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3816A -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23816A KR20190023816A KR1020170110115A KR20170110115A KR20190023816A KR 20190023816 A KR20190023816 A KR 20190023816A KR 1020170110115 A KR1020170110115 A KR 1020170110115A KR 20170110115 A KR20170110115 A KR 20170110115A KR 20190023816 A KR20190023816 A KR 201900238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assembly
- space
- protrusion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지지구(50)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미널(T)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53')이 다수개 형성되는 메인몸체(51)와, 상기 메인몸체(51)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고 커넥터에 걸려 고정되는 조립돌기(56)가 돌출되는 조립몸체(55)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돌기(56)의 후방에 해당하는 조립몸체(55) 및 메인몸체(51) 사이에는 탄성변형공간(57)이 이격되고, 상기 조립몸체(55)와 상기 메인몸체(51) 사이에는 상기 조립몸체(55)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51)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게 하는 회전공간(58)이 상기 탄성변형공간(57)과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의 터미널지지구(50)에는 메인몸체(51)와 조립몸체(55) 사이에 회전공간(58)이 있고, 터미널지지구(50)가 커넥터에 결합될 때 회전공간(58)을 줄이는 방향으로 틀어지면서 삽입된다. 따라서 터미널지지구(50)가 커넥터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조립돌기(56)가 더 많이 후퇴할 수 있고, 조립돌기(56)가 커넥터 내면에 긁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넥터에 결합되어 터미널의 이탈을 방지하는 터미널지지구와, 이를 포함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의 내부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는 과정 또는 기타 외력이 작용했을 때 하우징의 내부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처럼 터미널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터미널이 하우징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터미널을 걸어 고정하는 랜스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에 터미널에 가해지는 힘이 큰 경우에는 상기 랜스만으로는 터미널의 위치보장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하우징에 별도의 터미널지지구를 더 설치해서 터미널을 지지하기도 한다. 터미널지지구가 하우징에 결합되면 터미널지지구가 터미널의 일부를 걸어 지지함으로써 터미널이 반대방향으로 분리되지 않게 한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지지구는 커넥터에 1차록킹 및 2차록킹된다. 여기서 1차록킹은 터미널이 커넥터에 삽입되기 전에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삽입되어 가고정된 상태이고, 2차록킹은 터미널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완전히 결합되어 터미널을 지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터미널지지구를 하우징에 조립/해제하는 과정에서 록킹을 위한 구조인 돌기부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돌기부 주변의 탄성변형량이 적어 조립/해제과정에서 돌기부가 뭉개지는 것이다. 따라서 터미널지지구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터미널지지구와 커넥터 사이가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해 동작신뢰성도 낮아지게 된다.
물론 돌기부 주변의 탄성변형량을 크게 하면 돌기부의 파손을 줄일 수 있지만, 터미널지지구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터미널지지구의 일부가 틀어지도록 하여 결합부분의 탄성변형량을 늘리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터미널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고 커넥터에 걸려 고정되는 조립돌기가 돌출되는 조립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돌기의 후방에 해당하는 조립몸체 및 메인몸체 사이에는 탄성변형공간이 이격되고, 상기 조립몸체와 상기 메인몸체 사이에는 상기 조립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게 하는 회전공간이 상기 탄성변형공간과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된다.
상기 회전공간의 한쪽 끝에는 상기 조립몸체와 메인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립몸체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위치의 회전공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틀어지면서 상기 조립돌기를 메인몸체 방향으로 후퇴시킨다.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립몸체의 좌우중심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구비된 연결부가 상기 조립몸체와 메인몸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 및 상기 탄성변형공간은 조립몸체의 상부에 있고, 상기 연결부 및 회전공간은 상기 조립몸체의 하부에 있다.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제1돌기와의 사이에 제1조립홈을 형성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의 상부에는 제2조립홈이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와 조립몸체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몸체와 조립몸체가 연결된 모서리부와 상기 제1돌기 사이에 상기 제2조립홈이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를 구성하는 제1돌기 또는 제2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변형공간은 터미널의 삽입방향을 따라 개방된 형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이 연장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직교한 방향으로 지지구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터미널과, 상기 지지구삽입공간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걸려 조립되게 하는 조립돌기가 구비된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지지구에는 상기 조립돌기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회전공간이 있어서 상기 터미널지지구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립돌기 주변이 틀어지면서 조립돌기를 후퇴시킨다.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제1돌기와의 사이에 제1조립홈을 형성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의 상부에는 제2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조립홈 또는 제2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지지구를 하우징에 1차조립 및 2차조립시키는 걸림돌기가 구비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터미널지지구에는 메인몸체와 조립몸체 사이에 회전공간이 있고,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결합될 때 회전공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틀어지면서 삽입된다. 따라서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조립돌기가 더 많이 후퇴할 수 있고, 조립돌기가 커넥터 내면에 긁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터미널지지구에 있는 조립몸체는 메인몸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뿐 아니라, 한쪽 방향으로 틀어진다. 따라서 터미널지지구의 메인몸체와 조립몸체 사이의 이격공간을 크게 두지 않더라도 조립몸체가 틀어지면서 탄성변형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탄성변형을 위해 터미널지지구 자체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터미널지지구에 있는 조립돌기는 곡면 또는 경사면 형태이기 때문에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조립돌기가 뭉개지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곡면 또는 경사면이 커넥터 내면과 접촉하면서 조립몸체의 틀어짐을 자연스럽게 안내하여 조립성을 개선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한 커넥터의 일실시례에서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1차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2차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은 도 4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II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지지구의 일부 구성을 자세히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1차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지지구가 커넥터에 2차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5은 도 4의 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4의 III-III'선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터미널지지구의 일부 구성을 자세히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지지구(50)를 포함하는 커넥터는 크게 하우징(10), 터미널(T) 그리고 터미널지지구(50)로 구성된다. 터미널지지구(50)는 하우징(10)에 조립되어 터미널(T)이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한다. 조립순서는, (i) 하우징(10)에 터미널지지구(50)를 1차조립, (ii) 하우징(10)에 터미널(T)을 삽입, (iii) 하우징(10)에 터미널지지구(50)를 2차조립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은 2차조립 시에 터미널지지구(50)가 커넥터와 강하게 접촉해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각 구성과 구성간의 조립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기본 골격은 하우징(10)이 형성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육각형태의 입체구조이고,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크게 터미널(T)이 삽입되는 제1몸체(12)와, 제1몸체(12)에서 연장되고 상대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몸체(20)로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제1몸체(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지지구(50)가 삽입되어 터미널(T)을 지지해준다. 도 1에서 화살표①은 터미널지지구(50)가 삽입되는 방향이고, 화살표②는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이며, 화살표③은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참고로 제1몸체(12) 및 제2몸체(20)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나눈 것이고, 도 1의 형태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다. 하우징(10)의 형상과 크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제1몸체(12)에는 터미널안착공간(13)이 있다. 상기 터미널안착공간(13)은 터미널(T)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데, 제1몸체(12)에는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13)이 있다. 그런데 도 1을 보면 터미널안착공간(13)의 중간에 지지구삽입공간(1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터미널안착공간(13)의 중간이 지지구삽입공간(14)에 의해 단절된 형태로 볼 수도 있다. 터미널안착공간(13)은 지지구삽입공간(14)을 기준으로 제1안착공간(13')과 제2안착공간(13'')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들 제1안착공간(13')과 제2안착공간(13'')은 단절된 형태이나, 터미널지지구(50)에 있는 관통홀(53')이 제1안착공간(13')과 제2안착공간(13'') 사이를 연결해준다. 도 6에는 제1안착공간(13')과 제2안착공간(13'') 사이에 관통홀(53')이 위치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상기 제1몸체(12)의 측면에는 측벽부(15)가 있는데, 상기 측벽부(15)는 제1측벽(15a)과 제2측벽(15b)를 포함하고, 제1측벽(15a)과 제2측벽(15b) 사이에 개구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는 제1몸체(12) 안쪽으로 개방되어 있어서 터미널지지구(50)가 하우징(10)에 조립된 상태를 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해보면 상기 제1측벽(15a)의 안쪽면에는 걸림돌기(16)가 있고, 걸림돌기(16)는 터미널지지구(50)를 걸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림돌기(16)는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지지구(50)의 제1조립홈(A1) 또는 제2조립홈(A2)에 끼워져 터미널지지구(50)가 1차조립된 상태 또는 2차조립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도 3은 터미널지지구(50)의 제1조립홈(A1)에 걸림돌기(16)가 끼워져 1차조립이 이루어진 것을 표현한 것이고 도 5는 터미널지지구(50)의 제2조립홈(A2)에 걸림돌기(16)가 끼워져 2차조립이 이루어진 것을 표현한 것이다. 걸림돌기(16)가 제2조립홈(A2)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제2돌기(56b)를 파손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조립몸체(55)가 틀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3과 도 6을 보면 제1몸체(12) 내부에는 랜스(17)가 있다. 상기 랜스(17)는 제2안착공간(13'')에 위치하여 터미널(T)을 걸어 고정시킨다. 상기 랜스(17)는 일종의 외팔보 구조이기 때문에 터미널(T)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도 6에는 랜스(17)가 터미널(T)의 하부를 걸어 고정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동시에 터미널지지구(50)가 터미널(T)의 후방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터미널(T)의 이중으로 고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서 T1'는 터미널(T)에 구비된 바렐부이고, W는 바렐부(T1')에 연결된 와이어다.
다시 도 1을 보면, 상기 제1몸체(12)의 상부에는 리워크홈(18)이 있다. 상기 리워크홈(18)은 공구의 끝 부분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제1몸체(12)의 상부 중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리워크홈(18)은 제1몸체(12)의 상부에 2개가 구비되고, 리워크홈(18)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지지구(50)의 걸림부(59)와 연결된다. 따라서 공구의 끝 부분을 리워크홈(18)에 밀어넣으면 터미널지지구(50)의 걸림부(59) 안쪽까지 넣을 수 있다. 이 상태로 공구를 회전시키면 지렛대의 원리를 통해 터미널지지구(50)를 제1몸체(12)에서 쉽게 뺄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제2몸체(20)는 상기 제1몸체(12)에서 연결되고 상대적으로 더 크다. 이것은 제2몸체(20)의 결합공간(S, 도 6참조)으로 상대커넥터가 삽입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몸체(20)에는 고정수단(미도시)이 결합되는데, 상기 고정수단은 제2몸체(20)를 차량의 특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수단은 클립일 수 있다. 도면부호 21는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결합영역이고, 도면부호 25는 고정수단이 걸리는 걸림턱을 나타낸다. 상기 결합영역(21)의 주변에는 구획펜스(23)가 돌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터미널지지구(50)를 살펴보면, 상기 터미널지지구(50)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몸체(12)에 조립되어 터미널(T)을 지지해준다. 물론 터미널(T)은 이미 랜스(17)에 의해 고정된 상태이긴 하지만, 상대커넥터가 결합되는 과정이나 와이어가 외력에 의해 당겨지는 등과 같은 상황에서는 랜스(17)의 고정력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터미널지지구(50)가 이를 보완해줄 수 있다.
상기 터미널지지구(50)는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도 1에서 보듯이 대략 육면체 입체구조이다. 상기 터미널지지구(50)는 제1몸체(12)에 있는 지지구삽입공간(14)으로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지지구(50)는 지지구삽입공간(14) 안에서 터미널(T)을 지지하되, 1차조립 및 2차조립을 통해 터미널(T)이 하우징(10)에 삽입되는 것은 방해하지 않는다. 즉, 터미널지지구(50)가 1차조립된 상태에서는 터미널지지구(50)에 있는 관통홀(53')이 제1안착공간(13')과 제2안착공간(13'') 사이를 연결해준다. 따라서 터미널(T)이 제1안착공간(13')-관통홀(53')-제2안착공간(13'')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삽입될 수 있다. 하지만 터미널지지구(50)가 2차조립되면 터미널(T)의 후방을 가로막는다.
상기 터미널지지구(50)의 구조를 보면, 상기 터미널지지구(50)는 메인몸체(51)가 그 골격을 형성하고, 메인몸체(51)의 양쪽에 조립몸체(55)가 있다. 상기 메인몸체(51)에는 터미널(T)을 통과시키는 관통홀(53')과, 터미널(T)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부(52)가 있다. 그리고 조립몸체(55)는 터미널(T)의 지지에 관여하는 부분이 아니고 터미널지지구(50)가 하우징(10)에 조립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7을 보면, 상기 메인몸체(51)에는 다수개의 관통홀(53')이 있고, 관통홀(53')의 가장자리에는 지지돌부(52)가 돌출된다. 지지돌부(52)는 터미널(T)을 지지해주는 부분인데, 상기 지지돌부(52)는 2열로 구성된다. 즉, 지지돌부(52)는 높이를 달리하여 위 아래 2열로 구비되고, 이들은 각각 높이를 다르게 삽입된 터미널(T)들을 지지해준다. 참고로 본 실시례에서 메인몸체(51)에는 1열의 관통홀(53')이 있고, 지지돌부(52)는 2열로 구성된다. 물론 하우징(10)에 터미널안착공간(13)이 1열로만 구성된다면 관통홀(53') 자체가 생략되고 지지돌부(52)만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메인몸체(51)의 상부 모서리에는 모서리부(53)가 있다. 상기 메인몸체(51)와 조립몸체(55)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몸체(51)와 조립몸체(55)가 연결된 부분에 모서리부(53)가 구비되는데, 모서리부(53)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형태이다. 모서리부(53)의 형태를 통해서 모서리부(53)와 후술할 제1돌기(56a) 사이에 제2조립홈(A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51)의 양쪽에는 조립몸체(55)가 있다. 상기 조립몸체(55)는 메인몸체(51)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지만, 메인몸체(51)에 대해 어느 정도 상대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몸체(55)는 메인몸체(51) 방향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는 것인데, 터미널지지구(50)가 하우징(10)에 조립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탄성변형이 필요하다. 상기 조립몸체(55)의 구조를 보면, 상기 조립몸체(55)는 메인몸체(51)의 측면에서 위아래로 연장되고, 그 외면에는 조립돌기(56)가 있다. 상기 조립돌기(56)는 터미널지지구(50)를 하우징(10)에 조립시키기 위한 것으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조립돌기(56)는 상기 조립몸체(55)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돌기(56a)와, 상기 제1돌기(56a)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제2돌기(56b)로 구성되다. 그리고 상기 제1돌기(56a)와 제2돌기(56b) 사이에는 제1조립홈(A1)이 형성되고, 앞서 설명한 모서리부(53)와 제1돌기(56a) 사이에는 제2조립홈(A2)이 형성된다. 하우징(10)의 걸림돌기(16)가 제1조립홈(A1)에 위치하면 1차조립된 것이고, 제2조립홈(A2)에 위치하면 2차조립된 것이다.
도 7에서 보듯이, 제1돌기(56a)의 외면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걸림돌기(16)와의 마찰과정에서 제1돌기(56a)가 파손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곡면은 하우징(10)과 터미널지지구(50) 사이의 조립과정에서 조립몸체(55)를 자연스럽게 탄성변형시켜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제1돌기(56a)의 외면만 곡면으로 형성되었지만, 제1돌기(56a) 또는 제2돌기(56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이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립돌기(56)의 후방에 해당하는 조립몸체(55) 및 메인몸체(51) 사이에는 탄성변형공간(57)이 이격된다. 상기 탄성변형공간(57)은 조립몸체(55)가 메인몸체(51)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는 여유공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탄성변형공간(57)은 터미널(T)의 삽입방향을 따라 개방된 형태이다. 하지만, 상기 탄성변형공간(57)은 충분히 넓다고 볼 수는 없고, 또한 조립몸체(55) 자체가 외팔보 형태가 아니므로 변형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한계를 아래와 같은 회전공간(58)이 보완해준다.
도 7을 보면, 상기 조립몸체(55)와 상기 메인몸체(51) 사이에는 상기 조립몸체(55)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51)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게 하는 회전공간(58)이 있다. 상기 회전공간(58)은 상기 탄성변형공간(57)과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탄성변형공간(57) 보다 아래에 있다. 이와 달리 회전공간(58)이 탄성변형공간(57) 보다 위에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회전공간(58)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상기 회전공간(58)의 한쪽 끝에는 상기 조립몸체(55)와 메인몸체(51)를 연결하는 연결부(5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도 7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연결부(58')는 상기 조립몸체(55)의 좌우중심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공간(58)은 상기 연결부(58')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부분에 형성된다.
도 7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연결부(58')는 후방에 있고, 회전공간(58)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상기 조립몸체(55)는 상기 연결부(58')로부터 먼 위치의 회전공간(58)을 줄이는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다. 화살표⑥은 조립몸체(55)가 회전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조립몸체(55)가 회전되면 상기 조립돌기(56)가 위치한 조립몸체(55)의 상부는 메인몸체(51) 방향(화살표⑤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립몸체(55)를 외팔보로 만들거나 탄성변형공간(57)을 더 넓게 하지 않아도, 상기 회전공간(58)의 존재를 통해 조립돌기(56) 주변은 충분한 탄성변형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한 커넥터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터미널지지구(50)를 커넥터의 하우징(10)에 조립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터미널지지구(50)를 하우징(10)의 제1몸체(12)에 있는 지지구삽입공간(14)에 밀어넣는 것이다. 상기 터미널지지구(50)는 도 1의 화살표①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아직 터미널(T)은 하우징(10)에 조립되기 전이다.
상기 터미널지지구(50)가 상기 지지구삽입공간(14)에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지지구(50)의 조립몸체(55)는 지지구삽입공간(14)의 양쪽 측면을 따라 이동하고, 그 과정에서 제2조립돌기(56)가 먼저 하우징(10)의 걸림돌기(16)와 만난다. 제2조립돌기(56)가 상기 걸림돌기(16)를 타고 넘으면 걸림돌기(16)는 제1걸림홈에 위치하게 된다. 제2조립돌기(56)가 걸림돌기(16)를 타고 넘는 과정에서 조립몸체(55)는 메인몸체(51) 방향으로 약간 후퇴했다가 복원된다. 조립몸체(55)가 후퇴하는 과정에서 조립몸체(55)는 탄성변형공간(57)을 좁힘과 동시에, 회전공간(58) 방향을 줄이는 방향으로 약간 틀어진다. 이를 통해 충분한 탄성변형량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2와 도 3에 표현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터미널(T)이 삽입된다. 다수개의 터미널(T)이 상기 제1몸체(12)의 터미널안착공간(13)에 삽입되는 것이다. 터미널지지구(50)가 1차조립된 상태에서는 터미널지지구(50)에 있는 관통홀(53')이 제1안착공간(13')과 제2안착공간(13'') 사이를 연결해준다. 따라서 터미널(T)이 제1안착공간(13')-관통홀(53')-제2안착공간(13'')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도 3을 보면 제1안착공간(13')-관통홀(53')-제2안착공간(13'')을 잇는 높이(H1)가 충분히 확보된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터미널지지구(50)가 하우징(10)에 2차조립된다. 2차조립은 터미널지지구(50)를 지지구삽입공간(14) 안쪽으로 더욱 밀어넣어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면 하우징(10)의 걸림돌기(16)는 제1조립홈(A1)에서 빠져나와 제2조립홈(A2)으로 옮겨간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조립몸체(55)는 다시 한번 탄성변형된다. 조립몸체(55)가 상기 탄성변형공간(57)을 좁히면서 후퇴하고, 그 과정에서 조립돌기(56)가 제1돌기(56a)를 타고 넘는 것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7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터미널지지구(50)의 연결부(58')는 후방에 있고, 회전공간(58)은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조립몸체(55)는 상기 연결부(58')로부터 먼 위치의 회전공간(58)을 줄이는 방향으로 틀어진다. 조립몸체(55)가 화살표⑥ 방향으로 틀어지면, 조립몸체(55)의 화살표⑤방향으로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기(56a)도 메인몸체(51) 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돌기(56a)가 걸림돌기(16)와 심한 마찰로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립몸체(55)를 외팔보로 만들거나 탄성변형공간(57)을 더 넓게 하지 않아도, 상기 회전공간(58)의 존재를 통해 조립돌기(56) 주변은 충분한 탄성변형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터미널지지구(50)가 2차조립되면, 터미널지지구(50)의 지지돌부(52)는 터미널(T)의 후방에 위치해서 터미널(T)을 잡아준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4, 도 5 및 도 6에서 볼 수 있다. 도 5를 보면 제1안착공간(13')-관통홀(53')-제2안착공간(13'')을 잇는 높이(H2)가 줄어, 터미널(T)의 후방이 터미널지지구(50)에 가로막힌 상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제1몸체
13: 터미널안착공간 14: 지지구삽입공간
16: 걸림돌기 17: 랜스
20: 제2몸체 50: 터미널지지구
51: 메인몸체 52: 지지돌부
53: 모서리부 53': 관통홀
55: 조립몸체 56: 조립돌기
57: 탄성변형공간 58: 회전공간
58': 연결부 A1: 제1조립홈
A2: 제2조립홈 T: 터미널
13: 터미널안착공간 14: 지지구삽입공간
16: 걸림돌기 17: 랜스
20: 제2몸체 50: 터미널지지구
51: 메인몸체 52: 지지돌부
53: 모서리부 53': 관통홀
55: 조립몸체 56: 조립돌기
57: 탄성변형공간 58: 회전공간
58': 연결부 A1: 제1조립홈
A2: 제2조립홈 T: 터미널
Claims (13)
- 터미널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고 커넥터에 걸려 고정되는 조립돌기가 돌출되는 조립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돌기의 후방에 해당하는 조립몸체 및 메인몸체 사이에는 탄성변형공간이 이격되고,
상기 조립몸체와 상기 메인몸체 사이에는 상기 조립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게 하는 회전공간이 상기 탄성변형공간과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터미널지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공간의 한쪽 끝에는 상기 조립몸체와 메인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조립몸체는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위치의 회전공간을 줄이는 방향으로 틀어지면서 상기 조립돌기를 메인몸체 방향으로 후퇴시키는 터미널지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립몸체의 좌우중심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구비된 연결부가 상기 조립몸체와 메인몸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부분에 형성되는 터미널지지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 및 상기 탄성변형공간은 조립몸체의 상부에 있고, 상기 연결부 및 회전공간은 상기 조립몸체의 하부에 있는 터미널지지구.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제1돌기와의 사이에 제1조립홈을 형성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기의 상부에는 제2조립홈이 형성되는 터미널지지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와 조립몸체의 상부는 서로 연결되고, 상기 메인몸체와 조립몸체가 연결된 모서리부와 상기 제1돌기 사이에 상기 제2조립홈이 형성되는 터미널지지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를 구성하는 제1돌기 또는 제2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터미널지지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공간은 터미널의 삽입방향을 따라 개방된 형태인 터미널지지구.
- 내부에 다수개의 터미널안착공간이 연장되고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직교한 방향으로 지지구삽입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터미널과,
상기 지지구삽입공간을 통해 하우징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의 한쪽을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걸려 조립되게 하는 조립돌기가 구비된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지지구에는 상기 조립돌기의 후방에 해당하는 위치에 회전공간이 있어서 상기 터미널지지구가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립돌기 주변이 틀어지면서 조립돌기를 후퇴시키는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한 커넥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지지구는
상기 터미널안착공간에 연결되어 터미널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되는 메인몸체와,
상기 메인몸체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구비되고 하우징에 걸려 고정되는 조립돌기가 돌출되는 조립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돌기의 후방에 해당하는 조립몸체 및 메인몸체 사이에는 탄성변형공간이 이격되며,
상기 조립몸체와 상기 메인몸체 사이에는 상기 조립몸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메인몸체 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게 하는 회전공간이 상기 탄성변형공간과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한 커넥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조립몸체의 좌우중심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구비된 연결부가 상기 조립몸체와 메인몸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회전공간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이격된 부분에 형성되는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한 커넥터.
-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조립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돌기와,
상기 제1돌기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하고 제1돌기와의 사이에 제1조립홈을 형성하는 제2돌기를 포함하고,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상부에는 제2조립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조립홈 또는 제2조립홈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지지구를 하우징에 1차조립 및 2차조립시키는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한 커넥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기를 구성하는 제1돌기 또는 제2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면은 곡면 또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터미널지지구를 포함한 커넥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0115A KR102375241B1 (ko) | 2017-08-30 | 2017-08-30 |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0115A KR102375241B1 (ko) | 2017-08-30 | 2017-08-30 |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3816A true KR20190023816A (ko) | 2019-03-08 |
KR102375241B1 KR102375241B1 (ko) | 2022-03-16 |
Family
ID=65800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0115A KR102375241B1 (ko) | 2017-08-30 | 2017-08-30 |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7524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0747B1 (ko) * | 2019-11-28 | 2021-02-02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6352A (ja) * | 1998-07-21 | 2000-02-0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2001332335A (ja) * | 2000-05-24 | 2001-11-30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ハウジング |
KR20090051643A (ko) * | 2007-11-19 | 2009-05-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
KR20100034384A (ko) * | 2008-09-24 | 2010-04-0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스페이서가 구비된 커넥터 |
KR20110109444A (ko) * | 2010-03-31 | 2011-10-0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
-
2017
- 2017-08-30 KR KR1020170110115A patent/KR10237524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36352A (ja) * | 1998-07-21 | 2000-02-02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JP2001332335A (ja) * | 2000-05-24 | 2001-11-30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ハウジング |
KR20090051643A (ko) * | 2007-11-19 | 2009-05-22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
KR20100034384A (ko) * | 2008-09-24 | 2010-04-01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스페이서가 구비된 커넥터 |
KR20110109444A (ko) * | 2010-03-31 | 2011-10-06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0747B1 (ko) * | 2019-11-28 | 2021-02-02 |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75241B1 (ko) | 2022-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69233B2 (en) | Female terminal having an outwardly bulging lance locking portion on a folded U-shaped plate | |
JP6419210B2 (ja) | コネクタ嵌合保証 | |
KR101387278B1 (ko) | 커넥터 | |
KR101568886B1 (ko) |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 |
CN101981756B (zh) | 具有小型截面的端子定位确保构件 | |
WO2018168368A1 (ja) | 端子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 | |
US9099812B2 (en) | Connector | |
JP2007012352A (ja) | コネクタ | |
JP4544065B2 (ja) | コネクタ | |
KR20190023816A (ko) | 터미널지지구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 |
US20080293286A1 (en) | Cable connector and circuit board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same | |
CN111224256B (zh) | 连接器 | |
US8147279B1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overstress protection | |
US9692177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ng member thereof | |
JP5027560B2 (ja) | コネクタ | |
CN110311261B (zh) | 电连接器和电连接器组合 | |
CN210637982U (zh) | 接插件的限位结构 | |
US9362651B2 (en) | Locking structure of terminal fitting and bulb socket | |
JP6103372B2 (ja) | コネクタ | |
CN206931746U (zh) | 一种新型汽车电器连接器 | |
US20130295791A1 (en) | Connector | |
KR20190109797A (ko) | 커넥터 결합구조 | |
JP7202535B2 (ja) | コネクタ | |
CN220190004U (zh) | 一种线端连接器 | |
CN221347551U (zh) | 连接组件及具有其的led显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