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5894B1 -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894B1
KR100615894B1 KR1019990032020A KR19990032020A KR100615894B1 KR 100615894 B1 KR100615894 B1 KR 100615894B1 KR 1019990032020 A KR1019990032020 A KR 1019990032020A KR 19990032020 A KR19990032020 A KR 19990032020A KR 100615894 B1 KR100615894 B1 KR 10061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tainer
terminal
connector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7090A (ko
Inventor
나가미네아키라
Original Assignee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1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01R13/501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comprising an integral hinge or a frangible pa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하우징(H)의 하우징본체(10)에 수용실(11)을 가로질러 외벽에 개구하는 공동부(空洞部)(15)를 형성하고, 공동부(15)에 리테이너(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맞추고, 리테이너(20)에 공동부(15)에 의해 전후로 분단된 수용실(11)을 연통하는 연통부(21)를 형성하고,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이러한 이동에 의해 리테이너(20)가 단자(T)에 이차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하고, 힌지(hinge)(30)를 통해 리테이너(20)를 하우징본체(10)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A HOUSING FOR A CONNECTOR AND A CONNECTOR PRODUCED THEREWITH}
도 1a 및 도 1b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1a는 리테이너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 1b는 리테이너를 밀어올려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b의 A-A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로서, 도 3a는 리테이너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 3b는 리테이너를 밀어올려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2b의 B-B선을 따른 확대 단면도로서, 도 4a는 리테이너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 4b는 리테이너를 밀어올려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최하단의 수용실 부근을 저면측에서 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제2실시예의 커넥터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도 6a는 리테이너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도 6b는 리테이너를 밀어올려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7a및 도 7b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리테이너장착지그(retainer fitting jig)의 노치부(notch)의 가장 안쪽 부분을 힌지의 굴곡부에 밀어붙여 리테이너를 밀어넣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수용실에 단자를 삽입하고, 단자를 리테이너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는 커넥터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개평 7-65924호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본체(81)에 있어서 상하 2단으로 설치된 수용실(82)에 단자(도시 생략)를 수납하고, 이 단자를 수용실(82)의 내벽면에 설치한 랜스(lance)(도시 생략)에 의해 고정시킴과 아울러, 하우징본체(81)의 상면측 및 하면측에 리테이너(83)를 배치하고, 이것을 띠형상의 힌지(84)를 통해 하우징본체(81)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이 리테이너(83)에 의해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리테이너(83)는 그 좌우측 끝면의 슬릿(85)을 하우징본체(81)의 좌우 양측벽에 돌출되게 설치된 임시고정 돌출부(86)에 끼움으로써 하우징본체(81)에 임시 고정되고, 또한, 리테이너(83)를 그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슬릿(85)을 하우징본체(81)의 좌우 양측벽에 돌출되게 설치된 고정돌출부(87)에 끼움으로써 고정위치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리테이너(83)의 내면에는 상하 각 수용실(82)에 대응하는 돌출부를 나란히 설치하고, 리테이너(83)가 고정위치에 장착되면 상기 돌출부는 수용실(82)의 내벽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88)을 통해 수용실(82)내로 돌출되고, 랜스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단자의 상부에 끼워져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되고 있다.
이 커넥터에서는 단자를 하우징에 이중으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가 하우징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가 랜스에 의해서 고정되는 정규위치까지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리테이너(83)가 단자 상부에 끼워질 수 없으므로, 이것으로 단자의 불완전 장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83)를 힌지(84)를 통해 하우징본체에 일체적으로 설치하였기 때문에, 리테이너(83)가 하우징본체(8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금형수의 절감 및 관리공정수의 절감 등에 의해 저비용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의 조립은 힌지(84)를 강제적으로 U자형상으로 구부리면서 리테이너(83)를 임시고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실시되지만, 그 동안에, 도 7b에 도시된 평판형 리테이너장착지그(89)에 의해, 그 노치부(90)에 있어서의 U자 형상의 가장 안쪽 부분을 힌지(84)의 굴곡부에 밀어붙여 리테이너(83)를 밀어넣음으로써 힌지(84)를 소성변형시켜 탄성복원력을 상실시키고, 이로 인해 리테이너(83)가 힌지(84)의 반발력을 받아 하우징본체 (81)로부터 빠진다는 문제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리테이너(83)를 하우징본체(81)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하기 때문에, 수용실(82)은 상하 2단으로만 설치될 수 있고,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적층할 수 없다. 또한, 하우징의 조립은 힌지(84)를 강제적으로 U자 형상으로 구부리면서 리테이너(83)를 임시고정위치로 이동시킨 후, 고정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실시되기 때문에, 공정이 많아지고, 작업성이 떨어진다. 또한, 힌지(84)의 탄성복원력을 상실시키기 위해서 리테이너장착지그(89)를 이용하여 리테이너 (83)를 밀어넣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이런 면에 있어서도 작업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리테이너에 의해 이중고정 및 불완전 장착감지를 행하고, 이 리테이너를 하우징본체에 일체화함으로써 리테이너의 탈락방지 및 저비용화를 도모하고, 또한, 하우징본체에 그 수용실을 가로지르도록 리테이너를 끼우고 이것을 이동시켜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수용실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적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힌지를 많이 구부리지 않아도 되도록 하고 하우징조립의 시간을 삭감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면서, 리테이너가 하우징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자를 고정하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 삽입되는 수용실을 가지고, 상기 수용실을 가로질러 외벽에 개구하는 공동부를 가지는 하우징본체와, 상기 하우징본체의 상기 공동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공동부에 의해 전후로 분단된 상기 수용실을 연통하는 연통부를 가지고, 상기 단자가 상기 수용실의 정규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지고 또한 이 이동에 의해 상기 단자에 이차적으로 고정되는 리테이너와,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하우징본체에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있다.
이 하우징에 있어서, 수용실에 단자를 삽입하면, 단자가 하우징에 고정된다. 또한, 리테이너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할 경우, 단자가 수용실의 정규위치에 없으면 리테이너는 이동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불완전 장착이 감지된다. 한편, 단자가 수용실의 정규위치에 있으면 리테이너는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에 의해 리테이너가 단자에 이차적으로 고정된다. 그 경우, 리테이너는 힌지를 통해 하우징본체에 일체화되기 때문에, 리테이너는 하우징본체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됨과 아울러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또한, 하우징본체에 리테이너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수용실을 3단 이상 형성해도, 리테이너에는 각 수용실을 연통하는 연통부가 형성될 수 있어, 그 때에도 이차적인 고정 및 불완전 장착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리테이너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거의 직선상으로 길이만 약간 변하기 때문에, 힌지가 많이 구부러지지 않고, 힌지에 큰 탄성복원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리테이너가 하우징본체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또한, 특수한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리테이너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실행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조립의 수고를 덜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a ~ 도 2b는 제1의 실시예에 관한 하우징(H)을 나타내고, 도 3a ~ 도 5는 상기 하우징(H)의 수용실(11)에 단자(T)가 삽입된 커낵터(C)를 나타낸다.
도 1a ~ 도 2b에서, 참조부호 10은 하우징본체이고, 이 하우징본체(10)에는, 하우징 본체(1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실(11)이 형성되어 있다(이하, 하우징본체(10)의 전후방향이라 함은 간단히 전후방향이라고 칭함). 이 수용실(11)에는 하우징본체(10)의 높이방향(이하, 간단히 높이방향이라고 칭함)에 여러 단이, 그리고 하우징본체(10)의 폭방향(이하, 간단히 폭방향이라고 칭함)에 여러 열이 각각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용실(11)에는 단자(T)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3a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T)는 하우징본체(10)의 수용실 (11)에 삽입가능한 형상, 예를 들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T)의 전단에는, 폭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가진 안정기(4)가 높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자(T)의 전단에는 상대측 단자가 삽입되는 삽입구(1)가 개구되고, 후부에는 전선(W)이 접속되는 접속부(2)가 설치되며, 전선(W)의 심선(芯線)을 압착 또는 납땜 등에 의해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자(T)의 전반부의 내측에는, 예를 들면, 높이 방향 또는 폭방향으로 구부러진 판스프링(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고, 상대측 단자가 삽입될 때, 판스프링이 상대측 단자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본체(10)는 각 수용실(11)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설치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상기 단자(T)의 안정기(4)가 끼워지는 홈(12)과, 상기 홈 내에서 수용실(11)의 폭방향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되고, 앞쪽에서 안정기(4)를 고정하는 랜스(13)와, 랜스(13) 앞쪽의 홈(12)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실험용창문부(14)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안정기(4)는, 단자(T)를 하우징(H)의 수용실(11)에 삽입하고 상기 홈(12)에 끼워넣고 전진하여, 홈 내에 형성된 랜스(13)를 넘어서 상기 랜스(13)의 전방부에 들어가서, 이것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본체(10)에는 모든 수용실(11)을 높이방향으로 가로질러 상하의 외벽에 개구되는 공동부(15)가 형성되고, 이 공동부(15)에 리테이너(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며, 그 리테이너(20)에는 상기 공동부(15)에 의해 전방부 수용실(11a)과 후방부 수용실(11b)로 분단된 수용실(11)을 연통하는 연통부(21)가 전체 수용실(11)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T)의 전후방향의 중간부에는 상기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본 실시예에서는 높이방향)으로 노치된 고정부(3)가 형성되어 있고,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까지 삽입되면 상기 고정부(3)의 전단(3a)이 하우징(H)의 전방부 수용실(11a)의 후단(11'a)에 일치하고,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연통부(21)의 둘레벽(22)이 상기 고정부(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리테이너(20)는 힌지(30)를 통해 하우징본체(1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힌지(30)는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0)의 상면에 대한 폭방향으로 떨어진 두 곳에 설치되어 있다. 각 힌지(3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여 리테이너(20)와 하우징본체(10)에 걸쳐 설치되어, 이들을 연결하고 있다. 이들 하우징본체(10), 힌지(30), 및 리테이너(20)는 동시에 성형된다. 상기 힌지(30)는 리테이너(20)가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우징 본체측의 단부를 중심에서 작은 각도의 범위에서 스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단자(T)의 접속부(2)에 전선(W)을 부착하고 단자(T)를 하우징(H)의 수용실(11)에 삽입하면, 안정기(4)는 하우징(H)의 홈(12)에 끼워져 전진하여, 하우징(H)의 랜스(13)을 넘어 상기 랜스(13)에 고정되고, 이것으로 단자(T)가 하우징(H)에 일차적으로 고정된다(도 1a, 도 3a 및 도 4a의 상태). 또한, 리테이너(20)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 경우,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없으면 고정부(3)의 전단(3a)이 하우징 (H)의 전방부 수용실(11a)의 후단(11'a)보다 후방으로 나오기 때문에, 리테이너 (20)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고정부(3)의 전단(3a)에 부딪혀 이동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불완전 장착이 감지된다. 한편,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있으면 고정부(3) 전단(3a)이 하우징(H)의 전방부 수용실(11a)의 후단(11'a)에 일치하여, 리테이너(20)의 연통부(21)의 둘레벽(22)이 상기 고정부(3)에 끼워져 리테이너(20)가 이동할 수 있고, 이 이동에 의해 리테이너(20)가 단자(T)에 이차적으로 고정된다(도 1b, 도 3b, 도 4b의 상태). 그리고, 이 커넥터(C)를 상대측 커넥터에 끼우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가 각각 단자(T)에 삽입되고, 판스프링 등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에 접촉하여 양 커넥터 간의 기계적 접속 및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리테이너(20)는 힌지(30)를 통해 하우징본체(10)에 일체가 되기 때문에, 리테이너(20)가 하우징본체(10)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금형수의 절감 및 관리공정수의 절감등에 의해 저비용화가 도모된다. 또한 하우징본체(10)에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수용실(11)을 3단 이상 형성해도, 리테이너(20)에 각 수용실(11)을 연통하는 연통부(21)를 형성할 수 있어서, 그 때에도 단자마다의 이차고정 및 불완전 장착감지가 가능하다. 또한, 폭 또는 높이를 달리하는 다양한 종류의 단자(T), 폭방향 또는 높이방향의 간격(pitch)이 다른 단자(T)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리테이너(20)는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거의 직선상으로 길이만 약간 달라질 뿐이므로, 힌지(30)는, 예를 들면, U자 형상으로 많이 구부려지지 않고, 힌지(30)에 큰 탄성복원력은 작용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리테이너(20)가 하우징본체(10)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또한, 앞서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리테이너 장착 지그와 같은 특수한 지그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손이나 머니퓰레이터(manipulator)등에 의해 리테이너(20)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원터치로 행해지기 때문에, 하우징조립의 수고가 저감되고,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정기(4)가 단자외측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안정기(4)를 단자(T)의 선단에 설치할 때에는, 단자(T)가 하우징(H)의 수용실(11)에 대해, 예를 들면, 상하가 역전되는 등의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될 때에는, 삽입 초기의 단계에서 수용실(11)의 입구에 걸리기 때문에, 확실히 단자(T)의 역삽입이 방지되고, 작업자의 오조작 등에 의한 하우징(H)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H)의 전면에 수용실(11)만을 개구시켰던 때의 실시예를 포함하지만, 그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커넥터(C)의 도통시험을 종래와 같이 단자(T)의 삽입구(1)에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 또는 이와 동일한 형상의 시험용지그를 삽입하여 실시하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 등이 반복사용에 의해 변형되고, 그것을 삽입함으로써 커넥터(C)의 단자(T)의 판스프링등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하우징(H)의 전면에 안정기(4)를 연통하는 시험용창부(14)를 개구했을 때,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등을 단자(T)의 삽입구(1)가 아닌 실험용창문부(14)에 삽입하면 상대측 커넥터의 단자 등을 단자(T)의 삽입구가 아니라 시험용 창부(14)에 삽입하면 안정기(4)에 접촉하기 때문에, 따라서 단자(T)의 판스프링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도통시험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안정기(4)는, 홈(12)에 끼워넣어 전진할 수 있도록 하고 폭방향 내지 높이방향으로 향하는 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홈(12)은 각 수용실(11)로부터 높이방향 내지 폭방향으로 형성되고, 또한 랜스(13)는 폭방향 내지 높이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안정기(4)를 폭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했을 때에는, 하우징(H)의 랜스(13)가 안정기(4)를 따라 폭방향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하우징(H)에 있어서 높이방향으로 구부릴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높이가 낮아진다. 그로 인해, 커넥터(C)가 높이방향으로 가급적 소형이 된다. 특히, 수용실(11)을 높이방향으로 여러 단을 배열한 커넥터(C)에서는, 높이방향으로 여러 개의 단자(T)가 이어지고, 수용실(11) 사이의 벽도 증가하기 때문에, 각각의 단자(T)의 높이가 낮아지고 또한 수용실(11) 사이의 벽이 얇아짐으로써 커넥터(C)를 높이방향으로 대폭 소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이 커넥터(C)는, 예를 들면, 공간활용도가 크게 요구되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커넥터로 적합하다.
도 6a 및 도 6b는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전의 제1실시예에 비해 힌지(30) 주변의 구성만 다르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과 아울러, 제1실시예에서 힌지(30)에 관한 부분 이외의 설명은 그대로 제2실시예에도 인용한다. 제2실시예에서의 힌지(30)에 관한 설명을 하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0)는 힌지(30)를 통해 하우징본체(10)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경우, 힌지(30)는 띠형상으로 형성되어 하우징본체(10)의 상면에 있어서 폭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각 힌지(30)는 폭방향으로 연장하여 리테이너(20)와 하우징본체(10)에 걸쳐 설치되어서, 이것들을 연결하고 있다. 이들 하우징본체(10), 힌지(30), 및 리테이너(20)는 동시 성형된다. 상기 힌지(30)는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본체측의 단부를 중심으로 적은 각도의 범위 내에서 스윙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실시예와 동일한 같은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단자(T)에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노치된 고정부 (3)를 형성하고, 단자(T)를 수용실(11)의 정규위치까지 삽입하면 상기 고정부(3)의 전단(3a)이 하우징(H)의 전방부 수용실(11a)의 후단(11'a)에 일치하여, 리테이너 (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연통부(21)의 둘레벽(22)이 상기 고정부 (3)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고, 또한 이 이동에 의해 리테이너(20)가 단자(T)에 이차적으로 고정하도록 구성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단자(T)에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노치된 고정부(3)를 형성함과 동시에, 리테이너(20)에 상기 단자(T)가 수용실(11)의 정규위치까지 삽입될 때에 상기 고정부(3)와 전후방향의 위치가 일치하여 끼워질 수 있게 돌기 등의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랜스(13)에 의해 수용실(11)에 삽입된 단자(T)를 일차적으로 고정하도록 했지만, 본 발명은 다른 공지의 일차적 고정수단을 사용한 커넥터의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사용한 커넥터의 실시예를 포함한다. 또한, 힌지의 형상은 띠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적이며, 예를 들면 봉형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부 (15)가 하우징본체(10)의 일면의 외벽에만 개구되는 실시예, 힌지(30)가 1개 또는 3개 이상인 실시예, 힌지(30)가 공동부(15)의 내부에 형성된 실시예, 이러한 실시예를 조합한 실시예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하면, 리테이너에 의해 이중고정하여 단자의 유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단자의 불완전 장착을 감지하여 조립불량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힌지를 통해 리테이너를 하우징본체에 일체화했기 때문에, 리테이너가 하우징본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본체에 그 수용실을 가로지르도록 리테이너를 끼우고, 리테이너를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단자를 이차적으로 고정하도록 했기 때문에, 수용실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음과 아울러, 힌지를 많이 구부리지 않아도 되므로, 하우징조립의 수고를 덜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테이너가 하우징본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단자(T)를 고정하는 커넥터(C)의 하우징(H)으로서, 상기 하우징은(H),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전방부와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에 수직으로 배열되고 서로 대향하는 각 외벽들로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 중 어느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길이방향에 수직인 폭방향으로 연장된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단자(T)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실(11),
    상기 복수의 수용실에 수직방향으로 복수의 수용실(11)을 가로지르며, 상기 복수의 수용실(11)을 상기 하우징(H)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서 전방부 수용실(11a) 및 후방부 수용실(11b)로 나누는 공동부(15),
    상기 하우징(H)의 공동부(1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복수의 수용실(11)에 대응하면서 상기 전방부 수용실(11a)과 상기 후방부 수용실(11b)을 연결하는 연통부(21)를 상기 단자를 수용하는 상기 복수의 수용실(11)과 정렬되는 위치에 갖고, 상기 단자(T)가 수용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H)의 상기 두 외벽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슬라이딩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리테이너(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동부(15)는 상기 하우징(H)의 두 외벽으로 열려있고 상기 열려진 두 외벽은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하나 이상의 힌지(30)가 상기 하우징(H)과 상기 리테이너(20)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상기 하우징(H)의 상면에서의 폭방향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하우징(H)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두 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너(20)와 상기 하우징(H)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H), 하나 이상의 힌지(30) 및 리테이너(20)는 동시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30)는 상기 하우징(H)의 상면에서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하우징(H)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H)의 상기 상면의 두 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너(20)와 상기 하우징(H)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H), 하나 이상의 힌지(30) 및 리테이너(20)는 동시에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하우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우징(H)의 상기 복수의 수용실(11)에 단자(T)가 삽입된 커넥터(C)로서, 상기 단자(T)에는 상기 리테이너(2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고정부(3)가 노치(notch)되고, 상기 고정부(3)의 전단이 상기 전방부 수용실(11a)의 후단과 일치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연통부(21)의 둘레벽(22)이 상기 슬라이딩 방향으로 상기 리테이너(20)를 이동시키면서 상기 고정부(3)에 끼워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19990032020A 1998-08-20 1999-08-04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KR100615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88498A JP3247344B2 (ja) 1998-08-20 1998-08-20 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98-251884 1998-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090A KR20000017090A (ko) 2000-03-25
KR100615894B1 true KR100615894B1 (ko) 2006-08-25

Family

ID=1722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020A KR100615894B1 (ko) 1998-08-20 1999-08-04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96531B1 (ko)
EP (1) EP0981184B1 (ko)
JP (1) JP3247344B2 (ko)
KR (1) KR100615894B1 (ko)
DE (1) DE6990510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2954A (ja) * 2000-07-24 2002-02-08 Yazaki Corp ジョイントコネクタ
DE10227334B4 (de) * 2001-06-22 2009-02-1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Verbinder
JP3755467B2 (ja) * 2002-01-31 2006-03-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6185759A (ja) * 2004-12-28 2006-07-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3187126A (ja) * 2012-03-09 2013-09-19 Yazaki Corp コネクタ
US9484660B2 (en) * 2014-11-13 2016-11-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10673169B2 (en) 2016-01-14 2020-06-02 J.S.T.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MSL connector series
US10109955B2 (en) * 2016-01-14 2018-10-23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having a male housing and a female housing with ribs
US10622746B2 (en) 2016-01-15 2020-04-14 J.S.T. Corporation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and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mber
JP2019091560A (ja) * 2017-11-13 2019-06-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治具、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2332605B1 (ko) 2018-05-31 2021-11-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cb 다이렉트 커넥터
JP2023169543A (ja) * 2022-05-17 2023-11-3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成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075U (ja) * 1993-04-13 1994-11-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326418A (ja) * 1994-05-31 1995-1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8106944A (ja) * 1994-10-03 1996-04-23 Tokai Rika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同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H11121077A (ja) * 1997-10-17 1999-04-30 Amp Japan Ltd 2次係止部材付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2577A (ja) * 1985-04-08 1986-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
DE69215134T2 (de) * 1991-04-30 1997-03-06 Yazaki Corp Steckverbinder
JPH0765924A (ja) 1993-08-30 1995-03-10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付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2923519B2 (ja) * 1994-05-30 1999-07-26 矢崎総業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3093948B2 (ja) * 1995-02-22 2000-10-0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098934B2 (ja) * 1995-06-06 2000-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106286B2 (ja) * 1995-06-30 2000-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リヤホルダー付きコネクタ
JP3454985B2 (ja) 1995-09-21 2003-10-0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3123437B2 (ja) * 1996-07-31 2001-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075U (ja) * 1993-04-13 1994-11-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H07326418A (ja) * 1994-05-31 1995-12-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H08106944A (ja) * 1994-10-03 1996-04-23 Tokai Rika Co Ltd 電気コネクタ及び同電気コネクタのハウジング
JPH11121077A (ja) * 1997-10-17 1999-04-30 Amp Japan Ltd 2次係止部材付コネクタ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EPO조사보고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96531B1 (en) 2001-10-02
DE69905104D1 (de) 2003-03-06
JP2000067982A (ja) 2000-03-03
DE69905104T2 (de) 2003-05-22
JP3247344B2 (ja) 2002-01-15
KR20000017090A (ko) 2000-03-25
EP0981184B1 (en) 2003-01-29
EP0981184A1 (en) 2000-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2073A (en) Connector having engagement detecting device
KR101025638B1 (ko) 커넥터
KR100740853B1 (ko)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 방법
JP4963702B2 (ja) 端子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コネクタ組立体
US5947775A (en) Connector
KR100579653B1 (ko)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US5618201A (en) Connector having engagement detecting device
JP3301329B2 (ja) コネクタ
US20010016457A1 (en) Connector with holder prevented from coming-off
US10847916B2 (en) Connector
KR100615894B1 (ko) 커넥터의 하우징 및 이를 이용한 커넥터
CN1607699A (zh) 一种电连接器
JP3674767B2 (ja) コネクタ
JP3316116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2203630A (ja) コネクタ
JP3618569B2 (ja) 合体コネクタ
JP3405425B2 (ja) 基板用コネクタ
US6589080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US20100210144A1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502029B1 (ko) 단자 잠금 구조체를 갖는 전기 커넥터
JP3106282B2 (ja) コネクタ
JP2825445B2 (ja) コネクタ
CN110581370B (zh) 端子和连接器
JPH11312551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2000294334A (ja) コネクタの電線ガタ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