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713B1 -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713B1
KR102584713B1 KR1020210124041A KR20210124041A KR102584713B1 KR 102584713 B1 KR102584713 B1 KR 102584713B1 KR 1020210124041 A KR1020210124041 A KR 1020210124041A KR 20210124041 A KR20210124041 A KR 20210124041A KR 102584713 B1 KR102584713 B1 KR 102584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king
rear wall
terminal position
position guaran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0646A (ko
Inventor
빈옥인
조권일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713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터미널의 완전 체결 여부 검지가 용이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터미널을 수용하는 커넥터로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둘레부와, 둘레부의 후단 상에 터미널이 관통되는 후벽부 홀을 포함하는 후벽부와, 후벽부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후벽부 홀과 연통되는 터미널 안착 공간을 포함하는 터미널 안착부와, 후벽부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터미널 안착 공간 상에 배치되는 랜스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로서, 터미널이 관통되는 판부 홀을 포함하며 후벽부와 대향되는 판부와, 판부로부터 후벽부를 향해 연장되며 랜스부 상에 배치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되, 랜스부는, 후벽부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의 암부와, 암부로부터 로킹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로킹 돌기를 포함하고, 로킹부는, 랜스부와 대향되는 로킹부의 표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로킹 홈을 포함하고,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 랜스부는 제1 로킹 돌기가 로킹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가동되고,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로킹 돌기는 랜스부와 대향되는 로킹부의 표면에 의해 지지된다.

Description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CONNECTOR COMPRISING TERMINAL POSITION ASSURANCE}
본 발명은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는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진 하우징을 구비하여 그 내부에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진 터미널을 수용할 수 있다.
커넥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과정 또는 기타 외력에 의해 힘을 받을 수 있는데, 이로부터 터미널의 위치를 보장하기 위해 터미널 위치 보장기(TPA; Terminal Position Assurance)가 이용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하우징에 로킹(locking)되어 터미널을 지지함으로써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터미널이 하우징에 삽입되기 전에 하우징에 삽입되어 가고정될 수 있고(1차 로킹), 터미널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가동되어 터미널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2차 로킹).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터미널의 완전 체결 여부 검지가 용이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터미널을 수용하는 커넥터로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둘레부와, 둘레부의 후단 상에 터미널이 관통되는 후벽부 홀을 포함하는 후벽부와, 후벽부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후벽부 홀과 연통되는 터미널 안착 공간을 포함하는 터미널 안착부와, 후벽부로부터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터미널 안착 공간 상에 배치되는 랜스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로서, 터미널이 관통되는 판부 홀을 포함하며 후벽부와 대향되는 판부와, 판부로부터 후벽부를 향해 연장되며 랜스부 상에 배치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되, 랜스부는, 후벽부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의 암부와, 암부로부터 로킹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로킹 돌기를 포함하고, 로킹부는, 랜스부와 대향되는 로킹부의 표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로킹 홈을 포함하고,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 랜스부는 제1 로킹 돌기가 로킹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가동되고,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로킹 돌기는 랜스부와 대향되는 로킹부의 표면에 의해 지지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이 터미널 안착 공간 내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랜스부는 터미널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동되어 제1 로킹 돌기가 로킹 홈에 삽입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돌기가 로킹 홈에 삽입되면,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이 터미널 안착 공간 내에 완전히 안착되면, 제1 로킹 돌기는 로킹 홈에 삽입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랜스부는 암부로부터 터미널 안착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이 터미널 안착 공간 내에 완전히 안착되면, 고정 돌기는 터미널과 체결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로킹 돌기가 랜스부와 대향되는 로킹부의 표면에 의해 지지될 때,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제3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 하우징과 체결 가능한 제2 로킹 돌기를 더 포함하고,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하우징과 제2 로킹 돌기 간의 체결이 해제되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제3 방향으로 이동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판부로부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조작부는, 판부와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서브 조작부와, 판부 및 제1 서브 조작부와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서브 조작부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부는, 서로 이격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서브 로킹부 및 제2 서브 로킹부를 포함하고, 터미널 안착부는 제1 서브 로킹부와 제2 서브 로킹부 사이에 개재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둘레부로부터 이격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랜스부(104) 및 로킹부(123)를 구비함으로써 터미널(180)이 완전히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180)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랜스부(104)는 로킹부(123)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이동 가능하지 않으므로, 터미널(180)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았음이 검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180)이 완전히 삽입되면, 랜스부(104)와 로킹부(123)의 체결은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이동 가능하므로, 터미널(180)이 완전히 체결되었음이 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그 일부를 절단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설명하기 위해 그 일부를 절단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의 가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1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의 가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도 1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의 로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된(connected to)" 또는 "커플링된(coupled to)" 이라고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 또는 커플링된 경우 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직접 연결된(directly connected to)" 또는 "직접 커플링된(directly coupled to)"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그 일부를 절단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설명하기 위해 그 일부를 절단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의 가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절단 사시도들이다. 도 8은 도 1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의 가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제1 방향(X)으로 삽입되는 터미널(180)을 수용하는 하우징(100) 및 하우징(100)에 체결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를 포함한다.
커넥터(10)는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 커넥터(20)는 상대 터미널(280)을 수용하는 상대 하우징(200) 및 상대 하우징(200)에 결합되는 체결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이 상대 하우징(200) 내에 삽입되면, 체결기(210)는 커넥터(10)와 상대 커넥터(20) 간의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되면, 터미널(180)은 상대 터미널(280)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넥터(10) 및 상대 커넥터(20)는 전기적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180)과 접속되는 케이블(190) 및 상대 터미널(280)과 접속되는 상대 케이블(290)이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되어 터미널(180)과 상대 터미널(280)이 접촉함에 따라, 케이블(190)과 상대 케이블(29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커넥터(10)의 전단이란 상대 커넥터(20)와 대향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커넥터(10)의 일부를 의미하고, 커넥터(10)의 후단이란 커넥터(10)의 전단과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되는 커넥터(10)의 일부를 의미한다.
하우징(100)은 둘레부(101), 후벽부(102), 터미널 안착부(103) 및 랜스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부(101), 후벽부(102), 터미널 안착부(103) 및 랜스부(104)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을 형성할 수 있다.
둘레부(101)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100S)을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둘레부(101)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되는 통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둘레부(101) 상에 제1 방수 실(110)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방수 실(110)은 둘레부(101)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어 하우징(100)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긴밀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후벽부(102)는 둘레부(101)의 후단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후벽부(102)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평면(예컨대, Y-Z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후벽부(102)는 터미널(180)이 관통되는 복수의 후벽부 홀(100H)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후벽부 홀(100H)들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미널(180)은 후벽부 홀(100H)들을 통해 하우징(10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후벽부(102) 내에 제2 방수 실(115) 및 제3 방수 실(195)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방수 실(115)은 터미널(180)이 관통하지 않는 후벽부 홀(100H)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제3 방수 실(195)은 터미널(180)이 관통하는 후벽부 홀(100H)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방수 실(115) 및 제3 방수 실(195)은 후벽부 홀(100H)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긴밀한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터미널 안착부(103)는 후벽부(102)로부터 내부 공간(100S)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안착부(103)는 후벽부(102)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미널 안착부(103)는 후벽부 홀(100H)과 연통되는 터미널 안착 공간(103S)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 내로 삽입되는 터미널(180)은 후벽부 홀(100H)을 통과하여 터미널 안착 공간(103S) 내에 안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안착부(103)는 터미널(180)이 관통되는 복수의 안착부 홀(103H)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안착부 홀(103H)들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미널 안착 공간(103S) 내에 안착된 터미널(180)의 일부(예컨대, 터미널(180)의 접촉부(182))는 안착부 홀(103H)들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1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안착부(103)는 복수의 서브 안착부들(예컨대, 제1 내지 제3 서브 안착부(103a~103c))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00)은 복수의 터미널(180)들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서브 안착부(103a~103c)는 예를 들어, 서로 이격되며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제3 방향(Z)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3 서브 안착부(103a~103c)는 각각 복수의 터미널 안착 공간(103S)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제1 내지 제3 서브 안착부(103a~103c)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제2 방향(Y)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터미널 안착 공간(103S)들을 포함할 수 있다.
랜스부(104)는 후벽부(102)로부터 내부 공간(100S)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랜스부(104)는 후벽부(102)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랜스부(104)는 터미널 안착 공간(103S)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터미널 안착 공간(103S)은 랜스부(104)를 향해 열려 있을 수 있다. 후벽부(102)로부터 연장되는 랜스부(104)의 길이는 후벽부(102)로부터 연장되는 터미널 안착부(103)의 길이보다 작은 것만이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랜스부(104)는 암부(104a), 제1 로킹 돌기(104b) 및 고정 돌기(104c)를 포함할 수 있다. 암부(104a)는 후벽부(102)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랜스부(104)는 탄성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제1 로킹 돌기(104b)는 암부(104a)의 표면로부터 후술되는 로킹부(123)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킹 돌기(104b)는 암부(104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고정 돌기(104c)는 암부(104a)의 표면으로부터 터미널 안착 공간(103S)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돌기(104c)는 암부(104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측벽부(121), 판부(122), 로킹부(123) 및 조작부(125, 1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21), 판부(122), 로킹부(123) 및 조작부(125, 127)는 일체로 형성되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를 형성할 수 있다.
판부(122)는 후벽부(102)와 대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부(122)는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평면(예컨대, Y-Z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판형의 구조물일 수 있다. 판부(122)는 터미널(180)이 관통되는 복수의 판부 홀(120H)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판부 홀(120H)들은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터미널 안착 공간(103S) 내에 안착된 터미널(180)의 일부(예컨대, 터미널(180)의 접촉부(182))는 판부 홀(120H)들을 관통하여 내부 공간(100S)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벽부(121)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21)는 판부(12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측벽부(121)는 하우징(10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의 프로파일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하우징(100) 내에 안정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로킹부(123)는 판부(122)로부터 후벽부(10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킹부(123)는 판부(122)로부터 제1 방향(X)과 반대되는 제4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로킹부(123)는 복수의 서브 로킹부들(예컨대, 제1 내지 제4 서브 로킹부(123a~123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서브 로킹부(123a~123d)는 서로 이격되며 제3 방향(Z)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하우징(100) 내에 삽입되면, 서브 로킹부들(예컨대, 제1 내지 제4 서브 로킹부(123a~123d))은 서브 안착부들(예컨대, 제1 내지 제3 서브 안착부(103a~103c))과 교대로 배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때, 제1 서브 안착부(103a)는 제1 서브 로킹부(123a)와 제2 서브 로킹부(123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로킹부(123) 중 적어도 일부는 랜스부(10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로킹부들(예컨대, 제1 내지 제4 서브 로킹부(123a~123d)) 중 적어도 일부(예컨대, 제1 서브 로킹부(123a) 및 제3 서브 로킹부(123c))는 랜스부(104)의 상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랜스부(104) 상에 배치되는 로킹부(123)는 제1 로킹 돌기(104b)에 대응되는 로킹 홈(123T)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홈(123T)은 랜스부(104)와 대향되는 로킹부(123)의 표면(123L; 예컨대, 로킹부(123)의 하면; 이하, 지지면)으로부터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랜스부(104)의 제1 로킹 돌기(104b)는 로킹부(123)의 로킹 홈(123T)에 삽입 가능할 수 있다.
조작부(125, 127)는 판부(122)로부터 상대 커넥터(20)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125, 127)는 판부(122)로부터 제1 방향(X)으로 연장될 수 있다. 조작부(125, 127)는 판부(122)와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일례로, 조작부(125, 127)는 제3 방향(Z)과 교차하는 평면(예컨대, X-Y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서브 조작부(125) 및 제2 방향(Y)과 교차하는 평면(예컨대, X-Z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서브 조작부(12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0S) 내에 배치된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작부(125, 127)를 이용하여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 6은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은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되기 전에(도 6 참고), 랜스부(104)의 제1 로킹 돌기(104b) 및 로킹부(123)의 로킹 홈(123T)은 제3 방향(Z)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랜스부(104)가 탄성적으로 가동되지 않으면, 제1 로킹 돌기(104b)는 로킹 홈(123T) 내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킹 돌기(104b)의 최상면은 로킹부(123)의 최하면(예컨대, 지지면(123L))과 같거나 그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되면(도 7 참고), 지지면(123L)은 랜스부(104)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터미널(18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하여는, 도 9 내지 도 13에 관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되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하우징(100; 예컨대, 둘레부(10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되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하우징(10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각의 판부 홀(120H)들의 폭은 터미널(180)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판부 홀(120H)들의 제2 방향(Y)에서의 폭(W1)은 터미널(180)의 제2 방향(Y)에서의 폭(W2)보다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180)이 하우징(100) 내에 삽입되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를 관통한 때에도,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0S) 내에 배치된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4 방향(-X)으로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4 방향(-X)으로 이동되기 전에, 판부(122)는 터미널 안착부(103)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4 방향(-X)으로 이동됨에 따라, 판부(122)와 터미널 안착부(103)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랜스부(104)가 지지면(123L)에 의해 지지될 때 제4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2 로킹 돌기(120P)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로킹 돌기(120P)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의 표면으로부터 둘레부(101)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4 방향(-X)으로 이동되기 전에, 제2 로킹 돌기(120P)는 하우징(100)과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둘레부(101)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탄성부(105) 및 탄성부(105)로부터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를 향해 돌출되는 체결 돌기(105P)를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4 방향(-X)으로 이동되기 전에, 제2 로킹 돌기(120P)는 체결 돌기(105P)에 체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판부(122)는 터미널 안착부(103)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도 1의 터미널 위치 보장기의 로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상술한 것과 중복되는 부분은 간략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100S) 내에 배치되어 가고정된다(이하, 1차 로킹).
상기 1차 로킹 시에,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2 방향(Y)으로 이동되기 전의 상태로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6에 관하여 상술한 것처럼, 랜스부(104)의 제1 로킹 돌기(104b) 및 로킹부(123)의 로킹 홈(123T)은 제3 방향(Z)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도 9에서, 랜스부(104)는 탄성적으로 가동되지 않으므로, 제1 로킹 돌기(104b)는 로킹 홈(123T)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180)이 삽입된다.
터미널(180)은 후벽부 홀(100H)을 통과하여 터미널 안착 공간(103S)을 향해 진행할 수 있다. 터미널(180)이 터미널 안착 공간(103S) 내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랜스부(104)는 제1 로킹 돌기(104b)가 로킹 홈(123T)에 삽입되도록 탄성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일례로, 터미널(180)은 접촉부(182)의 후단 상에 배치되는 확장부(184)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184)는 접촉부(182) 대비 확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미널(180)이 터미널 안착 공간(103S) 내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랜스부(104)는 확장부(184)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동될 수 있다. 이 때, 제1 로킹 돌기(104b)는 로킹 홈(123T)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180)이 완전히 삽입된다.
예를 들어, 터미널(180)은 터미널 안착 공간(103S) 내에 완전히 안착될 수 있다. 터미널(180)이 완전히 안착되면, 제1 로킹 돌기(104b)는 로킹 홈(123T)으로부터 발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180)이 터미널 안착 공간(103S) 내에 완전히 안착됨에 따라, 탄성적으로 가동된 랜스부(104)는 복원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미널(180)은 확장부(184)의 후단 상에 배치되는 오목부(180T)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부(180T)는 확장부(184) 대비 오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180T)는 랜스부(104)의 고정 돌기(104c)에 대응될 수 있다. 터미널(180)이 터미널 안착 공간(103S) 내에 완전히 안착되면, 랜스부(104)의 고정 돌기(104c)는 터미널(180)의 오목부(180T)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랜스부(104)는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터미널(180)과 체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된다(이하, 2차 로킹).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됨에 따라, 랜스부(104)의 제1 로킹 돌기(104b) 및 로킹부(123)의 로킹 홈(123T)은 제3 방향(Z)을 따라 배열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2차 로킹 시에, 랜스부(104)의 제1 로킹 돌기(104b)는 로킹부(123)의 로킹 홈(123T)에 삽입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랜스부(104)는 로킹부(1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킹 돌기(104b)의 상면은 지지면(123L)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터미널(18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는 랜스부(104) 및 로킹부(123)를 구비함으로써 터미널(180)이 완전히 체결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관하여 상술한 것처럼,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180)이 완전히 삽입되지 않으면, 제1 로킹 돌기(104b)는 로킹 홈(123T)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지 않으므로, 터미널(180)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았음이 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관하여 상술한 것처럼,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180)이 완전히 삽입되면, 제1 로킹 돌기(104b)는 로킹 홈(123T)으로부터 발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12에 관하여 상술한 것처럼,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터미널(180)이 완전히 체결되었음이 검지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가 제4 방향(-X)으로 이동된다(이하, 3차 로킹).
예를 들어, 커넥터(10)가 상대 커넥터(20)와 결합될 때, 상대 하우징(200)은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를 제4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3차 로킹은 제2 로킹 돌기(120P)와 체결 돌기(105P) 간의 체결이 해제되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를 향해 진입하는 상대 하우징(200)은 탄성부(105)를 탄성적으로 가동시킴으로써 제2 로킹 돌기(120P)와 체결 돌기(105P) 간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미널 위치 보장기(120)는 제4 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커넥터 100: 하우징
100S: 내부 공간 100H: 후벽부 홀
101: 둘레부 102: 후벽부
103: 터미널 안착부 104: 랜스부
104a: 암부 104b: 제1 로킹 돌기
104c: 고정 돌기 110: 제1 방수 실
120: 터미널 위치 보장기 120H: 판부 홀
120P: 제2 로킹 돌기 121: 측벽부
122: 판부 123: 로킹부
123L: 지지면 123T: 로킹 홈
125, 127: 조작부 180: 터미널
180T: 오목부 182: 접촉부
184: 확장부 188: 연결부
190: 케이블 192: 도전체
200: 상대 하우징 210: 체결기
280: 상대 터미널 290: 상대 케이블

Claims (12)

  1. 제1 방향으로 삽입되는 터미널을 수용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공간을 정의하는 둘레부와, 상기 둘레부의 후단 상에 상기 터미널이 관통되는 후벽부 홀을 포함하는 후벽부와, 상기 후벽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후벽부 홀과 연통되는 터미널 안착 공간을 포함하는 터미널 안착부와, 상기 후벽부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터미널 안착 공간 상에 배치되는 랜스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공간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터미널 위치 보장기로서, 상기 터미널이 관통되는 판부 홀을 포함하며 상기 후벽부와 대향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후벽부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랜스부 상에 배치되는 로킹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되,
    상기 랜스부는, 상기 후벽부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는 외팔보형의 암부와, 상기 암부로부터 상기 로킹부를 향해 돌출되는 제1 로킹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랜스부와 대향되는 상기 로킹부의 표면으로부터 인입되는 로킹 홈을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랜스부는 상기 제1 로킹 돌기가 상기 로킹 홈에 삽입 가능하도록 탄성적으로 가동되며, 상기 판부는 상기 터미널 안착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이격되고,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1 로킹 돌기는 상기 랜스부와 대향되는 상기 로킹부의 표면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1 로킹 돌기가 상기 랜스부와 대향되는 상기 로킹부의 표면에 의해 지지될 때,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되는 제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판부와 상기 터미널 안착부가 이격되는 거리를 감소시키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안착 공간 내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부는 상기 터미널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동되어 상기 제1 로킹 돌기가 상기 로킹 홈에 삽입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킹 돌기가 상기 로킹 홈에 삽입되면,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안착 공간 내에 완전히 안착되면, 상기 제1 로킹 돌기는 상기 로킹 홈에 삽입되지 않는, 커넥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랜스부는 상기 암부로부터 상기 터미널 안착 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 돌기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상기 터미널 안착 공간 내에 완전히 안착되면, 상기 고정 돌기는 상기 터미널과 체결되는, 커넥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터미널이 상기 판부 홀을 관통하여 상기 판부로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증가시키는, 커넥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하우징과 체결 가능한 제2 로킹 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될 때,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2 로킹 돌기 간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넥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상기 판부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판부와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1 서브 조작부와, 상기 판부 및 상기 제1 서브 조작부와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서브 조작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교차하는 제3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서브 로킹부 및 제2 서브 로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안착부는 상기 제1 서브 로킹부와 상기 제2 서브 로킹부 사이에 개재되는, 커넥터.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터미널 위치 보장기는 상기 둘레부로부터 이격되는, 커넥터.
KR1020210124041A 2021-09-16 2021-09-16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KR102584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041A KR102584713B1 (ko) 2021-09-16 2021-09-16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4041A KR102584713B1 (ko) 2021-09-16 2021-09-16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646A KR20230040646A (ko) 2023-03-23
KR102584713B1 true KR102584713B1 (ko) 2023-10-05

Family

ID=85799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4041A KR102584713B1 (ko) 2021-09-16 2021-09-16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7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548A (ja) * 2006-05-26 2007-12-06 Yazaki Corp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9183B2 (ja) * 1995-04-17 2000-09-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端子半挿入検知機構
JP3529019B2 (ja) * 1997-10-24 2004-05-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ホルダ付コネクタ
EP1548892B1 (en) * 2002-09-25 2012-04-04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7548A (ja) * 2006-05-26 2007-12-06 Yazaki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646A (ko) 202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9628B2 (ja) コネクタ
US5743760A (en) Connector engagement detecting device
US7214085B2 (en) Connector
EP1369965B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EP3550674B1 (en) Electrical connector
JPH0822873A (ja) 短絡型電気コネクタ
KR20020083142A (ko) 잠금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0092486A (ko) 커넥터
US11942715B2 (e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and corresponding connector assembly
CN110277678A (zh) 连接器
JPH06325814A (ja) コネクタ
US20080153339A1 (en) Electric junction box for a vehicle
KR102584713B1 (ko)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US573314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flexible retaining piece
US5588872A (en) Connector with engagement checking structure
JPH0419974A (ja) ダブルロック型電気コネクタ
CN107528143B (zh) 用于与基板接触的端子、使用了该端子的连接器以及具有该连接器的连接器装置
JP2008152990A (ja)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JP6853634B2 (ja) ロック解除機構、及び、このロック解除機構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4960324B2 (ja) 嵌合型コネクタ
JP4975708B2 (ja) 嵌合型コネクタ
CN210430282U (zh) 推拉式连接器及插头
KR102210747B1 (ko) 터미널 위치 보장기를 포함하는 커넥터
JPH04136869U (ja) 圧接コネクタ
JP2021018910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