 도피면(226d)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세스 외면벽(140a12)은 제1 실장부 도피면(226d)과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피부(140a14)와 전원 단자 리세스(226c)는 접촉돌기(225)에 제2 방향(Y)으로의 변형이 가해져도 접촉돌기(225)와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에 관한 설명에서 상술한 것처럼, 제2 가이드부(223)의 제2 덮개부(223b)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d2)는 제2 내측부(223a)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제2 덮개부(223b)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d2)는 제2 내측부(223a)와 대향하는 제1 실장부(226)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가이드부(223)와 제1 실장부(226)의 모양은 오목하게 파인 모양이 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27)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27)는 제2 외벽(140b)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제2 실장부(227)는 제2 관통홀(150b)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27)는 제3 내측부(227a), 제3 덮개부(227b) 및 제2 실장 단자(227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내측부(227a)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내측부(227a)는 제2 외벽(140b)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3 덮개부(227b)는 제3 내측부(227a)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덮개부(227b)는 제3 내측부(227a)로부터 연장되어 제2 외벽(140b)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제2 실장 단자(227c)는 제3 덮개부(227b)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실장 단자(227c)는 제3 덮개부(227b)로부터 연장되어 제2 외벽(140b)을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실장 단자(227c)는 제2 관통홀(150b) 내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실장 단자(227c)의 하부는 제1 방향(X)으로 꺾일 수 있다. 제2 실장 단자(227c)는 전원 단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실장 단자(227c)는 납땜 등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도록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제1 방향(X)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장부(228)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실장부(228)는 단부(111)의 제2 측면(111b)과 접할 수 있다. 제3 실장부(228)는 제4 관통홀(150d)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제3 실장부(228)는 제4 내측부(228a), 제4 덮개부(228b) 및 제3 실장 단자(228c)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내측부(228a)는 중앙부(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내측부(228a)는 단부(111)의 제2 측면(111b)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 덮개부(228b)는 제4 내측부(228a)와 연결될 수 있다. 제4 덮개부(228b)는 제4 내측부(228a)로부터 연장되어 단부(111)의 제2 측면(111b)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제3 실장 단자(228c)는 제4 덮개부(228b)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실장 단자(228c)는 제4 덮개부(228b)로부터 연장되어 단부(111)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실장 단자(228c)는 제4 관통홀(150d) 내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200)는 제1 가이드부(222)와 제2 가이드부(223)가 제1 외벽(140a)의 상면을 덮고, 제2 실장부(227)가 제2 외벽(140b)의 상면을 덮으므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체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외벽(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200)는 제3 실장부(228)가 단부(111)의 상면을 덮으므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체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돌출부(11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몰드 구조 110: 돌출부
111: 단부 120: 제1 트렌치
130: 제2 트렌치 140: 외벽
200(210,220): 전원단자 221: 중앙부
222: 제1 가이드부 223: 제2 가이드부
224: 리세스 225: 접촉돌기
226: 제1 실장부 227: 제2 실장부
228: 제3 실장부

Claims (9)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벽과,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외벽과, 상기 제1 외벽 및 상기 제2 외벽과 대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로, 상기 제1 외벽과 상기 돌출부 사이 및 상기 제2 외벽과 상기 돌출부 사이의 트렌치를 포함하는 몰드 구조체; 및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1 외벽의 내측면 및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내측부 및 제1 덮개부를 포함하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1 가이드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외벽의 내측면 및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내측부 및 제2 덮개부를 포함하는 제2 가이드부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과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돌기를 포함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벽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의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돌기는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접촉돌기의 하부는 상기 중앙부에 고정되며 상기 접촉돌기의 상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가동되는 소켓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1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몰드 구조체의 하면에 노출되는 제1 실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를 연결하는 소켓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외벽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상면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실장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상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소켓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돌기의 상부의 말단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1 실장부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상면보다 높이 위치하는 소켓 커넥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장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전원 단자 리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외벽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사이에 위치하는 도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피부의 하면은 상기 전원 단자 리세스의 하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소켓 커넥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덮개부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 내측부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 이상이고, 상기 제2 내측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 실장부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 이상인 소켓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 가이드부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 이상인 소켓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외벽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몰드 구조체의 하면에 노출되는 제2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는 제3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200008682A 2020-01-22 2020-01-22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32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82A KR102329356B1 (ko) 2020-01-22 2020-01-22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682A KR102329356B1 (ko) 2020-01-22 2020-01-22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887A true KR20210094887A (ko) 2021-07-30
KR102329356B1 KR102329356B1 (ko) 2021-11-22

Family

ID=7714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682A KR102329356B1 (ko) 2020-01-22 2020-01-22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3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351A (ko) * 2017-11-27 2019-06-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351A (ko) * 2017-11-27 2019-06-05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KR102041368B1 (ko) * 2018-05-24 2019-11-07 몰렉스 엘엘씨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356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8503B2 (en) Connector guide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having the same
US6699048B2 (en) High density connector
US7021966B2 (en) Coaxial connector
US7163407B2 (en) Module connector
US6146184A (en) Circuit board mounte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US9209537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between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entral processing unit
US20140364003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472680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170106199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10375841B2 (en) Electronic control device
US11695235B2 (en) Wire en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KR101255371B1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CN113594737A (zh) 用于通信系统的插座连接器和线缆组件
CN111092317B (zh) 电路基板用连接器装置
JP436194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2329356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472685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US6758700B2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20034877A (ko) 기판취부형 커넥터 및 커넥터의 기판취부구조
US7833022B2 (en) LGA socket having alignment posts with crash ribs
KR102210024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210035113A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9980026608A (ko) 범용성을 갖는 단배열 모듈용 인쇄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US20020045373A1 (en) Movable connector
KR102210747B1 (ko)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