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48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486A
KR20040092486A KR1020040028076A KR20040028076A KR20040092486A KR 20040092486 A KR20040092486 A KR 20040092486A KR 1020040028076 A KR1020040028076 A KR 1020040028076A KR 20040028076 A KR20040028076 A KR 20040028076A KR 20040092486 A KR20040092486 A KR 20040092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female connector
terminal
fitting
lock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5638B1 (ko
Inventor
호리다카유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2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5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27Manipulating filters or filter elements, e.g. handles or extrac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58Other waste gases from painting equipments or paint drying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내부에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를 갖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한다.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끼워 맞춰질 때 메일 커넥터 하우징 내에 배치된 단락 단자와 접촉 상태가 되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와,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의 맞물림부를 갖는 로킹 부재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 요소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는 별도로 형성된다. 수지로 제작된 로킹 부재는 금속으로 제작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에 고정된다. 로킹 부재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와 함께 변위된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발명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검출하는 단자를 구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 특허 JP-A-2001-196134호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구비된 한 쌍의 단락 단자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구비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에 의해서 검출되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에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완전히 끼워 맞춰지고 나면, 단락 단자들은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와 접촉 상태가 되어 폐회로를 형성하고, 그에 의해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에의 끼워맞춤이 검출된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맞물림부와 맞물려지기 위한 맞물림부를 갖는 로킹 암(locking arm)이 형성된다. 로킹 암은 그 후방 단부가 지지되며 그 전방 단부가 자유단이 되는 외팔보(cantilever)로서 형성된다. 여기서, "후방 단부(rear end)"는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로킹 암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근접하게 되는 방향(이하, 이 방향을 "끼워맞춤 방향"이라 한다)에 반대되는 로킹 암의 단부이며, "전방 단부(front end)"는 끼워맞춤 방향의 로킹 암의 단부이다. 로킹 암은 전방 단부 부근에서 수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로킹 암의 전방 단부 부근은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일부분에 의해 눌려져서, 로킹 암의 후방 단부가 지지점(fulcrum)으로 기능하는 상태로 아래로 변위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서로 더 근접해짐에 따라, 로킹 암의 부분은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맞물림부와 맞물려지도록 위쪽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맞물림으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이 달성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는 절곡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는 그 절곡부가 후방부에 있도록 로킹 암 아래쪽의 홈 내에 배치된다. 절곡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의 상부는, 로킹 암과 마찬가지로 후방 단부가 지지되며 전방 단부가 자유단이 되는 외팔보의 탄성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탄성부는 로킹 암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로킹 암이 위쪽으로 복귀할 때 동시에, 상기 탄성부도 위쪽으로 복귀하여 메일 커넥터 하우징 내의 단락 단자와 접촉 상태가 된다.
로킹 암의 전방 단부 부근이 아래쪽으로 쉽게 변위되면, 예를 들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구비된 피메일 단자의 전기 와이어가 당겨짐으로써 피메일 커넥터하우징이 끼워맞춤 방향과 반대의 힘을 받을 때 끼워맞춤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서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확실하게 유지시키기 위해서,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로킹 암의 전방 단부 부근이 아래쪽으로 쉽게 변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아래쪽으로 쉽게 변위되지 않는 로킹 암의 전방 단부 부근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끼워맞춤 동작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끼워맞춤 유지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구조를 갖는 커넥터에서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된 로킹 암의 강성도 또는 강도의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향상을 쉽게 실현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끼워맞춤 동작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끼워맞춤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검출하는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피메일(female) 커넥터 하우징이 메일(male) 커넥터 하우징에 아직 끼워 맞춰지지 않은 상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
도 2a는 도 1의 커넥터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전방 사시도.
도 2b는 도 1의 커넥터의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후방 경사 사시도.
도 3은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를 설치하려는 상태의, 도 2b의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4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와 로킹 부재가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태의, 도 2b의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설치되는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와 로킹 부재가 조립된 상태의,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의 전체적인 사시도.
도 6은 끼워맞춤 동작의 제1단계에 있어서의 도 1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
도 7은 끼워맞춤 동작의 제2단계에 있어서의 도 1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
도 8은 끼워맞춤 동작이 완료된 후의 도 1의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1 : 메일 커넥터 하우징
24, 44 : 단락 단자 40 : 피메일 단자 수납부
41 :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50 : 검출기 부재 수납부
71 :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 81 : 로킹 부재
90 :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끼워 맞춰질 수 있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에 구비되는 단락 단자와,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를 포함한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변위되고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끼워 맞춰질 때 단락 단자와 접촉 상태가 되어 폐회로를 형성한다. 커넥터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 및 피메일 커넥터 양자와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된 로킹 부재를 더 포함한다. 로킹 부재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에 고정되고, 메일 커넥터 하우징 및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다. 로킹 부재는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와 함께 변위된다. 로킹 부재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완전히 끼워 맞춰질 때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와 맞물려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변위되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와 맞물려서 끼워맞춤을 실현하는 로킹 부재는 어느 하우징과도 일체로 형성되지 않는다. 로킹 부재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양자와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며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에 고정된다. 따라서, 로킹 부재가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어느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끼워맞춤 동작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끼워맞춤 유지력의 향상을 쉽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적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되어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온전히 드러날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2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를 내부에 구비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끼워맞춤 과정에서 메일 커넥터 하우징(21) 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 또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에 접근하도록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끼워맞춤 방향(fitting direction)"이라 지칭한다. 즉, 도 1에서 끼워맞춤 방향은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우측 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좌측이다. 또, 끼워맞춤 방향은 "전방"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끼워맞춤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은 "후방"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상부측 및 하부측은 각각 "상부(upper)" 및 "하부(lower)"로 지칭된다. 도 1의 평면에 수직인 평면의 상부측 및 하부측은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 지칭된다.
먼저,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여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구성이 설명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은 수지로 만들어진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은 끼워맞춤 방향에 수직인 저면벽(28)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용 후드(22)와, 검출기 부재용 후드(25)를 포함한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용 후드(22)와 검출기 부재용 후드(25)는 전방 쪽으로 돌출하도록 저면벽(28)에 형성된다.
저면벽(28)의 하부 절반 영역에는, 23개의 관통 구멍(28a)이 형성되며 이들 관통 구멍 각각은 메일 단자(23)가 관통하게 된다. 관통 구멍(28a)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칸막이(26)가 배치되는 영역을 회피하도록 수직으로는 3열 수평으로는 8열로 배열된다. 각 관통 구멍(28a)은 대체로 정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각 메일 단자(23)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각 메일 단자(23)는 각 관통 구멍(28a)의 정사각형 횡단면보다 약간 작은 대체로 정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각 메일 단자(23)는 전체적으로 거의 L 형상을 이룬다. 각 메일 단자(23)의 일단부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용 후드(22)의 내부에 배치된다. 각 메일 단자(23)는 끼워맞춤 방향에 반대되게 이 일단부로부터 뻗어서 상응하는 관통 구멍(28a)을 관통한다. 각 메일 단자(23)는 저면벽(28)의 뒤에서 아래방향으로 절곡된다. 각 메일 단자(23)의 타단부는 도시되지 않는 기판에 고착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용 후드(22)는 저면벽(28)에 수직인 하부벽(22a)과, 하부벽(22a)의 양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있는 2개의 측벽(22b)으로 구성된다. 하부벽(22a)과 측벽(22b)으로 둘러싸인 공간은 그 내부에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을 수용한다. 측벽(22b)의 상단부 부근의 각 측벽(22b) 부분은 검출기 부재용 후드(25)에 대향되는 부분으로서, 측벽(22b)의 다른 부분보다 더 두껍게 되어 있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용 후드(22)의 하부벽(22a)의 수평방향 거의 중앙에는 칸막이(26)가 하부벽(22a)으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있도록 제공된다. 칸막이(26)가 배치되는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일 단자(23)를 삽입하기 위한 하나의 관통 구멍(28a)의 위치에 해당한다.
관통 구멍(28a)이 형성된 저면벽(28) 영역의 상부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도록격리판(隔離板)(29)이 구비된다. 각 격리판(29)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메일 단자(43)와 단락 단자(44)를 서로 격리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된 격리판(29)의 길이는 끼워맞춤 방향으로의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용 후드(22)의 길이의 대략 1/2이 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격리판(29)은 장방형의 대체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도 1에는 하나의 격리판(29)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도 1에 수직하게 일렬로 4개의 격리판(29)이 배열된다.
검출기 부재용 후드(25)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용 후드(22)의 하부벽(22a)에 평행한 상부벽(25a)과, 상부벽(25a)의 양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는 2개의 측벽(25b)으로 구성된다. 각 측벽(25b)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용 후드(22)의 상응하는 측벽(22b)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다. 각 측벽 쌍(25b와 22b) 사이의 공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상부에 있는 측벽(51a)(도 2b 참조)이 수용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25a)의 하부면의 중앙 부근에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뻗어있는 홈(27)이 형성된다. 홈(27)의 전방에는 돌기부(30)가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30)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며 후방으로 경사진 면을 갖는다. 돌기부(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킹 부재(81)의 돌출부(맞물림부)(84)와 맞물려질 수 있다.
상부벽(25a)의 하부면에 근접하게, 단락 단자(24)가 각각 관통하게 되는 관통 구멍(28b)이 홈(27)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각 관통 구멍(28b)은 끼워맞춤 방향에 반대로 뻗어 있으며, 계속하여 저면벽(28)을 관통하여 저면벽(28)의 배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각 관통 구멍(28b)은 장방형의 대체로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도 1에는 하나의 관통 구멍(28b)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2개의 관통 구멍(28b)이 도 1에 수직하게 배열된다.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우측 및 좌측 관통 구멍(28b)이 제공된다.
각 단락 단자(24)는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각 단락 단자(24)는 각 관통 구멍(28b)의 횡단면보다 약간 작은 대체로 정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락 단자(24)는 각 메일 단자(23)와 유사하게, 전체적으로 거의 L 형상을 이룬다. 각 단락 단자(24)의 일단부는 상응하는 관통 구멍(28b) 내에서 끼워맞춤 방향으로 뻗어있다. 각 단락 단자(24)는 저면벽(28)의 뒤에서 아래쪽으로 절곡된다. 각 단락 단자(24)의 타단부는 각 메일 단자(23)와 유사하게, 도시되지 않은 기판에 고착된다. 그에 따라 각 단락 단자(24)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단락 단자(24)가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와 접촉 상태가 될 때 폐회로가 형성되도록 도시되지 않은 전기 회로에 접속된다. 각 단락 단자(24)의 일단부는 상부벽(25a)의 전방 단부 부근에 뻗어있으며, 이곳에서 단락 단자(24)의 일단부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25a)의 전방 단부의 하부면이 부분적으로 절취되어 있기 때문에 노출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벽(25a)의 전방 단부의 상부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연결 부재(55)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25x)가 형성되어 수평으로 뻗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구성이 설명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21)과 마찬가지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도 수지로 만들어진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은 대체로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 피메일 단자 수납부(40)와, 피메일 단자 수납부(40) 상에 구비된 검출기 부재 수납부(50)로 구성된다.
피메일 단자 수납부(40)에는, 도 1에서 긴 사선과 두 짧은 사선으로 교호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메일 단자(43)를 수납하기 위한 23개의 공동(cavity)(46)이 형성된다. 공동(46)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각각의 관통 구멍(28a)에 대응된다. 각 공동(46)은 끼워맞춤 방향으로 가느다란 직사각형 평행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공동(46)은 피메일 단자 수납부(40)의 전면 및 배면 양측에서 개구되어 있다. 각 공동(46)의 전방 개구는 해당 메일 단자(23)가 삽입되는 메일 단자 삽입 포트(46b)로 만들어진다. 각 공동(46)의 후방 개구는 해당 피메일 단자(43)가 삽입되는 피메일 단자 삽입 포트(46a)로서 기능한다. 각 메일 단자 삽입 포트(46b)는 각 피메일 단자 삽입 포트(46a)의 개구 면적보다 더 작은 개구 면적을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단자 수납부(40)의 하부면에는 리테이너(60)가 삽입되는 리테이너 삽입 포트(48)가 형성된다. 리테이너 삽입부는 수직으로 배열된 공동(46)의 길이의 대체로 중앙 부분을 통해서, 피메일 단자 수납부(40)의 하부면에 있는 리테이너 삽입 포트(48)로부터 위쪽으로 뻗어있다. 리테이너(60)가 리테이너 삽입부에 삽입될 때, 리테이너(60)에 구비된 돌기부(60a)는 피메일 단자(43)의 길이의 대체로 중앙에서 각각의 피메일 단자(43)의 하부면에 구비된 노치(43a)와 맞물림으로써, 피메일 단자(43)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단락 단자(44)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49)이, 피메일 단자 수납부(40)의 최상부 공동(46)의 바로 위의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전방부에 제공된다. 이 공간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전면에서 개구되어 있다.
각 단락 단자(44)는 절곡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도 1에는 하나의 단락 단자(44)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한 쌍의 좌측 및 우측 단락 단자(44)가 구비된다. 각각의 절곡된 단락 단자(44)의 하부는, 전방 단부의 절곡부는 지지되며 후방 단부는 자유단이 되는 외팔보 구조의 수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부(44a)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 1의 상태에서, 한 쌍의 탄성부(44a)의 원위 단부(distal end) 부근은 공간(49)의 바로 아래에서 한 쌍의 우측 및 좌측 피메일 단자(43)의 상부면과 접촉함으로써 피메일 단자(43)를 상호 접속한다. 나중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각 격리판(29)이 공간(49)에 삽입되어 단락 단자(44)의 탄성부(44a)와 해당 쌍의 피메일 단자(43) 사이에 개재될 때, 탄성부(44a)와 피메일 단자(43)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절연된다.
도 2b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검출기 부재 수납부(50)는, 피메일 단자 수납부(40)로부터 수직으로 뻗어있으며 끼워맞춤 방향으로 수평으로 뻗어있는 2개의 측벽(51a)과, 서로 대향되게 측벽(51a)의 후방부에서(도 2b 및 도 3의 사선 좌측 부분에서) 각각의 측벽(51a)의 상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59)와, 측벽(51a)의 상단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돌기부(59)의 전면으로부터 짧은 거리 떨어진 위치에 제공된 상호연결부(55) 등으로 구성된다. 측벽(51a)과, 상호연결부(55), 및 돌기부(59)는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가 수납되는 공간(51)을 구획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49) 위쪽의 검출기 부재 수납부(50)의 전방 부분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절곡부(77)를 수용하는 검출기 단자 후드(52)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52)는 그 배면이 개구된 중공의 박스 형상을 이룬다. 후드(52)의 내측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절곡부(77)의 곡면과 대응되도록 곡면을 이룬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51)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베이스(72)의 양측 돌출부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우측 및 좌측 검출기 단자 지지부(53)가 구비되며, 도 3에는 하나의 검출기 단자 지지부(53)만이 도시되어 있다. 각 지지부(53)는 횡단면이 L 형상을 이룬다. 지지부(53)는 각각의 측벽(51a)의 하부의 내측면을 따라서 배치된다. 이 한 쌍의 지지부(53)가 베이스(72)의 양측 돌출부를 지지하기 때문에, 베이스(72)는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에 적절하게 조립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 내에 삽입되는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의 구성이 설명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와 로킹 부재(81)로 구성되며, 이들은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로 조립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는 절곡된 금속판으로 만들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는 대체로 직사각형 평면인 베이스(72)와, 로킹 부재 지지부(74), 및 한 쌍의 우측 및 좌측 탄성부(73)로 구성된다. 로킹 부재 지지부(74) 및 탄성부(73)는 절곡부(77)를 통해서 베이스(72)에 연결된다. 로킹 부재 지지부(74) 및 탄성부(73)는 베이스(72)에 대향되도록 베이스(72)의 위쪽에 배치된다.
베이스(72)의 폭 방향의 양측부가 외측으로 돌출해 있다. 각 측부의 단부면에는 돌기부(76)가 형성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 내에 조립될 때, 각 돌기부(7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에 구비된 해당 검출기 단자 지지부(53)의 내측면과 맞물리며, 그래서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는 피메일 검출기 하우징(41)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로킹 부재 지지부(74)는 전방 쪽으로 테이퍼진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평면을 갖는다. 지지부(74)는 절곡부(77)가 지지되며 원위 단부가 자유단이 되는 외팔보 구조를 갖는다. 또한, 지지부(74)의 폭 방향으로 지지부(74)의 양 단부면에는, 베이스(72)에 형성된 돌기부(76)와 유사하게 돌기부(75)가 형성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와 로킹 부재(81)가 조립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킹 부재(81)의 도 4에 점선으로 나타낸 지지부 삽입 구멍(88)의 내측면에 맞물리며, 그래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와 로킹 부재(81)는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각 탄성부(73)는 로킹 부재 지지부(74)와 유사하게, 절곡부(77)가 지지되며 원위 단부가 자유단이 되는 외팔보 구조를 갖는다. 각 탄성부(73)는 수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각 탄성부(73)의 원위 단부 부근은 위쪽으로 돌출하는 반전된 V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나중에 상술하는 바와 같이, V 형상부의 상부면은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대응되는 단락 단자(24)와 접촉하게 된다.
로킹 부재(81)는 수지로 만들어진다. 로킹 부재(81)는 조작자가 잡도록 된 조작부(82)와, 조작부(82)로부터 전방으로 뻗어있는, 즉 도 4와 도 5에서 사선 우측으로 뻗어있는 본체(83)로 구성된다.
조작부(82)의 중앙에는, 로킹 부재(81)의 길이를 따라서 조작부(82)를 관통하도록 조작 구멍(87)이 형성된다. 조작자는 조작 구멍(87) 안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서 로킹 부재(81)를 조작할 수 있다. 조작부(82)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89)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한 쌍의 돌기부(59)와 맞물려지도록 부분적으로 절취된다.
조작부(82)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83)의 홈(86)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의 원위 단부를 수용하는 오목부(82a)가 형성된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오목부(82a)는 탄성부(73)의 원위 단부가 오목부(82a) 내에서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 탄성부(73)의 두께보다 조금 더 크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83)에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각각의탄성부(73)를 수용하기 위한 한 쌍의 우측 및 좌측 홈(86)이 끼워맞춤 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된다. 본체(83)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돌출 띠(protruding stripe)(83a)가 홈(86)의 내부에 형성된다. 또, 돌출 띠(83a)의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돌기부(30)와 맞물려질 수 있는 돌기부(84)가 본체(83)의 길이의 대체로 중앙에 형성된다. 돌기부(84)는 위쪽으로 돌출하며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돌기부(30)와 유사하게 후방 쪽으로 경사진 면을 갖는다. 본체(83) 내에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지지부(74)를 수용하는 지지부 삽입 구멍(88)이, 조작부(81) 반대편의 본체(83)의 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돌기부(30)와 로킹 부재(81)의 돌기부(84)는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돌기부(30과 40) 사이의 맞물림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서로의 경사면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또, 이때의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아래쪽으로의 변위는 급격하지 않고 서서히 이루어진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와 로킹 부재(81)를 조립하기 위해서, 로킹 부재(81)는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에 근접하게 이동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지지부(74)가 로킹 부재(81)의 지지부 삽입 구멍(88) 안으로 삽입되며,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각 탄성부(73)는 로킹 부재(81)의 해당 홈(86) 내에서 슬라이딩된다. 지지부(74)가 삽입 구멍(88)의 최내측부(最內側部)까지 완전히 삽입되면, 각 탄성부(73)의 원위 단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부재(81)의 해당 오목부(82a) 내에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와 로킹 부재(81)를 조립함으로써 얻어진 도 5의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에서, 로킹 부재(8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지지부(74)에 의해서 지지된다. 또, 로킹 부재(81)에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한 쌍의 탄성부(73)는 로킹 부재(81)의 본체(83)에 형성된 한 쌍의 홈(86) 내에서 좌우 양측으로부터 지지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에 설치하기 위해서,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가 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공간(51) 안으로 삽입된다. 먼저,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베이스(72)의 양측 돌출부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검출기 단자 지지부(53) 안으로 삽입된다. 로킹 부재(81)의 조작부(82)를 아래쪽으로 조금 누르면서,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는 끼워맞춤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절곡부(77)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후드(52) 안으로 삽입된다. 로킹 부재(81)의 조작부(82)의 양단부(89)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한 쌍의 돌기부(59)와 맞물려지면, 조작부(82)는 돌기부(59)와 양측벽(51a)의 사이에 배치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 내에 완전히 설치되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상호 연결 부재(55)는 도 1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의 V 형상부와 대향된다. 다시 말하면, 상호 연결 부재(55)는 V 형상부로부터 소정의 수직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탄성부(73)의 V 형상부를 덮는다.
로킹 부재(81)는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에설치되기 전에는 위쪽으로 경사진다. 하지만,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에 설치되고 나면, 조작부(82)가 아래로 눌려지고 조작부(82)의 양단부(89)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돌기부(59)와 맞물려지기 때문에 로킹 부재(8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로킹 부재(81)는 지지부(74)의 탄성력에 의해서 위쪽으로 편향력을 받는다.
이 때,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각 탄성부(73)의 원위 단부는 로킹 부재(81)의 해당 오목부(82a)의 상단부에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끼워맞춤 과정이 설명된다.
먼저, 메일 커넥터 하우징(21)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시킨다. 이 상태에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 또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에 접근하도록 끼워맞춤 방향으로 메일 커넥터 하우징(21) 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그에 따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돌기부(30)의 경사면이 로킹 부재(81)의 돌기부(84)의 경사면과 접촉하게 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21) 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을 끼워맞춤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이동시키면, 돌기부(30)의 경사면은 로킹 부재(81)의 돌기부(84)의 경사면 위를 슬라이딩한다. 그러면 로킹 부재(8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변위되도록 돌기부(30)로부터 하향 압력을 받는다. 이때, 로킹 부재(81)를 지지하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지지부(74)와 각 원위 단부가 로킹 부재(81)에 의해서 유지되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도 또한,절곡부(77)를 지지점으로 하여 지지부(74)와 탄성부(73)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도록 아래쪽으로의 힘을 받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어떠한 부분과도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질 수 있다.
도 6의 상태에서,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각 메일 단자(23)는 상응하는 메일 커넥터 삽입 포트(46b)를 통해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상응하는 공동(46)으로 삽입되어, 상응하는 피메일 단자(43)에 접속되게 된다. 메일 커넥터 하우징(21) 내에 형성된 격리판(29)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에 있는 공간(49) 안으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격리판(29)은 단락 단자(44)의 탄성부(44a)의 위치까지는 아직 도달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21) 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을 끼워맞춤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이동시킨다. 그러면 격리판(29)은 단락 단자(44)의 탄성부(44a)와 접촉하게 되며, 탄성부(44a)와 해당 메일 단자(43) 사이에 개재된다. 각 탄성부(44a)는 그에 따라 해당 메일 단자(43)로부터 절연된다.
도 6과 도 7의 두 상태에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21) 내에서 단락 단자(24)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폐회로도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6과 도 7의 두 상태에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완전한 끼워맞춤이 아직은 검출되지 않는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21) 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을 끼워맞춤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이동시킨다. 그러면 로킹 부재(81)의돌기부(84)는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돌기부(30) 위를 이동하여,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홈(27) 내의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때, 로킹 부재(81)는 하향 압력으로부터 해제되기 때문에 위쪽으로 복귀된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도 또한 로킹 부재(81)를 따라서 위쪽으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각 탄성부(73)의 V 형상부는 상응하는 단락 단자(24)와 접촉하여 폐회로를 형성한다. 그래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완전한 끼워맞춤이 검출된다.
도 8의 상태에서, 각 탄성부(73)의 원위 단부는 도 1, 도 6 및 도 7의 상태와는 달리, 로킹 부재(81)의 해당 오목부(82a)의 하단부에 위치된다. 이는 탄성부(73)의 V 형상부와 접촉하고 있는 해당 단락 단자(24)에 의해서 탄성부(73)가 아래로 눌려지기 때문이다. 이 상태에서, 각 탄성부(73)는 위쪽으로 편향력을 받는 해당 단락 단자(24)와 접촉하게 된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을 메일 커넥터 하우징(21)과의 끼워맞춤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서, 로킹 부재(81)의 조작부(82)가 아래로 눌려지며, 이 상태에서 메일 커넥터 하우징(21) 또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은 끼워맞춤 방향에 반대로 상대적으로 당겨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에서,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변위되고 메일 커넥터 하우징(21)과 맞물려서 끼워맞춤을 실현하는 로킹 부재(81)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일체로 형성되지 않았다. 로킹 부재(81)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며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에고정된다. 그래서, 로킹 부재(81)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일체로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끼워맞춤 동작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끼워맞춤 유지력의 향상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끼워맞춤 유지력이 로킹 부재(81)를 지지하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력에 의존하므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력이 적절하게 조절되면 충분하다.
또, 로킹 부재(81)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지지부(74)의 탄성력에 의해서 위쪽으로 편향력을 받는 상태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를 유지시킨다. 로킹 부재(81)가 탄성부(73)를 유지시키기 때문에, 도킹 부재(81)와 함께 탄성부(73)의 이동이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로킹 부재(81)는 위쪽으로 편향력을 받기 때문에, 로킹 부재(81)의 돌기부(84)와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돌기부(30)의 맞물림이 보다 확실해진다. 이는 끼워맞춤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81)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의 원위 단부를 유지시키는 오목부(82a)를 구비한다. 각 탄성부(73)의 원위 단부는 해당 오목부(82a) 내에서 변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 도 6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21)과 아직 완전히 끼워 맞춰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탄성부(73)의 원위 단부가 해당 오목부(82a)의 상단부에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21)과 완전히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는, 각 탄성부(73)의 원위 단부가 해당 오목부(82a)의 하단부에 있게 된다.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끼워맞춤 과정에서, 끼워맞춤 검출기단자(71)의 탄성부(73)가 단락 단자(24)와 접촉 상태가 되고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경우에도, 로킹 부재(81)는 탄성부(73)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눌려지지 않는다. 로킹 부재(81)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지지부(74)의 탄성력에 의해서 위쪽으로 계속 편향력을 받는다. 그래서 로킹 부재(81)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를 수직으로 변위 가능하도록 유지시키기 때문에, 탄성부(73)와 단락 단자(24) 사이의 접촉력과 끼워맞춤 유지력 사이의 균형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81)에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한 쌍의 탄성부(73)는 로킹 부재(81)의 본체(83)에 형성된 한 쌍의 홈(86) 내에서 좌우 양측으로부터 지지된다. 따라서,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에 설치하는 동작에서, 조작자가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를 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래서, 탄성부(73)는 설치 동작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자가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를 측면으로부터 잡는 경우에도, 조작자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를 결코 건드리지 않게 되며, 그래서 탄성부(7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상호 연결 부재(55)는 V 형상부로부터 소정의 수직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의 V 형상부를 덮는다. 이는 끼워맞춤 동작에서 조작자가 탄성부(73)를 만짐으로써 탄성부(7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킹 부재(81)는 수지로 만들어진다. 이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끼워맞춤 동작에서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의 돌기부(30)가 긁히게 되는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면 로킹 부재가 금속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심각할 수 있다. 또, 로킹 부재(81)의 조작부(82)의 두께는, 조작자가 그 손가락으로 조작부(82)를 누를 때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로킹 부재(81)를 성형함으로써 쉽게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킹 부재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 일체로 형성될 때, 로킹 부재 그 자체는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절곡된다. 그래서, 로킹 부재의 내구성이 문제가 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 부재(81)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과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고 로킹 부재(81) 그 자체가 아니라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가 절곡되므로, 로킹 부재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변형 실시예에서, 끼워맞춤 검출기 부재(90)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이 아니라 메일 커넥터 하우징(21)에 설치될 수도 있다.
로킹 부재(81)는 수지가 아닌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의 상호 연결 부재(55)는 V 형상부로부터 소정의 수직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의 V 형상부를 덮는다. 하지만, 변형예에서는 탄성부(73)의 어떠한 부위도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으로 덮여지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이러한 상호 연결 부재(55)가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한 쌍의 탄성부(73)는 로킹부재(81)의 본체(83)에 형성된 한 쌍의 홈(86) 내에서 좌우 양측으로부터 지지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즉, 이러한 홈(86)이 로킹 부재(81)의 본체(83)에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로킹 부재(81)의 조작부(82)에 어떠한 오목부(82a)도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의 탄성부(73)의 수는 2개에 국한되지 않는다. 한 쌍의 단락 단자(24)와 접촉 상태가 될 수 있다면 한 개의 탄성부(73) 또는 3개 이상의 탄성부(73)가 제공될 수도 있다.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가,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41)이 메일 커넥터 하우징(21)과 완전히 끼워 맞춰질 때 한 쌍의 단락 단자(24)와 접촉 상태가 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면,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71)는 이러한 탄성부(73)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예와 연계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대안적인 형태, 변형 및 변경이 당업자에게 자명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지,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끼워맞춤 동작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끼워맞춤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을 검출하는 단자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끼워 맞추질 수 있는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에 구비되는 단락 단자와,
    도전성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다른 하나의 하우징에 구비된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로서,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변위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끼워 맞춰질 때 상기 단락 단자와 접촉 상태가 되어 폐회로를 형성하는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와,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양자와는 별개의 구성요소로서 형성되는 로킹 부재로서, 상기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에 고정되고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하우징에 배치되며,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상기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와 함께 변위되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완전히 끼워 맞춰질 때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상기 하나의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로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 검출기 단자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의 끼워맞춤 동작 과정에서 그 뻗어있는 방향에 수직하게 변위될 수 있고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끼워 맞춰질 때 상기 단락 단자와 접촉 상태가 되는 탄성부를 가지며,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이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에 완전히 끼워 맞춰질 때 상기 하나의 하우징에 상기 탄성부가 근접하게 되는 방향 쪽으로 편향력을 받는 상태로 상기 탄성부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탄성부의 단부를 유지시키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부의 상기 단부는 상기 오목부 내에서 변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상기 탄성부가 변위될 수 있는 방향에 수직하게 그리고 상기 탄성부가 뻗어있는 방향에 수직하게, 양측면으로부터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피메일 커넥터 하우징 중 상기 다른 하나의 하우징은 상기 탄성부가 변위될 수 있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상기 탄성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부재는 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40028076A 2003-04-25 2004-04-23 커넥터 KR101025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2315A JP2004327321A (ja) 2003-04-25 2003-04-25 コネクタ
JPJP-P-2003-00122315 2003-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486A true KR20040092486A (ko) 2004-11-03
KR101025638B1 KR101025638B1 (ko) 2011-03-30

Family

ID=3295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076A KR101025638B1 (ko) 2003-04-25 2004-04-23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27596B2 (ko)
EP (1) EP1471609B1 (ko)
JP (1) JP2004327321A (ko)
KR (1) KR101025638B1 (ko)
CN (1) CN100466393C (ko)
DE (1) DE602004031798D1 (ko)
TW (1) TWI23793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338B1 (ko) * 2005-08-10 2006-07-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광역 오버랩 스냅인 타입 고정 방식 바디콘트롤모듈
KR101136789B1 (ko) * 2009-02-19 2012-04-1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17750B1 (fr) * 2000-12-11 2003-02-21 Sanofi Synthelabo Composition pharmaceutique de dronedarone pour administration parenterale
TW200616293A (en) * 2004-11-15 2006-05-16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Electric connection socket structure
TW200616286A (en) * 2004-11-15 2006-05-16 Top Yang Technology Entpr Co Electric connection socket structure
JP2006310208A (ja) 2005-05-02 2006-11-09 Jst Mfg Co Ltd 短絡コネクタ
JP4606283B2 (ja) * 2005-09-12 2011-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220557A (ja) * 2006-02-17 2007-08-30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687564B2 (ja) * 2006-05-23 2011-05-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17733B2 (ja) * 2006-06-23 2011-07-0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嵌合検知コネクタ
US7431605B2 (en) * 2006-12-06 2008-10-07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pparatus
JP2008159504A (ja) * 2006-12-26 2008-07-1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N201054405Y (zh) * 2007-05-22 2008-04-3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077542B2 (ja) * 2007-09-06 2012-11-21 日本電気株式会社 電子部品パッケージの位置調整ユニット
US8535094B2 (en) * 2008-04-01 2013-09-17 Ls Cable & System Ltd. Elastic member an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JP5329330B2 (ja) * 2009-07-22 2013-10-3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101063212B1 (ko) * 2009-11-09 2011-09-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의 노이즈 제거용 커넥터
JP5631074B2 (ja) *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510346B2 (ja) * 2011-01-25 2014-06-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534350B2 (ja) * 2011-02-16 2014-06-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8708745B2 (en) 2011-11-07 2014-04-29 Apple Inc. Dual orientation electronic connector
KR101283434B1 (ko) * 2011-11-29 2013-07-08 이진욱 보행 진단을 위한 신발 인솔 센서 및 이와 접촉되는 신발 인솔 기판
CN103513144B (zh) * 2012-06-29 2016-12-21 联想企业解决方案(新加坡)有限公司 电子系统、连接故障报告系统及相关方法
JP2014123466A (ja) * 2012-12-20 2014-07-0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DE102012025107A1 (de) 2012-12-21 2014-06-26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anordnung
JP2015060628A (ja) * 2013-09-17 2015-03-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5099683A (ja) * 2013-11-19 2015-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14015027A1 (de) * 2014-10-09 2016-04-14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 Steckverbinderanordnung
JP6500723B2 (ja) * 2015-03-18 2019-04-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6147833A1 (ja) * 2015-03-18 2016-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041348A (ja) * 2015-08-19 2017-02-2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対およびコネクタ
JP6427145B2 (ja) * 2016-07-29 2018-11-2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9131B2 (ja) * 2016-07-29 2019-04-10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2042B2 (ja) * 2016-09-13 2019-03-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9167219B (zh) * 2017-06-15 2020-11-03 南宁富桂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及具有该连接器的电子装置
JP6935088B2 (ja) * 2017-08-25 2021-09-1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7091749B2 (ja) * 2018-03-20 2022-06-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153586B1 (en) * 2018-04-25 2018-12-1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Reinforced position assurance member
JP7001965B2 (ja) * 2018-12-18 2022-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1649408S (ko) * 2019-06-21 2020-01-14
JP1649406S (ko) 2019-06-21 2020-01-14
JP1649405S (ko) 2019-06-21 2020-01-14
JP1649407S (ko) * 2019-06-21 2020-01-14
EP4002604A4 (en) * 2019-07-18 2023-08-02 Tyco Electronics Japan G.K. INTERCONNECTS
JP7232407B2 (ja) * 2019-08-09 2023-03-03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36034B2 (ja) * 2019-10-23 2023-03-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分岐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0543A (en) * 1992-07-24 1994-12-06 Fujikura Ltd. Electrical connector
US5562486A (en) * 1993-04-21 1996-10-0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 detection connector
US5464353A (en) * 1993-04-21 1995-11-0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ock connector
JP2874151B2 (ja) * 1993-12-28 1999-03-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US5672073A (en) * 1994-06-14 1997-09-30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having engagement detecting device
US5571030A (en) * 1995-01-09 1996-11-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Protected connector assembly having double ended shorting clip
EP0758806B1 (en) * 1995-08-08 2000-01-1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or
JP3264311B2 (ja) * 1995-09-25 2002-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結合検知装置
JP3596702B2 (ja) * 1996-04-08 2004-12-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嵌合検知構造
JP3386343B2 (ja) * 1997-06-30 2003-03-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1196134A (ja) * 2000-01-14 2001-07-19 Sumitomo Wiring Syst Ltd 嵌合検知用コネクタおよび、嵌合検知用端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338B1 (ko) * 2005-08-10 2006-07-1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광역 오버랩 스냅인 타입 고정 방식 바디콘트롤모듈
KR101136789B1 (ko) * 2009-02-19 2012-04-19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1609A3 (en) 2005-08-31
KR101025638B1 (ko) 2011-03-30
CN100466393C (zh) 2009-03-04
TWI237930B (en) 2005-08-11
US6827596B2 (en) 2004-12-07
DE602004031798D1 (de) 2011-04-28
EP1471609B1 (en) 2011-03-16
TW200509475A (en) 2005-03-01
US20040214470A1 (en) 2004-10-28
EP1471609A2 (en) 2004-10-27
JP2004327321A (ja) 2004-11-18
CN1578012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638B1 (ko) 커넥터
US7217158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114998B2 (en)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470153B2 (en) Audio jack with improved contact arrangement
EP0657963B1 (en) Connector with resilient locking member
KR910003908Y1 (ko) 전기 접속기
US6659797B2 (en) Connector with resiliently deflectable lock arm
US7086910B2 (en) Connector
US7014511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985206B2 (ja) コネクタ及びショート端子
JP2001167833A (ja) コネクタ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US20090286428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s each with free guiding end
WO2005099046A1 (ja) コネクタ
KR100615894B1 (ko)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US6589080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US20060141839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US7540762B2 (en) Electrical connector
JP3171064B2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JP2021028876A (ja) コネクタ
US691879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device
KR100881101B1 (ko) 단자 삽입 기능 커넥터
US20210044062A1 (en) Connector
JP2002184511A (ja) コネクタ
CN112952410B (zh) 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