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747B1 -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747B1
KR102210747B1 KR1020190155381A KR20190155381A KR102210747B1 KR 102210747 B1 KR102210747 B1 KR 102210747B1 KR 1020190155381 A KR1020190155381 A KR 1020190155381A KR 20190155381 A KR20190155381 A KR 20190155381A KR 102210747 B1 KR102210747 B1 KR 102210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wall
housing
terminal
re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5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구조적으로 재작업이 용이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관통 공간을 포함하는 관통부와, 하우징의 측벽부에 체결되는 제1 로킹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측벽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내측벽 및 외측벽을 포함하고, 외측벽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내측벽은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1 지지면을 포함하고, 제1 로킹부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암부와, 제1 암부 내에 제1 걸림부에 의해 노출되는 재작업 홈과, 제1 암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걸림부에 체결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측벽의 제1 지지면은 재작업 홈의 하면보다 높고, 재작업 홈의 상면보다 낮다.

Description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 COMPRISING TERMINAL POSITION ASSURANCE}
본 발명은 터미널 위치 보장기(TPA; terminal position assurance)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재작업(rework)이 가능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는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힘을 받을 수 있는데, 이로부터 터미널의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이용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하우징에 로킹(locking)되어 터미널의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에 하우징에 삽입되어 가고정될 수 있고(1차 로킹), 터미널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하우징에 완전히 결합되어(2차 로킹)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에 로킹된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는 재작업(rework)이 요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작업 시에 커넥터에 과도한 외력이 가해져 커넥터가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조적으로 재작업이 용이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관통 공간을 포함하는 관통부와, 하우징의 측벽부에 체결되는 제1 로킹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측벽부는,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내측벽 및 외측벽을 포함하고, 외측벽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내측벽은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1 지지면을 포함하고, 제1 로킹부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암부와, 제1 암부 내에 제1 걸림부에 의해 노출되는 재작업 홈과, 제1 암부로부터 돌출되어 제2 걸림부에 체결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내측벽의 제1 지지면은 재작업 홈의 하면보다 높고, 재작업 홈의 상면보다 낮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작업 홈과 제1 돌출부는 제3 방향에서 중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지지면은 내측벽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내측벽은 제1 지지면과 대향되는 제2 지지면을 더 포함하고, 제2 지지면은 재작업 홈의 상면보다 높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킹부는, 제1 암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 걸림부에 체결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하우징에 체결될 때, 제2 돌출부는 제1 걸림부와 제1 로킹을 수행하고, 제1 돌출부는 제1 로킹 후에 제2 걸림부와 제2 로킹을 수행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걸림부와 제2 돌출부는 제3 방향에서 비중첩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킹부를 더 포함하고, 관통부는 제1 로킹부와 제2 로킹부 사이에 개재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터미널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관통부는 바디부 내에 배치되고, 터미널 수용 공간과 터미널 관통 공간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공간을 형성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재작업 홈과 제1 돌출부가 배열되는 방향은 재작업 시에 재작업 홈이 가동되는 방향과 동일하므로, 구조적으로 재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재작업 홈은 하우징의 측벽부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므로, 시안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R1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R2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재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R1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R2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하우징(100) 및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터미널(300)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터미널 수용 공간(115)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3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되어 하우징(100)의 터미널 수용 공간(115) 내에 설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되는 터미널(300)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0)은 터미널 수용 공간(115)을 향해 연장되는 랜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터미널(300)이 터미널 수용 공간(115) 내에 설치될 때, 랜스(112)는 터미널(300)의 베이스부(310)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320)와 체결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복수의 터미널 수용 공간(115)들을 포함하는 바디부(110)와, 바디부(110)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측벽부(120) 및 제2 측벽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디부(110)는 제1 측벽부(120)와 제2 측벽부(125)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20) 및 제2 측벽부(125)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20) 및/또는 제2 측벽부(125)는 제1 걸림부(140) 및 제2 걸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제1 측벽부(120)를 중심적으로 설명하지만, 제2 측벽부(125) 또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측벽부(120)의 제1 걸림부(140) 및 제2 걸림부(130)는 후술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를 로킹(locking)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1 걸림부(140) 및 제2 걸림부(130)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걸림부(140) 및 제2 걸림부(130)는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3 방향(Z)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는 하우징(100)에 로킹되어 하우징(100)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는 복수의 관통홀(215)들을 포함하는 관통부(210)와, 관통부(210)의 양 측에 배치되는 제1 로킹부(212) 및 제2 로킹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부(210)는 제1 로킹부(212)와 제2 로킹부(214)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킹부(212) 및/또는 제2 로킹부(214)는 암부(220), 제1 돌출부(230), 제2 돌출부(240) 및 재작업 홈(245)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제1 로킹부(212)를 중심적으로 설명하지만, 제2 로킹부(214) 또한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암부(220)는 관통부(210)로부터 길게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암부(220)는 제3 방향(Z)으로 연장되어 관통부(21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30) 및 제2 돌출부(240)는 암부(2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돌출부(230) 및 제2 돌출부(240)는 암부(220)의 측면으로부터 제2 방향(Y)으로 돌출되어, 제1 방향(X)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재작업 홈(245)은 암부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작업 홈(245)은 암부(220)의 일부가 인입되어(또는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의 관통홀(215)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는 제3 방향(Z)을 따라 이동되어 하우징(10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터미널(300)은 제1 방향(X)을 따라 이동되어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의 관통홀(215)을 통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300)은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와 교차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300)이 삽입된 후에,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는 하우징(100)에 완전히 로킹되어 터미널(300)의 위치를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는 터미널(300)의 베이스부(310)를 지지함으로써 터미널(300)의 위치를 보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에 삽입되기 전에,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는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가고정될 수 있다(1차 로킹). 예를 들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의 제2 돌출부(240)가 하우징(100)의 제1 걸림부(140)에 체결됨으로써 1차 로킹이 수행될 수 있다. 이어서, 터미널(300)의 삽입이 완료된 후에,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는 하우징(100)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2차 로킹). 예를 들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의 제1 돌출부(230)가 하우징(100)의 제2 걸림부(130)에 체결됨으로써 2차 로킹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로킹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도 2 내지 도 7은 상기 2차 로킹이 수행된 후에 하우징(100)에 완전히 결합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를 도시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암부(220)는 제1 측벽부(12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측벽부(120)는 내측벽(124) 및 외측벽(12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벽(122)은 바디부(110)로부터 내측벽(124)보다 이격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20)의 내측벽(124) 및 외측벽(122)은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암부(220)는 제1 측벽부(120)의 내측벽(124)과 외측벽(12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제1 돌출부(230)는 제2 걸림부(1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2차 로킹이 수행된 후에, 제1 돌출부(230)는 제2 걸림부(130)에 체결되어 제2 걸림부(13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돌출부(230)는 제2 걸림부(13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걸림부(130)는 암부(220)의 측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1 개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230)는 제1 개구(135)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제1 측벽부(12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재작업 홈(245)의 적어도 일부는 제1 걸림부(14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걸림부(140)는 암부(220)의 측면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개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재작업 홈(245)은 제2 개구(145)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제1 측벽부(12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재작업 홈(245)은 제1 돌출부(230)와 제3 방향(Z)에서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재작업 홈(245)과 제1 돌출부(230)는 제3 방향(Z)에서 중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측벽부(120)의 내측벽(124)은 제1 지지면(124S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면(124S1)은 제3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지지면(124S1)은 내측벽(124)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지지면(124S1)은 제3 방향(Z)을 따라 위를 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지지면(124S1)은 내측벽(124)의 제3 방향(Z)을 따라 아래를 향하여 내측벽(124)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내측벽(124)의 제1 지지면(124S1)은 재작업 홈(24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벽(124)의 제1 지지면(124S1)은 재작업 홈(245)의 하면보다 높고, 재작업 홈(245)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20)의 내측벽(124)은 제1 지지면(124S1)과 대향되는 제2 지지면(124S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지지면(124S2)은 제3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지지면(124S1)이 내측벽(124)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경우에, 제2 지지면(124S2)은 내측벽(124)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지지면(124S2)은 재작업 홈(245)의 상면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출부(240)는 제1 걸림부(140)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상기 1차 로킹이 수행될 때, 제2 돌출부(240)는 제1 걸림부(14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2차 로킹이 수행된 후에, 제2 돌출부(240)는 제1 걸림부(14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돌출부(240)는 제2 개구(145)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제1 측벽부(12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재작업 홈(245)과 제2 돌출부(240) 제1 방향(X)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돌출부(240)와 제2 걸림부(130)는 제3 방향(Z)에서 엇갈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2 돌출부(240)와 제2 걸림부(130)는 제3 방향(Z)에서 중첩되지 않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재작업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재작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적으로, 도 8은 도 6의 R2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 대한 재작업 시에, 재작업 기구(400)가 재작업 홈(245)에 삽입될 수 있다.
재작업 홈(245)에 삽입된 재작업 기구(400)는 재작업 홈(245)을 통과하여 제1 지지면(124S1)과 접촉할 수 있다. 이어서, 재작업 기구(400)는 제1 지지면(124S1)을 받침점으로 이용하여 지레의 원리로 암부(22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것처럼, 재작업 기구(400)의 일단은 제1 지지면(124S1)에 고정될 수 있고, 재작업 기구(400)의 타단은 외력(사용자)에 의해 제3 방향(Z)으로 가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재작업 기구(400)에 의한 지레의 작용점인 재작업 홈(245)은 제3 방향(Z)으로 가동되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재작업 기구(400)는 예를 들어, 핀(pin)일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재작업 홈(245)을 통과하여 제1 지지면(124S1)에 지지되는 기구라면 그 형상은 무관할 수 있다.
재작업 기구(400)에 의해 암부(220) 내에 형성되는 재작업 홈(245)이 들어올려짐에 따라, 암부(220)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230) 또한 들어올려질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230)와 제2 걸림부(130) 간의 체결이 해제되는 재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재작업 홈(245)과 제1 돌출부(230)가 배열되는 방향은 재작업 홈(245)이 가동되는 방향인 제3 방향(Z)과 동일할 수 있다.
만일, 재작업 시에 재작업 홈(245)이 가동되는 방향과 제1 돌출부(230)가 배열되는 방향이 다르다면, 커넥터에 과도한 힘이 가해져 하우징(100) 또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200)가 파손되거나 좌굴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재작업 홈(245)과 제1 돌출부(230)가 배열되는 방향은 재작업 시에 재작업 홈(245)이 가동되는 방향과 동일하므로, 구조적으로 재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 재작업 홈(245)은 제2 개구(145) 내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제1 측벽부(120)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므로, 시안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하우징 110: 바디부
115: 터미널 수용 공간 120: 제1 측벽부
125: 제2 측벽부 130: 제1 걸림부
140: 제2 걸림부 200: 터미널 위치 보장기
210: 관통부 212: 제1 로킹부
214: 제2 로킹부 215: 관통홀
220: 암부 230: 제1 돌출부
240: 제2 돌출부 245: 재작업 홈
300: 터미널 400: 재작업 기구

Claims (9)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터미널 관통 공간을 포함하는 관통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벽부에 체결되는 제1 로킹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내측벽 및 외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벽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걸림부 및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은 상기 제3 방향과 교차하는 제1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로킹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 사이에 개재되는 제1 암부와, 상기 제1 암부 내에 상기 제1 걸림부에 의해 노출되는 재작업 홈과, 상기 제1 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부에 체결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의 상기 제1 지지면은 상기 재작업 홈의 하면보다 높고, 상기 재작업 홈의 상면보다 낮은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작업 홈과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에서 중첩되는 커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은 상기 내측벽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하는 커넥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벽은 상기 제1 지지면과 대향되는 제2 지지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면은 상기 재작업 홈의 상면보다 높은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부는, 상기 제1 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부에 체결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상기 하우징에 체결될 때,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걸림부와 제1 로킹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로킹 후에 상기 제2 걸림부와 제2 로킹을 수행하는 커넥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부와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3 방향에서 비중첩되는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로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제1 로킹부와 상기 제2 로킹부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터미널 수용 공간을 포함하는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바디부 내에 배치되고,
    상기 터미널 수용 공간과 상기 터미널 관통 공간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
KR1020190155381A 2019-11-28 2019-11-28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210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81A KR102210747B1 (ko) 2019-11-28 2019-11-28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81A KR102210747B1 (ko) 2019-11-28 2019-11-28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747B1 true KR102210747B1 (ko) 2021-02-02

Family

ID=7455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81A KR102210747B1 (ko) 2019-11-28 2019-11-28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7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610A (ko) * 2011-06-09 2012-12-20 타이코에이엠피(유) 이중락킹유닛을 갖는 커넥터
KR101326504B1 (ko) * 2012-07-17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홀더 타입 커넥터 장치
KR20160123865A (ko) * 2015-04-17 2016-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20190023816A (ko) * 2017-08-30 2019-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6610A (ko) * 2011-06-09 2012-12-20 타이코에이엠피(유) 이중락킹유닛을 갖는 커넥터
KR101326504B1 (ko) * 2012-07-17 2013-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홀더 타입 커넥터 장치
KR20160123865A (ko) * 2015-04-17 2016-10-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KR20190023816A (ko) * 2017-08-30 2019-03-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8143B1 (en) Connector socket
US10734741B2 (en) Connector
US1031262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lignment plate and secondary lock detection
US9985371B1 (en) Connector
US20140057470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elf loading electronic package
US7946860B2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a vehicle
JP2014120222A (ja) 電気コネクタ
KR102472680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KR102210747B1 (ko)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JP2006107809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をアース及び固定するための方法及びアースコネクタ
JP6100158B2 (ja) 電気コネクタ
KR20210030777A (ko) 커넥터
KR20200144814A (ko) 차량용 충전장치
KR102584713B1 (ko)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JP2014120484A (ja) 電気コネクタ
US9627869B2 (en) Block for vehicle
KR100427051B1 (ko) 커넥터의 단자 이중 록킹구조
JPH10326635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KR102329356B1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JP2019114355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KR20230041455A (ko) 커넥터
KR102366146B1 (ko) 커넥터
JP4042447B2 (ja) 端子装置
KR20210035113A (ko) 전원 단자 및 이를 포함하는 소켓 커넥터
JP5786932B2 (ja) 電気コネクタ用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