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2680B1 -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2680B1
KR102472680B1 KR1020190121578A KR20190121578A KR102472680B1 KR 102472680 B1 KR102472680 B1 KR 102472680B1 KR 1020190121578 A KR1020190121578 A KR 1020190121578A KR 20190121578 A KR20190121578 A KR 20190121578A KR 102472680 B1 KR102472680 B1 KR 102472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wer terminal
region
mounting
mol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3730A (ko
Inventor
이용진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3752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72685B1/ko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21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268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3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3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2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2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Abstract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소켓 커넥터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의 제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몰드 구조, 및 몰드 구조의 제2 영역에 장착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몰드 구조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벽과, 제1 외벽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제1 외벽과 함께 몰드 구조의 외곽을 정의하는 제2 및 제3 외벽과, 제2 영역에 위치하는 단부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외벽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돌출부와, 제1 내지 제3 외벽 및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트렌치를 포함하고, 전원 단자는, 단부의 상면 및 양 측면을 덮는 단부 커버부와, 제1 외벽을 관통하여 몰드 구조의 아래에 노출되는 제1 실장부와, 트렌치의 바닥면에 접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와 제1 실장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바닥부와 단부 커버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POWER TERMINAL AND SOCKET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기 커넥터 조립체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도 요구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형화 및 저배화된 전기 커넥터 조립체는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소형화 및 저배화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가 서로 체결될 때, 플러그 커넥터가 소켓 커넥터에 제대로 가이드(guide)되지 못하여 오체결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오체결은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변형시키거나 파손시킬 수 있다.
또한, 소형화 및 저배화된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는 실장되는 부분의 면적이 같이 작아질 수 있으므로, 전원 단자와 회로 기판과의 체결되는 강도가 작아질 수 있어 서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로 기판과의 체결력이 향상된 소켓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로 기판과의 체결력이 향상된 전원 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제1 영역과, 제1 영역의 제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몰드 구조, 및 몰드 구조의 제2 영역에 장착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몰드 구조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벽과, 제1 외벽으로부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제1 외벽과 함께 몰드 구조의 외곽을 정의하는 제2 및 제3 외벽과, 제2 영역에 위치하는 단부를 포함하며 제1 내지 제3 외벽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돌출부와, 제1 내지 제3 외벽 및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트렌치를 포함하고, 전원 단자는, 단부의 상면 및 양 측면을 덮는 단부 커버부와, 제1 외벽을 관통하여 몰드 구조의 아래에 노출되는 제1 실장부와, 트렌치의 바닥면에 접하는 바닥부와, 바닥부와 제1 실장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바닥부와 단부 커버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중앙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는, 제1 외벽의 내측면 및 상면을 따라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는, 제1 외벽과 마주보는 단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 커버부는, 제2 외벽과 마주보는 단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제3 외벽과 마주보는 단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 커버부의 제1 부분과 단부 커버부의 제2 부분은, 제2 방향에서 서로 오버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단부 커버부로부터 트렌치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2 외벽의 상면을 덮는 제1 가이드부와, 단부 커버부로부터 트렌치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어 제3 외벽의 상면을 덮는 제2 가이드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원 단자는, 제1 실장부로부터 제2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2 외벽을 관통하여 몰드 구조의 하면에 노출되는 제2 실장부와, 제1 실장부로부터 제3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고, 제3 외벽을 관통하여 몰드 구조의 하면에 노출되는 제3 실장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원 단자는, 중앙부로부터 제2 외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접촉 돌기와, 중앙부로부터 제3 외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접촉 돌기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원 단자는 전원 단자의 실장부의 개수가 5개로 늘어남에 따라서 회로 기판과의 체결력이 비약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전원 단자는 몰드 구조의 돌출부의 단부를 3면에서 커버하므로 몰드 구조와 전원 단자 사이의 체결력이 비약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몰드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몰드 구조의 제2 영역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정면 조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 조감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몰드 구조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 및 신호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몰드 구조의 제2 영역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정면 조감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 조감도이고, 도 8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몰드 구조(100), 제1 전원 단자(210), 제2 전원 단자(220) 및 신호 단자(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몰드 구조(10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연장"의 의미는 장변과 단변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장변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더 길게 형성된 방향이 연장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몰드 구조(100)는 제1 방향(X)으로 장변을 가질 수 있다.
몰드 구조(100)는 제2 방향(Y)으로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Y)은 제1 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모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방향(Z)은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모두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 때, 제1 방향(X), 제2 방향(Y) 및 제3 방향(Z)은 서로 직교하는 오소고날(orthogonal)한 방향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몰드 구조(100)는 제1 영역(R1) 및 제2 영역(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2개의 제2 영역(R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 영역(R2)은 제1 영역(R1)의 제1 방향(X)의 양 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제1 영역(R1)은 신호 단자(300)들이 안착되는 영역이고, 제2 영역(R2)은 각각 제1 전원 단자(210) 및 제2 전원 단자(220)가 안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R1)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제1 영역(R1)의 장변이 형성되는 방향이 제1 방향(X)일 수 있다.
신호 단자(300)는 제1 영역(R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신호 단자(300)는 복수일 수 있다. 복수의 신호 단자(300)는 제1 영역(R1) 내에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단자(300)들은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행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행은 복수의 신호 단자(300)가 제1 방향(X)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신호 단자(300)들은 2개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열에서는 2개의 신호 단자(300)가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신호 단자(300)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으로 제2 방향(Y)으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전원 단자(200)는 제1 영역(R1)의 제1 방향(X)의 양측 즉, 제2 영역(R2)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원 단자(200)는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는 각각 제2 영역(R2)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가 위치하는 제2 영역(R2)은 제1 영역(R1)의 양 끝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 사이에는 제1 영역(R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210) 및 제2 전원 단자(220)는 제1 방향(X)으로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제1 전원 단자(210) 및 제2 전원 단자(220)는 제1 영역(R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전원 단자(210) 및 제2 전원 단자(220)의 형상은 서로 동일하되 서로 배치된 방향만이 반대일 수 있다.
제1 영역(R1)의 제1 방향(X)의 길이는 제2 영역(R2)의 제1 방향(X)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서, 제1 영역(R1)의 제1 방향(X)의 길이가 제2 영역(R2)의 제1 방향(X)의 길이보다 더 짧을 수도 있다.
이러한 소켓 커넥터는 추후에 플러그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다. 즉, 플러그 커넥터의 볼록한 부분이 소켓 커넥터의 오목한 부분과 맞물려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몰드 구조(100)는 외벽(140), 돌출부(110),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벽(140)은 몰드 구조(100)의 외곽을 정의하는 외측벽을 의미할 수 있다. 몰드 구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2개의 외벽(140)과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2개의 외벽(140)이 존재할 수 있다. 외벽(140)은 제1 영역(R1)에서는 제1 방향(X)으로만 연장되고, 제2 영역(R2)에서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ㄷ"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몰드 구조(10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외벽(140)에 의해서 둘러싸일 수 있다. 돌출부(110)는 외벽(140)과 일정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돌출부(110)와 외벽(140) 사이에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는 주로 제1 영역(R1)에 배치되지만, 제2 영역(R2)에도 양 단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0)의 일부는 제1 영역(R1)의 일 측에 위치한 제2 영역(R2)에 배치되고, 돌출부(110)의 다른 일부는 제1 영역(R1)의 타 측에 위치한 제2 영역(R2)에 배치되고, 돌출부(110)의 나머지 일부는 제1 영역(R1)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는 돌출부(110)와 외벽(14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는 돌출부(110) 및 외벽(140)보다 낮게 형성되므로, 돌출부(110)의 외측면과 외벽(140)의 내측면이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에 의해서 노출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는 제2 영역(R2)에 형성된 트렌치일 수 있다. 제1 트렌치(120)는 제1 영역(R1)에서 형성된 외벽(140)과 돌출부(110)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R2)이 제1 영역(R1)의 양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 트렌치(120)도 제1 영역(R1)의 양 측에 총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제1 트렌치(120)는 제1 영역(R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2개의 제1 트렌치(12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이지만, 서로 배치된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제2 트렌치(130)는 제1 영역(R1)에 형성된 트렌치일 수 있다. 제2 트렌치(130)는 제1 영역(R1)에 형성된 외벽(140)과 돌출부(11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트렌치(130)는 2개의 외벽(140)과 돌출부(110) 사이에 위치하므로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되어 2개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제2 트렌치(130)는 각각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트렌치(120)와 제2 트렌치(130)는 서로 연결되어 있고, 몰드 구조(100) 내부에서 루프(loop)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2개의 제1 트렌치(120)는 제1 영역(R1)에 의해서 서로 이격되어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고, 2개의 제2 트렌치(130)는 제2 영역(R2)에서 돌출부(110)에 의해서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지만, 각각의 제1 트렌치(120)가 2개의 제2 트렌치(130)와 모두 연결되어 루프 형상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루프 형상의 제1 트렌치(120) 및 제2 트렌치(130)는 추후에 플러그 커넥터의 볼록한 부분과 맞물려 소켓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서로 체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몰드 구조(100)의 돌출부(110)는 단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111)는 돌출부(110) 중 제2 영역(R2)에 위치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영역(R2)의 제1 트렌치(120)는 단부(111)와 외벽(140)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즉, 제1 트렌치(120)는 단부(111)와 외벽(14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영역(R2)에서 외벽(140)은 제1 외벽(140a),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외벽(140a)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외벽(140)일 수 있다. 몰드 구조(100) 전체에서는 제2 방향(Y)의 외벽(140)의 길이가 짧을 수 있으나, 제2 영역(R2)에서는 제2 방향(Y)의 제1 외벽(140a)이 제2 외벽(140b)이나 제3 외벽(140c)보다 더 길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외벽(140b)은 제1 외벽(140a)의 일 측과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외벽(140)일 수 있다. 제3 외벽(140c)은 제1 외벽(140a)의 타 측과 연장되고,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외벽(140)일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제2 외벽(140b)과 제3 외벽(140c)은 제2 방향(Y)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외벽(140b)과 제3 외벽(140c)의 사이에는 제2 방향(Y)으로 제1 트렌치(120)와 단부(111)가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제1 외벽(140a)도 제2 방향(Y)으로 제2 외벽(140b)과 제3 외벽(140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50)은 제1 외벽(140a)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50)은 제1 외벽(140a)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50)은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관통홀(160)은 제2 외벽(140b)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60)은 제2 외벽(140b)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 관통홀(16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관통홀(160)은 제1 하부홀(162)과 제2 하부홀(16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관통홀(160)의 상부는 하나의 홀로 구성되지만, 하부는 제1 하부홀(162)과 제2 하부홀(161)의 2개의 홀로 나누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제3 관통홀(170)은 제3 외벽(140c)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관통홀(170)은 제3 외벽(140c)을 수직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3 관통홀(17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단,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3 관통홀(170)은 제3 하부홀(172)과 제4 하부홀(17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관통홀(170)의 상부는 하나의 홀로 구성되지만, 하부는 제3 하부홀(172)과 제2 하부홀(161)의 2개의 홀로 나누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에는 가이드 홀(180) 및 가이드 홈(190)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180)은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을 각각 수직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가이드 홀(180)은 제2 관통홀(160) 및 제3 관통홀(170)과 제1 방향(X)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홀(180)은 제2 관통홀(160) 및 제3 관통홀(170)과 제1 방향(X)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가이드 홈(190)은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90)은 가이드 홀(180)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190)은 가이드 홀(180)에서 돌출부(110) 또는 단부(11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홈(190)은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190)은 제1 가이드부(225c) 및 제2 가이드부(225b)가 배치되는 공간일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5c) 및 제2 가이드부(225b)가 배치됨에 따라서,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의 상면과 제1 가이드부(225c) 및 제2 가이드부(225b)의 상면이 동일한 평면이 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원 단자(200)의 형상을 설명한다. 제1 전원 단자(210)와 제2 전원 단자(220)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편의상 제2 전원 단자(2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전원 단자(220)는 중앙부(224), 제1 실장부(221), 제2 실장부(222), 제3 실장부(223), 커버부(225), 절개부(226) 및 접촉 돌기(227)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224)는 제2 전원 단자(2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중앙부(224)는 제1 트렌치(120)의 바닥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앙부(224)는 제1 실장부(221)와 커버부(225)와 연결될 수 있다.
중앙부(224)는 바닥부(224a)와 제1 연결부(224b) 및 제2 연결부(224c)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24a)는 제1 트렌치(120)의 바닥면에 접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연결부(224b)는 제1 실장부(221)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연결부(224b)는 제1 외벽(140a)의 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224b)는 제1 실장부(221)와 연결되기 위해서 일부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부(224c)는 커버부(225)와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커버부(225)는 돌출부(110)의 단부(111)의 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224c)는 커버부(225)와 연결되기 위해서 일부 굴곡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장부(221)는 중앙부(224)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장부(221)는 제1 외벽(140a)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제1 실장부(221)는 제1 관통홀(15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실장부(221)는 연장부(221a)와 실장 단자(221b)를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221a)는 제1 외벽(140a)의 상면을 덮고, 제1 관통홀(150) 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연장부(221a)의 제2 방향(Y)의 폭은 제1 연결부(224b)의 제2 방향(Y)의 폭보다 클 수 있지만,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장 단자(221b)는 연장부(221a)에서 연장될 수 있다. 실장 단자(221b)는 제1 방향(X)으로 꺾일 수 있다. 실장 단자(221b)는 전원 단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실장 단자(221b)는 납땜 등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도록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연장부(221a)로부터 제1 방향(X)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22)는 제1 실장부(22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22)는 제2 외벽(140b)의 상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장부(222)는 제2 관통홀(16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실장부(222)는 제1 바디(222c), 제1 실장 패턴(222a), 제2 실장 패턴(222b) 및 제1 이격부(222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22c)는 제2 외벽(140b)의 상면을 덮고, 제2 관통홀(160) 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바디(222c)는 외벽(140)을 따라서 제1 실장부(221)의 연장부(22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실장 패턴(222a)은 제1 바디(222c)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실장 패턴(222a)은 제2 방향(Y)으로 꺾일 수 있다. 제1 실장 패턴(222a)은 전원 단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1 실장 패턴(222a)은 납땜 등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도록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제1 바디(222c)로부터 제2 방향(Y)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장 패턴(222b)도 제1 바디(222c)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실장 패턴(222b)도 제2 방향(Y)으로 꺾일 수 있다. 제2 실장 패턴(222b)도 전원 단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 실장 패턴(222b)은 제1 이격부(222d)에 의해서 제1 실장 패턴(222a)과 제1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이격부(222d)는 제1 실장 패턴(222a)과 제2 실장 패턴(222b)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제1 이격부(222d)는 제1 바디(222c), 제1 실장 패턴(222a) 및 제2 실장 패턴(222b)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바디(222c)는 제2 관통홀(160)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1 실장 패턴(222a)은 제1 하부홀(16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실장 패턴(222b)은 제2 하부홀(161)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실장부(223)는 제1 실장부(221)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3 실장부(223)는 제3 외벽(140c)의 상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장부(223)는 제3 관통홀(170)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실장부(223)는 제2 바디(223c), 제3 실장 패턴(223a), 제4 실장 패턴(223b) 및 제2 이격부(223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23c)는 제3 외벽(140c)의 상면을 덮고, 제3 관통홀(170) 내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2 바디(223c)는 외벽(140)을 따라서 제1 실장부(221)의 연장부(221a)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실장 패턴(223a)은 제2 바디(223c)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3 실장 패턴(223a)은 제2 방향(Y)으로 꺾일 수 있다. 제3 실장 패턴(223a)은 전원 단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3 실장 패턴(223a)은 납땜 등의 부착 작업이 용이하도록 면적을 넓게 하기 위해서 제2 바디(223c)로부터 제2 방향(Y)으로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4 실장 패턴(223b)도 제2 바디(223c)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4 실장 패턴(223b)도 제2 방향(Y)으로 꺾일 수 있다. 제4 실장 패턴(223b)도 전원 단자(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에 직접 실장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4 실장 패턴(223b)은 제2 이격부(223d)에 의해서 제3 실장 패턴(223a)과 제1 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이격부(223d)는 제3 실장 패턴(223a)과 제4 실장 패턴(223b)을 서로 이격시킬 수 있다. 제2 이격부(223d)는 제2 바디(223c), 제3 실장 패턴(223a) 및 제4 실장 패턴(223b)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제2 바디(223c)는 제3 관통홀(170)로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고, 제3 실장 패턴(223a)은 제3 하부홀(172)에 위치할 수 있다. 제4 실장 패턴(223b)은 제4 하부홀(171)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실장 단자(221b), 제1 실장 패턴(222a), 제2 실장 패턴(222b), 제3 실장 패턴(223a) 및 제4 실장 패턴(223b)의 5개의 실장 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5개의 실장 포인트는 전원 단자(200)가 전원 단자(200) 아래에 위치하는 회로 기판과 납땜 등으로 부착되는 포인트일 수 있다.
소켓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에 따라서, 기존의 소켓 커넥터는 전원 단자(200)의 실장되는 포인트의 면적은 동시에 작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전원 단자(200)와 회로 기판 사이의 체결력은 약화될 수 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200)는 회로 기판과의 실장 포인트가 5개가 되어 기존의 소켓 커넥터에 비해서 전원 단자(200)와 회로 기판과의 체결력을 확연히 강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소켓 커넥터)의 부착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의 전원 단자(200)는 제1 실장부(221), 제2 실장부(222) 및 제3 실장부(223)가 각각 제1 외벽(140a),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의 상면을 덮으므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체결시에 발생할 수 있는 외벽(14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225)는 중앙부(224)와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225)는 돌출부(110) 즉, 단부(111)의 상면과 접할 수 있다. 커버부(225)는 가이드 홈(190) 및 가이드 홀(180)로 위치할 수 있다. 커버부(225)는 단부 커버부(225a), 제1 가이드부(225c) 및 제2 가이드부(225b)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 커버부(225a)는 돌출부(110)의 단부(111)의 상면 및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부 커버부(225a)는 단부(111)의 상면과 접하고, 제2 방향(Y)의 단부(111)의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단부 커버부(225a)는 제2 연결부(224c)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전원 단자(200)가 돌출부(110)의 단부(111)까지 커버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의 체결시에 발생할 수 있는 돌출부(110)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소켓 커넥터의 경우 몰드 구조(100)가 돌출부(110)와 제1 외벽(140a) 사이의 부분이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므로 이를 기준으로 크랙(crack)이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한 데에 반해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소켓 커넥터는 전원 단자(200)가 커버부(225)를 통해서 돌출부(110)와도 체결되므로 상기의 크랙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전체적인 소켓 커넥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5c)는 단부 커버부(225a)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5c)는 단부 커버부(225a)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5c)는 제1 트렌치(120)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5c)는 제2 외벽(140b)의 가이드 홈(190)에 결합되고, 제2 외벽(140b)의 가이드 홀(180)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5c)는 가이드 홀(180)에 위치하긴 하지만, 몰드 구조(100)의 아래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제1 가이드부(225c)는 제2 실장 패턴(222b)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만, 제1 가이드부(225c)와 제2 실장 패턴(222b)은 서로 접하지는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5b)는 단부 커버부(225a)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5b)는 단부 커버부(225a)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5b)는 제1 트렌치(120)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5b)는 제3 외벽(140c)의 가이드 홈(190)에 결합되고, 제3 외벽(140c)의 가이드 홀(180)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225b)는 가이드 홀(180)에 위치하긴 하지만, 몰드 구조(100)의 아래로 노출되지는 않는다. 제2 가이드부(225b)는 제4 실장 패턴(223b)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될 수 있다. 다만, 제2 가이드부(225b)와 제4 실장 패턴(223b)은 서로 접하지는 않고 이격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5c)와 제2 실장 패턴(222b)과, 제2 가이드부(225b)와 제4 실장 패턴(223b)은 절개부(226)에 의해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절개부(226)는 구체적으로, 제2 실장부(222)와 제1 가이드부(225c)를 이격시키고, 제3 실장부(223)와 제2 가이드부(225b)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226)를 통해서 몰드 구조(100)와 전원 단자(200)의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25c)가 접하는 제2 외벽(140b)의 제2 방향(Y)의 폭(D1)은 제2 실장부(222)가 접하는 제2 외벽(140b)의 제2 방향(Y)의 폭(D2)보다 더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부(225b)가 접하는 제3 외벽(140c)의 제2 방향(Y)의 폭(D1)은 제3 실장부(223)가 접하는 제3 외벽(140c)의 제2 방향(Y)의 폭(D2)보다 더 클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 가이드부(225c)의 제2 외벽(140b) 상에서의 제2 방향(Y)의 폭(D3)은 제2 실장부(222)의 제2 외벽(140b) 상에서의 제2 방향(Y)의 폭(D4)보다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부(225b)의 제3 외벽(140c) 상에서의 제2 방향(Y)의 폭(D3)은 제3 실장부(223)의 제3 외벽(140c) 상에서의 제2 방향(Y)의 폭(D4)보다 클 수 있다.
이는 제2 실장부(222) 및 제3 실장부(223)에 의해서 줄어드는 제1 트렌치(120)의 공간을 최소화하여 추후에 소켓 커넥터와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제1 가이드부(225c) 및 제2 가이드부(225b)가 플러그 커넥터의 오체결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가이드부(225c) 및 제2 가이드부(225b)는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에서 각각 제1 트렌치(120)의 측벽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플러그 커넥터의 위치가 어긋나게 접근하였더라도 올바른 위치로 가이드(guide)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접촉 돌기(227)는 중앙부(224)에서 연장될 수 있다. 접촉 돌기(227)는 중앙부(224)의 양 측면에서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접촉 돌기(227)는 제2 외벽(140b) 방향과 제3 외벽(140c) 방향으로 각각 1개씩 연장되어 총 2개일 수 있다.
접촉 돌기(227)는 제2 외벽(140b) 및 제3 외벽(140c)과는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접촉 돌기(227)는 플러그 커넥터의 전원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접촉 돌기(227)와 제1 실장부(221)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중앙부(224)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접촉 돌기(227)와 제2 실장부(222) 및 제3 실장부(223)도 중앙부(224) 및 제1 실장부(221)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접촉 돌기(227)와 커버부(225), 제1 가이드부(225c) 및 제2 가이드부(225b)도 직접 접하지 않고, 중앙부(224)를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몰드 구조 200: 전원 단자
221, 222, 223: 실장부 224: 중앙부
225: 커버부 226: 절개부
227: 접촉 돌기 300: 신호 단자

Claims (8)

  1.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의 제1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몰드 구조; 및
    상기 몰드 구조의 상기 제2 영역에 장착되는 전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몰드 구조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외벽과,
    상기 제1 외벽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상기 제1 외벽과 함께 상기 몰드 구조의 외곽을 정의하는 제2 및 제3 외벽과,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외벽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돌출부와,
    상기 제1 내지 제3 외벽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트렌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단부의 상면 및 양 측면을 덮는 단부 커버부와,
    상기 제1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몰드 구조의 아래에 노출되는 제1 실장부와,
    상기 트렌치의 바닥면에 접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제1 실장부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바닥부와 상기 단부 커버부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와,
    상기 단부 커버부로부터 상기 트렌치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2 외벽의 상면을 덮는 제1 가이드부와,
    상기 단부 커버부로부터 상기 트렌치의 측면 및 바닥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제3 외벽의 상면을 덮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중앙부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제1 외벽의 내측면 및 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소켓 커넥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외벽과 마주보는 상기 단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소켓 커넥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커버부는,
    상기 제2 외벽과 마주보는 상기 단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3 외벽과 마주보는 상기 단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커버부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단부 커버부의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제2 방향에서 서로 오버랩되는 소켓 커넥터.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제1 실장부로부터 상기 제2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몰드 구조의 하면에 노출되는 제2 실장부와,
    상기 제1 실장부로부터 상기 제3 외벽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3 외벽을 관통하여 상기 몰드 구조의 하면에 노출되는 제3 실장부를 더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2 외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접촉 돌기와,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제3 외벽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직 방향으로 돌출된 제2 접촉 돌기를 더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190121578A 2017-10-23 2019-10-01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472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578A KR102472680B1 (ko) 2017-10-23 2019-10-01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7520A KR102472685B1 (ko) 2017-10-23 2017-10-23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0190121578A KR102472680B1 (ko) 2017-10-23 2019-10-01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7520A Division KR102472685B1 (ko) 2017-10-23 2017-10-23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730A KR20190113730A (ko) 2019-10-08
KR102472680B1 true KR102472680B1 (ko) 2022-11-30

Family

ID=8423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578A KR102472680B1 (ko) 2017-10-23 2019-10-01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26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24B1 (ko) * 2019-10-10 2021-02-01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268474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KR102268227B1 (ko) * 2019-12-27 2021-06-23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646310U (zh) * 2016-03-17 2016-10-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及其组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41876B2 (ja) *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498622B2 (ja) * 2016-03-14 2019-04-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646310U (zh) * 2016-03-17 2016-10-1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及其组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3730A (ko)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2680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TWI632742B (zh)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US936263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 fitting with a bottom portion connecting a lock plate portion and an reinforcing plate portion
KR101982747B1 (ko) 콤팩트 고속 커넥터
KR2016011814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KR20080079181A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이것을 갖는 조합 커넥터
US7993144B2 (en) Receptacle RF connector having cutouts on a tubular frame of an outer shell
JP2017162774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2064260B1 (ko) 전기 커넥터의 컨택트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EP3093924B1 (en) Pci-e connector cover and pci-e connector module
JP2005209501A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9893480B2 (en) Connector
CN100356631C (zh) 可动型连接器用加强引板及使用其的可动型连接器
KR101255371B1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2472685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20070089048A (ko) 전기커넥터조립체
JP6041949B2 (ja) 金具付電気コネクタ
JP2017147171A (ja) コネクタ
KR20210035113A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1705076B1 (ko) 파손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102329356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210024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JP633536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